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293A - Main body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 Google Patents

Main body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293A
KR20130055293A KR1020110120969A KR20110120969A KR20130055293A KR 20130055293 A KR20130055293 A KR 20130055293A KR 1020110120969 A KR1020110120969 A KR 1020110120969A KR 20110120969 A KR20110120969 A KR 20110120969A KR 20130055293 A KR20130055293 A KR 20130055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dehumidification
filter
frame
humi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2516B1 (en
Inventor
김순곤
양승대
최석재
허동철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0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516B1/en
Publication of KR2013005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2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5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PURPOSE: A structure for a main body of a humidifying and dehumidifying machine is provided to efficiently use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by arranging a damper frame, an integrated frame, and a blowing duct in the upper part of a middle support of the main body in order. CONSTITUTION: A structure for a main body of a humidifying and dehumidifying machine comprises a base frame(140), a middle support(400), a damper frame(700), a blowing duct(900), a filter damper, and a filter frame. The middle support is arranged i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The damper frame is arranged i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iddle support. The blowing duct is arranged in the rea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iddle support. The filter damper and the filter frame are arranged in the upper part of the middle support and are arranged between the damper frame and the blowing duct.

Description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Main body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Main body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본 발명은 본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 body structure of a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for efficiently using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는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5520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Conventional humidified air cleaners are those disclos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035520.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100)는 가습공기청정기의 주된 구성 부위로, 상하면은 개구되고, 테두리를 따라 그릴 형상의 토출구(110)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 내부에는 송풍팬(170)이 설치되는데, 송풍팬(170)은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브라켓(120)에 안착되어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케이스(200)의 흡입구(210)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publication, as shown in Fig. 34, the main body 100 is included.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is a main constituent part of the humidified air cleane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ed, the discharge port 110 of the grill shape is formed along the rim. In addition, a blowing fan 17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the blowing fan 170 is seated on the bracket 12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to cover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outside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10 of the case 200.

본체(100)의 하부에는 수조(300)가 배치되고, 수조(300)에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디스크조립체(350)가 설치된다. The water tank 300 is disposed below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k assembly 350 is installed on the water tank 300 by a driving motor (not shown).

이러한 종래 가습공기청정기는 단순히 가습 기능으로만 사용되며, 여름철과 같이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Such a conventional humidifying air cleaner is simply used as a humidification function, it can not be used in a high humidity environment, such as summer.

이렇게 여름철이나 습도가 높을 때 제습을 위하여 별도의 제습기를 구매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us,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dehumidifier must be purchased for dehumidification when summer or high humidity.

나아가, 가습 제습 복합기를 구성한다 하더라도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어, 비효율적이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even when the humidification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is configu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space cannot be used efficiently and is inefficien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본체의 외관이 콤팩트한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ain body structure of a humidification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in which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can be used efficiently and the appearance of the main body is compact.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들 서포트; 상기 미들 서포트의 상부 전측에 배치되는 댐퍼 프레임; 상기 미들 서포트의 상부 후측에 배치되는 송풍 덕트; 상기 미들 서포트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댐퍼 프레임과 상기 송풍 덕트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댐퍼와 필터 프레임;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frame; A middle support disposed above the base frame; A damper frame disposed at an upper front side of the middle support; A blowing duct disposed on an upper rear side of the middle support; A filter damper and a filter frame disposed on the middle support and disposed between the damper frame and the blower duc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수조가 보관되는 수조 보관함과, 제습물통이 보관되는 제습물통 보관함과, 압축기 등이 보관되는 기계실이 각각 구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frame is divided into a water tank container in which a water tank is stored, a dehumidification tank container in which a dehumidification container is stored, and a machine room in which a compressor or the like is stor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조 보관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습물통 보관함 및 상기 기계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측 영역을 분할하여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ank storage box is disposed at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and the dehumidification bucket storage box and the machine room are arranged by dividing the rear side area of the base fram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댐퍼 프레임에는, 가습 또는 청정 가습 작동시 개방되는 가습댐퍼와, 제습 또는 청정 제습 작동시 개방되는 제습댐퍼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amper fram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humidification damper that is opened during the humidification or clean humidification operation, and a dehumidification damper that is opened during the dehumidification or clean dehumidification oper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습댐퍼는 상기 댐퍼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습댐퍼는 상기 댐퍼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댐퍼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humidification dampe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amper frame, the humidification damper is disposed below the damper frame, it is more preferably formed protruding forward of the damper frame.

본 발명에 있어서, 가습 또는 제습 작동시 개방되는 상기 필터댐퍼와, 청정 가습 또는 청정 제습 작동시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부가 각각 장착되는 상기 필터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일체형 프레임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damper which is opened during the humidification or dehumidification operation, and the filter frame to which the filter part through which air passes during the clean humidification or dehumidification operation are respectively formed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an integrated fram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댐퍼는 상기 일체형 프레임의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필터댐퍼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lter damper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tegrated frame, and the filter frame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damper, respectively.

본 발명의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ain structure of the humidification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체 내부의 미들 서포트의 상부에 댐퍼 프레임, 일체형 프레임, 송풍 덕트를 차례로 구성함으로써, 본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본체의 외관이 콤팩트하다. By sequentially forming a damper frame, an integrated frame, and a blowing duc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support in the main body,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can be efficiently used, and the main body is compact in appearan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제습 복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가습 제습 복합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프론트 바디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리어 바디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리어 바디커버에 마련된 리모컨 보관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9는 도 1의 탑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미들 서포트와 베이스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프론트 바디커버와 리어 바디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프론트 바디커버와 리어 바디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1의 프론트 바디커버와 리어 바디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체결수단 장착부에 클립이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의 디스크 어셈블리와 수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2 및 도 3의 가습 흡입 그릴이 가습 흡입구로부터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의 제습물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결합도.
도 20은 도 1의 미들 서포트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1의 열교환부와 제습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도 1의 제습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결합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제습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도 1의 제습조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결합 사시도.
도 25는 도 1의 댐퍼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분해 사시도.
도 27은 도 1의 일체형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도 1의 필터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도 1의 송풍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제습 복합기의 가습 유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제습 복합기의 청정 가습 유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 유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제습 복합기의 청정 제습 유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4는 종래 가습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al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humidification dehumidifying multifunctional composite device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body cover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body cover of FIG.
6 to 8 are som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remote control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rear body cover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cover of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iddle support and the base frame of FIG. 1. FIG.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body cover and the rear body cover of FIG. 1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 1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body cover and the rear body cover of FIG. 1 are combined;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body cover and the rear body cover of FIG. 1 are combined;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ip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means mounting portion of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k assembly and the water tank of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of FIGS. 2 and 3 is removed from the humidification suction port.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ehumidification bucket of FIG. 1.
19 is a combined view of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support of FIG. 1.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heat exchanger and the dehumidification duct of FIG. 1.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mbination shown to show the state of use of the dehumidification tank of FIG.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humidifying tank of FIG. 22; FIG.
24 is a partially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use state of the dehumidification tank of FIG. 1.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amper frame of FIG. 1. FIG.
FIG.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5;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itary frame of FIG. 1.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case of FIG. 1.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owing duct of FIG. 1. FIG.
30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humidifying flow path of a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lean humidifying flow path of a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dehumidifying flow path of a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lean dehumidification flow path of a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umidifier air clean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100)는 본체(100)의 전측을 이루는 프론트 바디커버(120),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후방에 장착되어 본체(100)의 후측을 이루는 리어 바디커버(130), 프론트 바디커버(120) 및 리어 바디커버(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본체(100)의 상면을 이루는 탑 커버(110), 본체(100)의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40)을 포함하여, 도 2 및 도 3과 같은 외곽을 이루며,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100 of the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 front body cover 120 and the front body cover 120 forming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us the main body 100. The top cover 1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re disposed on the rear body cover 130, the front body cover 120 and the rear body cover 130 forming a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Including the base frame 140 to form a,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outer space is provided.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측을 이루는 프론트 바디커버(120)는 전면과 양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전면 하측에는 수조(200)가 드나들도록 수조 출입구(121)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ront body cover 120 forming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front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nd a water tank entrance 12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tank 200.

이러한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양측면 상측에는 제습 작동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제습 흡입구(122)가 형성되어 있고,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양측면 하측에는 가습 작동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가습 흡입구(1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가습 흡입구(123)와 제습 흡입구(122)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본체(100) 내부로 흡입된다.Dehumidification inlet 12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body cover 120, the outside air is sucked in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humidification in which the outside air is sucked during the humidification operation on both sides of the front body cover 120. The suction port 123 is formed. Thus,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humidification suction port 123 and the dehumidification suction port 122.

이러한 제습 흡입구(122)는 본체(100)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부(60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가습 흡입구(123)는 본체(100) 내부에 마련되는 수조(200) 내의 디스크 어셈블리(25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dehumidifying inlet 12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eat exchanger 60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humidifying inlet 123 is the disk assembly 250 in the water tank 20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Is disposed adjacent to.

본체(100)의 후측을 이루는 리어 바디커버(1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과 양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는 제습물통(300)이 드나들도록 제습물통 출입구(131)가 형성되어 있다.The rear body cover 130 forming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ure 5, is made of a rear surface and both sides, the dehumidification bucket entrance 131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dehumidification bucket 300 enters. It is.

이러한 리어 바디커버(130) 후면의 하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 돌출면(132)이 형성되어 있다.The rear protruding surface 132 protruding to the rear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rear of the rear body cover 130.

후방 돌출면(132) 내에는 후방 개폐홀(133)이 형성되어 있다. 즉, 후방 개폐홀(133)은 하기에서 설명할 베이스 프레임(140)에 배치된 기계실(143) 및 제습물통 보관함(142)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rear opening and closing hole 133 is formed in the rear protruding surface 132. That is,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hole 133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chine room 143 and the dehumidification container storage box 142 disposed on the base frame 140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후방 개폐홀(133)에는 리어커버(134)가 개페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리어커버(134)에는 제습물통 보관함(142)의 후방에 배치되는 부분에만 다수의 통기홀(1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통기홀(135)이 제습물통 보관함(142) 후방에만 형성되어 있고, 기계실(143) 후방은 폐쇄하여, 기계실(143)에 배치되는 압축기(144)의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rear cover 134 is provided in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hole 133 so as to be openable,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35 are formed in the rear cover 134 only at a portion of the rear dehumidification container storage box 142. . The vent hole 135 is formed only at the rear of the dehumidification container storage box 142, and the rear of the machine room 143 is closed to prevent the noise of the compressor 144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143 from leaking out. have.

리어커버(134)가 후방 개폐홀(133)에 결합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structure that the rear cover 134 is coupled to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hole 133 is as follows.

리어커버(134)의 상부 양측에는 관통공(134a)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 개폐홀(133)에는 관통공(134a)이 위치하는 부분에 결합공(133a)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 등의 결합수단이 관통공(134a)과 결합공(133a)을 차례로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리어커버(134)가 후방 개폐홀(133)에 용이하게 장착된다.Through-holes 134a are formed at both upper sides of the rear cover 134, and coupling holes 133a are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holes 134a are located in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hole 133, so that bolts or the like are engaged. As the means is fastened through the through hole 134a and the coupling hole 133a in turn, the rear cover 134 is easily mounted in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hole 133.

또한, 리어커버(134)의 하단부 양측에는 각각 'ㄱ'자 형상의 브라켓(134b)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 개폐홀(133)의 하측에는 브라켓(134b)이 걸릴 수 있도록 삽입홈(133b)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rear cover 134 are formed with 'b' shaped brackets 134b, and the lower side of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hole 133 has an insertion groove 133b so that the bracket 134b can be caught. Formed.

리어 바디커버(130)의 일측에는 리모컨(R)을 수용할 수 있도록 리모컨 보관부(136)가 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rear body cover 130 is formed with a remote control storage unit 136 to accommodate the remote control (R).

리모컨 보관부(136)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돌출면(132)의 상부 둘레면에 내측으로 들어간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remote control storage part 136 is formed in the groove shape which went inward in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rotrusion surface 132. As shown in FIG.

이러한 리모컨 보관부(136)의 바닥면에는 리모컨 보관부(136)에 수용된 리모컨(R)의 가장자리를 잡아줄 수 있도록 걸림돌기(137)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걸림돌기(137)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storage unit 136 has a locking projection 137 is formed to hold the edge of the remote control (R) accommodated in the remote control storage unit 136,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locking projections (137) ) Are formed on both sides.

걸림돌기(137)의 후방으로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홈(137a)이 형성되어 있어, 홈(137a)에 의해 리모컨 보관부(136) 바닥면에 접촉하는 리모컨(R)의 접촉면적을 줄여 탈거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A groove 137a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locking protrusion 137 so as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rear, so that the contact area of the remote control R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storage unit 136 by the groove 137a is formed. The removal can be done well.

리모컨 보관부(136)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홈 형상의 손가락 삽입홈(1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손가락 삽입홈(138)은 손가락 끝을 삽입되기 용이한 형상이면 된다.The lower edge of the remote control storage unit 136 is formed with a groove-like finger insertion groove 138, the finger insertion groove 138 may be any shape that is easy to insert the fingertip.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컨 보관부(136)에 리모컨(R)이 삽입되며, 이때, 걸림돌기(137)가 리모컨(R)의 가장자리를 잡아줌으로써, 리모컨(R)은 리모컨 보관부(136)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7, the remote controller R is inserted into the remote controller storage unit 136, and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137 grasps the edge of the remote controller R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ler R. ) Is not separated from the remote control storage unit 136.

리모컨(R) 사용시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손가락 삽입홈(138)에 삽입하여 리모컨(R)의 가장자리를 살짝 위로 들어올려서 빼낼 수 있다.When using the remote control (R), as shown in Figure 8, the user can insert the finger into the finger insertion groove 138 to lift the edge of the remote control (R) slightly up and out.

이와 같이, 리모컨 보관부(136)가 리어 바디커버(130)의 후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본체(100)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리모컨(R)을 보관할 수 있으며, 리모컨(R)이 쉽게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mote control storage unit 136 is formed in the groove shape on the rear of the rear body cover 130, it can safely store the remote control (R) without harming the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00, the remote control (R) You can prevent this from being lost easily.

본체(100)의 양측에는 손잡이(124,139)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 손잡이(124,139)는 대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andles 124 and 139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handles 124 and 139 are preferably disposed on a diagonal line.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일측면에 하나의 손잡이(124)가 형성되어 있고, 리어 바디커버(130)의 타측면에 하나의 손잡이(1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124,139)는 내부로 들어간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one handle 12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body cover 120, one handle 139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body cover 130, the handles (124, 139)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which has entered.

이렇게, 본체(100)의 양측에 대각선 상으로 손잡이(124,139)가 배치되어 있어, 본체(100)를 들고 이동할 때 대각선 상의 손잡이(124,139)를 잡으면, 본체(100)의 일측 모서리 부분을 양다리 사이에 끼울 수 있어 이동하기 편리하다.
Thus, the handles 124 and 139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diagonally, and when holding the main body 100 and holding the handles 124 and 139 on the diagonal, the one corner of the main body 100 is placed between the legs. It is easy to move because it can be fitted.

본체(100)의 상면을 이루는 탑 커버(11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형상이며, 전측이 하부로 경사져 있다. 이 하부로 경사진 전측에는 작동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111)이 구비되어 있다.The top cover 110 which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a shape which covers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9, and the front side is inclined downward. The front side inclined downward is provided with a display panel 111 for operation.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후측에는 토출 그릴(117)이 안착되도록 네모를 이루는 홈 형상의 토출 그릴 안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 그릴 안착부(112)의 각 모서리에는 모서리와 인접하게 체결공(112a)이 형성되어 있다The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111 is formed with a groove-shaped discharge grill seating portion 112 forming a square so that the discharge grill 117 is seated. Each corner of the discharge grill seating portion 112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112a adjacent to the corner.

토출 그릴 안착부(112)의 후측에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는데, 토출구(113)는 토출 그릴 안착부(112) 내에 단턱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port 113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discharge grill seating part 112, and the discharge hole 113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tep in the discharge grill seating part 112.

또한, 토출구(113) 둘레면을 따라 둘레면의 하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토출 필터(115)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면(113c)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upport surface 113c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13 to ext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war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filter 115.

이러한 토출구(113)의 가장자리 전측에는 토출구(113)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토출 필터 손잡이(116)가 안착되는 손잡이 안착홈(113a)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안착홈(113a)의 형상은 토출 필터 손잡이(116)의 형상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A handle seating groove 113a is formed at the front edge of the discharge port 113 to extend in front of the discharge port 113 to seat the discharge filter handle 116. The shape of the handle seating groove 113a is, of course, dependent on the shape of the discharge filter handle 116.

토출구(113)의 가장자리 후측에는 토출 필터(115)의 돌기(미도시)가 수용되는 다수의 홈(113b)이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grooves 113b in which protrusions (not shown) of the discharge filter 115 are accommodated are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13.

토출 그릴 안착부(112)의 중간 부분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필터 케이스(870)가 드나들도록 필터 케이스 인출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 케이스(870)가 두 개로 구성됨에 따라, 필터 케이스 인출홀(114)이 두 개로 형성되어 있다.The filter case withdrawal hole 114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discharge grill seating part 112 to allow the filter case 870 to be described below. As the filter case 870 is composed of two in this embodiment, two filter case withdrawal holes 114 are formed.

토출구(113)에는 토출 필터(115)가 배치된다. 토출 필터(113)의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토출 필터 손잡이(116)가 구비되어 있고, 토출 필터(113)의 타측면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The discharge filter 115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port 113. One side of the discharge filter 113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filter knob 116 protruding outward, and a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filter 113.

이와 같이 구성되어, 토출구(113) 가장자리의 홈(113b)에 토출 필터(113)의 돌기(미도시)를 끼운 다음 토출구(113)에 토출 필터(113)가 놓이도록 하면, 지지면(113c)에 의해 토출 필터(113)의 하면이 지지되고, 토출 필터 손잡이(116)를 손잡이 안착홈(113a)에 안착시킨다.In this way, if the projection (not shown) of the discharge filter 113 is inserted in the groove 113b at the edge of the discharge port 113, and then the discharge filter 113 is placed in the discharge port 113, the support surface 113c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filter 113 is supported, and the discharge filter handle 116 is seated in the handle seating groove 113a.

네모 형상의 토출 그릴 안착부(112)에는 동일한 형상의 토출 그릴(117)이 안착된다.A discharge grill 117 having the same shape is mounted on the square discharge grill seating part 112.

상기와 같이, 토출구(113) 측에는 토출 그릴(117)의 하부에 토출 필터(113)가 장착되어 있어, 본체(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토출구(113)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filter 113 is mounted on the discharge port 113 sid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grill 117, the external foreign matter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3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It can prevent the inflow inside.

또한, 작동중 덜 걸러진 먼지 등 이물질을 토출 필터(113)가 한번 더 걸러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더욱 청정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filter 113 filters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less filtered during operation once again, thereby providing more clean air.

본체(100)의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4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200)가 보관되는 수조 보관함(141)과, 제습물통(300)이 보관되는 제습물통 보관함(142)과, 압축기(144) 등이 보관되는 기계실(143)이 각각 구획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base frame 140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water tank storage box 141 in which the water tank 200 is stored, and a dehumidification water tank storage box in which the dehumidification water tank 300 is stored. 142 and the machine room 143 in which the compressor 144 etc. are stored are divided and formed integrally.

특히, 수조 보관함(141)은 베이스 프레임(140)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제습물통 보관함(142) 및 기계실(143)은 베이스 프레임(140)의 후방측 영역을 분할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tank storage box 141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140, the dehumidification bucket storage box 142 and the machine room 143 is preferably disposed by dividing the rear region of the base frame 140.

또한, 수조 보관함(141)의 양측면에는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습 흡입구(123)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흡입구 배치홈(1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구 배치홈(145)의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145a)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port arrangement grooves 145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tank storage box 141 so as to be disposed behind the humidification suction port 123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body cover 120. A locking jaw 145a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port arrangement groove 145 is formed.

이처럼, 베이스 프레임(140)에 수조 보관함(141)과 제습물통 보관함(142)과 기계실(143)이 각각 구획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본체(100)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본체(100)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As such, the water tank storage box 141, the dehumidification container storage box 142, and the machine room 143 are partitioned and integrally formed in the base frame 140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100 can be efficiently utilized, and the main body ( 100 can be compactly configured.

베이스 프레임(140)의 하부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146)가 구비되어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40 is provided with a wheel 146 to facilitate movemen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100)의 각 커버간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vers of the main body 10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프론트 바디커버(120)와 리어 바디커버(130)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하였다.First,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body cover 120 and the rear body cover 130 are coupled is illustrated in FIGS. 11 to 14.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바디커버(130)의 양측 내벽면 가장자리에는 체결수단 장착부(150)가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fastening means mounting parts 150 are provided at edges of both inner walls of the rear body cover 130.

이러한 체결수단 장착부(150)는 바닥부(151)와 한 쌍의 수직부(152)와 연결부(154)와 날개 지지부(15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means mounting portion 150 preferably includes a bottom portion 151, a pair of vertical portions 152, a connecting portion 154, and a wing support 155.

바닥부(151)는 리어 바디커버(130)의 내벽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The bottom part 151 protrudes perpendicularly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body cover 130.

한 쌍의 수직부(152)는 바닥부(15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되,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수직부(152) 내벽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강도 보강부(15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152 extend vertically from the bottom portion 151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ength reinforcement part 153 for strength reinforcement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air of vertical parts 152.

한 쌍의 수직부(152) 중 어느 하나의 수직부(152)에는 날개 지지부(15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날개 지지부(155)는 수직부(152) 외측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어, 수직부(152) 외측에 끼워지는 클립(160)의 날개부(164)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Wing support 155 is preferably formed in any one of the vertical portion 152 of the pair of vertical portion 152, the wing support 155 is formed to protrude along both edg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152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wing portion 164 of the clip 160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portion 152.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later.

연결부(154)는 바닥부(15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되, 한 쌍의 수직부(152)의 일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수직부(152)를 지지한다.The connection part 154 extends vertically from the bottom part 151 and connects one side surface of the pair of vertical parts 152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vertical part 152.

이러한 연결부(154)의 외측면과 리어 바디커버(130)의 내벽면을 연결하여 지지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156)가 형성될 수 있다.A reinforcing rib 156 may be formed to connec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54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body cover 130 to reinforce the supporting strength.

이러한 체결수단 장착부(150)에 끼워지는 클립(160)은 상면부(161)와 날개부(16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lip 160 to be fitted to the fastening means mounting portion 150 is preferably composed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61 and the wing 164.

상면부(161)에는 관통공(162)이 형성되어 있는데, 관통공(162)의 일측에 외측으로 움푹 들어간 홈(16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하기에서 설명할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170)이 체결될 때 나사산이랑 접촉되는 부분을 줄여 나사산이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through hole 162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161, but it is preferable that a groove 163 recessed outwar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162.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read from being easily worn by reducing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hread when the fastening means 170 such as the screw to be described below is fastened.

날개부(164)는 상면부(161)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날개부(164)에는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홈 형상으로 고정돌기홈(16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돌기홈(165)은 세모 형상이며, 각 날개부(164)에 두 개씩 마련되어 있다.The wing portion 164 extends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61, and the wing portion 164 is preferably formed with a fixing projection groove 165 in the groove shape recessed inwar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protrusion groove 165 has a triangular shape, and is provided in each of the wing portions 164.

이와 같이 형성된 클립(160)의 양측 날개부(164)가 체결수단 장착부(150)의 한 쌍의 수직부(152) 외측면에 끼워지며, 이때, 수직부(152)에 돌출된 날개 지지부(155)가 날개부(164)의 양측을 지지하므로 클립(160)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Both wing parts 164 of the clip 160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vertical parts 152 of the fastening means mounting part 150, and at this time, the wing support parts 155 protruding from the vertical parts 152. ) Supports both sides of the wing 164, the clip 160 is not easily separated.

또한, 날개부(164)에는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홈 형상의 고정돌기홈(165)이 형성되어 있어, 클립(160)은 더욱 단단히 체결수단 장착부(150)에 끼워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g portion 164 is formed with a groove-shaped fixing projection groove 165 recessed inward, the clip 160 can be fitted to the fastening means mounting portion 150 more firmly.

리어 바디커버(130)의 양측 내벽면 가장자리에는 클립(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장착패널(180)이 마련되어 있다.Mounting panels 180 disposed on the upper sides of the clips 160 are provided at edges of both inner walls of the rear body cover 130.

장착패널(180)은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내벽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162)과 대응되는 위치에 슬릿(181)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장착패널(180)의 슬릿(181)이 형성된 부분은 프론트 바디커버(120) 가장자리의 외측으로 나와 있다.The mounting panel 180 protrudes from an inner wall edge of the front body cover 120, and a slit 18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62. In this way, the portion in which the slit 181 of the mounting panel 180 is formed comes out of the edge of the front body cover 120.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패널(180)은 체결수단 장착부(150)에 끼워진 클립(160)의 상부에 배치되며, 슬릿(181)과 관통공(162)을 차례로 관통하며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170)이 장착됨으로써,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바디커버(120)와 리어 바디커버(130)가 서로 결합된다.12, the mounting panel 180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lip 160 fitted to the fastening means mounting portion 150, and the slit 181 and the through hole 162 are sequentially formed. As the fastening means 170 such as a screw penetrates and is mounted, as shown in FIG. 13, the front body cover 120 and the rear body cover 130 are coupl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프론트 바디커버(120)와 리어 바디커버(13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body cover 120 and the rear body cover 13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FIGS. 13 and 14.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바디커버(120)에 장착패널(180)이 마련되고, 리어 바디커버(130)에 체결수단 장착부(150)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mounting panel 180 is provided on the front body cover 120, and the fastening means mounting unit 150 is provided on the rear body cover 130, but it may be reversed. .

다음으로, 프론트 바디커버(120)와 리어 바디커버(130)의 상부에 탑 커버(110)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하였다.Next, a structure in which the top cover 11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front body cover 120 and the rear body cover 130 is illustrated in FIGS. 13 to 15.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바디커버(120) 및 리어 바디커버(130)의 내벽면에 체결수단 장착부(150)가 마련되고, 체결수단 장착부(150)에는 클립(160)이 끼워진다.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fastening means mounting part 150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front body cover 120 and the rear body cover 130, and the fastening means mounting part 150 includes a clip 160. Is fitted.

이러한 체결수단 장착부(150)와 클립(160)의 구조를 도 15에 도시하였으며, 상세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means mounting unit 150 and the clip 160 is shown in Figure 15, the detailed structur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 detailed description.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수단 장착부(150)가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양측 내벽면에 각각 한 개씩, 리어 바디커버(130)의 내벽면에 각각 한 개씩, 총 네개로 구성되어 있다. 즉, 네 개의 모서리와 인접하게 네 개의 체결수단 장착부(150)가 마련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3, the fastening means mounting portion 150, one on each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th sides of the front body cover 120, one on each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body cover 130, a total It consists of four. That is, four fastening means mounting parts 150 are provided adjacent to four corners.

특히,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바디커버(120)에 형성된 손잡이(124)의 상면에 체결수단 장착부(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체결수단 장착부(150)의 바닥부(151)가 손잡이(124)의 상면이 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14, the fastening means mounting portion 15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124 formed on the front body cover 120, in this case the bottom portion 151 of the fastening means mounting portion 150 ) May be the top surface of the handle 124.

탑 커버(110)에는 클립(160)의 관통공(162)과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112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토출 그릴 안착부(112) 내의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체결공(112a)이 형성되어 있다.The fastening hole 112a is formed in the top cover 1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62 of the clip 160.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hole 112a is formed to be adjacent to the edge in the discharge grill seating part 112.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체결공(112a)과 관통공(162)을 차례로 관통하며,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170)이 장착됨으로써, 탑 커버(110)가 프론트 바디커버(120) 및 리어 바디커버(130)에 결합된다.The upper cover 11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112a and the through hole 162 in turn, and the fastening means 170, such as a screw, is mounted on the top cover 110 and the rear body cover. Coupled to 130.

이와 같이, 커버 간 결합시 체결수단(170)이 체결되는 부분에 클립(160)이 장착되어 있어, 결합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As such, the clip 160 is mounted at a portion at which the fastening means 170 is fastened when the cover is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reinforcing the coupling strength.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 커버(110)의 하부에는 PCB 조립케이스(111a)가 배치되고, PCB 조립케이스(111a)에는 탑 커버(11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111)가 연결되는 PCB기판이 조립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PCB assembly case 111a is disposed below the top cover 110, and a PCB to which the display panel 111 provided on the top cover 110 is connected to the PCB assembly case 111a. The substrate is assembled.

이렇게, 탑 커버(110)의 하부에 배치된 PCB기판 등을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탑 커버(110)를 개폐하여야 하는데 탑 거버(110)의 체결수단(170)을 풀고 조는 빈번한 행위로 인한 나사공의 파손을 대치하기 위하여 클립(160)이 장착되어 있다.Thus, when repairing or replacing the PCB board, etc.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cover 110, the top cover 110 should be opened and closed, but the screw hole due to the frequent act of loosening and tightening the fastening means 170 of the top gerber 110 In order to replace the damage of the clip 160 is mounted.

따라서, PCB기판 등을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잦은 탑 커버(110) 개폐시 클립(160)이 파손되더라도 클립(160)만 새로 교체하면 되고 탑 커버(110)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이다.
Therefore, even if the clip 160 is broken during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top cover 110 to repair or replace the PCB, the clip 160 needs to be replaced with a new one and the top cover 110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수조(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40)의 수조보관함(141)에 보관됨으로써, 본체(100)의 하부 전방측에 배치되며, 흡입된 공기의 가습을 위한 물이 수용된다.The water tank 200, as shown in Figure 1, is stored in the tank storage box 141 of the base frame 140, is dispos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water for humidifying the intake air Are accepted.

수조(200)는 프론트 바디커버(120) 전면의 수조 출입구(121)를 통하여 수조(20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The water tank 200 is provided to allow entry and exit of the water tank 200 through the water tank entrance and exit 121 of the front body cover 12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개방된 수조 출입구(121)를 폐쇄하며, 프론트 바디커버(120)에 탈착가능한 수조보관함 커버(125)가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tank opening and closing opening 121 of the front body cover 120 is closed, and the tank storage cover 125 that is detachable to the front body cover 120 is provided.

즉, 수조보관함 커버(125) 후면의 상측에는 제1자석(125a)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수조 출입구(121) 측에는 제1자석(125a)과 붙도록 제2자석(121a)이 마련되어 있어, 제1자석(125a)과 제2자석(121a)이 붙음으로써, 수조보관함 커버(125)가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수조 출입구(121)에 장착된다.That is, the first magnet 125a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tank container cover 125, and the second magnet (the second magnet (125a) is attached to the tank entrance / exit 121 side of the front body cover 120. 121a) is provided, and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125a and 121a are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ank storage cover 125 is attached to the tank entrance and exit 121 of the front body cover 120.

이러한 수조보관함 커버(125)의 탈거시 수조(200) 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크 어셈블리(250)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안전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safety means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isk assembly 250 rotatably provided in the tank 200 when the tank container cover 125 is removed.

이러한 안전수단은 안전 스위치(121b)와 안전 돌기(125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safety means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afety switch 121b and a safety protrusion 125b.

안전 스위치(121b)는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수조 출입구(121)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The safety switch 121b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ater tank entrance and exit 121 of the front body cover 120.

안전 돌기(125b)는 수조보관함 커버(125)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Safety protrusion (125b) is formed protruding on the rear of the tank storage cover (125).

이와 같이 구성된 안전수단은 수조보관함 커버(125) 장착시에는 안전 돌기(125b)가 안전 스위치(121b)를 누르는 상태이다.The safety mea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 a state where the safety protrusion 125b presses the safety switch 121b when the water tank container cover 125 is mounted.

수조보관함 커버(125)의 탈거시에는 안전 돌기(125b)가 안전 스위치(121b)로부터 접촉 해제됨으로써, 수조(200) 내의 디스크 어셈블리(250)의 작동이 멈추도록 한다.When removing the tank container cover 125, the safety protrusion 125b is released from the safety switch 121b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isk assembly 250 in the tank 200.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보관함 커버(125)의 후면에 안전 돌기(125b)가 형성되어 있고,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수조 출입구(121) 측에 안전 스위치(121b)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afety protrusion 125b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ank container cover 125 and the safety switch 121b is provided on the tank entrance 121 side of the front body cover 120. Of course, this may be the opposite.

이와 같이 수조보관함 커버(125)의 탈거시 수조(200) 내의 디스크 어셈블리(250)의 작동이 멈추도록 하는 안전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수조(20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As such, the safety means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isk assembly 250 in the water tank 200 when the water tank container cover 125 is removed is provid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user, and easily withdraws the water tank 200. can do.

한편, 수조(200)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 감지 구조를 도 10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 water level sensing structure capable of detecting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6.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에 의해 물에 뜰 수 있도로록 구성된 플롯제(210)는 수조(200) 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200a)에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6, a plotting agent 210 configured to float on water by buoyancy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water tank 200. In this embodiment, it is attached to the rotating shaft 200a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200.

회전축(200a)은 플롯제(210)의 중심에서 편심되어 있으며, 회전축(200a)과의 거리가 짧은 편의 플롯제(210) 일측에는 자석(220)이 장착되어 있다.The rotating shaft 200a is eccentric at the center of the plotting agent 210, and a magnet 22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plotting agent 210 having a short distance from the rotating shaft 200a.

베이스 프레임(140)에 마련된 수조 보관함(141)의 바닥면에는 센서부 안착홈(147a)이 형성되어 있다.The sensor unit seating groove 147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storage box 141 provided in the base frame 140.

이 센서부 안착홈(147a) 내에는 플롯제(210)가 회전함에 따라 수조(200) 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147)가 장착되어 있다.The sensor unit 147 that can sense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200 is mounted in the sensor unit seating groove 147a as the plotting agent 210 rotates.

즉, 수조(200) 내에 물이 가득 차 플롯제(2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자석(220)이 센서부(147)에 가까워진다.That is, when the plotting agent 210 rotates in one direction when the water tank 200 is filled with water, the magnet 220 approaches the sensor unit 147.

이와 반대로, 수조(200) 내에 물이 없을 경우 풀롯제(21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자석(220)이 센서부(147)에서 멀어지도록 짐으로써, 수조(200) 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re is no water in the water tank 200, when the pulley agent 21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magnet 220 may be moved away from the sensor unit 147 to detect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200. have.

이와 같이, 수조(200) 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 감지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수조(200) 내의 물이 가득차거나 물이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므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로도 수조(200) 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As such, by providing a water level detection structure that can detect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200, the user is informed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00 is full or there is no water can be increased, the simple and simple structure The water level in the tank 200 may be detected.

수조(200) 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크 어셈블리(250)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장착축(260)과, 디스크 장착축(260)에 끼워지는 다수의 디스크(2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200) 내에 두 개의 디스크 어셈블리(200)가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The disk assembly 250 rotatably provided in the water tank 200 includes a disk mounting shaft 260 and a plurality of disks 270 fitted to the disk mounting shaft 260, as shown in FIG. 16.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disk assemblies 200 are provided side by side in the water tank 200.

디스크 장착축(260)이 수조(200)의 상면 전,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축 안착홈(200b)에 안착됨으로써, 수조(200) 내부에 전,후방을 가로지르며 배치된다. The disk mounting shaft 260 is seated in the shaft seating groove 200b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00, thereby being disposed across the front and rear in the water tank 200.

이때, 디스크(270)의 일부분이 수조(200) 내에 배치되어 수조(200) 내부의 물에 담궈지도록 마련된다.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disk 270 is disposed in the tank 200 so as to be immersed in the water in the tank 200.

디스크 장착축(260)의 일단에는 피동기어부(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피동기어부(미도시)는 수조(200)의 상면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구동기어(230)와 치합된다.One end of the disk mounting shaft 260 is formed integrally with a driven gear (not shown), the driven gear (not shown) and the drive gear 230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200) Are matched.

구동기어(23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부 안착홈(147a) 측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 브라켓(190)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0, the drive gear 230 is connected to the motor bracket 190 mounted at the sensor mounting recess 147a.

따라서, 모터 브라켓(190)에 장착된 모터의 회전력을 구동기어(230)가 전달받아 회전하고, 구동기어(230)가 회전함에 따라 치합되어 있는 피동기어부(미도시)가 회전함으로써, 디스크 장착축(260)이 회전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drive gear 230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mounted on the motor bracket 190, and the driven gear part (not shown) engaged with the drive gear 230 rotates to rotate the disk. The axis 260 is rotating.

한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습 흡입구(122) 및 가습 흡입구(123)에는 각각 제습 흡입 그릴(126)과 가습 흡입 그릴(127)이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4, the dehumidification suction inlet 122 and the humidification suction inlet 12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body cover 120, respectively, the de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6 and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7 is mounted. do.

이러한 제습 흡입 그릴(126)과 가습 흡입 그릴(127)은 필터용 스크린이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6 and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7 are preferably form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of a filter screen.

이렇게, 외장형 흡입 그릴인 경우 필터용 스크린을 별도로 끼워야 하는 공정 없이 인서트 사출 성형 하나의 공정으로 필터용 스크린이 제습 흡입 그릴(126)과 가습 흡입 그릴(127)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Thus, in the case of the external suction grille, the filter screen is integrally formed in the de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6 and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7 in one step of insert injection molding without the process of separately inserting the filter screen,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제습 흡입구(122) 및 가습 흡입구(123)에 제습 흡입 그릴(126)과 가습 흡입 그릴(127)이 장착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dehumidification suction inlet 122 and the humidification suction inlet 12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de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6 and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7 are mounted.

먼저, 제습 흡입 그릴(126)의 장착구조를 살펴보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 흡입구(122)의 양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돌출된 힌지축(122a)이 형성되어 있어, 제습 흡입 그릴(126)은 힌지축(122a)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특히, 힌지축(122a)은 가장자리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de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6, as shown in FIG. 14, hinge shafts 122a protruding inwardly are formed at both edges of the dehumidification suction opening 122, and the de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6 is formed. ) Is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122a). In particular, the hinge shaft 122a is disposed below the edge.

그리고 제습 흡입구(12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삽입홈(122b)이 형성되어 있다.An insertion groove 122b is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dehumidification suction port 122.

제습 흡입 그릴(126) 후면의 하측에는 힌지축(122a)이 탈착 가능하도록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끼움부(126a)가 형성되어 있고, 제습 흡입 그릴(126)후면의 상측에는 삽입홈(122b)에 끼워지는 돌기(126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rear side of the de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6 is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126a, which is partially open to allow the hinge shaft 122a to be detachabl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de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6 in the insertion groove 122b. The projection 126b to be fitted is formed to protrude.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끼움부(126a)의 개방된 면을 통하여 힌지축(122a)에 끼워지고, 돌기(126b)가 삽입홈(122b)에 삽입됨으로써, 제습 흡입 그릴(126)이 제습 흡입구(122)에 장착된다.The de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6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tted to the hinge shaft 122a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126a, and the protrusion 126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2b. 122).

다음으로, 가습 흡입 그릴(127)의 장착구조를 살펴보면 가습 흡입구(123)의 양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돌출된 힌지축(123a)이 형성되어 있어, 가습 흡입 그릴(127)은 힌지축(123a)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특히, 힌지축(123a)은 가장자리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Next, looking at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7, hinge shafts 123a protruding inwardly are formed at both edges of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3, and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7 has a hinge shaft 123a.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as a reference. In particular, the hinge shaft 123a is disposed below the edge.

그리고 가습 흡입구(123)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삽입홈(123b)이 형성되어 있다.An insertion groove 123b is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humidification suction port 123.

가습 흡입 그릴(127) 후면의 하측에는 힌지축(123a)이 탈착 가능하도록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끼움부(127a)가 형성되어 있고, 가습 흡입 그릴(127)후면의 상측에는 삽입홈(123b)에 끼워지는 돌기(127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rear side of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7 is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127a having a portion thereof open to allow the hinge shaft 123a to be detachable, and an insertion groove 123b at an upp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7. The projection 127b to be fitted is formed to protrude.

그리고 가습 흡입구(123)의 후방에 배치되는 흡입구 배치홈(145)의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걸림턱(145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jaw 145a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port arrangement groove 145 disposed behind the humidification suction port 123 to the upper por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부(127a)의 개방된 면을 통하여 힌지축(123a)에 끼워지고, 돌기(127b)가 삽입홈(123b)에 삽입됨으로써, 가습 흡입 그릴(127)이 가습 흡입구(123)에 장착된다.It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and as shown in FIG. 17, it fits in the hinge shaft 123a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 fitting part 127a, and the protrusion 127b is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3b, and it humidifies and suctions it. The grill 127 is mounted to the humidification suction port 123.

그리고 가습 흡입 그릴(127)의 탈거시 가습 흡입 그릴(127)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 가습 흡입 그릴(127)의 하측 가장자리가 걸림턱(145a)에 맞닿으므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한다. 이렇게, 가습 흡입 그릴(127)의 하측 가장자리가 걸림턱(145a)에 맞닿으면, 끼움부(127a)가 힌지축(123a)으로부터 이탈하여 가습 흡입 그릴(127)이 가습 흡입구(123)로부터 쉽게 탈거된다.When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7 is rotated forward when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7 is removed, the lower edge of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7 abuts against the latching jaw 145a when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7 is rot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can not do it. In this way, when the lower edge of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7 abuts the locking jaw 145a, the fitting portion 127a is separated from the hinge shaft 123a so that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7 is easily removed from the humidification suction port 123. It is removed.

이렇게, 장착된 가습 흡입 그릴(127)의 회전시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턱(145a)이 형성되어 있어, 가습 흡입 그릴(127)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가습 흡입 그릴(127)을 쉽게 탈거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s such, when the mounted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7 is rotated, the locking jaw 145a is formed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7 by removing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7 easily. Since it can do thi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40)의 제습물통 보관함(142)에 보관되며, 리어 바디커버(130)의 제습물통 출입구(131)를 통하여 드나들도록 마련되는 제습물통(3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1, the structure of the dehumidification bucket 300 is stored in the dehumidification bucket storage box 142 of the base frame 140 and is provided to enter and exit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bucket entrance and exit 131 of the rear body cover 130. Looking at it as follows.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물통(300)은 저수통(310)과 캡(320)과 플롯 레버(330)와 물통 커버(34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습물통(300)은 반투명한 사출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8, the dehumidification bucket 30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reservoir 310, a cap 320, a plot lever 330, and a bucket cover 340, and the dehumidification bucket 300 is semitransparent. It is preferred to consist of one injection.

저수통(310)은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The reservoir 310 is provided to accommodate water therein, and the top surface is open.

제습물통 보관함(142)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저수통(310)의 일측면은 하측이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저수통(310)의 움푹 들어간 형상 부분에는 제2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One side of the reservoir 310 disposed outside the dehumidification container storage box 142 has a recessed shape of the lower side, and a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reservoir 310. It is.

또한, 제습물통 보관함(142)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저수통(310)의 타측면은 폭이 좁도록 형성되어 있어, 타측면의 상측을 통하여 저수통(310) 내의 물을 버리기 쉽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reservoir 310 disposed inwardly of the dehumidification container storage box 142 is formed so that the width is narrow, it is easy to discard the water in the reservoir 310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이러한 저수통(310)의 일측면 상부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돌출된 부분에는 캡(320)의 돌출편(322)이 끼워지는 삽입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수통(310)의 전면 상부에는 캡(320)의 끼움부(323)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12)가 형성되어 있다.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reservoir 310 protrudes upward, and an insertion groove 311 into which the protruding piece 322 of the cap 320 is fitted is formed at the protruding portion. In addition, a fitting protrusion 312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323 of the cap 320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310.

그리고 저수통(310)의 일측면에는 세로로 길게 볼록부(313)가 형성되어 있다.And one side of the reservoir 310 is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313 longitudinally long.

캡(320)은 저수통(3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는데, 이때 저수통(310)의 폭이 좁도록 형성된 타측면의 상면이 개방될 수 있도록 저수통(310)의 상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ap 320 is provided to cover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310,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reservoir 310 is narr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310 It is preferably formed.

캡(32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321)가 형성되어 있어, 저수통(310)의 상측 가장자리를 덮도록 되어 있다.An extended portion 321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the cap 320 to cover the upper edge of the reservoir 310.

캡(320)의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편(322)이 형성되어 있어, 돌출편(322)은 저수통(310)의 삽입홈(311)에 끼워진다. 또한, 캡(320)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하방으로 끼움부(323)가 마련되어 있어, 끼움부(323)에는 저수통(310)의 끼움돌기(312)가 끼워진다.One side of the cap 32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iece 322 extending outward, the protrusion piece 322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1 of the reservoir 310. In addition, the front edge of the cap 320, the fitting portion 323 is provided downward, the fitting protrusion 312 of the reservoir 310 is fitted into the fitting portion 323.

이러한 캡(320)의 일측에는 깔때기 형상으로 물 안내홈(324)이 형성되어 있고, 물 안내홈(324) 내에는 드레인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물 안내홈(324)와 인접하게 레버 관통홀(3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레버 관통홀(325)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롯 레버(330)가 장착된다.The water guide groove 324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cap 320 in a funnel shape, and a drain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water guide groove 324. A lever through hole 325 is formed adjacent to the water guide groove 324, and a plot lever 330 is mounted in the lever through hole 325 as shown in FIG. 19.

플롯 레버(33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본체(331)와 힌지축부(332)와 갈고리부(3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8, the plot lever 330 preferably includes a lever main body 331, a hinge shaft portion 332, and a hook portion 333.

레버 본체(331)는 저수통(310) 내베 배치되어, 물에 뜰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lever body 331 is disposed inside the reservoir 310 and provided to float in water.

힌지축부(332)는 레버 본체(331)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힌지축부(332)에는 레버 관통홀(325) 내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축(332a)이 마련되어 있다.The hinge shaft portion 332 extends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lever body 331, and the hinge shaft portion 332 is provided with a hinge shaft 332a that is hingedly mounted in the lever through hole 325.

갈고리 형상의 갈고리부(333)는 힌지축부(332)의 일측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일부분이 캡(3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The hook-shaped hook portion 333 extends upward from one side of the hinge shaft portion 332, and part of the hook-shaped hook portion 33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p 320.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물통(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들 서포트(400)의 하면에는 갈고리부(333)와 맞닿는 안전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는데, 저수통(310) 내의 물의 수위가 높아져 레버 본체(331)가 부력에 의해 물에 뜨면, 갈고리부(333)가 안전 스위치(미도시)와 접촉된다. 안전 스위치가 온(ON)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습물통(300) 내의 물이 가득 찼음을 알려줄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lower surface of the middle support 400 disposed above the dehumidification bucket 300 is provided with a safety switch (not shown) in contact with the hook portion 333. When the water level rises and the lever body 331 floats on water by buoyancy, the hook part 333 is in contact with a safety switch (not shown). When the safety switch is ON, the user may inform the user that the water in the dehumidification bucket 300 is full through the display panel 111.

이와 반대로, 저수통(310) 내의 물이 없을 경우 레버 본체(331)는 저수통(310) 내에 세로로 배치되어, 갈고리부(333)와 안전 스위치(미도시)의 접촉이 해제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re is no water in the reservoir 310, the lever body 331 is vertically disposed in the reservoir 310, and the hook portion 333 and the safety switch (not shown) are released.

물통 커버(340)는 제습물통 보관함(142)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저수통(3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바디커버(130)의 제습물통 출입구(131)에 배치되어,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물통 커버(340)는 리어 바디커버(130)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ucket cover 34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reservoir 310 disposed to the outside of the dehumidification bucket storage box 142, as shown in Figure 1, the dehumidification bucket entrance 131 of the rear body cover 130 It is disposed i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herefore, the bucket cover 34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rear body cover 130.

물통 커버(340)의 내측면 상측에는 저수통(310)의 일측면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41)가 형성되어 있다.A protrusion 34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ucket cover 340 and protrudes inward to cover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reservoir 310.

또한, 저수통(310)의 볼록부(313)가 삽입될 수 있는 볼록부 삽입홈(342)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볼록부 삽입홈(342)에 삽입된 볼록부(313)를 통하여 저수통(310) 내의 물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x portion insertion groove 342 into which the convex portion 313 of the reservoir 310 can be inserted is formed vertically long, so that the user has the convex portion 313 inserted into the convex portion insertion groove 342. Through the water level in the reservoir 310 can be visually confirmed.

저수통(310)의 움푹 들어간 부분에 배치되는 물통 커버(340)에는 홀 형상의 손잡이(343)가 형성되어 있다.A hole-shaped handle 343 is formed in the bucket cover 340 disposed at the recessed portion of the reservoir 310.

손잡이(343)의 내측으로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체결 브라켓(344)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 브라켓(344)에는 제2관통공(미도시)과 대응하도록 제1관통공(34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관통공(345)과 제2관통공을 차례로 관통하며 체결수단(346)이 체결됨으로써,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통 커버(340)가 저수통(310)에 결합된다.A fastening bracket 344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to the inside of the handle 343 is formed, and the fastening bracket 344 has a first through hole 345 formed to correspond to a second through hole (not shown). . Accordingly, the fastening means 346 is sequentially fasten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45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s shown in FIG. 19, the water bottle cover 340 is coupled to the reservoir 310.

이와 같이, 제습물통(340)이 저수통(310)과 캡(320)과 플롯 레버(220)와 물통 커버(340)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습물통(340)을 인출하기 편리하고, 제습물통(340) 내의 물을 버리기 편리하며, 간단한 구조로 제습물통(340) 내의 물의 수위를 알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제습물통(340)을 외관이 심플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다.
Thus, the dehumidification bucket 340 is composed of the reservoir 310, the cap 320, the plot lever 220 and the bucket cover 340, it is convenient to draw out the dehumidification bucket 340, Convenient to discard the water in the 340, it is possible to know the water level in the dehumidification bucket 340 with a simple structure, can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the dehumidification bucket 340 is simple in appearance can give the user an aesthetic have.

한편, 본체(100) 내부의 중간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들 서포트(400)가 배치되어 있고, 미들 서포트(400)의 상부에는 제습 덕트(500), 열교환부(600), 댐퍼 프레임(700), 일체형 프레임(800), 송풍 덕트(900)가 차례로 세워져 배치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a middle support 400 is disposed in an intermediate portion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a dehumidification duct 500, a heat exchanger 60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middle support 400 are provided. The damper frame 700, the integrated frame 800, and the blowing duct 900 are sequentially arranged to be disposed.

미들 서포트(4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40)의 상부에 장착되며, 댐퍼 프레임(700)의 가습댐퍼(730)가 배치되는 부분에는 가습댐퍼(730)와 수조 보관함(141)이 서로 연통하도록 연통홀(4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연통홀(410)은 미들 서포트(400)의 전방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middle support 400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40, and a humidification damper 730 and a water tank storage ar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humidification damper 730 of the damper frame 700 is disposed. The communication hole 410 is formed so that the 141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That is, the communication hole 410 is formed in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middle support 400.

연통홀(410)을 기준으로 연통홀(410)의 양측에는 물 수용홈(4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물 수용홈(420)은 미들 서포트(40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Water receiving grooves 420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hole 410 based on the communication hole 410. That is, 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is form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middle support 400.

이러한 물 수용홈(420)은 프론트 바디커버(120)에 형성된 가습 흡입구(123)의 상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수용홈(420)의 단면이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umidification suction port 123 formed in the front body cover 12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lower.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20, the cross section of 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is formed in the 'V' shape.

이렇게, 물 수용홈(420)이 가습 흡입구(123)의 상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가습 흡입구(123)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물 수용홈(420)의 외곽을 따라 수조(200)로 안내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umidification inlet 123,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smaller toward the lower portion, the air sucked from the humidifying suction inlet 123 is the outside of 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It can be guided to the tank 200 along.

또한, 'V'자형 물 수용홈(420)이 미들 서포트(400)의 리브 역할을 하여, 상부에 여러 부품을 지지하는 미들 서포트(4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shaped water receiving groove 420 may serve as a rib of the middle support 400, there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middle support 400 supporting various components thereon.

이러한 물 수용홈(420) 내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 홀(4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드레인 홀(421)의 역할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as shown in FIG. 20, a drain hole 421 is preferably formed, and the role of the drain hole 421 will be described below.

물 수용홈(420)의 외측에는 그릴 형상의 디스크 가드(425)가 장착된다. 이렇게, 디스크 가드(425)가 장착되어 있어, 가습 흡입 그릴(127)을 개방하더라도 다스크 가드(425)에 의해 디스크 어셈블리(250)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The grille-shaped disk guard 425 is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In this way, the disk guard 425 is mounted, even if the humidification suction grille 127 is opened, the direct contact with the disk assembly 250 by the disk guard 425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safety.

미들 서포트(400)의 후방측에는 송풍 덕트(900)가 안착되는 송풍 덕트 안착홈(430)가 형성되어 있다.The rear side of the middle support 400 is formed with a blowing duct seating groove 430 on which the blowing duct 900 is seated.

또한, 미들 서포트(400)의 후방측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센서(450)가 장착될 수 있는 먼지센서 조립부(44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송풍 덕트 안착홈(430)의 후방에 먼지센서 조립부(44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t the rear side of the middle support 400, as shown in FIG. 10, a dust sensor assembly 440 to which the dust sensor 450 may be mounted is provided. That is, the dust sensor assembly 44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lowing duct seating groove 430.

먼지센서 조립부(440)는, 도 10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41)와 절개면(442)과 수평부(443)와 걸림부(4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0 and 20, the dust sensor assembly unit 440 preferably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441, a cut surface 442, a horizontal portion 443 and a locking portion 444.

본체부(441)는 미들 서포트(400)의 후방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441)에 먼지센서(450)가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441)는 후면 일부분 및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케이스 형태이다.The main body 441 extends upward from the rear edge of the middle support 400, and the dust sensor 450 is seated on the main body 44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441 is in the form of a case in which a rear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are open.

절개면(442)은 본체부(441)의 전면 일부분이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다.The cut surface 442 is a portion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441 in a vertical direction.

수평부(443)는 절개면(442)의 일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부(443)에 먼지센서(450)의 상면이 안착된다.The horizontal portion 443 extends horizontally from one end of the incision surface 44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sensor 450 is seated on the horizontal portion 443.

걸림부(444)는 수평부(443)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먼지센서(450)의 가장자리를 잡아주도록 형성된다.The catching portion 444 extends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443 and is formed to hold the edge of the dust sensor 450.

상기와 같이, 먼지센서 조립부(440)가 형성되어, 미세한 먼지를 검출하는 먼지센서(450)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sensor assembly 440 is formed, the dust sensor 450 for detecting the fine dust can be easily mounted.

또한, 먼지센서 조립부(400)가 미들 서포트(400)의 후방측에 마련되어 있어, 유입 및 유출 공기의 영향이 가장 적은 위치에 먼지센서(450)가 설치되어 먼지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st sensor assembly 40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iddle support 400, the dust sensor 450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where the influence of the inflow and outflow air is leas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dust more accurate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들 서포트(400)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 덕트(500), 열교환부(600), 댐퍼 프레임(700), 일체형 프레임(800), 송풍 덕트(900)가 차례로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1, the dehumidification duct 500, the heat exchange part 600, the damper frame 700, the integrated frame 800, and the ventilation duct 900 are disposed on the middle support 4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placed in turn.

먼저, 제습 덕트(500)는 미들 서포트(400)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제습 흡입구(122)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부(600)로 이동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dehumidification duct 500 is disposed at the front side of the middle support 400, and serves to guide the flow of air so that the air sucked from the dehumidification inlet 122 moves to the heat exchange part 600.

이러한 제습 덕트(500)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510)과 전면(520)과 공기 관통공(5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1, the dehumidifying duct 500 preferably includes both side surfaces 510, a front surface 520, and an air through hole 530.

양측면(510)은 프론트 바디커버(120)의 제습 흡입구(122) 측에 배치된다.Both side surfaces 510 are disposed at the side of the dehumidifying inlet 122 of the front body cover 120.

양측면(510)을 연결하는 전면(510)은 열교환부(600)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양측면(510)은 전면(510)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공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front surface 510 connecting the two side surfaces 510 is disposed at the front side of the heat exchange part 600, and the two side surfaces 510 are disposed to be inclined to the front surface 510 to naturally induce the flow of air. Preferred at

전면(510)에는 양측면(510)에 의해 가이드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관통공(530)이 형성되어 있다. An air through hole 530 through which air guided by both side surfaces 510 passes is formed at the front surface 510.

전면(510)과 양측면(510)의 상, 하부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면(540)이 형성되어 있다.An extended surface 540 extending forward alo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surface 510 and both side surfaces 510 is formed.

이렇게, 양측면의 제습 흡입구(122)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열교환부(600)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습덕트(500)가 구비되어 있어, 제습 흡입구(122)를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열교환부(600)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us, the dehumidification duct 500 is provided to guide the flow of air to move the air sucked from the dehumidification inlet 122 on both sides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unit 600, the dehumidification inlet 122 is the main body 100 Since it does not need to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air can be easily moved to the heat exchange unit 600 without harming the aesthetics.

다음으로, 제습덕트(5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열교환부(6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덕트(500)의 양측면(5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열교환부(600)는 본체(100)의 상부 전방측에 배치되며, 제습 흡입구(122)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Next, as shown in FIG. 1, the heat exchange part 600 disposed behind the dehumidification duct 500 is disposed inside both side surfaces 510 of the dehumidification duct 500. Therefore, the heat exchange part 600 is disposed i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ehumidification inlet 122.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부(600)는 기계실(143)에 구비된 압축기(144)와 연결된 응축기(610)와, 응축기(610)와 연결된 캐필러리 튜브(620,capillary tube)와, 캐필러리 튜브(620)와 연결되며 응축기(610) 전방에 배치되는 증발기(630)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의 습기를 제거한다. 이러한 냉동사이클의 구성은 종래 일반적인 구성이며,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exchange part 600 includes a condenser 610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44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143, a capillary tube 620 connected to the condenser 610, and a capillary. The moisture of the air is removed using a refrigeration cycle that is connected to the tube 620 and includes an evaporator 630 disposed in front of the condenser 610. The configuration of such a refrigeration cycle is a conventional general configuration,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열교환부(600)의 하부에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부(600)에서 발생되는 제습수가 떨어져 수용되도록 제습조(650)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 22, a dehumidification tank 650 is provided under the heat exchange part 600 so that the dehumidification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part 600 is separated.

제습조(650)는 열교환부(600)의 응축기(610)와 증발기(6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응축기(610)와 증발기(630)의 하면보다 넓도록 구성되며, 제습수가 수용되기 용이한 형상이다.The dehumidifying tank 650 is disposed below the condenser 610 and the evaporator 630 of the heat exchanger 600, and is configured to be wider than the lower surfaces of the condenser 610 and the evaporator 630, and the dehumidifying water is easily accommodated. Shape.

제습조(650) 내부의 바닥면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 낮은 바닥면에는 관통홀(6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홀(651)에는 호스(66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660)의 타단은 제습물통 보관함(142)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들 서포트(400)에 형성된 관통홀(460)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3, the bottom surface of the dehumidification tank 65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and a through hole 651 is formed in the lowest bottom surface. One end of the hose 660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651, and as shown in FIG. 10, the other end of the hose 660 is connected to the middle support 400 disposed above the dehumidification bucket storage box 142. It is connected to the formed through hole 460.

따라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조(650) 내에 수용되는 제습수는 호스(660)를 통하여 제습물통(300)의 물 안내홈(324)에 떨어져 제습물통(300)에 수용된다.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22, the dehumidifying water contained in the dehumidifying tank 650 is received in the dehumidifying bucket 300 by being separated from the water guide groove 324 of the dehumidifying bucket 300 through the hose 660.

제습조(650)의 일측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댐퍼 프레임(700)의 가습댐퍼(730)의 상부에 장착되도록 장착 브라켓(655)이 마련되어 있다.One side of the dehumidification tank 65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bracket 655 to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umidification damper 730 of the damper frame 7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부(600)에서 발생되는 제습수가 하부의 제습조(650) 내에 떨어져 수용되며, 호스(660)를 통하여 제습물통(300)에 수용된다. 22, the dehumidifying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part 60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dehumidifying tank 650 and accommodated in the dehumidifying container 300 through the hose 660. .

제습물통(300)내의 물이 가득 차서 제습조(650)에 수용된 물이 오버플로우될 경우 오버플로우되는 제습수는 미들 서포트(400)에 형성된 양측의 물 수용홈(420)에 수용된다.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dehumidification bucket 300 is full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dehumidification tank 650 overflows, the dehumidifying water overflowed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receiving grooves 420 on both sides formed in the middle support 400.

물 수용홈(420) 내의 물은 드레인 홀(421)을 통하여 하부의 수조(200)로 떨어진다.Water in 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falls into the lower tank 200 through the drain hole 421.

이처럼, 미들 서포트(400)에 물 수용홈(420)이 형성되어 있어, 제습조(650)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제습수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물 수용홈(420) 내에는 수조(200)로 떨어지도록 하는 드레인 홀(421)이 형성되어 있어, 제습수를 수조(200)로 보내어 가습수로 활용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is formed in the middle support 400, the dehumidifying water overflowed from the dehumidifying tank 650 can be easily accommodated, and the water tank 200 is provided in 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The drain hole 421 is formed so as to fall to, the dehumidifying water can be sent to the water tank 200 to be utilized as humidification water.

한편, 제습수를 가습수로 활용하기 위한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 24에 도시하였다.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ucture for utilizing the dehumidifying water as the humidifying water is illustrated in FIG. 24.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660)의 중간에는 제습조(650) 내의 제습수를 물 수용홈(420)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호스(670)가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4, a bypass hose 670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hose 660 to bypass the dehumidifying water in the dehumidifying tank 650 to 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또한, 호스(660) 내에는 호스(660)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ose 660 is provided with a valve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of the hose 660.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먼저, 밸브를 폐쇄하여 제습조(650)의 제습수가 바이패스 호스(670)를 통하여 물 수용홈(420)으로 향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valve first closes the valve so that the dehumidifying water of the dehumidification tank 650 is directed to 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through the bypass hose 670.

물 수용홈(420) 내의 물은 드레인 홀(421)을 통하여 하부의 수조(200)로 떨어져 제습수를 가습수로 활용할 수 있다.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groove 420 may fall into the lower tank 200 through the drain hole 421 to utilize the dehumidifying water as the humidifying water.

수조(200) 내의 물이 가득 찰 경우 제어부는 밸브를 개방하여, 제습조(650)의 제습수가 호스(670)를 통하여 제습물통(300)으로 향하도록 한다.Whe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00 is full, the control unit opens the valve so that the dehumidifying water of the dehumidifying tank 650 is directed to the dehumidifying water tank 300 through the hose 670.

이와 같이, 바이패스 호스(670)가 구비되어 있어, 제습조(650)에 수용된 제습수를 가습수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어, 수조(200) 내의 물을 채우지 않아도 되는 동시에 제습물통(300)의 물을 버리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bypass hose 670 is provided, so that the dehumidifying water contained in the dehumidifying tank 650 can be easily utilized as the humidifying water,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00 does not have to be filled, and There is no need to discard the water can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부(600)의 후방에는 제습댐퍼(720)가 배치되고, 열교환부(600)의 하부에는 가습댐퍼(730)가 배치되는데, 제습댐퍼(720)와 가습댐퍼(730)가 댐퍼본체(710)에 일체로 형성되어 댐퍼 프레임(700)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2, a dehumidification damper 720 is disposed behind the heat exchange part 600, and a humidification damper 730 is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 part 600.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and the humidification damper are disposed. 73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damper body 710 to form a damper frame 700.

댐퍼 프레임(7000)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본체(710)의 상측에 제습댐퍼(720)가 배치되어 있고, 댐퍼본체(710)의 하측에 가습댐퍼(730)가 배치되어 각각 있다.As shown in FIG. 25, the damper frame 7000 has a dehumidifying damper 720 disposed above the damper main body 710, and a humidification damper 730 is disposed below the damper main body 710, respectively. have.

먼저, 제습댐퍼(720)는 제습공기 관통공(721)과 다수의 댐퍼패널(72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preferably includes a de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21 and a plurality of damper panels 722.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본체(710)의 상측에는 사각 형상의 제습공기 관통공(721)이 형성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6, a rectangular de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21 is formed above the damper body 710.

이 제습공기 관통공(721)에는 가로로 길게 배치되는 다수의 댐퍼패널(722)이 댐퍼본체(7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제습공기 관통공(721)의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다.A plurality of damper panels 722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de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21 is rotatably mounted to the damper main body 710 to open or close the de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21.

다수의 댐퍼패널(722)은 링크(723)로 연결되어 있어, 연동하여 회전하며, 제습공기 관통공(721) 일측의 댐퍼본체(710)에는 댐퍼패널(722)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텝 모터(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A plurality of damper panels 722 are connected by a link 723,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tepper motor (not shown) to rotate the damper panel 722 in the damper body 710 on one side of the through-dehumidification air through hole 721. Is mounted).

따라서, 제습 또는 청정 제습 작동시에 댐퍼패널(722)이 제습공기 관통공(721)을 개방하여 제습댐퍼(720)가 개방됨으로써, 열교환부(600)를 통과한 제습 공기가 본체(100)의 후방으로 이동한다.Therefore, the damper panel 722 opens the dehumidification air through hole 721 to open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during the dehumidification or clean dehumidification operation, whereby the dehumidifying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part 600 is transferred to the main body 100. Move backward.

또한, 가습 또는 청정 가습 작동시에 댐퍼패널(722)이 회전하여 제습공기 관통공(721)을 폐쇄하므로 제습댐퍼(720)가 폐쇄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차단시킨다.In addition, since the damper panel 722 rotates to close the dehumidifying air through-hole 721 during humidification or clean humidification operation,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is closed, thereby blocking the flow of air.

다음으로, 가습댐퍼(730)는 제1가습공기 관통공(731)과 댐퍼케이스(732)와 제2가습공기 관통공(733)과 회전부(7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humidifying damper 730 preferably includes a first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1, a damper case 732, a second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3, and a rotating part 734.

댐퍼본체(710)의 하측인 제습공기 관통공(721)의 하측에는 사각 형상의 제1가습공기 관통공(731)이 형성되어 있다.A rectangular first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1 is formed below the de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21 that is the lower side of the damper main body 710.

댐퍼케이스(732)는 제1가습공기 관통공(731)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있으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네모 박스 형태이다.The damper case 732 protrudes forward of the first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1 and has a square box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이러한 댐퍼케이스(731)의 하부에는 제2가습공기 관통공(7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가습공기 관통공(733)은, 도 10에서 도시한 미들 서포트(400)의 연통홀(410)에 배치됨으로써, 제2가습공기 관통공(733)이 미들 서포트(400) 하부의 수조(200)와 연통된다.A second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3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amper case 731, and the second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3 is a communication hole 410 of the middle support 400 shown in FIG. 10. The second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3 is communicated with the water tank 200 under the middle support 400 by being disposed in the.

댐퍼케이스(731)의 내부 마련된 공간에는 회전부(73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가습공기 관통공(731)과 제2가습공기 관통공(733)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거나 폐쇄되도록 하며, 회전부(734)는 단면이 부채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ng part 734 is rotatably mounted in the space provided inside the damper case 731 to allow the first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1 and the second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3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to be closed, and the rotating part It is preferable that 734 has a fan shape in cross section.

댐퍼케이스(731)의 일측에는 회전부(734)를 회전시키는 스텝 모터(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One side of the damper case 731 is mounted with a step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rotating unit 734.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가습 또는 청정 가습 작동시에는 회전부(73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가습공기 관통공(731)과 제2가습공기 관통공(733)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므로 가습댐퍼(730)가 개방됨으로써, 디스크 어셈블리(250)를 통과한 가습 공기가 본체(100)의 상부 후방측으로 이동한다.When the humidification or clean humidification opera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ng part 734 is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1 and the second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umidification damper 730 ), The 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isk assembly 250 moves to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제습 또는 청정 제습 작동시에는 회전부(734)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가습공기 관통공(731)과 제2가습공기 관통공(733)이 폐쇄되도록 하므로 가습댐퍼(730)가 폐쇄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차단시킨다.During the dehumidification or clean dehumidification operation, the rotating unit 734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close the first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1 and the second humidifying air through hole 733, thereby closing the humidification damper 730, thereby To block the flow of

이와 같이, 제습댐퍼(720)와 가습댐퍼(730)가 일체로 형성되어 댐퍼 프레임을 이루므로 본체(100)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dehumidifying damper 720 and the humidifying damper 730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a damper frame,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100 can be used efficiently,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rate.

미들 서포트(400)의 중간부에 세워져 배치되는 일체형 프레임(800)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댐퍼(810)와 필터 프레임(8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7, the integrated frame 800, which is placed upright at the middle of the middle support 400, is formed with the filter damper 810 and the filter frame 850 integrally formed.

즉, 필터댐퍼(810)과 필터 프레임(850)은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하나의 프레임은 두 개의 격벽(a)에 의해 세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양측의 공간이 필터 케이스(870)가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850)이 되고, 가운데 공간은 댐퍼날개(920)가 장착되는 필터댐퍼(810)가 된다.That is, the filter damper 810 and the filter frame 850 is composed of one frame, which is divided into three spaces by two partition walls a, and spaces on both sides of the filter case ( The filter frame 850 on which the 870 is mounted is provided, and the center space is the filter damper 810 on which the damper blade 920 is mounted.

두 개의 격벽(a)에 의해 구획된 세 개의 공간 중 양측의 공간이 되는 필터 프레임(85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 커버(110)에 형성된 필터 케이스 인출홀(114)의 하부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filter frame 850, which is a space on both sides of the three spaces partitioned by the two partition walls a, has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case withdrawal hole 114 formed in the top cover 110. Is placed on.

이러한 필터 프레임(850)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과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후면에는 세로로 긴 사각 형상의 공기통과구멍(8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통과구멍(851)에는 가로로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85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7, the filter frame 850 is formed to be vertically elongated, and has a front and upper portions open, and a vertically long rectangular air passage hole 851 is formed at the rear side. . The air passage hole 85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852 arranged horizont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이렇게 필터 프레임(85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필터 프레임(850)에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870)를 개방된 상부로 인출할 수 있다.Thus,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frame 850 is open, and the filter case 870 mounted on the filter frame 850 may be drawn out to the open upper part.

두 개의 격벽(a)에 의해 구획된 세 개의 공간 중 가운데 공간이 되는 필터댐퍼는(810)는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와 전면이 개방된 형태이며, 후면에는 세로로 긴 사각 형상의 공기 관통공(811)이 형성되어 있다.Among the three spaces partitioned by the two partition walls (a), the filter damper which becomes the center space 810 is formed vertically long, the upper and front sides are open, and the square air is vertically long on the rear side. The through hole 811 is formed.

공기 관통공(811)에는 한 쌍의 댐퍼날개(812)가 세로로 길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댐퍼날개(812)에 의해 공기 관통공(811)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In the air through hole 811, a pair of damper blades 812 are vertically arranged and rotatably mounted. Therefore, the air through hole 811 can be opened or closed by the pair of damper wings 812.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터댐퍼(810)의 작동을 살펴보면, 가습 또는 제습 작동시에 댐퍼날개(812)가 회전하여 공기 관통공(811)을 개방하여 필터댐퍼(810)가 개방됨으로써, 가습댐퍼(730)를 통과한 가습 공기 또는 제습댐퍼(720)를 통과한 제습 공기가 본체(100)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습 공기 또는 제습 공기 중의 일부는 필터 프레임(850)에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870) 내의 필터(890)를 통과하여 여과가 이루어진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filter damper 8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amper blade 812 is rotated during the humidification or dehumidification operation to open the air through-hole 811 to open the filter damper 810, humidification damper 730 Humidification air passing through or dehumidifying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is mov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At this time, some of the humidified air or the dehumidified air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890 in the filter case 870 mounted on the filter frame 850.

또한, 청정 가습 작동시 또는 청정 제습 작동시에 댐퍼날개(812)가 회전하여 공기 관통공(811)을 폐쇄하여 필터댐퍼(810)가 폐쇄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므로 가습 공기 또는 제솝 공기는 필터 케이스(870) 내의 필터(890)를 통과하므로 여과가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damper blade 812 is rotated during the clean humidification operation or the clean dehumidification operation to close the air through-hole 811 to close the filter damper 810, thereby blocking the flow of air, so that humidified air or dehumidified air Filtration takes place through the filter 890 in the filter case 870.

필터 프레임(850)에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870)를 도 28에 도시하였다.28 illustrates a filter case 870 mounted to the filter frame 850.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870)는 필터 장착부(871)와 손잡이부(87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8, the filter case 87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ilter mounting portion 871 and a handle 875.

필터 장착부(871)는 헤파필터와 같은 필터(870)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 형상이며, 필터(870)가 탈착 가능하도록 전면이 개방되어 있다.The filter mounting portion 871 has a case shape capable of accommodating a filter 870 such as a HEPA filter, and has an open front surface so that the filter 870 is detachable.

필터 장착부(871)의 후면에는 다수의 공기 통과공(872)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통과공(872)은 필터 장착부(871) 후면에 넓게 형성되는 것이 공기가 잘 통과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air passage holes 872 are formed at the rear of the filter mounting part 871, and the air passage holes 872 are preferably formed wide at the rear of the filter mounting part 871 in view of the good air passage. .

필터 장착부(871)의 하면(B)은 필터의 하면(b) 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surface B of the filter mounting part 871 is preferably formed narrower than the lower surface b of the filter.

필터 장착부(871)의 하면에는 하면의 일부면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탄성후크부(871)가 마련되어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part 871 is provided with the elastic hook part 871 formed by cutting a partial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탄성후크부(871)는 필터 장착부(871)의 하면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즉, 탄성후크부(871)는 필터 장착부(871) 하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필터(89)의 하면을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elastic hook portion 871 is formed wid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871. That is, the elastic hook portion 871 protrudes forwar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871, and is formed to hold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89.

필터 장착부(871) 전면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874)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874)는 필터(890)의 상측을 잡아준다.A locking portion 874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front face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871. The catching part 874 catches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890.

손잡이부(875)는 지지부(876)와 손가락 삽입부(877)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andle portion 875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upport portion 876 and finger insertion portion 877.

한 쌍의 지지부(876)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필터 장착부(871)의 상면에 세워져 있다.The pair of support portions 876 are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are er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871.

손가락 삽입부(877)는 한 쌍의 지지부(876)를 연결하며,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The finger inserting portion 877 connects the pair of supporting portions 876, and one side is open to insert a fing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터 케이스(870)의 탄성후크부(873)에 필터(890)의 하면을 안착시킨 다음, 필터 장착부(871)에 완전히 필터(890)가 삽입되도록 하면, 걸림부(874)에 의해 필터(890)가 필터 장착부(871)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완전히 장착된다.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890 is seated on the elastic hook portion 873 of the filter case 8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lter 89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871, the hook portion 874 As a result, the filter 890 is completely mount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871.

필터(890)의 청소 또는 교체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 커버(110)에 장착된 토출 그릴(117)을 탈거하면, 필터 케이스 인출홀(114)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는 손가락 삽입부(877)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상부로 잡아당기면, 필터 케이스(870)가 외부로 인출된다.When the filter 890 is cleaned or replaced, as shown in FIG. 1, when the discharge grill 117 attached to the top cover 110 is removed, the finger exposed through the filter case extraction hole 114 is inserted. When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portion 877 and pulled upward, the filter case 870 is drawn out.

그리고 필터 케이스(870)의 탄성후크부(873)를 하부로 잡아당겨 필터(890)를 필터 장착부(871)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hook portion 873 of the filter case 870 is pulled downward to easily remove the filter 890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871.

이렇게, 필터 케이스(870)가 필터 장착부(871)와 손잡이부(875)로 구성됨에 따라, 필터(890)를 탈착하기 용이하므로 필터(890)의 청소나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as the filter case 870 includes the filter mounting part 871 and the handle part 875, the filter 890 may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and thus the filter 890 may be easily cleaned or replaced.

또한, 손잡이부(875)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본체(100)의 상부로 인출하기 용이하므로 누구나 손으로 쉽게 필터 케이스(870)를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875 to easily pull ou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yone can easily pull out or insert the filter case 870 by hand,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미들 서포트(400)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는 송풍 덕트 안착홈(430)에 하면이 안착되는 송풍 덕트(900)를 도 29에 도시하였다.29 illustrates a blower duct 900 having a lower surface seated on the blower duct seating groove 430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middle support 400.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덕트(900)의 전면이 개방되어 송풍팬(950)이 안착되며, 송풍 덕트(900)의 상면도 개방되어 탑 커버(110)에 형성된 토출구(113)의 하부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9, the front surface of the blower duct 900 is opened to seat the blower fan 950, and the top surface of the blower duct 900 is also opened to ope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hole 113 formed in the top cover 110. Is placed on.

송풍 덕트(900)에 장착된 송풍팬(950)은 외부의 공기를 본체(100) 내부로 유입시켜 송풍 덕트(900)를 통과하여 토출구(113)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The blower fan 950 mounted to the blower duct 900 introduces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100 to pass through the blower duct 9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3.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습 제습 복합기의 유로 구조 및 공기의 이동경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flow path structure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air of the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al composit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가습 작동시에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댐퍼(720)가 폐쇄되고, 가습댐퍼(730)가 개방되며, 필터댐퍼(810)가 개방된다.First, in the humidification operation, as shown in FIG. 30,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is closed, the humidification damper 730 is opened, and the filter damper 810 is opened.

이 상태에서 가습 유로는 외부의 공기가 가습 흡입구(123)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디스크 어셈블리(250)를 통과하면서 가습 상태되어 가습댐퍼(730)를 통과하고, 가습댐퍼(730)를 통과한 가습 공기는 필터댐퍼(810) 및 필터(890)를 통과하여 토출구(113)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In this state, the humidifying passage is humidified while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humidifying suction port 123 to pass through the humidifying damper 730 while passing through the disc assembly 250, and passes through the humidifying damper 730. One humidified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damper 810 and the filter 890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discharge port 113 is discharged.

즉, 가습 작동시 가습 흡입구(123)를 통하여 본체(100)의 하부 양측면에서 외부 공기가 수조(200) 내로 유입되고, 디스크 어셈블리(250)를 통과하면서 가습된 상태가 된다. 가습 상태의 공기는 개방된 가습댐퍼(730)를 통과하여 본체(100)의 상부 후방측으로 이동한다.That is, in the humidifying operation, outside air flows into the water tank 200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humidifying suction port 123, and the humidified state is 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isk assembly 250. The humidified air passes through the open humidification damper 730 to move to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이때, 필터댐퍼(810)는 개방되어 있어, 가습 공기의 일부는 필터댐퍼(810)를 통과하고, 가습 공기의 나머지는 두 개의 필터(890)를 통과한다. 따라서, 가습 작동시에도 일부분의 공기는 필터(890)를 통과하므로 어느 정도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ter damper 810 is open, so that part of the humidified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damper 810, and the remainder of the humidified air passes through the two filters 890. Therefore, even in the humidification operation, a part of the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890, so that some degree of filtration can be achieved.

필터댐퍼(810) 및 필터(890)를 통과한 가습 공기는 송풍 덕트(900)를 지나 상면의 토출구(113)를 통하여 배출된다.
The humidifi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damper 810 and the filter 890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duct 900 through the blowing duct 900.

다음으로, 청정 가습 작동시에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댐퍼(720)가 폐쇄되고, 가습댐퍼(730)가 개방되며, 필터댐퍼(810)가 폐쇄된다.Next, in the clean humidification operation, as shown in FIG. 31,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is closed, the humidification damper 730 is opened, and the filter damper 810 is closed.

이 상태에서, 청정 가습 유로는 외부의 공기가 가습 흡입구(123)를 통하여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디스크 어셈블리(250)를 통과하면서 가습된 상태가 되어, 가습댐퍼(730)를 통과하고, 가습댐퍼(730)를 통과한 가습 공기는 필터(89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상태가 되며, 필터(890)를 통과한 가습 및 여과 공기는 토출구(113)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In this state, the outside of the clean humidifying flow path is introduced into the humidified air inlet 123, the outside air is 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isk assembly 250, and passes through the humidification damper 730 The humidifying air passing through the humidification damper 730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890, and the humidifying and filtering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890 provides a path for discharg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3. .

즉, 청정 가습 작동시 가습 흡입구(123)를 통하여 본체(100)의 하부 양측면에서 외부 공기가 수조(200) 내로 유입되고, 디스크 어셈블리(250)를 통과하면서 가습된 상태가 된다. 가습 상태의 공기는 개방된 가습댐퍼(730)를 통과하여 본체(100)의 상부 후방측으로 이동한다.That is, in the clean humidification operation, external air flows into the water tank 200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humidification suction port 123, and is 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isk assembly 250. The humidified air passes through the open humidification damper 730 to move to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이때, 필터댐퍼(810)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가습 공기는 양측으로 갈라져 두 개의 필터(890)를 각각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진다. 여과된 청정 가습 공기는 본체(100)의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송풍 덕트(900)를 지나 상면의 토출구(113)를 통하여 배출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filter damper 810 is closed, the humidifying air is split into both sides, and the filtration is per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wo filters 890, respectively. The filtered clean humidifying air moves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passes through the blowing duct 90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3 on the upper surface.

다음으로, 제습 작동시에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댐퍼(730)가 폐쇄되고, 제습댐퍼(720)가 개방되며, 필터댐퍼(810)가 개방된다.Next, in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as shown in FIG. 32, the humidification damper 730 is closed,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is opened, and the filter damper 810 is opened.

이 상태에서, 제습 유로는 외부의 공기가 제습 흡입구(122)를 통하여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열교환부(60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상태가 되어, 제습댐퍼(720)를 통과하고, 제습댐퍼(720)를 통과한 제습 공기는 필터댐퍼(810) 및 필터(890)를 통과하여 토출구(113)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In this state, the dehumidification flow path is outside th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inlet 122, the introduced outside air is de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600, passes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The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passes through the filter damper 810 and the filter 890 to provide a path for discharg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3.

즉, 제습 작동시 제습 흡입구(122)를 통하여 본체(100)의 상부 양측면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제습 덕트(500)를 따라 본체(100)의 상부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열교환부(60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상태가 된다. 제습 상태의 공기는 개방된 제습댐퍼(720)를 통과하여 본체(100)의 상부 후방측으로 이동한다.That is, in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outside air flows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dehumidifying inlet 122, and moves along the dehumidifying duct 500 toward the upp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pass through the heat exchange part 600. While dehumidified. The air in the dehumidification state passes through the open dehumidification damper 720 and moves to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이때, 필터댐퍼(810)는 개방되어 있어, 제습 공기의 일부는 필터댐퍼(810)를 통과하고, 제습 공기의 나머지는 두 개의 필터(890)를 통과한다. 따라서, 제습 작동시에도 일부분의 공기는 필터(890)를 통과하므로 어느 정도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ter damper 810 is open so that a part of the dehumidified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damper 810, and the remainder of the dehumidified air passes through the two filters 890. Therefore, even in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a part of the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890, so that some degree of filtration can be achieved.

필터댐퍼(810) 및 필터(890)를 통과한 제습 공기는 송풍 덕트(900)를 지나 상면의 토출구(113)를 통하여 배출된다.
The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damper 810 and the filter 89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3 of the upper surface through the blowing duct 900.

마지막으로, 청정 제습 작동시에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댐퍼(730)가 폐쇄되고, 제습댐퍼(720)가 개방되며, 필터댐퍼(810)가 폐쇄된다.Finally, in the clean dehumidification operation, as shown in FIG. 33, the humidification damper 730 is closed,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is opened, and the filter damper 810 is closed.

이 상태에서, 청정 제습 유로는 외부의 공기가 제습 흡입구(122)를 통하여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열교환부(60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상태가 되어, 제습댐퍼(720)를 통과하고, 제습댐퍼(720)를 통과한 제습 공기는 필터(89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상태가 되며, 필터(890)를 통과한 제습 및 여과 공기는 토출구(113)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In this state,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lean dehumidification passage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inlet 122, and the introduced outside air is de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part 600, and passes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The dehumidification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damper 720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890, and the dehumidification and filtration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890 provides a path for discharg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3. .

즉, 청정 제습 작동시 제습 흡입구(122)를 통하여 본체(100)의 상부 양측면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제습 덕트(500)를 따라 본체(100)의 상부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열교환부(60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상태가 된다. 제습 상태의 공기는 개방된 제습댐퍼(720)를 통과하여 본체(100)의 상부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That is, in the clean dehumidification operation, outside air flows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dehumidifying suction opening 122, and moves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along the dehumidifying duct 500 to move the heat exchange part 600. As it passes, it is in a dehumidified state. The air in the dehumidification state passes through the open dehumidification damper 720 and moves to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이때, 필터댐퍼(810)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제습 공기는 양측으로 갈라져 두 개의 필터(890)를 각각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진다. 필터(890)를 통과한 여과된 청정 제습 공기는 본체(100)의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송풍 덕트(900)를 지나 상면의 토출구(113)를 통하여 배출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filter damper 810 is closed, the dehumidifying air is split into both sides and passes through the two filters 890, respectively, to perform filtration. The filtered clean dehumidifying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890 moves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passes through the air blowing duct 90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3 on the upper surfa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습 제습 복합기는 하나의 본체(100)로 상황에 따라 가습, 청정 가습, 제습, 청정 제습 상태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된다.The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 composit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provide air in a humidification, clean humidification, dehumidification, and clean dehumidification state according to a situation with one main body 100,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그리고, 가습기와 제습기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공간 사용이 효율적이고, 별도 구매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In addition, since the humidifier and the dehumidifier do not need to be used separately, the use of the space is less efficient and the cost of the separate purchase is economical.

나아가, 본체(100) 내부의 미들 서포트(400)의 상부에 댐퍼 프레임(700), 일체형 프레임(800), 송풍 덕트(900)를 차례로 구성함으로써, 본체(100)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본체(100)의 외관이 콤팩트하다. Furthermore, the damper frame 700, the integrated frame 800, and the blower duct 900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middle support 400 inside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100 can be used efficiently. And the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00 is compact.

또한, 송풍 덕트(900)를 가습, 청정 가습, 제습, 청정 제습 작동시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가습 유로, 청정 가습 유로, 제습 유로, 청정 제습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blower duct 900 in common during humidification, clean humidification, dehumidification, and clean dehumidification operation, an efficient humidification flow path, a clean humidification flow path, a dehumidification flow path, and a clean dehumidification flow path can be form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본체 110 : 탑 커버
111 : 디스플레이 패널 112 : 토출 그릴 안착부
113 : 토출구 114 : 필터 케이스 인출홀
115 : 토출 필터 116 : 토출 필터 손잡이
117 : 토출 그릴 120 : 프론트 바디커버
121 : 수조 출입구 122 : 제습 흡입구
123 : 가습 흡입구 124 : 손잡이
125 : 수조보관함 커버 126 : 제습 흡입 그릴
127 : 가습 흡입 그릴 130 : 리어 바디커버
131 : 제습물통 출입구 132 : 후방 돌출면
134 : 리어커버 135 : 통기홀
136 : 리모컨 보관부 137 : 걸림돌기
138 : 손가락 삽입홈 139 : 손잡이
140 : 베이스 프레임 141 : 수조 보관함
142 : 제습물통 보관함 143 : 기계실
144 : 압축기 145 : 흡입구 배치홈
147 : 센서부 150 : 체결수단 장착부
151 : 바닥부 152 : 수직부
154 : 연결부 155 : 날개 지지부
156 : 보강리브 160 : 클립
161 : 상면부 162 : 관통공
163 : 홈 164 : 날개부
165 : 고정돌기홈 170 : 체결수단
180 : 장착패널 181 : 슬릿
190 : 모터 브라켓 200 : 수조
210 : 플롯제 220 : 자석
230 : 구동기어 250 : 디스크 어셈블리
260 : 디스크 장착축 270 : 디스크
300 : 제습물통 310 : 저수통
320 : 캡 330 : 플롯 레버
340 : 물통 커버 400 : 미들 서포트
410 : 연통홀 420 : 물 수용홈
421 : 드레인 홀 430 : 송풍 덕트 안착홈
440 : 먼지센서 조립부 450 : 먼지센서
500 : 제습덕트 600 : 열교환부
610 : 응축기 630 : 증발기
650 : 제습조 660 : 호스
670 : 바이패스 호스 700 : 댐퍼 프레임
710 : 댐퍼본체 720 : 제습댐퍼
730 : 가습댐퍼 800 : 일체형 프레임
810 : 필터댐퍼 850 : 필터 프레임
870 : 필터 케이스 871 : 필터 장착부
872 : 공기 통과공 873 : 탄성후크부
874 : 걸림부 875 : 손잡이부
890 : 필터 900 : 송풍덕트
950 : 송풍팬
100: body 110: top cover
111: display panel 112: discharge grill seating portion
113: discharge port 114: filter case withdrawal hole
115: discharge filter 116: discharge filter knob
117: discharge grill 120: front body cover
121: water tank entrance 122: dehumidification intake
123: humidification inlet 124: handle
125: tank storage cover 126: de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27: humidification suction grill 130: rear body cover
131: dehumidification bucket entrance 132: rear projecting surface
134: rear cover 135: vent hole
136: remote control storage unit 137: jamming projection
138: finger insertion groove 139: handle
140: base frame 141: tank storage
142: dehumidification container storage box 143: machine room
144: compressor 145: suction inlet groove
147: sensor portion 150: fastening means mounting portion
151: bottom portion 152: vertical portion
154: connecting portion 155: wing support
156: reinforcement rib 160: clip
161: upper surface portion 162: through hole
163: groove 164: wing
165: fixing projection groove 170: fastening means
180: mounting panel 181: slit
190: motor bracket 200: water tank
210: plotting agent 220: magnet
230: drive gear 250: disk assembly
260: disc mounting shaft 270: disk
300: dehumidification bucket 310: reservoir
320: cap 330: plot lever
340: bucket cover 400: middle support
410: communication hole 420: water receiving groove
421: drain hole 430: ventilation duct seating groove
440: dust sensor assembly 450: dust sensor
500: dehumidification duct 600: heat exchanger
610: condenser 630: evaporator
650: dehumidifier 660: hose
670: bypass hose 700: damper frame
710: damper main body 720: dehumidification damper
730: humidification damper 800: integrated frame
810: filter damper 850: filter frame
870: filter case 871: filter mounting
872: air passage hole 873: elastic hook portion
874: engaging portion 875: handle portion
890: filter 900: blowing duct
950: Blowing Fan

Claims (7)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들 서포트;
상기 미들 서포트의 상부 전측에 배치되는 댐퍼 프레임;
상기 미들 서포트의 상부 후측에 배치되는 송풍 덕트;
상기 미들 서포트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댐퍼 프레임과 상기 송풍 덕트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댐퍼와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A base frame;
A middle support disposed above the base frame;
A damper frame disposed at an upper front side of the middle support;
A blowing duct disposed on an upper rear side of the middle support;
And a filter damper and a filter frame disposed on the middle support and disposed between the damper frame and the blower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수조가 보관되는 수조 보관함과,
제습물통이 보관되는 제습물통 보관함과,
압축기 등이 보관되는 기계실이 각각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frame includes:
A tank container where the tank is stored,
Dehumidification bucket storage container for dehumidification bucket,
A main body structure of a humidification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 machine room in which a compressor or the like is stored is divid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보관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습물통 보관함 및 상기 기계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측 영역을 분할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The tank storage box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The dehumidification container storage box and the machine room is a main structure of the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by dividing the rear region of the bas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프레임에는, 가습 또는 청정 가습 작동시 개방되는 가습댐퍼와, 제습 또는 청정 제습 작동시 개방되는 제습댐퍼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damper frame, the humidifier damper that is opened during the humidification or clean humidification operation, and the dehumidification damper that is opened during the dehumidification or clean dehumidification opera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structure of the humidification dehumidifi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댐퍼는 상기 댐퍼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습댐퍼는 상기 댐퍼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댐퍼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humidification damper is disposed above the damper frame,
The humidification damper is disposed below the damper frame, the main structure of the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protruding forward of the damp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가습 또는 제습 작동시 개방되는 상기 필터댐퍼와, 청정 가습 또는 청정 제습 작동시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부가 각각 장착되는 상기 필터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일체형 프레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 main structure of the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damper which is opened during the humidification or dehumidification operation, and the filter frame to which the filter part through which air passes during the clean humidification or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are respectively formed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an integrated frame.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댐퍼는 상기 일체형 프레임의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필터댐퍼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lter damper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unitary frame,
The filter frame is the main body structure of the humidifying dehumidifying multifunction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damper.
KR1020110120969A 2011-11-18 2011-11-18 Main body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1018525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969A KR101852516B1 (en) 2011-11-18 2011-11-18 Main body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969A KR101852516B1 (en) 2011-11-18 2011-11-18 Main body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293A true KR20130055293A (en) 2013-05-28
KR101852516B1 KR101852516B1 (en) 2018-04-27

Family

ID=4866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969A KR101852516B1 (en) 2011-11-18 2011-11-18 Main body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5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142A1 (en) * 2014-11-27 2016-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and dehumidifier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522B1 (en) * 1994-09-12 2002-10-25 엘지전자주식회사 Dehumidifying and humidifying apparatus
JP2007278633A (en) * 2006-04-10 2007-10-25 Tiger Vacuum Bottle Co Ltd Dehumidifier/humidifi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142A1 (en) * 2014-11-27 2016-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and dehumidifier having the same
RU2674633C1 (en) * 2014-11-27 2018-12-11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Device for determining water level and desiccant with device for determining water level
US10578481B2 (en) 2014-11-27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and dehumidifi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516B1 (en)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5372A (en) Water tank structure of dehumidifier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102384474B1 (en) Evaporative humidifier
KR20060129671A (en) A dehumidifier
KR20060129677A (en) A dehumidifier
KR20130055369A (en) Outlet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378A (en) Dehumidification duct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374A (en) Damper frame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370A (en) Structure for accepting of dehumidification water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382A (en) Filter case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70029138A (en) 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55293A (en) Main body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301A (en) Structure for guiding dehumidification water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381A (en) Keeping structure of remote control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300A (en) Detachable structure for intake grille of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371A (en) Structure for dust sensor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298A (en) Structure for water level sense of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297A (en) Conbination construction of body in apparatus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375A (en) Base frame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296A (en) Blast duct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295A (en) Handle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294A (en) Safety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30055299A (en) Intake gate structure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20190033789A (en) Control apparatus of humidifying air purifier
KR101403010B1 (en) Apparatus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KR101403012B1 (en) Air path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