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877A - 폐지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폐지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877A
KR20130053877A KR20110119575A KR20110119575A KR20130053877A KR 20130053877 A KR20130053877 A KR 20130053877A KR 20110119575 A KR20110119575 A KR 20110119575A KR 20110119575 A KR20110119575 A KR 20110119575A KR 20130053877 A KR20130053877 A KR 20130053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aste paper
compression
chamber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1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회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회용
Priority to KR20110119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877A/ko
Publication of KR2013005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57Fluid-drive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20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 Y10S100/914Scrap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지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지를 압축하고 다수의 와이어로 압축된 폐지를 풀리지 않도록 결속하는 과정이 동지에 이루어지면서 와이어를 결속하는 장치에 의하여 압축장치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선별된 폐지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단과 인접한 폐지낙하홀을 통하여 낙하된 폐지가 압축되는 압축실과, 상기 압축실의 일측에 형성되어 투입된 폐지를 압축하기 위하여 압축실린더 및 상기 압축실린더의 끝단에 장착되는 압축블록로 이루어지는 압축장치와, 상기 압축실의 상기 압축장치가 장착된 타측면으로 연장되어 압축된 폐지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로 구성되는 폐지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장치는 상기 압축장치의 외부 양측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장착되며 와이어가 권취되는 다수의 와이어릴과; 상기 압축실에서 사각 블록의 형상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압축된 폐지가 이송되는 폐지이송실과; 상기 와이어릴에서 공급되는 와이어가 상기 폐지이송실로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일정간격 배열되어 관통된 다수의 와이어 삽입홀과; 상기 와이어 삽입홀이 형성되는 일측면에서 상기 압축실 반대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곳에 형성되는 다수의 장홀과; 상기 장홀에 삽입되되 끝단은 수평방향의 와이어 견인홈이 형성되어 폐지이송실에 삽입된 와이어 끝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바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와이어 견인편과; 다수의 상기 와이어 견인편을 상기 장홀으로 삽입되어 상기 폐지 이송실의 타측 내벽면까지 수평 이동시키고 복귀하도록 하는 견인편 이송장치와; 상기 와이어 견인편에 의하여 이송된 일측의 와이어를 타측의 와이어와 결속 및 절단하는 와이어 결속부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블록의 폐지를 밀착하는 면에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는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과, 상기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의 후방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견인편이 삽입되는 견인편 삽입홀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지 압축장치{The construction compression paper}
본 발명은 폐지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폐지를 압축하고 다수의 와이어로 압축된 폐지를 풀리지 않도록 결속하는 과정이 동지에 이루어지면서 와이어를 결속하는 장치에 의하여 압축장치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폐지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에 따라 그 사용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종이는 천연 식물재료 주로 목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환경적인 측면에서 산림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종이 즉 폐지의 재활용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2005년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한 해 동안 약 종이 840만 톤을 소비하고 반대로 폐지로 수집되는 양은 약 710만 톤으로 상당히 많은 분량이 재활용되고 있으며 일반가정이나 상업시설에서 나오는 신문지, 책, 포장지가 전체 폐지 발생량의 50퍼센트 정도를 차지하며 신문사나 인쇄소에서 배출되는 폐지가 약 40퍼센트, 학교·군부대·관공서에서 배출되는 폐지가 약 1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폐지를 이용하여 종이를 포함하는 폐지를 이용한 각종 재활용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폐지의 운송이 이루어져야 함은 자명한 일이며 이러한 운송을 위해서는 폐지를 압축하여 부피를 줄이는 작업은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폐지압축기는 수집된 재활용품들 중에 폐지만을 수집한 후 이를 2차로 가공하는 업체에 이송시 상기 이송의 편리함을 위해 압축하는 장치로서, 그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67050-0000호 (1999년10월29일)에 나타낸 것으로 선별된 폐지를 호퍼내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Conveyor)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폐지를 압축실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상기 압축실로 투입된 폐지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실린더와, 상기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된 폐지뭉치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축실린더에 의하여 폐지가 압축된 후 압축실린더를 후퇴시키면 폐지가 다시 부풀러 오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효과적으로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도록 하면서 결속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폐지가 의하여 내부 각종 장치에 끼어 작동에 방해가 될 우려가 많아 특히 결속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67050-0000호 (1999년10월29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2-0003463호 (2002년01월12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67049-0000호 (1999년10월29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37414-0000호 (2008년06월0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폐지를 압축한 후 압축실린더가 후퇴하지 않은 상태에서 폐지를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폐지 압축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폐지가 내부 작동을 하는 부품에 끼여 작동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폐지 압축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별된 폐지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단과 인접한 폐지낙하홀을 통하여 낙하된 폐지가 압축되는 압축실과, 상기 압축실의 일측에 형성되어 투입된 폐지를 압축하기 위하여 압축실린더 및 상기 압축실린더의 끝단에 장착되는 압축블록로 이루어지는 압축장치와, 상기 압축실의 상기 압축장치가 장착된 타측면으로 연장되어 압축된 폐지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로 구성되는 폐지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장치는 상기 압축장치의 외부 양측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장착되며 와이어가 권취되는 다수의 와이어릴과; 상기 압축실에서 사각 블록의 형상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압축된 폐지가 이송되는 폐지이송실과; 상기 와이어릴에서 공급되는 와이어가 상기 폐지이송실로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일정간격 배열되어 관통된 다수의 와이어 삽입홀과; 상기 와이어 삽입홀이 형성되는 일측면에서 상기 압축실 반대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곳에 형성되는 다수의 장홀과; 상기 장홀에 삽입되되 끝단은 수평방향의 와이어 견인홈이 형성되어 폐지이송실에 삽입된 와이어 끝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바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와이어 견인편과; 다수의 상기 와이어 견인편을 상기 장홀으로 삽입되어 상기 폐지 이송실의 타측 내벽면까지 수평 이동시키고 복귀하도록 하는 견인편 이송장치와; 상기 와이어 견인편에 의하여 이송된 일측의 와이어를 타측의 와이어와 결속 및 절단하는 와이어 결속부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블록의 폐지를 밀착하는 면에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는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과, 상기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의 후방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견인편이 삽입되는 견인편 삽입홀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와 인접한 상면에는 다수의 고정부에 의하여 일측이 고정 장착되고 타측은 스프링에 의하여 항상 상기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의 입구를 막도록 하는 개폐판넬이 형성되는 스프링 장석이 고정 장착되되;
상기 개폐판넬의 상기 와이어 견인편이 최초 삽입되는 측 끝단은 상기 개폐판넬의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가이드 절곡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실린더가 폐지를 압축한 후 압축실을 빠져나와 더욱 전진하여 압축된 폐지에 밀착된 상태에서 결속이 진행되어 압축된 폐지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블록에 스프링 장석에 의하여 개폐되는 개폐판넬을 두어 와이어 견인편 삽입홀에 폐지가 들어가 장치의 작동에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장치의 가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지의 압축과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결속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축블록 및 와이어 견입편의 삽입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견입편의 삽입에 따른 개폐판넬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지의 압축과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결속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선별된 폐지(1)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컨베이어(2 ;Conveyor)와, 상기 컨베이어(2)의 상단과 인접한 폐지낙하홀(31)을 통하여 낙하된 폐지(1)가 압축되는 압축실(3)과, 상기 압축실(3)의 일측에 형성되어 투입된 폐지(1)를 압축하기 위하여 압축실린더(41) 및 상기 압축실린더(41)의 끝단에 장착되는 압축블록(42)로 이루어지는 압축장치(4)와, 상기 압축실(3)의 상기 압축장치(4)가 장착된 타측면으로 연장되어 압축된 폐지(11)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5)로 구성되는 폐지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장치(5)는 상기 압축장치(4)의 외부 양측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장착되며 와이어(51)가 권취되는 다수의 와이어릴(52)과; 상기 압축실(4)에서 사각 블록의 형상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압축된 폐지(11)가 이송되는 폐지이송실(53)과; 상기 와이어릴(52)에서 공급되는 와이어(51)가 상기 폐지이송실(53)로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일정간격 배열되어 관통된 다수의 와이어 삽입홀(54)과; 상기 와이어 삽입홀(54)이 형성되는 일측면에서 상기 압축실(3) 반대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곳에 형성되는 다수의 장홀(55)과; 상기 장홀(55)에 삽입되되 끝단은 수평방향의 와이어 견인홈(561)이 형성되어 폐지이송실(53)에 삽입된 와이어(51) 끝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바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와이어 견인편(56)과; 다수의 상기 와이어 견인편(56)을 상기 장홀(55)으로 삽입되어 상기 폐지 이송실(53)의 타측 내벽면까지 수평 이동시키고 복귀하도록 하는 견인편 이송장치(57)와; 상기 와이어 견인편(56)에 의하여 이송된 일측의 와이어(51)를 타측의 와이어(51)와 결속 및 절단하는 와이어 결속부(58)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블록(42)의 폐지(1)를 밀착하는 면에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는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421)과, 상기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421)의 후방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견인편(56)이 삽입되는 견인편 삽입홀(422)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 압축장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압축장치의 작동은 먼저 폐지(1)가 컨베이어(2)에 의하여 이송되면 폐지낙하홀(31)을 통하여 압축실(3)로 이송된다.
정당한 분량의 폐지가 쌓이게 되면 상기 압축장치(4)는 압축실린더(41)을 작동하여 압축블록(42)이 폐지(1)를 일벽면으로 가압하여 압축된 폐지를 생성하게 되고, 이렇게 압축된 폐지(11)는 압축실(3)의 일벽면이 개방되면서 압축블록(42)에 의하여 폐지이송실(53)로 이송되며, 이때 와이어(51)는 압축된 폐지(11)의 세 면을 감싸고 있다.
상기 압축블록(42)의 견인편 삽입홀(422)이 상기 장홀(55)과 일치하면 상기 견인편 이송장치(57)에 의하여 와이어 견인편(56)을 장홀(55)에 삽입하여 와이어(51)가 와이어 견인홈(561)에 결리고 계속 견인편 삽입홀(422)에 삽입하여 끝단이 와이어 결속부(58)까지 이송된다.
상기 와이어 결속부(58)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수회 양측 와이어를 상호 꼬아 연결한 다음 중간을 절단하면 압축된 폐지(11)를 와이어가 연결하고, 이후 압축될 폐지를 위하여 양측 와이어(51)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폐지가 압축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결속되어 운반과정중에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축블록 및 와이어 견입편의 삽입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견입편의 삽입에 따른 개폐판넬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421)와 인접한 상면에는 다수의 고정부(423)에 의하여 일측이 고정 장착되고 타측은 스프링에 의하여 항상 상기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421)의 입구를 막도록 하는 개폐판넬(424)이 형성되는 스프링 장석(425)이 고정 장착되되;
상기 개폐판넬(242)의 상기 와이어 견인편(56)이 최초 삽입되는 측 끝단은 상기 개폐판넬(242)의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가이드 절곡부(426)가 형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전술한 기본 실시 예의 경우 폐지(11)를 압축하는 과정과 와이어(51)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42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폐지 및 기타 이물질이 내부에 들어갈 우려가 상당히 높으며 이 경우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이를 제거해야하는 이 과정은 연속적인 공정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우려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프링 장석(425)을 두고 이에 의하여 항상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개폐판넬(424)을 둔 것이다.
상기 개폐판넬(424)은 상기 와이어 견인편(56)이 와이어(51)와 함께 상기 견인편 삽입홀(422)에 삽입될 때 긴장된 와이어(51)가 상기 가이드절곡부(426)에 밀착하여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개폐판넬(424)이 들려 와이어(51)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421)으로 삽입되게 되며, 최초 개폐판넬(424)이 들릴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개폐판넬(424)은 와이어(51)가 삽입될 정도로 조금만 열려 상기 압축블록(42)과 개폐판넬(424)의 사이에서 와이어(51)와 함께 딸려올 수 있는 폐지를 걸러낼 수도 있는 것이다.
1 : 폐지
11 : 압축된 폐지
2 : 컨베이어
3 : 압축실
31 : 폐지낙하홀
4 : 압축장치
41 : 압축실린더
42 : 압축블록
421 :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 422 : 견인편 삽입홀
423 : 고정부 424 : 개폐판넬
425 : 스프링 장석 426 : 가이드 절곡부
5 : 결속장치
51 : 와이어 52 : 와이어릴
53 : 폐지이송실 54 : 와이어 삽입홀
55 : 장홀 56 : 와이어 견인편
561 : 와이어 견인홈 57 : 견인편 이송장치
58 : 와이어 결속부

Claims (2)

  1. 선별된 폐지(1)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컨베이어(2 ;Conveyor)와, 상기 컨베이어(2)의 상단과 인접한 폐지낙하홀(31)을 통하여 낙하된 폐지(1)가 압축되는 압축실(3)과, 상기 압축실(3)의 일측에 형성되어 투입된 폐지(1)를 압축하기 위하여 압축실린더(41) 및 상기 압축실린더(41)의 끝단에 장착되는 압축블록(42)로 이루어지는 압축장치(4)와, 상기 압축실(3)의 상기 압축장치(4)가 장착된 타측면으로 연장되어 압축된 폐지(11)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5)로 구성되는 폐지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장치(5)는 상기 압축장치(4)의 외부 양측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장착되며 와이어(51)가 권취되는 다수의 와이어릴(52)과; 상기 압축실(4)에서 사각 블록의 형상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압축된 폐지(11)가 이송되는 폐지이송실(53)과; 상기 와이어릴(52)에서 공급되는 와이어(51)가 상기 폐지이송실(53)로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일정간격 배열되어 관통된 다수의 와이어 삽입홀(54)과; 상기 와이어 삽입홀(54)이 형성되는 일측면에서 상기 압축실(3) 반대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곳에 형성되는 다수의 장홀(55)과; 상기 장홀(55)에 삽입되되 끝단은 수평방향의 와이어 견인홈(561)이 형성되어 폐지이송실(53)에 삽입된 와이어(51) 끝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바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와이어 견인편(56)과; 다수의 상기 와이어 견인편(56)을 상기 장홀(55)으로 삽입되어 상기 폐지 이송실(53)의 타측 내벽면까지 수평 이동시키고 복귀하도록 하는 견인편 이송장치(57)와; 상기 와이어 견인편(56)에 의하여 이송된 일측의 와이어(51)를 타측의 와이어(51)와 결속 및 절단하는 와이어 결속부(58)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블록(42)의 폐지(1)를 밀착하는 면에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는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421)과, 상기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421)의 후방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견인편(56)이 삽입되는 견인편 삽입홀(422)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 압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421)와 인접한 상면에는 다수의 고정부(423)에 의하여 일측이 고정 장착되고 타측은 스프링에 의하여 항상 상기 와이어 가이드 절개홈(421)의 입구를 막도록 하는 개폐판넬(424)이 형성되는 스프링 장석(425)이 고정 장착되되;
    상기 개폐판넬(242)의 상기 와이어 견인편(56)이 최초 삽입되는 측 끝단은 상기 개폐판넬(242)의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가이드 절곡부(42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 압축장치.
KR20110119575A 2011-11-16 2011-11-16 폐지 압축장치 KR20130053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9575A KR20130053877A (ko) 2011-11-16 2011-11-16 폐지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9575A KR20130053877A (ko) 2011-11-16 2011-11-16 폐지 압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877A true KR20130053877A (ko) 2013-05-24

Family

ID=4866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19575A KR20130053877A (ko) 2011-11-16 2011-11-16 폐지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8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613B1 (ko) * 2013-05-09 2014-06-13 김경현 폐지 압축기의 노끈 결속장치
KR102144948B1 (ko) * 2020-03-26 2020-08-14 김상동 폐지 압축장치
KR102288598B1 (ko) * 2021-03-17 2021-08-10 권진상 압축폐지 와이어 결속장치
KR20230011683A (ko) 2021-07-14 2023-01-25 방금필 압축 효율이 향상된 파지 압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613B1 (ko) * 2013-05-09 2014-06-13 김경현 폐지 압축기의 노끈 결속장치
KR102144948B1 (ko) * 2020-03-26 2020-08-14 김상동 폐지 압축장치
KR102288598B1 (ko) * 2021-03-17 2021-08-10 권진상 압축폐지 와이어 결속장치
KR20230011683A (ko) 2021-07-14 2023-01-25 방금필 압축 효율이 향상된 파지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3877A (ko) 폐지 압축장치
CA2605584C (en) Handling compressible materials
CN104401782B (zh) 一种用于瓦楞纸的全自动整料、堆垛装置及其控制方法
RU24347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ессованных тюков
CN106379591B (zh) 纸板包装流水线的送料设备
CN104210711B (zh) 一种纸币双面盖章系统
JP2012135787A (ja) わら圧縮結束装置
CN208773742U (zh) 一种骑订龙废纸清理装置
CN104986375B (zh) 纸币捆扎塑封一体机
KR20070092583A (ko) 폐지 압축기
KR101228238B1 (ko) 박스를 다발로 묶어주기 위한 밴딩기의 박스 이송장치
CN205440928U (zh) 订书针包装机
CN203562042U (zh) 一种纸币清分机传送装置
KR101375514B1 (ko) 폐 직관형 led 램프의 자동 분류 수거 장치
CN209814551U (zh) 可拆卸式包装箱
DE1992836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oder Verpacken von Zigaretten
DE602004018367D1 (de) Ballenvorrichtung und -verfahren
CN206614829U (zh) 再生资源打包机
US200902660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rapping a Pulp Bale
JP5846597B2 (ja) 圧縮梱包装置
CN110696086A (zh) 一种瓦楞纸板圆压圆模切机
CN103625684B (zh) 一种香烟分拣收集系统
CN103962235A (zh) 干磁滚筒刮料分料器
CN203938153U (zh) 一种自动分拣料斗
KR101275616B1 (ko) 폐지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