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768A - 다 기능성 어깨패드 - Google Patents

다 기능성 어깨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768A
KR20130057768A KR1020110123680A KR20110123680A KR20130057768A KR 20130057768 A KR20130057768 A KR 20130057768A KR 1020110123680 A KR1020110123680 A KR 1020110123680A KR 20110123680 A KR20110123680 A KR 20110123680A KR 20130057768 A KR20130057768 A KR 20130057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shoulder pad
main body
fun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민흥식
Original Assignee
김용수
민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민흥식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20110123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7768A/ko
Publication of KR20130057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6Shoulder-pads; Hip-pads; Bust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8Shock absorbing
    • A41D31/285Shock absorbing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어깨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 기능성 어깨패드에 관한 것으로, 중량체의 배낭을 멜 때에는 어깨를 보호하는 기능으로 사용하고, 끈이 달린 가방을 멜 때에는 끈이 어깨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으로 사용하며 어깨패드가 없는 얇은 옷을 입을 때에는 어깨체형을 보정하는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 하 외피(1)(2)의 사이에 충격흡수층(3)을 채우고 가장자리는 마감 처리하여 본체(10)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점착되는 자기점착성 실리콘(20)을 점착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 기능성 어깨패드{omitte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어깨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깨패드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중량체의 배낭을 멜 때에는 어깨를 보호하는 기능으로 사용하고, 끈이 달린 가방을 멜 때에는 끈이 어깨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으로 사용하며 어깨패드가 없는 얇은 옷을 입을 때에는 어깨체형을 보정하는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 기능성 어깨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의 멜빵에는 착용자의 어깨를 보호하기 위한 패드가 구비되어 있어 배낭에 적당량의 소품을 넣고 산행을 할 때에는 패드가 착용자의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하면서 착용자의 어깨를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백두대간과 같은 대간을 수 일 동안 종주할 경우에는 많은 양의 소품이 필요하여 배낭의 무게가 대략 20-30kg에 육박하게 되므로 이러한 배낭을 장시간 메고 산행을 하면 어깨에 심한 무리가 오게 됨은 물론 배낭의 무게로 인해 어깨에 피멍이 들게 되지만, 현재까지는 어깨패드 외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현실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품이 출시된 바 없다.
한편, 끈이 달린 가방을 어깨에 메었을 때 가방 끈이 어깨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어깨패드가 개발되어 실용신안 제433525호, 233409호, 424039호 등으로 등록되어 가방을 어깨에 메었을 때 끈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어깨가 처진 체형을 보완하도록 통상 외투의 어깨부위에는 어깨패드가 일체로 제봉되어 있어 이를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지만, 비교적 얇은 잠바, 와이셔츠, 블라우스의 어깨부위에는 이러한 어깨패드가 없어 어깨가 처진 상태로 노출되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어깨체형 보정용 패드가 개발되어 특허 제2008-84644호로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 어깨패드는 특정된 기능(완충기능, 흘러내림 방지기능, 어깨보정기능)만을 갖도록 개발되어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도에 알맞은 어깨패드를 각각 구입하여야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완충기능의 저하 및 흘러내림 방지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자기점착기능 및 완충기능 그리고 보정기능을 동시에 갖는 1개의 어깨패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 기능성 어깨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상, 하 외피의 사이에 충격흡수층을 채우고 가장자리는 마감 처리하여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점착되는 자기점착성 실리콘을 점착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어깨패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본체를 자기점착성 실리콘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에 직접 부착할 수 있어 사용 목적에 따라 완충기능을 물론이고 가방 끈의 흘러내림 방지기능 및 어깨보정기능을 가지므로 1개의 어깨패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사용의 폭을 넓히게 됨은 물론이고 어깨패드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어개패드의 제작에 따른 금형비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상, 하 외피(1)(2)의 사이에 충격흡수층(3)이 채워지고 외주면이 마감 처리되어 본체(10)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점착되는 자기점착성 실리콘(20)이 점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흡수층(3)의 재질로는 필요에 따라 스펀지, 솜, 소프트한 재질의 합성수지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체(10)의 가장자리 마감은 재봉 또는 본딩, 고주파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 때, 본체(10)의 저면에 점착 고정되는 자기점착성 실리콘(20)에는 다수 개의 통공(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어깨패드를 장시간 피부에 부착함에 따라 땀이 발생되더라도 발생된 땀이 통공(21)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땀으로 인한 가려움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어깨에 닿는 본체부위에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절개부(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사용자의 체형이 각각 다르더라도 소프한 재질로 이루어진 절개부(30)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혀 1개의 금형에 의해 생산된 어깨패드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고가의 금형비를 줄이게 됨에 따라 어깨패드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므로 어깨패드를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게 됨을 기대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상부(어깨와 팔의 연결지점)에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끈을 어깨에 메었을 때 끈이 돌출부(11)에 걸려 어깨에서 흘러내리는 현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깨패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의를 탈의한 상태에서 절개부(30)의 간격을 조절하여 착용자의 어깨에 부착하면 본체(10)의 저면에 자기점착성 실리콘(20)이 점착되어 있어 상기 자기점착성 실리콘(20)이 피부에 점착 고정되므로 피부로부터 어깨패드가 이탈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어깨패드를 어깨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의를 입고 나면 어깨패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어깨가 처진 사람은 얇은 잠바나, 와이셔츠 또는 블라우스를 입더라도 어깨패드에 의해 체형이 보정되므로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무거운 배낭을 메고 산행을 할 때에는 배낭의 멜방이 어깨패드를 구성하는 본체(10)에 걸쳐져 배낭의 무게감이 멜방을 통해 착용자의 어깨에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어깨패드가 완충작용을 하게 되므로 어깨에 피멍이 드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멜빵용 가방의 끈을 어깨에 메면 끈이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1)에 걸려 어깨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가방을 안정적으로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1 : 내피 2 : 외피
3 : 충격흡수층 10 : 본체
11 : 돌출부 20 : 자기점착성 실리콘
21 : 통공 30 : 절개부

Claims (4)

  1. 상, 하 외피(1)(2)의 사이에 충격흡수층(3)을 채우고 가장자리는 마감 처리하여 본체(10)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점착되는 자기점착성 실리콘(20)을 점착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어깨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어깨에 닿는 본체부위에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절개부(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어깨패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돌출부(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어깨패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기점착성 실리콘(20)에 통공(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어깨패드.
KR1020110123680A 2011-11-24 2011-11-24 다 기능성 어깨패드 KR20130057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80A KR20130057768A (ko) 2011-11-24 2011-11-24 다 기능성 어깨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80A KR20130057768A (ko) 2011-11-24 2011-11-24 다 기능성 어깨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768A true KR20130057768A (ko) 2013-06-03

Family

ID=4885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680A KR20130057768A (ko) 2011-11-24 2011-11-24 다 기능성 어깨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77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219B1 (ko) 2019-02-28 2020-07-09 황순남 다용도 기능성 패드 제조방법
KR102535922B1 (ko) 2021-12-03 2023-05-26 손찬우 다용도 어깨패드
KR20230073626A (ko) 2021-11-19 2023-05-26 최정태 휴대형 근거리통신 기기의 무선 조작이 가능한 스마트 어깨 보호 패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219B1 (ko) 2019-02-28 2020-07-09 황순남 다용도 기능성 패드 제조방법
KR20230073626A (ko) 2021-11-19 2023-05-26 최정태 휴대형 근거리통신 기기의 무선 조작이 가능한 스마트 어깨 보호 패드
KR102535922B1 (ko) 2021-12-03 2023-05-26 손찬우 다용도 어깨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9084B2 (ja) 運動用ブラ
US8128457B2 (en) Athletic bra
US20100022163A1 (en) Garment for Upper Breast Padding
JP2006002324A (ja) 一体のブラシステムを備えた衣類
KR20150115814A (ko) 지지 뷔스티에 의복
JP3150824U (ja) 外側モルドと取替可能な内側パッドを配する内外二層式貼着ブラジャー
KR20190000347U (ko) 무봉제 브래지어 탑
KR20130057768A (ko) 다 기능성 어깨패드
KR20130001688U (ko) 여성용 상의
AU2005100188A4 (en) Low-heart Underwear with Linking and Bracing Device
US7387561B2 (en) Upper body controlling and smoothing bodysuit
CN205597141U (zh) 一种胸罩
US10045578B2 (en) Brassiere with storage fastener
KR20120003776U (ko) 기능성 브래지어
CN208624664U (zh) 一种超薄记忆钢圈文胸
KR200477607Y1 (ko) 패드 교체형 브래지어
CN207428448U (zh) 一种多功能母婴用马甲
JP2004315978A (ja) 衣類
WO2009126119A1 (en) Bottoms supported with three dimensioned filling material
KR200479267Y1 (ko) 브래지어
KR200429907Y1 (ko) 접착식 브래지어
KR20130000047U (ko) 심리스 브래지어
WO2010143057A1 (en) Aesthetic pad
KR20100010553U (ko) 브래지어용 패드
JP2024519377A (ja) 調節可能なス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