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882A -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8882A KR20130048882A KR1020110113776A KR20110113776A KR20130048882A KR 20130048882 A KR20130048882 A KR 20130048882A KR 1020110113776 A KR1020110113776 A KR 1020110113776A KR 20110113776 A KR20110113776 A KR 20110113776A KR 20130048882 A KR20130048882 A KR 201300488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device
- input
- computer
- terminal
- video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키보드 장치에 휴대용 기기, 컴퓨터 및 모니터 장치를 서로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용 기기가 컴퓨터에 인터페이스 되거나 또는 모니터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자키(110), 기능키(120), 및 모드전환 스위치(130)를 구비하는 입력수단(100); 휴대용 기기(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데이터 입출력단자(200); 컴퓨터(20)의 입출력장치 또는 데이터 입출력단자(20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모니터(30)로 출력하는 비디오신호 입출력단자(300); 및 입력수단(100)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따라 컴퓨터 동작모드 또는 휴대용 기기 동작모드로 전환됨으로써 휴대용 기기(10)가 컴퓨터(20) 또는 모니터(30)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하는 전환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보드 장치에 휴대용 기기, 컴퓨터 및 모니터 장치를 서로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용 기기가 컴퓨터에 인터페이스 되거나 또는 모니터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키보드는 단순히 컴퓨터 구동 및 문서작성을 위해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입력하는 입력장치로서 사용돼 왔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 폰 및 PDA의 발달로 인해 개인이 휴대하기 편한 휴대용 단말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각 개인이 가정 또는 회사에서 대부분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컴퓨터로 휴대용 단말기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일예로서 컴퓨터의 USB 단자와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충전단자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 맞는 통신 케이블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통신 케이블의 분실시에는 컴퓨터와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종래의 키보드 장치, 컴퓨터 및 모니터와 인터페이스 시킴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와 컴퓨터가 키보드 장치 및 모니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키(110), 기능키(120), 및 모드전환 스위치(130)를 구비하는 입력수단(100); 휴대용 기기(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데이터 입출력단자(200); 컴퓨터(20)의 입출력장치 또는 데이터 입출력단자(20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모니터(30)로 출력하는 비디오신호 입출력단자(300); 및 입력수단(100)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따라 컴퓨터 동작모드 또는 휴대용 기기 동작모드로 전환됨으로써 휴대용 기기(10)가 컴퓨터(20) 또는 모니터(30)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하는 전환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기기(10)가 데이터 입출력단자(200)와 접속된 경우 휴대용 기기(10)를 충전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수단(100)은, 마우스, 트랙패드, 및 터치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동작모드의 경우에는, 컴퓨터(20)가 입력수단(100)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따라 휴대용 기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되는 휴대용 기기(10)의 동작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설정환경 변경, 재부팅, 및 전원 온/오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동작모드의 경우에 전환수단(500)은,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용 기기 동작모드의 경우에는, 휴대용 기기(10)는 입력수단(100) 또는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입력장치의 입력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되는 휴대용 기기(10)의 동작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설정환경 변경, 재부팅, 및 전원 온/오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용 기기 동작모드의 경우에 전환수단(500)은, 휴대용 기기(1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장치와 접속되는 외부장치 접속단자(8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환수단(500)은,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휴대용 기기(10) 또는 컴퓨터(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와 컴퓨터가 키보드 장치 및 모니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키보드 장치에 휴대폰 충전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키보드 장치에 입력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가 휴대용 단말기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동작모드에서의 명령 실행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동작모드에서의 명령 실행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키보드(40)에 외부기기와 인터페이스 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용 기기(10) 또는 컴퓨터(20)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종래의 키보드(40) 장치에 같이 구현되거나 또는 인터페이스 장치만을 따로 분리하여 제작한 후 키보드(40)와 USB 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의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장치가 종래의 키보드(40) 장치상에 같이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키보드(40)장치는 유선방식으로서 USB 방식 또는 무선방식으로서 블루투스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어느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키보드(40) 상에 구현되는 인터페이스 장치는 휴대용 기기(10), 컴퓨터(20), 및 모니터(30)와 서로 인터페이스 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대략 입력수단(100), 데이터 입출력단자(200), 비디오신호 입출력단자(300), 변환젠더(400), 전환수단(500), 컴퓨터 접속단자(700), 및 외부장치 접속단자(800)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해 그 기능 및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100)은 종래의 키보드 장치상에 구현되어 있는 복수의 문자키(110) 및 기능키(120)(일예로 F1,F2,...F12)를 포함하며,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모드전환 스위치(130)도 포함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장치 접속단자(800)로 접속되는 USB 타입의 마우스 장치, 트랙패드, 또는 키보드(40) 상에 구현된 터치패드도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문자키(110) 및 기능키(120)는 종래의 키보드가 수행하는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모드전환 스위치(130)는 일예로서 ON/OFF 스위치일 수 있으며, 스위치의 ON/OFF에 따라 컴퓨터 동작모드 또는 휴대용 기기 동작모드로 전환하도록 신호를 후술하는 전환수단(500)에 보낼 수 있다. 모드전환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전환수단(500)은 기계적 또는 전자적으로 회로를 절체하여 일예로서 컴퓨터의 비디오신호를 모니터로 보내거나 또는 휴대용 기기의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로 보내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모드전환 스위치(130)는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컴퓨터 상에 구현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모드를 전환할 수도 있다. 즉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컴퓨터상에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실행된 프로그램은 모드 전환을 안내하는 설정 창을 모니터(30)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원하는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전환을 앞으로는 가상 모드전환 스위치로 설명하기로 한다.
모드 전환을 위해서는 설정된 모드로 의 전환을 위해 후술하는 전환수단(500)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전환수단(500)이 회로를 개폐하여 전환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기기(10)의 어플을 이용하여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출력단자(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20)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구비된 단자이다. 휴대용 기기(20)는 휴대폰 또는 스마트 폰 등의 전화가 가능한 핸드폰을 일컫으며 앞으로 휴대폰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 편의를 위해 예시를 들어 설명하는 것일뿐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휴대 가능한 전자/전기 기기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입출력단자(200)는 휴대폰 등의 전원충전 또는 컴퓨터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 구비된 단자(이하에서는 휴대폰 충전단자로 한다)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데이터 입출력단자(200)를 통해 컴퓨터(2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휴대폰의 비디오 신호가 모니터(30)로 출력될 수 있다. 종래의 휴대폰은 그 제조사에 따라 다양한 휴대폰 충전단자 핀이 존재하므로 데이터 입출력단자(200)는 이에 상응하는 단자를 복수로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입출력단자(300)는 컴퓨터에 장착된 그래픽카드 장치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술한 데이터 입출력단자(200)로부터 휴대폰의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받은 비디오 신호는 동작모드에 따라 컴퓨터(2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휴대폰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비디오신호 입출력단자(300)는 일예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또는 RGB 방식에 따른 단자로 제작되어 비디오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 인 단자(signal in terminal)(310)는 컴퓨터의 그래픽 장치(23)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데이터 입출력단자(300)의 신호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전환수단(500)은 휴대용 기기 동작모드 또는 컴퓨터 동작모드에 따라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회로를 스위칭하여 컴퓨터의 비디오 신호를 선택하거나 휴대용 기기의 비디오 신호를 선택한다.
한편, 비디오 신호 아웃 단자(signal out terminal)(320)는 모니터(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의 전송타입에 따라 HDMI, DVI, 또는 RGB 방식에 따른 단자로 전기적 접속된다. 전환수단(500)의 회로 절체에 따라 비디오 신호 아웃 단자(320)는 컴퓨터 또는 휴대용 기기의 비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모니터(30)에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환젠더(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6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휴대폰 충전단자에 맞는 단자로 변환하는 변환젠더이다. 일반적인 전원단자(600)는 접속단자가 3.5Φ 또는 이보다 직경이 크거나 작은 타입으로서 휴대폰 충전단자와는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전원단자(6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휴대폰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변환젠더가 사용된다. 이때 전원단자(600)는 가정용 220볼트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만, 전원단자(600)가 데이터 입출력단자(200)와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변환젠더(400)는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환젠더(400)의 사용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환수단(500)은 ON/OFF 모드전환 스위치 또는 가상 모드전환 스위치에 의해 모드전환이 변경되면 휴대용 기기(10)가 컴퓨터(20) 또는 모니터(30)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한다. 모드전환 스위치에 따라 만약 컴퓨터 작동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전환수단(500)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회로를 절체하여 컴퓨터(2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모니터(30)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한편, 컴퓨터 작동모드에서는 컴퓨터(20)가 휴대용 기기(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키보드(40) 및 마우스를 포함한 입력장치의 입력에 따라 컴퓨터에 설치된 제어 프로그램이 동작되어 휴대용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설치된 하이퍼터미널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상용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다. 휴대용 기기(10)의 제어는 일예로서 휴대폰에 설치된 어플(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휴대폰의 설정환경 변경, 휴대폰 재부팅, 또는 휴대폰 전원 온/오프일 수 있다.
휴대폰을 제어하기 위한 일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수단(100)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은 컴퓨터의 USB 입출력 장치(21)를 통해 컴퓨터 접속단자(700)에 입력된다. 컴퓨터 접속단자(700)는 이를 다시 데이터 입출력단자(200)를 거쳐 휴대용 기기(10)에 최종적으로 제어명령을 전달한다. 이때 만약 컴퓨터 동작모드가 아니고 휴대용 기기 동작모드인 경우에는 휴대용 기기 동작모드에서 컴퓨터 동작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메세지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전환수단(500)이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회로를 절체하여 휴대용 기기와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컴퓨터 접속단자(700)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를 입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접속단자(700)는 일예로서 컴퓨터에 기 설치된 USB 입출력 장치(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컴퓨터의 USB 단자와 컴퓨터 접속단자(7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컴퓨터 접속단자(700)는 휴대용 기기의 데이터 입출력단자(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10)에서 컴퓨터(20) 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컴퓨터(20) 측에서 휴대용 기기(1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용 기기 작동모드에서는 전환수단(500)의 기계적 또는 전기적 회로 절체에 따라 휴대폰의 비디오 신호가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또한, 컴퓨터(20)와 휴대용 기기(10)의 전기적 연결은 차단되어 컴퓨터(20)가 휴대용 기기(10)를 더 이상 제어할 수 없다.
또한, 휴대용 기기 작동모드에서는 입력수단(100) 중 일예로서 키보드 장치와 마우스 또는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기계식 또는 가상 키패드(스마트 폰의 경우)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휴대용 기기 작동모드에서도 키보드 및 마우스 장치에 의해서 휴대폰에 설치된 어플(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휴대폰의 설정환경 변경, 휴대폰 재부팅, 또는 휴대폰 전원 온/오프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장치 접속단자(800)는 USB 마우스(810) 또는 USB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로 접속되는 트랙패드의 경우에는 외부장치 접속단자(800)가 USB 방식이 아닌 블루투스 방식과 호환되는 통신모듈의 단자일 수 있다.
만약 외부장치 접속단자(800)에 USB 메모리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는 전환수단(500)의 절체에 의한 동작모드에 따라 휴대용 기기(10) 또는 컴퓨터(20)로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반대로 USB 메모리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휴대용 기기
20 : 컴퓨터
21 : USB 입출력 장치
23 : 그래픽 장치
30 : 모니터
40 : 키보드
100 : 입력수단
110 : 문자키
120 : 기능키
130 : 모드전환 스위치
200 : 데이터 입출력단자
300 : 비디오신호 입출력단자
310 : 인 단자
320 : 아웃 단자
400 : 변환젠더
500 : 전환수단
600 : 전원단자
700 : 컴퓨터 접속단자
800 : 외부장치 접속단자
810 : 마우스
820 : 메모리
20 : 컴퓨터
21 : USB 입출력 장치
23 : 그래픽 장치
30 : 모니터
40 : 키보드
100 : 입력수단
110 : 문자키
120 : 기능키
130 : 모드전환 스위치
200 : 데이터 입출력단자
300 : 비디오신호 입출력단자
310 : 인 단자
320 : 아웃 단자
400 : 변환젠더
500 : 전환수단
600 : 전원단자
700 : 컴퓨터 접속단자
800 : 외부장치 접속단자
810 : 마우스
820 : 메모리
Claims (11)
- 문자키(110), 기능키(120), 및 모드전환 스위치(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입력수단(100);
휴대용 기기(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데이터 입출력단자(200);
상기 컴퓨터(20)의 입출력장치 또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20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모니터(30)로 출력하는 비디오신호 입출력단자(300); 및
상기 입력수단(100)의 입력에 따라 컴퓨터 동작모드 또는 휴대용 기기 동작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휴대용 기기(10)가 상기 컴퓨터(20) 또는 상기 모니터(30)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하는 전환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10)가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200)와 접속된 경우 상기 휴대용 기기(10)를 충전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100)은,
마우스, 트랙패드, 및 터치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동작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컴퓨터(20)가 상기 입력수단(100)의 입력에 따라 상기 휴대용 기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제어되는 상기 휴대용 기기(10)의 동작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설정환경 변경, 재부팅, 및 전원 온/오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동작모드의 경우에 상기 전환수단(500)은,
상기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상기 모니터(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 동작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기기(10)는 상기 입력수단(100) 또는 상기 휴대용 기기(10)에 구비된 입력장치의 입력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제어되는 상기 휴대용 기기(10)의 동작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설정환경 변경, 재부팅, 및 전원 온/오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 동작모드의 경우에 상기 전환수단(500)은,
상기 휴대용 기기(1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상기 모니터(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장치와 접속되는 외부장치 접속단자(8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500)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기기(10) 또는 상기 컴퓨터(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3776A KR20130048882A (ko) | 2011-11-03 | 2011-11-03 |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3776A KR20130048882A (ko) | 2011-11-03 | 2011-11-03 |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8882A true KR20130048882A (ko) | 2013-05-13 |
Family
ID=4865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3776A KR20130048882A (ko) | 2011-11-03 | 2011-11-03 |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48882A (ko) |
-
2011
- 2011-11-03 KR KR1020110113776A patent/KR20130048882A/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194981A1 (en) | Mobile phone dock for tv | |
KR101226303B1 (ko) | 무선 멀티태스킹 키보드 및 그 구동방법 | |
US911068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 |
JP2018185750A (ja) | 電子機器および方法 | |
CN104785922A (zh) | 实现双重式控制的激光切割机系统和方法 | |
CN101945151A (zh) | 一种触摸屏手机和键盘输入的方法 | |
KR20130048882A (ko) | 휴대용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 |
US20140347279A1 (en) | Keyboard device with switchable connection path and its switching method | |
US20150077346A1 (en) | Electronic system having multiple input keyboard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 |
CN209911963U (zh) | 多计算机切换器 | |
CN212966155U (zh) | 一种接口复用的显示屏系统 | |
CN108881980A (zh) | 一种智能移动设备 | |
KR101446204B1 (ko) | 전자교탁의 통합 제어장치 | |
CN114025227A (zh) |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 |
KR20140055327A (ko) | 터치 방식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모니터와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 |
CN103577135A (zh) | 电脑控制系统 | |
KR100605930B1 (ko)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입력장치 및 방법 | |
CN201780552U (zh) | 可触摸键盘 | |
KR200244167Y1 (ko) | 다용도 키패드 | |
KR20120071295A (ko) |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 | |
KR101113248B1 (ko) |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 | |
KR20120115024A (ko) | 멀티태스킹 키보드 및 그 구동방법 | |
CN112584207B (zh) | 一种视频信号的处理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 |
CN105335312B (zh) | 多计算机装置的连接接口切换装置 | |
KR20130088281A (ko) |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