KR20130062012A -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012A
KR20130062012A KR1020110128387A KR20110128387A KR20130062012A KR 20130062012 A KR20130062012 A KR 20130062012A KR 1020110128387 A KR1020110128387 A KR 1020110128387A KR 20110128387 A KR20110128387 A KR 20110128387A KR 20130062012 A KR20130062012 A KR 20130062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at
video signal
signal
ey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012A/ko
Priority to EP12182745.5A priority patent/EP2600617A3/en
Priority to US13/605,132 priority patent/US20130141532A1/en
Priority to CN2012104176530A priority patent/CN103139584A/zh
Publication of KR2013006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2Improving the 3D impression of stereoscopic images by modifying image signal contents, e.g. by filtering or adding monoscopic depth c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7Aspects relating to detection of stereoscopic image format, e.g. for adaptation to the display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의 포맷을 감지하는 영상포맷감지부와,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의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감지된 영상신호의 포맷이 3D영상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포맷인 경우,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에 따라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 각각에 대해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영상의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입력되는 영상이 3D 영상인 경우에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3D 영상의 선명도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일련의 영상처리과정을 거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장치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중 하나인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는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비디오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디테일 인핸스먼트는 영상신호의 고주파 또는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주파수 성분들을 강조하여, 이를 원 영상에 포함함으로써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 영상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가 시청 중인 화면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3D 디스플레이 기술의 주류는 사용자가 3D 안경을 착용하고,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각각 좌안과 우안에 의해 인지함으로써 입체감을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경 방식의 3D 디스플레이의 경우,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섞여서 출력되므로, 2D 영상과 동일한 디테일 인핸스먼트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경우, 정확한 연산을 하는 것이 어렵고 그에 따라 의도하는 바와 같이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쉽지 않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의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입력되는 영상이 3D 영상인 경우에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의 포맷을 감지하는 영상포맷감지부;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의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감지된 영상신호의 포맷이 3D영상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포맷인 경우,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에 따라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 각각에 대해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의 배치에 따라,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및 탑 앤 바텀 포맷(Top and Bottom Forma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소정 주파수 대역의 게인(gain)을 조절하는 피킹필터(Peaking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에 따라, 상기 피킹필터의 계수를 조정하여, 게인이 조절되는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의 선명도 향상을 위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APL(Average Picture Level), 노이즈, 편평도, 복잡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분석을 수행하는 영상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인 경우, 상기 영상의 수평 방향의 절반에 대해 영상분석을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분석부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이 탑 앤 바텀 포맷인 경우, 상기 영상의 수직 방향의 절반에 대해 영상분석을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분석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의 포맷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영상신호의 포맷이 3D영상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포맷인 경우,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에 따라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 각각에 대해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의 배치에 따라,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및 탑 앤 바텀 포맷(Top and Bottom Forma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의 소정 주파수 대역의 게인을 조절하는 피킹필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에 따라, 상기 피킹필터의 계수를 조정하여, 게인이 조절되는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의 선명도 향상을 위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APL(Average Picture Level), 노이즈, 편평도, 복잡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인 경우,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의 수평 방향의 절반에 대해 영상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이 탑 앤 바텀 포맷인 경우,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의 수직 방향의 절반에 대해 영상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의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입력되는 영상이 3D 영상인 경우에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영상처리장치의 선명도 향상 처리를 위한 각 블록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제1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제2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제3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영상처리장치의 선명도 향상 처리를 위한 각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는 디테일 인핸스먼트 블록(100)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이하 '선명도 향상 처리' 라고 함)를 수행하고, 디테일 인핸스먼트 블록(100)은 분석블록(analyze block, 110)과 피킹블록(peaking block, 120)을 포함한다.
분석블록(110)은 입력 영상신호의 선명도 향상 처리를 위해 영상신호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분석블록(110)은 영상신호의 APL(Average Picture Level), 노이즈(noise), 편평도, 복잡도 등 선명도 향상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분석한다.
피킹블록(120)은 분석블록(11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의 소정 주파수 대역의 게인을 조정하여 이를 출력함으로써,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선명도가 더욱 향상된다.
다만, 도 1에 개시된 영상처리장치의 디테일 인핸스먼트 블록(100)은 입력되는 영상이 2D영상 인지, 3D영상 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하나의 분석블록(110) 및 피킹블록(120)에 의해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한다.
3D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의 시차를 이용한 것으로, 좌안 및 우안에 의해 인지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구분되어 표시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포맷이 가능하다. 3D 디스플레이의 구현 방법으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교대로 표시하는 방식과 공간적으로 분할하는 방식이 있는데, 공간 분할 방식의 경우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좌/우 또는 상/하로 동시에 배치하여 표시하며, 빛의 편광 특성을 통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인지되도록 함을 기본적인 원리로 한다.
3D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디테일 인핸스먼트 블록(100)을 통해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한다면, 피킹블록(120)에서 게인 조정의 대상 주파수가 달라지고, 입력영상의 APL을 이용하여 피킹 게인을 조정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의 정확한 APL을 찾아내기 힘들다. 또한, 분석블록(110)을 통해 Noise의 양, 입력영상의 편평도 또는 복잡도 등을 분석함에 있어 정확한 연산이 힘들다.
이하에서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영상처리장치의 선명도 향상 처리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200)의 제어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200)는 영상수신부(210), 영상포맷감지부(220), 영상처리부(230), 제어부(240)를 포함하며, 영상분석부(2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장치(200)는 TV, 셋탑박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자세한 구현방식에 있어 한정되지는 않는다.
영상수신부(21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영상공급원은 한정되지 않는 바, CPU 및 그래픽카드를 가지고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로컬(local)로 제공하는 컴퓨터본체, 영상신호를 네트워크로 제공하는 서버, 공중파 또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국의 송출장치 등 다양한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영상수신부(210)가 수신하는 영상신호는 2D영상 또는 3D영상일 수 있으며, 3D영상의 포맷(format)은 하나의 화면에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포함되는 형태 일 수 있다. 이 경우, 3D영상은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각각 수직으로 교차하여 표시되는 탑 앤 바텀 포맷(Top and Bottom Format)이거나, 각각 수평으로 교차하여 표시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일 수 있다.
영상포맷감지부(220)는 영상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영상신호의 포맷을 감지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의 포맷은 2D영상이거나, 3D영상 중 탑 앤 바텀 포맷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영상포맷감지부(220)는 입력되는 영상의 변이(disparity)정보 또는 주변 화소값 간의 상관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영상의 포맷을 감지할 수 있으며, 영상포맷을 감지하는 것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 영상포맷감지부(220)의 감지 결과는 후술할 영상분석부(250)의 분석 및 피킹필터(Peaking Filter)의 계수 조정에 있어 활용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230)는 후술할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의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23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소정 주파수 대역의 게인(gain)을 조절하는 피킹필터(peaking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피킹필터는 저장된 소정의 계수에 따라 영상신호의 게인을 조절하여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후술할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피킹필터의 계수는 변경될 수 있다. 피킹필터에 의해 게인이 조정되는 결과 표시되는 영상의 디테일이 향상되어, 더욱 선명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30)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고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등 공지의 필터(fil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 향상처리를 위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 Unit) 등과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감지된 영상신호의 포맷이 3D영상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포맷인 경우, 영상신호의 포맷에 따라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각각에 대해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영상처리부(230)를 제어한다. 이 때,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3D영상신호인 경우,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의 배치에 따라,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간 분할 방식의 3D영상의 경우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하나의 화면 내에 동시에 표시되므로, 이러한 경우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각각에 대해 피킹필터를 통해 게인을 조절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피킹필터의 계수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입력되는 3D영상신호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및 탑 앤 바텀 포맷(Top and Bottom Format) 중 어느 하나인지 판단하고, 포맷에 따라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의 경우,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수평방향으로 교차되어 입력되므로, 동일한 해상도의 2D영상과 비교할 때, 수직주파수는 동일하나 수평주파수는 2배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피킹필터의 계수 설정 시 2배로 증가한 수평주파수를 고려하여, 피킹필터를 통해 게인을 조절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반면, 탑 앤 바텀 포맷의 경우,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수직방향으로 교차되어 입력되므로, 동일한 해상도의 2D영상과 비교할 때, 수평주파수는 동일하나 수직주파수는 2배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피킹필터의 계수 설정 시 2배로 증가한 수직주파수를 고려하여, 피킹필터를 통해 게인을 조절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20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선명도 향상 처리를 위한 영상분석을 수행하는 영상분석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분석부(250)에서 수행하는 영상분석의 예로 APL(Average Picture Level), 노이즈, 편평도, 복잡도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영상신호의 포맷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인 경우, 영상의 수평 방향의 절반에 대해 영상분석을 수행하도록 영상분석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의 경우,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절반으로 압축된 사이즈의 영상이 입력되고, 나머지 절반의 영역은 검은색으로 처리되며, 절반으로 압축된 사이즈의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합쳐져서 하나의 영상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각각의 전체에 대해 APL, 노이즈 등을 계산하는 경우, 실제 표시될 영상에 해당하는 부분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영상분석부(250)는 실제 영상이 포함되는 수평방향의 절반의 사이즈에 대해서만 영상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선명도 향상 처리에서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어낼 수 있다.
반면, 영상신호의 포맷이 탑 앤 바텀 포맷인 경우, 제어부(240)는 영상의 수직방향의 절반에 대해 영상분석을 수행하도록 영상분석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탑 앤 바텀 포맷의 경우,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절반으로 압축된 사이즈의 영상이 입력되고, 나머지 절반의 영역은 검은색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실제 영상이 포함되는 수직방향의 절반의 사이즈에 대해서만 영상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선명도 향상 처리에서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어낼 수 있다.
선명도 향상 처리를 거친 출력 영상신호는 디코딩(decoding), 스케일링(scaling) 등의 처리 과정을 거쳐, 영상처리장치(2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또는 영상처리장치(20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영상처리장치(200)에 따르면, 3D 입력 영상의 포맷에 따라 최적의 선명도 향상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의 선명도 향상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제1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영상처리방법을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200)는 TV, 셋탑박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자세한 구현방식에 있어 한정되지는 않는다. 영상처리장치(2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110). 이 때, 수신하는 영상신호는 2D영상 또는 3D영상일 수 있으며, 3D영상의 포맷(format)은 하나의 화면에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포함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3D영상은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각각 수직으로 교차하여 표시되는 탑 앤 바텀 포맷(Top and Bottom Format)이거나, 각각 수평으로 교차하여 표시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일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200)는 수신한 영상신호의 포맷을 감지하여(S120), 감지된 영상신호의 포맷에 따라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각각에 대해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한다(S130). 이 때,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의 배치에 따라,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200)를 통한 선명도 향상 처리는 피킹필터(peaking filter)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소정 주파수 대역의 게인(gain)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영상처리장치(200)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고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등 공지의 필터(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제2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2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고(S210), 영상신호의 포맷을 감지한다(S220).
감지된 영상신호의 포맷이 3D영상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포맷인 경우(S230),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 또는 탑 앤 바텀 포맷인지에 따라, 피킹필터의 계수를 조정하여, 게인이 조정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S240). 그에 따라, 입력영상신호의 포맷에 맞는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25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제3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2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고(S310), 영상신호의 포맷을 감지한다(S320).
감지된 포맷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인 경우(S330),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의 수평방향의 절반에 대해 영상분석을 수행한다(S340).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의 경우,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절반으로 압축된 사이즈의 영상이 입력되고, 나머지 절반의 영역은 검은색으로 처리되며, 절반으로 압축된 사이즈의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합쳐져서 하나의 영상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각각의 전체에 대해 APL, 노이즈 등을 계산하는 경우, 실제 표시될 영상에 해당하는 부분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제 영상이 포함되는 수평방향의 절반의 사이즈에 대해서만 영상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선명도 향상 처리에서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어낼 수 있다.
감지된 포맷이 탑 앤 바텀 포맷인 경우(S350),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의 수직방향의 절반에 대해 영상분석을 수행한다(S360). 탑 앤 바텀 포맷의 경우,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절반으로 압축된 사이즈의 영상이 입력되고, 나머지 절반의 영역은 검은색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실제 영상이 포함되는 수직방향의 절반의 사이즈에 대해서만 영상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선명도 향상 처리에서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어낼 수 있다.
영상분석이 수행되면, 영상처리장치(200)는 앞서 분석 결과에 따라, 피킹필터의 계수를 조정하고, 그에 따른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한다(S370).
선명도 향상 처리를 거친 출력 영상신호는 디코딩(decoding), 스케일링(scaling) 등의 처리 과정을 거쳐, 영상처리장치(2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또는 영상처리장치(20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영상처리방법에 따르면, 3D 입력 영상의 포맷에 따라 최적의 선명도 향상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의 선명도 향상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테일 인핸스먼트 블록
110: 분석블록
120: 피킹블록
200: 영상처리장치
210: 영상수신부
220: 영상포맷감지부
230: 영상처리부
240: 제어부
250: 영상분석부

Claims (14)

  1.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의 포맷을 감지하는 영상포맷감지부;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의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감지된 영상신호의 포맷이 3D영상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포맷인 경우,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에 따라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 각각에 대해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의 배치에 따라,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및 탑 앤 바텀 포맷(Top and Bottom Forma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소정 주파수 대역의 게인(gain)을 조절하는 피킹필터(Peaking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에 따라, 상기 피킹필터의 계수를 조정하여, 게인이 조절되는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선명도 향상을 위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APL(Average Picture Level), 노이즈, 편평도, 복잡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분석을 수행하는 영상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인 경우, 상기 영상의 수평 방향의 절반에 대해 영상분석을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분석부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이 탑 앤 바텀 포맷인 경우, 상기 영상의 수직 방향의 절반에 대해 영상분석을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분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8.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의 포맷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영상신호의 포맷이 3D영상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포맷인 경우,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에 따라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 각각에 대해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의 배치에 따라,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 by Side Format) 및 탑 앤 바텀 포맷(Top and Bottom Forma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명도 향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의 소정 주파수 대역의 게인을 조절하는 피킹필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에 따라, 상기 피킹필터의 계수를 조정하여, 게인이 조절되는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선명도 향상을 위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APL(Average Picture Level), 노이즈, 편평도, 복잡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인 경우,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의 수평 방향의 절반에 대해 영상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포맷이 탑 앤 바텀 포맷인 경우, 상기 좌안영상 및 상기 우안영상의 수직 방향의 절반에 대해 영상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KR1020110128387A 2011-12-02 2011-12-02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KR20130062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387A KR20130062012A (ko) 2011-12-02 2011-12-02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EP12182745.5A EP2600617A3 (en) 2011-12-02 2012-09-03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3/605,132 US20130141532A1 (en) 2011-12-02 2012-09-06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2012104176530A CN103139584A (zh) 2011-12-02 2012-10-26 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387A KR20130062012A (ko) 2011-12-02 2011-12-02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012A true KR20130062012A (ko) 2013-06-12

Family

ID=4701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387A KR20130062012A (ko) 2011-12-02 2011-12-02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41532A1 (ko)
EP (1) EP2600617A3 (ko)
KR (1) KR20130062012A (ko)
CN (1) CN103139584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349A (ja) * 1993-12-29 1997-07-22 ライカ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表示装置上に立体ビデオ映像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20007411A (ko) * 2000-03-15 2002-01-26 요트.게.아. 롤페즈 피킹 필터를 갖는 비디오 장치
CA2380105A1 (en) * 2002-04-09 2003-10-09 Nicholas Routhier Process and system for encoding and playback of stereoscopic video sequences
KR100782811B1 (ko) * 2005-02-04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포맷을 달리하는 스테레오 영상 합성 방법 및 장치와, 그 영상의 송신 및 수신 방법과, 그 영상의 재생 방법 및 장치
US20100238274A1 (en) * 2009-03-16 2010-09-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and an apparatus of process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KR20100138806A (ko) * 2009-06-23 2010-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3차원 영상 포맷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39584A (zh) 2013-06-05
EP2600617A2 (en) 2013-06-05
US20130141532A1 (en) 2013-06-06
EP2600617A3 (en)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37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s in stereo images
US20130051659A1 (en)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975247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US20130038611A1 (en) Image conversion device
US201101938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 Overlay Area into a 3D Image
JP2013527646A5 (ko)
US8514219B2 (en) 3D image special effects apparatus and a method for creating 3D image special effects
KR20120016408A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US8982187B2 (en) System and method of rendering stereoscopic images
KR20120005328A (ko) 입체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US20130088574A1 (en) Detective Adjusting Apparatus for Stereoscopic Image and Related Method
EP252346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3-dimensional image
EP2458878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0875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3-dimensional image
KR101763686B1 (ko)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US20120127288A1 (en) 2D-to-3D DELAY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TWI491244B (zh) 調整物件三維深度的方法與裝置、以及偵測物件三維深度的方法與裝置
WO2013047007A1 (ja) 視差量調整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CN109194944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系统、显示装置
CN102487447B (zh) 调整物件三维深度的方法与装置、以及检测物件三维深度的方法与装置
KR20130062012A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JP2015149547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796663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3633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20110033007A (ko) 입체감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3d 비디오 인코더 및 3d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