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148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148A
KR20130047148A KR1020110111986A KR20110111986A KR20130047148A KR 20130047148 A KR20130047148 A KR 20130047148A KR 1020110111986 A KR1020110111986 A KR 1020110111986A KR 20110111986 A KR20110111986 A KR 20110111986A KR 20130047148 A KR20130047148 A KR 20130047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rame
content
imag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79721B1 (en
Inventor
여두환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721B1/en
Publication of KR20130047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1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7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a digital device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display augmented reality content even offline, to minimize the quantity of data required for making augmented reality, and to displa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various ways. CONSTITUTION: A control unit controls a touch screen to display an image photographed and generated by a photographing unit(S210). If a QR code exists in the image photographed in step S210, the control unit extracts the QR code from the photographed image(S230). The meta-information in the QR code includes 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frame information and the content information by parsing the meta-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QR code in step S230(S240).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frame based on the frame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S240, overlaps the frame on the image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displays the overlapped image on the touch screen(S250). The control unit generates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S240, adds the content in the frame, and provides the content frame as a virtual object in augmented reality(S260).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210) Photograph/display an image; (S220) QR code exists in the photographed image?; (S230) Extract the QR cod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S240) Parse meta-information recorded in the extracted QR code to obtain 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S250) Generate a frame based on the obtained frame information to be overlapped and displayed on an image photographed; (S260) Generate content based on the obtained content information to be added in the frame

Description

증강현실에서 컨텐츠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Method for provid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and electronic device applying the sam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강현실에서 유용한 정보를 컨텐츠로 생성하여 가상 객체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eful as a content in an augmented reality as a virtual object and an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증강현실이란 현실공간에 가상객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 현실공간에 있는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에 가상객체를 표출하는 절차로 수행된다. 표출되는 가상객체는 원격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Augmented reality is a technique of superimposing a virtual object in the real space, and is performed by a process of recognizing a marker in the real space and expressing the virtual object on the recognized marker. Exposed virtual objects are stored on a remote server.

따라서,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단말기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원격의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서버로부터 가상객체를 수신받아야만 한다.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a terminal providing augmented reality must access a remote server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and receive a virtual object from the connected server.

이와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증강현실 구현은, 가상객체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네트워크의 이용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장소에서는 증강현실 구현이 불가능하거나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Such a network-based implementation of augmented reality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iversity of virtual objects,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or difficult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in places where the network is unavailable or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프라인에서도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that can provide augmented reality even offlin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라인을 통해 증강현실을 제공한다 하더라도, 증강현실 구현을 위해 전달하여야 하는 데이터의 용량을 최소화하고 표출 방식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inimizing the capacity of data to be delivered for augmented reality and providing a variety of expression methods, even if augmented reality is provided through onli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코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정보를 기초로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frame providing method includes: displaying a captured image; Extracting code information from the captured image; Acquiring 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using the code information; Generating a frame based on the frame information and superimpos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captured image; And generating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adding the content to the frame.

그리고, 프레임 정보와 컨텐츠 정보는, 상기 코드 정보에 수록될 수 있다.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code information.

또한, 상기 프레임은, 기저장된 오브젝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may be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pre-stored objects and images.

그리고, 상기 컨텐츠는, 기저장된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The content may be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pre-stored text and images.

또한,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프레임의 종류에 대한 정보, 상기 프레임의 크기에 대한 정보, 상기 프레임의 색상에 대한 정보, 상기 프레임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프레임의 회전각에 대한 정보, 상기 프레임의 시각적 효과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he frame,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frame, information about the color of the fram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frame,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 angle of the frame, and the fram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visual effect of.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크기는, 상기 코드 정보의 크기에 대한 상대적 크기일 수 있다.The size of the frame may be a relative size to the size of the code information.

또한, 상기 프레임의 위치는, 상기 코드 정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일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frame may be a relative positio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ode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이고,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텍스트의 내용에 대한 정보, 상기 텍스트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텍스트의 폰트에 대한 정보, 상기 텍스트의 크기에 대한 정보, 상기 텍스트의 색상에 대한 정보, 상기 텍스트의 정렬에 대한 정보, 상기 텍스트의 시각적 효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텍스트의 스크롤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may be text, and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of the text,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of the text, information about a font of the text,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text, and color of the text.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alignment of the text, information about the visual effect of the text and information about the scroll of the tex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텍스트의 위치는,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text may be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frame.

그리고, 상기 컨텐츠는, 이미지이고, 상기 컨텐츠 정보는, 이미지 파일명, 이미지 파일 포맷, 이미지 파일, 이미지가 위치하는 URL, 이미지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이미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may be an image, and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mage file name, an image file format, an image file, a URL at which the image is located,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image, and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image. have.

또한, 상기 이미지의 위치는,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이고, 상기 이미지의 크기는, 상기 프레임의 크기에 대한 상대적 크기일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image may be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frame, and the size of the image may be a relative size with respect to the size of the frame.

그리고, 상기 획득단계는, 상기 코드 정보를 참고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프레임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quiring step may include: accessing a server by referring to the code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frame information and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상기 코드 정보는,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 있다.The code information may be a Quick Response (QR) cod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프레임 정보를 기초로 프레임을 생성하며,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프레임에 컨텐츠를 생성하고, 컨텐츠가 부가된 프레임을 상기 촬영된 영상에 중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display that displays a photographed image; And acquiring 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using cod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aptured image, generating a frame based on the frame information, generating content in the frame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adding content. And a controller which superimposes the captured frame on the captured imag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방법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코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Extracting code information from the captured image; Acquir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the code information; And generating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superimpos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captured imag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없는 오프라인에서도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장소적 제약을 허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even in the offline where the content can not be downloaded, thereby to break down the local restrictions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특히, 오브젝트와 텍스트로 단순화된 가상객체에 대한 정보를 메타정보에 포함시켜 QR 코드에 수록가능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접속 없이도 빠른 속도로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information about the virtual object simplified by the object and text can be included in the QR code and included in the QR code, augmented reality can be provided at a high speed even without a network connection.

또한, QR 코드를 마커로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마커를 추출/지정하기 위한 프로세스 생략이 가능해져, 어플리케이션이 간단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QR code can be used as a marker, a process for extracting / designating a marker can be omitted, thereby simplifying an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이 컨텐츠 프레임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에서 가상객체로 제공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도 2의 S210단계 수행 결과로 터치 스크린에 촬영된 영상이 표시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S250단계를 통해 프레임 정보를 기초로 프레임을 생성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S260단계를 통해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컨텐츠를 프레임 내에 부가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중국어 안내문을 투명 프레임에 제공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일본어 안내문을 투명 프레임에 제공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투명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품 사용 안내문을 제공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입체적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프레임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컨텐츠 프레임 제공 시스템이 컨텐츠 프레임을 증강현실에서 가상객체로 제공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generating a content frame and providing the content frame to a virtual object in augmented reality by the smartphone shown in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on a touch screen 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 S210 of FIG. 2;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generating a frame based on frame information through step S250 of FIG. 2;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adding content, generated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to a frame through step S260 of FIG. 2;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providing Chinese guidance text to a transparent frame; FIG.
7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providing a Japanese language notice in a transparent frame;
8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providing a product usage guide using a transparent frame;
9 illustrates a frame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10 is a diagram showing a content fram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process of providing a content frame to the virtual object in the augmented reality by the content frame providing system shown in FIG. 10.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QR(Quick Response) 코드에 수록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프레임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에서 가상객체로 제공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frame is generated by using meta information contained in a Quick Response (QR) code, and the generated content frame is provided to the virtual object in Augmented Reality.

여기서, 컨텐츠 프레임이란 컨텐츠가 나타난 프레임으로, 후술하겠지만, 프레임의 형식과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제한은 없다. 프레임과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가능한 서버로부터 온라인으로 수신할 수도 있지만, 서버 없이 오프라인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Here, the content frame is a frame in which the content is shown, and will be described later, but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format of the frame and the content of the content. Frames and content may be received online from a server accessible via a network, but may be generated offline without a ser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촬영부(120), 제어부(130), 터치 스크린(140) 및 저장부(150)를 구비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mart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photographing unit 120, the control unit 130, the touch screen 140 and the storage unit 150 It is provided.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촬영부(120)는 촬영을 통해 영상을 생성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a base st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The photographing unit 120 generates an image through photographing.

터치 스크린(140)은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후술할 제어부(130)에 의한 처리 결과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로 기능하는 한편, 터치 방식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달하는 사용자 입력수단으로도 기능한다.The touch screen 140 functions as a display that display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and a processing result by the controller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receives a user command through a touch method to the controller 130. It also functions as a user input means for delivery.

저장부(150)는 스마트폰(1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매체이다. 특히, 저장부(150)에는 프레임으로 이용할 다양한 오브젝트들이 저장되어 있다.The storage unit 150 is a storage medium in which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operating the smartphone 100 are stored.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50 stores various objects to be used as frames.

제어부(130)는 스마트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촬영부(120)가 생성한 영상에 나타난 QR 코드에 수록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프레임을 촬영부(120)가 생성한 영상에 부가하여 터치 스크린(140)에 표시한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phone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content frame using the meta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QR code shown in the image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and adds the generated content frame to the image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I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40.

이하에서, 컨텐츠 프레임을 증강현실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100)이 컨텐츠 프레임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에서 가상객체로 제공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providing a content frame to augmented realit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FIG. 2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in which the smartphone 100 illustrated in FIG. 1 generates a content frame and provides the content frame to the virtual object in augmented realit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130)는 촬영부(120)에서 촬영을 통해 생성되는 영상이 터치 스크린(1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210). S210단계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QR 코드가 존재하면(S220-Y), 제어부(130)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QR 코드를 추출한다(S230).As shown in FIG. 2, first,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image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40 (S210). If a QR code exists in the image photographed at step S210 (S220-Y), the controller 130 extracts the QR code from the captured image (S230).

QR 코드에 수록된 메타 정보에는 프레임 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130)는 S230단계에서 추출된 QR 코드의 메타 정보를 파싱하여, 프레임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획득한다(S240).The meta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QR code includes 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The controller 130 parses the meta information of the QR code extracted in step S230 to obtain 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S240).

이하에서, 프레임과 컨텐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rame and the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프레임1) frame

'프레임'은 컨텐츠가 나타나는 틀을 의미하며, 프레임 정보에는 프레임 종류 정보, 프레임 색상 정보, 프레임 위치 정보, 프레임 크기 정보, 프레임 회전각 정보 및 프레임 시각적 효과 정보 등이 포함된다.The 'frame' refers to a frame in which the content appears, and the frame information includes frame type information, frame color information, frame position information, frame size information, frame rotation angle information, and frame visual effect information.

프레임 종류는, 사각형, 원,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등과 같이 각기 다른 형상/모양의 오브젝트를 지정한다.The frame type specifies objects of different shapes / shapes, such as rectangles, circles, rectangles with rounded corners, and the like.

프레임 색상은 유색은 물론 무색(투명)도 가능하다. 무색의 프레임은 사용자의 눈으로 볼 수 없으므로, 무색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에는 컨텐츠만이 보이게 된다.The frame color can be colored as well as colorless (transparent). Since the colorless frame cannot be seen by the user's eyes, when the colorless frame is generated, only the content is visible to the user's eyes.

프레임 위치는, QR 코드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의 중심이 QR 코드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프레임 위치가 지정되거나, 프레임의 상단&좌측 모서리가 QR 코드의 상단&좌측 모서리와 일치하도록 프레임 위치가 지정될 수 있다.The frame position may be designated as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QR code. For example, the frame position may be specified such that the center of the frame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QR code, or the frame position may be specified such that the top & left edge of the frame coincides with the top & left edge of the QR code.

프레임 크기는, QR 코드의 크기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가로 길이가 QR 코드 가로 길이의 2배이고 프레임 세로 길이가 QR 코드 세로 길이의 2배로 지정되거나, 프레임 대각선 길이가 QR 코드 대각선 길이의 1.5배로 지정될 수 있다.The frame size may be specified as a relative size to the size of the QR code. For example, the frame width may be twice the length of the QR code and the frame length may be specified as twice the length of the QR code, or the frame diagonal may be specified as 1.5 times the length of the QR code.

프레임 회전각은, QR 코드의 특정 점을 기준으로 한 회전각이다. 예를 들어, 프레임이 QR 코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30°회전하도록 프레임 회전각이 지정되거나, 프레임이 QR 코드의 상단&좌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45°회전하도록 프레임 회전각이 지정될 수 있다.The frame rotation angle is a rotation angle based on a specific point of the QR code. For example, the frame rotation angle may be specified such that the frame rotates 30 ° about the center of the QR code, or the frame rotation angle may be specified so that the frame rotates 45 ° about the top & left edges of the QR code.

프레임 시각적 효과는 프레임의 질감, 입체감 등과 같이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말한다.
The frame visual effect refers to a visual effect such as a texture of a frame and a three-dimensional effect.

2) 2) 컨텐츠contents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텍스트로 상정한다. 이 경우, 컨텐츠 정보(텍스트 정보)에는, 텍스트 내용 정보, 텍스트 위치 정보, 텍스트 폰트 정보, 텍스트 크기 정보, 텍스트 색상 정보, 텍스트 문단 정보, 텍스트 시각적 효과 정보, 텍스트 스크롤 정보 등이 포함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ent is assumed to be text. In this case, the content information (text information) includes text content information, text position information, text font information, text size information, text color information, text paragraph information, text visual effect information, text scroll information, and the like.

텍스트 내용은 텍스트를 구성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의 의미를 가지는 조합을 말한다.The text content refers to a combination having meanings such as letters, numbers, and symbols constituting the text.

텍스트 위치는, 프레임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는 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1포인트 아래, 좌단으로부터 1포인트 우측부터 시작되도록 텍스트 위치가 지정될 수 있다.The text position may be designated as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frame. For example, the text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text starts one point from the top of the frame and one point from the left.

텍스트 정렬은, 좌측 정렬, 중앙 정렬 등과 같이 프레임 내에서 텍스트를 어떻게 정렬할 것인지를 나타낸다.Text alignment refers to how text is aligned within a frame such as left justification, center alignment, and the like.

텍스트 시각적 효과는, 진하게, 이탤릭, 밑줄, 점멸 등과 같이 텍스트에 대한 시각적인 표현을 말한다.Text visual effects are visual representations of text, such as bold, italics, underlines, and flashing.

텍스트 스크롤은, 프레임에 텍스트 내용을 모두 배열할 수 없는 경우, 스크롤을 이용할 것인지를 나타낸다.Text scrolling indicates whether scrolling should be used if the text content cannot all be arranged in a frame.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gai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제어부(130)는, S240단계에서 획득된 프레임 정보를 기초로 프레임을 생성하여, 촬영부(120)에서 생성되는 영상에 중첩시켜 터치 스크린(140)에 표시한다(S250).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frame based on the frame information obtained in operation S240, and superimposes the image on the touch screen 140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S250).

이후, 제어부(130)는 S240단계에서 획득된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를 프레임 내에 부가하여, 컨텐츠 프레임을 증강현실의 가상객체로 제공한다(S260).Thereafter,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the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S240, adds the generated content to the frame, and provides the content frame as a virtual object of the augmented reality (S260).

도 3에는, 도 2의 S210단계 수행 결과로 촬영된 영상이 터치 스크린(140)에 표시된 결과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촬영된 영상에는 QR 코드(210)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QR 코드(210)에는 프레임 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메타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In FIG. 3, an image photographed 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 S210 of FIG. 2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40. As shown in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QR code 210 exists in the captured image. As described above, the QR code 210 includes meta information including 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도 4에는, 도 2의 S250단계를 통해 프레임 정보를 기초로 프레임을 생성한 결과를 도시하였다. S250단계에서의 프레임 생성은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오브젝트를 그래픽 툴로 가공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프레임 정보의 데이터 용량은 크지 않다.4 illustrates a result of generating a frame based on the frame information through step S250 of FIG. 2. The frame generation in operation S250 is performed by processing an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150 with a graphic tool. Therefore, the data capacity of the frame information is not large.

도 5에는, 도 2의 S260단계를 통해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컨텐츠(230)를 프레임(220) 내에 부가한 결과를 도시하였다. S260단계에서 프레임에 부가되는 컨텐츠는 텍스트이므로 컨텐츠 정보의 데이터 용량은 크지 않다.FIG. 5 illustrates a result of adding the content 230 generated in the frame 220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through step S260 of FIG. 2. Since the content added to the frame in step S260 is text, the data capacity of the content information is not large.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안내 표지판에 실제로 인쇄되었던 한국어 안내문 "계단 조심"(도 3 참조)에 대한 중국어 안내문이 나타난 컨텐츠 프레임이 증강현실의 가상객체로 제공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frame in which the Chinese guide for the Korean guide "step stairs" (see FIG. 3), which was actually printed on the guide sign, was provided as a virtual object of augmented reality.

한편, 프레임 색상은 무색(투명)으로도 가능하며, 이 경우 터치 스크린(140) 상에서 사용자는 컨텐츠만을 볼 수 있다고 전술한 바 있다. 도 6에는 투명 프레임을 이용하여, 중국어 안내문을 제공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the frame color may be colorless (transparent), and in this case, the user may view only the content on the touch screen 140. 6 shows a result of providing a Chinese guidance text using a transparent frame.

한편, 텍스트 내용 정보에는 다수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0)은 이들 중 하나를 프레임 내에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내용이, 영어 안내문, 중국어 안내문, 일본어 안내문을 포함하는 경우, 스마트폰(100)의 제어부(130)는 언어 설정에 따라 하나의 안내문을 프레임에 부가할 수 있다.Meanwhile, the text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ents, and the smartphone 100 may add one of them in a frame. For example, when the text content includes an English guide, a Chinese guide, and a Japanese guide, the controller 130 of the smartphone 100 may add one guide to the frame according to the language setting.

즉, 스마트폰(100)의 사용 언어가 중국어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국어 안내문을 투명 프레임 내에 부가하지만, 스마트폰(100)의 사용 언어가 일본어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어 안내문을 투명 프레임 내에 부가하도록 구현가능하다.That is, when the language of use of the smartphone 100 is set to Chinese, the controller 130 adds a Chinese guide letter in the transparent frame as shown in FIG. 6, but when the language of use of the smartphone 100 is set to Japanese, the controller 130 130 may be implemented to add Japanese announcements into the transparent frame as shown in FIG.

도 8에는 투명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품 사용 안내문을 제공한 경우를 도시하였고, 도 9에는 입체적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예시하였다.8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product usage guide is provided using a transparent frame, and FIG. 9 illustrates a frame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도 2에서 컨텐츠는 텍스트인 것으로 상정하였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를 이미지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 2, 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 is text. As shown in FIG. 9, the content may be implemented as an image.

이때, 이미지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것으로 구현가능한데, 이 경우 컨텐츠 정보(이미지 정보)에는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명, 이미지 파일 포맷(예: png, gif, jpg, bmp 등), 이미지 위치 정보, 이미지 크기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may be embodied as being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In this case, the conte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may include an image file name and an image file format (for example, png, gif, jpg, bmp,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 Image location information, image size information, and the like.

이 경우에도, 이미지 위치는 프레임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로 지정되고, 이미지의 크기는 프레임의 크기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지정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image position may be designated as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image may be designated as a relative size with respect to the size of the frame.

한편, 이미지 파일을 컨텐츠 정보(이미지 정보)에 수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미지 파일의 용량은 QR 코드의 메타 정보에 수록 가능한 용량 이하로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record an image file in conte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apacity of the image file should be limited to less than the available capacity contained in the meta information of the QR code.

다른 한편으로, 이미지는 컨텐츠 서버(미도시)에 저장된 것으로 구현가능한데, 이 경우 컨텐츠 정보(이미지 정보)에는 이미지가 위치하는 컨텐츠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이미지 위치 정보, 이미지 크기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로 이미지 대신 동영상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may be implemented by being stored in a content server (not shown). In this case, the conte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includes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image location information, image size information, etc., of the content server where the image is located.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video instead of an image as the content.

또한, 도 2에서 프레임은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오브젝트를 가공하여 생성하는 것으로 상정하였는데, 프레임 역시 이미지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프레임으로 이용할 이미지는, 컨텐츠로 이용할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저장부(150)에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 정보에 수록된 이미지, 컨텐츠 서버(미도시)에 저장된 이미지 등으로 구현가능하다.In addition, in FIG. 2, it is assumed that the frame is generated by processing an object stored in the storage 150, and the frame may also be implemented as an image. In this case, the image to be used as a frame may be implemented as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n image recorded in frame information, an image stored in a content server (not shown), and the like, as the image to be used as content.

이하에서, 컨텐츠 프레임을 증강현실에서 가상객체로 제공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providing a content frame as a virtual object in augmented realit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프레임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프레임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폰(100), AR(Augmented Reality) 서버(400) 및 컨텐츠 서버(500)가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fram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content frame providing system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smartphone 100, the AR (Augmented Reality) server 400, and the content server 5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도 10에 도시된 컨텐츠 프레임 제공 시스템에서, 프레임 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메타 정보는 QR 코드에 수록되어 있지 않고, AR 서버(400)에 보유되어 있다. 대신, QR 코드에는 AR 서버(400)의 URL과 코드-ID가 수록되어 있다.In the content frame providing system illustrated in FIG. 10, the meta information including the frame information and the content information is not stored in the QR code but is held in the AR server 400. Instead, the QR code contains the URL and code-ID of the AR server 400.

이하에서, 도 10에 도시된 컨텐츠 프레임 제공 시스템이 컨텐츠 프레임을 증강현실에서 가상객체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providing the content frame to the virtual object in the augmented reality by the content frame providing system illustrated in FIG.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은 촬영을 통해 생성되는 영상을 표시하는데(S310), S310단계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 QR 코드가 존재하면(S320-Y), 스마트폰(100)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QR 코드를 추출한다(S330).As shown in FIG. 11, the smartphone 100 displays an image generated through photographing (S310), and if a QR code exists in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S310 (S320 -Y), the smartphone 100. ) Extracts a QR code from the captured image (S330).

전술한 바와 같이, QR 코드에는 AR 서버(400)의 URL과 코드-ID가 수록되어 있으므로, 스마트폰(100)은 QR 코드로부터 AR 서버(400)의 URL과 코드-ID를 획득한다(S340).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RL and the code-ID of the AR server 400 are recorded in the QR code, the smartphone 100 obtains the URL and the code-ID of the AR server 400 from the QR code (S340). .

이후, AR 서버(400)의 URL을 참고로 AR 서버(400)에 접속하여 코드-ID를 전달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메타 정보를 수신한다(S350)Thereafter, the AR server 400 is connected to the AR server 400 by referring to the URL of the AR server 400, and the meta-information is received in response thereto (S350).

S350단계를 통해 수신된 메타 정보에는 프레임 정보와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스마트폰(100)은 S350단계에서 수신된 메타 정보를 파싱하여, 프레임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획득한다(S360).The meta information received in operation S350 includes 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The smartphone 100 parses the meta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350 to obtain 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S360).

이후, 스마트폰(100)은, S360단계에서 획득된 프레임 정보를 기초로 프레임을 생성하여, 촬영된 영상에 중첩시켜 표시하고(S370), S360단계에서 획득된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생성하여 프레임 내에 부가하여, 컨텐츠 프레임을 증강현실의 가상객체로 제공한다(S380).Subsequently, the smartphone 100 generates a frame based on the frame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S360, displays the image superimposed on the captured image (S370), and generates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S360. In addition to the frame, the content frame is provided as a virtual object of augmented reality (S380).

S370단계에서의 프레임 생성 방식에 대한 제한은 없다. 즉, 전술한 방식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100)에 저장되어 있는 오브젝트를 가공하여 생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때 이미지는 스마트폰(100)에 저장된 이미지, 메타 정보에 수록된 이미지, 컨텐츠 서버(5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모두 가능하다.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frame generation method in step S370. In other words, all of the aforementioned schemes can be used. Specifically,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ocess and create an object stored in the smartphone 100,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using the image, the image is stored in the smartphone 100, the image contained in the meta information, All images downloaded from the content server 500 are possible.

또한, S380단계에서의 컨텐츠 생성 방식에 대한 제한도 없다. 즉, 전술한 방식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100)이 텍스트로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때 이미지는 스마트폰(100)에 저장된 이미지, 메타 정보에 수록된 이미지, 컨텐츠 서버(5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모두 가능하다.In addition,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content generation method in step S380. In other words, all of the aforementioned schemes can be used. In detail, the smartphone 100 may not only generate content from the text, but also use the image to generate the content. The image may be an image stored in the smartphone 100, an image included in meta information, or a content server ( All images downloaded from 500 are available.

지금까지, 오프라인에서 컨텐츠 프레임을 생성하여 증강현실에서 가상객체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So far, the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ontent frame offline and providing the virtual object in augmented reality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위 실시예에서 언급한 QR 코드는 코드의 일 예에 불과하므로, 다른 종류의 코드, 예를 들면 바코드로 대체될 수 있다.Since the QR code mentioned in the above embodiment is just an example of a code, it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kind of code, for example, a barcode.

또한, 위 실시예에서 언급한 스마트폰(100) 역시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일 예에 해당한다. 따라서, 스마트폰(100) 이외에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전자장치에 대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100 mentioned in the above embodiment also corresponds to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Therefor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ll other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in addition to the smartphone 100.

한편, 위 실시예에서 증강현실을 통해 가상객체로 제공하는 컨텐츠 프레임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할 뿐이다. 따라서, 프레임 없이 컨텐츠만을 증강현실에서 가상객체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메타 정보에는 프레임 정보 없이 컨텐츠 정보만 수록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컨텐츠 위치는 프레임의 위치가 아닌 QR 코드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로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tent frame provided to the virtual object through augmented reality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only the content as a virtual object in augmented reality without a frame. In this case, only the conten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meta information without the fram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ontent position is preferably specified as a relative positio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QR code, not the position of the fram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s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any data storage device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can store data. For exampl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isk, a hard disk driv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 readable code or program stored in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connected between the computer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스마트폰 110 : 통신부
120 : 촬영부 130 : 제어부
140 : 터치 스크린 150 : 저장부
100: smartphone 110: communication unit
120: recording unit 130: control unit
140: touch screen 150: storage unit

Claims (15)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코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정보를 기초로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프레임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Displaying a captured image;
Extracting code information from the captured image;
Acquiring 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using the code information;
Generating a frame based on the frame information and superimpos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captured image; And
Generating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adding the content to the frame;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 정보와 컨텐츠 정보는,
상기 코드 정보에 수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Content fram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ed in the code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기저장된 오브젝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ncludes: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frame,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the pre-stored object and imag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기저장된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ent may include: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pre-stored text and imag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프레임의 종류에 대한 정보, 상기 프레임의 크기에 대한 정보, 상기 프레임의 색상에 대한 정보, 상기 프레임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프레임의 회전각에 대한 정보, 상기 프레임의 시각적 효과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he frame,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frame, information about the color of the fram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frame,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 angle of the frame, information about the visual effect of the frame Content fram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크기는,
상기 코드 정보의 크기에 대한 상대적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ize of the frame,
And a size relative to the size of the code inform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위치는,
상기 코드 정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sition of the frame,
And a relative positio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ode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이고,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텍스트의 내용에 대한 정보, 상기 텍스트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텍스트의 폰트에 대한 정보, 상기 텍스트의 크기에 대한 정보, 상기 텍스트의 색상에 대한 정보, 상기 텍스트의 정렬에 대한 정보, 상기 텍스트의 시각적 효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텍스트의 스크롤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is text,
The content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content of the text,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text, information on the font of the text, information on the size of the text, information on the color of the text, information on the alignment of the text, the text And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visual effects of the text and information on scrolling of the tex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의 위치는,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text is located at
Content fram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이미지이고,
상기 컨텐츠 정보는,
이미지 파일명, 이미지 파일 포맷, 이미지 파일, 이미지가 위치하는 URL, 이미지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이미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is an image,
The content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n image file name, an image file format, an image file, a URL at which the image is located,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image, and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imag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위치는,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이고,
상기 이미지의 크기는,
상기 프레임의 크기에 대한 상대적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cation of the image is
Relative position relative to the position of the frame,
The size of the image,
Content fram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 size to the size of the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단계는,
상기 코드 정보를 참고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프레임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cquiring step includes:
Accessing a server by referring to the code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frame information and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Content fram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프레임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de information,
Content fram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Quick Response (QR) code.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프레임 정보를 기초로 프레임을 생성하며,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프레임에 컨텐츠를 생성하고, 컨텐츠가 부가된 프레임을 상기 촬영된 영상에 중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A display on which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And
Obtain frame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using cod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generate a frame based on the frame information, generate content in the frame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add content. And a controller which superimposes a frame on the captured image.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코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Displaying a captured image;
Extracting code information from the captured image;
Acquir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the code information; And
Generating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superimpos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photographed image to display the content.
KR1020110111986A 2011-10-31 2011-10-3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KR1012797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986A KR101279721B1 (en) 2011-10-31 2011-10-3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986A KR101279721B1 (en) 2011-10-31 2011-10-3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148A true KR20130047148A (en) 2013-05-08
KR101279721B1 KR101279721B1 (en) 2013-06-27

Family

ID=4865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986A KR101279721B1 (en) 2011-10-31 2011-10-3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7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338B1 (en) * 2020-05-25 2021-02-10 조광희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electronic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9969B1 (en) * 2022-09-29 2024-04-02 Snap Inc. Mixed reality media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090B1 (en) * 2010-09-17 2011-07-15 성준형 Augmented reality marker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00138863A (en) * 2010-12-14 2010-12-3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Provid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 contents corresponding to code in terminal with came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338B1 (en) * 2020-05-25 2021-02-10 조광희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electronic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721B1 (en)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93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y using user editing image
CN108924622B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JP7210733B2 (en) Font render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9936257B2 (en) Applicati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CN103761062B (en) A kind of method at the corresponding material of two-dimension code area display and mobile terminal
US8952989B2 (en) Viewer unit, server unit, display control method, digital comic edi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10177295B (en) Subtitle out-of-ran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P27118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template file
CN113302659A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ersonalized video with customized text messages
KR20140040875A (en) Cartoon providing system, cartoon providing device and cartoon providing method
CN111683267A (en) Metho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rocessing media information
CN111581564B (en) Webpage 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implemented by Canvas
CN114564131B (en) Content publishing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2797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US11361523B2 (en) Integrated rendering method for various extended reality modes and device having thereof
CN111651049B (en) Interac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9965446B1 (en) Formatting a content item having a scalable object
US8818092B1 (en) Multi-threaded text rendering
CN106709965B (en) Text display method and device based on shared surface
US2015037975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program
KR101494806B1 (en) System for handling rich text image and method therefor
CN111399788B (en) Media file playing method and media file playing device
KR101935926B1 (en) Server and method for webtoon editing
CN107977451B (en) Method and device for adding dynamic content in display page and terminal equipment
CN111259276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title content,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