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078A - A governor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A governor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078A
KR20130053078A KR1020110118595A KR20110118595A KR20130053078A KR 20130053078 A KR20130053078 A KR 20130053078A KR 1020110118595 A KR1020110118595 A KR 1020110118595A KR 20110118595 A KR20110118595 A KR 20110118595A KR 20130053078 A KR20130053078 A KR 20130053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governor
switch
fly weigh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5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71404B1 (en
Inventor
김용훈
정종혁
권은진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110118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404B1/en
Publication of KR2013005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0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4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vator governor is provided to prevent security accidents in advance by braking an elevator normally within a prescribed speed range. CONSTITUTION: A base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a frame. A rotational pulley is rotated by a governor rope. A first over-speed detection switch(5) outputs an electrical braking signal. A second over-speed detection switch(6) is operated mechanically. A braking part(7) brakes the governor rope mechanically.

Description

승강기용 조속기{A governor for elevator}Elevator governor {A governor for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인 승강기용 조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카가 정상적인 운행속도를 초과하여 과속으로 운행하거나 또는 승강기의 고장으로 카가 자유낙하 하는 경우 승강기의 과속을 검출하고 그 운행을 정지시키는 승강기용 조속기(調速機)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governor, which is a safety device installed in an elevator, and in detail, when the car of the elevator is traveling at a speed exceeding the normal operating speed or the car falls free due to a failure of the elevator, the speed of the elevator is detected and It relates to an elevator governor for stopping operation.

승강기의 고장으로 승강기의 카가 정상적인 운행속도를 초과하여 운행되거나 또는 자유낙하를 하는 경우에 카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승강기를 정지시켜야 한다. 이처럼 비상 상황에서 승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것이 조속기(調速機, governor)이다. 조속기는 승강기의 카가 과속으로 운행하는 경우 제동명령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카의 운행을 전기 및 기계적으로 단속한다. If the car of the elevator is operating beyond the normal speed or free fall due to the failure of the elevator, the elevator shall be stopped for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in the car. As such, a governor is generally adopted to stop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governor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intercepts the driving of the car by outputting a braking command when the car of the elevator runs at an excessive spe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44956호에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라는 제목으로 승강기 안전운행을 위해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조속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44956호에 개시된 조속기는 회전 풀리에 장착된 플라이 웨이트가 원심력에 의해 회전 풀리 바깥 쪽을 향해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1차, 2차 걸쳐 전기적, 기계적으로 승강기 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0044956 discloses a governor generally adopted for elevator safety driving under the title of 'Overspeed governor for elevator'. The governor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0044956 performs elevator brakes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on a primary and secondary basis by using a principle that a fly weight mounted on a rotating pulley moves outward by a centrifugal for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즉, 상기 선행기술은 도 1에서와 같이, 두 개의 플라이 웨이트(400)가 회전 풀리(300)에 이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풀리(30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플라이 웨이트(400)가 반경방향으로 점차 이동하면서 프레임(100)에 설치된 1차 과속검출스위치(전문에서 안전스위치 어셈블리, 900)와 2차 과속검출스위치(전문에서 조작레버, 500)를 차례로 동작시킴으로써 승강기의 제동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in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two fly weights 400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rotary pulley 300, and the fly weight 400 is centrifugal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pulley 300. The brakes of the elevator are realized by sequentially operating the primary speed detection switch (safety switch assembly 900) and the secondary speed detection switch (manipulation lever 500) in the frame in order to gradually move in the radial direction. It would be possible.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상기 과속검출스위치(900)(500)를 동작시키는 플라이 웨이트(400)는, 도면에서와 같이 회전 풀리(300) 중심을 기준으로 두 개가 상호 대향 배치토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과속으로 플라이 웨이트(400)가 반경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 한쪽의 플라이 웨이트가 1차 과속검출스위치(900)를 동작시키지 못하면, 반대쪽의 플라이 웨이트가 1차 과속검출스위치(900)를 동작시킬 때까지 회전 풀리(300)는 180도를 더 회전해야 한다.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wo fly weights 400 for operating the speed detection switches 900 and 500 are configured such that two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otation pulley 300 as shown in the drawing. Therefore, when one fly weight does not operate the primary speed detection switch 900 while the fly weight 400 moves radially at an overspeed, when the fly weight on the opposite side operates the primary speed detection switch 900, Until the rotation pulley 300 has to rotate 180 degrees further.

회전 풀리(300)가 180도를 더 회전하게 되면, 회전하는 동안 회전속도는 더 증가하게 되고 1차 과속검출스위치(900)를 동작시키는 속도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를 윈도우 효과라고 하며, 이러한 윈도우 효과가 커서 두 개의 플라이 웨이트(400) 간 동작속도의 차이가 발생되면, 1차 과속검출스위치(900)가 규정된 속도의 범위를 초과하여 동작되고, 이에 따라 탑승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되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
If the rotation pulley 300 is rotated 180 degrees further, the rotation speed increases while rotating, and the speed of operating the primary speed detection switch 900 also increases proportionally. This is called a window effect. When the window effect is large and a difference in operating speed between the two fly weights 400 occurs, the primary speed detecting switch 900 is operated over a range of prescribed speeds, and thus the occupant A situation in which the safety of a person is seriously threatened can be produced.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윈도우 효과를 줄이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탑승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규정된 속도범위 내에서 정상적인 승강기의 제동을 구현할 수 있는 승강기용 조속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governor that can reduce or minimize the window effect, and thus can implement a normal elevator braking within a defined speed range that can ensure occupant safety.

과제를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 및 프레임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의 고정축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며 조속기 로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풀리; 회전 풀리에 설치되고 이 회전 풀리가 정격속도보다 빠르게 회전되는 경우 그 원심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플라이 웨이트; 플라이 웨이트의 형상 변형에 연동하여 변형되면서 승강기의 제동을 위한 전기적 제동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고정축 상의 제1 과속검출스위치; 고정축 외연에 회전 자유롭게 조립되고 상기 플라이 웨이트의 형상 변형에 연동하여 기계적으로 동작되는 제2 과속검출스위치; 베이스에 장치되고 제2 과속검출스위치의 기계적 출력에 의해 상기 조속기 로프를 기계적으로 제동시키는 제동부; 및 제2 과속검출스위치의 기계적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동부를 동작시키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승강기용 조속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the base is installed on the frame and the frame bottom; A rotating pulley rotatably mounted on a fixed shaft on the frame and rotating by a governor rope; A fly weight installed on the rotary pulley and deformed by the centrifugal force when the rotary pulley is rotated faster than the rated speed; A first speed detecting switch on the fixed shaft that is de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fly weight and outputs an electric braking signal for braking the elevator; A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rotatably assembl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ed shaft and mechanically op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fly weight; A brake unit mounted to a base and mechanically braking the governor rope by a mechanical output of a second overspeed detection switch; And an interlock mechanism for operating the brake unit in association with a mechanical operation of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과속검출스위치는 회전 풀리에 설치된 상기 플라이 웨이트 안쪽으로 위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inward of the fly weight installed on the rotary pulley.

또한, 상기 플라이 웨이트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두 쌍의 세로 바와 가로 바가 상호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직사각형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세로 바 또는 가로 바 중앙에 형성된 보스를 관통하는 결속부재에 의해서 상기 회전 풀리에 두 개의 피봇지점을 형성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두 개의 피봇지점을 기준으로 마름모꼴로 단면형상이 변화되는 구성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y weight may have a rectangular configuration in which two pairs of vertical bars facing each other in parallel and horizontal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efracted, and penetrate a bos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or horizontal bars facing parallel to each other. By installing two pivot points on the rotary pulley by a binding member,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changed into a lozenge with respect to the two pivot points.

이때, 상기 보스는 원심력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플라이 웨이트가 상기 제2 과속검출스위치 외측을 구속하여 이를 동작시킬 수 있는 거리만큼 회전 풀리로부터 플라이 웨이트를 이격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oss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 the fly weight from the rotary pulley by a distance that the fly weight deformed by the centrifugal force can restrain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to operate the sam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과속검출스위치는, 판상의 패널과, 상기 패널 일면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스위치로 구성되되, 상기 링 형상의 스위치는 둘 이상의 곡선형 스위치 바(switch-bar)가 상호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을 갖고, 스위치 바가 상호 굴절되는 방향으로 변형되면 그 굴절부에 마련된 스위칭 소자가 단락되면서 승강기 제동을 위한 전기적 제동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peed detecting switch includes a plate-shaped panel and a ring-shaped switch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panel, wherein the ring-shaped switch has two or more curved switch bars. May be configured to be mutually refracted, and when the switch bar is deformed in a mutually refracted direction, the switching element provided at the refraction portion may be shorted to output an electric braking signal for elevator brake.

이때, 상기 링 형상의 스위치는 플라이 웨이트에 설치되는 둘 이상의 힘전달부재에 의해 플라이 웨이트 형상 변형에 연동하여 그 형상이 변형되는 구성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ing-shaped switch may b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hape is de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fly weight shape deformation by two or more force transmission members installed on the fly weight.

그리고, 상기 제2 과속검출스위치는, 원심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는 상기 플라이 웨이트에 가압 구속되어 함께 회전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may be a cylindrical rotating body that is press-constrained to the fly weight that is deformed by centrifugal force and rotates together.

또한, 상기 제동부는, 베이스에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슈와, 조속기 로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슈와 마주하는 로프캐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캐치는, 상기 베이스 내에 탄성 설치되는 탄성수평부재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동기구 기계적 동작에 의해 하향 회동하면서 고정슈와 사이에 위치하는 조속기 로프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king part includes a fixed sho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and a rope catch facing the fixed shoe with a governor rope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rope catch has an elastic horizontal member tip that is elastically installed in the base.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otatable and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located between the fixed shoe while rotating downward by the interlock mechanism mechanical operation.

이때 상기 연동기구는, 프레임에 피봇점을 형성한 기다한 바 형상의 서포트 바, 상기 서포트 바 일측 선단에 형성되며 제2 과속검출스위치 외면과 접속되는 접속부재를 형성한 접속단 및 상기 로프캐치와 착탈 가능한 연결을 위해 서포트 바 다른 일측 선단에 형성되는 고리단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inkage mechanism is a support bar having a long bar shape having a pivot point formed on the frame, a connection end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and having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peed detection switch, and the rope catch;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hook end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for detachable connection may be appl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기용 조속기에 따르면, 회전 풀리가 규정된 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할 경우, 그 원심력으로 플라이 웨이트의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로 변화하면서 이 플라이 웨이트의 원주방향 위치에 관계 없이 그 안쪽에 위치한 제1 과속검출스위치와 제2 과속검출스위치가 차례로 동작될 수 있다. 즉, 플라이 웨이트의 위치에 따라 회전 풀리가 180도 더 회전하는 윈도우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tary pulley rotates faster than the prescribed speed, the cross-section of the flyweight is narrowed by the centrifugal force, regardless of the circumferential position of the flyweight. The first speed detecting switch and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located inward may be sequentially operated. That i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y weigh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indow effect of rotating the rotation pulley 180 degrees further does not occur.

위와 같이 원도우 효과가 발생하지 않게 되면, 정격속도를 초과하더라도 설정된 작동속도 범위 내에서 카의 정확한 제동이 구현될 수 있고, 설정속도를 초과하여 정지하는 경우 즉, 승강기가 규정된 정지속도를 초과하여 정지하는 경우에 있어 탑승객이 심각한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탑승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규정된 속도범위 내에서 정상적인 승강기의 제동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window effect does not occur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rated speed is exceeded, accurate braking of the car can be realized within the set operating speed range, and when the stop exceeds the set speed, that is, the lift exceeds the prescribed stop speed. In the event of a stop, it is possible to avoid a situation in which passengers are at serious risk. In other words, there is an effect of realizing the braking of the normal elevator within the prescribed speed range that can ensure the occupant safety.

도 1은 종래기술에 적용된 승강기용 조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조속기의 분해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조속기의 결합 측면도.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 결합상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에 있어 제2 과속섬출스위치와 연동기구가 연동 가능하게 상호 접속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8,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에 의해 수행되는 승강기 제어과정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로서, 플라이 웨이트에 의해 제1 과속검출스위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에 의해 수행되는 승강기 제어과정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로서, 플라이 웨이트에 의해 제2 과속검출스위치가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2 과속검출스위치 동작에 연동하여 제동부가 승강기를 기계적으로 제동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상태도.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overnor for the elevator applied in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overnor for th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side view of the governor according to FIG.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governor according to FIG.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elevator governor coupl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ur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for showing that the second speeding switch and the interlock mechanism is interconnected interconnected in the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elevator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overspeed detection switch is operated by the fly weight.
FIG. 10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an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cond overspeed detection switch is operated by a fly weight. FIG.
FIG. 11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for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brake unit to mechanically brake the elevator in association with a second speed detection switch operation;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2,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의 분해 사시도 및 분해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4,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의 결합 사시도와 결합 측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 결합상태 정면도를 나타낸다.2 and 3 respectively sho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side view of the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side view of the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And Figure 6 shows a front view of the elevator governor coupl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는, 조속기 로프(12)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풀리(3), 회전 풀리(3)에 설치된 플라이 웨이트(4), 플라이 웨이트(4)로서 동작되는 제1 과속검출스위치(5)와 제2 과속검출스위치(6), 상기 제2 과속검출스위치(6) 동작에 연동하여 조속기 로프(12)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구속하는 제동부(7) 및 상기 제2 과속검출스위치(6)와 제동부(7)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동기구(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6, the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pulley 3 rotated by the governor rope 12, the fly weight 4 installed on the rotary pulley 3, the fly In order to mechanically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12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speed detecting switch 5,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and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operating as the weight 4. And an interlock mechanism (8) for interlocking the brake unit (7) and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and the brake unit (7).

회전 풀리(3)는 프레임(1) 상의 고정축(10)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며, 상기 프레임(1)은 베이스(2) 상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 풀리(3)를 승강기의 카(미도시)와 연결되는 조속기 로프(12)가 경유하며, 조속기 로프(12)는 상기 승강기의 카 승강에 연동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 풀리(3)를 강제로 회전시킨다. 즉, 상기 회전 풀리(3)는 그 둘레면을 따라 감긴 상기 조속기 로프(12)의 유동에 의해 회전한다. The rotary pulley 3 is rotatably mounted on a fixed shaft 10 on the frame 1, which is mounted vertically on the base 2. The rotary pulley 3 is connected to a governor rope 12 connected to a car (not shown) of the elevator, and the governor rope 12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elevator car lift of the elevator 3. ) Is forcibly rotated. That is, the rotary pulley 3 rotates by the flow of the governor rope 12 wound along its circumferential surface.

플라이 웨이트(4)는 조속기 로프(12)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 풀리(3)에 설치되며 이 회전 풀리(3)가 정격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는 경우 그 원심력에 의해 의해 형상이 변형된다. 원심력의 영향으로 형상이 변형되는 구조의 구현을 위해 상기 플라이 웨이트(4)는,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두 쌍의 세로 바(40)와 가로 바(42)가 굴절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직사각형 구성일 수 있다. The fly weight 4 is installed on the rotary pulley 3 that is rotated by the governor rope 12 and is deformed by the centrifugal force when the rotary pulley 3 rotates faster than the rated speed. In order to implement a structure whose shape is de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centrifugal force, the fly weight 4 has two pairs of vertical bars 40 and horizontal bars 42 fac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2 to 4. May be a rectangular configuration that is deflectably interconnected.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세로 바(40) 또는 가로 바(42) 중앙에는 일정한 높이로 보스(44)가 형성되고, 이 보스(44)를 관통하는 결속부재(B)를 매개로 플라이 웨이트(4)는 두 개의 피봇지점(P1, P2)을 형성하는 형태로 상기 회전 풀리(3)에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풀리(3)가 규정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두 개의 피봇지점(P1, P2)을 기준으로 플라이 웨이트(4)가 마름모꼴 형태로 그 단면형상이 변화하면서 제1, 제2 과속검출스위치(5)(6)가 작동하게 된다.A boss 44 is formed at a constant height in the center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40 or horizontal bars 42 facing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fly weight is formed through the binding member B penetrating the boss 44. (4) can be assembled to the rotary pulley (3) in the form of two pivot points (P1, P2). Therefore, when the rotary pulley 3 reaches the specified speed, the cross weight of the fly weight 4 is changed into a rhombic shape based on the two pivot points P1 and P2, and the first and second overspeed detection switches ( 5) (6) is activated.

이때 상기 보스(44)는 위와 같이 회전 풀리(3)에 플라이 웨이트(4)가 두 개의 피봇지점(P1, P2)을 형성하면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체 역할을 하면서도, 원심력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플라이 웨이트(4)가 후술되는 제2 과속검출스위치(6) 외측을 구속하여 이를 동작시킬 수 있는 거리만큼 회전 풀리(3)로부터 플라이 웨이트(4)를 이격시키는 간격 유지구 역할도 함께 겸한다. In this case, the boss 44 serves as a connector to allow the fly weight 4 to be connected to the rotary pulley 3 while forming two pivot points P1 and P2 as described above, while being deformed by centrifugal force. It also serves as a gap retainer for separating the fly weight 4 from the rotation pulley 3 by a distance that the weight 4 can restrain the outside of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to be described later.

제1 과속검출스위치(5)는 플라이 웨이트(4)에 연동하여 승강기의 제동을 위한 전기적 제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과속검출스위치(5)는 프레임(1)의 고정축(10)에 끼워져 고정되는 형태로 조립되며, 판상의 패널(50)과 이 패널(50) 일면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스위치(52)로 구성된다. 이때 스위치(52)는 도면과 같이 세 개의 곡선형 스위치 바(switch-bar)가 상호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링 형상 스위치일 수 있으며, 플라이 웨이트(4) 동작에 연동하여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The first speed detecting switch 5 outputs an electric braking signal for braking the elevator in conjunction with the fly weight 4. The first speed detecting switch 5 is assembled in a form of being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fixed shaft 10 of the frame 1, and a plate-shaped panel 50 and a ring-shaped switch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panel 50 ( 52). In this case, the switch 52 may be a ring-shaped switch in which three curved switch bars (switch-bars) are mutually refracted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shape thereof may be chang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fly weight 4.

플라이 웨이트(4)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스위치를 구현하기 위해, 제1 과속검출스위치(5)를 구성하는 상기 스위치(52)는 회전 풀리(3)에 장착된 상기한 플라이 웨이트(4) 안쪽에 위치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링 형상의 스위치(52) 외곽에는 플라이 웨이트(4) 동작 시 상기 스위치(52)를 오므리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는 둘 이상의 힘전달부재(46, 도 5참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플라이 웨이트(4)에 설치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a switch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fly weight 4 operation, the switch 52 constituting the first speed detecting switch 5 is inside the above fly weight 4 mounted on the rotary pulley 3. At least two force transmission members 46 (see FIG. 5) which transmit a force in the direction of pinching the switch 52 when the fly weight 4 is operated outside the ring-shaped switch 52. May be installed on the fly weight 4 at regular intervals.

따라서 원심력에 의해 플라이 웨이트(4)가 마름모꼴 형상으로 그 단면형상이 변화되면, 상기 힘전달부재(46)가 플라이 웨이트(4) 변형과 함께 회전 중심축을 향해 안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52)에 접속하게 되고, 스위치(52)에 접속된 힘전달부재(46)는 원심력에 의해 이를 계속해서 오므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상기 스위치(52)는 후술될 도 10의 도시와 같은 형태로 굴절 변형되어 전기적으로 오프(OFF)되고, 이를 통해 1차 전기적 제동신호가 출력된다. Accordingly, when the cross weight of the fly weight 4 is changed into a rhombic shape by centrifugal force,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46 moves inward toward the rotational central axis with the fly weight 4 deformation to the switch 52.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46 connected to the switch 52 is forced by the centrifugal force to continue to retract it, so that the switch 52 is deflected into a shape as shown in FIG. 1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deformed and electrically turned off, through which a primary electrical braking signal is output.

제2 과속검출스위치(6)는 상기한 고정축(10) 외연에 회전 자유롭게 조립되며, 전술한 제1 과속검출스위치(5)에 의한 전기적 제어에도 불구하고 승강기가 정지하지 않을 경우 2차 기계적 제동을 위한 기계적 제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2 과속검출스위치(6)는 플라이 웨이트(4) 안쪽에 위치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일 수 있으며, 원심력에 의해 상기 플라이 웨이트(4)가 변형될 경우 이 플라이 웨이트(4)에 물려 함께 회전하면서 기계적 제동신호를 출력한다.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is rotatably assembled on the outer edge of the fixed shaft 10, and the second mechanical braking is not performed when the elevator does not stop despite the electrical control by the first speed detecting switch 5 described above. Output mechanical braking signal for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may be a cylindrical rotating body located inside the fly weight 4, and when the fly weight 4 is deformed by centrifugal force, the second weight detection switch 6 is bitten together with the fly weight 4. It outputs mechanical braking signal while rotating.

제2 과속검출스위치(6)에 의한 상기 기계적 제동신호는 연동기구(8)를 통해 제동부(7)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동부(7)는 제2 과속검출스위치(6) 동작에 연동하여 조속기 로프(12)를 강제 구속하고, 따라서 승강기의 운행을 강제적으로 제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기계적 제동을 위해 상기 제동부(7)는, 베이스(2)에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슈(70) 및 상기 조속기 로프(12)를 사이에 두고 고정슈(70)와 이격 설치되는 로프캐치(72)를 포함한다. The mechanical braking signal by the second overspeed detection switch 6 is transmitted to the braking section 7 via the interlock mechanism 8.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king unit 7 forcibly restrains the governor rope 12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and thus serves to forcibly brake the driving of the elevator. For this mechanical braking, the braking part 7 is a rope catch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shoe 70 with the fixing shoe 70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2 and the governor rope 1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72.

로프캐치(72)는 상기 베이스(2) 내에 탄성 설치되는 탄성수평부재(74)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연동기구(8)를 구성하는 서포트 바(80)에 의해 고정슈(70)와의 사이로 조속기 로프(12)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향 회동된 상태로 견인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바(80)의 동작에 의해 그 견인상태가 해제되면 하향 회동하면서 고정슈(70)와 사이에 존재하는 조속기 로프(12)를 강하게 압박하는 형태로 그 이동을 구속한다.The rope catch 7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tip of the elastic horizontal member 74 that is elastically installed in the base 2. In addition, the support bar 80 constituting the interlock mechanism 8 is pulled up in a state of upward rotation so that the governor rope 12 can move between the fixed shoe 70. Therefore, when the traction state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bar 80, the movement is constrained in the form of strongly pressing the governor rope 12 existing between the fixed shoe 70 and the downward rotation.

연동기구(8)는 제2 과속검출스위치(6)의 기계적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동부(7)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기구(8)는, 프레임(1)에 피봇점을 형성한 기다란 바 형상의 서포트 바(80)를 포함한다. 이때 서포트 바(80) 일측 선단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제2 과속검출스위치(6) 외면과 접속하는 접속부재(83)를 형성한 접속단(82)이 형성되며, 다른 일측 선단에는 고리단(84)을 구비한다. The interlock mechanism 8 serves to operate the brake unit 7 in conjunction with the mechanical operation of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To this end, the linkage mechanism 8 includes an elongated support bar 80 having a pivot point formed on the frame 1.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a connection end 82 formed with a connection member 83 for connect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80. A stage 84 is provided.

상기 고리단(84)은 로프캐치(72)의 자유단 측에 착탈 가능한 연결되고, 로프캐치(72) 자유단 측이 상기 고리단(84)과 연결된 상태에서는 도면(도2 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로프캐치(72)가 상향 회동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바(80)에 의해 견인된다. 이에 따라, 제2 과속검출스위치(6)의 회전에 연동하여 서포트 바(80)가 회동되면, 고리단(84)과 로프캐치(72)의 연결이 해제되며, 따라서 로프캐치(72)는 중력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조속기 로프(12)를 구속하게 된다.
The hook end 84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ree end side of the rope catch 72, and the rope catch 72 free end side is connected to the hook end 84 in the state of FIG. 2 (or FIG. 4). As shown, the rope catch 72 is towed by the support bar 80 in an upwardly rotated state. Accordingly, when the support bar 80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ok end 84 and the rope catch 72 is released, and thus the rope catch 72 is gravity Falling in the direction to restrain the governor rope (1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에 의해 수행되는 1차, 2차에 걸친 승강기 제동과정을 본 발명 동작과 연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 braking processes performed by the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첨부도면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조속기에 의해 수행되는 승강기 제어과정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로서, 플라이 웨이트(4)에 의해 제1 과속검출스위치(5)가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8 and 9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showing an elevator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an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overspeed detection switch 5 is operated by the fly weight 4. It is a figure showing the appearanc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승강기의 카가 정상적인 운행속도를 초과하여 하강하게 되면 조속기 로프(12)의 이동속도가 빨라지고 회전 풀리(3)의 회전속도가 빨라져 플라이 웨이트(4)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증가하게 된다. 플라이 웨이트(4)는 원심력에 의하여 도 9와 같은 마름모꼴 형상으로 변형되고, 이 과정에서 플라이 웨이트(4)에 설치된 힘전달부재(46)가 플라이 웨이트(4) 변형과 함께 회전 중심축을 향해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when the car of the elevator descends beyond the normal running speed, the speed of the governor rope 12 is increased and the speed of rotation of the rotary pulley 3 is increased so that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on the fly weight 4 is increased. Will increase. The fly weight 4 is deformed into a rhombic shape as shown in FIG. 9 by centrifugal force, and in this process,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46 installed on the fly weight 4 moves inward toward the rotational center axis along with the fly weight 4 deformation. Will move.

힘전달부재(46)가 안쪽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힘전달부재(46)는 제1 과속검출스위치(5)를 구성하는 링 형상의 스위치와 접속하게 되고, 스위치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힘전달부재(46)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를 계속해서 오므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52)는 도 10의 도시와 같은 형상으로 굴절 변형되고, 스위치(52) 굴절부가 전기적으로 단락(OFF)되어 승강기 전기적 제동를 위한 전기적 제동신호를 출력한다.As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46 moves inward, the force transmission member 46 is connected to a ring-shaped switch constituting the first overspeed detection switch 5, and the force transmission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switch. The member 46 exerts a force in the direction of continuously closing the switch by centrifugal force. Accordingly, the switch 52 is refracted and deformed into the shape as shown in FIG. 10, and the refraction portion of the switch 52 is electrically shorted to output an electric braking signal for the electric brake of the elevator.

제1 과속검출스위치(5)를 통해 출력된 전기적 제동신호는 승강기의 운행을 총괄하는 제어반(미도시)에 전달되며, 제어반은 승강기 카 구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권상장치(권상모터, 미도시)의 구동을 정지시켜 승강기 운행을 정지시킨다. 즉, 제1 과속검출스위치(5)를 통해 출력된 전기적 제동신호로서 승강기 구동을 정지시키는 1차 전기적 제동이 이루지게 되는 것이다.The electrical braking signal output through the first speed detecting switch 5 is transmitted to a control panel (not shown) in charge of driving the elevator, and the control panel is directly involved in driving the elevator car (a hoist motor, not shown). The driving of the elevator is stopped b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elevator. That is, as the electrical braking signal output through the first speed detecting switch 5, primary electrical braking is performed to stop driving of the elevator.

제1 과속검출스위치(5)에 의한 전기적 제어에도 불구하고 승강기 운행이 정지되지 않으면, 계속되는 회전 풀리(3) 회전으로 제2 과속검출스위치(6)가 동작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동부(7)가 동작함으로써, 승강기 카와 연결된 조속기 로프(12)의 이동이 기계적으로 구속되고 승강기 운행이 기계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플라이 웨이트(4)에 의해 제2 과속검출스위치(6)가 동작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If the elevator operation is not stopped despite the electrical control by the first overspeed detection switch 5, the second overspeed detection switch 6 is op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ulley 3, and the braking unit 7 is interlocked with it. By operation,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12 connected with the elevator car is mechanically constrained and the elevator operation can be mechanically stopped. Referring to FIG. 10,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is operated by the fly weight 4 will be described.

제1 과속검출스위치(5)의 동작에도 불구하고 승강기가 정지하지 않고 계속 이동하면, 회전 풀리(3)의 회전속도 또한 계속해서 증가하며, 회전 풀리(3)에 설치된 플라이 웨이트(4)는 두 개의 피봇지점(P1, P2)을 기준으로 보다 좁은 마름모꼴 단면형상으로 변형된다. 이 과정에서 플라이 웨이트(4)를 구성하는 두 쌍의 가로 바(42)와 세로 바(40) 중 어느 한 쌍의 바가 그 사이에 위치한 제2 과속검출스위치(6)를 기계적으로 구속하게 된다. If the elevator continues to move without stopping despite the operation of the first overspeed detection switch 5,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pulley 3 also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flyweight 4 installed on the rotary pulley 3 It is deformed into a narrower rhombic cross-sectional shape based on the pivot points P1 and P2. In this process, any one pair of two pairs of horizontal bars 42 and vertical bars 40 constituting the fly weight 4 mechanically restrains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located therebetween.

플라이 웨이트(4)에 의해 상기 제2 과속검출스위치(6)가 기계적으로 구속되면,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2 과속검출스위치(6)는 플라이 웨이트(4)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 과속검출스위치(6)가 회전하게 되면 로프캐치(72)를 견인하고 있는 서포트 바(80)가 피봇점(P3)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고리단(84)과 로프캐치(72)가 맞물려 있던 연결부분의 연결상태가 해제된다. When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is mechanically constrained by the fly weight 4,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fly weight 4 as shown in FIG. 11. do. In addition, when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6 is rotated, the support bar 80 which is towing the rope catch 72 is rotated based on the pivot point P3, and the hook end 84 and the rope catch 72 are rotate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ed part is released.

로프캐치(72)의 견인상태가 해체되면, 도 12의 작동상태도의 화살표 도시와 같이, 로프캐치(72)는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하향 회동하게 되고 고정슈(70)와 사이에 위치하는 조속기 로프(12)를 고정슈(70) 측으로 강하게 압박하여 그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기의 카는 강제적으로 그 이동을 멈추게 되며, 이와 같은 일련의 제동과정이 2차 기계적 제동에 해당된다.When the pulled state of the rope catch 72 is dismantled, as shown by the arrow in the operating state diagram of FIG. 12, the rope catch 72 is rotated downward in the gravity direction by its own weight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shoe 70 and the governor. The rope 12 is strongly pressed toward the fixed shoe 70 to restrain its movement. Accordingly, the car of the elevator is forcibly stopped moving, and this series of braking processes corresponds to the secondary mechanical braking.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기용 조속기에 따르면, 회전 풀리가 규정된 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할 경우, 그 원심력으로 플라이 웨이트의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로 변화하면서 이 플라이 웨이트의 원주방향 위치에 관계 없이 그 안쪽에 위치한 제1 과속검출스위치와 제2 과속검출스위치를 차례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이 웨이트의 위치에 따라 회전 풀리가 180도 더 회전하는 종래의 윈도우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elevator govern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ry pulley rotates faster than the prescribed speed, the cross-section of the flyweight is narrow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circumferential position of the flyweight is changed. Regardless, the first speed detecting switch and the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located therein may be sequentially operated. Therefore, the conventional window effect that the rotation pulley is rotated 180 degrees furth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fly weight does not occur.

위와 같이 원도우 효과가 발생하지 않게 되면, 정격속도를 초과하더라도 설정된 작동속도 범위 내에서 카의 정확한 제동이 구현될 수 있고, 설정속도를 초과하여 정지하는 경우 즉, 승강기가 규정된 정지속도를 초과하여 정지하는 경우에 있어 탑승객이 심각한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탑승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규정된 속도범위 내에서 정상적인 승강기의 제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window effect does not occur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rated speed is exceeded, accurate braking of the car can be realized within the set operating speed range, and when the stop exceeds the set speed, that is, the lift exceeds the prescribed stop speed. In the event of a stop, it is possible to avoid a situation in which passengers are at serious risk.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normal elevator braking within a defined speed range that can ensure occupant safety.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1 : 프레임 2 : 베이스
3 : 회전 풀리 4 : 플라이 웨이트
5 : 제1 과속검출스위치 6 : 제2 과속검출스위치
7 : 제동부 8 : 연동기구
10 : 고정축 12 : 조속기 로프
40 : 세로 바 42 : 가로 바
44 : 보스 46 : 힘전달부재
50 : 패널 52 : 링 형 스위치
70 : 고정슈 72 : 로프캐치
74 : 탄성수평부재 80: 서포트 바
82 : 접속단 84 : 고리단
1: frame 2: base
3: rotating pulley 4: fly weight
5: 1st speed detection switch 6: 2nd speed detection switch
7: braking part 8: interlocking mechanism
10: fixed shaft 12: governor rope
40: vertical bar 42: horizontal bar
44: boss 46: power transmission member
50 panel 52 ring type switch
70: fixed shoe 72: rope catch
74: elastic horizontal member 80: support bar
82: connecting end 84: ring end

Claims (9)

프레임 및 프레임 저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의 고정축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며 조속기 로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풀리;
회전 풀리에 설치되고 이 회전 풀리가 정격속도보다 빠르게 회전되는 경우 그 원심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플라이 웨이트;
플라이 웨이트의 형상 변형에 연동하여 변형되면서 승강기의 제동을 위한 전기적 제동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고정축 상의 제1 과속검출스위치;
고정축 외연에 회전 자유롭게 조립되고 상기 플라이 웨이트의 형상 변형에 연동하여 기계적으로 동작되는 제2 과속검출스위치;
베이스에 장치되고 제2 과속검출스위치의 기계적 출력에 의해 상기 조속기 로프를 기계적으로 제동시키는 제동부; 및
제2 과속검출스위치의 기계적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동부를 동작시키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승강기용 조속기.
A base installed in the frame and the bottom of the frame;
A rotating pulley rotatably mounted on a fixed shaft on the frame and rotating by a governor rope;
A fly weight installed on the rotary pulley and deformed by the centrifugal force when the rotary pulley is rotated faster than the rated speed;
A first speed detecting switch on the fixed shaft that is de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fly weight and outputs an electric braking signal for braking the elevator;
A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rotatably assembl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ed shaft and mechanically op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fly weight;
A brake unit mounted to a base and mechanically braking the governor rope by a mechanical output of a second overspeed detection switch; And
And an interlock mechanism for operating the brake unit in association with a mechanical operation of a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과속검출스위치는 회전 풀리에 설치되는 상기 플라이 웨이트 안쪽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조속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and second speed detecting switches are located inside the fly weight installed on the rotary pulle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웨이트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두 쌍의 세로 바와 가로 바가 상호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직사각형 구성을 갖고,
상기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세로 바 또는 가로 바 중앙에 형성된 보스를 관통하는 결속부재에 의해서 상기 회전 풀리에 두 개의 피봇지점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조속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ly weight has a rectangular configuration in which two pairs of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fac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refractively,
An elevator govern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form two pivot points on the rotary pulley by a bind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a bos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or horizontal bars facing parallel to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원심력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플라이 웨이트가 제2 과속검출스위치 외측을 밀착 구속하여 이를 동작시킬 수 있는 거리만큼 회전 풀리로부터 플라이 웨이트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조속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ss is a governor for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the fly weight from the rotary pulley by the distance that the fly weight deformed by the centrifugal force can be tightly constrain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peed detection switch.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속검출스위치는,
판상의 패널과, 상기 패널 일면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스위치로 구성되되,
상기 링 형상의 스위치는 둘 이상의 곡선형 스위치 바(switch-bar)가 상호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을 갖고, 스위치 바가 상호 굴절되는 방향으로 변형되면 그 굴절부에 마련된 스위칭 소자가 단락되면서 승강기 제동을 위한 전기적 제동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조속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speed detection switch,
Consists of a plate-shaped panel and a ring-shaped switch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anel,
The ring-shaped switch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wo or more curved switch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mutually refracted. An elevator governor,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braking sig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의 스위치는 플라이 웨이트에 설치되는 둘 이상의 힘전달부재에 의해 웨이트 형상 변형에 연동하여 그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조속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ing-shaped switch is a governor for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is de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weight shape deformation by two or more force transmission members installed on the fly weigh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속검출스위치는,
원심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는 상기 플라이 웨이트에 가압 구속되어 함께 회전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조속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cond speed detection switch,
An elevator govern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ylindrical rotational body that is pressed and restrained by the fly weight that is deformed by centrifugal force to rotate toge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베이스에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슈와;
조속기 로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슈와 마주하는 로프캐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캐치는,
상기 베이스 내에 탄성 설치되는 탄성수평부재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동기구 기계적 동작에 의해 하향 회동하면서 고정슈와 사이에 위치하는 조속기 로프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조속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king unit includes:
A fixed sho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And a rope catch facing the fixing shoe with a governor rop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rope catch,
An elevator governor,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an elastic horizontal member elastically installed in the base, and constrains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shoe while rotating downward by the interlock mechanism mechanical opera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프레임에 피봇점을 형성한 기다한 바 형상의 서포트 바;
상기 서포트 바 일측 선단에 형성되며 제2 과속검출스위치 외면과 접속되는 접속부재를 형성한 접속단; 및
상기 로프캐치와 착탈 가능한 연결을 위해 서포트 바 다른 일측 선단에 형성되는 고리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조속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interlock mechanism,
A support bar having a long bar shape having a pivot point formed on the frame;
A connection end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and having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a second speed detection switch; And
Elevator speed govern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ring end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for detachable connection with the rope catch.
KR1020110118595A 2011-11-15 2011-11-15 A governor for elevator KR1012714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595A KR101271404B1 (en) 2011-11-15 2011-11-15 A governor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595A KR101271404B1 (en) 2011-11-15 2011-11-15 A governor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078A true KR20130053078A (en) 2013-05-23
KR101271404B1 KR101271404B1 (en) 2013-06-05

Family

ID=4866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595A KR101271404B1 (en) 2011-11-15 2011-11-15 A governor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40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909A (en) * 2013-08-12 2013-12-11 谭锦泉 Speed limiting trigger
EP3560875A3 (en) * 2018-04-25 2019-11-06 Otis Elevator Company Speed governor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7640B (en) * 2015-05-19 2017-04-05 苏州多美适家用电梯有限公司 Roller guide shoe trigger-type elevator govern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0615B2 (en) * 1994-10-20 1998-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governor
KR20040029816A (en) * 2002-10-02 2004-04-08 신석희 A governor of elevator apparatus
CN102131726B (en) * 2008-08-28 2013-05-22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speed govern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909A (en) * 2013-08-12 2013-12-11 谭锦泉 Speed limiting trigger
EP3560875A3 (en) * 2018-04-25 2019-11-06 Otis Elevator Company Speed governor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US11465881B2 (en) 2018-04-25 2022-10-11 Otis Elevator Company Governor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404B1 (en)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5504B2 (en) Elevator governor
CN105916791B (en) Elevator equipped with safety device configuration
US8931598B2 (en) Governor sheave with an overlapping flyweight system
KR101271404B1 (en) A governor for elevator
CN103052583A (en) Elevator speed governor
US9359173B2 (en) Elevator governor having two tripping mechanisms on separate sheaves
CN107021395A (en) With automatically reset overspeed governor of elevator
JP5963335B1 (en) Elevator speed detector and elevator
WO2016059695A1 (en) Rope break detection device
JP5771746B2 (en) Elevator equipment
EP2617672B1 (en) Speed governor for elevator
JP2013151337A (en) Governor and eleva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0219451A (en)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system
CN212450162U (en) Mechanical speed limiting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RU2444471C2 (en) Elevator emergent braking system
EP2490971B1 (en) Unintended movement governor and elevator
JP5944056B2 (en) Elevator governor and elevator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7673155B (en) Speed limiter assembly and elevator
CN208617158U (en) Carriage is servo-actuated elevator governor
KR100854739B1 (en) governor for elevator
US20180251336A1 (en) Elevator brake
WO2011027432A1 (en) Elevator apparatus
JP2018203380A (en) Speed governor for elevator
KR101836774B1 (en) A Subsidiary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Elevators
JP6014261B2 (en) Elevato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