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842A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842A
KR20130049842A KR1020110114837A KR20110114837A KR20130049842A KR 20130049842 A KR20130049842 A KR 20130049842A KR 1020110114837 A KR1020110114837 A KR 1020110114837A KR 20110114837 A KR20110114837 A KR 20110114837A KR 20130049842 A KR20130049842 A KR 20130049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keypad window
buttons
touch
conso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5413B1 (ko
Inventor
윤한경
송복희
Original Assignee
윤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한경 filed Critical 윤한경
Priority to KR102011011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4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터치 선택이 가능하도록 문자 입력을 위한 자음과 모음이 복수로 할당 배치된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1 키패드 창을 생성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 버튼을 누르면, 상기 특정 버튼에 할당 배치된 자음 또는 모음들이 표시된 확장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2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상기 제1 키패드 창의 주변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2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의 확장 버튼을 누르면, 상기 확장 버튼에 설정된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2)와 단계 (3)을 순차로 반복 실행하는 연속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완성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르면, 제1 키패드 창의 버튼들에 할당 배치된 자음, 모음, 및 영문자들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버튼의 터치를 통해 확장하여 생성되는 제2 키패드 창의 확장 버튼의 터치를 통해 해당 문자가 입력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이고, 문자 입력의 단순화를 통해 사용자가 정확하고 편리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키패드 창의 버튼과, 제2 키패드 창의 확장 버튼을 반복 터치하는 단순 입력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문자 배열 방식에 관계없이 범용적인 적용이 가능하고, 기존의 자음 충돌 현상이나 자/모음 조합 방식의 복잡한 입력 방법이 근본적으로 해소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버튼 터치만으로 편리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등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LETTER INPUT METHOD OF TOUCH TYPE U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터치 입력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제1 키패드 창을 통해 직관적으로 인식하여 터치를 통해 선택하고, 제2 키패드 창의 확장 버튼의 터치를 통해 해당 문자가 입력 처리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의 터치식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환경을 탑재한 휴대폰, 스마트폰, PDA, 내비게이터, 노트북, PC, POS 기기 및 ATM 등의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상에 키패드 창 및 문자 표시 창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포인터 등을 사용하여 키패드 창 터치를 통해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문자 입력 모드 실행 시, 터치스크린 상에 여러 개의 문자 키 버튼 및 기능 키 버튼 등이 배열되어 있는 키패드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문자 키 버튼 터치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아 문자 표시 창에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기능 키 버튼 터치에 의해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에는 국내 휴대폰 사용자의 약 80% 이상이 사용하는 “천지인 입력 방법(이하 ‘천지인’)”과 “EZ 한글 입력 방법(이하 ‘EZ한글’)”의 두 가지 방법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하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한글 입력 방법인 천지인 방식의 버튼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천지인 방식의 문자 입력은, 상단 3개의 버튼에 ‘ㅣ’, ‘.’, ‘ㅡ’를 각각 배치하고, 아래 7개의 버튼에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ㅎㅆ, ㅈㅊㅉ, ㅇㅁ을 각각 배치하여 각 자음과 모음 버튼을 선택적으로 1회 내지 수회 누름으로써 문자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천지인’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모음 입력의 경우, ㅣ’, ‘.’, ‘ㅡ’와 같은 3개의 버튼을 모음의 획순에 따라 순서대로 눌러 모음을 조립하므로 획수가 복잡할수록 많은 수의 버튼 사용이 불가피하다. 특히 ‘ㅘ’나 ‘ㅝ’, ‘ㅙ’, ‘ㅞ’ 등은 4~5개의 버튼을 눌러야 하는 등 획순이 복잡할수록 그 입력 효율은 떨어진다. 한글 구조상 1글자마다 1개 이상의 모음이 필수적으로 들어가므로, 이와 같이 모음 입력에서 입력 효율이 떨어지는 것은 한글 입력의 효율성에 막대한 영향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
또한, 자음 입력의 경우, 자음 19자를 7개의 버튼에 2~3개씩 할당하여 한 개의 버튼을 연속으로 눌러 필요한 자음을 찾아 입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종성 받침 자음과 다음 문자의 초성 자음이 같은 자음 또는 같은 버튼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자음일 경우 문자 입력 후 약 2초를 기다려 다음 문자의 입력 위치에 커서가 이동하기를 기다리거나 커서이동 버튼을 누른 후 다음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자음 충돌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자음 충돌 현상은 복잡한 모음 입력과 더불어, 한글 입력 시에 심각한 비효율성을 초래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한글 입력 방법인 EZ 한글 방식의 버튼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EZ 한글 방식의 문자 입력은, 1, 2, 4, 5, 7, 8번의 버튼에 ㄱ, ㄴ, ㄹ, ㅁ, ㅅ, ㅇ의 6개 자음을, 3, 6, 9, 0번의 버튼에 ㅏㅓ, ㅗㅜ, ㅣ, ㅡ의 모음을, *버튼과 #버튼에는‘획 추가’와, ‘쌍자음’과 같은 기능 버튼을 배치한 후, 각각의 자음과 모음 및 기능 버튼을 선택적으로 눌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지인의 문제인 자음 충돌 현상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EZ 한글 입력 방법은 자음 19자 중 6자(ㄱ, ㄴ, ㄹ, ㅁ, ㅅ, ㅇ)만 배치하여 ㄷ, ㅂ, ㅈ, ㅎ을 입력하려면 ㄴ, ㅁ, ㅅ, ㅇ 버튼을 누른 후 ‘획 추가’ 버튼을 눌러 ㄷ, ㅂ, ㅈ, ㅎ의 자음으로 변환하여야 하고, 나아가 ㅌ, ㅊ을 입력하려면 ㄴ, ㅅ 버튼을 누른 후 ‘획 추가’ 버튼을 눌러 ㄷ, ㅈ으로 변환한 후, 다시 ‘획 추가’ 버튼을 눌러 ㅌ, ㅊ으로 변환하여야 하며, 더 나아가 ㄸ, ㅉ을 입력하려면 ㄴ, ㅅ 버튼을 누른 후 ‘획 추가’ 버튼을 눌러 ㄷ, ㅈ으로 변환한 후, 추가로 ‘쌍자음’ 버튼을 눌러 ㄸ, ㅉ으로 변환해야 하는 것과 같이 입력의 복잡성으로 인해 여전히 한글 입력의 전체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모음 입력 역시 ㅑ, ㅕ나 ㅛ, ㅠ 등을 입력할 때 먼저 ㅏ, ㅓ 또는 ㅗ, ㅜ 버튼을 입력 한 후 ‘획 추가’ 버튼을 누르는 등 그 입력의 복잡성으로 인해 여전히 한글 입력의 전체 효율성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제1 키패드 창의 버튼들에 할당 배치된 자음, 모음, 및 영문자들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버튼의 터치를 통해 확장하여 생성되는 제2 키패드 창의 확장 버튼의 터치를 통해 해당 문자가 입력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이고, 문자 입력의 단순화를 통해 사용자가 정확하고 편리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키패드 창의 버튼과, 제2 키패드 창의 확장 버튼을 반복 터치하는 단순 입력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문자 배열 방식에 관계없이 범용적인 적용이 가능하고, 기존의 자음 충돌 현상이나 자/모음 조합 방식의 복잡한 입력 방법이 근본적으로 해소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버튼 터치만으로 편리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등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은,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터치 입력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단말기 상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터치 선택이 가능하도록 문자 입력을 위한 자음과 모음이 복수로 할당 배치된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1 키패드 창을 생성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 버튼을 누르면, 상기 특정 버튼에 할당 배치된 자음 또는 모음들이 표시된 확장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2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상기 제1 키패드 창의 주변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2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의 확장 버튼을 누르면, 상기 확장 버튼에 설정된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2)와 단계 (3)을 순차로 반복 실행하는 연속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완성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제1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제공하되, 숫자, *, 및 #의 34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12개의 버튼으로 구성하며, 상기 12개의 버튼 중 “*, 및 #”버튼을 제외한 10개의 버튼은 터치에 의한 선택 시에 해당 숫자와 함께 자신에게 할당 배치된 자음 또는 모음을 확장 버튼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 및 #”버튼은,
상기 ‘*’버튼과 ‘#’버튼 중 하나의 버튼이 영문자, 및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모드의 변환 기능을 갖는 모드전환 버튼으로 구현되고,
상기 ‘*’버튼과 ‘#’버튼 중 나머지 하나의 버튼이 문자 입력의 띄어쓰기 기능을 갖는 스페이스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키패드 창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기본 자음 14개, 및 “ㄲ, ㄸ, ㅃ, ㅆ, ㅉ”의 복합 자음 5개를 포함하는 한글 자음 19개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l”의 기본 모음 10개, 및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의 복합 모음 11개를 포함하는 한글 모음 21개를 모두 포함하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배치되는 12개의 버튼 중 ‘*’버튼과 ‘#’버튼을 제외한 숫자 버튼 10개에 대해 3~5개씩 랜덤하게 할당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키패드 창은,
상기 ‘*’버튼과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영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의 26개의 영문자를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배치되는 12개의 버튼 중 ‘*’버튼과 ‘#’버튼, 및 숫자 버튼 ‘0’을 제외한 나머지 숫자 버튼 9개에 대해 2~3개씩 랜덤하게 할당하고,
상기 숫자 버튼 ‘0’은 영문자의 대문자 및 소문자의 변환키로 구현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키패드 창은,
상기 버튼들 중 하나가 터치를 통해 눌리는 경우, 상기 버튼에 할당 배치된 영문자들을 숫자와 함께 제1 키패드 창의 주변에 확장 버튼들로 구성된 제2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표시 제공하고,
상기 제2 키패드 창에 구성되는 확장 버튼들 중 하나가 눌리는 경우, 터치 방식으로 눌려 선택된 해당 영문자를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특징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은,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터치 입력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단말기 상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터치 선택이 가능하도록 문자 입력을 위한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이 혼용되어 복수로 할당 배치된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1 키패드 창을 생성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 버튼을 누르면, 상기 특정 버튼에 할당 배치된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들이 혼용 표시된 확장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2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상기 제1 키패드 창의 주변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2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의 확장 버튼을 누르면, 상기 확장 버튼에 설정된 하나의 자음, 모음, 및 알파벳 중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2)와 단계 (3)을 순차로 반복 실행하는 연속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2개 국어를 혼용한 완성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키패드 창은,
제1공용어인 한글의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기본 자음 14개, 및 “ㄲ, ㄸ, ㅃ, ㅆ, ㅉ”의 복합 자음 5개를 포함하는 한글 자음 19개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l”의 기본 모음 10개, 및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의 복합 모음 11개를 포함하는 한글 모음 21개를 모두 포함하는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배치되는 12개의 버튼 중 ‘*’버튼과 ‘#’버튼을 제외한 숫자 버튼 10개에 대해 3~5개씩 랜덤하게 할당하고,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의 26개의 영문자를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배치되는 12개의 버튼 중 ‘*’버튼과 ‘#’버튼, 및 숫자 버튼 ‘0’을 제외한 나머지 숫자 버튼 9개에 대해 2~3개씩 랜덤하게 할당하며,
상기 제1 키패드 창은 하나의 버튼에 대해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이 혼용되어 할당 배치되고, 버튼이 눌리는 경우 상기 제2 키패드 창은 해당 버튼에 할당된 숫자, 자음과 모음, 및 알파벳을 포함하는 확장 버튼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1개 국어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모드 변경의 전환 없이도 2개 국어를 혼용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르면, 제1 키패드 창의 버튼들에 할당 배치된 자음, 모음, 및 영문자들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버튼의 터치를 통해 확장하여 생성되는 제2 키패드 창의 확장 버튼의 터치를 통해 해당 문자가 입력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이고, 문자 입력의 단순화를 통해 사용자가 정확하고 편리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키패드 창의 버튼과, 제2 키패드 창의 확장 버튼을 반복 터치하는 단순 입력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문자 배열 방식에 관계없이 범용적인 적용이 가능하고, 기존의 자음 충돌 현상이나 자/모음 조합 방식의 복잡한 입력 방법이 근본적으로 해소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버튼 터치만으로 편리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등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한글 입력 방법인 천지인 방식의 버튼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한글 입력 방법인 EZ 한글 방식의 버튼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한글 입력을 위한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영문 입력을 위한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한글과 영문의 혼용 입력을 위한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은, 자음과 모음이 복수로 할당 배치된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1 키패드 창을 생성 제공하는 단계(S100), 제1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 버튼이 눌림에 따라 할당 배치된 자음 또는 모음들이 표시된 확장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2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제1 키패드 창의 주변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S200), 및 확장 버튼의 눌림에 따라 설정된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의 도면 번호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단계 S100에서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터치 선택이 가능하도록 문자 입력을 위한 자음과 모음이 복수로 할당 배치된 버튼(111)들로 구성되는 제1 키패드 창(110)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단계 S100에서는 제1 키패드 창(110)을 생성하여 제공하되, 바람직한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숫자, *, 및 #의 34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12개의 버튼으로 구성할 수 있다. 12개의 버튼(111) 중 “*, 및 #”버튼을 제외한 10개의 버튼(111)은 터치에 의한 선택 시에 해당 숫자와 함께 자신에게 할당 배치된 자음 또는 모음을 후술할 제2 키패드 창(120)의 확장 버튼(121)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및 #”버튼(112, 113)은 ‘*’버튼과 ‘#’버튼 중 하나의 버튼(112, 113)이 영문자, 및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모드의 변환 기능을 갖는 모드전환 버튼(112)으로 구현되고, ‘*’버튼과 ‘#’버튼 중 하나의 버튼(112, 113)이 문자 입력의 띄어쓰기 기능을 갖는 스페이스 버튼(113)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일례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튼(112)을 모드전환 버튼(112)으로 구현하고, ‘#’버튼(113)을 스페이스 버튼(113)으로 구현하고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제1 키패드 창(110)에 구성된 특정 버튼(111)을 누르면, 특정 버튼(111)에 할당 배치된 자음 또는 모음들이 표시된 확장 버튼(121)들로 구성되는 제2 키패드 창(120)을 생성하여 제1 키패드 창(110)의 주변에 표시하여 제공한다. 제2 키패드 창(1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키패드 창(110)에 배치된 버튼(111)들이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각 버튼(111)들에 할당 배치된 숫자를 포함한 자음 또는 모음을 확장 버튼(121)들로 구성하여 배치하게 된다. 즉, 확장 버튼(121)들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숫자 버튼을 최상단에 위치시키고, 그 이하로 할당 배치된 자음 또는 모음들이 모두 순차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 선택을 통해 쉽게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문자 입력 방법에서 나타나는 자음 충돌 방식이나 자/모음 조합 방식의 복잡한 입력이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즉, 쌍자음의 입력이나 복합 모음의 입력 시에 입력 문자의 선택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제2 키패드 창(120)에 구성된 특정의 확장 버튼(121)을 누르면, 확장 버튼(121)에 설정된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의 문자가 입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단계 S200과 단계 S300을 사용자가 순차로 반복 실행함으로써,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완성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은, 단순히 문자 입력 버튼의 횟수를 줄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 문자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쌍자음이나 복합 자음을 선택하는 경우에 두 번의 터치만으로도 입력이 가능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과 대비하여 사용 버튼의 수 및 입력 횟수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한글 입력을 위한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제1 키패드 창(110)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기본 자음 14개, 및 “ㄲ, ㄸ, ㅃ, ㅆ, ㅉ”의 복합 자음 5개를 포함하는 한글 자음 19개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l”의 기본 모음 10개, 및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의 복합 모음 11개를 포함하는 한글 모음 21개를 모두 포함하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제1 키패드 창(110)에 배치되는 12개의 버튼(111) 중 ‘*’버튼(112)과 ‘#’버튼(113)을 제외한 숫자 버튼(111) 10개에 대해 3~5개씩 랜덤하게 할당한다. 제1 키패드 창(110)에 배치되는 버튼(111)들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할당하여 배치함에 있어, 기존의 천지인 방식이나 EZ 한글 입력 방식과 같이 자/모음의 배치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1 키패드 창(110)의 버튼(111)들은 표현 가능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모두 표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서는 제1 키패드 창(110)의 숫자 버튼(111) ‘5’번이 터치 됨에 따라 그 주변으로 제2 키패드 창(120)이 5개의 확장 버튼(121)을 생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확장된 형태로 제공되는 제2 키패드 창(120)의 확장 버튼(121)들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것으로 원하는 문자인 “ㅍ'를 입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키패드 창(110) 및 제2 키패드 창(120)에 표시되는 버튼(111)과 확장 버튼(121)을 연속 터치하는 방식만으로 사용자는 쉽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영문 입력을 위한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제1 키패드 창(110)은, ‘*’버튼과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영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의 26개의 영문자를 제1 키패드 창(110)에 배치되는 12개의 버튼(111) 중 ‘*’버튼(112)과 ‘#’버튼(113), 및 숫자 버튼 ‘0’을 제외한 나머지 숫자 버튼 9개에 대해 2~3개씩 랜덤하게 할당하고, 숫자 버튼 ‘0’은 영문자의 대문자 및 소문자의 변환키(122)로 구현한다. 제1 키패드 창(110)은 버튼(111)들 중 하나가 터치를 통해 눌리는 경우, 버튼(111)에 할당 배치된 영문자들을 숫자와 함께 제1 키패드 창(110)의 주변에 확장 버튼(121)들로 구성된 제2 키패드 창(120)을 생성하여 표시 제공한다. 이때 제2 키패드 창(120)에 구성되는 확장 버튼(121)들 중 하나가 눌리는 경우, 터치 방식으로 눌려 선택된 해당 영문자를 입력으로 처리하게 된다. 도 5에서는 제1 키패드 창(110)의 숫자 버튼(111) ‘6’번이 터치 됨에 따라 그 주변으로 제2 키패드 창(120)이 4개의 확장 버튼(121)을 생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확장된 형태로 제공되는 제2 키패드 창(120)의 확장 버튼(121)들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것으로 원하는 문자인 “r”을 입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키패드 창(110) 및 제2 키패드 창(120)에 표시되는 버튼(111)과 확장 버튼(121)을 연속 터치하는 방식만으로 사용자는 쉽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은,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이 혼용되어 복수로 할당 배치된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1 키패드 창을 생성 제공하는 단계(S1000), 제1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 버튼을 누르면, 특정 버튼에 할당 배치된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들이 혼용 표시된 확장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2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제1 키패드 창의 주변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S2000), 및 제2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의 확장 버튼을 누르면, 확장 버튼에 설정된 하나의 자음, 모음, 및 알파벳 중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S30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은, 1개 국어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모드 변경의 전환 없이도 2개 국어를 혼용한 완성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문자 입력의 확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의 도면 번호는 도 7에 도시되는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단계 S1000에서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터치 선택이 가능하도록 문자 입력을 위한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이 혼용되어 복수로 할당 배치된 버튼(111)들로 구성되는 제1 키패드 창(110)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제1 키패드 창(110)의 버튼(111)들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한글과 영문의 혼용 입력을 위한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에 적용되는 제1 키패드 창(110)은, 제1공용어인 한글의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기본 자음 14개, 및 “ㄲ, ㄸ, ㅃ, ㅆ, ㅉ”의 복합 자음 5개를 포함하는 한글 자음 19개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l”의 기본 모음 10개, 및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의 복합 모음 11개를 포함하는 한글 모음 21개를 모두 포함하는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제1 키패드 창(110)에 배치되는 12개의 버튼 (111)중 ‘*’버튼과 ‘#’버튼을 제외한 숫자 버튼 10개에 대해 3~5개씩 랜덤하게 할당한다. 그리고,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의 26개의 영문자를 제1 키패드 창(110)에 배치되는 12개의 버튼(111) 중 ‘*’버튼과 ‘#’버튼, 및 숫자 버튼 ‘0’을 제외한 나머지 숫자 버튼 9개에 대해 2~3개씩 랜덤하게 할당한다. 즉, 제1 키패드 창(110)은 하나의 버튼(111)에 대해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이 혼용되어 할당 배치되고, 버튼(111)이 눌리는 경우 제2 키패드 창(120)은 해당 버튼(111)에 할당된 숫자, 자음과 모음, 및 알파벳을 포함하는 확장 버튼(121)들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1개 국어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모드 변경의 전환 없이도 2개 국어를 혼용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단계 S2000에서는, 제1 키패드 창(110)에 구성된 특정 버튼(111)을 누르면, 특정 버튼(111)에 할당 배치된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들이 혼용 표시된 확장 버튼(121)들로 구성되는 제2 키패드 창(120)을 생성하여 제1 키패드 창(110)의 주변에 표시하여 제공한다.
단계 S3000에서는, 제2 키패드 창(120)에 구성된 특정의 확장 버튼(121)을 누르면, 확장 버튼(121)에 설정된 하나의 자음, 모음, 및 알파벳 중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단계 S2000과 단계 S3000을 사용자가 순차로 반복 실행하는 연속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2개 국어를 혼용한 완성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키패드 창(110)에 구성된 숫자 키의 5번 버튼(111)을 누르는 경우, 확장 버튼(121)들로 구성된 제2 키패드 창(120)이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때 확장 버튼(121)은 “5, ㅋ, ㅌ, ㅍ, ㅎ, m, n, o"와 같이 한글과 영문을 혼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2개 국어의 문자 입력 시에도 입력 문자의 언어를 선택 전환하는 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바로 2개 국어의 문자 입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제2 키패드 창(120)의 구성인 확장 버튼(121)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열의 수직 배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한글과 영문이 각각 1열씩 배열되는 2열의 수직 배열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키패드 창(110)은 통화 모드에서는 아라비아 숫자가 활성화되고, 문자 입력 시에만 한글과 영어를 포함하는 2개 국어의 문자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은, 종래의 천지인이나 EZ 문자 입력 방법과 같이 문자 키 조합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고 랜덤한 문자 배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사용자의 피로도를 고려하여 사용 빈도가 높은 문자를 입력하기 쉬운 곳에 먼저 할당하여 배치할 수는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1 키패드 창 111: 버튼
112: 모드전환 버튼 113: 스페이스 버튼
120: 제2 키패드 창 121: 확장 버튼
122: 변환키
S100: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터치 선택이 가능하도록 문자 입력을 위한 자음과 모음이 복수로 할당 배치된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1 키패드 창을 생성 제공하는 단계
S200: 제1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 버튼을 누르면, 특정 버튼에 할당 배치된 자음 또는 모음들이 표시된 확장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2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제1 키패드 창의 주변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S300: 제2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의 확장 버튼을 누르면, 확장 버튼에 설정된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
S1000: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터치 선택이 가능하도록 문자 입력을 위한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이 혼용되어 복수로 할당 배치된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1 키패드 창을 생성 제공하는 단계
S2000: 제1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 버튼을 누르면, 특정 버튼에 할당 배치된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들이 혼용 표시된 확장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2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제1 키패드 창의 주변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S3000: 제2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의 확장 버튼을 누르면, 확장 버튼에 설정된 하나의 자음, 모음, 및 알파벳 중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

Claims (8)

  1.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터치 입력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단말기 상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터치 선택이 가능하도록 문자 입력을 위한 자음과 모음이 복수로 할당 배치된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1 키패드 창을 생성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 버튼을 누르면, 상기 특정 버튼에 할당 배치된 자음 또는 모음들이 표시된 확장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2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상기 제1 키패드 창의 주변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2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의 확장 버튼을 누르면, 상기 확장 버튼에 설정된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2)와 단계 (3)을 순차로 반복 실행하는 연속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완성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제1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제공하되, 숫자, *, 및 #의 34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12개의 버튼으로 구성하며, 상기 12개의 버튼 중 “*, 및 #”버튼을 제외한 10개의 버튼은 터치에 의한 선택 시에 해당 숫자와 함께 자신에게 할당 배치된 자음 또는 모음을 확장 버튼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 및 #”버튼은,
    상기 ‘*’버튼과 ‘#’버튼 중 하나의 버튼이 영문자, 및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모드의 변환 기능을 갖는 모드전환 버튼으로 구현되고,
    상기 ‘*’버튼과 ‘#’버튼 중 나머지 하나의 버튼이 문자 입력의 띄어쓰기 기능을 갖는 스페이스 버튼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 창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기본 자음 14개, 및 “ㄲ, ㄸ, ㅃ, ㅆ, ㅉ”의 복합 자음 5개를 포함하는 한글 자음 19개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l”의 기본 모음 10개, 및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의 복합 모음 11개를 포함하는 한글 모음 21개를 모두 포함하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배치되는 12개의 버튼 중 ‘*’버튼과 ‘#’버튼을 제외한 숫자 버튼 10개에 대해 3~5개씩 랜덤하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 창은,
    상기 ‘*’버튼과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영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의 26개의 영문자를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배치되는 12개의 버튼 중 ‘*’버튼과 ‘#’버튼, 및 숫자 버튼 ‘0’을 제외한 나머지 숫자 버튼 9개에 대해 2~3개씩 랜덤하게 할당하고,
    상기 숫자 버튼 ‘0’은 영문자의 대문자 및 소문자의 변환키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 창은,
    상기 버튼들 중 하나가 터치를 통해 눌리는 경우, 상기 버튼에 할당 배치된 영문자들을 숫자와 함께 제1 키패드 창의 주변에 확장 버튼들로 구성된 제2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표시 제공하고,
    상기 제2 키패드 창에 구성되는 확장 버튼들 중 하나가 눌리는 경우, 터치 방식으로 눌려 선택된 해당 영문자를 입력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7.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터치 입력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단말기 상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터치 선택이 가능하도록 문자 입력을 위한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이 혼용되어 복수로 할당 배치된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1 키패드 창을 생성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 버튼을 누르면, 상기 특정 버튼에 할당 배치된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들이 혼용 표시된 확장 버튼들로 구성되는 제2 키패드 창을 생성하여 상기 제1 키패드 창의 주변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2 키패드 창에 구성된 특정의 확장 버튼을 누르면, 상기 확장 버튼에 설정된 하나의 자음, 모음, 및 알파벳 중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2)와 단계 (3)을 순차로 반복 실행하는 연속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2개 국어를 혼용한 완성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 창은,
    제1공용어인 한글의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기본 자음 14개, 및 “ㄲ, ㄸ, ㅃ, ㅆ, ㅉ”의 복합 자음 5개를 포함하는 한글 자음 19개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l”의 기본 모음 10개, 및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의 복합 모음 11개를 포함하는 한글 모음 21개를 모두 포함하는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배치되는 12개의 버튼 중 ‘*’버튼과 ‘#’버튼을 제외한 숫자 버튼 10개에 대해 3~5개씩 랜덤하게 할당하고,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의 26개의 영문자를 상기 제1 키패드 창에 배치되는 12개의 버튼 중 ‘*’버튼과 ‘#’버튼, 및 숫자 버튼 ‘0’을 제외한 나머지 숫자 버튼 9개에 대해 2~3개씩 랜덤하게 할당하며,
    상기 제1 키패드 창은 하나의 버튼에 대해 제1공용어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제2공용어인 영어의 알파벳이 혼용되어 할당 배치되고, 버튼이 눌리는 경우 상기 제2 키패드 창은 해당 버튼에 할당된 숫자, 자음과 모음, 및 알파벳을 포함하는 확장 버튼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1개 국어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모드 변경의 전환 없이도 2개 국어를 혼용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KR1020110114837A 2011-11-05 2011-11-05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285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837A KR101285413B1 (ko) 2011-11-05 2011-11-05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837A KR101285413B1 (ko) 2011-11-05 2011-11-05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842A true KR20130049842A (ko) 2013-05-15
KR101285413B1 KR101285413B1 (ko) 2013-07-11

Family

ID=4866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837A KR101285413B1 (ko) 2011-11-05 2011-11-05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571B1 (ko) * 2013-11-11 2015-04-10 배석균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KR101653102B1 (ko) * 2015-04-13 2016-08-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단순화된 쿼티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기호 문자 입력 방법
CN108885502A (zh) * 2016-03-07 2018-11-23 禹舜朝 利用包含目标字符和后续字符的扩展小键盘的字符输入方法及执行其的计算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391A (ko) 2015-04-14 2016-10-24 우광호 스마트 디바이스 입력장치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60122390A (ko) 2015-04-14 2016-10-24 우광호 스마트 디바이스 입력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87B1 (ko) * 2008-03-31 2009-06-01 박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 입력 방법
KR101512133B1 (ko) * 2009-02-19 2015-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571B1 (ko) * 2013-11-11 2015-04-10 배석균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WO2015069029A1 (ko) * 2013-11-11 2015-05-14 배석균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CN105765493A (zh) * 2013-11-11 2016-07-13 裴锡均 触摸板文字输入方法
KR101653102B1 (ko) * 2015-04-13 2016-08-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단순화된 쿼티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기호 문자 입력 방법
CN108885502A (zh) * 2016-03-07 2018-11-23 禹舜朝 利用包含目标字符和后续字符的扩展小键盘的字符输入方法及执行其的计算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413B1 (ko)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087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 입력 방법
KR101285413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KR20050048758A (ko)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EP27599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a mobile terminal
KR20220005417A (ko) 한글 간이 키보드 시스템
KR20090047257A (ko)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H11327762A (ja) マウス機能付きキー入力装置
KR101173537B1 (ko) 쾌속 터치 자판
KR101016948B1 (ko)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039605B1 (ko) 이동 단말의 문자입력 방법
KR100958468B1 (ko) 한/영 문자 및 숫자 입력 방법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101194119B1 (ko) 문자표시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KR20120080474A (ko) 선긋기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1071812B1 (ko)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JP2012113685A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KR20120029562A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KR20120021996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세계 문자 입력장치
EP2916200A2 (en) Semi-compact keyboard and method therefor
JP2016066356A (ja) 潜在的キーによる接続移動後の解放で2工程の情報を入力する方法。
KR20110044394A (ko) 소형 전자기기용 자판 및 그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