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927A -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927A
KR20130052927A KR1020110118276A KR20110118276A KR20130052927A KR 20130052927 A KR20130052927 A KR 20130052927A KR 1020110118276 A KR1020110118276 A KR 1020110118276A KR 20110118276 A KR20110118276 A KR 20110118276A KR 20130052927 A KR20130052927 A KR 20130052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copolymer
weight
polyolefin resin
graft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65631B1 (en
Inventor
박명철
이동우
서영종
최창휴
김덕호
이승주
박주희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631B1/en
Publication of KR2013005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9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6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carbonamides, polyesteramides or poly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28Oxygen or compounds releasing free oxygen
    • C08F4/32Organic compounds
    • C08F4/34Per-compounds with one peroxy-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3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e.g. by ni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PURPOSE: A polyolefin graft copolymer is provided to have a stable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y by grafting a polyetherimide to a polyolefin, and to be grafted even at high temperature by a stable polyetherimide structure. CONSTITUTION: A polyolefin graft copolymer is that polyetherimide is grafted to a first polyolefin resin.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is that the polyetherimide is grafted to the first polyolefin resin using a peroxide initiator as a catalyst. The graft ratio is 5-12 weight%. A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comprises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the second polyolefin resin.

Description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염소계 프라이머의 처리없이 직접 도장하여도 충분한 부착 강도를 나타내는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olefin graft copolymer exhibiting sufficient adhesive strength even when directly coated without the treatment of a chlorine primer and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폴리올레핀 수지를 기재로 하는 소재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 가공성 및 낮은 원가 등의 장점이 있으므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 있고 또한 여러 가지 용도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내/외장용 소재로서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부품용 소재로서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내/외장용 소재의 경우 기계적 물성과 동시에 미적 효과 및 표면의 물성 향상을 위하여 도장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기재와 도료와의 양호한 부착성이 요구된다.Since a material based on polyolefin resin has advantages such 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processability and low cost, various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In particular, the use is expanding as a material for interior and exterior of automobiles. In particular, the usage is increasing as a material for automotive parts. In the case of automotive interior / exterior materials, good adhes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aint is required because coating is essential for 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aesthetic effects and surface properties.

그러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는 무극성 고분자이기 때문에 도료와의 부착성이 열등하여 도장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을 기재로 하는 소재의 도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표면 전처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 한 예로 도정 전에 염소계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염소화 폴리에틸렌 또는 염소화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염소계 프라이머는 환경오염 및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고 따라서 이를 사용하지 않기 위한 다양한 대체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다. However, since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are nonpolar polymers, they have inferior adhesion to paints and thus have many difficulties in coating. Therefore, various surface pretreatment methods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paintability of materials based on polypropylene. One example is the use of chlorine primers prior to milling. However, chlorine-based primers represented by chlorinated polyethylene or chlorinated polypropylene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ost increase, and thus, various alternative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avoid using them.

예를 들어, 프라이머 처리 대신 화염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표면처리 기술도 개발되어 있다. 이는 고온의 화염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계 복합 소재 성형물의 표면을 산화시켜 극성을 부여함으로써 도료와의 접착강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이는 고가의 플라즈마 처리설비가 추가로 필요한 단점이 있고 플라즈마 설비의 특성상 굴곡진 부분이나 성형 시 형성되는 접합부(Weldline) 부위에서는 처리 효과가 부족하거나 과처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균일한 도장강도를 부여하기 어려우므로 프라이머 처리에 비하여 우수한 도장면을 얻기 힘든 단점이 있었다. For example, surface treatment techniques using flame plasma instead of primer treatment have also been developed. This is a technique of improving the adhesive strength with the paint by oxidizing the surface of the molded product of the polypropylene composite material using a high temperature flame plasma to impart polarity. This has the disadvantage that additional expensive plasma processing equipment is required,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sma equipment, in the curved portion or the weld line formed during molding, the treatment effect may be insufficient or overprocessed to give uniform coating strength. Since it is difficult,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excellent coating surface compared to the primer treatment.

한편, 기능성 첨가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소재의 개발을 위한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 2006-0092380 호에는 아크릴레이트계 기능성 고분자 첨가제를 10~20 중량%로 사용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10~20 중량%의 많은 양의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냄새가 나거나 고분자의 물성을 전체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고 10중량% 미만으로 사용시 도장성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technology for the development of a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that does not require a primer treatment using a functional additive,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0092380 uses an acrylate functional polymer additive at 10 to 20% by weight. The method is introduced. However, by using a large amount of additives of 10 to 20%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mell o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can be reduced as a whole and the paintability is insufficient when used in less than 10% by weight.

또한,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산무수물로 개질된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한국공개특허 제 1999-0066058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카르복실산 또는 산무수물과 같은 기능성 그룹만으로는 충분한 도장성을 달성하기 어렵다.In addition, a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low molecular weight polypropylene resin modified with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an acid anhydrid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999-0066058. However, functional groups alone, such as carboxylic acids or acid anhydrides, do not achieve sufficient paintability.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에 폴리에테르이미드를 그래프트함으로써 안정적인 구조 및 물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olefin graft copolymer having a stable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by grafting polyetherimide to polyolefin.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염소계 프라이머의 처리없이 직접 도장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described above, which can be directly coated without the treatment of a chlorine prim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폴리에테르이미드가 그래프트되어 있는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olefin graft copolymer in which a polyetherimide is grafted to the first polyolefin resi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 60 내지 99 중량부를 과산화물 개시제0.02 내지 7 중량부를 촉매로 하여 폴리에테르이미드 0.5 내지 39.9 중량부로 그래프트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60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polyolefin resin grafted with 0.5 to 39.9 parts by weight of polyetherimide with 0.02 to 7 parts by weight of a peroxide initiator as a catalyst It may b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폴리에테르이미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etherimide included in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 to 4.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화학식 3](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화학식 4][Formula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In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4,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 그룹이고,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R5는 탄소수 3 내지 6의 포화 또는 불포화 시클로알킬 그룹 또는 페닐기이며,R 5 is a saturated or unsaturated cycloalkyl group or phenyl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m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m is an integer from 0 to 10,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제2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the second polyolefin resi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폴리올레핀 수지는 호모폴리프로필렌(Homo-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Polypropylene compolymer),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metallocene polypropylene),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비결정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atatic polypropylene)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 plastic olefin, TP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cond polyolefin resin is homo-polypropylene (Homo-polypropylene), polypropylene copolymer (Polypropylene compolymer), metallocene polypropylene (metallocene polypropylene),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amorphous atactic polypropylene (atatic polypropylene) and thermoplastic polyolefin (Thermo plastic olefin, TPO)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안정적인 폴리에테르이미드의 구조로 인하여 높은 가공 온도에서도 충분한 그래프트 반응이 가능하다.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sufficient graft reaction even at high processing temperatures due to the stable polyetherimide structure.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그래프트시킨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는 직접 도장성능을 위한 수지 조성물에 비해 높은 도장 성능을 보인다.In addition,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includes a grafted modified polyolefin resin, thereby showing a high coating performance compared to a resin composition for direct coating performance used conventional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도장성 평가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도장성 평가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도장성 평가 사진이다.
1 is a photograph of the coating property evaluation of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of evaluation of paintability of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hotograph of the paintability evaluation of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폴리에테르이미드가 그래프트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제2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in which polyetherimide is grafted to the first polyolefin resin. In addition,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the second polyolefin resin.

이하,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대해 하나의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구현예에 대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Hereinafter,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presented as an example for the present invention, by which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embodiment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다른 구성요소(또는 구성성분)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음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요소(또는 구성성분)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stat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cluding" or "containing" refers to the inclusion of other components (or components)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nd refers to the addition of other components (or components) It is not to be interpreted as excluding.

폴리올레핀Polyolefin 그래프트Graft 공중합체 Copolymer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폴리에테르이미드가 그래프트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과산화물 개시제를 촉매로 하여 폴리에테르이미드로 그래프트할 수 있다.In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polyetherimide is grafted to the first polyolefin resin. At this time, it can be grafted with polyetherimide using a peroxide initiator as a catalyst.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Polypropylene homo-polymer),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에틸렌/부텐 코폴리머(Ethylene/butene copolymer), 에틸렌/옥텐 코폴리머((Ethylene/octene copolyme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터폴리머(Ethylene/propylene/α-olefin terpolymer)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에틸렌 함량이 약 0.5 내지 약 20중량%으로 포함된 코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로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부텐 함량이 약 0.5 내지 약 20중량%으로 포함된 코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irst polyolefin resin included in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a polypropylene homopolymer, an ethylene / propylene random copolymer, an ethylene / Propylene random copolymer (Ethylene / propylene block copolymer), ethylene / butene copolymer (Ethylene / butene copolymer), ethylene / octene copolymer ((Ethylene / octene copolymer) or ethylene / propylene / alpha-olefin terpolymer (Ethylene / propylene / α-olefin terpolymer) etc. When the ethylene / propylene random copolymer or the ethylene / propylene random copolymer is used as the first polyolefin resin, the ethylene cont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0.5 to about 20% by weight. Copolymers may be used, and when the ethylene / butene copolymer is used as the first polyolefin resin, the butene content is about 0.5 It may be a copolymer comprising from about 20% by weight.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60 내지 약 9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9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가 6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전체적인 물성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99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비극성이 강하여 도장성 향상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polyolefin resi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60 to about 99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70 to about 9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When the first polyolefin resin is included in less than 60 parts by weight,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may decrease, and when included in excess of 99 parts by weight, the non-polarity may be strong and the paintability improvement effect may not be sufficient.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지수(Melt index, 230℃, 2.16kg)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약 0.5 내지 약 200g/10min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약 0.5 내지 약 100g/10min일 수 있다. Melt index (Melt index, 230 ℃, 2.16kg) of the first polyolefin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bout 0.5 to about 200g / 10min, preferably about 0.5 to about 100g / 10min.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에서,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그래프트되는 폴리에테르이미드는 말레이미드계(maleimide) 화합물일 수 있다.In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etherimide grafted to the first polyolefin resin may be a maleimide compound.

상기 폴리에테르이미드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그래프트되어 비극성인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극성을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The polyetherimide is grafted onto the first polyolefin resin to serve to introduce polarity into the non-polar first polyolefin resi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테르이미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etherimide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 to 4.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화학식 3](3)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화학식 4][Formula 4]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이때,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At this time, in the formula 1 to 4,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 그룹이고,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R5는 탄소수 3 내지 6의 포화 또는 불포화 시클로알킬 그룹 또는 페닐기이며,R 5 is a saturated or unsaturated cycloalkyl group or phenyl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m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m is an integer from 0 to 10,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또한 R5는 탄소수 3 내지 4의 포화 또는 불포화 시클로알킬 그룹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preferably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 methyl group, and R 5 is a saturated or unsaturated cycloalkyl group having 3 to 4 carbon atom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현되는 반응성인 폴리에테르이미드를 과산화물 개시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그래프트시켜 수득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may be obtained by grafting a reactive polyetherimide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 to 4 having a double bond to the first polyolefin resin using a peroxide initiator. .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상기 반응성 폴리에테르이미드는 무수말레산이나, 무수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에 비해 개환이 되지 않고 안정적인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어 그래프트 반응할 때 높은 반응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래프트 반응시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반응성 폴리에테르이미드를 사용함으로써 반응시 고온에서 분해되거나, 탄화물이 발생할 염려가 없어 높은 그래프트 수율을 나타낸다.The reactive polyetherimide having a double bond does not ring open compared to maleic anhydride or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olefin, and has stabl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us exhibits high reactivity when graft re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reactive polyetherimide having a double bond in the graft reaction, there is no fear of decomposition at high temperatures or carbides during the reaction, showing a high graft yield.

상기 폴리에테르이미드는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5 내지 약 39.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이미드를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부여하는 비극성이 약하여 도장성 향상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39.9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미반응물이 잔존하여 부착성능이 안 나올 수 있다.The polyetherimid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0.5 to about 39.9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5 to about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When the polyetherimide is included in less than 0.5 parts by weight, the non-polarity imparted to the first polyolefin resin may be insufficient to improve the paintability. When the polyetherimide is included in excess of 39.9 parts by weight, unreacted materials remain and adhere. Performance may not come out.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과산화물 개시제를 이용하여 그래프트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수득된다. 이때 과산화물 개시제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라디칼을 생성시켜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반응성 폴리에테르이미드와 반응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화합물로, 중합 또는 공중합 반응에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개시제라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과산화물 개시제로는 수소 과산화물, 케톤 과산화물, 메틸에틸케톤 과산화물, 시클로헥산온 과산화물, 메틸이소부틸케톤 과산화물, 디아실 과산화물, 라우로일 과산화물, 이소부티릴 과산화물, 아세틸 과산화물, 2,4-디클로로벤조일 과산화물, 숙신산 과산화물, 데카노일 과산화물, 디이소노나노일 과산화물, 퍼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carrying out a graft reaction with a peroxide initiator. In this case, the peroxide initiator is a compound that generates a radical 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to enable a reaction with a reactive polyetherimide having a double bond, and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n initiator that can be commonly used for polymerization or copolymerization. For example, the peroxide initiator may be hydrogen peroxide, ketone peroxide,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cyclohexanone peroxide, methyl isobutyl ketone peroxide, diacyl peroxide, lauroyl peroxide, isobutyryl peroxide, acetyl peroxide, 2, 4-dichlorobenzoyl peroxide, succinic acid peroxide, decanoyl peroxide, diisononanoyl peroxide, perester, etc. are mention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산화물 개시제는 바람직하게는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2,5-Dimethyl 2,5-Di(t-butylperoxy) hexane)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eroxide initiator is preferably 2,5-dimethyl-2,5-di (t-butylperoxy) hexane (2,5-Dimethyl 2,5-Di (t-butylperoxy) ) hexane).

상기 과산화물 개시제는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2 내지 약 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03 내지 약 6.0 중량부, 좀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4 내지 약 5.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 개시제의 함량이 0.02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에테르이미드의 충분한 그래프트 반응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으며, 효과 대비 바람직한 공정 비용 확보 측면에 서7 중량부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roxide initiator may be used in an amount of about 0.02 to about 7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0.03 to about 6.0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about 0.04 to about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When the content of the peroxide initiator is less than 0.02 parts by weight, it may be difficult for a sufficient graft reaction of the first polyolefin resin and the polyetherimide to occur, and it is preferable to keep it at 7 parts by weight or less in terms of securing a preferable process cost for the effect. Do.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하기 반응식 1 내지 4과 같은 반응에 의해 중합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예를 들어 이축 압출기(twin screw extruder)을 이용하여 제1 폴리올레핀 수지는 main feeder로 주입하고 폴리에테르이미드는 side feeder를 통해 압출기 내부로 압출시켜 용융 중합할 수 있으며 이때 적절한 온도 범위는 약 160 내지 약 230℃일 수 있다.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lymerized by a reaction as in Schemes 1 to 4 below. The polymerization can be melt polymerized by, for example, injection of a first polyolefin resin into the main feeder using a twin screw extruder and extrusion of the polyetherimide into the extruder through a side feeder. 160 to about 230 ° C.

[반응식 1][Reaction Scheme 1]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반응식 2][Reaction Scheme 2]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반응식 3]Scheme 3

Figure pat00011
[반응식 4]
Figure pat00011
[Reaction Scheme 4]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이때, 상기 반응식 1 내지 4에서,At this time, in the reaction scheme 1 to 4,

R1 내지 R4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 그룹이고, R 1 To R 4 And R 6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R5는 탄소수 3 내지 6의 포화 또는 불포화 시클로알킬 그룹 또는 페닐기이며,R 5 is a saturated or unsaturated cycloalkyl group or phenyl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l은 5 내지 100의 정수이고,l is an integer from 5 to 100,

m은 0 내지 10의 정수이며,m is an integer of 0 to 10,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한편,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그래프트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라디칼 정지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제이다. 즉, 과산화물 개시제에 의해 생성된 라디칼의 과도한 반응을 억제하여 반응율을 낮추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1차 산화방지제 또는 포스페이트(Phosphate)계 2차 산화방지제 예컨대, IRGANOX 1010 또는 NA-11KY 등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rafted further comprising an antioxidant. The antioxidant is an additive used to be able to act as a radical terminator. That is, 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excessive reaction of radicals generated by the peroxide initiator to lower the reaction rate. As the antioxidant, a phenol-based primary antioxidant or a phosphate-based secondary antioxidant such as IRGANOX 1010 or NA-11KY may be used.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5 중량부 내지 약 1.0 중량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산화물 개시제에 의해 생성된 라디칼의 과도한 반응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락 등에 의한 기계적 물성 저하가 나타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antioxidant may be about 0.05 parts by weight to about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When the content of the antioxidant exceeds 1.0 parts by weight, mechanical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due to a decrease in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due to excessive reaction of radicals generated by the peroxide initiator.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한 폴리에테르이미드의 그래프트율은 약 5중량%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2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비율로 그래프트될 때, 최적의 도장 밀착성을 달성할 수 있으며, 그래프트 공정상의 기술적 어려움이 적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graft ratio of the polyetherimide relative to the first polyolefin resin may be about 5% by weight or more, preferably about 5 to about 12% by weight. When grafted in the ratio of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optimum paint adhesion, less technical difficulties in the graft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약 30,000 내지 약 100,000, 바람직하게는 약 3,500 내지 약 5,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가질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bout 30,000 to about 100,000, preferably about 3,500 to about 5,000.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안정적인 폴리에테르이미드의 구조로 인하여 높은 가공 온도에서도 충분한 그래프트 반응이 가능하며, 폴리올레핀 구조에 극성인 폴리에테르이미드를 도입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포함되어 사용할 경우 도장 밀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ufficient graft reaction even at high processing temperatures due to the stable polyetherimide structure, and improves paint adhesion when used in a polyolefin resin by using a polar polyetherimide in the polyolefin structure. Play a role.

폴리올레핀계Polyolefin series 수지 조성물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제2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한다.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contains the above-mentioned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2nd polyolefin resin.

상기 제2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예로는 호모폴리프로필렌(Homo-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Polypropylene compolymer),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metallocene polypropylene),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비결정 어택틱 폴리프로필렌(atatic polypropylene)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Thermo plastic olefin, TP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라 함은 기존의 선형구조를 갖는 일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전자선 가교, 반응 압출법, 촉매 기술 등을 적용하여 장측쇄(long chain branch)를 형성시켜 높은 용융장력을 갖는 수지를 지칭한다. Polypropylene may be used as the second polyolefin resin, and examples of the polypropylene include homo-polypropylene, polypropylene copolymer, metallocene polypropylene, and high melt melting.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amorphous atactic polypropylene, and thermoplastic polyolefin (TPO). The high melt tension polypropylene resin is a resin having high melt tension by forming a long chain branch by applying electron beam crosslinking, reaction extrusion, and catalyst technology to a general polypropylene resin having a conventional linear structure. Refers to.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폴리올레핀 수지로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약 123,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23,000 내지 약 150,000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폴리올레핀 수지로 비결정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약 500,000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00,000 내지 약 600,000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고 분자량 분포가 약 3.0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is used as the second polyolefin resin, a polypropylen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23,000 or more, preferably about 123,000 to about 150,000 may be used. In addition, when the amorphous atactic polypropylene is used as the second polyolefin resin, a polypropylen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000 or more, preferably about 500,000 to about 600,000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about 3.0 or more may be used.

폴리프로필렌은 경량이고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자동차의 내/외장부품 또는 가전부품 등 다양한 공업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부품으로는 자동차의 범퍼 또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코어 성형품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은 수십만개 이상의 탄화수소가 규칙적으로 연결된 중합체로서 안정된 구조를 갖는 무극성 고분자이기 때문에, 도료와의 부착성이 열등하여 도장에 어려움이 있다.Polypropylene i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automobile interior / exterior parts or home appliance parts because of its light weight and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In particular, polypropylene is used as a core molded product of a bumper or an instrument panel of an automobile. However, since polypropylene is a nonpolar polymer having a stable structure as a polymer to which several hundreds of thousands of hydrocarbons are regularly connected, adhesion to paint is inferio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aint.

이에,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향상된 도장 성능을 가진다.Accordingly,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described above and has improved coating performance.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i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폴리올레핀 수지는 약 1: 5 내지 약 1: 25, 바람직하게는 약 1: 9 내지 약 1: 20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1: 5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도장성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1: 25를 초과할 경우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지 못하다. In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the second polyolefin resin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about 1: 5 to about 1: 25, preferably about 1: 9 to about 1: 20. When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is included in less than 1: 5, it may not be sufficient to improve the paintability of the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s when it exceeds 1: 25.

추가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유리섬유, 탈크, 칼슘카보네이트와 같은 무기충진제, 중화제,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유리섬유와 같은 무기충진제를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20 내지 약 4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충진제를 포함함으로써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known additives such as inorganic fillers such as glass fibers, talc, calcium carbonate, neutralizers, weather stabilizers, and antistatic agent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organic filler such as glass fiber may include about 20 to about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By including the inorganic filler, physical properties of tensil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impact strength may be improved.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면, 수지에 극성을 부여하는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도장막에 대한 밀착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염소계 프라이머의 처리없이 도장이 가능하다. 또한 안정적인 폴리에테르이미드의 구조로 인하여 높은 가공 온도에서도 충분한 그래프트 반응이 가능하다.
By using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polyolefin graft copolymer that imparts polarity to the resin, the adhesion to the coating film is remarkably improved without lowering mechanical properties, so that the coating can be performed without treating the chlorine primer. Do. In addition, the stable structure of polyetherimide enables sufficient graft reaction even at high processing temperatures.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s>

실시예Example 1 One

제1 폴리올레핀으로 부텐 함량이 약 10% 인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85 중량%, 폴리에테르이미드로 화학식 2에서 R1, R2 가 수소이고, R3, R4 가 메틸기이며, n이 60~80인 폴리에테르이미드 14중량%, 및 과산화물 개시제로 2,5-디메틸-2,5 디(t-부틸퍼옥시)헥산 1 중량%를 40mm, L/D=52 사양의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가공온도 160~230℃에서 용융 압출하여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그래프트율은 10~12 중량% 수준이었다.85% by weight of an ethylene / butene copolymer having a butene content of about 10% as the first polyolefin, and R 1 , R 2 in Formula 2 as polyetherimide Is hydrogen, R 3 , R 4 Is a methyl group, n is from 60 to 80 of 14% by weight of polyetherimide, and 1% by weight of 2,5-dimethyl-2,5 di (t-butylperoxy) hexane as the peroxide initiator is 40 mm, L / D = 52 A polyolefin graft copolymer was obtained by melt extrusion at a processing temperature of 160 to 230 ° C. using a twin screw extruder. The graft rate was 10-12% by weight.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5중량%에 대해 제2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TPO수지(GHE-300, 호남석유)를 95중량%로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95 wt% of TPO resin (GHE-300, Honam Petroleum) as the second polyolefin resin based on 5 wt% of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실시예Example 2 2

실시예 1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10중량%에 대해 제2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TPO수지(제품명 GHE-300, 호남석유)를 90중량%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he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90 wt% of TPO resin (product name GHE-300, Honam Petroleum) was mixed as the second polyolefin resin with respect to 10 wt% of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Example 1. Prepared.

실시예Example 3 3

실시예 1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5중량%에 대해 제2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PP수지(제품명 HP-461Y, 폴리미래社)를 70중량%, 유리섬유로서 SE-4121 2400tex(OCV社)를 25중량% 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70 weight% of PP resin (Product name HP-461Y, PolyMirae Co., Ltd.) as a 2nd polyolefin resin, and 25 weight% of SE-4121 2400tex (OCV Co., Ltd.) as glass fiber with respect to 5 weight% of polyolefin graft copolymers of Example 1. A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mixing with.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에 대해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3 is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Polyolefin graft copolymer 5.0중량%5.0 wt% 10.0 중량%10.0 wt% 5.0 중량%5.0 wt% 제2 폴리올레핀 수지Second polyolefin resin 95.0중량%(TPO)95.0 wt% (TPO) 90.0중량%(TPO)90.0% by weight (TPO) 70.0중량%(PP)70.0% by weight (PP) 유리섬유Fiberglass -- -- 25.0 중량%25.0 w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도장성Paintability 평가 evaluation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도장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The paintability of the resin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3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method.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된 수지 조성물을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사출온도 200~220℃, 금형온도 30℃에서 110mm×70mm×3mm 크기의 판상 시편을 사출 성형하고, 프라이머 처리없이 현재 자동차용 범퍼 패시아에 사용되고 있는 페인트로 스프레이 도장 후 80℃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도장한 시편의 도장성은 크로스컷(Cross Cut) 시험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The resin composition obtained in Examples 1 to 3 was injection molded into a plate-shaped specimen of 110 mm × 70 mm × 3 mm at an injection temperature of 200 to 220 ° C. and a mold temperature of 30 ° C. using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fter spray coating with the paint used for the CIA, it dried for 30 minutes at 80 degreeC. The paintability of the coated specimens was evaluated by the Cross Cut test method.

즉, 이와 같이 도장된 시편을 2×2㎜ 가로 및 세로방향의 바둑판 모양을 정사각형으로 나이프 커팅하여 100개를 만든 다음, 셀로판 테이프를 충분히 밀착시킨 후, 빠른 속도로 잡아 당겼다. 이때 시편 위에 잔류되어 있는 정사각형의 그리드수를 백분율로 환산함으로써 도장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That is, the specimens thus coated were cut into 2 × 2 mm horizontal and vertical checker boards in a square shape to make 100 pieces, and then the cellophane tape was sufficient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pulled out at high speed. At this time, the coating property was evaluated by converting the number of square grids remaining on the specimen as a percentag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또한, 실시예 1 내지 3의 도장성을 상기 방법으로 평가한 시편 사진을 도 1 내지 3에 각각 나타내었다.
In addition, the photographs of the specimens in which the paintability of Examples 1 to 3 were evaluated by the above method are shown in FIGS. 1 to 3, respectively.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조성Furtherance 제2 폴리올레핀 수지Second polyolefin resin 95.0중량%(TPO)95.0 wt% (TPO) 90.0중량%(TPO)90.0% by weight (TPO) 70.0중량%(PP)70.0% by weight (PP)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Polyolefin graft copolymer 5.0중량%5.0 wt% 10.0 중량%10.0 wt% 5.0 중량%5.0 wt% 유리섬유Fiberglass -- -- 25.0 중량%25.0 wt% 도장성 평가Paintability Evaluation 도장성(%)Paintability (%) 100100 100100 100100

상기 표 2 및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도장성 평가결과 모두 100%의 우수한 도장성을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Table 2 and FIGS. 1 to 3, the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excellent paintability of 100% in the evaluation results of paintability.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 1 내지 2에 대해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compositions 1 and 2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용융지수(Melt Index ( MIMI ))

ASTM D1238 에 의거하여 230 ℃에서 측정하였다.It measured at 230 degreeC based on ASTMD1238.

인장강도The tensile strength

ASTM D638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And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ASTM D638.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

ASTM D79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And measured according to ASTM D790.

IzodIzod 충격강도 Impact strength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It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밀도(g/cm3)Density (g / cm 3) 0.970.97 0.970.97 용융지수(g/10min)The melt index (g / 10 min) 16.516.5 17.117.1 인장강도(kgf/cm2)Tensile strength (kgf / cm 2 ) 276276 283283 굴곡강도(kgf/cm2)Flexural Strength (kgf / cm 2 ) 396396 396396 Izod 충격강도(kg cm/cm)Izod impact strength (kg cm / cm) 7.67.6 5.75.7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As described above,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Claims (15)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폴리에테르이미드가 그래프트되어 있는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in which polyetherimide is grafted to 1st polyolefin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를 과산화물 개시제를 촉매로 하여 폴리에테르이미드로 그래프트한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is grafted with polyetherimide using a peroxide initiator as a catalys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 60 내지 99 중량부를 과산화물 개시제 0.02 내지 7 중량부를 촉매로 하여 폴리에테르이미드 0.5 내지 39.9 중량부로 그래프트한 것인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The polyolefin of claim 2, wherein 60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polyolefin resin is grafted to 0.5 to 39.9 parts by weight of polyetherimide based on 0.02 to 7 parts by weight of the peroxide initiato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Graft copolym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이미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현되는 것인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pat00013

[화학식 2]
Figure pat00014

[화학식 3]
Figure pat00015

[화학식 4]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 그룹이고,
R5는 탄소수 3 내지 6의 포화 또는 불포화 시클로알킬 그룹 또는 페닐기이며,
m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claim 1, wherein the polyetherimide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 to 4.
[Formula 1]
Figure pat00013

(2)
Figure pat00014

(3)
Figure pat00015

[Chemical Formula 4]
Figure pat00016


In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4,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R 5 is a saturated or unsaturated cycloalkyl group or phenyl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m is an integer from 0 to 10,
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Polypropylene homo-polymer),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에틸렌/부텐 코폴리머(Ethylene/butene copolymer), 에틸렌/옥텐 코폴리머((Ethylene/octene copolymer) 및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터폴리머(Ethylene/propylene/α-olefin ter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is a polypropylene homopolymer (Polypropylene homo-polymer), ethylene / propylene random copolymer (Ethylene / propylene random copolymer), ethylene / propylene block copolymer (Ethylene / propylene block copolymer) , Ethylene / butene copolymer (Ethylene / butene copolymer), ethylene / octene copolymer ((Ethylene / octene copolymer) And at least one polyolefin graft co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 propylene / alpha-olefin terpolym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는 부텐 함량이 약 0.5 내지 약 20중량%인 수지로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 함량이 0.5 내지 2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인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is a resin having a butene content of about 0.5 to about 20% by weight ethylene / butene copolymer or ethylene / propylene random copolymer or ethylene / propylene having a ethylene content of 0.5 to 20% by weight Polyolefin graft copolymer that is a block copolym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개시제는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2,5-Dimethyl 2,5-Di(t-butylperoxy) hexane)인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The polyolefin graft of claim 2 wherein the peroxide initiator is 2,5-dimethyl-2,5-di (t-butylperoxy) hexane (2,5-Dimethyl 2,5-Di (t-butylperoxy) hexane) Copolym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를 0.05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그래프트한 것인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claim 2, wherein the antioxidant is grafted to 0.05 parts by weight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한 상기 폴리에테르이미드의 그래프트율은 5 내지 12중량%인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claim 1, wherein the graft ratio of the polyetherimide to the first polyolefin resin is 5 to 12% by weight.
제1항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내지 100,000인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claim 1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00 to 100,00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제2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second polyolefin resi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올레핀 수지는 호모폴리프로필렌(Homo-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Polypropylene compolymer),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metallocene polypropylene),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비결정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atatic polypropylene)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 plastic olefin, TP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polyolefin resin is Homo-polypropylene, polypropylene copolymer, metallocene polypropylene,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 At least on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orphous atactic polypropylene and thermoplastic polyolefin (TPO).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비는 1: 5 내지 1:25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of claim 11, wherein a weight ratio of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the second polyolefin resin is 1: 5 to 1:2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상기 제2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비는 1: 9 내지 1:20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of claim 11, wherein a weight ratio of the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the second polyolefin resin is 1: 9 to 1:20.
제11항에 있어서, 무기 충진재를 더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n inorganic filler.
KR1020110118276A 2011-11-14 2011-11-14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1013656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276A KR101365631B1 (en) 2011-11-14 2011-11-14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276A KR101365631B1 (en) 2011-11-14 2011-11-14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927A true KR20130052927A (en) 2013-05-23
KR101365631B1 KR101365631B1 (en) 2014-02-20

Family

ID=4866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276A KR101365631B1 (en) 2011-11-14 2011-11-14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63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206A (en) * 2014-11-06 2016-05-1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Adhesiv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pplicable to multi layer film for packaging food
KR20160056526A (en) * 2014-11-12 2016-05-2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Adhesiv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pplicable to multi layer film for packaging fo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7974A (en) 1988-03-29 1990-09-18 Rohm And Haas Company Graft copolymers and blends thereof with polyolefins
KR940006461B1 (en) * 1991-06-15 1994-07-20 주식회사 럭키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KR100656264B1 (en) 2006-01-12 2006-12-11 대림산업 주식회사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film
JP5241294B2 (en) * 2008-04-02 2013-07-17 出光興産株式会社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addition polymerization polym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206A (en) * 2014-11-06 2016-05-1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Adhesiv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pplicable to multi layer film for packaging food
KR20160056526A (en) * 2014-11-12 2016-05-2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Adhesiv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pplicable to multi layer film for packaging f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631B1 (en)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1046A (en) Polyolefinic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paintability
US9758656B2 (en) Soft touch compositions and articles thereof
JP4842277B2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improved scratch resistance
US7166677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US20020013417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CA3032019A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flame retardant activity
KR100705656B1 (en) Directly Paintable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JP2021107556A (en) 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 molding of the same
JPS6342930B2 (en)
EP1939246B1 (en) Polyolefin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containing filler
KR101365631B1 (en) Polyolefin graft copolymer and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101646437B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low gloss and reduced flow mark
KR20190064337A (en) Composition of polypropylene resin with excellent impact strength
JP2014172985A (en) Fiber-reinforced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for compact with ribs, and compact with ribs obtained by molding the same
EP0612800B1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KR100275977B1 (en) Olefinic resin composition
FI96771B (en) Polyolefin kondensationspolymerblandning
KR100738023B1 (en)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JPS60112844A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for injection molding
KR100780025B1 (en)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US11753535B2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shaped body comprising same
EP1672021A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s
KR102199841B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40158622A1 (en) Recycled carbon fiber-reinforced polyolefin composition and use of same
JP2022098911A (en) Olefinic polym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