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421A -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421A
KR20130051421A KR1020120126028A KR20120126028A KR20130051421A KR 20130051421 A KR20130051421 A KR 20130051421A KR 1020120126028 A KR1020120126028 A KR 1020120126028A KR 20120126028 A KR20120126028 A KR 20120126028A KR 20130051421 A KR20130051421 A KR 20130051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rol frame
frame
transmission
s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124B1 (ko
Inventor
유희정
정민호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05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04L1/000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확장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단말들과 AP(Access Point)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제어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송신하며,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확장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 칭하기로 함)의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의 일 예로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이하 'WLAN'이라 칭하기로 함) 시스템에서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한정된 자원을 통해 고속 및 정상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채널을 통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WLAN 시스템이 한정된 무선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현재 통신 시스템에서 보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기존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WLAN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빔포밍 전에, RTS(Request to send)/CST(Clear to Send) 송수신 및 채널 사운딩(sounding) 등을 통해 다양한 제어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제어 프레임의 송수신은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송수신되며, 특히 무선 채널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히든 노드(hidden nod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송수신된다.
하지만, 현재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주파수 대역과 달리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전혀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프레임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및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방송 형태로 송신되는 제어 프레임의 구체적인 송수신 방안이 전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해,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하나의 AP가 복수의 사용자들, 예컨대 단말들에게 QoS를 유지하여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빔포밍 없이 모든 단말들에게 방송 형태로 송신되는 제어 프레임을 상기 모든 단말들이 정상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제어 프레임이 빔포밍 없이 모든 방향으로 송신됨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이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가 제한되며, 그에 따라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지라도,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 또한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로 제한되므로, 빔포밍을 통한 데이터의 통신 거리 확장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 예컨대 WLAN 시스템에서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고속 및 정상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프레임, 및 이러한 프레임을 통해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사용자들, 즉 복수의 단말들에게 QoS를 유지하여 정상적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또한 상기 단말들에게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확장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프레임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고속 및 정상적으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대용량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확장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 및 정상적으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들과 AP(Access Point)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제어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들과 AP(Access Point)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반복 전송을 통해 제어 프레임을 수신하고,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확인한 후, 상기 제어 프레임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들과 AP(Access Point)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제어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들과 AP(Access Point)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반복 전송을 통해 제어 프레임을 수신하고,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확인한 후, 상기 제어 프레임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제어 프레임이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하며, 그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빔포밍을 통해 확장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 및 정상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전송에 상응하는 프레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의 데이터 송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의 데이터 수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예컨대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이하 'WLAN'이라 칭하기로 함)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WLAN 시스템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안은,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존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이하 'AP'라 칭하기로 함)가 복수의 단말들, 예컨대 스테이션(STA(station))들에게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 칭하기로 함)을 보장하도록,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확장하여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WLAN 시스템에서 복수의 단말들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AP가 상기 단말들에게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확장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 및 정상적으로 송수신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WLAN 시스템에서 상기 AP가 상기 단말들에게 방송 형태로 송신하는 제어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송신하여, 상기 제어 프레임이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빔포밍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하며, 그에 따라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빔포밍을 통해 대용량 데이터의 통신 거리를 확장하여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QoS를 갖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WLAN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빔포밍을 이용하여 확장하기 위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를 확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어 프레임이 빔포밍 없이 모든 방향으로 방송 형태로 모든 단말들에게 송신됨에 따라, 해당 단말의 데이터가 포함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 다시 말해 빔포밍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보다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이때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등을 통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를 확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레임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프레임으로,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Short Training Field(STF), Long Training Field(LTF), Signal Field(SIG) 등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가 포함된 Data Field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등을 통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를, 상기 빔포밍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하며, 그 결과 빔포밍을 통해 대용량 데이터의 통신 거리를 확장하여 고속 및 정상적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을 통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를 확장하고,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 확장을 기반으로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함으로써, WLAN 시스템에서도 빔포밍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거리를 확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예컨대 WLAN 시스템, 다시 말해 IEEE 802.11n 시스템 또는 IEEE 802.11ac 시스템에서는 스루풋 향상을 위해 피드백되는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이러한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확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일 예로 WLAN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히든 노드(hidden node) 문제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빔포밍을 통해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RTS(Request to send)/CST(Clear to Send) 송수신, 및 NDPA(null data packet announcement) 송수신, NDP(null data packet) 송수신과 CB(compressed beamforming) 등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연결되는 채널 사운딩(sounding)이 필요하며, 이러한 채널 사운딩을 수행한 후, 실제 빔포밍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등의 WLAN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확장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 전송은, 기존 WLAN 시스템이 사용하던 2.4GHz나 5GHz 대역이 아닌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 전송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전송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IEEE 802.11ac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그래도 사용할 경우, 불필요한 오버헤드(overhead)가 많아서 데이터 처리율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IEEE 802.11ac 시스템에서는 같은 5GHz 대역에서 이미 정의되어 있는 IEEE 802.11a 시스템과 IEEE 802.11n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신호 및 정보들이 포함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IEEE 802.11ac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호환성을 위한 부가적인 신호 및 정보가 필요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프레임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새로운 전송 방식 및 데이터 전송률이 정의될 경우에는 제어 정보의 비트 할당 등이 바뀔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IEEE 802.11ac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는, 같은 5GHz를 사용하는 IEEE 802.11a 시스템과 IEEE 802.11n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위해서 Legacy Short Training Field (L-STF), Legacy Long Training Field (L-LTF), Legacy Signal Field (L-SIG) 등을 우선 정의한 후, 실제 IEEE 802.11ac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의 제어 정보가 포함된 Very High Throughput Signal Field (VHT-SIG), 자동 이득 조절을 위한 Very High Throughput Short Training Field (VHT-STF), 채널 추정을 위한 Very High Throughput Long Training Field (VHT-LTF),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가 포함된 Data Field를 정의하고 있다.
이때, 전반부의 L-STF, L-LTF, L-SIG는, IEEE 802.11a 시스템과 IEEE 802.11n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위해서 정의된 부분이며, 5GHz 대역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호환성을 위한 필드(field)들, 즉 L-STF, L-LTF, L-SIG는 불필요한 오버헤드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새로운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프레임 구조를 구성한다.
또한, IEEE 802.11ac 시스템은, 5GHz 대역에서 IEEE 802.11a 시스템과 IEEE 802.11n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G bps급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히, IEEE 802.11ac 시스템은, 20MHz, 40MHz, 80MHz, 16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며, 최대 8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다중 송수신 안테나 기술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프레임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IEEE 802.11ac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EEE 802.11ac 시스템의 프레임은, 복수의 단말들로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제어 필드들, 다시 말해 L-STF(102), L-LTF(104), L-SIG(106), VHT-SIG A1(108), VHT-SIG A2(110), VHT-STF(112), 복수의 VHT-LTF들, 즉 VHT-LTF 1(114) 및 VHT-LTF N(116), VHT-SIG B(118)를 포함하며, 복수의 단말들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데이터 필드로 복수의 데이터 필드들, 즉 DATA 1(120), DATA 2(122), 및 DATA M(1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L-STF(102)는, 신호 검파, 자동 이득 조절, 주파수 오차 추정, 및 프레임 동기 등에 이용되며, 상기 L-LTF(104)는, 채널 추정 및 주파수 오차 추정 등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L-SIG(106)는, 전송률 정보 및 프레임 길이 정보 등을 포함하고, 상기 VHT-SIG A1(108) 및 상기 VHT-SIG A2(110)는, 대역폭, 보호구간 길이, 시공간 부호, 전송률(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데이터 스트림 수, AID 정보, 사용 부호 기술, 빔포밍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VHT-STF(112)는, 자동 이득 조절에 이용되고, 상기 VHT-LTF 1(114) 및 상기 VHT-LTF N(116)은, 채널 추정에 이용되며, 상기 VHT-SIG B(118)는, 다중 사용자(multi user) MIMO(Multi-Input Multi-Output)를 위한 사용자 별 전송율(MCS 레벨), 및 데이터 길이 정보 등을 포함하며, 상기 DATA 1(120), DATA 2(122), 및 DATA M(124)은, 실제 사용자들, 즉 단말들인 STA(station)들에게 전송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VHT-LTF 1(114) 및 상기 VHT-LTF N(116)은, 상기 프레임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수에 따라서 결정되며, 예컨대 1개의 스트림만 전송되는 경우는 VHT-LTF 1(114)만, 즉 1개의 VHT-LTF가 프레임에 포함되고, 스트림 수가 2개이면, VHT-LTF 1(114)와 VHT-LTF 2, 즉 2개의 VHT-LTF가 프레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L-SIG(106)의 전송률과 프레임의 길이 정보는, 실제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IEEE 802.11a 시스템 또는 IEEE 802.11n 시스템의 단말들이 해당 프레임을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한 해당 프레임의 길이 동안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L-SIG(106)의 전송률과 프레임의 길이 정보는, IEEE 802.11a 시스템 또는 IEEE 802.11n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고려되지 않을 경우 불필요한 정보가 된다. 그리고, 상기 L-STF(102)와 상기 L-LTF(104)는, 상기 VHT-STF(112)와 상기 VHT-LTF들(114,116)로 기능을 대체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IEEE 802.11ac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는 오버헤드가 존재함으로 효율적이지 못한 프레임 구조가 된다. 이러한 비효율성을 제거하여 새롭게 구성한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는, 도 1에 도시한 IEEE 802.11ac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서 IEEE 802.11a 시스템 또는 IEEE 802.11n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배제하면서 프레임의 오버헤드를 감소시켜 효율성을 향상시킨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새로운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프레임은, 복수의 단말들로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제어 필드들, 다시 말해 VHT-STF(202), VHT-SIG A1(206), VHT-SIG A2(208), 복수의 VHT-LTF들, 즉 VHT-LTF 1(204), VHT-LTF 2(210) 및 VHT-LTF N(212), VHT-SIG B(214)를 포함하며, 복수의 단말들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데이터 필드로 복수의 데이터 필드들, 즉 DATA 1(216), DATA 2(218), 및 DATA M(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VHT-STF(202)는, 신호 검파, 자동 이득 조절, 주파수 오차 추정, 및 프레임 동기 등에 이용되며, 상기 VHT-LTF 1(204)은, 채널 추정 및 주파수 오차 추정 등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VHT-SIG A1(206) 및 상기 VHT-SIG A2(208)는, 대역폭, 보호구간 길이, 시공간 부호, 전송률(MCS 레벨), 데이터 스트림 수, AID 정보, 사용 부호 기술, 빔포밍, 새로운 전송 모드 적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VHT-LTF 1(204) 뿐만 아니라 상기 VHT-LTF 2(210) 및 상기 VHT-LTF N(212)은, 채널 추정에 이용되며, 상기 VHT-SIG B(214)는, 다중 사용자 MIMO를 위한 사용자 별 전송율(MCS 레벨), 및 데이터 길이 정보 등을 포함하며, 상기 DATA 1(216), DATA 2(218), 및 DATA M(220)은, 실제 사용자들, 즉 단말들인 STA들에게 전송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VHT-STF(202)를 전술한 IEEE 802.11ac 시스템의 프레임에서 상기 L-STF(102)의 길이만큼 확장하여, 상기 VHT-STF(202)는 상기 L-STF(102)가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VHT-LTF들(204,210,212)에서, 첫번째 Long Training Field인 상기 VHT-LTF 1(204)을 프레임의 앞부분에 우선 배치, 즉 상기 VHT-LTF 1(204)을 상기 VHT-STF(202) 다음에 위치시키고, 나머지 N-1개의 VHT-LTF들(210,212)은, 상기 VHT-SIG A1(206) 및 상기 VHT-SIG A2(208) 이후에 배치한다. 또한, 모든 단말들이 수신하여야 하는 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VHT-SIG A1(206) 및 상기 VHT-SIG A2(208)에 포함된다.
아울러, 이러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이 다중 사용자 MIMO 기능을 지원할 경우, 사용자 별 전송률 정보와 데이터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VHT-SIG B(214)가,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프레임 구조에 포함되어야 하며, 다중 사용자 MIMO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VHT-SIG B(214)가 프레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VHT-SIG A1(206) 및 상기 VHT-SIG A2(208)의 구조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VHT-SIG A1 B0-B1 대역폭 2-bit 20/40/80/160MHz를 각각 0/1/2/3으로 나타냄.
B3 예약 1-bit 1로 고정
B4-B9 Group ID 6-bit Group ID 정보 포함
B10-21 NSTS 12-bit 다중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 당 3bit으로 4명의 사용자의 스트림 수를 0~4까지 표현
단일 사용자의 경우, B10~B12로 1(000)~8(111)개 스트림까지 표시하고, B13~B21은 partial AID 정보 포함
B22 TXOP_PS_NOT_ALLO WED 1-bit TXOP_PS의 활용 가능 여부 표시
B23 예약 1-bit 1로 고정
VHT-SIG A2 B0-B1 Short GI 2-bit Short GI의 사용 여부에 따라 설정
B2-B3 부호화 방식(coding) 2-bit LDPC와 BCC의 사용 여부 표시
B4-B7 전송률(MCS) 4-bit BPSK 1/2 code rate부터 256-QAM 5/6 code rate까지 10가지 MCS 정의
B8 빔포밍 1-bit 빔포밍 사용 여부 표시
B9 예약 1-bit 1로 고정
B10-B17 CRC 8-bit CRC bit 삽입
B18-B23 tail 6-bit Viterbi decoder의 trellis 마무리 용
그리고, 표 1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가능한 대역폭(BW(Band Width))이, 4가지 이상인 경우, 예컨대 20MHz, 40MHz, 80MHz, 160MHz 이상인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VHT-SIG A1(206)의 B3 영역을 추가적으로 대역폭 정보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VHT-SIG A1(206)에서 전송 시공간 스트림 수를 나타내는 NSTS의 경우, 다중 사용자를 위해서 최대 4개의 스트림씩 4명의 사용자에게 할당되어 있고, 단일 사용자의 경우에는 최대 8개의 스트림이 할당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할당되는 스트림을 각각 반으로 줄여서 1 비트(bit)씩의 여유를 확보하고, 이렇게 확보된 1 bit를 새로운 전송 방식에 할당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반복 전송 등을 통해 기존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전송률이 반으로 줄어들지만, 통신 거리를 늘릴 수 있는 모드를 정의하도록 1 비트를 각각 할당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중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 당 3 비트가 할당되며, 이때 상기 3비트 중에서 1비트는 반복 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로 할당하고, 나머지 2 비트로 전송 스트림 수를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일 사용자의 경우에도 1 비트는 반복 전송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하고, 나머지 2 비트로 1개에서 4개의 전송 스트림까지 정의하며, 추가적인 전송 모드가 더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reserved bit들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전송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거리를 더 확장하기 위해 4배 반복 전송 또는 6배 반복 전송 모드까지 정의할 경우, 상기 VHT-SIG A1(206)의 B23 영역 또는 상기 VHT-SIG A2(208)의 B9 영역까지 새로운 모드 정의에 활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전송과 같이 수신 감도를 높여 통신 거리를 확장하는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초기 신호 검파 및 채널 추정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상기 VHT-STF(202)와 VHT-LTF들(204,210,212)의 길이를 각각 확장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된 VHT-LTF들(204,210,212)은, 기존 OFDM 심벌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이때 VHT-LTF들(204,210,212)가 확장되지 않을 경우에는, L-LTF(104)와 같이, DGI(double GI(Guard Interval)) + LTF + LTF의 구조를 갖고, VHT-LTF들(204,210,212)가 확장되는 경우에는 DGI(double GI) + LTF + LTF의 구조 뒤에 덧붙이는 것을 (GI+LTF)의 구조의 개수를 확장하면서 덧붙여 확장한다.
여기서, 상기 VHT-SIG A1(206) 및 상기 VHT-SIG A2(208)의 기본 구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총 64개의 부반송파 중에서 보호 대역과, DC(Direct Current), 그리고 파일럿 부반송파를 제외한 52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1/2 부호율을 갖는 채널 부호가 사용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 당 26개의 비트를 할당할 수 있지만, IEEE 802.11ac 시스템의 L-SIG(106)와 같이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만 사용하여 하나의 OFDM 심볼당 24개의 비트만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이, IEEE 802.11ac 시스템과 같이, 64개의 부반송파를 이용하는 W Hz 대역폭 모드, 128개의 부반송파를 이용하는 2W Hz 대역폭 모드, 256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4W Hz 대역폭 모드, 및 512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8W Hz 대역폭 모드가 기본적으로 존재하며, 추가적으로 32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W/2 Hz 대역폭 모드가 존재한다. 여기서, IEEE 802.11ac 시스템에서는 W = 20MHz로 정의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IEEE 802.11ac 시스템과는 다른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서 대역폭을 변화시켜 사용하며, 이때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대역폭은 W Hz로 정의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W/2 대역폭 모드를 위한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와, W Hz, 2W Hz, 4W Hz, 및 16W Hz 대역폭 모드들을 위한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를 구분하여 정의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W Hz, 2W Hz, 4W Hz, 및 16W Hz 대역폭 모드의 경우에는 64개의 부반송파를 갖는 W Hz 대역폭 모드를 정의하며, 이러한 대역폭 모드들을 확장하는 방식임으로, 상기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에 포함되는 총 비트수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2개의 OFDM 심볼을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에 할당할 경우, 총 52비트 또는 48비트를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W/2 Hz 대역폭 사용 가능한 부반송파가 1/2로 줄어들어, 하나의 OFDM 심볼 당 할당할 수 있는 비트수가 제한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64개의 부반송파를 활용하는 W Hz 대역폭 모드와, 32개의 부반송파를 활용하는 W/2 Hz 대역폭 모드에 따라 각각 부반송파를 할당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대역폭에 따라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에 할당 가능한 정보 비트의 수가 차이가 크므로, 대역폭에 따라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의 OFDM 심벌 수와 비트 할당 방식을 다르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W Hz 대역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2개의 OFDM 심벌을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로 사용한다고 가정하여,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의 48 비트 또는 52 비트에 대한 비트 할당, 즉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에 포함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 MCS(변조 및 부호 방식): 4비트 필요함(IEEE 802.11ac 시스템의 10가지와 가장 낮은 전송률에 반복 전송을 적용한 새로운 MCS들을 포함한 최대 16가지 표현).
- Length(패킷 길이): 바이트 단위(2 byte 또는 4 byte 형태로 표시) 또는 OFDM 심벌 단위(마지막 OFDM 심벌의 모호함(ambiguity)을 해결하기 위한 차가 비트를 포함)로 길이 표시하여 10비트 이상이 필요함. 여기서, IEEE 802.11a 시스템의 경우에는 12 비트, IEEEE 802.11n 시스템의 경우에는 16 비트, 그리고 IEEE 802.11ac 시스템의 경우에는 17 비트임.
- Guard Interval(보호 구간 길이): Regular GI, Short GI, 및 필요에 따라 Shorter GI 형태로 2 가지, 또는 3, 4가지 형태를 포함하며, 1 비트 또는 2 비트 필요함.
- BW(대역폭): W Hz, 2W Hz, 4W Hz, 및 8W Hz 대역폭을 나타내기 위한 2 비트와, W/2 Hz 대역폭 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1 비트가 추가되며, 이때 W/2 Hz 대역폭 모드의 경우, 프리앰블을 이용한 자동 검출을 위해 BW 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2~3 비트 필요함.
- STBC(Space-Time Block Code)(시공간 블록 부호): STBC 활용 여부를 나타내는 1 비트 필요함.
- Tail: 마지막에 6개의 0 비트 삽입.
- Nsts(시공간 스트림 수): MIMO를 활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수로 최대 4개까지 표현이 가능하며, 2 비트 필요함.
- Coding scheme(부호화 방식): 컨벌루션 부호(convolutional code)와 저밀도 패리티 검사(LDPC: Low-Density Parity Check) 부호의 선택으로 1 비트 필요함.
- TXOP-PS(TXOP(Transmission opportunity)를 활용한 절전(power save) 여부): TXOP-PS 활용 여부에 따른 선택을 표시하는 1 비트 필요함.
- CRC: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에 대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위한 8 비트 필요함(CRC의 부호률 변화를 통해 비트 수는 변경 가능).
- Reserved(예약 비트): 할당 후 남은 비트를 정해진 위치에 정해진 수로 표시.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IEEE 802.11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내용을 변경 및 다른 내용을 추가하며, 다음과 같은 정보가 더 추가적으로 포함,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응용 분야 및 QoS(Quality of Service) 요구 사항.
- 어그리게이션(aggregation) 여부.
- 배터리 파워(power) 경고 여부.
- 파워(power) 등급.
- PSMP(Power Save Multi-Poll) 그룹.
- 경고 신호.
- 많은 수의 STA 접속 관련 파라미터(parameter).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비트들을 조합하여 48 비트 또는 52 비트로 구성된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을 2개의 OFDM 심벌 동안에 전송한다.
아울러, W/2 Hz 대역폭 모드에서, 2개의 OFDM 심벌만을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에 할당할 경우에는 총 24 비트 할당이 가능함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이 필수 정보만 할당, 즉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에 포함되는 필수 정보는 다음과 같다.
- MCS: 4 비트
- Length: 12 비트
- Tail: 6 비트
- 패리티(Parity): 1 비트(CRC 대신에 패리티를 활용하여 오류 체크)
- W/2 Hz BW(또는 GI): 1비트, W/2 Hz 대역폭 모드 구분을 위해서 1 비트를 할당할 수 있으며, 이때 프리앰블 구조를 이용하여 자동 검출 할 수 있음으로, 대신에 보호 구간의 길이를 나타냄.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에 24 비트로 필수 정보만을 할당함으로, 추가적으로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OFDM 심볼의 길이 3개 또는 4개까지 확장하여, W Hz 대역폭 모드에서와 같이 필요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할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W/2 Hz 대역폭 모드 경우 패킷마다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에 포함되는 정보의 양을 다르게 할 수도 있으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의 길이가 다름을 수신 장치가 구분하고, 또한 반복 전송을 사용할 경우의 VHT-LTF들(204,210,212)의 확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의 변조를 Q-BPSK와 BPSK를 조합하여 전송한다. 그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는, 우선 W/2 Hz 대역폭인지, W Hz, 2W Hz, 4W Hz, 및 8W Hz 대역폭인지를 구분하고, 이러한 구분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를 확인하며, W/2 Hz 대역폭의 경우도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에 사용되는 OFDM 심벌 수를 검출하여, VHT-SIG A1(206) 및 VHT-SIG A2(208)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한다. 그러면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전송 방식을 고려한 새로운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새로운 프레임 구조에서 반복 전송 방식을 고려한, 새로운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때 도 3은 VHT-SIG A1 및 VHT-SIG A2가 2개의 OFDM 심벌이고, 2회 반복 전송 방식을 일 예로 한 새로운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프레임은, 복수의 단말들로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제어 필드들, 다시 말해 VHT-STF(302), 2개의 VHT-SIG A1들(306,308), 2개의 VHT-SIG A2들(310,312), 복수의 VHT-LTF들, 즉 VHT-LTF 1(304), VHT-LTF 2(314) 및 VHT-LTF N(316), 반복 전송에 따른 2개의 VHT-SIG B들(318,320)을 포함하며, 복수의 단말들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데이터 필드로 복수의 데이터 필드들, 즉 2개의 DATA 1들(322,324) 및 2개의 DATA M들(326,32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VHT-STF(302)는, 신호 검파, 자동 이득 조절, 주파수 오차 추정, 및 프레임 동기 등에 이용되며, 상기 VHT-LTF 1(304)는, 채널 추정 및 주파수 오차 추정 등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VHT-SIG A1들(306,308) 및 상기 VHT-SIG A2들(310,312)은, 대역폭, 보호구간 길이, 시공간 부호, 전송률(MCS 레벨), 데이터 스트림 수, AID 정보, 사용 부호 기술, 빔포밍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VHT-LTF 1(304) 뿐만 아니라 상기 VHT-LTF 2(314) 및 상기 VHT-LTF N(316)은, 채널 추정에 이용되며, 상기 VHT-SIG B들(318,320)은, 다중 사용자 MIMO를 위한 사용자 별 전송율(MCS 레벨), 및 데이터 길이 정보 등을 포함하며, 상기 DATA 1들(322,324) 및 상기 DATA M들(326,328)은, 실제 사용자들, 즉 단말들인 STA들에게 전송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프레임 구조에서, 반복 전송 방식을 고려, 즉 반복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도 3에 도시한 프레임 구조에서와 같이, VHT-SIG A1 및 VHT-SIG A2, 뿐만 아니라 VHT-SIG B가 각각 앞의 심볼을 반복, 즉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2개의 VHT-SIG A1들(306,308), 2개의 VHT-SIG A2들(310,312), 및 2개의 VHT-SIG B들(318,320)이 프레임에 포함되며, 데이터 필드들 또한 각각 앞의 심볼을 반복, 즉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2개의 DATA 1들(322,324) 및 2개의 DATA M들(326,328)이 프레임에 포함된다. 상기 연속적으로 반복된 VHT-SIG A1들(306,308), VHT-SIG A2들(310,312), VHT-SIG B들(318,320), DATA 1들(322,324), 및 DATA M들(326,328)은, 앞 심볼을 반복한 심볼의 형태로서, 단순한 심볼 반복이거나, 서브캐리어(subcarrier) 위치를 변경하여 반복시키는 등의 다양한 반복 방식 등을 통해 프레임에 포함된다.
이러한 도 3에 도시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수신 감도가 향상됨에 따라 VHT-STF(302)의 길이가 확장되어 수신 장치에서의 신호 검파의 성능이 향상되고, 상기 VHT-LTF2(314) 및 VHT-LTF N(316)의 길이 또한 확장된다. 즉,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VHT-STF(302)를 전술한 IEEE 802.11ac 시스템의 프레임에서 상기 L-STF(102)의 길이만큼 확장하여, 상기 VHT-STF(302)는 상기 L-STF(302)가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VHT-LTF들(304,314,316)에서, 첫번째 Long Training Field인 상기 VHT-LTF 1(304)을 프레임의 앞부분에 우선 배치, 즉 상기 VHT-LTF 1(304)을 상기 VHT-STF(302) 다음에 위치시키고, 나머지 N-1개의 VHT-LTF들(314,316)은, 상기 VHT-SIG A1들(306,308) 및 상기 VHT-SIG A2들(310,312) 이후에 배치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시스템은,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예컨대 기존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통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AP(402), 및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AP(4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4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P(402)와 상기 단말(404)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된 제어 프레임을 송수신하며, 또한 상기 단말(404)에게 해당하는 실제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상기 제어 프레임은, 상기 단말(404) 뿐만 아니라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른 단말들이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빔포밍 없이 모든 방향으로 방송 형태로 모든 단말들에게 송신된다. 이렇게 상기 제어 프레임이 빔포밍 없이 모든 방향으로 송신됨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이 송수신되는 거리, 다시 말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는 제1영역(420)이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단말(404)로의 빔포밍을 통해 상기 단말(404)에게 송신되며, 이러한 빔포밍에 따른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송수신이 되는 거리, 다시 말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는 제2영역(410)이 된다.
이때,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인 제1영역(420)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인 제2영역(4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음으로, 상기 단말(404)은, 상기 제1영역(420)의 통신 거리를 갖는 제어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며, 그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여 상기 AP(402)와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하여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를 확장, 다시 말해,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하여 상기 빔포밍에 따른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한다. 즉,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을 통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인 제1영역(420)을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인 제2영역(410)만큼 확장, 즉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가 제3영역(430)이 되도록 확장한다.
여기서, 상기 AP(402)는, 상기 AP(402) 및 상기 단말(404)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 안테나 개수, 및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서의 빔포밍에 따른 빔포밍 이득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며,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하여,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인 제2영역(410)만큼 확장, 즉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를 제1영역(420)에서 제3영역(430)으로 확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 즉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의 확장 크기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개수 및 상기 빔포밍 이득에 상응하여 결정된다.
예컨대, 상기 AP(402)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개수가 적거나 상기 빔포밍 이득이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감소, 즉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의 확장 크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개수가 많거나 상기 빔포밍 이득이 클 경우에는,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증가, 즉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의 확장 크기를 증가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시의 신호 대 잡음비가 감소되므로, 상기 AP(402)는, 상기 단말(404)의 데이터 패킷 검출 성능, 동기(synchronization) 성능, 및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길이를 제어, 예컨대 상기 제어 프레임에 포함된 STF 및 LTF의 길이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AP(402)는,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의 변경에 따른 정보는 상기 제어 프레임에 포함된 SIG를 통해 송신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횟수에 따른 제어 프레임의 길이 정보가 상기 SIG에 포함되며, 상기 AP(402)는,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MCS(Modulation Coding Scheme) 레벨 및 프레임 길이 정보 등을 포함하는 SIG 심볼의 길이를 변경, 예컨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 단위로 반복 횟수만큼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AP(402)는, 상기 반복 횟수의 변경에 상응하여 상기 SIG의 변조 방식을 변경, 예컨대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을 변경하여, 상기 단말(404)이 데이터 패킷을 자동 검출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AP(402)는, 상기 SIG에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을 지시하는 비트를 할당하여,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404)로 송신하며, 그에 따라 상기 단말(404)이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을 검출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없이 모든 방향으로 방송 형태로 송신되는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가, 빔포밍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보다 작음으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을 통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하여 송신한다. 즉,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되도록, 빔포밍 없이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빔포밍을 통해 전송한다. 그에 따라, 상기 통신 시스템은,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거리를 확장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에 상응하는 제어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전송에 상응하는 프레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은, AP와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된 제어 프레임, 및 상기 단말에게 해당하는 실제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프레임은, 상기 제어 정보가 포함된 STF(502), LTF들(504,508,510), 및 SIG(506)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필드들(512,514,5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필드들(512,514,516)을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AP 및 단말 간 송수신 안테나들에서의 빔포밍을 통해 송수신되며, 상기 STF(502), LTF들(504,508,510), 및 SIG(506)을 포함하는 제어 프레임은, 빔포밍 없이, 상기 송수신 안테나들의 개수 및 빔포밍 이득에 상응한 반복 전송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통신 거리가 확장되어 모든 방향으로 방송 형태로 송수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단말에게 해당하는 실제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프레임을, 빔포밍을 통해 송수신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된 제어 프레임을, 빔포밍 없이 반복 전송을 통해 송수신한다. 이때,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을 통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되도록,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며,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는 송수신 안테나 개수 및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 상응한 빔포밍 이득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음으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결정된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상기 제어 프레임은 반복 전송되며, 그에 따라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의 STF(502), LTF들(504,508,510), 및 SIG(506)의 길이가 증가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STF(502)의 길이가 증가하며, 이때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데이터 패킷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STF(502)의 길이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LTF들(504,508,510)의 길이가 증가하며, 이때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동기 성능 및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LTF들(504,508,510)의 길이가 조절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SIG(506) 심볼의 길이가 증가하며, 이때 OFDM 심볼 단위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만큼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상기 SIG(506)의 변조 방식, 예컨대 BPSK/QPSK 등의 구분을 통해 검출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지시하는 비트가 상기 SIG(506)에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데이터 필드들(512,514,516)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때 OFDM 심볼 단위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만큼 증가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을 통해 송신하고, 데이터 프레임을 빔포밍을 통해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즉 AP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송신 장치(600), 즉 상기 AP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예컨대 기존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결정부(610),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반복 전송되는 제어 프레임과 상기 빔포밍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부(620),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하고 상기 빔포밍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결정부(6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예컨대 기존의 WLAN 시스템으로 IEEE 802.11n 시스템과 IEEE 802.11ac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통해,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상기 빔포밍을 통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확장하기 위해,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결정부(610)는, 빔포밍 없이 반복 전송을 통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를, 상기 빔포밍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하도록,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는, 상기 AP와 단말 간의 송수신 안테나 개수 및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 의한 빔포밍 이득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생성부(620)는,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빔포밍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생성되며, 상기 제어 프레임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가 확장되도록,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길이가 확장되어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 그리고 상기 제어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음으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부(630)는,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 횟수만큼 반복 전송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며, 또한 빔포밍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의 데이터 송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을 통해 송신하고, 데이터 프레임을 빔포밍을 통해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즉 AP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10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송신 장치, 즉 상기 AP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예컨대 기존의 WLAN 시스템으로 IEEE 802.11n 시스템과 IEEE 802.11ac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통해,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상기 빔포밍을 통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거리를 확장하기 위해,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한다. 여기서, 빔포밍 없이 반복 전송을 통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를, 상기 빔포밍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하도록,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는, 상기 AP와 단말 간의 송수신 안테나 개수 및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 의한 빔포밍 이득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720단계에서,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빔포밍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생성되며, 상기 제어 프레임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가 확장되도록,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길이가 확장되어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 그리고 상기 제어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음으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 다음, 730단계에서,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 횟수만큼 반복 전송을 통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며, 또한 빔포밍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을 통해 수신하고, 데이터 프레임을 빔포밍을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즉 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800), 즉 상기 단말은,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예컨대 기존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어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810),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빔포밍을 통한 송신을 확인하는 확인부(820), 및 상기 제어 프레임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원부(8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8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예컨대 기존의 WLAN 시스템으로 IEEE 802.11n 시스템과 IEEE 802.11ac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통해 송신되는 제어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레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빔포밍 없이 반복 전송을 통해 상기 AP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빔포밍을 통해 상기 AP로부터 수신된다.
그리고, 상기 확인부(820)는,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을 확인하여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확인한 후, 상기 제어 프레임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빔포밍 전송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및 상기 반복 전송에 따른 상기 제어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음으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복원부(830)는, 상기 제어 프레임의 제어 필드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데이터, 특히 단말 자신에게 해당하는 데이터를 복원하며, 이러한 데이터 복원을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의 데이터 수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을 통해 수신하고, 데이터 프레임을 빔포밍을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즉 단말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10920에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 즉 상기 단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예컨대 기존의 WLAN 시스템으로 IEEE 802.11n 시스템과 IEEE 802.11ac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통해 송신되는 제어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레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빔포밍 없이 반복 전송을 통해 상기 AP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빔포밍을 통해 상기 AP로부터 수신된다.
그리고, 920930에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을 확인하여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확인한 후, 상기 제어 프레임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빔포밍 전송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및 상기 반복 전송에 따른 상기 제어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음으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 다음, 930단계에서, 상기 제어 프레임의 제어 필드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데이터, 특히 단말 자신에게 해당하는 데이터를 복원하며, 이러한 데이터 복원을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WLAN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상기 빔포밍 없이 반복 전송을 통해 제어 프레임을 송수신하며, 이때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에 의해, 상기 빔포밍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를 확장되고, 그에 따라 상기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 거리를 확장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WLAN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들과 AP(Access Point)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제어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는, 상기 단말들과 AP 간의 송수신 안테나 개수, 및 상기 단말들과 AP 간 송수신 안테나에서의 빔포밍 이득에 상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레임은, STF(Short Training Field), SIG(Signal Field), 및 LTF(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상기 STF, 상기 SIG, 및 상기 LTF의 길이들과, 상기 데이터 필드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TF의 길이는, 상기 단말들에서의 데이터 패킷 검출을 위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TF의 길이는, 상기 단말들에서의 동기화 및 채널 추정을 위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IG의 길이 및 상기 데이터 필드의 길이는,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 단위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는, 상기 SIG의 변조 방식을 구분하여 검출되며;
    상기 SIG는,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지시하는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8.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들과 AP(Access Point)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제어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어 프레임을 반복 전송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는, 상기 단말들과 AP 간의 송수신 안테나 개수, 및 상기 단말들과 AP 간 송수신 안테나에서의 빔포밍 이득에 상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레임은, STF(Short Training Field), SIG(Signal Field), 및 LTF(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상기 STF, 상기 SIG, 및 상기 LTF의 길이들과, 상기 데이터 필드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TF의 길이는, 상기 단말들에서의 데이터 패킷 검출을 위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LTF의 길이는, 상기 단말들에서의 동기화 및 채널 추정을 위해,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IG의 길이 및 상기 데이터 필드의 길이는,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 단위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는, 상기 SIG의 변조 방식을 구분하여 검출되며;
    상기 SIG는,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지시하는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5.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들과 AP(Access Point)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반복 전송을 통해 제어 프레임을 수신하고,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확인한 후, 상기 제어 프레임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는, 상기 단말들과 AP 간의 송수신 안테나 개수, 및 상기 단말들과 AP 간 송수신 안테나에서의 빔포밍 이득에 상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레임은, STF(Short Training Field), SIG(Signal Field), 및 LTF(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상기 STF, 상기 SIG, 및 상기 LTF의 길이들과, 상기 데이터 필드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8.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들과 AP(Access Point)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에서, 반복 전송을 통해 제어 프레임을 수신하고,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를 확인한 후, 상기 제어 프레임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프레임의 통신 거리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통신 거리만큼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는, 상기 단말들과 AP 간의 송수신 안테나 개수, 및 상기 단말들과 AP 간 송수신 안테나에서의 빔포밍 이득에 상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레임은, STF(Short Training Field), SIG(Signal Field), 및 LTF(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프레임의 반복 전송 횟수에 상응하여, 상기 STF, 상기 SIG, 및 상기 LTF의 길이들과, 상기 데이터 필드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KR1020120126028A 2011-11-09 2012-11-08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874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484 2011-11-09
KR20110116484 2011-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421A true KR20130051421A (ko) 2013-05-20
KR101874124B1 KR101874124B1 (ko) 2018-07-03

Family

ID=4866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028A KR101874124B1 (ko) 2011-11-09 2012-11-08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434A (ko) * 2016-02-04 2018-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이진 시퀀스를 사용하여 st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434A (ko) * 2016-02-04 2018-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이진 시퀀스를 사용하여 st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78661B2 (en) 2016-02-04 2021-1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STF signals by means of binary sequence in wireless LA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124B1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135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39152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06176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85921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202301893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Signal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64214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nit based on uplink multip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20359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099345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사운딩 방법 및 장치
WO2012002758A2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mimo 패킷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716119B2 (en) Scheduling of successive multi-user (MU) transmission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KR20130041748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0149296B1 (en) Signal field encoding and decoding
KR102005287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184315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187412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