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077A -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077A
KR20130047077A KR1020110111865A KR20110111865A KR20130047077A KR 20130047077 A KR20130047077 A KR 20130047077A KR 1020110111865 A KR1020110111865 A KR 1020110111865A KR 20110111865 A KR20110111865 A KR 20110111865A KR 20130047077 A KR20130047077 A KR 2013004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unit
blood pressure
movement
biometric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호
김종훈
장형종
김응환
안시훈
소재영
전진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Priority to KR102011011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7077A/ko
Publication of KR2013004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생활습관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상 생활에서의 혈압 변화 추이를 관찰하여, 개개인에게 적합한 알림 콘텐츠를 착용자, 보호자, 의사 등에게 알리도록 함으로써, 착용자 개개인의 생활패턴에 따른 개인별 혈압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개개인의 생활습관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PERSONALIZED BLOOD PRESSU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상 생활에서 생활패턴에 따른 개인별 혈압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여,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생활습관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계청의 보고에 의하면 한국인의 사망 원인 중 혈관질환이 1위이며, 심장질환, 동맥경화증 등의 순환기계 질환에 의한 사망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고혈압은 이런 심·뇌혈관 질환 등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혈압은 여러 요인에 의해 변동되지만, 혈압이 상승되어 정상보다 높은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상태를 고혈압이라 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정상혈압을 140/90mmHg 미만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2003년에 발표된 JNC(The Joint National Committee)7차 보고서에 의하면 정상 혈압을 120/80mmHg미만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고혈압 분류에서 수축기 혈압이 120-139mmHg, 혹은 이완기 혈압이 80-89mmHg인 것을 고혈압 전단계로 정의하였고 정상 혈압에 비해서 고혈압과 관상동맥 질환을 포함한 심혈관 질환으로 진행될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적극적 생활 습관 개선으로 고혈압으로 이행되는 것을 예방하라고 강조하고 있다.
고혈압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심부전, 뇌졸중, 동맥경화, 뇌경색, 말초혈관 이상 등의 치명적인 질환 및 신부전등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전 예방 및 치료와 더불어 조기 진단 또한 중요하다. 고혈압에 대한 연구와 치료는 많은 진보를 보여 왔다. 특히 혈액 및 혈관에 작용하는 약물의 개발로 혈압의 관리는 쉬워졌다. 그러나 근년 들어 고혈압환자가 급속도로 늘어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의료계의 문제이다. 특히 저연령층에서의 고혈압증 인구 상승, 치료 불가능 악성 고혈압 인구의 증가, 고혈압 치료제의 장기복용과 부작용 등이 그것이다. 이는 고혈압 증상을 경감시키는 치료제의 개발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나 이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치료제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증이나 중증의 본태성 고혈압은 증상없이 몇 년이고 잘 지낼 수 있으며, 심각한 표적장기 질환이 나타났을 때 비로소 인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진단받은 자의 50%만이 치료를 받게 되고, 그 중에서도 제대로 치료를 받는 군은 50%이므로 결과적으로 25% 만이 고혈압 진단 후 치료를 제대로 받고 있다. 이처럼 고혈압은 직접적인 원인치료가 어려우며 대부분은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며, 신체적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적극적인 건강관리행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고혈압 환자의 하루 중 수시로 변화하는 혈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24시간 혈압 모니터링이 가능한 혈압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혈압계는 매순간 변화하는 환자의 혈압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측정 시간대별로 혈압 측정결과가 기록되어 전문가가 이를 판독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혈압은 측정 상황에 따라서 수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환자가 현재 어떤 상황에서 혈압이 변화되는지 알 수가 없어, 환자의 생활패턴에 따른 혈압 변화의 원인을 파악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 생활에서 혈압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판별하고, 판별된 생활패턴에 따른 개인별 혈압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여,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생활습관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생체 데이터를 추출하는 생체 신호 측정부; 착용자의 움직임 또는 착용자가 사용하는 물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상황 인지 센서부; 및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생체 신호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정상 또는 이상 생체 신호에 따른 착용자 또는 물건의 움직임을 추출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황 인지 센서부는: 착용자의 팔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팔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와, 상기 이동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팔의 이동에 따라, 착용자의 식사 유무 및 식사가 종료되는 시점을 판별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로 추출하는 식사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황 인지 센서부는: 착용자의 팔 및 다리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팔 및 다리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와, 상기 이동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팔 및 다리의 이동에 따라, 착용자의 운동 유무 및 운동이 종료되는 시점을 판별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로 추출하는 운동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황 인지 센서부는: 착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침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와, 착용자가 자신의 기상 시간 범위를 입력하기 위한 키를 구비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시간범위 내에서, 상기 무게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무게 변화에 따라, 착용자의 기상 유무 및 착용자가 기상하는 시점을 판별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로 추출하는 기상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황 인지 센서부는: 착용자의 욕실에 설치된 변기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소변 유무를 감지하는 소변 감지 센서와, 상기 소변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소변 유무 및 소변을 보는 시점을 판별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로 추출하는 소변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황 인지 센서부는: 착용자의 약이 보관되는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오픈을 감지하는 복용 감지 센서와, 상기 복용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케이스의 오픈 유무 및 상기 케이스의 오픈 시점을 판별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로 추출하는 복용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생체 신호 측정부는: 착용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측정센서부와, 상기 생체 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부 서버는: 수신되는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생체 데이터로부터 착용자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별하고, 정상 또는 이상이 판별되면, 상기 생체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전의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정상 또는 이상으로 판별된 상기 생체 데이터와, 상기 분석부에서 추출되는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미리 지정된 외부인이 관리하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은 일상 생활에서의 혈압 변화 추이를 관찰하여, 개개인에게 적합한 알림 콘텐츠를 착용자, 보호자, 의사 등에게 알리도록 하여, 착용자 개개인의 생활패턴에 따른 개인별 혈압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개개인의 생활습관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에 구비되는 상황 인지 센서부가 착용자의 몸에 장착되는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에 구비되는 상황 인지 센서부가 착용자가 사용하는 물건에 장착되는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의 외부 서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은 착용자의 생체 신호, 예를 들면 혈압, 맥박 등을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부(20)와, 상기 생체 데이터를 수신받아 외부 서버(40)로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30)와, 착용자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는 상황 인지 센서부(10)와, 외부 서버(40)를 포함한다.
생체 신호 측정부(20)는 착용자의 혈압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기구로서, 이러한 맥동 또는 맥파를 측정하는 센서로는 반도체 방식, 프레스 방식, 광 방식 및 압전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측정부(20)는 착용자의 팔, 손목, 손가락 등에 착용되어 착용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혈압측정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혈압측정장치는 예를 들면, 모세 혈관에 적외선을 투사하여 반사광을 관찰함에 의해 혈구의 움직임, 즉 속도를 측정하고 그에 의해 혈압을 시간에 대해 연속적으로 추정하여 생체 데이터로 생성한다. 이러한 혈압측정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이외에, 이미 알려진 다른 방법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생체 신호 측정부(20)가 혈압만을 측정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EKG(elctrocardiogram, 심전도), EEG(electroencephalogram, 뇌전도), EMG(electromyogram, 근전도), 맥박, 체온, 호흡량 등 다양한 생체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중의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생체 신호 측정부(20)에서 추출된 생체 데이터, 예를 들면, 혈압 데이터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무선통신 또는 유선 등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로 송신된다. 만일, 생체 신호 측정부(20)가 수온 눈금 등을 사용하여 사람이 직접 생체 데이터를 추출하는 아날로그형이라면, 추출된 생체 데이터가 휴대용 단말기(30)로 직접 입력되며, 이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30)에는 상기 생체 데이터가 입력되기 위한 키패드 등의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된다.
휴대용 단말기(30)는 착용자 근처에 구비된 스마트폰, 노트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3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RF(Radio Frequency),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의 무선통신망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유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생체 신호 측정부(20)에서 송신하는 생체 데이터를 수신받아, 외부 서버(40)로 송신하고, 외부 서버(4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받아, 휴대용 단말기(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2)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휴대용 단말기(32)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소리로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30)는 착용자가 관리하고 있는 단말기일 수도 있고, 착용자의 보호자, 의사 등이 관리하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상황 인지 센서부(10)는 착용자의 몸, 예를 들면 팔, 다리 등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이동, 운동 등을 감지하거나 또는, 착용자가 위치한 장소에서 착용자가 이용하는 특정 물건, 예를 들면, 침대, 변기, 약 케이스 등에 장착되어, 특정 물건의 사용 여부, 예를 들면, 침대에서 기상하였는지, 변기를 사용하여 소변을 보았는지, 약 케이스를 사용하여 약을 복용하였는지 등을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결과는 이벤트 데이터로 추출하여 외부 서버(40)로 송신한다. 상기 상황 인지 센서부(10)에서 이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은 하기 도 2를 통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 서버(40)는 생체 신호 측정부(20)에서 전송하는 생체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황 인지 센서부(10)에서 전송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받아, 정상 또는 이상 생체 신호에 따른 착용자 또는 물건의 움직임을 추출하는 것으로, 하기 도 3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에 구비되는 상황 인지 센서부가 착용자의 몸에 장착되는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상황 인지 센서부(10)는 착용자의 팔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식사 유무를 판별하는 것으로, 이동 감지부(12a) 및 식사 감지 제어부(14a)를 포함한다.
이동 감지부(12a)는 착용자의 팔에 장착되어, 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단일축 또는 3축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가속도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착용자의 팔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의 변화를 실시간 감지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식사 감지 제어부(14a)로 출력한다.
식사 감지 제어부(14a)는 이동 감지부(12a)에서 출력하는 가속도 값으로부터 팔의 변화를 분석하여, 식사 유무를 판별하고, 식사가 종료되는 시점을 판별한다. 예를 들면, 식사 감지 제어부(14a)는 팔의 상하 운동이 지정된 시간동안 지속되면 식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하고, 팔의 상하 운동이 멈추면 식사가 종료된 것으로 판별한다. 그리고 식사 감지 제어부(14a)는 판별된 식사 종료 시점을 식사 종료 이벤트 데이터로 생성하며, 생성된 식사 종료 이벤트 데이터는 무선통신망과 연결된 통신부(16a)를 통하여 외부 서버(40)로 전송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황 인지 센서부(10)는 착용자의 팔 및 다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운동 유무를 판별하는 것으로, 이동 감지부(12b) 및 운동 감지 제어부(14b)를 포함한다.
이동 감지부(12b)는 착용자의 팔 및 다리에 장착되어, 팔 및 다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단일축 또는 3축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가속도 센서, 자이로(Gyro)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착용자의 팔 및 다리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의 변화를 실시간 감지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운동 감지 제어부(14b)로 출력한다.
운동 감지 제어부(14b)는 이동 감지부(12b)에서 출력하는 가속도 값으로부터 팔 및 다리의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운동 유무를 판별하고, 운동이 종료되는 시점을 판별한다. 예를 들면 운동 감지 제어부(14b)는 팔 및 다리의 위치 변화가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지속되면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하고, 팔 및 다리의 위치 변화가 멈추면 운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별한다. 그리고 운동 감지 제어부(14b)는 판별된 운동 종료 시점을 운동 종료 이벤트 데이터로 생성하며, 생성된 운동 종료 이벤트 데이터는 무선통신망과 연결된 통신부(16b)를 통하여 외부 서버(40)로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에 구비되는 상황 인지 센서부가 착용자가 사용하는 물건에 장착되는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황 인지 센서부(10)는 착용자의 기상 이벤트를 감지하는 것으로, 무게 감지부(12c), 입력부(13) 및 기상 감지 제어부(14c)를 포함한다.
무게 감지부(12c)는 로드셀, 압전소자, 압력센서 등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착용자가 사용하는 침대의 다리 밑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무게를 감지한다. 감지된 무게 데이터는 기상 감지 제어부(14c)로 출력된다.
입력부(13)는 착용자의 기상 시간 범위를 입력받기 위한 키들을 포함하는 키패드 등으로 구성된다. 입력부(13)를 통해 입력된 시간 범위는 기상 감지 제어부(14c)로 출력된다.
기상 감지 제어부(14c)는 입력부(13)에서 출력된 시간범위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시간범위 내에서, 무게 감지부(12c)를 감시한다. 즉, 설정된 시간범위 내에서 무게 감지부(12c)에서 감지된 무게 데이터의 변동에 따라, 착용자의 기상 유무 및 착용자가 기상하는 시점을 판별한다. 예를 들면, 입력부(13)에서 출력하는 시간 범위인 오전 6시 내지 오전 9시 사이 내에서, 무게 감지부(12c)에서 일정 범위 이상으로 출력되는 무게 데이터가 갑자기 일정 범위 미만으로 출력되면, 착용자가 수면을 취하다가 기상한 시점으로 판별한다. 그리고 기상 감지 제어부(14c)는 판별된 기상 시점을 기상 이벤트 데이터로 생성하며, 생성된 기상 이벤트 데이터는 무선통신망과 연결된 통신부(16c)를 통하여 외부 서버(40)로 전송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황 인지 센서부(10)는 착용자의 욕실에 설치된 변기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소변 유무를 판별하는 것으로, 소변 감지부(12d) 및 소변 감지 제어부(14d)를 포함한다.
소변 감지부(12d)는 착용자가 사용하는 변기에 장착되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변기에 위치한 착용자를 감지한 후, 감지 결과를 소변 감지 제어부(14d)로 출력한다.
소변 감지 제어부(14d)는 소변 감지부(12d)에서 출력하는 데이터를 통하여 소변 유무를 판별한다. 즉, 착용자가 변기에 위치된 상태를 소변 감지부(12d)에서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소변 감지 제어부(14d)로 출력하면, 소변 감지 제어부(14d)는 소변 감지부(12d)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변을 보았는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소변 이벤트 데이터로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소변 이벤트 데이터는 무선통신망과 연결된 통신부(16d)를 통하여 외부 서버(40)로 전송된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상황 인지 센서부(10)는 착용자의 약 케이스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약 복용 유무를 판별하는 것으로, 복용 감지부(12e) 및 복용 감지 제어부(14e)를 포함한다.
복용 감지부(12e)는 착용자가 복용하는 약이 보관되는 케이스에 장착되어, 케이스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착용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하여 케이스를 오픈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복용 감지 제어부(14e)로 출력한다.
복용 감지 제어부(14e)는 복용 감지부(12e)에서 출력하는 데이터를 통하여 약 복용 유무를 판별한다. 즉, 착용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하여 케이스를 오픈한 상태를 복용 감지부(12e)에서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복용 감지 제어부(14e)로 출력하면, 복용 감지 제어부(14e)는 복용 감지부(12e)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를 약 복용 이벤트 데이터로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약 복용 이벤트 데이터는 무선통신망과 연결된 통신부(16e)를 통하여 외부 서버(40)로 전송된다.
한편, 도 3에서 상황 인지 센서부(10)는 착용자가 사용하는 침대, 변기 또는 약 케이스에 장착되어, 기상 유무, 소변 유무 또는 약 복용 유무를 감지하였으나, 본 발명의 상황 인지 센서부(10)를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착용자 또는 의사 등의 요구에 따라, 일상 생활에서 착용자의 혈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물건에 장착되고, 착용자가 상기 물건을 사용함에 따른 상기 물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의 외부 서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부 서버(40)는 무선통신망에 접속되어 있으며, 생체 신호 측정부(20)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황 인지 센서부(10)로부터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받아, 착용자의 운동 상태나 착용자가 사용하는 물건의 움직임에 따른, 착용자의 생체신호, 예를 들면, 혈압, 맥박을 추출하거나, 또는, 착용자의 혈압 등의 생체 신호에 따른, 착용자의 운동상태나 물건의 움직임을 추출하여, 착용자 등이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30) 또는, 미리 지정된 보호자 또는 의사 등의 외부인이 구비하는 외부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하는 것으로, 통신부(48), 저장부 및 분석부(46)를 포함한다.
통신부(48)는 무선통신망과 연결되어, 상황 인지 센서부(10) 및 휴대용 단말기(30)와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신부(48)는 상황 인지 센서부(10)로부터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받고, 생체 신호 측정부(20)와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전송되는 이벤트 데이터와 생체 데이터는 분석부(46)로 출력하며, 분석부(46)에서는 이들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는 각종 이벤트 데이터가 시간별로 저장되는 제 1 저장부(42)와, 생체 데이터가 시간별로 저장되는 제 2 저장부(44)를 포함한다.
분석부(46)는 통신부(48)에서 출력하는 이벤트 데이터와 생체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생체 데이터로부터 착용자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별하고, 정상 또는 이상이 판별되면, 생체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전의 시간 동안 수신된 이벤트 데이터를 추출한다. 추출된 정보는 통신부(48)로 출력하여, 통신부(48)에서 착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 또는 보호자, 의사 등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처럼 분석부(46)는 저장되는 생체 데이터를 일정 기간 동안 모니터링하다가, 일정 수치를 벗어나는 이상 생체 데이터가 발견되면, 이상 생체 데이터가 발견된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전의 시간에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각각의 착용자의 혈압에 이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이벤트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파악된 결과를 통해, 평상시 또는 활동시의 혈압 변화 추이를 관찰하여, 개개인에게 적합한 알림 콘텐츠를 착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 또는 보호자, 의사 등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므로, 착용자 개개인의 생활패턴에 따른 개인별 혈압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여,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개개인의 생활습관을 교정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은 먼저, 타이머가 작동된 후(S10), 상황 인지 센서부(10)에서 착용자의 움직임, 예를 들면, 착용자의 팔운동, 또는 팔, 다리운동을 감지하여, 착용자가 식사를 하였는지, 운동을 하였는지 등을 감지하거나, 착용자가 사용하는 물건, 예를 들면, 침대, 변기, 약 케이스의 사용 유무를 통하여, 착용자가 기상을 하였는지, 소변을 보았는지, 약을 먹었는지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는 이벤트 데이터로 추출하여 외부 서버(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외부 서버(40)는 상황 인지 센서부(10)에서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체크하고(S20), 전송되는 이벤트 데이터는 시간대별로 제 1 저장부(42)에 저장한다(S22). 그리고 외부 서버(40)는 생체 신호 측정부(20)에서 측정된 생체 데이터 즉, 혈압 데이터가 전송되는지를 체크하고(S25), 전송되는 이벤트 데이터는 시간대별로 제 2 저장부(44)에 저장한다(S27).
이어서, 외부 서버(40)는 분석부(46)를 통하여, 생체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다가, 일정 수치를 벗어나는 이상 생체 데이터가 발견되면(S30), 이상 생체 데이터가 발견된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전의 시간에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를 추출하여(S32), 각각의 착용자의 혈압에 이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원인 이벤트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고, 이상 혈압 및 원인 이벤트를 착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 또는 보호자, 의사 등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렇게 파악된 결과를 통해, 평상시 또는 활동시의 혈압 변화 추이를 관찰하여, 개개인에게 적합한 알림 콘텐츠를 휴대용 단말기(30) 또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S34).
이처럼 본 발명은 혈압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판별하고, 판별된 생활패턴에 따른 개인별 혈압 변화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 높은 진단과 함께,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개개인의 생활습관을 교정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상황 인지 센서부 12a, 12b: 이동 감지부
12c: 무게 감지부 12d: 소변 감지부
12e: 복용 감지부 13: 입력부
14a: 식사 감지 제어부 14b: 운동 감지 제어부
14c: 기상 감지 제어부 14d: 소변 감지 제어부
14e: 복용 감지 제어부 16a: 통신부
16b: 통신부 16c: 통신부
16d: 통신부 16e: 통신부
20: 생체 신호 측정부 30: 휴대용 단말기
32: 디스플레이부 40: 외부 서버
42: 제 1 저장부 44: 제 2 저장부
46: 분석부 48: 통신부

Claims (8)

  1.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생체 데이터를 추출하는 생체 신호 측정부;
    착용자의 움직임 또는 착용자가 사용하는 물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상황 인지 센서부; 및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생체 신호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정상 또는 이상 생체 신호에 따른 착용자 또는 물건의 움직임을 추출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지 센서부는:
    착용자의 팔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팔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와,
    상기 이동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팔의 이동에 따라, 착용자의 식사 유무 및 식사가 종료되는 시점을 판별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로 추출하는 식사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지 센서부는:
    착용자의 팔 및 다리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팔 및 다리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와,
    상기 이동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팔 및 다리의 이동에 따라, 착용자의 운동 유무 및 운동이 종료되는 시점을 판별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로 추출하는 운동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지 센서부는:
    착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침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와,
    착용자가 자신의 기상 시간 범위를 입력하기 위한 키를 구비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시간범위 내에서, 상기 무게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무게 변화에 따라, 착용자의 기상 유무 및 착용자가 기상하는 시점을 판별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로 추출하는 기상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지 센서부는:
    착용자의 욕실에 설치된 변기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소변 유무를 감지하는 소변 감지 센서와,
    상기 소변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소변 유무 및 소변을 보는 시점을 판별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로 추출하는 소변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지 센서부는:
    착용자의 약이 보관되는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오픈을 감지하는 복용 감지 센서와,
    상기 복용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케이스의 오픈 유무 및 상기 케이스의 오픈 시점을 판별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로 추출하는 복용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측정부는:
    착용자의 현재 생체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측정센서부와,
    상기 생체 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는:
    수신되는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생체 데이터로부터 착용자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별하고, 정상 또는 이상이 판별되면, 상기 생체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전의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정상 또는 이상으로 판별된 상기 생체 데이터와, 상기 분석부에서 추출되는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미리 지정된 외부인이 관리하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KR1020110111865A 2011-10-31 2011-10-31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KR20130047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865A KR20130047077A (ko) 2011-10-31 2011-10-31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865A KR20130047077A (ko) 2011-10-31 2011-10-31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077A true KR20130047077A (ko) 2013-05-08

Family

ID=4865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865A KR20130047077A (ko) 2011-10-31 2011-10-31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70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2148A1 (en) * 2015-12-23 2017-06-29 Intel Corporation Biometric-data-based ratings
WO2017111324A1 (ko) * 2015-12-22 2017-06-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혈중알코올농도 결정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324A1 (ko) * 2015-12-22 2017-06-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혈중알코올농도 결정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WO2017112148A1 (en) * 2015-12-23 2017-06-29 Intel Corporation Biometric-data-based ratings
US10621213B2 (en) 2015-12-23 2020-04-14 Intel Corporation Biometric-data-based rat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6329B2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changes in health parameters and activate lifesaving measures
KR101227415B1 (ko) 생체신호분석을 위한 일중주기 모니터링 시스템
Klingeberg et al. Mobile wearable device for long term monitoring of vital signs
RU26697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лучшения надежности измерений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US9655532B2 (en) Wearable physiological monitoring and notification system based on real-time heart rate variability analysis
US9107586B2 (en) Fitness monitoring
Leijdekkers et al. Personal heart monitoring and rehabilitation system using smart phones
CN108882868A (zh) 生物体信息分析装置、系统以及程序
US10595776B1 (en) Determining energy expenditure using a wearable device
KR101308522B1 (ko) 다중 생체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혈압 모니터링 및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Al-Aubidy et al. Real-time patient health monitoring and alarming using wireless-sensor-network
US10758131B2 (en) Non-invasive measurement of ambulatory blood pressure
JP2014039586A (ja) 睡眠改善支援装置
Raja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effective wearabl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for remote areas
KR20130047077A (ko) 개인 맞춤형 혈압 관리 시스템
Cikajlo et al. Cardiac arrhythmia alarm from optical interferometric signals during resting or sleeping for early intervention
KR102556663B1 (ko)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858554B1 (ko) 심전도 측정장치
JP7125169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89992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70481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35654A (ko) U 헬스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Indrakumari et al. Impact of IoT on Healthcare-Assistive Devices
Zakaria Fingertip Heartbeat Monitor
Ghosh et al. Innovative Wearable Device Technology for Biomedica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