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260A -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260A
KR20130058260A KR1020110124178A KR20110124178A KR20130058260A KR 20130058260 A KR20130058260 A KR 20130058260A KR 1020110124178 A KR1020110124178 A KR 1020110124178A KR 20110124178 A KR20110124178 A KR 20110124178A KR 20130058260 A KR20130058260 A KR 20130058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rame
indoor
outdoo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홍구
Original Assignee
노홍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홍구 filed Critical 노홍구
Priority to KR102011012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8260A/ko
Publication of KR2013005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3/00Arrangements of valves or dampers before the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정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환풍 수단을 통해 창문을 열지 않고도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는 통풍구조가 형성된 것으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순환를 다양한 방식으로 순환시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탈이 가능한 환풍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환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는 창문틀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에 실내창 및 실외창이 결합된 이중 구조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에 실내 및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양측에 구비된 실내,외 공기 유입구와, 상기 실내 공기 유입구를 통해 탈착 가능하며 상부가 개방된 하부 공기 통과구를 구비된 하부 통풍장치를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서 상승된 공기가 흡입되는 상부 공기 통과구와 상기 상부 공기 통과구에 흡입된 공기를 자연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하는 외곽 케이스와, 상기 상부 공기 통과구를 통한 공기를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하는 실내,외 공기 배출구로 공기를 공급하는 실내,외 공기 배출관으로 구비된 내부 케이스와, 상기 실내,외 공기 배출관 사이에 형성된 상부 원통체에 밀착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 댐퍼로 형성되어 상기 실내 공기 배출구에 탈착 가능한 상부 통풍장치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Cooling Air Supply Devices for Boiler Wallbox of Power Generation Plant}
본 발명은 발전소 보일러 월에 장착하여 세정하는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연환풍수단이 가능한 기능성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정프레임에 자연환풍 수단을 통해 창문을 열지 않고도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는 통풍구조가 형성된 것으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순환을 다양한 방식으로 순환시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연환풍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이중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보일러에 있어 세정프레임은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태양광과 신선한 외부 공기의 공급 통로가 되며, 실내의 사람에게 조망감과 개방감을 느끼게 해주는 필수 구성 요소이나, 프레임을 통해 열 손실과 열 흡수는 단열 벽체에 비하여 십여 배에서 수십 배에 달하는 냉난방비 증가 요인이 발전소보일러의 유지관리 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세정프레임의 단열과 방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공창과 같은 고성능 단열창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고가인 까닭에 세정프레임에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보일러의 프레임에는 최소한의 단열과 방음을 위하여 두장의 유리를 겹친 페어 글라스라고도 불리는 단순한 2겹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기술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착탈이 가능한 환풍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환기 프레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의 실내 및 실외측 상,하부에 설치된 4개의 환기 그릴(200)과, 환기 그릴 사이(200)의 실내 및 실외측 양단부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실내창(300) 및 실외창(400)과, 메인 프레임(100)의 상,하부에 각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 개폐댐퍼(500,600)와, 메인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부 환기 그릴(200) 측으로 상승시키도록 하는 송풍기(700)와, 상단부는 상기 상부 개폐댐퍼 직하부 메인 프레임(100)의 양측 내벽면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송풍기(700) 상부까지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된 블라인드(8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종래의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프레임은 모터(미도시)가 구동되면 실내창 및 실외창 사이에 구비된 송풍기가 회전되어 하부 환기 그릴을 통해 유입된 실외 또는 실내 공기를 프레임 상부로 보내게 되고, 상부로 이동되는 외부 공기는 블라인드와 접촉하면서 상승하는 동안 블라인드에 축적된 태양 복사열에 의해 가열된 후, 상부 환기 그릴을 통해 실외공간이나 실내공간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착탈이 가능한 환풍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환기 프레임은 송풍기라는 강제환풍수단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음이 심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며 고장이 잘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풍기가 실내창과 실외창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프레임 자체의 폭이 두꺼워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세정프레임내의 송풍기를 제거하여 세정프레임내 자연대류에 의한 무동력 상변화방식을 이용하는 구조로 하여 소음 및 고장을 없애는 간단구조로 하며, 세정프레임내에 상변화형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실내측의 열손실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송풍기를 제거함에 따라 프레임 자체의 폭을 줄일 수 있고 프레임 내부공간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또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는 메인 프레임(1) 하부에 실내 및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양측에 구비된 실내,외 공기 유입구(21,22)와, 상기 실내 공기 유입구(21)를 통해 탈착 가능하며 상부가 개방된 하부 공기 통과구(313)를 구비된 하부 통풍장치(3)를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2)과, 상기 하부 프레임(2)에서 상승된 공기가 흡입되는 상부 공기 통과구(411)와, 상기 상부 공기 통과구(411)를 통한 공기를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하는 실내,외 공기 배출구(421,422)로 공기를 공급하는 실내,외 공기 배출관(423,424)으로 구비된 내부 케이스(42)와, 상기 실내,외 공기 배출관(423,424) 사이에 형성된 상부 원통체(43)에 밀착되며 구동수단(8)에 의해 회전하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 댐퍼(431)로 형성되어 상기 실내 공기 배출구(421)에 탈착 가능한 상부 통풍장치(45)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하부 통풍장치(3)는 상기 실내,외 공기 유입구(21,22)에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실내,외 공기 흡입관(311,312)을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31)와, 상기 실내,외 공기 흡입관(311,312) 사이에 형성된 하부 원통체(314)에 밀착되며 구동수단(8)에 의해 회전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부 댐퍼(31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측 또는 실외측 공기 유입구를 개폐 시킬수 있으므로, 공기의 순환 방식에 따라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내창(5) 및 실외창(6) 사이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4) 하부에 고정되는 상변화형 블라인드(44)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상변화형 블라인드(44)는 기존 블라인드에 터뷸레이터와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서 난류발생이 쉬우며 열을 받으면 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상변화가 일어나 잠열발생이 일어나도록 고안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변화형 블라인드(44)는 보일러 내부로 유입되는 직사 태양광을 차단하는 동시에, 태양광으로부터 대량의 복사열을 상변화에 의해 축적함으로 상기 실내,외 공기 유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하부 케이스(31)에 형성된 실내,외 공기 흡입관에 공급된 공기가 상기 하부 댐퍼(315)를 개방하면 상기 하부 공기 통과구(313)를 통해 상승된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가열하는 고효율 열교환기의 역할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전소버너 에너지효율향상 클리닝공급장치는 실내창(5)과 실외창(6)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를 실내,외의 온도 조건에 적합하도록 실외 내지 실내로 배출시키는 냉난방 보조 설비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내창(5)은 상기 상부 프레임(4)에 힌지(7)로 고정되어 개폐가 가능한 여닫이창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실내창(5)인 여닫이창이 힌지(7)를 통해 개폐됨으로써, 실내창(5)과 실외창(6)사이의 내부공간 및 창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의 조립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부 프레임(2)에 형성된 개방부에 상기 하부 케이스(31)를 삽입한다. 다음 상기 상부 프레임(4) 하단에 블라인드(44)를 고정한 후, 상기 하부 프레임(2) 상부 양측에 실내창(5) 및 실외창(6)을 체결한다. 다음 상기 실내창(5) 및 실외창(6)의 상단과 상부 프레임(4)의 하단을 밀착한 후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4)에 형성된 실내 공기 배출구(421)에 삽입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의 작동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여름철 작동법을 설명하면, 태양 복사열과 같은 외부의 열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변화형 블라인드(44)를 친 상태에서 실내 공기 흡입관(311)과 실내 공기 배출관(423)을 폐쇄하여 실외 공기 유입구(22)에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실외 공기 흡입관(312)으로 실외 공기를 공급한 후, 상기 실내,외 공기 흡입관(311,312) 사이에 밀착되게 형성된 하부 댐퍼(315)를 개방하면 하부 공기 통과구(313)를 통해 공급된 실외 공기가 상변화형 블라인드(44)의 표면을 흐르는 도중에 난류가 발생되면서 블라인드에 축적된 잠열 및 현열을 빼앗은 다음, 실외 공기가 상기 상부 공기 통과구(411)를 통과한 후 상부 댐퍼(431)를 개방하면 실외 공기 배출관(424)을 통해 실외 공기 배출구(422)로 공기가 배출된다. 그러므로 상부 프레임(4)에 형성된 실외 공기 배출구(422)를 통하여 유입된 태양 복사열을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겨울철 작동법을 설명하면, 겨울철에 프레임을 통하여 태양 복사열을 직접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44)를 올린 상태에서 실외 공기 흡입관(312)과 실외 공기 배출관(424)을 폐쇄하여 차가운 공기의 유입이 없도록 하고, 실내 공기 유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실내 공기 흡입관(311)으로 실내 공기를 공급한 후, 상기 실내,외 공기 흡입관(311,312) 사이에 밀착되게 형성된 하부 댐퍼(315)를 개방하면 하부 공기 통과구(313)를 통해 공급된 실내 공기를 태양 복사열로서 프레임 내부에서 가열되도록 한 후 상승하는 가열 공기를 가열 공기가 상부 공기 통과구(411)를 통과한 후 상부 댐퍼(431)를 개방하면 실내 공기 배출관(423)을 통해 보일러 내부로 실내 공기가 순환한다. 즉 블라인드(44)가 처지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태양 복사열이 프레임을 통하지 않고 실내의 공기를 직접 가열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냉난방보다는 환기가 중요한 봄과 가을이나 여름과 겨울의 환기 시에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여건에 따라, 도 6c와 같이 실내 공기 흡입관(311)과 실외 공기 배출관(424)을 개방하여 탁한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도 6d와 같이 실외 공기 흡입관(312)과 실내 공기 배출관(423)을 개방하여 신선한 실외 공기를 보일러 내부로 유입시켜 실내 공기를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절약형 보일러장착 세정프레임은 창문을 열지 않고도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와 실내 공기의 순환을 다양한 방식으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세정프레임내의 송풍기를 제거하여 세정프레임내 자연대류에 의한 무동력 상변화방식을 이용하는 구조로 하여 소음 및 고장을 없애는 간단구조로 하며, 세정프레임내에 상변화형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실내측의 열손실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송풍기를 제거함에 따라 프레임 자체의 폭을 줄일 수 있고 프레임 내부공간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한 에너지절약형 보일러장착 세정프레임는, 창문틀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에 실내창 및 실외창이 결합된 이중 구조의 프레임과 세정프레임내의 상변화형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에 실내 및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양측에 구비된 실내,외 공기 유입구와, 상기 실내 공기 유입구를 통해 탈착 가능하며 상부가 개방된 하부 공기 통과구를 구비된 하부 통풍장치를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공기 통과구를 통한 공기를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하는 실내,외 공기 배출구로 공기를 공급하는 실내,외 공기 배출관으로 구비된 내부 케이스와, 상기 실내,외 공기 배출관 사이에 형성된 상부 원통체에 밀착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 댐퍼로 형성되어 상기 실내 공기 배출구에 탈착 가능한 상부 통풍장치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내 송풍기제거에 의한 무동력 상변화방식을 이용하는 구조로 하여 소음 및 고장을 없애는 간단구조로 하며, 프레임내에 난류상변화형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실내측의 열손실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중 프레임사이의 송풍기를 제거하여 기존프레임의 폭정도로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동력 상변화방식 세정프레임을 부분 절개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겨울철 작동법을 설명하면, 겨울철에 프레임을 통하여 태양 복사열을 직접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44)를 올린 상태에서 실외 공기 흡입관(312)과 실외 공기 배출관(424)을 폐쇄하여 차가운 공기의 유입이 없도록 하고, 실내 공기 유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실내 공기 흡입관(311)으로 실내 공기를 공급한 후, 상기 실내,외 공기 흡입관(311,312) 사이에 밀착되게 형성된 하부 댐퍼(315)를 개방하면 하부 공기 통과구(313)를 통해 공급된 실내 공기를 태양 복사열로서 프레임 내부에서 가열되도록 한 후 상승하는 가열 공기를 가열 공기가 상부 공기 통과구(411)를 통과한 후 상부 댐퍼(431)를 개방하면 실내 공기 배출관(423)을 통해 보일러 내부로 실내 공기가 순환한다. 즉 블라인드(44)가 처지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태양 복사열이 프레임을 통하지 않고 실내의 공기를 직접 가열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냉난방보다는 환기가 중요한 봄과 가을이나 여름과 겨울의 환기 시에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여건에 따라, 도 6c와 같이 실내 공기 흡입관(311)과 실외 공기 배출관(424)을 개방하여 탁한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도 6d와 같이 실외 공기 흡입관(312)과 실내 공기 배출관(423)을 개방하여 신선한 실외 공기를 보일러 내부로 유입시켜 실내 공기를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버너 에너지효율향상 클리닝공급장치는 창문을 열지 않고도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와 실내 공기의 순환을 다양한 방식으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 프레임
2: 하부 프레임
21 : 실내 공기 유입구, 22 : 실외 공기 유입구
3 : 하부 통풍장치
31 : 하부 케이스
311 : 실내 공기 흡입관, 312 : 실외 공기 흡입관, 313 : 하부 공기 통과구, 314 : 하부 원통체, 315 : 하부 댐퍼
32 : 미닫이 도어
321 : 연결대
4 : 상부 프레임
41 : 외곽 케이스
411 : 상부 공기 통과구
42 : 내부 케이스
421 : 실내 공기 배출구, 422 : 실외 공기 배출구, 423 : 실내 공기 배출관, 424 : 실외 공기 배출관
43 : 상부 원통체
431 : 상부 댐퍼
44 : 상변화형 블라인드
45 : 상부 통풍장치
5 : 실내창
6 : 실외창
7 : 힌지
8 : 구동수단

Claims (1)

  1. 창문틀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1)에 실내창(5) 및 실외창(6)이 결합된 이중 구조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2)에서 상승된 공기가 흡입되는 상부 공기 통과구(411)와 상기 상부 공기 통과구(411)에 흡입된 공기를 자연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하는 상부 프레임(4)과 열교환이 우수한 이중 프레임사이의 상변화형 블라인드(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
KR1020110124178A 2011-11-25 2011-11-25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 KR201300582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178A KR20130058260A (ko) 2011-11-25 2011-11-25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178A KR20130058260A (ko) 2011-11-25 2011-11-25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260A true KR20130058260A (ko) 2013-06-04

Family

ID=4885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178A KR20130058260A (ko) 2011-11-25 2011-11-25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82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858B1 (ko) 연돌효과를 이용한 초고층 건물의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CN103267319B (zh) 一种隐藏式空调器室内机
KR101030930B1 (ko) 창호 냉난방 자동제어 에어커튼 환기 시스템
KR20080015230A (ko) 에너지절약형 무동력 상변화방식 이중 창호.
CN105570972A (zh) 通过一个风门切换风向的具有新风功能的双风机取暖器
KR20010096630A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KR20110057373A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블라인드 창호
CN111678205A (zh) 外新风与内循环二合一的风机盘管装置及全屋新风置换系统
KR100697839B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KR101884398B1 (ko) 열회수 환기장치
CN203298400U (zh) 一种隐藏式空调器室内机
KR102115696B1 (ko)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는 폐열 회수형 환기장치
CN205747158U (zh) 独立新风型地板嵌入式对流器
KR101197616B1 (ko)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창호
KR102115697B1 (ko) 폐열 회수형 환풍기의 급기 및 배기장치
KR20130049948A (ko) 발전소버너 에너지효율향상 클리닝공급장치
KR20130034101A (ko) 에너지절약형 발전소 보일러장착 세정프레임
KR200404269Y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KR20130058260A (ko) 발전소보일러 월박스쿨링 환풍공급장치
KR100795346B1 (ko) 태양열을 이용한 환풍기
KR100654401B1 (ko) 착탈이 가능한 환풍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환기 창호
CN206371014U (zh) 一种电力机柜机械式可控风闸结构
KR200404270Y1 (ko) 착탈이 가능한 환풍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환기 창호
KR20140101081A (ko) 목재 펠릿 건식 저장 시스템
KR20020018341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