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110A -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및 이를 내장한 에어침대 - Google Patents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및 이를 내장한 에어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110A
KR20130051110A KR1020110116270A KR20110116270A KR20130051110A KR 20130051110 A KR20130051110 A KR 20130051110A KR 1020110116270 A KR1020110116270 A KR 1020110116270A KR 20110116270 A KR20110116270 A KR 20110116270A KR 20130051110 A KR20130051110 A KR 20130051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ston
chamber
air mattres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3684B1 (ko
Inventor
박중호
이봉구
Original Assignee
박중호
이봉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호, 이봉구 filed Critical 박중호
Priority to KR102011011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6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47C27/082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with non-manual inflation, e.g. with electr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및 이를 내장한 에어침대에 관한 기술로서, 내부에 회로기판이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공급펌프; 상기 에어공급펌프와 연결호스로 연결되며 에어매트리스에 연결된 튜브를 통해 상기 에어매트리스 내부로 에어를 주입하거나 상기 에어매트리 내부의 에어를 배출토록 하는 챔버;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압력측정부가 상기 챔버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챔버를 상기 압력측정부에 연결하여 측정호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를 제공하여 콤팩트한 사이즈로 각각의 구획된 공간으로 에어를 주입 또는 배출 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에어매트리스의 공기압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및 이를 내장한 에어침대{A control box for bed and a bed in use with it}
본 발명은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및 이를 내장한 에어침대에 관한 기술이다.
침대는 사용자가 편하게 쉬도록 돕는 가구로서 그중에는 에어를 이용한 쿠션 방식을 사용하는 에어매트리스 침대가 있다.
에어매트리스 침대는 에어를 쿠션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에어매트리스에 포함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쿠션의 정도를 조절한다.
종래에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에 관한 기술중에 한국 공개특허 제2009-0066646호는 고속팽창을 하면서 정밀한 압력증가를 가능하도록 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를 팽창시키기 위한 내장형 전동식 공기펌프 유닛을 구비하는 팽창 가능한 침대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부피가 크고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구성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기술중에 한국 공개특허 제2001-0077272호는 에어매트리스에 채워지는 공기의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매트용 공기조절장치를 소개하고 있으나, 이는 공기의 유입 및 유출구가 각각 한 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에어매트리스의 전체에 대하여 동일한 하나의 압력 혹은 동일한 하나의 온도조절만이 가능한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침대용 컨트롤 박스를 제공하여 콤팩트한 사이즈로 침대에 내장이 가능하고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분할된 에어매트리스의 독립된 공간에서 별도의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회로기판이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공급펌프; 상기 에어공급펌프와 연결호스로 연결되며 에어매트리스에 연결된 튜브를 통해 상기 에어매트리스 내부로 에어를 주입하거나 상기 에어매트리스 내부의 에어를 배출토록 하는 챔버;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압력측정부가 상기 챔버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챔버를 상기 압력측정부에 연결하는 측정호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포트를 개폐하는 제1피스톤과;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1솔레노이드 코일이 실린더에 감겨져서 상기 제1피스톤을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일측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챔버는,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포트와; 상기 챔버내부의 압력을 해제하는 압력해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포트의 상기 챔버 내로 형성되는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피스톤이 수용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외측을 감싸는 제1솔레노이드 코일과; 상기 제1솔레노이드 코일과 연결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력해제구는, 상기 압력해제구의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제2피스톤이 수용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의 외측을 감싸는 제2솔레이드코일과; 상기 제2솔레이드코일과 연결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매트리스와;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하면에 설치되는 하면프레임과;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송수신홀이 형성된 상면프레임과; 상기 상면프레임의 하부에 내장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송수신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 1항의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내장형 에어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크롤 박스와 무선 통신하는 리모컨을 포함하되, 상기 리모컨은, 상기 에어매트리스 내부 압력을 올리는 상압버튼과; 상기 상압버튼과 인접하여 상기 에어매트리스 내부 압력을 올리는 하압버튼과; 설정된 에어매트리스의 내부압력을 기억시키는 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메모리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내장형 에어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매트리스는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한 복수개의 에어매트리스로 구성되며, 상기 리모컨은 상기 복수개의 에어매트리스 중 하나를 선택할 있는 선택버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내장형 에어침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콤팩트한 사이즈로 각각의 구획된 공간으로 에어를 주입 또는 배출 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에어매트리스의 공기압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구획된 에어매트리스의 각각의 공간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쿠션감을 달리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챔버 내부의 홀을 솔레노이드코일이 감긴 실린더와 실린더에 수용되는 피스톤을 이용하여 개폐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개폐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챔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챔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가 내장된 침대의 전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의 전체 사시도이다.
컨트롤박스(100)는 압력측정부(820)와 챔버(400)와 회로기판(800)과 연결호스(500) 및 측정호스(510)가 설치되는 하우징(200)과 하우징(200)을 덮는 케이스(110)로 구성된다.
에어공급펌프(300)는 하우징(200)의 좌측 바닥에 설치되는데 진동을 최소화 하도록 완충부(900)로 지지된다.
완충부(900)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챔버(400)는 하우징(200)의 우측바닥에서 지지봉(210)에 결합된다.
에어공급펌프(300)와 챔버(400)는 연결호스(500)로 서로 연결된다.
연결호스(500)는 에어공급펌프(300)의 우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하나는 챔버(400)의 후면(455)우측에 형성되는 제2포트(461,462)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챔버(400)의 후면(455)좌측에 형성되는 제2포트(461,462)에 삽입된다.
에어공급펌프(300)는 연결호스(500)를 통해 에어를 챔버(400)로 이송시킨다.
제1포트(411,412)는 챔버(400)의 전면(418)우측에 돌출되는 좌측포트(411)와 전면(418)좌측에 좌측포트(411)와 나란하도록 돌출되는 우측포트(412)로 이루어진다.
좌측포트(411)와 우측포트(412)는 에어매트리스로부터 연장되는 튜브(600)에 각각 연결되어 챔버(400)내의 에어와 에어매트리스 내부의 에어가 서로 이송될 수 있도록 유로역할을 수행하고, 튜브(6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414)가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800)은 하우징(200)의 우측바닥에 고정설치되고, 회로기판(800)의 상부에는 압력측정부(820)가 설치된다.
측정호스(510)는 일측이 챔버(400)의 후면(455)에서 제2포트(461,462)와 제2포트(461,462) 사이에 형성된 제3포트(453)에 삽입되고, 타측이 회로기판(800)의 상부에 마련된 압력측정부(820)에 연결된다.
압력측정부(820)는 측정호스(510)를 따라 전해지는 챔버(400)내부의 에어를 통해 챔버(400)내부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컨트롤박스(100)는 리모컨(700)으로 컨트롤 될 수 있다.
리모컨(700)은 좌측에 컨트롤박스(100)의 정보를 알려주는 표시부(750)가 형성되고, 표시부(750)의 우측으로는 컨트롤박스(100)를 제어하도록 각종 버튼이 마련된다.
리모컨(700)의 상압버튼(740)은 에어공급펌프(300)의 가동량을 증대시켜 에어를 챔버(400)로 더 많이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에어가 챔버(400)에 연결된 튜브(600)를 통해 에어매트리스 내부로 주입되도록 한다.
리모컨(700)의 하압버튼(730)은 에어공급펌의 가동량을 감소시켜 에어를 챔버(400)로 적게 공급하도록 한다.
리모컨(700)은 컨트롤박스(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에어매트리스의 현재 에어압력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750)가 마련된다.
표시부(750)의 우측으로는 에어매트리스 내부 압력을 올리는 상압버튼(740)과 에어매트리스 내부 압력을 낮추는 하압버튼(730)을 포함한다.
상압버튼(740)과 하압버튼(730) 사이에는 에어매트리스의 내부압력을 기억시키는 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메모리버튼(710)와 에어매트리스의 구획된 공간(A,B)을 선택하는 선택버튼(720)이 배치된다.
보다 상세한 작동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챔버(400)의 분해사시도이다.
챔버(400)는 제2포트(461,462)와 제3포트(453)를 형성하는 후방커버(450)와, 후방커버(450)에 끼워지는 고무패킹(440)을 포함한다.
프레임(437)에는 제1솔레노이드코일(438)이 감겨진 제1실린더(436)가 전원부(435)에 연결된 채 고정되는 구동부(430)가 설치되어 있다.
챔버(400)는 전면(418)에서 좌측포트(411) 및 우측포트(412)가 형성되고 프레임(437) 및 피스톤(420)을 내부로 수용하는 전방커버(41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커버(410)는 전면(418)의 우측에 에어매트리스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제2튜브(620)에 연결되는 우측포트(412)가 형성되고, 전면(418)의 좌측에도 우측포트(412)와 동일 형상의 좌측포트(411)가 형성되어 에어매트리스로부터 연장되는 제1튜브(610)에 연결된다.
압력해제구(413)는 좌측포트(411)와 우측포트(412) 사이에 형성되어 챔버(400)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여 챔버(400) 내부의 압력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좌측포트(411)와 우측포트(412)는 에어매트리스로부터 연장되는 튜브(600)에 결합되기 전에 캡(415)으로 닫혀있어 챔버(40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된다.
피스톤(420)은 솔레노이드부(433)로 삽입되는 몸체(424)와 몸체(424)의 우측에 형성되면서 패킹을 수행하는 패킹부(423)로 이루어지고, 몸체(424)와 패킹부(423) 사이에는 링(421)이 설치된다.
스프링(422)은 일측이 프레임(437)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431)에 끼워지고 타측이 피스톤(420)의 링(421)을 지지하도록 하여 솔레노이드부(433)에 전원공급이 해제된 상태에서 피스톤(420)이 솔레노이드부(433)로부터 탈출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피스톤(420)은 제1피스톤(425,427)과,제2피스톤(426)으로 구성되며, 제1피스톤(425,427)은 좌측피스톤(425)와 우측피스톤(427)로 이루어져 솔레노이드부(433)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스프링(422)으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은 좌측피스톤(425)은 패킹부(423)가 전방커버(410) 내부에서 좌측포트(411) 홀을 차단한다.
스프링(422)은 제1피스톤(425,427)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428)과 제2피스톤(426)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429)로 이루어진다.
제1솔레노이코일(438)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스프링(422)으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은 우측피스톤(427)은 패킹부(423)가 전방커버(410) 내부에서 우측포트(412) 홀을 차단한다.
마찬가지로, 제2솔레노이드코일(439)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2스프링(429)으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은 제2피스톤(426)은 패킹부(423)가 전방커버(410) 내부에서 압력해제구(413)를 차단한다.
구동부(430)는 제1피스톤(425,427)을 수용하는 제1실린더(436)와, 제2피스톤(426)을 수용하는 제2실린더(437)가 전원부(435)에 연결된다.
제1실린더(436)는 외측에 제1솔레노이드코일(438)로 감싸져 있고, 제2실린더(437)는 외측에 제2솔레노이드코일(439)로 감싸져 있다.
전원부(43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제1피스톤(425,427) 또는 제2피스톤(426)은 스프링(42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제1피스톤(425,427) 또는 제2피스톤(426)의 몸체(424)를 잡아당겨 수용함으로써 패킹부(423)가 전방커버(410)에 형성된 좌측포트(411) 또는 우측포트(412) 또는 압력해제구(413)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고무패킹(440)은 후방커버(450)의 우측면에 끼워져 후방커버(450)가 전방커버(410)와 결합될 때 제2포트(461,462) 내지 제3포트(453) 및 압력해제구(413)를 제외하고 챔버(40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돌출부(451)는 후방커버(450)의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프레임(437)의 좌측외벽에 밀착됨으로써 제2포트(461,462) 및 제3포트(453)가 프레임(437)과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한다.
후방커버(450)의 상하측면과 전방커버(410)의 상하측면에는 각각 나사가 형성되는 체결부(416)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로 조여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방커버(410)는 양 측면에 나사가 결합되는 지지봉(210)결합부(930)를 마련하여, 챔버(400)가 하우징(200) 바닥으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솟아있는 지지봉(210)에 고정 결합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챔버의 분해사시도이다.
에어매트리스가 분리된 독립의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단일의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챔버는 단일의 제1포트(411)를 형성하여 에어매트리스의 쿠션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챔버(400)는 제2포트(461)와 제3포트(453)를 형성하는 후방커버(450)와, 후방커버(450)에 끼워지는 고무패킹(440)과, 프레임(437)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436)를 포함하는 구동부(430)를 포함하고, 프레임(437)의 우측에 돌출되는 결합돌기(431)에 끼워지는 스프링(422)을 포함하고, 제1실린더(436)에 수용되는 피스톤(420)을 포함하면서 전면(418)에 제1포트(411)가 형성되고, 프레임(437) 및 피스톤(420)을 내부로 수용하는 전방커버(410)를 포함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의 저면도이다.
필터(310)는 에어공급펌프(300)로 에어가 흡입될 때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하여 에어공급펌프(300)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하우징(200) 외부로 돌출된다.
받침부(910)는 컨트롤박스(100)를 지지하도록 하우징(200) 저면 각 모퉁이에 형성된다.
결합부(930)는 컨트롤박스(100)의 하우징(200)과 케이스(110)를 결합시키도록 컨트롤 박스 최외각 모퉁이에 형성된다.
진동흡수부(920)는 하우징(200)에 설치되는 에어공급펌프(300)가 컨트롤박스(100)가 놓이는 바닥면과 접촉하여 에어공급펌프(30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바닥면으로 전달하여 하우징(200)이 에어공급펌프(300)의 진동을 전달받지 않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가 내장된 침대의 전체사시도이다.
에어매트리스 침대는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프레임과 하면에 설치되는 하면프레임과, 상면에 설치되면서 송수신홀(950)이 형성된 상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컨트롤박스(100)는 송수신홀(95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면프레임의 하부에 내장형으로 콤팩트하게 설치된다.
송수신홀(950)은 리모컨(700)과 통신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관통공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동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사용자가 리모컨(700)을 이용하여 메모리버튼(720)을 누르면 표시부(750)에 현재 에어매트리스의 압력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A와 B로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된 에어메트리스에 독립적인 에어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에어매트리스의 A공간은 좌측포트(411)와 연결되고, B공간은 우측포트(412)에 연결된다.
제1튜브(610)는 일측이 에어매트리스의 A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챔버(400)의 좌측포트(411)에 연결되며, 좌측포트(411)에 형성된 걸림돌기(414)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제2튜브(620)는 일측이 에어매트리스의 B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챔버(400)의 우측포트(412)에 연결되는데 우측포트(412)에 형성된 걸림돌기(414)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먼저 사용자가 에어매트리스의 A공간에 쿠션을 강하게 하고자 할 때의 작동예이다.
사용자는 선택버튼(720)으로 A공간을 선택 후 상압버튼(740)을 눌러 원하는 압력을 설정한다.
우측포트(412)는 우측피스톤(427)에 의해, 압력해제구(413)는 제2피스톤(426)에 의해 각각 기밀을 유지한 채 전원부(435)는 제1실린더(436) 중에서 좌측피스톤(425)이 삽입된 솔레노이드코일만을 작동시킨다.
제1실린더(436)는 좌측피스톤(425)만을 잡아당기게 됨으로써 패킹부(423)는 제1튜브(610)가 연결된 좌측포트(411)를 개방한다.
이때, 회로기판(800)에 설치된 압력측정부(820)는 챔버(400)의 제3포트(453)에 연결된 측정호스(510)를 통해 입력되는 압력을 측정하게 되고,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치와 비교를 수행한다.
사용자의 설정치가 측정치보다 큰 경우, 챔버(400)내의 에어는 리모컨(700)에 설정된 설정치만큼 에어공급펌프(300)의 압력을 받으며 제1튜브(610)를 따라 에어매트리스의 A공간으로 인입되어 A공간의 압력은 상승하게 되어 A공간의 쿠션은 강해지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B공간의 쿠션을 강하게 하려면, 리모컨(700)의 메뉴버튼(710)을 눌러 B공간을 선택 후 상압버튼(740)을 눌러 원하는 압력을 설정해준다.
좌측피스톤(425)은 좌측포트(411)를 밀폐하고, 제2피스톤(426)은 압력해제구(413)를 개방하여 챔버(400)내의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한다.
우측피스톤(427)이 삽입된 솔레노이드부만 작동하게 되면서 우측피스톤(427)의 패킹부(423)가 우측포트(412)를 개방하게 된다.
회로기판(800)에 설치된 압력측정부(820)는 챔버(400)의 제3포트(453)에 연결된 측정호스(510)를 통해 입력되는 압력을 측정하게 되고,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치와 비교를 수행한다.
설정치가 측정치보다 큰 경우, 에어공급펌프(3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압력만큼 에어를 챔버(400)내로 공급하게 되며, 공급된 에어는 사용자가 설정한 압력이 될 때까지 개방된 우측포트(412)를 통과하여 B공간으로 주입된다.
반대로 설정치가 측정치보다 작은 경우, 에어공급펌프(300)는 작동하지 아니한 채 전원부(435)가 제2솔레노이드코일(439)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피스톤(426)이 제2실린더(437)로 당겨지면서 압력해제구(413)가 개방된다.
에어매트리스의 B공간에 존재하던 에어는 개방된 우측포트(412)지나 챔버(400)의 개방된 압력해제구(41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어 B공간의 압력이 설정치 만큼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컨트롤박스(100)는 에어매트리스의 이분된 A, B 두 공간에 각기 다른 쿠션감을 주기 위하여 각 공간의 에어 압력을 달리 설정해 줄 때, 압력해제구(413)를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챔버(400) 내부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한 뒤 좌측포트(411) 혹은 우측포트(412) 중 하나만을 밀폐하기 때문에 밀폐되지 아니한 다른 한 쪽의 에어매트리스 내부 압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치 압력이 될 때까지 에어매트리스 내부의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매트리스의 내부 압력을 낮출 경우에는 좌측포트(411) 혹은 우측포트(412) 중 어느 하나 만을 개방함과 동시에 압력해제구(413)도 개방함으로써, 에어가 압력해제구(413)를 통하여 챔버(400)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 컨트롤박스 110 : 케이스
200 : 하우징 210 : 지지봉
300 : 에어공급펌프 310 : 필터
400 : 챔버 410 : 전방커버
411,412 : 제1포트 413 : 압력해제구
414 : 걸림돌기 415 : 캡
416 : 체결부 418 : 전면
420 : 피스톤 421 : 링
422 : 스프링 428 : 제1스프링
429 : 제2스프링 423 : 패킹부
424 : 몸체 425 : 스프링
425, 427 : 제1피스톤 426 : 제2피스톤
430 : 구동부 431: 결합돌기
435 : 전원부 437 : 프레임
440 : 고무패킹 450 : 후방커브
451 : 돌출부 453 : 제3포트
455 : 후면 461,462 : 제2포트
500 : 연결호스 510 : 측정호스
600 : 튜브 610 : 제1튜브
620 : 제2튜브 700 : 리모컨
710 : 메모리버튼 720 : 선택버튼
730 : 하압버튼 740 : 상압버튼
750 : 표시부 800 : 회로기판
820 : 압력측정부 900 : 완충부
910 : 받침부 920 : 진동흡수부
930 : 결합부 950 : 송수신홀

Claims (8)

  1. 내부에 회로기판이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공급펌프;
    상기 에어공급펌프와 연결호스로 연결되며 에어매트리스에 연결된 튜브를 통해 상기 에어매트리스 내부로 에어를 주입하거나 상기 에어매트리스 내부의 에어를 배출토록 하는 챔버;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압력측정부가 상기 챔버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챔버를 상기 압력측정부에 연결하는 측정호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포트를 개폐하는 제1피스톤과;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1솔레노이드 코일이 실린더에 감겨져서 상기 제1피스톤을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일측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포트와;
    상기 챔버내부의 압력을 해제하는 압력해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포트의 상기 챔버 내로 형성되는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피스톤이 수용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외측을 감싸는 제1솔레노이드 코일과;
    상기 제1솔레노이드 코일과 연결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해제구는,
    상기 압력해제구의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제2피스톤이 수용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의 외측을 감싸는 제2솔레이드코일과;
    상기 제2솔레이드코일과 연결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6. 에어매트리스와;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하면에 설치되는 하면프레임과;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송수신홀이 형성된 상면프레임과;
    상기 상면프레임의 하부에 내장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송수신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 1항의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내장형 에어침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크롤 박스와 무선 통신하는 리모컨을 포함하되,
    상기 리모컨은,
    상기 에어매트리스 내부 압력을 올리는 상압버튼과;
    상기 상압버튼과 인접하여 상기 에어매트리스 내부 압력을 올리는 하압버튼과;
    설정된 에어매트리스의 내부압력을 기억시키는 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메모리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내장형 에어침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매트리스는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한 복수개의 에어매트리스로 구성되며,
    상기 리모컨은 상기 복수개의 에어매트리스 중 하나를 선택할 있는 선택버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내장형 에어침대.
KR1020110116270A 2011-11-09 2011-11-09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및 이를 내장한 에어침대 KR101323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270A KR101323684B1 (ko) 2011-11-09 2011-11-09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및 이를 내장한 에어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270A KR101323684B1 (ko) 2011-11-09 2011-11-09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및 이를 내장한 에어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110A true KR20130051110A (ko) 2013-05-20
KR101323684B1 KR101323684B1 (ko) 2013-11-04

Family

ID=4866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270A KR101323684B1 (ko) 2011-11-09 2011-11-09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및 이를 내장한 에어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6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2518A (zh) * 2018-12-25 2019-04-23 喜临门家具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盒及使用其的寝具
KR20230126796A (ko) * 2022-02-24 2023-08-31 (주)에어박스 스마트 에어 매트리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629A (ja) * 1991-09-13 1993-03-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エアマツトの内圧調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2518A (zh) * 2018-12-25 2019-04-23 喜临门家具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盒及使用其的寝具
KR20230126796A (ko) * 2022-02-24 2023-08-31 (주)에어박스 스마트 에어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684B1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653B2 (en) Air mattress
US20210251392A1 (en) Air Controller With Vibration Isolators
JP3216326U (ja) 高さを自動調整可能な枕、クッション
AU2011202844B2 (en) Mattress structure
US7739763B2 (en) Inflatable bed having air chambers inflatable individually by an electric air pump unit
US9345335B2 (en) Pressure control and feedback system for an adjustable foam support apparatus
US8656539B1 (en) Multi-chamber air mattress with peripheral chamber
JP6251397B2 (ja) 自動充填式エアチューブが内蔵された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作方法
US20140298588A1 (en) Adjustable Mattress With Foam Inserts And Air Chambers
KR101323684B1 (ko) 에어매트리스 침대용 컨트롤 박스 및 이를 내장한 에어침대
EP1876931A1 (en) Reversible inflation system
KR20180070331A (ko) 형상 자동 조절 기능을 가진 베개
KR20060107409A (ko) 차량 시트, 팽창 가능한 쿠션의 충전 및/또는 배출을 위한장치와 방법
CN107035703A (zh) 一种电子传感自动充泄气装置
US20140090176A1 (en) Multi-chamber air mattress
KR20170127115A (ko) 압력 조절식 에어 매트리스
KR20170109928A (ko) 욕창방지매트를 구비한 침대용 에어 매트리스
US11668312B2 (en) Air pump for an inflatable body
US20210227991A1 (en) Controllable beds
KR101870036B1 (ko) 벽장 수납형 거꾸리 침대
WO2019217416A1 (en) Air pump with automatic pressure maintenance
CN209790343U (zh) 一种空气波压力治疗仪
KR101193807B1 (ko) 에어쿠션을 이용한 에어매트리스의 쿠션 강도 조절장치
CN110584413A (zh) 一种充气枕头
KR102290490B1 (ko) 포터블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