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019A -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019A
KR20130049019A KR1020110114021A KR20110114021A KR20130049019A KR 20130049019 A KR20130049019 A KR 20130049019A KR 1020110114021 A KR1020110114021 A KR 1020110114021A KR 20110114021 A KR20110114021 A KR 20110114021A KR 20130049019 A KR20130049019 A KR 20130049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yringe
switching device
passage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388B1 (ko
Inventor
오성임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오성임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임, 김종훈 filed Critical 오성임
Priority to KR1020110114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3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782Devices aiding filling of syringes in sit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using additional parts, e.g. clamping rings or collets
    • A61M5/345Adaptors positioned between needle hub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4Filling or re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2039/229Stopc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iquophilic, hydrophil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사기를 이용한 약물흡입 및 약물투여시 필터니들과 투여용니들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약물의 흡입 및 투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체의 전방에 장착부가 형성되고 관체의 내부에 피스톤이 구비되는 주사기본체와, 니들핀과 니들허브로 구성되어 주사기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니들로 구성되는 주사기의 관체와 니들핀 사이에 전환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전환장치는, 상기 관체와 니들핀을 연통되게 하며 원형단면을 갖는 상부 개방형태의 수용부가 형성되는 고정체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체의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방향으로 투여용통로가 관통 형성되고 투여용통로에 엇갈리게 투여용통로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흡입용통로가 관통 형성되는 전환부와, 전환부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외부측에서 회전 가능토록 형성되는 회전용손잡이부로 구성되는 회전체를 마련하며, 상기 회전체의 흡입용통로 내에 고정 구비되는 필터를 마련하여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Switching apparatus of syringe without change of needle}
본 발명은 주사기의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사기의 필터니들과 투여용니들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약물의 흡입 및 투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를 사용하여 유리앰플이나 바이알용기의 약물을 흡입하여 인체에 투여시 하나의 니들을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을 채택하게 되면 주사기 내로 약물 흡입시 유리앰플의 유리파편 또는 바이알용기의 고무파편과 같은 이물질이 주사기 내로 흡입되어 니들을 통해 그대로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 등이 투여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주사기(110)를 이용하여 유리앰플이나 바이알용기의 약물을 흡입시에는 내부에 필터(121)가 구비된 필터니들(120)을 사용하고, 필터니들(120)을 통해 약물의 유입이 완료되면 필터니들(120)을 분리한 후 투여용니들(130)을 사용하여 인체에 투여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방식을 채택하게 되면 인체에 약물을 투여하게 되는 사용자(특히 의사, 간호사 등)가 두가지의 니들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교체에 대한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필터니들(120)과 투여용니들(130)을 모두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도 발생되며, 이러한 경제적인 부담은 다시 환자들에게 돌아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사기를 이용한 약물흡입 및 약물투여시 필터니들과 투여용니들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약물의 흡입 및 투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체의 전방에 장착부가 형성되고 관체의 내부에 피스톤이 구비되는 주사기본체와, 니들핀과 니들허브로 구성되어 주사기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니들로 구성되는 주사기의 관체와 니들핀 사이에 전환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전환장치는, 상기 관체와 니들핀을 연통되게 하며 원형단면을 갖는 상부 개방형태의 수용부가 형성되는 고정체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체의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방향으로 투여용통로가 관통 형성되고 투여용통로에 엇갈리게 투여용통로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흡입용통로가 관통 형성되는 전환부와, 전환부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외부측에서 회전 가능토록 형성되는 회전용손잡이부로 구성되는 회전체를 마련하며, 상기 회전체의 흡입용통로 내에 고정 구비되는 필터를 마련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는 주사기본체와 니들 사이, 주사기본체 또는 니들의 니들허브에 장착하여 간단한 전환작동으로 약물의 흡입 및 투여를 할 수 있는 필터가 부착된 전환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필터니들 및 투여용니들을 교체하는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그에 따르는 비용절감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니들의 교체 없이 간단한 작동으로 환자에게 정제된 약물을 투여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니들 교체에 따른 환자의 감염방지와 의료인의 업무능률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용상태를 알 수 있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의 분해 및 결합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환장치의 약물 흡입시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환장치의 약물 투여시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환장치의 회전체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상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 상부의 표시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는 주사기본체(10)의 관체(11)와 니들(20)의 니들핀(21) 사이에 니들(20)의 교체가 필요 없이 하나의 니들(20)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환장치(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사기본체(10)는 관체(11)의 전방에 장착부(16)가 형성되고, 관체(11)의 내부에 로드(13)에 연결된 피스톤(12)이 구비되는 통상의 것이다.
상기 니들(20)은 니들핀(21)과 니들허브(27)로 구성되는 통상의 것이나, 약물의 흡입 및 투여 기능을 모두 수행하여야 하므로 그 기능에 맞는 내경 및 길이를 갖는 것을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주사기본체(10)의 관체(11)와 니들(20)의 니들핀(21) 사이에 구비되는 전환장치(30)는 그 일예로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일방향으로 위치되는 주사기본체(10)와 니들(20)을 연결시켜주는 고정체(30b)와, 고정체(30b)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체(30a)와, 회전체(30a) 내에 구비되는 필터(4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체(30b)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삽입부(37), 끼움부(36) 및 수용부(38)로 구성되는데, 삽입부(37)는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주사기본체(10)의 관체(11) 장착부(16)에 결합되고, 끼움부(36)는 삽입부(37)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니들허브(27)에 결합되며, 수용부(38)는 상기 삽입부(37)와 끼움부(36) 사이에 구비되어 삽입부(37)와 끼움부(36)를 연통되게 하는 상부 개방형태로 구성되게 하여 주사기본체(10)와 니들(20) 사이에 분리 구성시킨다.
이때 수용부(38)는 내부를 원형단면의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후술되어 수용부(38)에 삽입되는 회전체(30a)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체(30b)의 수용부(38)에는 회전체(30a)가 삽입 구비된다.
상기 회전체(30a)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전환부(32)와 회전용손잡이(31)로 구성되는데, 전환부(32)는 외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고정체(30b)의 수용부(38)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전환부(32) 상의 일방향으로 투여용통로(34)를 관통 형성하고, 투여용통로(34)에 엇갈리게 투여용통로(34)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흡입용통로(33)를 관통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환부(32) 상에 형성되는 투여용통로(34) 및 흡입용통로(33)는 각각의 유입측 및 배출측이 모두 전환부(32) 상의 수평선상에 위치 형성되도록 하여 기능 전환을 위한 전환부(32)의 회전시 유리하도록 한다.
또한 이때 투여용통로(34)와 흡입용통로(33)가 엇갈리게 형성되는데, 특히 상호 직교되게 형성되게 하는 것이 작동상 유리하고, 투여용통로(34)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게 하고 흡입용통로(33)는 특히 도 3에서와 같이 투여용통로(34)의 하부측으로 지나가도록 하여 중앙측에 수거공간(39)을 형성함으로써 주사기본체(10) 내로 약물 흡입시 주사기본체(10) 측으로 이동되는 유리앰플의 유리파편 또는 바이알용기의 고무파편 등의 이물질이 후술되는 필터(40)에 의해 걸러진 후 떨어지는 일부가 흡입용통로(33)의 중앙측 수거공간(39)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환부(32)의 상부에는 외부측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용손잡이(31)를 형성한다. 회전용손잡이(31)는 측면상 각지게 형성하여 도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기 유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손으로 회전시키기 유리하도록 측면상에 돌부나 홈부를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회전용손잡이(31)의 상부면에는 도 8에서와 같이 투여용통로(34) 및 흡입용통로(33)가 제위치에 설 수 있도록 표시부(6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도 투여용통로(34) 및 흡입용통로(33)가 제위치에 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톱퍼 등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고, 내부에 볼 등을 구비하여 걸림 고정되는 구성으로도 구현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고정체(30b)와 회전체(30a)는 주사기에 연결 구성되어 1회용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회전체(30a)의 전환부(32) 측면에 걸림돌부(71)를 형성하고, 고정체(30b)의 수용부(38) 내면에 홈부(73)를 형성하여 고정체(30b) 내에 회전체(30a)를 삽입시키면 홈부(73)에 걸림돌부(71)가 걸림됨으로써 1회용으로 사용 후 되돌아가지 않도록 구성함으로 전환장치(30)의 재사용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체(30a)의 흡입용통로(33) 내에는 필터(40)를 마련하여 고정시킨다.
필터(40)는 유리앰플이나 바이알용기 등의 약물을 주사기본체(10) 내로 흡입시 유리앰플의 유리파편 또는 바이알용기의 고무파편 등의 이물질이 주사기본체(1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회전체(30a) 내의 흡입용통로(33) 내에서 걸러주기 위해 구비된다.
특히 필터(40)는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흡입용통로(33) 내의 주사기본체(10) 설치측에 고정시켜 이물질이 필터(40)에 의해 걸러지면서 그 이물질이 흡입용통로(33) 내의 중앙측 수거공간(39)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도시되었으나 흡입용통로(33) 내의 중간부에 고정시켜 사용하여도 이물질이 중앙측 수거공간(39)에 충분히 머무를 수 있기 때문에 무방하다.
이때 필터(40)는 흡입용통로(33) 내에 고주파용접을 통해 고정접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넓은 접합면적을 확보하여 확고한 고정을 하기 위해 단턱을 형성하여 그 면상에 고정접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앰플의 유리파편 또는 바이알용기의 고무파편 등의 이물질은 그 크기의 직경이 통상 10~800㎛ 정도인데, 이 직경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필터(40)의 메쉬간격은 3~5㎛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의 작동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주사기본체(10)와 니들(20) 사이에 전환장치(30)를 위치시켜 주사기본체(10)와 니들(20)이 연통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도 7의 (a)에서와 같이 전환장치(30)의 전환부(32)에 형성된 흡입용통로(33)가 주사기본체(10)와 니들(20)의 설치방향과 일치되게 정렬시킨 후 유리앰플이나 바이알용기 내의 약물을 주사기본체(10) 내로 흡입하여 유입시킨다.
상기 약물흡입 과정에서 유리앰플이나 바이알용기에서 발생되어 주사기본체(10) 측으로 이동되는 이물질은 필터(40)에 의해 걸러져 흡입용통로(33)의 중앙측 수거공간(39)에 머무르게 된다.
주사기본체(10) 내로 약물흡입이 완료되면 도 7의 (b)에서와 같이 회전체(30a)의 회전용손잡이(31)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전환부(32)에 형성된 투여용통로(34)가 주사기본체(10)와 니들(20)의 설치방향과 일치되게 정렬시킨 후 주사기본체(10) 내의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면 된다.
그러므로 환자에게 필터(40)에 의해 정제되어 이물질 없는 약물을 투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환자의 감염방지와 의료인의 업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체(30b)를 주사기본체(10)의 장착부(16) 상에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고정체(30b)를 니들허브(27) 상에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10 : 주사기본체 11 : 관체
12 : 피스톤 13 : 로드
16 : 장착부 20 : 니들
21 : 니들핀 27 : 니들허브
30 : 전환장치 30a : 회전체
30b : 고정체 32 : 전환부
33 : 흡입용통로 34 : 투여용통로
36 : 끼움부 37 : 삽입부
39 : 수거공간 40 : 필터
61 : 표시부

Claims (8)

  1. 관체(11)의 전방에 장착부(16)가 형성되고 관체(11)의 내부에 피스톤(12)이 구비되는 주사기본체(10)와, 니들핀(21)과 니들허브(27)로 구성되어 주사기본체(10)의 전방에 구비되는 니들(20)로 구성되는 주사기의 관체(11)와 니들핀(21) 사이에 전환장치(30)를 구성하되,
    상기 전환장치(30)는;
    상기 관체(11)와 니들핀(21)을 연통되게 하며, 원형단면을 갖는 상부 개방형태의 수용부(38)가 형성되는 고정체(30b)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체(30b)의 수용부(38)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방향으로 투여용통로(34)가 관통 형성되고 투여용통로(34)에 엇갈리게 투여용통로(34)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흡입용통로(33)가 관통 형성되는 전환부(32)와, 전환부(32)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외부측에서 회전 가능토록 형성되는 회전용손잡이부(31)로 구성되는 회전체(30a)를 마련하며,
    상기 회전체(30a)의 흡입용통로(33) 내에 고정 구비되는 필터(40)를 마련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30b)는;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주사기본체(10)의 장착부(16)에 결합되는 삽입부(37)와,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니들허브(27)에 결합되는 끼움부(36)와, 삽입부(37)와 끼움부(36) 사이에 구비되어 삽입부(37)와 끼움부(36)를 연통되게 하는 수용부(38)로 이루어져 주사기본체(10)와 니들(20) 사이에 분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30b)는;
    상기 주사기본체(10)의 장착부(16) 상에 일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30b)는;
    상기 니들허브(27) 상에 일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용통로(34) 및 흡입용통로(33)는 각각의 유입측 및 배출측이 모두 전환부(32) 상의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지되, 흡입용통로(33)의 중심측은 투여용통로(33)의 하부측을 지나도록 형성되게 하여 중심측에 수거공간(39)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40)의 메쉬간격은 3~5㎛ 임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용손잡이(31)의 상부면에 투여용통로(34) 및 흡입용통로(33)가 제위치에 설 수 있도록 표시부(6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0a)의 전환부(32) 측면에 걸림돌부(71)를 형성하고, 고정체(30b)의 수용부(38) 내면에 홈부(73)를 형성하여 고정체(30b) 내에 회전체(30a)를 삽입시키면 홈부(73)에 걸림돌부(71)가 걸림됨으로써 1회용으로 사용 후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KR1020110114021A 2011-11-03 2011-11-03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KR101293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021A KR101293388B1 (ko) 2011-11-03 2011-11-03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021A KR101293388B1 (ko) 2011-11-03 2011-11-03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019A true KR20130049019A (ko) 2013-05-13
KR101293388B1 KR101293388B1 (ko) 2013-08-05

Family

ID=4865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021A KR101293388B1 (ko) 2011-11-03 2011-11-03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3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1921A (zh) * 2013-12-20 2015-06-24 象牙弗隆泰克株式会社 注射器
CN110559548A (zh) * 2019-08-28 2019-12-13 温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温州医科大学附属育英儿童医院 一种自控导尿管
KR20200101060A (ko) * 2019-02-19 2020-08-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사기용 필터유닛
WO2023194505A1 (en) * 2022-04-08 2023-10-12 Unomedical A/S An infusion set and associate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17B1 (ko) * 2014-11-21 2015-06-25 유영선 필터가 구비된 주사기
KR101560150B1 (ko) * 2015-05-29 2015-10-14 육영수 회전절개 제거식 흡입관이 구비된 필터니들 및 필터주사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7917A (en) * 1977-05-12 1979-02-06 Cohen Milton J Syringe filter unit
US4820276A (en) * 1988-02-08 1989-04-11 Enrique Moreno Filter assembly for use with a hypodermic syringe
GB2369996B (en) * 2000-12-18 2004-06-23 S T D Pharmaceutical Produc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injectable foa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1921A (zh) * 2013-12-20 2015-06-24 象牙弗隆泰克株式会社 注射器
KR20200101060A (ko) * 2019-02-19 2020-08-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사기용 필터유닛
CN110559548A (zh) * 2019-08-28 2019-12-13 温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温州医科大学附属育英儿童医院 一种自控导尿管
CN110559548B (zh) * 2019-08-28 2021-09-28 温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温州医科大学附属育英儿童医院 一种自控导尿管
WO2023194505A1 (en) * 2022-04-08 2023-10-12 Unomedical A/S An infusion set and associ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388B1 (ko) 201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388B1 (ko)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KR101293334B1 (ko)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KR101245378B1 (ko) 필터 니들
CN106237444B (zh) 过滤针
CN105228676B (zh) 包括具有内联干燥药物组件的小瓶转接器的医疗装置
KR101222881B1 (ko) 필터 니들
KR101287239B1 (ko) 피스톤 행정에 의한 흡·배출 유도 타입의 빌로우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필터 주사기
KR101713835B1 (ko) 필터 니들
CA2775979C (en) Tubing set having an insert for the infusion of drugs
CN205672298U (zh) 医用针收容器及医疗器械
KR101670796B1 (ko) 일체형 주사기
CN104984448B (zh) 一种干粉吸入器
KR20160029497A (ko) 의료용 약물주입 여과기
KR101301932B1 (ko) 밸브가 구비된 필터주사기
CN205849935U (zh) 粉雾剂给药装置的破囊机构
CN104984449B (zh) 一种可翻转打开的胶囊干粉吸入装置
WO2016080748A1 (ko) 필터가 구비된 주사기
KR20120139105A (ko) 수액주사용 의료기구
CN209137591U (zh) 一种麻醉科用微量定量输注泵
CN108325029A (zh) 一种旋转式防微粒注射器
CN211434518U (zh) 一种精密过滤装置
CN216439634U (zh) 一种胃镜室护理用配药器
CN215022515U (zh) 一种重症监护病人喂药装置
KR101485399B1 (ko) 피스톤 행정에 의한 위치 가변형 필터링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필터 주사기
CN219721530U (zh) 一种新型防滴漏穿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