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451A - Method of managing web page in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aging web page in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451A
KR20130053451A KR1020130046593A KR20130046593A KR20130053451A KR 20130053451 A KR20130053451 A KR 20130053451A KR 1020130046593 A KR1020130046593 A KR 1020130046593A KR 20130046593 A KR20130046593 A KR 20130046593A KR 20130053451 A KR20130053451 A KR 20130053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ure
information
user
screen
web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5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5795B1 (en
Inventor
강민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6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795B1/en
Publication of KR2013005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4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PURPOSE: A webpage management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xtract desired information by searching for the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CONSTITUTION: A webpage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is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A recognized result is displayed by a written input by enabling a user to take notes on a screen(51). The displayed webpage screen and a written input screen are stored in a memory by using identifier information(12,23). Th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s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 information. A shortcut key function is executed by using the stored URL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s] (1) Access a mobile internet; (11) Storage command?; (12) Store; (2) Display an internet search screen; (22) Transmission command?; (23) Transmit; (3) Capture command?; (4) Execute a capture command; (5) Capture result preview command?; (51) Perform a capture result preview; (6) Capture result transmission command?; (61) Whole capture result transmission command?; (62) Transmit the whole capture results; (63) Transmit capture results selectively; (7) Whole capture result storage command?; (71) Perform a selective capture storage; (8) Perform a whole capture storag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 방법{method of managing web page in mobile device}Method of managing web page in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fficiently storing and managing content of a web page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인터넷 웹 서핑을 하면서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스크랩 기능과 웹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저장기능이 있다. 웹 서버의 스크랩 기능은 웹 페이지의 URL만이 웹 서버의 특정 폴더에 하이퍼링크 형태로 저장되며, 이 스크랩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웹 사이트에 회원가입해서 자신의 웹 폴더를 등록한 이후에만 이용할 수 있다.There are two ways to save the information you need while surfing the Internet: the scrap function provided by the web server and the storage function provided by the web browser. The web server's scrap function can be used only after the web page's URL is stored as a hyperlink in a specific folder of the web server.

스크랩 기능은 유저가 웹 페이지 중에서 일부 정보만을 필요로 하는 경우 한눈에 쉽게 이용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웹 서버에 웹 페이지의 URL만 하이퍼링크로 저장되기 때문에 나중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이트에 다시 접속해서 회원인증 절차를 거친 후 하이퍼링크를 클릭해야만 웹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고, 웹 페이지가 제공되더라도 처음부터 다시 읽어 내려가면서 원하는 정보를 다시 찾아야 하는 수고로움과 시간적 노력이 더 필요한 특징이 있다.The scrap function cannot be easily used at a glance when the user needs only some information from the web page. Because only the URL of a web page is stored as a hyperlink on the web server, in order to use it later, the web page can only be accessed by clicking the hyperlink after re-connecting to the site and verifying the membership. It is a feature that requires more effort and time to re-read the information you want to read again.

웹 브라우저의 저장기능은 텍스트 형태로 혹은 html 형태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텍스트 저장의 경우 웹 페이지로 제작된 불필요한 배너광고 텍스트나 하이퍼링크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 모든 텍스트 정보가 저장된다. html 저장의 경우 화면에 보이는 그대로 모든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와 같이 메모리의 용량의 제약과 소형화면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메모리 낭비와 유저의 빠른 액세스를 방해하고 있다. 또한, 웹 페이지를 보면서 원하는 텍스트 정보만을 선택해서 저장하기 위해서는 다른 편집프로그램을 구동시킨 후 복사와 붙여넣기 기능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e save function of the web browser provides the function to save in the form of text or html. In the case of text storage, all text information is stored, including unnecessary banner advertisement text or hyperlinked text information produced as web pages. In the case of html saving, all information is saved as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fore, when there is a limitation of a memory capacity and a small screen, such as a portable terminal, unnecessary information is stored or displayed to prevent waste of memory and quick access of a user. In addition, in order to select and store only desired text information while viewing a web page, it is inconvenient to use a copy and paste function after running another editing program.

한편 휴대인터넷이 상용화되면서 이동 중에도 인터넷 검색이 가능해 졌지만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특성상 이동성과 휴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PDA와 같은 수준의 LCD 사이즈의 제약과 배터리의 제약과 메모리의 제약을 간과할 수 없다. 휴대인터넷에서 기존과 같은 스크랩 기능이나 웹 브라우저의 저장 기능을 이용한다면, 원하지 않는 정보까지도 모두 저장되기 때문에 메모리의 용량 한계를 극복할 수 없고, 전체 웹 페이지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소형 LCD에 스크롤해가면서 일일이 확인해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portable Internet has made it possible to search the Internet while on the move. However, in order to secure mobility and portability, it is impossible to overlook the limitations of LCD size, battery, and memory as PDA. If you use the existing scrap function or save function of web browser on the mobile internet, you can not overcome the memory capacity limit because all the unwanted information is stored, and you can scroll on the small LCD because it stores and displays the entire web page. There is a hassle to check each one as you go.

휴대인터넷의 등장으로 이동 중에도 인터넷 검색을 수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휴대인터넷 단말기의 제약조건 상에서 검색된 결과를 효과적으로 저장, 가공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Although the Internet can be searched on the go with the advent of the portable Internet, there is no method for effectively storing, processing and using the searched results on the constraints of the portable Internet terminal.

또한, 차량 이동 중에 인터넷 검색을 하고 있을 경우, 음영지역 등의 이동으로 갑자기 인터넷 연결이 끊어졌을 경우, 다시 재접속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ternet search while moving the vehicle, if the Internet connection is suddenly disconnect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shadow area, etc.,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reconnecting.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이동 중에 웹 서핑에 의해 정보를 검색한 경우 유저가 원하는 정보만을 편리하게 추출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veniently extracting and storing only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when searching for information by web surfing while moving through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이동 중에 웹 서핑에 의해 정보를 검색한 경우 원하는 정보만을 캡쳐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웹 페이지의 URL 정보와 같은 식별자 정보도 함께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apturing and storing only desired information and also storing identifier information such as URL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web page when searching for information by web surfing while moving through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이동 중에 웹 페이지에서 원하는 정보만을 캡쳐하고 유저가 직접 필기한 메모도 같이 저장 및 편집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apturing only desired information in a web page while moving through a portable terminal and storing and editing a memo which is directly written by a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이동 중에 웹 페이지에서 원하는 정보만을 캡쳐하여 특정 주소로 바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apturing only desired information in a web page and transmitting it directly to a specific address while moving through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이동 중에 웹 페이지에서 캡쳐한 정보와 유저가 직접 필기한 메모를 특정 주소로 바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directly transmitting information captured in a web page and a memo which is directly written by a user while moving through a portable terminal to a specific addre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이동 중에 인터넷 검색을 하고 있을 경우, 음영지역 등의 이동으로 갑자기 인터넷 연결이 끊어졌을 경우, 음영지역을 벗어나 다시 접속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경우, 원키로 가장 최근 검색한 사이트로 바로 연결되도록 URL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arch the Internet while moving through a portable terminal, when the Internet connection is suddenly disconnected due to movement of a shaded area, etc.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ay to store and manage URLs to link directly to a site.

본 개시의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방법은, 유저요청에 반응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상에 유저가 직접 필기한 필기체 입력에 의해 인식된 결과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표시된 웹페이지 화면과 상기 표시된 필기체 입력화면을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web page management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rocess of displaying a web page on a display screen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and a process of displaying a result recognized by a user's handwritten handwriting on the screen. And storing or transmitting the displayed web page screen and the displayed cursive input screen in memory using identifier information.

본 발명은 휴대인터넷의 등장으로 이동 중에도 인터넷 검색을 수행하면서 검색된 결과를 효과적으로 저장, 가공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ethod that can effectively store, process and use the search results while performing the Internet search on the go with the advent of the portable Internet.

특히, 의미있는 정보에 대한 캡쳐 기능은 선택 저장/선택 전송 방식에 의해 메모리의 한계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또한 URL이 함께 저장되기 때문에, 이동 중 음영지역에서 인터넷 연결이 단절된 후 음영지역을 빠져 나왔을 때 원키에 의해 바로가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버나 다른 단말로 전송된 파일에 포함된 URL을 이용해서도 바로가기 가능하므로, 액세스 시간 단축 등 정보 이용이 훨씬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capturing function of meaningful information can effectively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limitation of memory by the selective storage / selective transmission scheme. In addition, since the URL is stored together, the shortcut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the one key when the user exits the shadowed area after the Internet connection is disconnected from the shadowed area.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go directly by using a URL included in a file transmitted to a server or another terminal, the use of information such as shortening the access tim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컨텐츠 캡쳐의 화면 예시도.
도 3은 식별자 정보의 예시도.
1 is a flow chart of a web pag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reen example of content capt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identifier informa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웹 서핑에 의해 정보를 검색한 후 유저가 원하는 정보만을 저장, 편집, 전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이 끊겼을 경우 저장된 URL을 이용하여 원키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소형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접속시간을 단축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store, edit, and transmit only the desired information after retrieving the information by surfing the web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in case of disconnection, connects to the one-key by using the stored URL. And it can provide convenience by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the memory and shortening the connection time.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 방법은, 유저요청에 반응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컨텐츠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일부만을 캡쳐하는 과정 및 유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캡쳐된 컨텐츠와 그 식별자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혹은 상기 캡쳐된 컨텐츠와 그 식별자 정보를 휴대인터넷 망을 통해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선택된 일부만 캡쳐하는 과정은 펜 또는 손가락으로 필기된 궤적정보에 기초하여 캡쳐 시작위치와 끝위치가 결정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a web pag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process of displaying a corresponding web page on a display screen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capturing only a portion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displayed contents, and selecting a user. Storing the captured content and its identifier information in a memory of the terminal, or transmitting the captured content and the identifier information through a portable internet network, and capturing only the selected part by using a pen or a finger. The captur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are determined based on the written trajectory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저장 또는 전송되는 캡쳐된 컨텐츠와 그 식별자 정보에서의 상기 식별자 정보는 해당 URL 정보, 또는 저장 날짜 또는 저장 시간 또는 저장 위치 정보 또는 유저 입력에 의한 문자 또는 숫자 또는 음성 또는 그림을 포함한 인덱스 정보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저장 또는 전송될 수 있다.Here, the identifier information in the captured content to be stored or transmitted and the identifier information is corresponding URL information or index information including storage date or storage time or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or letters or numbers or voices or pictures by user input. Can be stored or transmit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여기서, 상기 저장 또는 전송될 파일을 화면에 미리 표시하는 프리뷰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저의 선택에 의존하여 상기 캡쳐된 결과를 전체 저장 또는 선택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자 정보에 의존하여, 상기 저장명령이 새파일 저장 명령이면, 상기 캡쳐된 결과를 상기 새파일 이름으로 저장하고 old 식별자 정보에 의한 업데이트 저장 명령이면, 해당 기존 파일의 특정 위치에 상기 캡쳐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쳐된 컨텐츠를 필기체 입력에 의해 편집할 수도 있다. 또한 항상 URL을 임시 저장하여 음영지역 이동으로 갑자기 인터넷 연결이 끊어졌을 경우, 음영지역을 벗어나 다시 접속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경우, 원키로 가장 최근 검색한 사이트로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review process of previously displaying the file to be stored or transmitted on the screen.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may include storing the entire or selective storage of the captured result. Also, depending on the identifier information, if the storage command is a new file storage command, the captured result is stored as the new file name, and if it is an update storage command based on old identifier information, the capture at a specific location of the existing file. Saved results can be saved. In addition, the captured content may be edited by handwriting input. Also, if the internet connection is suddenly lost due to the temporary saving of the URL by moving the shaded area, and it is accessible again after leaving the shaded area, i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st recently searched site by one key.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eb pag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 방법은, 휴대 인터넷을 접속하는 단계(1), 유저 요청에 반응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2), 상기 표시된 컨텐츠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일부를 캡쳐하는 단계(4), 상기 캡쳐된 컨텐츠와 그 식별자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8, 7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method of managing a web page in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may include: connecting to the portable Internet (1), displaying a corresponding web page on a display screen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2), and displaying a user among the displayed contents. Capturing a portion selected by (4), and storing (8, 71) the captured content and its identifier information in a memory.

상기 캡쳐 과정은,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캡쳐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3), 상기 캡쳐 명령에 의해 결정된 컨텐츠의 일부를 선택되지 않은 부분과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캡쳐된 부분을 특정 컬러로 하이라이트 해준다거나, 반전된 색깔로 표시하거나 밑줄 형태로 다양하게 표시해줄 수 있다.The capturing process may determine whether a capture command is input to select a por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3), and may display a portion of the content determined by the capture command in a form distinguishable from the unselected portion.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captured portion may be highlighted in a specific color, displayed in inverted colors, or variously displayed in an underlined form.

상기 캡쳐 과정에서의 캡쳐 명령은 펜 혹은 손가락에 의한 필기된 심볼 혹은 필기된 궤적에 의존하여 캡쳐 시작 위치와 끝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펜 혹은 손가락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장착하거나, 터치패드를 장착하거나, 디지털 펜, 혹은 광학식 펜/마우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캡쳐할 시작 위치부터 끝 위치까지를 펜이나 손가락으로 눌러 밑줄을 그리거나, 캡쳐할 시작 위치에서 특정 심볼(" 또는 [)을 필기하고, 캡쳐할 마지막 위치에서 (" 또는 ])을 필기할 수 있다.In the capturing process, the captur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written symbol or a written trajectory by a pen or a finger.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capable of recognizing a pen or finger input, a touch pad, a digital pen, an optical pen / mouse, or the like. For example, you can use the pen or your finger to underlin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capture, to write a specific symbol ("or [) at the beginning of the capture, and to write (" or]) at the last position to capture. Can be.

또한 상기 캡쳐 명령은 키 입력에 의해 캡쳐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메뉴키를 눌려 캡쳐 모드로 진입한 후 상하좌우키나 조이스틱 등을 이용하여 커서의 위치를 캡쳐 시작 위치에 놓고 메뉴키 혹은 확인키를 눌러주고, 다시 상하좌우키나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커서의 위치를 캡쳐 끝 위치까지 이동한 후 다시 메뉴키 혹은 확인키를 눌러주면 캡쳐될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메뉴키에 의한 캡쳐 모드로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키(#, *, 둘이상의 조합키)에 캡쳐 시작 기능과 캡쳐 끝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ture command may determine a capture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by key input. Press the Menu key to enter the capture mode and use the up, down, left, or right keys or the joystick to move the cursor to the start position, press the Menu key or the OK key, and then use the up, down, left or right key or the joystick to end the capture. After moving to the position, press menu key or OK key again to select the part to be captured. At this time, the capture start function and the capture end function can be given to a specific key (#, *, two or more combination keys) without entering the capture mode by the menu key.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캡쳐 명령은 해당 웹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종류별로 전체 선택 또는 부분 선택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에서의 그림만을 캡쳐하고자 할 경우, 캡쳐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그림 캡쳐 기능을 선택하면 모든 그림파일 리스트와 함께 선택공간이 표시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apture command may be determined to select all or partially select the content included in the web page. For example, if you want to capture only the picture on the web page, if you select the picture capture function while entering the capture mode, the selection space is displayed with a list of all the picture files.

유저는 화면의 그림 파일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그림파일의 선택공간을 체크하고 선택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can check and save the selection space of the desired picture file while checking the picture file on the screen.

또한 유저는 그림 전체를 저장하기 위해 전체 선택 메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캡쳐 모드로 진입한 후 이루어 질 수도 있고, 원하는 그림들을 먼저 선택한 후 하나의 파일로 저장 할 수도 있다.The user can also use the Select All menu to save the entire picture. This series of operations can be performed after entering the capture mode, or you can select the desired pictures first and save them as a file.

또한, 상기 캡쳐 과정에서의 캡쳐 명령은 입력된 키워드에 의존하여, 상기 웹 페이지의 컨텐츠 중 상기 키워드를 포함한 문장을 전체 선택 또는 부분 선택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capturing command in the capturing process may be determined by selecting all or part of a sentence including the keyword among contents of the web page, depending on the input keyword.

예를 들어, 웹 페이지에서의 그림만을 캡쳐하고자 할 경우, 필기체 입력에 의해 "그림 캡쳐"라고 쓰면, 캡쳐 모드로 진입하여 그림 캡쳐 기능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you only want to capture a picture from a web page, you can write "picture capture" by handwriting input to enter capture mode and perform the picture capture function automatically or manually.

자동수행인 경우 모든 그림을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수동수행인 경우 모든 그림파일 리스트와 함께 선택공간이 표시되고, 유저는 화면의 그림 파일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그림파일의 선택공간을 펜으로 체크하고 선택 저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utomatic execution, all pictures can be saved automatically.In the case of manual execution, the selection space is displayed along with the list of all the picture files, and the user checks the selection space of the desired picture file with a pen while selecting the picture file on the screen. Can be stored.

또한 유저는 전체 선택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웹 페이지에서의 특정 문자열을 포함한 문장을 캡쳐하고자 할 경우, 필기체 입력에 의해 "문자 캡쳐"라고 쓰면, 캡쳐 모드로 진입하여 원하는 문자열을 입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팝업된 문자열 입력창이나 스크린 전체에 원하는 문자열을 입력하게 되면 해당 웹 페이지에서 해당 키워드를 포함한 모든 문장을 캡쳐해서 자동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can also use the global selection function. Also, for example, if you want to capture a sentence containing a specific character string in a web page, write "capture character" by handwriting input, and enter the capture mode to guide the user to enter the desired character string. If you enter a string in the pop-up string input window or the entire screen, you can capture and automatically save all sentences including the keyword in the web page.

또한, 해당 키워드를 포함한 모든 문장을 캡쳐해서 리스트로 표시해주고 선택 저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In addition, all sentences including the keyword can be captured, displayed as a list, and guided to be stored selectively.

또한, 유저의 캡쳐 결과를 프리뷰 명령에 따라 캡쳐된 결과를 화면에 미리보기 형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5, 51).In addition, the captured result of the user may be displayed in a preview form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view command (5, 51).

상기 저장과정은, 상기 캡쳐된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 명령에 의해 상기 캡쳐된 컨텐츠와 그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storing process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storage command is input for storing the captured content, and storing the captured content and its identifier information by the storage command.

여기서, 상기 식별자 정보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 URL 정보, 또는 저장 날짜 또는 저장 시간 또는 저장 위치 정보 또는 유저입력에 의한 문자 또는 숫자 또는 음성 또는 그림을 포함한 인덱스 정보일 수 있다. 이들 식별자 정보는 미리 설정된 세팅값에 의해 자동으로 저장되거나, 유저에 의한 입력으로 수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3, the identifier information may be corresponding URL information, storage date or storage time or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or index information including text, numbers, voice, or pictures by a user input. These identifier information can be stored automatically by preset settings or manually by input by the user.

상기 판단과정에서의 저장명령은 펜 혹은 손가락에 의해 필기된 저장 심볼 혹은 팝업 소프트 키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쳐된 컨텐츠가 표시된 후, 터치스크린 혹은 터치패드 상에 펜 혹은 손가락으로 저장심볼(∽ 또는 S 또는 저장)을 입력하거나 팝업된 소프트키에서의 저장메뉴키를 눌러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저장기능이 수행되면 그 결과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The storage command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by a storage symbol written by a pen or a finger or a pop-up soft key input. For example, after the captured content is displayed, a storage symbol (∽ or S or storage) may be input by a pen or a finger on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or by pressing a storage menu key on a pop-up softkey. When the storage function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resul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상기 저장명령 판단에 의한 저장 기능 수행과정은, 캡쳐 결과 전체 저장 명령인지 판단하고(7), 전체 저장 명령이면 캡쳐된 모든 컨텐츠를 저장하고(8), 그렇지 않으면 캡쳐 결과 중 일부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선택 저장을 수행한다(71).In additio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torage function by determining the storage comm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capture result is a whole storage command (7), and if the entire storage command is stored (8), otherwise selects some of the capture results. In operation 71, a selective storage is performed by providing a function that can be stored.

여기서, 저장 명령에 의한, 전체 저장 혹은 선택 저장의 경우에, 추가로 상기 식별자 정보에 의존하여, 새로운 파일로 저장하거나 아니면 기존에 저장된 파일에 업데이트하여 관련 문서를 하나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Here, in the case of full storage or selective storage by a storage command,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rely on the identifier information to provide a function of managing a related document as a new file or updating an existing stored file as one. It may be.

예컨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장명령시 수행시, 상기 식별자 정보에 의존하여, New 식별자 정보에 의한 새파일 저장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명령이 새파일 저장 명령이면, 새 파일 이름을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과, 상기 캡쳐된 결과를 상기 새파일 이름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저장명령임이 판단되면 현재 캡쳐된 결과에 해당하는 URL 정보가 기존에 저장된 메모리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만일 기존 메모리에 동일한 URL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새파일로 저장할 것인지를 문의하고, 새 파일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하여 상기 캡쳐된 결과를 해당 파일 이름으로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when the storage command is executed, determining whether the storage command is a new file storage command based on the new identifier information, and if the storage command is a new file storage command, a new file name. Requesting input and storing the captured result under the new file name.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age command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captured result exists in the previously stored memory. If the same URL does not exist in the existing memory, it may be asked whether to save as a new file, and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new file name may be provided to store the captured result as the file name.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장명령시 수행시, 상기 식별자정보에 의존하여, Old 식별자 정보에 의한 기존파일 저장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명령이기존파일 저장 명령이면, 상기 캡쳐된 결과를 상기 기존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데, Old 식별자로서 기존 메모리에 동일한 URL이 존재한다면, 상기 기존 파일의 특정 위치에 상기 캡쳐된 결과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when the storage command is executed, determining whether the storage file is an existing file storage command based on the old identifier information, and if the storage command is an existing file storage command, the captured result. Storing in the existing file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if the same URL exists in the existing memory as the old identifier, the process of storing the captured result in a specific location of the existing file may be performed.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저장명령은 New 파일 저장 메뉴와 Old 파일 저장 메뉴를 별도의 키 입력 혹은 별도의 handwriting 심볼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torage command may be operated by using a separate key input or a separate handwriting symbol to operate the New file storage menu and the Old file storage menu.

또한, 기존 파일에 업데이트하는 경우 기존 파일을 리딩해서 별도의 창에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캡쳐된 결과물을 삽입할 위치에서 특정 삽입 심볼(^)을 펜으로 handwriting하여 지정해 줄 수 있다. 그러면, 펜 인식 프로세서는 삽입 심볼을 판단하여 현재 캡쳐된 결과물을 삽입 처리한다.In addition, when updating to an existing file, the existing file can be read and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and a specific insertion symbol (^) can be designated by handwriting with a pen at the position where the currently captured result is to be inserted. The pen recognition processor then determines the insertion symbol and inserts the currently captured result.

제어부는 그 삽입 반영된 결과물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the inserted and reflected result on the screen and to store the result in the memory.

한편, 상기 캡쳐 과정에서의 캡쳐된 결과를 별도의 화면 창에 표시하는 과정과, 유저의 선택에 의존하여 상기 캡쳐된 결과를 전체 저장 또는 선택 저장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 process of displaying the captured result of the capturing process in a separate screen window, and a process of storing or selectively storing the captured result in whole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예를 들어, 단말기의 스크린이 웹 문서 전체를 한꺼번에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에, 스크롤 등을 이용하여 상하좌우 이동해 가면서 웹 문서를 볼 수 있는데 유저는 현재 화면에서의 캡쳐 부분을 선택하고 다음 화면으로 이동해서 다음번 캡쳐 부분을 선택하는 등 적어도 2개 이상의 캡쳐 부분 선택할 수 있다. 전체 웹 문서를 다 읽은 후 유저가 캡쳐된 결과를 표시할 것을 요구하면, 화면에 캡쳐된 결과를 보여주는 별도의 창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유저는 캡쳐된 결과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편집하거나, 편집된 결과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screen of the terminal does not show the entire web document at once, the user can view the web document by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using scrolling, etc. The user selects a capture portion on the current screen and moves to the next screen. At least two capture portions may be selected, such as the next capture portion being selected. After the user has finished reading the entire web document and asks the user to display the captured results, a separate window may be provided that shows the captured results on the screen. At this time, the user can save the captured result as it is, edit it, or save it with the edited result.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캡쳐된 컨텐츠와 그 식별자 정보를 휴대인터넷망을 통해서 특정 서버 혹은 특정 단말로 바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전송하고자 하는 캡쳐된 컨텐츠를 선택한 상태에서 펜입력에 의해 메뉴 심볼을 필기하거나, 키입력에 의한 메뉴키를 선택하면 메뉴화면 중 전송메뉴가 제공되고 전송메뉴 선택시 원하는 주소(이메일 주소 혹은 전화번호 혹은 IP 주소 포함 가능)등을 펜 또는 키 입력한 후 전송명령을 입력한다. 전송명령에 따라 상기 캡쳐된 컨텐츠와 해당 식별자 정보는 휴대인터넷 망을 통해 입력된 주소로 전송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captured content and its identifier information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a specific server or a specific terminal through a portable Internet network. If you write a menu symbol by pen input or select a menu key by key input while selecting the captured content to be transmitted, the transfer menu is provided on the menu screen and the desired address (email address or phone number or IP address can be included) and pen or key and input transfer command. The captured content and the corresponding identifi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address input through a portable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a transmission command.

이러한 전송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전제 저장/선택 저장 방법과 유사하게 캡쳐 결과 전체 전송(62), 캡쳐 결과 선택 전송(63)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Such a transmission method may perform the entire capture result transmission 62 and the capture result selection transmission 63 similarly to the premise storage / selective storage method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유저 요청에 반응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필기체 입력에 의해 인식된 결과를 상기 화면의 일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필기체 입력과 웹 페이지의 일부를 선택하여 캡쳐하는 과정, 및 상기 캡쳐된 부분과 그 식별자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쳐된 컨텐츠를 필기체 입력에 의해 편집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캡쳐된 필기체 입력부분은 유저의 선택에 따라 BMP 파일등 그림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고, 텍스트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웹 문서가 아닌 필기체 입력임을 나타내는 태그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태그 정보에 의해 원래 웹 문서와는 별도의 필기 메모가 삽입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웹 문서와 필기 메모를 하나로 통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displaying a corresponding web page on a display screen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displaying a result recognized by the handwriting input on a part of the screen, and displaying the displayed handwriting input and the web page Selecting and capturing a portion of and capturing the portion and storing the identifier and its identifier information in a memory. In addition, the process of editing the captured content by handwriting input may be further performed. The captured handwriting input portion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picture file such as a BMP file or a text fil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addition, ta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input is not a web documen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y the ta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a writing memo separate from the original web document is inserted, and the web document and the writing memo can be combined into one.

1: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 방법은, 휴대 인터넷을 접속하는 단계
2: 유저 요청에 반응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3: 캡쳐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 표시된 컨텐츠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일부를 캡쳐하는 단계
5: 유저의 캡쳐 결과를 프리뷰 명령에 따라 캡쳐된 결과를 화면에 미리보기 형식으로 표시하는 단계
1: Web pag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terminal, the step of connecting the mobile Internet
2: displaying the web page on the display screen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3: determining whether a capture command is input
4: capturing a por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5: displaying the captured result in preview form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view command of the user's capture result

Claims (9)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유저요청에 반응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화면상에 유저가 직접 필기한 필기체 입력에 의해 인식된 결과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표시된 웹페이지 화면과 상기 표시된 필기체 입력화면을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방법.
In the web pag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terminal,
Displaying a corresponding web page on a display screen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Displaying a result recognized by a handwriting input written by a user directly on the screen; And
And storing or transmitting the displayed web page screen and the displayed handwritten input screen in a memory using identifier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정보는 URL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웹 사이트로 바로가기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s URL information, and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a shortcut function to a corresponding web site using the stored UR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정보는,
해당 URL 정보, 저장 날짜, 저장 시간, 저장 위치 정보, 유저입력에 의한 문자, 숫자, 음성,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덱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dentifier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index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corresponding URL information, storage date, storage time,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text, number, voice, and picture by a user inp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정보는,
미리 설정된 세팅값에 의해 자동으로 저장되거나, 유저에 의한 입력으로 수동으로 저장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dentifier information,
A method of managing a web page in a mobile terminal, which is automatically stored by a preset setting value or manually stored by an input by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필기체 입력과 상기 웹 페이지의 일부를 선택하여 캡쳐하는 과정; 및
상기 캡쳐된 부분과 그 식별자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electing and capturing the displayed handwriting input and a portion of the web page; And
And storing the captured portion and its identifier information in a memor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된 컨텐츠를 상기 필기체 입력을 통해 편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5,
And editing the captured content through the cursive inpu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과정은,
상기 표시된 필기체 입력을 선택하기 위한 캡쳐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캡쳐 명령에 의해 결정된 필기체 입력을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apture process,
And determining whether a capture command for selecting the displayed handwriting input is input, and displaying the handwriting input determined by the capture command in a distinguishable for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된 부분을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캡쳐된 필기체 입력 부분을 유저의 선택에 따라 그림 파일, 텍스트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저장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toring the captured portion comprises:
And storing the captured handwriting input portion in at least one of a picture file and a text fil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체 입력 부분을 나타내는 태그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tag information indicating the handwriting input portion.
KR20130046593A 2013-04-26 2013-04-26 method of managing web page in mobile device KR1014857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593A KR101485795B1 (en) 2013-04-26 2013-04-26 method of managing web page in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593A KR101485795B1 (en) 2013-04-26 2013-04-26 method of managing web page in mobile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64890A Division KR20080006129A (en) 2006-07-11 2006-07-11 Method of managing web page in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451A true KR20130053451A (en) 2013-05-24
KR101485795B1 KR101485795B1 (en) 2015-01-27

Family

ID=4866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6593A KR101485795B1 (en) 2013-04-26 2013-04-26 method of managing web page in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79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25B1 (en) * 2014-12-10 2015-06-03 유흥권 Live capturing method in smartpho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9575B2 (en) * 1991-04-19 1997-10-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Data input method and device
JP2005332160A (en) * 2004-05-19 2005-12-02 Dowango:Kk Portable terminal, capture processing program, server device, capture processing system and capture processing method
KR100610371B1 (en) * 2004-10-29 2006-08-09 주식회사 팬택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mobile terminal to display a variety of contents in personal compu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25B1 (en) * 2014-12-10 2015-06-03 유흥권 Live capturing method in smart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795B1 (en)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027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o organize and manipulate inform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via multi-touch gestures
KR100932352B1 (en)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having a web page browsing function
US8302016B2 (en) Display apparatus
CN107562320B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s of application program and touch screen intelligent terminal device
US20020080179A1 (en) Data transfer method and data transfer device
WO2011023080A1 (en) Input method of contact information and system
CN102929846B (en) A kind of method processing long text and device
KR101394874B1 (en) Device and method implementing for particular function based on writing
KR102570255B1 (en) Table browsing method in document,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273396B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20110161807A1 (en) Docu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80006129A (en) Method of managing web page in mobile device
JPWO2008041743A1 (en) Terminal device, content display method, and content display program
KR20120085023A (en) Terminal having searching function using multiple data saved in clipboard and searching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1859856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5222717B2 (en) Display window selection method, display window selection program, and terminal device
US913524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dictionary function and dictionary information display method
CN102541817B (en) The method for previewing of a kind of digital document and device
JP2006215681A (en) Document detail determination support system
KR101485795B1 (en) method of managing web page in mobile device
CN102799650B (en) A kind of communication terminal and character string search method thereof
KR20110060825A (en) Electronic dictionar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KR20150097250A (en) Sketch retrieval system using tag information, user equipment, service equipment, ser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JP4487614B2 (en) Information display control device and program
CN113253904A (en) Display metho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