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356A - Teleoperating device for excabator and force feedback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Teleoperating device for excabator and force feedback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356A
KR20130049356A KR1020110114336A KR20110114336A KR20130049356A KR 20130049356 A KR20130049356 A KR 20130049356A KR 1020110114336 A KR1020110114336 A KR 1020110114336A KR 20110114336 A KR20110114336 A KR 20110114336A KR 20130049356 A KR20130049356 A KR 20130049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ucket
boom
excavat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3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69839B1 (en
Inventor
홍대희
박신석
김동남
오경원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내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내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839B1/en
Publication of KR2013004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3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8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9Tele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02F3/435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7Measurements
    • G05B2219/37396Tactile feedback, operator feels reaction, force r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PURPOSE: A remote control device of an excavator and a power echo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work and equipment by preventing work with an excessive external force in an excavation work. CONSTITUTION: A remote control device of an excavator comprises a boom control unit(10), an arm control unit(20), and a bucket control unit(30). Pressure increased by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a boom cylinder, an arm cylinder, and a bucket cylinder is measured. A joint torque is calculated in each cylinder and is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urrent of each driving motor so that an operator sense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excavator.

Description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 및 그 힘반향 제어방법{TELEOPERATING DEVICE FOR EXCABATOR AND FORCE FEEDBACK CONTROL METHOD FOR THE SAME}Remote control device of excavator and its force control method {TELEOPERATING DEVICE FOR EXCABATOR AND FORCE FEEDBACK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굴삭기를 조종하는 조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팔, 손목, 손가락을 굴삭기의 붐, 아암, 버킷 조인트와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초보자라도 굴삭기의 동작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굴삭작업시 굴삭기에 작용하는 힘을 반향시킬 수 있는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 및 그 힘반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manipulating an exca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configure a person's arm, wrist, and finger to interlock with an excavator's boom, arm, and bucket joint so that even a beginner can easily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excavator.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n excavator that can echo the force acting on the excavator during the excavation work,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force reverberation.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땅을 파거나 깎을 때 사용되는 건설기계로 일반적으로 포크레인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굴삭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터필러식의 궤도체(3) 위에 스윙몸체(2)가 조종자가 원하는 스윙회전각만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윙몸체(2)에 조종석이 형성되어 있다.In general, an excavator is a construction machine used for digging or mowing land. As shown in FIG. 1, such an excavator is provided with a swing body 2 rotatable on a caterpillar type track body 3 so as to be rotatable by a desired swing rotation angle, and a cockpit is formed on the swing body 2. .

스윙몸체(2)에 붙어있는 붐(4)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이동을 할 수 있고, 붐(4)의 단부에는 아암(5)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boom 4 attached to the swing body 2 can be moved by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arm 5 is rotatably installed by the hydraulic cylinder at the end of the boom 4.

아암(5)의 단부에는 버킷(6)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작업을 할 수 있게 되고, 버킷(6)은 드래그라인, 클램셸, 드래그셔블 등으로 바꾸어서 토사와 암석의 상태, 굴착방법, 이동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At the end of the arm 5, the bucket 6 is rotatably installed to work, and the bucket 6 is changed to dragline, clamshell, drag shovel, etc., so that the state of the soil and rock, excavation method,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mobility.

이러한 굴삭기를 조종하기 위한 조종장치로서, 종래의 굴삭기 조종장치는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버킷의 인 앤 아웃, 아암의 업 앤 다운, 붐의 인 앤 아웃, 선회작업을 수행한다. As a control device for manipulating such an excavator, a conventional excavator control device uses a joystick to perform bucket in and out, arm up and down, boom in and out, and turning.

그러나, 굴삭기를 이용한 작업의 경우, 작업위치, 환경, 및 조건에 따라서는 위험한 지역이나 열악한 환경하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 조작자가 굴삭기에 탑승하여 조종하기가 매우 어려운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조종자가 굴삭기에 직접 탑승하지 않고도 굴삭기의 제어가 가능한 원격제어 굴삭기 조종장치가 필요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a work using an excavator, the work is often performed in a dangerous area or in a bad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work location, environment, and conditions, and in this case, it is often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ride and control the excavator. .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is a need for a remote controlled excavator control unit that can control the excavator without the operator directly boarding the excavator.

한국특허공고 제1994-0003731호에는 원격제어 굴삭기 조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굴삭기 원격조종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에 고정되며 모터축과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 슬롯을 갖는 두개의 원호형 가동부재(101a, 101b)와, 가동부재의 가이드 슬롯상에서 모터의 회전동작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레버(101)를 구비하고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4-0003731 discloses a remote control excavator control device. The conventional excavator remote control device 100, as shown in Figure 2, is fixed to the frame and movable with two arc-shaped movable members (101a, 101b) having a guide slot to rotate in the same way as the motor shaft, The operating lever 101 is operated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on the guide slot of the member.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굴삭기 원격조종장치에 있어서는, 굴삭기의 버킷, 아암, 붐의 움직임이 조이스틱 및 레버의 움직임과 맵핑되지 않기 때문에, 조이스틱 및 레버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숙련도가 요구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굴삭기의 버킷, 아암, 붐의 실제 움직임과 조작을 위한 조작레버의 실제 움직임이 상관성을 갖지 않고 있기 때문에, 능숙하지 않는 작업자에게는 혼동을 가져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excavator remote control device, since the movement of the bucket, the arm and the boom of the excavator is not mapped with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and the lever, there is a problem that considerable skill is required to operate the joystick and the lever. . That is, since the actual movement of the bucket, the arm, the boom of the excavator and the actual movement of the operating lever for the operation does not have a correlation, it may bring confusion to the inexperienced worker and may cause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desired work.

한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1-0074061호에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직관적 조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굴삭기의 직관적 조종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삭기의 버킷, 아암, 붐의 움직임을 실제로 작업자의 손목, 하완, 상완의 움직임과 직관적으로 연관성을 갖도록 조종할 수 있으므로, 굴삭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조종능력을 향상시켜 굴삭기를 자유롭게 조작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능숙한 굴삭 작업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조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74061 discloses an intuitive control devic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s shown in FIG. 3, the intuitive control device of the conventional excavator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ucket, arm and boom of the excavator to have an intuitive relationship with the movement of the wrist, lower arm and upper arm of the excavator. Disclosed is a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implement a fast and accurate skillful excavation work by improving the user interface control ability to freely operate an excavato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조작자의 어깨를 사용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큰 근육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조작자의 피로도가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각각의 조작부가 역학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버킷 링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손목 관절이 같이 회전하게 되어 붐, 아암이 함께 움직이므로 독립적인 구동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since it has a structure using the operator's should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s fatigue is great even if the same work is performed because a large muscle is used.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each operation unit is mechanically coupled, and in order to rotate the bucket link, the wrist joints rotate together, so that the boom and the arm move together, so that independent driving is difficult.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굴삭기로 작업을 수행할 때에 주변에서 받는 힘을 조작자에게 전달하여 조작자가 이러한 힘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 굴삭기에 의한 작업을 원격조종할 때에 보다 정확하고 안전한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since the operator receives the force received from the surroundings when the work is performed by the excavator, and the operator cannot feel such a force, more accurate and safe work is carried out when remotely controlling the work by the excavato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perform.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팔, 손목, 손가락을 굴삭기의 붐 조인트, 아암 조인트, 버킷 조인트와 연동되도록 조종장치를 굴삭기의 링크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하여 초보자라도 굴삭기의 동작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조종장치를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조작자의 피로도를 줄여 편하게 조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similar to the link structure of the excavator so that the manipulator, wrist, fingers of the excavator and the boom joint, arm joint, the bucket joint to interlock By constructing so that even beginners can easily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excavator, and to provide a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that is configured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operator based on the position control and to comfortably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붐 링크, 아암 링크 및 버킷 링크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굴삭기의 조종이 가능한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n excavator that can be manipulated more precisely by configuring the boom link, the arm link and the bucket link to be driven independent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작자의 팔 길이에 따라 붐 링크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n excavator that is easy to use by being configured to variably adjust the length of the boom link according to the arm length of the opera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굴삭작업시 굴삭기에 작용하는 힘을 반향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굴삭 작업시 무리한 외력에 의한 작업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작업 및 장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의 힘반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flect the force acting on the excavator during the excavation work can be prevented by excessive external force during the excavation work to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that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work and equipment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force reflec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굴삭기의 원격조정장치는, 굴삭기의 붐 링크부와 연동되며, 조작자의 팔꿈치를 안착시키고 바닥면과 평행하게 회동가능한 붐 컨트롤부와, 굴삭기의 아암 링크부와 연동되며 상기 붐 컨트롤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붐 컨트롤부에 체결되는 아암 컨트롤부와, 굴삭기의 버킷 링크부와 연동되며 상기 아암 컨트롤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아암 컨트롤부에 체결되는 버킷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with the boom link portion of the excavator, the boom control portion that seats the elbow of the operator and can be rotat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arm link portion of the excavator And an arm control unit coupled to the boom control unit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same plane as the boom control unit and the bucket link unit of the excavator and rotatable on the same plane as the arm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cket control unit is fastened.

여기서, 상기 붐 컨트롤부는, 조작자의 팔꿈치를 안착시킬 수 있는 붐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붐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축에 연결된 붐 구동풀리와, 상기 붐 구동풀리에 연결된 붐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boom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om rotation plate that can seat the elbow of the operator, a boom drive pulley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boom rotation plate, and a boom drive motor connected to the boom drive pulley.

여기서, 상기 붐 컨트롤부는 상기 붐 회전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측에는 복수의 제 1 가변체결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oom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late fastened to the boom rotating plate, and a plurality of first variabl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상기 아암 컨트롤부는, 일끝단은 상기 붐 컨트롤부에 체결되고 타끝단에는 조작자의 손목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아암 플레이트와, 상기 아암 플레이트의 회전축에 연결된 아암 구동풀리와, 상기 아암 구동풀리에 연결된 아암 구동모터와, 상기 아암 플레이트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아암 회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rm control unit, one end is fastened to the boom control unit and the other end arm plate for seating and supporting the operator's wrist, an arm drive pulley connected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arm plate, and an arm drive connected to the arm drive pulley And an arm rotating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arm plate.

여기서, 상기 아암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아암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가변체결홀에 상응하는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arm plate is inserted into the guide plate and fastene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variabl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arm plate.

여기서, 상기 아암 회전플레이트에는 복수의 제 2 가변체결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arm rota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cond variable fastening holes are forme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버킷 컨트롤부는, 조작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파지부 유닛과, 상기 파지부 유닛을 안내하는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에 연결된 버킷 회전축과, 상기 버킷 회전축에 연결된 버킷 구동풀리와, 상기 버킷 구동풀리에 연결된 버킷 구동모터부와, 상기 버킷 회전축에 연결된 체결로드 및 상기 버킷 구동모터부를 지지하며 상기 아암 컨트롤부에 체결되는 버킷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ucket control unit includes a gripping unit unit into which an operator's finger can be inserted, a guide rod for guiding the gripping unit, a bucket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guide rod, a bucket driving pulley connected to the bucket rotating shaft, and the bucket. And a bucket driving motor part connected to a driving pulley, a fastening rod connected to the bucket rotating shaft, and a bucket fastening part supporting the bucket driving motor part and fastened to the arm control unit.

상기 버킷 컨트롤부는 상기 제 2 가변체결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 브라켓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버킷 체결부는 상기 아암 컨트롤부의 회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상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체결 브라켓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ucket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bracket which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second variable fastening hole, and the bucket fastening par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racket so as to be rotatable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arm control part.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의 힘반향 제어방법은, 굴삭기의 버킷의 끝단에 외력이 작용하여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와 버킷 실린더의 입출구측의 압력이 증가하면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와 버킷 실린더에 각각 장착된 압력센서에 의해 증가된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In addition, the force reflection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end of the bucket of the excavator and the pressure on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boom cylinder and the arm cylinder and the bucket cylinder increases, Measuring the increased pressure by a pressure sensor respectively mounted to the bucket cylinder;

상기 각각의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에 의해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와 버킷 실린더에서 각각 미는 힘을 계산하는 단계와, Calculating a pushing force in the boom cylinder, the arm cylinder and the bucket cylinder by the pressure values measured by the respective pressure sensors;

상기 계산된 미는 힘으로부터 붐 조인트 토크와 아암 조인트 토크와 버킷 조인트 토크를 계산하는 단계와, Calculating boom joint torque, arm joint torque and bucket joint torque from the calculated pushing force,

상기 계산된 각각의 조인트 토크값을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Transmitting each calculated joint torque value to a control unit of a remote control device of an excavator;

상기 제어부는, 굴삭기의 붐 링크부와 연동된 붐 컨트롤부의 붐 구동모터의 전류와, 굴삭기의 아암 링크부와 연동된 아암 컨트롤부의 아암 구동모터의 전류와, 굴삭기의 버킷 링크부와 연동된 버킷 컨트롤부의 버킷 구동모터의 전류를 각각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조작자가 굴삭기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urrent of the boom drive motor of the boom control unit interlocked with the boom link unit of the excavator, current of the arm drive motor of the arm control unit interlocked with the arm link unit of the excavator, and a bucket control interlocked with the bucket link unit of the excavator. Including a step of controlling the current of the negative bucket driving mo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or senses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excavator.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에 의하면, 사람의 팔, 손목, 손가락을 굴삭기의 붐 조인트, 아암 조인트, 버킷 조인트와 연동되도록 조종장치를 굴삭기의 링크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하여 초보자라도 굴삭기의 동작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조작자의 팔꿈치, 손목을 조종장치에 안착시키고 붐 컨트롤부, 아암 컨트롤부, 버킷 컨트롤부를 조작이 간편하도록 바닥면에 평행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조작자의 피로도를 줄여 편하게 조종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manipulator is configured to be similar to the link structure of the excavator so that the human arm, wrist, and fingers are interlocked with the boom joint, the arm joint, and the bucket joint of the excavator. By making it easy for beginners to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excavator, the elbows and wrists of the operator can be seated on the control unit, and the boom control unit, arm control unit and bucket control unit can be rotated parallel to the floor for easy operation. It can be operated easily by reducing operator's fatigue based on the position control.

또한, 붐 링크, 아암 링크 및 버킷 링크를 각각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며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굴삭기의 조종이 가능하고, 조작자의 팔 길이에 따라 붐 컨트롤부, 아암 컨트롤부, 버킷 컨트롤부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게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boom link, the arm link and the bucket link to be relatively rotatable and independently drive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xcavator more precisely, and according to the operator's arm length, the boom control unit, arm control unit, bucket It is easy to use by configuring the length of the control part to be adjusted.

또한, 굴삭작업시 굴삭기에 작용하는 힘을 반향시켜 조작자가 굴삭기에 작용하는 외력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굴삭 작업시 무리한 외력에 의한 작업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작업 및 장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operator to feel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excavator by reflecting the force acting on the excavator during the excavation wor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 by the excessive force during the excavation work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work and equipment.

도 1은 굴삭기의 일반적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굴삭기의 조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붐 컨트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버킷 컨트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를 사용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의 힘반향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의 힘반향 제어방법의 개략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example of an excavator.
2 and 3 is a view showing th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view show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boom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a bucket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orce reflection control method of an excavator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rce reflection control method for an excavator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 및 그 힘반향 제어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orce reflection control method thereof.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굴삭기의 원격조정장치(1)는 붐 컨트롤부(10)와, 아암 컨트롤부(20)와, 버킷 컨트롤부(30)를 구비하며, 굴삭기의 링크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4 to 8, the remote control device 1 of the exca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om control unit 10, an arm control unit 20, and a bucket control unit 30,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similar to the link structure.

상기 붐 컨트롤부(10)는 굴삭기의 붐 링크부와 연동되며, 조작자의 팔꿈치를 안착시켜 지지한다. 상기 붐 컨트롤부(1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격조종장치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The boom control unit 10 is interlocked with the boom link unit of the excavator, and is supported by seating the elbow of the operator.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boom control unit 10 is rotatably provided on a plan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installed.

상기 붐 컨트롤부(10)는 프레임(11)과, 붐 회전플레이트(12)와, 붐 구동풀리(13)와, 붐 구동모터(15)와, 가이드 플레이트(16)를 포함한다. The boom control unit 10 includes a frame 11, a boom rotating plate 12, a boom drive pulley 13, a boom drive motor 15, and a guide plate 16.

상기 붐 회전플레이트(12)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1)에 지지되며, 상기 붐 회전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조작자가 팔꿈치를 얹어놓고 조작에 필요한 방향으로 좌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boom rotation plate 1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is supported by the frame 11, and rotates as the operator rotates the left and right in the direction required for operation by placing an elbow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om rotation plate. It is configured to do so.

상기 붐 회전플레이트(12)의 하부에는 붐 구동회전축이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붐 구동회전축의 하부에는 붐 구동풀리(13)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붐 구동풀리는 타이밍벨트 등에 의해 붐 구동모터(15)의 회전축(14)에 연결되어 있다. The boom drive rotary shaft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om rotation plate 12, the boom drive pulley 13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om drive rotary shaft, the boom drive pulley of the boom drive motor 15 by a timing belt or the like I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4.

상기 붐 회전플레이트(12)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6)의 양측면에는 복수 개의 제 1 가변체결홀(17)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후술하는 아암 플레이트를 삽입시킬 수 있고, 상기 제 1 가변체결홀(17)과 아암 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구멍을 위치맞춤한 후에 볼트나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원격조종장치를 사용하는 조작자의 팔길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아암 플레이트를 삽입한 후 원하는 길이에 맞춘 다음, 상기 제 1 가변체결홀과 체결구멍을 위치맞춤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Guide plate 1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om rotating plate 12. A plurality of first variable fastening holes 17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plate 16 at regular intervals. An arm pl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plate, and the first variable fastening hole 17 and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arm plate may be aligned and then fixed by fixing means such as bolts or screws. It is composed. Thus, after the arm plate is inserted into the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arm length of the operator us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the arm plate may be adjusted to a desired length, and then the length may be adjusted by aligning the first variable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hole.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6)의 상기 붐 회전플레이트의 반대쪽 끝단에는 가이드 홈(16b)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16b)이 형성된 부분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바닥면은 내부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16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아암 플레이트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16b)에 아암플레이트 지지부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In addition, a guide groove 16b is formed at an opposite end of the guide plate 16 to the boom rotating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of the portion where the guide groove 16b is formed protrudes inwardly. ) Can be formed. The arm plate inserted into the guide plate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and the arm plat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6b to be moved.

또한, 상기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조작자의 팔꿈치 받침대로서 커버를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ver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and the guide plate as an elbow rest of the operator.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붐 컨트롤부는, 조작자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팔꿈치를 얹어놓고 평면상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동축으로 연결된 붐 구동회전축이 회전구동되어, 상기 붐 구동풀리를 통해 붐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하게 된다. 붐 구동모터의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붐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한 전류값이 측정되어 상기 원격조종장치의 제어부를 통해 굴삭기의 조종장치에 전송되어 굴삭기의 붐 링크부를 구동시키게 된다.
When the operator puts the elbows on the rotating plate and rotates the plane, the boom control uni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rotates the rotating plate accordingly, and the boom driving rotating shaft coaxi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is driven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of the boom drive motor is rotated through the boom drive pulle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of the boom drive motor current value by the rotation of the boom drive motor is measur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through the control uni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drive the boom link of the excavator.

한편, 상기 붐 컨트롤부에는 아암 컨트롤부(20)가 연결된다. 상기 아암 컨트롤부(20)는 굴삭기의 아암 링크부와 연동되며 상기 붐 컨트롤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rm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the boom control unit. The arm control unit 20 is interlocked with the arm link unit of the excavator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same plane as the boom control unit.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아암 컨트롤부(20)는, 아암 플레이트(21)와, 아암 구동풀리(22)와, 아암 구동모터(23)와, 아암 회전플레이트(24)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4, the arm control unit 20 includes an arm plate 21, an arm drive pulley 22, an arm drive motor 23, and an arm rotation plate 24.

상기 아암 플레이트(21)의 일끝단은 상기 붐 컨트롤부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타끝단은 조작자의 손목을 안착시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One end of the arm plate 21 is fastened to the guide plate of the boom control unit,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seat and support the wrist of the operator.

조작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상기 아암 플레이트(21)의 타끝단의 하부에는 회전축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에는 아암 구동풀리(2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아암 구동풀리(22)는 타이밍벨트 등에 의해 아암 구동모터(23)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다. The low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arm plate 21 for supporting the operator's wrist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the arm drive pulley 22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The arm drive pulley 22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arm drive motor 23 by a timing belt or the like.

또한, 상기 아암 플레이트(21)의 하부에는 아암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아암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아암 지지플레이트(21a)가 지지브라켓(21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자의 팔길이에 따라 상기 아암 플레이트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할 때에,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아암 구동모터와 상기 아암 플레이트가 함께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n arm support plate 21a connected to the arm drive motor and supporting the arm drive motor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rm plate 21 by a support bracket 21b. As described above, w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rm plate is inserted into the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arm length of the operator, the support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the arm drive motor and the arm plate can be guided and moved together. It is configured to be.

상기 아암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가변체결홀에 상응하는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variabl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arm plate.

또한, 상기 아암 플레이트와 상기 아암 구동풀리 사이에는 아암 회전플레이트(24)가 설치된다. 상기 아암 회전플레이트(24)는 상기 아암 플레이트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목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아암 플레이트와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In addition, an arm rotating plate 24 is provided between the arm plate and the arm drive pulley. The arm rotation plate 2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arm plate, as shown in Figure 8,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same plane as the arm plate as the user rotates the wrist.

상기 아암 회전플레이트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 2 가변체결홀(25)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가변체결홀에는 후술하는 버킷 컨트롤부의 체결 브라켓이 체결되며, 조작자의 손목의 길이에 따라 상기 체결 브라켓의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On the other side of the arm rotating plate, a plurality of second variable fastening holes 25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fastening bracket of the bucket control unit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to the second variable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fastening bracke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rist of the operator.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아암 컨트롤부는, 조작자가 상기 아암 플레이트에 손목을 얹어놓고 평면상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아암 회전플레이트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아암 회전플레이트에 동축으로 연결된 아암 구동회전축이 회전구동되어, 상기 아암 구동풀리를 통해 아암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하게 된다. 아암 구동모터의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아암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한 전류값이 측정되어 상기 원격조종장치의 제어부를 통해 굴삭기의 조종장치에 전송되어 굴삭기의 아암 링크부를 구동시키게 된다.
The arm control uni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or puts the wrist on the arm plate and rotates in a plane, the arm rotation plate is rotated accordingly, the arm drive rotation shaft coaxially connected to the arm rotation plate is driven to rotate The rotation axis of the arm drive motor is rotated through the arm drive pulley. As the rotation axis of the arm drive motor is rotated, a current value due to the rotation of the arm drive motor is measur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through a control uni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drive the arm link part of the excavator.

상기 아암 회전플레이트에는 버킷 컨트롤부(30)가 연결된다. 상기 버킷 컨트롤부(30)는 굴삭기의 버킷 링크부와 연동되며 상기 아암 컨트롤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Bucket control unit 30 is connected to the arm rotating plate. The bucket control unit 30 is interlocked with the bucket link unit of the excavator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same plane as the arm control unit.

상기 버킷 컨트롤부(3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 유닛(31)과, 가이드로드(32)와, 버킷 회전축(33)과, 버킷 구동풀리(34)와, 버킷 체결부(36)와, 버킷 구동모터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6 and FIG. 7, the bucket control unit 30 includes a grip unit 31, a guide rod 32, a bucket rotation shaft 33, a bucket drive pulley 34, and a bucket. The fastening part 36 and the bucket drive motor part 37 are comprised.

상기 파지부 유닛(31)은 상기 가이드로드(32)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 유닛(31)의 하부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의 손가락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단부가 개구되어 대략 n자 형상으로 형성된 파지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자가 상기 파지부에 손가락을 끼워넣으면 조작자의 손가락의 길이에 따라, 상기 파지부 유닛(31)은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The gripping portion unit 31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guide rod 32 is inserted,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gripping portion unit 31 allows the operator's finger to be inserted as shown in FIG. 8. The holding part 31a which is opened and formed in substantially n-shape is formed. When the operator inserts a finger into the holding part, the holding part unit 31 slides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ro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operator's finger.

상기 가이드로드(32)의 일끝단은 유닛 체결브라켓(32a)에 체결되며, 상기 유닛 체결브라켓은 상기 버킷 회전축(33)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One end of the guide rod 32 is fastened to the unit fastening bracket 32a, and the unit fastening bracke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bucket rotation shaft 33.

상기 버킷 회전축(33)은 체결로드(35)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버킷 회전축(33)에는 버킷 구동풀리(34)가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버킷 구동풀리(34)는 타이밍벨트 등에 의해 버킷 구동모터부(37)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다. The bucket rotating shaft 33 is supported by the fastening rod 35, the bucket driving pulley 34 is coaxially connected to the bucket rotating shaft 33, and the bucket driving pulley 34 is bucketed by a timing belt or the like. I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motor unit 37.

상기 버킷 구동모터부(37)의 내부에는 버킷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버킷 구동모터부(37)의 케이스의 외부면에는 조작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38)가 마련되어 있다. A bucket drive motor is built in the bucket drive motor part 37, and a handle part 38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bucket drive motor part 37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grip it.

상기 버킷 구동모터부(37)는 버킷 체결부(36)에 체결된다. 상기 버킷 체결부의 상부측에는 연결브라켓(36a)을 통해 상기 체결로드가 지지되며, 상기 버킷 체결부(36)는 체결 브라켓(39)를 통해 상기 아암 회전플레이트(24)에 세워 설치된다. 상기 버킷 체결부(36)의 하부에는, 예를 들면 힌지구멍이 형성되어 힌지핀 등에 의해 상기 체결 브라켓(39)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체결 브라켓(39)은 상기 아암 회전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The bucket driving motor part 37 is fastened to the bucket fastening part 36. The fastening rod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bracket 36a on the upper side of the bucket fastening portion, and the bucket fastening portion 36 is installed on the arm rotation plate 24 through the fastening bracket 39. A hinge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ucket fastening portion 36 to be rotatably fastened to the fastening bracket 39 by a hinge pin or the like, and the fastening bracket 39 is pivotable to the arm rotating plate. Is fastened.

이로써, 상기 버킷 컨트롤부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축 및 Y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2자유도를 갖는 구조로 구성되어 조작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고 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us, the bucket control unit, as shown in Figure 6, is configured in a structure having two degrees of freedom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X-axis and Y-axis is configured to allow the operator to hold the handle and operate comfortably.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버킷 컨트롤부는, 조작자가 상기 파지부에 손가락을 끼워넣고 평면상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파지부 유닛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파지부 유닛의 회전에 따라 버킷 회전축이 회전구동되어, 상기 버킷 구동풀리를 통해 버킷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하게 된다. 버킷 구동모터의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버킷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한 전류값이 측정되어 상기 원격조종장치의 제어부를 통해 굴삭기의 조종장치에 전송되어 굴삭기의 버킷 링크부를 구동시키게 된다.
The bucket control uni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or inserts a finger into the holding portion and rotates in a plane, the holding unit rotates accordingly, and the bucket rotating shaf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lding unit. The rotating shaft of the bucket driving motor is rotated through the bucket driving pulle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bucket drive motor current value by the rotation of the bucket drive motor is measur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through the control uni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drive the bucket link portion of the excavator.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는 굴삭기와 원격조종장치간에 양방향 통신을 하며, 조작자의 원격조종장치의 조작에 의한 굴삭기의 굴삭작업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굴삭기의 주변환경에 관한 정보를 조작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excavator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not only to perform the excavator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operator, but also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excavator Can be controlled by the operator to grasp.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는 굴삭기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힘반향 제어를 한다.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orce reflection by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excavator.

이하, 도 9a 내지 도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의 힘반향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9a to 10 will be described a force reflection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b의 이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굴삭기의 버킷의 끝단에 외력이 작용하면, 작용된 외력을 초과하여 굴삭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와 버킷 실린더의 입출구측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각각의 실린더의 압력이 증가하면,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와 버킷 실린더에 각각 장착된 압력센서에 의해 증가된 압력을 측정한다. As shown by the double arrows in FIG. 9B,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bucket of the excavator, the pressure at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boom cylinder, the arm cylinder, and the bucket cylinder is increased to perform the excavation work exceeding the applied external force. . As the pressure in each cylinder increases, the increased pressure is measured by pressure sensors mounted on the boom cylinder, the arm cylinder and the bucket cylinder respectively.

그런 다음, 상기 각각의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에 의해, 도 9b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와 버킷 실린더에서 각각 미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계산한다. Then, by the pressure value measured at each of the pressure sensors, as shown by the arrow of Fig. 9b, the push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boom cylinder, the arm cylinder and the bucket cylinder, respectively, and calculated.

그런 다음, 상기 계산된 미는 힘과 각각의 실린더가 갖는 경사각(θ1, θ2, θ3)으로부터 붐 조인트 토크와 아암 조인트 토크와 버킷 조인트 토크(T1, T2, T3)를 계산한다. 그런 다음, 상기 계산된 각각의 조인트 토크값을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의 제어부에 전송한다. Then, the boom joint torque, the arm joint torque and the bucket joint torque T1, T2, T3 are calculated from the calculated pushing force and the inclination angles θ1, θ2, θ3 of each cylinder. Then, the calculated joint torqu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상기 조인트 토크값을 전송받은 상기 제어부는, 굴삭기의 붐 링크부와 연동된 붐 컨트롤부의 붐 구동모터의 전류와, 굴삭기의 아암 링크부와 연동된 아암 컨트롤부의 아암 구동모터의 전류와, 굴삭기의 버킷 링크부와 연동된 버킷 컨트롤부의 버킷 구동모터의 전류를 각각 제어하여, 제어된 전류값에 따라 조작자가 상기 붐 컨트롤부, 아암 컨트롤부, 버킷 컨트롤부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 회전을 방해하여 조작자가 굴삭기에 작용하는 외력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한다. The control unit receiving the joint torque value includes the current of the boom drive motor of the boom control unit interlocked with the boom link unit of the excavator, the current of the arm drive motor of the arm control unit interlocked with the arm link unit of the excavator, and the bucket of the excavator. By controlling the current of the bucket drive motor of the bucket control unit linked with the link unit, the operator interrupts the rotation when the operator wants to rotate the boom control unit, the arm control unit, and the bucke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led current value. Configure to feel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이에 따라, 굴삭 작업시 무리한 외력에 의한 작업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작업 및 장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 by the excessive external force during the excavation work can be improved the stability of the work and equipment.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nd it is obvious that i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
10 : 붐 컨트롤부 12 : 붐 회전플레이트
15 : 붐 구동모터 16 : 가이드 플레이트
20 : 아암 컨트롤부 21 : 아암 플레이트
23 : 아암 구동모터 24 : 아암 회전플레이트
30 : 버킷 컨트롤부 31 : 파지부 유닛
32 : 가이드 로드 36 : 버킷 체결부
37 : 버킷 구동모터부 39 : 체결 브라켓
1: Remote control device of excavator
10: boom control unit 12: boom rotation plate
15: boom drive motor 16: guide plate
20: arm control unit 21: arm plate
23: arm drive motor 24: arm rotation plate
30: bucket control unit 31: gripping unit
32: guide rod 36: bucket fastening portion
37 bucket drive motor part 39 fastening bracket

Claims (8)

굴삭기의 붐 링크부와 연동되며, 조작자의 팔꿈치를 안착시키고 바닥면과 평행하게 회동가능한 붐 컨트롤부와,
굴삭기의 아암 링크부와 연동되며 상기 붐 컨트롤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붐 컨트롤부에 체결되는 아암 컨트롤부와,
굴삭기의 버킷 링크부와 연동되며 상기 아암 컨트롤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아암 컨트롤부에 체결되는 버킷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원격조정장치.
Interlocked with the boom link part of the excavator, the boom control part which seats the elbow of the operator and can rotate in parallel with the floor;
An arm control part interlocked with the arm link part of the excavator and fastened to the boom control part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same plane as the boom control part;
And a bucket control part interlocked with the bucket link part of the excavator and fastened to the arm control part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same plane as the arm control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 컨트롤부는,
조작자의 팔꿈치를 안착시킬 수 있는 붐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붐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축에 연결된 붐 구동풀리와,
상기 붐 구동풀리에 연결된 붐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원격조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om control unit,
The boom rotation plate which can seat an elbow of the operator,
A boom driving pulle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boom rotating plate;
And a boom drive motor connected to the boom drive pulle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컨트롤부는,
일끝단은 상기 붐 컨트롤부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타끝단에는 조작자의 손목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아암 플레이트와,
상기 아암 플레이트의 회전축에 연결된 아암 구동풀리와, 상기 아암 구동풀리에 연결된 아암 구동모터와,
상기 아암 플레이트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아암 회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원격조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rm control unit,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boom control unit and fastened, and the other end has an arm plate for seating and supporting the operator's wrist;
An arm drive pulley connected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arm plate, an arm drive motor connected to the arm drive pulley,
And an arm rotating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arm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컨트롤부는,
조작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파지부 유닛과,
상기 파지부 유닛을 안내하는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에 연결된 버킷 회전축과, 상기 버킷 회전축에 연결된 버킷 구동풀리와,
상기 버킷 구동풀리에 연결된 버킷 구동모터부와,
상기 버킷 회전축에 연결된 체결로드 및 상기 버킷 구동모터부를 지지하며 상기 아암 컨트롤부에 체결되는 버킷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원격조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cket control unit,
A gripper unit into which an operator's finger can be inserted,
A guide rod for guiding the holding unit;
A bucket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guide rod, a bucket driving pulley connected to the bucket rotating shaft,
A bucket driving motor unit connected to the bucket driving pulley;
Bucket fastening part connected to the bucket rotating shaft and the bucket driving motor part and fastened to the arm control part.
Excavator remot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붐 컨트롤부는 상기 붐 회전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측에는 복수의 제 1 가변체결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원격조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oom control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plate fastened to the boom rotating plate,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is a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first variabl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회전플레이트에는 복수의 제 2 가변체결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원격조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rm rotating plate is a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variabl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컨트롤부는 상기 제 2 가변체결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 브라켓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버킷 체결부는 상기 아암 컨트롤부의 회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상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체결 브라켓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원격조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bucket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bracket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cond variable fastening hole and fastened, wherein the bucket fastening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rm control unit Excavator remot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astened to the bracket.
굴삭기의 버킷의 끝단에 외력이 작용하여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와 버킷 실린더의 입출구측의 압력이 증가하면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와 버킷 실린더에 각각 장착된 압력센서에 의해 증가된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에 의해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와 버킷 실린더에서 각각 미는 힘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미는 힘으로부터 붐 조인트 토크와 아암 조인트 토크와 버킷 조인트 토크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각각의 조인트 토크값을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는, 굴삭기의 붐 링크부와 연동된 붐 컨트롤부의 붐 구동모터의 전류와, 굴삭기의 아암 링크부와 연동된 아암 컨트롤부의 아암 구동모터의 전류와, 굴삭기의 버킷 링크부와 연동된 버킷 컨트롤부의 버킷 구동모터의 전류를 각각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조작자가 굴삭기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원격조종장치의 힘반향 제어방법.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bucket of the excavator and the pressure on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boom cylinder, the arm cylinder and the bucket cylinder increases, measuring the increased pressure by pressure sensors mounted on the boom cylinder, the arm cylinder and the bucket cylinder, respectively; ,
Calculating a pushing force in the boom cylinder, the arm cylinder and the bucket cylinder by the pressure values measured by the respective pressure sensors;
Calculating boom joint torque, arm joint torque and bucket joint torque from the calculated pushing force,
Transmitting each calculated joint torque value to a control unit of a remote control device of an excavator;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urrent of the boom drive motor of the boom control unit interlocked with the boom link unit of the excavator, current of the arm drive motor of the arm control unit interlocked with the arm link unit of the excavator, and a bucket control interlocked with the bucket link unit of the excavator. Controlling the force refl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or can sense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excavator includ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current of the negative bucket drive motor.




KR1020110114336A 2011-11-04 2011-11-04 Teleoperating device for excabator and force feedback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3698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336A KR101369839B1 (en) 2011-11-04 2011-11-04 Teleoperating device for excabator and force feedback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336A KR101369839B1 (en) 2011-11-04 2011-11-04 Teleoperating device for excabator and force feedback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356A true KR20130049356A (en) 2013-05-14
KR101369839B1 KR101369839B1 (en) 2014-03-06

Family

ID=4866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336A KR101369839B1 (en) 2011-11-04 2011-11-04 Teleoperating device for excabator and force feedback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83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5217A (en) * 2017-05-17 2017-09-15 广西玉柴重工有限公司 A kind of revolution detecting system of hydraulic crawler excavator
KR20180001931A (en) * 2016-06-28 2018-01-05 이청헌 Joint control of the the construction machine
KR20200085022A (en) * 2019-01-04 2020-07-1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Controller, Controll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CN115748854A (en) * 2022-11-21 2023-03-07 徐州铸烁工程检测技术有限公司 Electromechanical control device based on automatic buck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600A (en) 2019-02-27 2020-09-04 구양규 Excavator remote control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9761A (en) 1989-02-21 1991-05-28 Kraft Brett W Force feedback control for backhoe
JPH11181815A (en) * 1997-12-19 1999-07-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Working machine
KR101066867B1 (en) * 2009-01-21 2011-09-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Excavator Control Unit Using 3D.O.F Parallel-type Haptic Device with vibration motor for force feedback
KR101154777B1 (en) * 2009-12-24 2012-06-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Intuitive control device for excava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931A (en) * 2016-06-28 2018-01-05 이청헌 Joint control of the the construction machine
CN107165217A (en) * 2017-05-17 2017-09-15 广西玉柴重工有限公司 A kind of revolution detecting system of hydraulic crawler excavator
KR20200085022A (en) * 2019-01-04 2020-07-1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Controller, Controll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CN115748854A (en) * 2022-11-21 2023-03-07 徐州铸烁工程检测技术有限公司 Electromechanical control device based on automatic bucket
CN115748854B (en) * 2022-11-21 2023-09-19 徐州铸烁工程检测技术有限公司 Electromechanical control device based on automatic bu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839B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839B1 (en) Teleoperating device for excabator and force feedback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240085B1 (en) A handling device of excavator
JP4469239B2 (en) Operation equipment for work machines
KR101369840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excabator
JPH09268602A (en) Controller for excavator
KR20190082202A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n operating area of a lift arm
WO2007144629A3 (en) Control system for earth moving and working apparatus
US5062755A (en) Articulated arm control
JP2003184132A (en) Operation lever equipment for construction machinery
EP3704314B1 (en) Excavator man-lift
KR102294109B1 (en) Multi-joint driven console box for construction equipment
JPH1169545A (en) Manipulator equipment and its guidance and control method
JPH02101511A (en) Intuitive control lever control mechanism
US5497568A (en) Integrated group of excavator control assemblies
JP2009121097A (en) Hydraulic system of working machine
KR20120131386A (en) excavator
US20210331307A1 (en) Controller, adjustment device, and adjustment system
JP3312098B2 (en) Backhoe remote control
JP3657894B2 (en) Manual operation of hydraulic excavator
JP3207771B2 (en) Hydraulic working machine
KR101154777B1 (en) Intuitive control device for excavator
KR102199598B1 (en) Joint control of the the construction machine
JP2006262771A (en) Implement linked with traveling machine
JP6479587B2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work machines
JP6573320B2 (en) Operation device in construction machin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