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715A -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using an audible frequency and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using an audible frequency and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715A
KR20130055715A KR1020110121279A KR20110121279A KR20130055715A KR 20130055715 A KR20130055715 A KR 20130055715A KR 1020110121279 A KR1020110121279 A KR 1020110121279A KR 20110121279 A KR20110121279 A KR 20110121279A KR 20130055715 A KR20130055715 A KR 20130055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key
audible frequency
server
key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2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27561B1 (en
Inventor
이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프로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프로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프로토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12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561B1/en
Publication of KR20130055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7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5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smartphon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audibility frequencies and a smart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recognize a target smartphon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using a sound wave. CONSTITUTION: One or more clients(200) generate an audibility frequency by using a key value or a synchronization value for recognizing an opponent. One or more clients recognize the audibility frequency generated by the opponent. Each of the clients recognizes a key value or a synchronization key value by using the audibility frequency transmitted by the opponent. A server(100) receives an unique ID(Identification) and a key value from the client. The server transmits the client information to the client. [Reference numerals] (160) Matching seeker; (170) Client interlinker; (180) Database; (210) Audible frequency generator; (220) Audible frequency recognizer; (230) Arbitrary number generator; (240) Server interlinker; (250) Protocol module; (AA) Communication network

Description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방법{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using an audible frequency and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using an audible frequency and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음파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다수의 스마트폰 중에서 통신을 하고자 하는 일정거리 이내의 대상 스마트폰의 인식을 위한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frequency 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and a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ble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for recognizing a target smart phon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communicate among a plurality of smart phones located in a short distance using sound waves, and a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 사이의 근거리 통신으로는 적외선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RF 통신 방식이 제안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극히 하드웨어 종속적인 방법으로 각 장치가 기기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야 만이 통신이 가능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In general, RF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infrared communication (IrDA) and Bluetooth (Bluetooth) have been proposed and utilized as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However, these methods are extremely hardware dependent methods and can be said to communicate only when each device is separately provided in the device.

현재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는 거의 대부분의 스마트폰에서는 적외선통신을 위한 장치는 구비되지 않은 상태이며, 블루투스의 경우는 단말기 제조업체의 정책에 따라 그 활용 범위가 제한되어있다.Almost all smartphones that are currently commercialized and widely used do not have a device for infrared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Bluetooth, the range of application is limited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terminal manufacturer.

상기 적외선통신과 블루투스에 의한 근거리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스마트폰에서는 WiFi나 3G망 등과 같은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I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by the infrared communication and Bluetooth is not possible, the smart phone may be able to communicat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Fi or 3G network.

그러나, 주로 PC와 같은 단말기로는 유선 네트워크와 와이파이(WiFi)망에서 통신 대상에 대한 인식에 관해 일정부분 표준화된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나, 스마트폰에서는 이동통신사를 통하지 않고는 통신 대상이 되는 상대 스마트폰을 인식하는 일은 쉽지 않은 현실이다.However, while terminals such as PCs mainly use a standardized method for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targets in wired networks and Wi-Fi networks, smartphones that are subject to communication without a mobile carrier are used. Recognizing a phone is not an easy reality.

한편, 현재 시중에서 사용 중인 거의 모든 스마트폰에는 마이크와 같은 음파인식부와 스피커와 같은 음파발생부가 공통으로 내장되어 있고, 스마트폰에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 이를 활용하여 상대 스마트폰을 인식 가능하다. 스마트폰이 기본적으로 음성통신 기능이 구비된 점에 착안하여, 음파를 이용하여 통신 대상이 되는 상대 스마트폰을 인식하는 것은 유효한 대안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most all smartphones currently on the market have a built-in sound recognition unit such as a microphone and a sound wave generation unit such as a speaker in common, a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other smartphones by utilizing them without adding a separate device to the smartphone. Do.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smartphone is basically equipped with a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it may be a valid alternative to recognize the partner smartphone to be communicated using sound wa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파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다수의 스마트폰 중에서 통신을 하고자 하는 일정거리 이내의 대상 스마트폰의 인식을 위한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dio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for recognizing a target smart phone within a certain distance to communicate among a plurality of smart phones located in the near by using sound waves and a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I would like t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식 대상이 되는 상대방을 인식하기 위하여 키 값 또는 씽크키 값을 사용하여 가청주파수를 발생시키며, 상대방이 발생시킨 가청주파수를 인식하고 상대방이 전달한 가청주파수를 이용하여 상대방이 전달한 키 값 또는 씽크키 값을 인식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고유 ID 및 키값을 전달받고 상대방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other party to be recognized to generate an audible frequency using a key value or a think key value, the other party recognizes the audible frequency generated by the other party and uses the audible frequency delivered by the other party One or more clients recognizing the passed key value or think key value; And a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a unique ID and a key value from the client and transmit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client to the client.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는 미리 설정된 임의 번호를 발생시키는 임의번호 발생기; 상기 임의번호 발생기로부터 임의번호인 상기 키값을 전달받거나 또는 씽크키 값을 생성하는 프로토콜 모듈; 상기 프로토콜 모듈로부터 키 값 또는 싱크 키 값을 전달받아 그 번호에 할당된 단위영역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발생시키는 가청 주파수 발생기; 상대방 클라이언트가 발생시킨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인식하여 가청주파수가 할당된 키 값 또는 씽크 키 값을 상기 프로토콜 모듈에 전달하는 가청 주파수 인식기; 및 상기 서버에게 고유 ID, 키 값을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대방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전달받는 서버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ient includes a random number generato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random number; A protocol module for receiving the key value which is a random number from the random number generator or generating a think key value; An audible frequency generator which receives a key value or a sync key value from the protocol module and generates sound waves of a unit region audible frequency assigned to the number; An audible frequency recognizer for recognizing sound waves of an audible frequency generated by a counterpart client and transferring a key value or a think key value to which the audible frequency is assigned to the protocol module; And a server linking unit which transmits a unique ID and a key value to the server and receives information of a counterpart client from the server.

한편, 상기 서버연동부는 키 생성 시간 또는 GPS 좌표 정보를 상기 서버에 더 전달할 수 있다.The server linkage unit may further transmit key generation time or GPS coordinate information to the server.

한편, 상기 키값은 두 개일 수 있다.Meanwhile, the key value may be two.

한편,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고유ID, 키 값을 전달받고 검색된 상대방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클라이언트 연동기; 고유 ID, 키 값 및 클라이언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된 키 값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대방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연동기에게 전달하는 매칭 탐색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may include: a client interlocker receiving a unique ID and a key value from the client and delivering the retrieved client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to the client; It may include a database for storing a unique ID, a key value and client information, and a matching searcher for searching the database using the key value transmitted from the client and delivering the client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to the client interlocker.

한편,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대방의 씽크키를 인식한 후에 발생중이던 제1키에 대응하는 가청주파수의 발생을 중지하고 제2키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after recognizing the think key of the other party, the client may stop generation of an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that is being generated and generate a second key.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대방의 제2키를 인식한 후에 발생중이던 씽크키에 대응하는 가청주파수의 발생을 중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lient may stop the generation of an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ink key after recognizing the second key of the counterpar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식 대상이 되는 상대방을 인식하기 위하여 키 값 또는 씽크키 값을 사용하여 가청주파수를 발생시키며, 상대방이 발생시킨 가청주파수를 인식하고 상대방이 전달한 가청주파수를 이용하여 상대방이 전달한 키 값 또는 씽크키 값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other party to be recognized, the audible frequency is generated using a key value or a think key value, the other party recognizes the audible frequency generated by the other party and uses the audible frequency delivered by the other party. An audio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may be provided that recognizes the transmitted key value or think key valu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클라이언트가 제1키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클라이언트가 제1키에 해당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대방 클라이언트가 발생시킨 가청주파수를 인식하여 상대방의 제1키를 인식하는 단계; (d) 인식된 제1키를 사용하여 씽크키를 생성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씽크키 생성이 가능할 경우 인식된 제1키를 사용하여 씽크키를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씽크키에 해당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g)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대방 클라이언트가 전달한 씽크키를 인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h) 상대방의 씽크키가 인식되었을 경우 발생 중이던 제1키에 대응하는 가청주파수의 발생을 중지하는 단계; (i) 상기 클라이언트가 제2키를 생성하는 단계; (j) 상기 클라이언트가 제2키에 해당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k)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대방의 클라이언트가 발생시킨 제2키에 해당하는 가청주파수를 인식하는 단계 및 (l)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대방의 씽크키에 해당하는 가청주파수의 발생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인식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a client generating a first key; (b) the client generating sound waves of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c) the client recognizing the audible frequency generated by the counterpart client and recognizing the first key of the counterpart; (d) determining whether a think key can be generated using the recognized first key; (e) generating a think key using the recognized first key when the think key is generated; (f) the client generating sound waves of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thinkkey; (g) determining whether the client recognizes the think key delivered by the other client; (h) stopping the generation of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that was being generated when the other party's think key was recognized; (i) the client generating a second key; (j) the client generating sound waves of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second key; (k) the client recognizing the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key generated by the client of the counterpart; and (l) the client determining whether the generation of the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counterpart's sink key is stopped. A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may be provided.

이때, (m) 상기 클라이언트가 고유 ID, 인식된 제1키 및 제2키 값을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대방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by the client, a unique ID, a recognized first key, and a second key value to a server,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a counterpart client from the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방법은 별도의 부가 장치의 구비 없이 종래의 스마트폰에서 음파를 이용하여 허용 가능한 거리 내의 통신 대상을 안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audible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and the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recognize a communication target within an acceptable distance using sound waves in a conventional smart phone without providing an additional device. have.

또한, 다른 음파에 의한 간섭이나 조작된 신호에 의한 오류율의 감소 등 통신 대상의 정확한 인식으로 별도의 통신 채널의 구성에 실질적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urate recognition of the communication target, such as interference by other sound waves or reduction of an error rate due to an manipulated signal, can be practically used in the configuration of a separate communication chan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청주파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dio frequency 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ble frequenc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an audible frequency-based smartphon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dio frequency 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10)은 서버(100) 및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20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udible frequency-based smartphone recogni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server 100 and one or more clients 200.

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0)로부터 키 값을 전달받아 상대방 클라이언트(200)의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 이때,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고유 ID 및 GPS 좌표 정보를 더 전달 받을 수 있다.The server 100 receives a key value from the client 200 and delivers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client 200 to the client. At this time, the server may further receive the unique ID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from the client.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연동기(170), 매칭 탐색기(160) 및 데이터베이스(1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include a client interlocker 170, a matching searcher 160, and a database 180.

클라이언트 연동기(17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고유ID, 키 값을 전달받고 검색된 상대방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The client interlocker 170 receives a unique ID and a key value from the client and delivers the retrieved counterpart's client information to the client.

매칭 탐색기(160)는 클라이언트 연동기(170)로부터 키 값을 전달받고, 키 값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180)를 검색하여 상대방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클라이언트 연동기(170)에게 전달할 수 있다.The matching searcher 160 may receive a key value from the client interlocker 170, search the database 180 using the key value, and deliver the client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to the client interlocker 170.

데이터베이스(180)는 고유 ID 및 클라이언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클라이언트 정보는 휴대폰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180 may store unique ID and clien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lient inform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number.

데이터베이스(180)는 Oracle, MySQL, MSSQL 및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10)은 데이터베이스가 서버의 내부에 위치하나, 서버의 외부에 위치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The database 180 may use an Oracle, MySQL, MSSQL and memory database. In addition, in the audio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is located inside the server, but may be located outside the server to exchange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의 클라이언트가 스마트폰에 설치되면, 고유ID가 발급되고, 데이터베이스에(180)에 고유ID와 휴대폰번호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client of the audible frequency 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mart phone, a unique ID is issued, the unique ID and the mobile phone number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80 in advance.

데이터베이스(180)는 클라이언트의 고유 ID와 휴대폰 번호 및 기타의 사용자 정보와 같은 기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과, 상대를 인식할 때 사용될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180 may include a table for storing basic information such as a client's unique ID, a mobile phone number, and other user information, and a table for storing temporary data to be used when recognizing a partner.

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0)들로부터 전송되어온 고유 ID, nS ,A, nA2, nS ,B, nB2와 같은 키값, 키 생성 시간 및 GPS 좌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The server 100 stores in the database 180 a unique ID, a key value such as n S , A , n A2 , n S , B , n B2 , key generation time,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lients 200. .

도 1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값들을 기반으로 매칭 탐색기(160)를 통해 먼저 동일 키 값을 가진 클라이언트(200)의 고유 ID를 데이터베이스(180)에서 검색한다. 탐색된 동일 키 값이 2개이면 탐색을 종료하고 고유ID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상대방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rver 100 first searches the database 180 for a unique ID of a client 200 having the same key value through the matching searcher 160 based on values stored in the database 180. If two identical key values are found, the search is terminated and the client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can be obtained from the database 180 through the unique ID.

만약, 동일 키값이 3개 이상이면 키 생성 시간을 비교하여 근접한 시간대에 생성된 2개의 키 값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3개 이상의 키가 시간대까지도 근접할 경우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해 가장 가까운 반경에 있는 2개의 키 값으로 쌍이 되는 대상 클라이언트를 선택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선택된 상대방 클라이언트 정보는 클라이언트 연동기를 통해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전송될 수 있다.If the same key value is three or more, the client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may be obtained using the two key values generated in the adjacent time zone by comparing the key generation times. If three or more keys are close to the time zone, GPS coordinate information is used to select the target client paired with the two key values in the nearest radius. The counterpart client information selected through this process may be transmitted to each client through the client interlocker.

클라이언트(200)는 인식 대상이 되는 상대의 클라이언트(200)를 인식하기 위하여 키 값을 사용하여 가청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상대방이 발생시킨 가청주파수를 인식하여 인식된 키 값을 이를 서버(100)로 전달하고, 서버(100)로부터 상대방 클라이언트(200)의 정보를 전달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의 클라이언트(200)는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client 200 generates an audible frequency using a key value to recognize the client 200 of the counterpart to be recognized, recognizes the audible frequency generated by the counterpart, and transfers the recognized key value to the server 100. Then, the server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client 200. Client 200 of the audible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a smart ph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10)을 작동시키면 클라이언트(200)는 각각 키(key)가 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발생함과 동시에 상대방의 키가 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클라이언트(200)는 서로 반응하는 키 값을 통신망을 통하여 전달하고, 서버(100)로부터 상대방 클라이언트(200)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대방의 클라이언트(200)를 인식하게 된다.When operating the audible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200 generates a sound wave of an audible frequency to be a key (key) and at the same time of the audio frequency of the other party You will go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zing sound waves. At this time, each client 200 transmits a key value reac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client 200 from the server 100 to recognize the client 200 of the counterpart.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청주파수의 구성도로서, 18,000Hz ~ 20,000Hz 사이의 가청주파수 영역을 40Hz 단위로 50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고유번호를 할당한다. 이 각각의 영역을 ‘단위영역’이라고 정의하고, 이 고유번호를 ‘단위영역 고유번호’라 정의할 수 있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dible frequenc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dividing an audible frequency region between 18,000 Hz and 20,000 Hz into 50 regions in units of 40 Hz and assigning a unique number. Each of these areas can be defined as a 'unit area' and this unique number can be defined as a 'unit area unique numb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의 상세 구성도이다.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ient of an audio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의 클라이언트는 근거리에서 스마트폰이 상대 스마트폰을 서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키(key)가 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발생함과 동시에 상대방의 키가 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2 and 3, the client of the audible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und wave of an audible frequency that is a key (key) in order for the smart phone to recognize the other smartphone in close range At the same time, and undergoes a process of recognizing sound waves of an audible frequency that is the key of the other party.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10)의 클라이언트(200)는, 도 3을 참조하면, 임의번호 발생기(230), 서버연동부(240), 프로토콜모듈(250), 가청주파수 발생기(210) 및 가청주파수 인식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is process, the client 200 of the audible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the random number generator 230, the server interlocking unit 240 , A protocol module 250, an audible frequency generator 210, and an audible frequency recognizer 220 may be included.

임의번호 발생기(230)는 프로토콜 모듈(250)의 요청에 따라서,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1부터 50까지의 임의 번호를 발생시키고 프로토콜 모듈(250)에 제공할 수 있다.The random number generator 230 may generate a random number from 1 to 50 and provide it to the protocol module 250, as shown in FIG. 2, at the request of the protocol module 250.

서버연동부(240)는 서버(100)와 연동하는 모듈로서, 프로토콜 모듈(250)의 요청에 따라 서버(100)와 연동을 하며, 서버(100)에게 고유 ID, nS ,A, nA2, nS ,B, nB2와 같은 키 값, 키 생성 시간 및 GPS 좌표 정보를 전달하고 서버(100)로부터 상대방 클라이언트(200)의 정보를 전달 받는다.The server interlocking unit 240 is a module interworking with the server 100, and interworking with the server 10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rotocol module 250, and has a unique ID, n S , A , n A2 for the server 100. The key value, key generation time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such as, n S , B , n B2 are transmitted, and the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client 200 is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프로토콜 모듈(250)은 클라이언트(200)가 서로를 1:1로 인식하기 위하여 임의번호 발생기(230)로부터 임의번호인 키 값을 전달받거나 또는 씽크(Sync)키 값을 생성하여 가청 주파수 발생기(210)에 전달한다.The protocol module 250 receives a key value that is a random number from the random number generator 230 or generates a sync key value so that the client 200 recognizes each other as 1: 1. To pass).

가청 주파수 발생기(210)는 프로토콜 모듈(250)이 단위영역 고유번호인 키 값 또는 싱크 키 값을 입력하면 그 번호에 할당된 단위영역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음파발생부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음파발생부는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protocol module 250 inputs a key value or a sink key value that is a unit area unique number, the audible frequency generator 210 may generate sound waves of the unit area audio frequency assigned to the number through the sound wave generator. In this case, the sound wave generator may use a speaker.

가청 주파수 인식기(220)는 상대방 클라이언트(200)의 음파발생부를 통해 발생된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음파인식부를 통해 인식하여 가청주파수가 할당된 키 값 또는 씽크 키 값을 프로토콜 모듈(2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음파인식부는 마이크가 될 수 있다.
The audible frequency recognizer 220 may recognize a sound wave of an audible frequency generated through the sound wave generator of the counterpart client 200 through the sound wave recognizer to transmit a key value or a think key value to which the audible frequency is assigned to the protocol module 250. have. In this case, the sound wave recognition unit may be a microphon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an audible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상기에서 설명한 클라이언트가 상대방 클라이언트를 인식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an audible frequency-based smartphon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counterpart client by the client described abov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방법은 클라이언트가‘제1키(key)’인 임의번호 nA1, nB1을 각각 생성한다(S110).Referring to FIG. 3, the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audible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random numbers n A1 and n B1 of which the client has a first key. (S110).

다음으로 클라이언트가‘제1키’에 해당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 fA1, fB1를 각각 발생시킨다(S120).Next, the client generates sound waves f A1 and f B1 of the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respectively (S120).

이후에, 클라이언트가 상대방 클라이언트가 발생시킨 각각의 가청 주파수인 상대방의 fA1, fB1을 인식하여 상대방의 제1키를 인식한다(S130). 즉, 클라이언트 A는 fB1을 인식하고, 클라이언트 B는 fA1을 인식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A와 B가 근접거리임으로 상대방의 음파는 특정한 신호 세기 이상만을 인식 대상으로 하여 외부의 잡음에 반응하지 않는다.Thereafter, the client recognizes the other party's f A1 and f B1 , which are the respective audible frequencies generated by the other client, and recognizes the first key of the other party (S130). That is, client A recognizes f B1 and client B recognizes f A1 . At this time, the client A and B are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other party's sound wave only recognizes more than a certain signal strength and does not respond to external noise.

이후에, 인식된 nA1와 nB1를 통해 씽크(Synch)키를 생성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서로 같은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발생하여 하나의 가청주파수의 음파만 인식된다면, 인식할 대상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바로 다른 임의의 ‘제1키’를 상대방이 인식할 때까지 다시 발생시켜서 자기 자신과 상대방 2개의 가청주파의 음파가 인식된다(S140).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a synch key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recognized n A1 and n B1 . If only sound waves of one audible frequency are generated by generating sound waves of the same audible frequency, they are regarded as not to be recognized and are generated again until another person recognizes another random 'first key'. Sound waves of the two audible frequencies and the other party are recognized (S140).

다음으로, 인식된 nA1과 nB1을 기반으로 각각의 싱크 키 인 nS ,A와 nS ,B를 생성한다(S150).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씽크(Synch)키인 nS ,A와 nS ,B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이때 (nA1 < nB1) 이면 nS ,A = (nA1+nB1)/2를 씽크(Synch)키로 발생시키고, nS ,B = (nA1+nB1)/2 +1을 씽크(Synch)키로 발생시킬 수 있다.Next, based on the recognized n A1 and n B1 , the respective sync keys n S , A , n S , and B are generated (S150). In order for each client to generate the Synch keys n S , A and n S , B , then if (n A1 <n B1 ) then n S , A = (n A1 + n B1 ) / 2 ), And n S , B = (n A1 + n B1 ) / 2 +1 with the Synch key.

만약 (nA1 >= nB1) 이면 nS ,B = (nA1+nB1)/2를 씽크(Synch)키로 발생시키고, nS ,A = (nA1+nB1)/2 +1을 씽크(Synch) 키로 발생시킬 수 있다.If (n A1 > = n B1 ) then n S , B = (n A1 + n B1 ) / 2 is generated with Synch key, and n S , A = (n A1 + n B1 ) / 2 +1 It can be generated by the Synch key.

이후에, 클라이언트가 씽크 키인 nS ,A와 nS ,B에 해당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 fS,A와 fS ,B를 각각 발생시킨다(S160).Thereafter, the client generates sound waves f S, A , f S , and B , respectively , of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think keys n S , A , n S , B (S160).

다음으로, 일정 시간동안 상대방의 씽크(Synch)키를 기다리며 상대방의 씽크키를 인식했는지 판단한다(S170). 클라이언트가 각각 상대방의 가청 주파수인 fS ,A, fS,B를 인식하는 것을 통해서 상대방의 씽크키를 인식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A는 fS ,B를 인식하고, 클라이언트 B는 fS ,A를 인식하여 상대방이 서로 인식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상대방의 씽크(Synch)키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이전 단계(S110)로 돌아간다.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ther party's think key is recognized while waiting for the other party's Synch key for a predetermined time (S17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lient recognizes the other party's think key by recognizing the other party's audible frequencies f S , A , f S and B. That is, the client A recognizes f S and B , and the client B recognizes f S and A to confirm that the other party is ready to recognize each other. If the other party's Synch key is not recognized for a certain time, the process returns to the previous step (S110).

이때, 씽크(Synch) 단계가 완료되면 발생 중이던 ‘제1키(key)’인 임의번호 nA1, nB1의 발생을 중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ynch step is completed, the generation of the random numbers n A1 and n B1 which are the 'key' generated, may be stopped.

이후에, 클라이언트는 ‘제1키’의 발생을 중단하고, ‘제2키(key)’인 임의번호 nA2, nB2를 각각 생성한다(S180).Thereafter, the client stops generation of the 'first key', and generates random numbers n A2 and n B2 that are 'second key' (S180).

다음으로, 클라이언트가 제공된 ‘제2키’에 해당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 fA2, fB2를 각각 발생시킨다(S190).Next, the client generates sound waves f A2 and f B2 of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second key' (S190).

이후에, 클라이언트가 각각 상대방의 클라이언트가 발생시킨 가청주파수인 fA2, fB2를 인식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A는 fB2를 인식하고, 클라이언트 B는 fA2를 인식한다(S200).Subsequently, the client may recognize f A2 and f B2 , which are audible frequencies generated by the client of the other party, respectively. That is, the client A recognizes f B2 , and the client B recognizes f A2 (S200).

다음으로, 상대방의 씽크키의 발생이 중지되었는지 판단한다. 상대방의 씽크(Synch)키 발생이 중지되지 않을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으며, 발생 중이던 ‘제2키’를 계속 발생한다(S210).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ther party's generation of the think key is stopped. If the other party's Synch key is not stopped, it does not proceed to the next step and continues to generate the 'second key' that is being generated (S210).

스마트폰 A와 B는 각각 상대방의 fA2, fB2를 정상적으로 인식하였을 경우, 자신의 씽크(Synch)키 즉, 스마트폰 A는 fS ,A, 스마트폰 B는 fS ,B의 발생을 중지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 A와 B가 상대방의 ‘제2키’를 정확히 수신하였음을 의미한다.When the smartphones A and B recognize the other party's f A2 and f B2 normally, their Synch keys, that is, the smartphone A stops f S and A and the smartphone B stops f S and B. can do. This means that the smartphones A and B correctly received the 'second key' of the other party.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가 고유 ID, 인식된 키 값, 키 생성시간 및 GPS 좌표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로부터 상대방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전달받는다(S220).Finally, the client transmits the unique ID, the recognized key value, the key generation time and the GPS coordinate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client from the server (S220).

즉 클라이언트 A와 클라이언트 B는 고유ID, 인식된 nA1, nS ,A, nA2, nB1, nS ,B, nB2와 같은 키 값, 키 생성 시간, 그리고 GPS 좌표정보를 각각 서버로 전송하고, 동일 키를 가진 상대방 클라이언트를 서로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서버에서 동일 키가 여러 개 검색되면 키 생성 시간 및 GPS 정보를 통해 구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Client A and Client B each send a unique ID, a recognized key value such as n A1 , n S , A , n A2 , n B1 , n S , B , n B2 , key generation time,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to the server. The other client with the same key can recognize each other. If multiple identical keys are found on the server, they can be distinguished by key generation time and GPS information.

한편, 이상과 같이, 클라이언트가 키를 복수 개 생성하는 이유는 외부 잡음 신호로부터 상대방 클라이언트의 신호를 구별하기 위함이다. 특히 클라이언트가 생성하는 씽크(Synch)키는 잡음 신호로부터 상대방의 클라이언트 신호를 구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client generates a plurality of keys is to distinguish the signal of the other client from the external noise signal. In particular, the synch key generated by the client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distinguishing the client signal of the other party from the noise signal.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erefo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 : 서버 160: 매칭 탐색기
170: 클라이언트 연동기 180 : 데이터베이스
200 : 클라이언트 210: 가청주파발생기
220: 가청주파인식기 230: 임의번호발생기
240: 서버연동기 250: 프로토콜 모듈
100: server 160: matching explorer
170: client interlocker 180: database
200: client 210: audible frequency generator
220: Audible frequency recognizer 230: Random number generator
240: server interlocker 250: protocol module

Claims (10)

가청주파수를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으로서,
인식 대상이 되는 상대방을 인식하기 위하여 키 값 또는 씽크키 값을 사용하여 가청주파수를 발생시키며, 상대방이 발생시킨 가청주파수를 인식하고 상대방이 전달한 가청주파수를 이용하여 상대방이 전달한 키 값 또는 씽크키 값을 인식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고유 ID 및 키값을 전달받고 상대방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As a smartphone recognition system using an audible frequency,
In order to recognize the other party to be recognized, audible frequencies are generated using key values or think key values, and the recognized or audible frequencies generated by the other party are recognized, and the key or sink key values transmitted by the other party using the audible frequencies delivered by the other party. One or more clients to recognize; And
And a server for receiving a unique ID and a key value from the client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f a counterpart client to the cli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미리 설정된 임의 번호를 발생시키는 임의번호 발생기;
상기 임의번호 발생기로부터 임의번호인 상기 키값을 전달받거나 또는 씽크키 값을 생성하는 프로토콜 모듈;
상기 프로토콜 모듈로부터 키 값 또는 싱크 키 값을 전달받아 그 번호에 할당된 단위영역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발생시키는 가청 주파수 발생기;
상대방 클라이언트가 발생시킨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인식하여 가청주파수가 할당된 키 값 또는 씽크 키 값을 상기 프로토콜 모듈에 전달하는 가청 주파수 인식기; 및
상기 서버에게 고유 ID, 키 값을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대방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전달받는 서버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lient includes:
A random number generato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random number;
A protocol module for receiving the key value which is a random number from the random number generator or generating a think key value;
An audible frequency generator which receives a key value or a sync key value from the protocol module and generates sound waves of a unit region audible frequency assigned to the number;
An audible frequency recognizer for recognizing sound waves of an audible frequency generated by a counterpart client and transferring a key value or a think key value to which the audible frequency is assigned to the protocol module; And
And a server linkage unit for transmitting a unique ID and a key value to the server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a counterpart client from the ser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연동부는 키 생성 시간 또는 GPS 좌표 정보를 상기 서버에 더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interworking unit is audible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transmitting the key generation time or GPS coordinate information to the serv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값은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udible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key valu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고유ID, 키 값을 전달받고 검색된 상대방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클라이언트 연동기;
고유 ID, 키 값 및 클라이언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된 키 값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대방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연동기에게 전달하는 매칭 탐색기를 포함하는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comprises:
A client interlocker receiving a unique ID and a key value from the client and delivering the retrieved client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to the client;
A database that stores unique IDs, key values, and client information; and
And a matching searcher for searching the database using the key value transmitted from the client and transmitting the client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to the client interlock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대방의 씽크키를 인식한 후에 발생중이던 제1키에 대응하는 가청주파수의 발생을 중지하고 제2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lient includes:
The audible frequency-based smartphone recogni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recognition of the other party's think key stops the generation of the audio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first key and generates a second ke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대방의 제2키를 인식한 후에 발생중이던 씽크키에 대응하는 가청주파수의 발생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lient includes:
An audible frequency-based smartphone recogni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ion of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think key after stopping the second key of the other party.
가청주파수를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으로서,
인식 대상이 되는 상대방을 인식하기 위하여 키 값 또는 씽크키 값을 사용하여 가청주파수를 발생시키며, 상대방이 발생시킨 가청주파수를 인식하고 상대방이 전달한 가청주파수를 이용하여 상대방이 전달한 키 값 또는 씽크키 값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
As a smartphone recognition system using an audible frequency,
In order to recognize the other party to be recognized, audible frequencies are generated by using a key value or a think key value. Audible frequency based smartphone recogni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ognizing.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청주파수 기반 스마트폰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폰 인식방법으로서,
(a) 클라이언트가 제1키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클라이언트가 제1키에 해당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대방 클라이언트가 발생시킨 가청주파수를 인식하여 상대방의 제1키를 인식하는 단계;
(d) 인식된 제1키를 사용하여 씽크키를 생성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씽크키 생성이 가능할 경우 인식된 제1키를 사용하여 씽크키를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씽크키에 해당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g)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대방 클라이언트가 전달한 씽크키를 인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h) 상대방의 씽크키가 인식되었을 경우 발생 중이던 제1키에 대응하는 가청주파수의 발생을 중지하는 단계;
(i) 상기 클라이언트가 제2키를 생성하는 단계;
(j) 상기 클라이언트가 제2키에 해당되는 가청주파수의 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k)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대방의 클라이언트가 발생시킨 제2키에 해당하는 가청주파수를 인식하는 단계 및
(l)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대방의 씽크키에 해당하는 가청주파수의 발생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인식방법.
A method for recognizing a smart phone using the audible frequency-based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the client generating a first key;
(b) the client generating sound waves of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c) the client recognizing the audible frequency generated by the counterpart client and recognizing the first key of the counterpart;
(d) determining whether a think key can be generated using the recognized first key;
(e) generating a think key using the recognized first key when the think key is generated;
(f) the client generating sound waves of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thinkkey;
(g) determining whether the client recognizes the think key delivered by the other client;
(h) stopping the generation of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key that was being generated when the other party's think key was recognized;
(i) the client generating a second key;
(j) the client generating sound waves of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second key;
(k) the client recognizing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key generated by the client of the other party; and
(l) a method of recognizing a smartphone, wherein the client determines whether generation of an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counterpart's think key is stopped.
제 9항에 있어서,
(m) 상기 클라이언트가 고유 ID, 인식된 제1키 및 제2키 값을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대방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인식방법.
The method of claim 9,
(m) the client further transmitting a unique ID, a recognized first key and a second key value to a server,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a counterpart client from the server.
KR1020110121279A 2011-11-19 2011-11-19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using an audible frequency and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3275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279A KR101327561B1 (en) 2011-11-19 2011-11-19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using an audible frequency and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279A KR101327561B1 (en) 2011-11-19 2011-11-19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using an audible frequency and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715A true KR20130055715A (en) 2013-05-29
KR101327561B1 KR101327561B1 (en) 2013-11-07

Family

ID=4866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279A KR101327561B1 (en) 2011-11-19 2011-11-19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using an audible frequency and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5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529A1 (en) * 2013-07-08 2015-01-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ignal output apparatu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359A (en) 2016-11-15 2016-12-05 신용민 Sound delivery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audible range of the on-l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108B1 (en) * 2006-05-01 2007-12-18 김준식 Sound communication networ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529A1 (en) * 2013-07-08 2015-01-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ignal output apparatu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561B1 (en)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7855B2 (en) Mobile devices that communicate and range with access control systems for automated functions
EP4007321A1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terminal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432261B2 (en) Simplified device pairing employ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s
US8432260B2 (en) Simplified vehicle bluetooth pairing employ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s
EP3200549B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JP721396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control
US8432262B2 (en) Multiple near field communication tags in a pairing domain
US11573313B2 (en) Method for performing distance measurement and authentication concurrentl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1095318B (en) Method and device for bluetooth pairing
US7809361B2 (en) Address privacy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20070123165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assisted discovery in bluetooth enabled devices
US8126398B2 (en) Authenticating devices for RF communications
KR20140117349A (en) Connecting wireless devices
US11943575B2 (en) Wireless audio systems
CN106506793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oustic pairing
KR20100053986A (en) Method of auto-pairing between bluetooth apparatuses and terminal, and terminal comprising a bluetooth module
US20190222555A1 (en) Natural language connectivity
KR101327561B1 (en) Smart phone recognition system using an audible frequency and smart phon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116052A (en) Connecting wireless devices
US993638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EP4186261B1 (en) Secure pairing of devices
KR20130124049A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for connecting a short distanc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500601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erminals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941770B1 (e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portable device
TWI568306B (en) Device pairing conn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