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882A -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 - Google Patents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882A
KR20130055882A KR1020110121548A KR20110121548A KR20130055882A KR 20130055882 A KR20130055882 A KR 20130055882A KR 1020110121548 A KR1020110121548 A KR 1020110121548A KR 20110121548 A KR20110121548 A KR 20110121548A KR 20130055882 A KR20130055882 A KR 20130055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rank
sink
slide
cr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승구
Original Assignee
곽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승구 filed Critical 곽승구
Priority to KR1020110121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5882A/ko
Publication of KR2013005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개폐문을 구비하며 수납공간을 갖는 코너 싱크대의 내부에 위치한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에 있어서, 장치가 수납공간 내부의 제1 지점에 형성되는 제1 회전축과 선반의 제1 하부면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크랭크, 및 수납공간 내부의 제2 지점에 형성되는 제2 회전축과 선반의 제2 하부면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크랭크로 구성되되, 상기 크랭크들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선반의 인출, 인입 중에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means for inserting a rack in the coner sink}
본 발명은 주방의 싱크대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주방 벽의 코너 부분에 위치하는 싱크대 내부의 선반을 인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너 싱크대 내에 선반을 위치시키고 이 선반을 인출, 인입시킬 수 있다면, 코너 싱크대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1999-13293호, 등록특허 10-649614호에는 이러한 인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공지의 인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 인출장치는 코너 싱크대의 수납공간 내의 개폐문 일측에 설치된 제1 회동축(130)과 개폐문의 타측에 설치된 제2 회동축(130a), 일단이 상기 제1 회동축에 결합하고 타단은 선반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크랭크(120)와 일단이 상기 제2 회동축에 결합하고 타단은 선반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크랭크(120a)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10)은 크랭크들(120,120a)의 회동에 의해 처음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선반의 일부가 인출되고, 이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선반이 완전히 인출된다. 인입은 역순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인출장치는 코너 싱크대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매우 편리하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크랭크들(120,120a)이 선반(110)과 결합하여 회동하는 지점들이 선반의 무게중심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있어 선반의 인입, 인출시에 진행되는 복잡한 회동이 불안전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인출장치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여 소비자의 불신을 사고 있다. 또한, 무게중심에서 벗어난 위치로 인해 선반이 감당할 수 있는 무게에 제한이 있으며, 불안정한 회동은 인출장치의 내구성에도 문제를 초래하여 인출장치의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로, 크랭크들(120,120a)이 복잡하게 절곡되어 있어 크랭크들의 제조비용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랭크들의 구성이 간단하고, 크랭크들이 선반의 원하는 위치, 예를 들면, 선반의 무게중심에서 선반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공지 장치의 문제점을 검토하면서 공지 장치의 경우 크랭크들(120,120a)이 선반(110)과 결합하여 회동하는 지점들은 선반의 인출, 인입을 위한 회동 중에 항상 회동축(130,130a)들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지점에 선정되어야만 한다는 한계로 인해 발생한다고 판단되었다. 달리 말하면, 도 2에서 선반의 무게중심들(O, O')을 크랭크들(120,120a)이 선반(110)과 결합하여 회동하는 지점으로 선정하는 경우, 선반의 회동중에 이 무게중심들과 회동축(130,130a)들 간의 거리가 계속 변하기 때문에 공지장치에서는 이들 무게중심 지점을 크랭크들이 선반과 결합하여 회동하는 지점으로 선정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무게중심 지점을 크랭크들이 선반과 결합하여 회동하는 지점으로 선정하여도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크랭크들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출원인은 크랭크들의 적어도 하나 또는 양자 모두 선반의 인출, 인입 중에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부분을 갖도록 함으로써 공지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상기 크랭크들의 길이 가변부분이 슬라이드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크랭크는 회동 중에 슬라이드의 신축에 의해 그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는 2개의 슬라이드를 그 내부 활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켜서 고정시킨 2중 슬라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2중 슬라이드는 큰 하중을 견디면서 신축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반에 무거운 물건을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공지의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출장치의 작동상태 설명도이다.
도 3과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선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크랭크 부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크랭크 부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크랭크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장치의 작동상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인출,인입장치에 의해 선반(10)이 코너 싱크대(1)의 수납공간 내부로 인입된 상태와 코너 싱크대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과 4에서는 선반(10)이 잘 보이도록 코너 싱크대(1)의 윗벽은 도시를 생략하고 측벽(3,5), 뒷벽(6) 및 바닥(7) 만 도시하였으며, 역시 도시의 편의를 위해 개폐문은 도시하지 않고 그 지지벽(9)만 도시하였다.
선반(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출,인입장치인 두 개의 크랭크(30,50), 즉 제1 크랭크(30)와 제2 크랭크(50)에 의해 싱크대(1) 수납공간 내,외로 인입 및 인출된다. 제 1 크랭크(30)는 싱크대(1)의 수납공간 내부의 제1 지점[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측벽(3)]에 형성되는 제1 회전축(20)과 선반(10)의 제1 하부면[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선반(10) 하부면의 제1 무게 중심부]에 축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제2 크랭크(50)는 수납공간 내부의 제2 지점[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벽(9)]에 형성되는 제2 회전축(25)과 선반(10)의 제2 하부면[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선반(10) 하부면의 제2 무게 중심부]에 축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선반(10)은 싱크대(1)의 측벽(3)과 지지벽(9) 사이의 간격(Dw) 사이를 통과하여 인출되며,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반(10)이 간격(Dw)을 통과할 때는 선반(1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로방향이 아니라 이 방향에 수직한 세로방향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선반의 폭(W)은 위 간격(Dw)보다 작아야 선반이 원활하게 인출,인입될 수 있다.
도 5는 도 3과 4에 도시된 선반(10)의 저면 사시도이다.
선반(10)의 제1 하부면에는 제1 크랭크(30)의 일단이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선반 회전축(11)이 형성되고 제2 하부면에는 제2 크랭크(50)의 일단이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선반 회전축(13)이 형성된다. 이들 선반 회전축(11,13)은 각각 선반(10) 하부면의 제1, 제2 무게 중심부에 고정되며 후술할 너트(40,59)(도 6 및 도 7 참조)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는 회전축이다. 제2 선반 회전축(13) 근방에는 적당한 형태의 정지자(stopper)(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정지자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은 지지벽(9)에 형성되는 제2 회전축(25)과 일단이 이 회전축(25)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크랭크(5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2 회전축(25)은 지지벽(9)의 적당한 위치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는 ㄷ 자형 몸체(26)와 이 몸체의 돌출면에 형성되는 구멍(27)으로 삽입되어 나사고정되는 볼트(28)와 너트(29)로 구성된다.
제2 크랭크(50)는 적당한 각도로 절곡되어 연결되는 두 개의 부분(51,52)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에는 회전축부(53,56)가 형성된다. 회전축부(53,56)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바, 각각 돌기면부(54,57)와 여기에 형성되는 구멍(55,58)을 갖는다. 회전축부(53)는 구멍(55)이 제2 회전축(25)의 구멍(27)과 일치하도록 제2 회전축의 몸체(27)와 결합하여 볼트(28)와 너트(29)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제2 회전축(25)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회전축부(56)는 구멍(58)으로 선반(10)의 회전축(13)이 삽입되어 너트(59)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선반 회전축(13)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7은 측벽(3)에 형성되는 제1 회전축(20)과 일단이 이 회전축(20)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크랭크(3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크랭크(30)에 사용되는 슬라이드(41)와 제1 크랭크의 회전축부(36)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 회전축(20)은 제2 회전축(25)과 마찬가지로 측벽(3)의 적당한 위치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는 ㄷ 자형 몸체(21)와 이 몸체의 돌출면에 형성되는 구멍(22)으로 삽입되어 나사고정되는 볼트(23)와 너트(24)로 구성된다.
제1 크랭크(30)는 제2 크랭크(50)와 마찬가지로 그 양단에 회전축부(23,36)가 형성되며, 이들 회전축부(23,36) 역시 각각 돌기면부(34,38)와 여기에 형성되는 구멍(35,39)을 갖는다. 회전축부(23)는 구멍(35)이 제1 회전축(20)의 구멍(22)과 일치하도록 제1 회전축의 몸체(21)와 결합하여 볼트(23)와 너트(24)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제1 회전축(20)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회전축부(36)는 구멍(39)으로 선반(10)의 회전축(11)이 삽입되어 너트(4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선반 회전축(11)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크랭크(30)는 제2 크랭크(50)와 달리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1 크랭크(30)의 길이 가변은 크랭크(30)의 일부를 슬라이드(41)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제1 크랭크(30)가 적당한 각도로 절곡되어 연결되는 두 개의 부분(31,32)으로 이루어지며, 부분(32)에 슬라이드(41)가 부착된다. 이 부착은 부분(32)과 슬라이드(41)에 서로 짝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구멍(32',49)을 통해 나사 고정, 리벳 고정되거나 구멍(32',49)의 형성 없이 직접 용접되는 등 적당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드(41)는 2개의 슬라이드(42,45)를 그 내부 활주면(44,47)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켜서 고정시킨 2중 슬라이드이다. 각 슬라이드(42,45)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적인 구조의 슬라이드로서, 외부면(43,46)과 이 외부면 내를 볼(미도시)에 의해 활주이동하는 내부 활주면(44,47)을 갖는다. 2중 슬라이드(41)는 각 슬라이드(42,45)의 내부 활주면(44,47)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킨 후 내부 활주면(44,47)에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구멍(48,48')을 통해 나사 고정, 리벳 고정되거나 구멍(48,48')의 형성 없이 직접 용접되는 등 적당한 방법으로 상호 고정됨으로써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제1 크랭크(30)는 각 슬라이드(42,45)의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도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그러나 2중 슬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2중 슬라이드가 큰 하중을 견디면서 신축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반에 보다 무거운 물건을 위치시킬 수 있으며, 크랭크(30)의 내구성도 증가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내구성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제2 크랭크(50)의 회전축부(53,56)는 제2 크랭크(50)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1 크랭크(30)의 회전축부(33) 역시 제1 크랭크의 부분(31)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슬라이드(45)의 외부면(46)에 회전축부(36)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의 슬라이드를 주문제작하지 않는 한, 회전축부(36)는 제1 크랭크(30)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회전축부(36)는 별도로 제조하여 이를 슬라이드(45)의 외부면(46)에 적당한 방법으로 부착하거나,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장면(37)을 갖도록 형성하고 이 연장면(37)과 외부면(46)의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구멍(37',49')을 통해 나사 고정, 리벳 고정되거나 구멍(37,49')의 형성 없이 직접 용접되는 등 적당한 방법으로 상호 고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싱크대(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 선반(10)의 일측을 잡아당겨서 선반을 인출하면, 선반은 각 크랭크(30,50)들이 각 회전축(20,25)을 중심으로 그리고 동시에 선반(10) 하부의 각 선반 회전축(11,1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축회전하면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되어 코너 싱크대의 개폐문을 통해 나오기 시작한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0)이 개폐문을 통해 반쯤 인출될 때, 이제는 선반(10)을 도 9(d)와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축회전시키면 선반은 코너 싱크대(1) 외부로 인출된다. 이 인출과정에 따른 선반(10)의 축회전 중에 측벽(3)에 형성되는 제1 회전축(20)과 선반(10) 하부의 선반 회전축(11) 간의 거리는 계속 변화하나, 제1 크랭크(30)를 구성하는 슬라이드(41)가 신축운동을 하기 때문에 선반(10)은 원활하게 인출되게 된다. 선반의 인입은 위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0)이 최종인출위치에 도달하면 더 이상 선반(10)이 축회전하지 못하도록 제2 크랭크(50)의 축회전을 방지하는 정지자(15)(도 5 참조)가 제2 선반 회전축(13) 근방의 적당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크랭크(30,50)가 절곡부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선반(10)의 인출, 인입을 위한 축회전 시 크랭크들이 코너 싱크대(1)의 구성부와 간섭작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0)이 싱크대(1)의 개폐문을 통과할 때 선반이 세로방향으로 위치하므로, 선반의 폭(W)이 간격(Dw)보다 작다면, 어떠한 형태의 선반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는 제1 크랭크만이 그 길이가 가변적이나 제2 크랭크만을 또는 양자 모두 가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의 위치는 측벽과 지지벽이 아닌 코너 싱크대 바닥에 형성할 수도 있다.

Claims (4)

  1. 개폐문을 구비하며 수납공간을 갖는 코너 싱크대의 내부에 위치한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에 있어서,
    장치가 수납공간 내부의 제1 지점에 형성되는 제1 회전축과 선반의 제1 하부면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크랭크, 및 수납공간 내부의 제2 지점에 형성되는 제2 회전축과 선반의 제2 하부면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크랭크로 구성되되,
    상기 크랭크들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선반의 인출, 인입 중에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들의 길이 가변부분이 슬라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가 2개의 슬라이드를 그 내부 활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켜서 고정시킨 2중 슬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
  4. 상기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들이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인입장치.
KR1020110121548A 2011-11-21 2011-11-21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 KR20130055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548A KR20130055882A (ko) 2011-11-21 2011-11-21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548A KR20130055882A (ko) 2011-11-21 2011-11-21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882A true KR20130055882A (ko) 2013-05-29

Family

ID=4866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548A KR20130055882A (ko) 2011-11-21 2011-11-21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58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7556A (zh) * 2020-05-19 2020-08-21 佛山市顺德区悍高五金制品有限公司 角柜配件及角柜
JP2022084388A (ja) * 2020-11-26 2022-06-07 株式会社倉田裕之建築・計画事務所 コーナー用連結体及び収納家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7556A (zh) * 2020-05-19 2020-08-21 佛山市顺德区悍高五金制品有限公司 角柜配件及角柜
JP2022084388A (ja) * 2020-11-26 2022-06-07 株式会社倉田裕之建築・計画事務所 コーナー用連結体及び収納家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9121A (en) System for supporting and adjusting refrigerators and the like
US8579394B2 (en) Refrigerator
US9435580B2 (en) Drawer assembly
KR20130055882A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인출, 인입장치
JP2017538085A (ja) ボールネジナット機構
CN103196009A (zh) 设备收纳用架
US20140202273A1 (en) Floating time bar
AU2009270385A1 (en) Electric push rod convenient for mounting
JP4854080B2 (ja) 仕切り
US11493266B2 (en) Pull down refrigerator shelf and refrigerator with the same
US20150275545A1 (en) Door hand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306720B1 (ko) 조립식 캐비넷
JP2014088957A (ja) ボールねじ
KR20120089173A (ko) 편중형 슬라이딩 장치
DE102008040609A1 (de) Kühlgerät mit Apothekerauszug
CN208296420U (zh) 制冷设备
KR101702318B1 (ko) 접이식 컨테이너
KR102014787B1 (ko) 선반 어셈블리 및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40009668A (ko) 냉장고
KR20140116595A (ko) 냉장고용 캔 보관장치
CN110023700A (zh) 用于导引并同步抽屉的滑动运动的同步装置
JP5832217B2 (ja) 運動案内装置
CN208034572U (zh) 一种轴承座安装支架
CN108678583A (zh) 冰箱及其铰链装置
KR102283594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가변서랍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