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411A -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0411A
KR20130050411A KR1020110115456A KR20110115456A KR20130050411A KR 20130050411 A KR20130050411 A KR 20130050411A KR 1020110115456 A KR1020110115456 A KR 1020110115456A KR 20110115456 A KR20110115456 A KR 20110115456A KR 20130050411 A KR20130050411 A KR 20130050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x invoice
transaction history
form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276B1 (ko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주) 더존비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더존비즈온 filed Critical (주) 더존비즈온
Priority to KR102011011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276B1/ko
Publication of KR20130050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시 각종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방법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회원 정보, 거래처 정보 및 거래 내역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거래처 정보 및 회원 정보를 일체로 데이터 마이닝하여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형성하는 데이터 마이닝 모듈;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세금계산서를 형성하는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 상기 형성된 세금계산서를 전송하는 세금계산서 전송 모듈; 및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업자 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거래처 확인용 정보를 제공받으면, 거래처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세금계산서의 공급자 및 공급받는자 정보를 형성하는 사업자 정보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tax invoice}
본 발명은 세금계산서 등 매입 및 매출 증방서류 발급 시 각종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금계산서의 발급이 의무화되면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웹사이트 및 프로그램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세금계산서 발급 시스템에 따르면,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려는 사용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세금계산서 발급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세금계산서 작성 기능을 활성화한 후, 상호,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주소, 업태 등 공급받는자 및 공급자의 정보와 작성일자, 공급가액, 품목 등 거래 관련 정보를 입력한 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게 된다.
그런데, 세금계산서 발급 시 상호,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주소, 업태 등 공급받는자 및 공급자의 정보를 일일이 입력하는 것은 매우 귀찮은 업무이고, 사용자의 실수로 약간이 입력 오류가 있을 경우에도 발급된 세금계산서를 폐기하고, 세금계산서를 새로 발급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세금계산서 발급 사이트 및 세금계산서 발급 프로그램은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자(공급자)의 정보 및 세금계산서를 발급받는자(공급받는자)의 정보를 한 번 입력받으면, 상기 공급자 및 공급받는자 정보를 각각 저장한 후, 다음에 사용자가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자 할 때, 기존에 입력된 공급받는자 정보를 확인한 후,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공급받는자가 기존에 입력된 사업자일 경우 해당 사업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 항목을 자동으로 입력하는 기능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세금계산서 발급 사이트 및 세금계산서 발급 프로그램에 따른 공급받는자 또는 공급자 정보의 자동 입력 시스템은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자가 직접 입력한 공급받는자(단, 세금계산서 역발행의 경우 공급자) 정보에 한하여 정보의 자동 추출 및 입력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거래, 예컨데 온라인 쇼핑몰 업체 등과 같이 다수의 거래처와 신규 거래가 다수 발생하고 중복거래는 많지 않은 사업자의 경우 상기 종래의 공급받는 자(또는 공급자) 정보의 자동 추출 및 입력 시스템은 별다른 효용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존의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사이트 및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프로그램에 따르면, 공급받는자(또는 공급자) 정보는 오직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자가 입력한 정보만 저장되므로, 예컨데, 공급받는자(또는 공급자)의 주소가 변경되거나 사업자 명이 변경되는 등의 이유로 공급받는자(또는 공급자)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자는 공급받는자(또는 공급자) 정보가 변경된 것을 알 지 못하므로 잘못된 정보에 근거하여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금계산서 발급자가 기존의 세금계산서 발급용 웹사이트에서 입력한 데이터는 오직 그 사이트에서만 이용가능하므로,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가 다른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동일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내용을 다시 입력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세금계산서 발급 사이트 및 세금계산서 발급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자가 입력하지 않은 사업자 정보도 자동으로 입력가능한 사업자 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업자 정보가 변경된 경우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자가 그 사실을 모르더라도 변경된 사업자 정보가 적용가능한 세금계산서 사업자 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금계산서 발급에 이용된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다른 프로그램에서 활용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회원 정보, 거래처 정보 및 거래 내역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회원 정보 및 거래처 정보를 일체로 데이터 마이닝하여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형성하는 데이터 마이닝 모듈;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세금계산서를 형성하는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
상기 형성된 세금계산서를 전송하는 세금계산서 전송 모듈; 및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업자 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거래처 확인용 정보를 제공받으면, 상기 거래처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회원 정보를 하나 이상 이용하여 세금계산서의 공급자 및 공급받는자 정보를 형성하는 사업자 정보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마이닝 모듈은 상기 회원 정보 및 거래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내역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거래 내역 정보 DB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를 제공받으면, 상기 제공받은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를 추출하여 세금계산서의 거래 내역 정보를 형성하는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은 상기 사업자 정보 형성부 및 상기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에서 형성된 데이터 이외의 추가 데이터를 형성하는 추가 정보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거래처 정보는 공급받는자 또는 공급자의 사업자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에서 형성되는 세금계산서는 전자 세금계산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과 연동되어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처 정보를 이용하는 외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서버는 ERP(Entertainment Resource Planing)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방법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회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거래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회원 정보 및 상기 거래처 정보를 일체로 데이터 마이닝하여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거래처 확인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 중 상기 거래처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적어도 1개 이상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된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정보를 수신하여 세금계산서의 공급자 또는 공급받는자 정보로 자동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회원 정보 및 거래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내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거래 내역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를 더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를 더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 중 상기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적어도 1개 이상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된 상기 거래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거래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세금계산서의 거래 내역 정보로 자동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자동입력된 거래처 정보 또는 상기 자동입력된 거래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세금계산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형성된 세금계산서를 전자 세금계산서 수신용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 세금계산서 수신용 서버는 국세청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처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마이닝되는 사업자 정보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는 모든 회원 정보가 포함되므로, 사업자는 자신이 직접 입력한 거래 상대방이 아닌 사업자라도 그 사업자가 동일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회원이면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정보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각각의 세금계산서 발급자는 자신의 거래처를 일일이 등록하지 않아도 상대방 거래처가 입력한 데이터를 직접 이용할 수 있으므로 거래처 입력에 따른 시간 소모 및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는 회원 정보 외에 다른 회원인 사업자가 등록한 거래처 정보도 데이터 마이닝될 수 있고, 그러면 특정 회원은 다른 회원인 사업자의 정보에 더하여 다른 회원이 등록한 거래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거래처를 자동입력할 수도 있으므로 거래처 입력을 위한 시간은 더욱 크게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회원이 입력한 공급자 정보, 공급받는자 정보는 물론이고, 다른 회원의 사업자 정보 및 다른 회원이 입력한 사업자 정보가 모두 일체로 관리되어 각 회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면, 회원인 사업자는 주소, 회사명 등이 변경된 경우 변경 사항을 즉시 변경하게 되므로, 특정 사업자가 주소 등이 변경된 사실을 모르더라도 변경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으므로 세금계산서를 잘못 발급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양 사업자 간의 거래에 있어서 상당수는 품목도 몇 가지로 한정되어 있고, 각 품목에 따른 수량 및 단가도 변동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면,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려는 사업자는 품목 등 거래 내역 정보도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품목 등을 잘못 입력할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메인 서버(10) 및 DB 서버(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금계산서 작성 모듈(13)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을 이용하는 ERP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방법의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선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방법에서 S106 단계 내지 S110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제 세금계산서 중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마이닝의 대상이 되는 항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거래처의 등록번호를 제공받아 사업자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거래 내역 중 품목 정보를 제공받아 그에 매칭되는 거래 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제 ERP 사용자 단말(60)에서 거래처 정보를 자동 등록하는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을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이 명료하게 표시되도록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외에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구성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이러한 통상적인 구성은 본 발명에 일체로 합체됨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은 메인 서버(10), DB 서버(20) 및 웹 서버(30)로 구성된다. 또한, 메인 서버(10)는 웹 서버(30)를 통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40)과 연결된다. 또한, 웹 서버(30)는 회원 관리 DB(31)를 포함하고 있어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으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당한 권리자에 의한 접속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웹 서버(30)의 통상적인 기능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본 발명에 일체로 합체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40)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서버 등 웹서버와 접속 가능하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컴퓨터 장치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메인 서버(10) 및 DB 서버(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메인 서버(10)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11), 데이터 마이닝 모듈(12), 세금계산서 작성 모듈(13) 및 세금계산서 전송 모듈(14)로 구성되고 DB 서버(20)는 사업자 정보 DB(21), 거래 내역 정보 DB(22) 및 세금계산서 DB(23)로 구성된다.
먼저, 데이터 송수신 모듈(11)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회원 정보, 거래처 정보 및 거래 내역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 모듈(11)은 뒤에서 설명하듯이 데이터 마이닝 모듈(12) 및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13)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웹서버(3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40)로 수신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마이닝 모듈(12)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수신한 회원 정보 및 거래처 정보를 일체로 데이터 마이닝하여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형성한다. 또한, 데이터 마이닝 모듈(12)은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수신한 거래 내역 정보를 상기 회원 정보 및 거래처 정보에 대응되게 데이터 마이닝하여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저장되는 거래 내역 정보는 세금계산서의 품목, 규격, 수량, 단가, 공급가액, 세액 등 거래 내역과 관련된 정보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데이터 마이닝 모듈(12)에 의하여 형성된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는 사업자 정보 DB(21)에 저장되고,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는 거래 내역 정보 DB(22)에 저장된다.
도 7은 실제 세금계산서 중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마이닝의 대상이 되는 항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보듯이 공급자 및 공급받는자의 동록번호, 상호, 성명, 사업장 주소, 업태, 종목 등 정보는 사업자 정보 항목으로 데이터 마이닝되어 저장된다. 또한, 하단의 품목, 규격, 수량, 단가, 공급가액, 세액 등 정보는 거래 품목 정보로서 거래 내역 정보 항목으로 데이터 마이닝되어 저장된다.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13)은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세금계산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13)에 의하여 형성된 세금계산서는 전자 세금계산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성된 세금계산서는 세금계산서 DB(23)에 저장된다.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13)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3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13)은 사업자 정보 형성부(16),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 및 추가 정보 형성부(18)로 구성된다.
먼저, 사업자 정보 형성부(16)는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제공받은 거래처 확인용 정보로부터 거래처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 송수신 모듈(11)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출된 사업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40)로 제공한다. 이어서, 추출된 사업자 정보를 제공받은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특정한 사업자가 선택되면 선택된 사업자 정보를 세금계산서의 공급자 또는 공급받는자 정보로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 정보(역발행의 경우 공급자 정보)는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정보로부터 형성된다. 반면, 애초에 클라이언트 단말이 웹 서버(30)에 접속하면서 회원 인증을 하면 회원인 공급자 정보(역발행의 경우 공급받는자 정보)는 자동으로 인식 가능하므로, 공급자 정보는 회원 인증 시 인증된 정보로부터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제공받는 거래처 확인용 정보는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등록번호, 대표자 이름, 사업자 명칭, 사업자 주소 등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데, 사업자 정보 형성부(16)는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사업자 등록 번호를 제공받으면 제공받은 사업자 등록번호와 사업자 등록번호가 일치하는 사업자 정보를 사업자 정보 DB(21)에서 추출하여 클라이언트 단말(40)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거래처 확인용 정보인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등록번호, 대표자 이름, 사업자 명칭, 사업자 주소 등은 반드시 전체를 받을 필요가 없고, 그 일부만 받아도 사업자 정보 형성부(40)는 제공받은 거래처 확인용 정보와 일치하는 사업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기 거래처 확인 정보의 제공과 대응되는 사업자 정보의 매칭은 클라이언트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는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를 제공받으면, 제공받은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를 거래 내역 정보 DB(22)로부터 추출하고, 데이터 송수신 모듈(11)을 통하여 추출된 거래 내역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40)로 제공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특정한 거래 내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거래 내역 정보를 세금계산서의 거래 내역으로 결정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제공받는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는 물품 번호, 물품명 등 통상적으로 세금계산서에 기재되는 거래 내역과 관련된 데이터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는 거래 내역 전체를 제공받을 필요가 없고, 거래 내역을 일부만 제공받아도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는 그와 매칭되는 거래 내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정보 형성부(18)는 사업자 정보 형성부(16) 및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에서 형성된 데이터 이외의 추가 데이터를 형성한다. 상기 추가 데이터는 앞의 사업자 정보 형성부(16) 및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에서 형성된 데이터 외에 세금계산서 발급에 필요한 데이터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가 데이터는 앞의 사업자 정보 형성부(16) 및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에서 형성된 데이터 외에 세금계산서 발급에 필요한 데이터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는, 추가 정보 형성부(18)는 앞의 사업자 정보 형성부(16) 및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에서 형성된 데이터 중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직접 수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에 의하여 예컨데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처 정보 및 거래 내역 정보가 일부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을 경우, 일단 데이터 마이닝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1차 입력을 하고, 수정 사항만 간단하게 수정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세금계산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입력된 데이터도 수정된 내용에 따라서 거래처 정보 또는 거래 내역 정보로 데이터 마이닝되어 저장된다.
도 8(a) 및 도 8(b)는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거래처 확인용 정보 또는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를 제공받고 클라이언트 단말(40)로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 또는 거래 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은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거래처의 등록번호를 제공받아 사업자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일부의 등록번호만 받으면 입력받은 데이터와 일치하는 모든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 단말(40)에 제공하게 되므로, 세금계산서를 작성하는 자가 최대한 간단하게 거래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8(b)는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거래 내역 중 품목 정보를 제공받아 그에 매칭되는 거래 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일부의 품목 정보만 제공받으면 입력받은 데이터와 일치하는 모든 데이터 마이닝된 품목 정보를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 단말(40)에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세금계산서 전송 모듈(14)은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13)에 의하여 형성된 세금계산서, 특히 전자 세금계산서를 국세청 서버 등 상기 전자 세금계산서가 필요한 곳에 전송한다. 이러한, 전자 세금계산서를 전송하는 기능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본 발명에 전체로서 합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도 1 내지 도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따르면, 메인 서버(10)는 외부의 ERP(Entertainment Resource Planing) 서버(50)와 연결되고, ERP 서버(50)는 ERP 사용자 단말(6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ERP 서버(50)와 메인 서버(10)는 데이터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의 ERP 사용자 단말(60)이 ERP 서버(50)에 예컨데 거래처를 등록하고자 할 경우, 거래처 정보를 일일이 입력하는 대신 거래처 확인용 정보만 입력하면, ERP 서버(50)가 메인 서버(10)에 거래처 확인용 정보를 제공하고, 메인 서버(10)는 제공받은 거래처 확인용 정보로부터 대응되는 사업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ERP 사용자는 거래처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거래처 정보의 자동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메인 서버(10)는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거래처 확인용 정보를 제공받은 경우 ERP 서버(50)에 기록된 거래처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 사업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인 서버(10)는 사전에 ERP 서버에 기록된 거래처 정보를 미리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로 형성한 후,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거래처 확인용 정보를 제공받은 경우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4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실제 ERP 사용자 단말(60)에서 거래처 정보를 자동 등록하는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 보듯이, 사용자 단말(60)의 "거래처 자동 등록" 항목을 클릭하고, 거래처 확인용 정보를 입력하면 도 9의 좌측에 도시된 것과 같은 거래처 정보가 표시된다. 따라서, ERP 사용자 단말(60)의 사용자는 좌측에 도시된 정보 중 원하는 거래처를 클릭하는 단순한 행위만으로 거래처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세금계산서 자동 입력 시스템 외에 ERP 시스템에서 거래처를 자동으로 동록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ERP 시스템 외에도 사용자가 다양한 거래처 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 또는 다양한 거래 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이라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거래처 정보 또는 다양한 거래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방법을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앞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방법의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선도이다.
먼저, 회원 가입 및 인증 단계로서, 클라이언트 단말(40)은 웹서버(30)에 접속한다(S101). 통상적인 클라이언트 단말(40)이 웹서버(30)에 접속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전체가 본 발명에 일체로서 합체된다. 웹서버(30)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이 접속하면, 회원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102). 상기 회원인증 방법은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 공인인증서를 이용하는 방법, 키락 등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등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회원 관리 DB(31)는 각각의 인증방법에 적절한 회원 인증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회원 인증 결과 회원이 아닌 경우, 웹 서버(30)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을 통하여 회원 가입을 유도하며(S103), 이 경우 회원 가입 절차 및 방법은 이미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103 단계에서 회원 가입에 동의를 하면, 웹 서버(30)는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회원 정보를 수신한다(S104).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단계에서 제공받는 회원 정보는 상기 회원이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급자 정보(역발행의 경우 공급받는자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의 S102 단계에서 회원임이 확인된 경우, 웹 서버(30)는 상기 회원의 정보가 수정된 것이 없는지 확인하고(S105), 수정된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또한, 회원 정보를 처음 제공받거나, 수정된 회원 정보를 제공받으면 데이터 마이닝 모듈(12)은 상기 제공받은 회원 정보에 대한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형성하고, 형성된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는 사업자 정보 DB(21)에 저장된다(S106).
이어서, 회원인증이 된 단말(40)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13)에 의하여 세금계산서 작성 절차가 시작된다(S107). 세금계산서를 작성하는 순서는 사업자(공급자 및 공급받는자) 정보 형성 단계(S108), 거래 내역 정보 형성 단계(S109) 및 추가 정보 형성 단계(S1110)로 구성된다.
도 6은 상기 S108 단계 내지 S110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선도이다.
먼저, 사업자(공급자 및 공급받는자)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사업자 정보 형성부(16)는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거래처 확인용 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러면, 사업자 정보 형성부(16)는 제공받은 거래처 확인용 정보로부터 거래처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업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40)로 제공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제공받은 사업자 정보 중 하나가 입력하려는 거래처(공급자 또는 공급받는자) 정보와 일치하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사업자 정보는 세금계산서의 공급자 또는 공급받는자 정보로 자동으로 입력된다. 또는, 제공받은 사업자 정보가 모두 입력하려는 거래처(공급자 또는 공급받는자)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거래처 정보가 직접 입력된다. 또한, 입력된 거래처 정보는 다음의 세금계산서 형성을 위하여 데이터 마이닝되어 사업자 정보 DB(21)에 저장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제공받는 거래처 확인용 정보는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등록번호, 대표자 이름, 사업자 명칭, 사업자 주소 등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거래처 확인용 정보인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등록번호, 대표자 이름, 사업자 명칭, 사업자 주소 등은 반드시 전체를 받을 필요가 없고, 그 일부만 받아도 사업자 정보 형성부(40)는 제공받은 거래처 확인용 정보와 일치하는 사업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애초에 클라이언트 단말이 웹 서버(30)에 접속하면서 회원 인증을 하면 공급자 정보(역발행의 경우 공급받는자 정보)는 자동으로 인식 가능하므로, 공급자 정보는 회원 인증 시 인증된 정보로부터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거래 내역 정보 형성 단계로서, 먼저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는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어서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는 제공받은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를 거래 내역 정보 DB(22)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를 모두 클라이언트 단말(40)로 제공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제공받은 거래 내역 정보가 입력하려는 거래처(공급자 또는 공급받는자) 정보와 일치하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거래 내역 정보는 세금계산서의 거래 내역 정보로 자동으로 입력된다. 또는, 제공받은 거래 내역 정보가 모두 입력하려는 거래 내역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직접 거래 내역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입력된 거래 내역 정보는 다음의 세금계산서 형성을 위하여 데이터 마이닝되어 거래 내역 정보 DB(22)에 저장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 제공받는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는 물품 번호, 물품명 등 통상적으로 세금계산서에 기재되는 거래 내역과 관련된 데이터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는 거래 내역 전체를 제공받을 필요가 없고, 거래 내역을 일부만 제공받아도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는 그와 매칭되는 거래 내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가 정보 입력 단계로서 추가 정보 형성부(18)는 사업자 정보 형성부(16) 및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에서 형성된 데이터 이외의 추가 데이터를 형성한다.
상기 추가 데이터는 앞의 사업자 정보 형성부(16) 및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에서 형성된 데이터 외에 세금계산서 발급에 필요한 데이터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는, 추가 정보 형성부(18)는 앞의 사업자 정보 형성부(16) 및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17)에서 형성된 데이터 중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직접 수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에 의하여 예컨데 앞의 단계에서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처 정보 및 거래 내역 정보를 이용한 자동 입력 시 일부 다른 내용이 있을 경우, 일단 데이터 마이닝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1차 입력을 하고, 수정 사항만 간단하게 수정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세금계산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입력된 데이터도 수정된 내용에 따라서 거래처 정보 또는 거래 내역 정보로 데이터 마이닝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추가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세금계산서 형성 절차는 완료된다(S111). 이어서, 세금계산서 전송 모듈(14)은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13)에 의하여 형성된 세금계산서, 특히 전자 세금계산서를 국세청 서버 등 상기 전자 세금계산서가 필요한 곳에 전송한다(S112).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구성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세금계산서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세금계산서는 전자형태의 전자세금계산서 외에 각종 계산서와 같은 공급자, 공급받는자 및 거래 내역이 기재되는 형태의 매입 및 매출 증명 서류라면 모두 세금계산서의 항목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뒤에서 설명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5)

  1.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회원 정보, 거래처 정보 및 거래 내역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회원 정보 및 거래처 정보를 일체로 데이터 마이닝하여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형성하는 데이터 마이닝 모듈;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세금계산서를 형성하는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
    상기 형성된 세금계산서를 전송하는 세금계산서 전송 모듈; 및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업자 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거래처 확인용 정보를 제공받으면, 상기 거래처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세금계산서의 공급자 및 공급받는자 정보를 형성하는 사업자 정보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마이닝 모듈은 상기 회원 정보 및 거래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내역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거래 내역 정보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를 제공받으면, 상기 제공받은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를 추출하여 세금계산서의 거래 내역 정보를 형성하는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은 상기 사업자 정보 형성부 및 상기 거래 내역 정보 형성부에서 형성된 데이터 이외의 추가 데이터를 형성하는 추가 정보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거래처 정보는 공급받는자 또는 공급자의 사업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금계산서 형성 모듈에서 형성되는 세금계산서는 전자 세금계산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과 연동되어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처 정보를 이용하는 외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또한, 상기 외부 서버는 ERP(Entertainment Resource Planing)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10.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회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거래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회원 정보 및 상기 거래처 정보를 일체로 데이터 마이닝하여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세금계산서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거래처 확인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 중 상기 거래처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적어도 1개 이상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된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사업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정보를 수신하여 세금계산서의 공급자 또는 공급받는자 정보로 자동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회원 정보 및 거래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내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거래 내역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를 더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를 더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 내역 정보 중 상기 거래 내역 확인용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적어도 1개 이상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된 상기 거래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거래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세금계산서의 거래 내역 정보로 자동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방법.
  13.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자동입력된 거래처 정보 또는 상기 자동입력된 거래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세금계산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방법.
  14.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형성된 세금계산서를 전자 세금계산서 수신용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방법.
  15.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마이닝된 거래처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방법.
KR1020110115456A 2011-11-08 2011-11-08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305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456A KR101305276B1 (ko) 2011-11-08 2011-11-08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456A KR101305276B1 (ko) 2011-11-08 2011-11-08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411A true KR20130050411A (ko) 2013-05-16
KR101305276B1 KR101305276B1 (ko) 2013-09-06

Family

ID=4866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456A KR101305276B1 (ko) 2011-11-08 2011-11-08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562B1 (ko) * 2014-01-29 2014-07-24 주식회사 케이알시스 지능형 징수 관리 시스템
CN104715404A (zh) * 2015-03-27 2015-06-17 北京圣世博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发票代开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880B1 (ko) 2020-03-27 2020-07-23 차삼준 다목적세금계산서를 이용한 부가가치세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475B1 (ko) * 2005-05-23 2007-06-28 주식회사 케이엘넷 모바일을 이용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0787166B1 (ko) * 2005-09-13 2007-12-21 (주)세경멀티뱅크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
KR20090000827A (ko) * 2007-04-06 2009-01-08 (주)한국전자증명원 전자세금계산서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4174A (ko) * 2008-03-31 2009-10-06 주식회사 신한은행 간이세금계산서 정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562B1 (ko) * 2014-01-29 2014-07-24 주식회사 케이알시스 지능형 징수 관리 시스템
CN104715404A (zh) * 2015-03-27 2015-06-17 北京圣世博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发票代开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276B1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5191A1 (en) Integration platform for interfacing with third party channels
US20220076218A1 (en) Electronic money transfer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US10032143B2 (en) Payment support method and system
US201803758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communications in a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US7155411B1 (en) Integrating payment accounts and an electronic wallet
US10789578B2 (en) Network system, and server apparatus, server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use in same
US11295304B2 (en) Bifurcated digital wallet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ransactions us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multiple sources
US200400029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wireless access of computer-based services in an attributable manner
CN104603808A (zh) 支付装置和方法
US20150039452A1 (en) Consolidated Retailer-Operated Electronic Payment System
CN108960941A (zh) 电子支付开票方法
US20090138367A1 (en) Network settling card, network settling program, authentication server, and shopping system and settling method
CN106716918A (zh) 用户认证方法和系统
AU2021229147A1 (en)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020062104A (ko) Ic 카드 서비스 제공 방법, 카드 단말, 및 ic 카드
KR101305276B1 (ko) 세금계산서 자동 형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282345B1 (ko) 간소화되고 주도적인 구조를 가진 결제 트랜잭션 처리
CN115809879A (zh) 一种区块链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6338564B2 (ja) Atm予約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M504991U (zh) 以有效憑證線上申請行動憑證之系統
JP5208889B2 (ja) 購入仲介サーバ
CN111915285B (zh) 现金提取方法、装置和电子设备
TW528988B (en) Multi-account login device and multi-account login method
KR101049558B1 (ko) 정산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90001948A (ko) 대출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