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172A -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172A
KR20130046172A KR1020110110583A KR20110110583A KR20130046172A KR 20130046172 A KR20130046172 A KR 20130046172A KR 1020110110583 A KR1020110110583 A KR 1020110110583A KR 20110110583 A KR20110110583 A KR 20110110583A KR 20130046172 A KR20130046172 A KR 2013004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broadcast
channel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6172A/ko
Priority to US13/661,283 priority patent/US20130111523A1/en
Publication of KR2013004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8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신호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를 기 설정된 방송 규격에 따른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channel Broadcast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셋탑 박스(Set Top Box)와 같은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에서 디지털 변조 방식을 적용하여 HD(High Definition) 급의 데이터량이 많은 채널을 화질의 저하 없이 출력할 수 있는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도래와 함께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방송의 채널 수가 100개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많은 채널의 방송을 수신하기 위하여는 디지털 셋탑 박스가 필연적으로 필요하다. 디지털 셋탑 박스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사업자로부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TV나 VTR(Video Tape Recoder)로 출력하기 위해 소정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셋탑 박스는 디지털 방송 사업자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여 출력단자, 예컨대 A/V(Audio/Video) 단자, 콤포지트 단자 또는 콤포넌트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알에프 모듈레이터 단자 등을 통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가령, NTSC 방송 규격의 경우 61.25 ㎒ 또는 67.25 ㎒의 채널 3 또는 채널 4를 RF(Radio Frequency) 출력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RF 모듈을 구비하게 된다. 채널 3으로 출력될 경우 주파수 범위는 60 ~ 66 ㎒로 주파수 대역이 6 ㎒이며, 비디오 반송파(video carrier)는 61.25 ㎒, 컬러 반송파는 64.83 ㎒, 오디오 반송파는 65.75 ㎒에 위치하게 된다. 한국의 경우에는 두 번째 오디오 반송파도 함께 전송되는데, 첫 번째의 오디오 반송파보다 0.22 ㎒ 뒤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셋탑 박스는 디지털 전송으로 고화질과 음성의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RF 출력으로 재전송할 경우 다시 아날로그 형태로 변조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화질이나 음성에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채널 3이나 채널 4로의 전송은 NTSC 규격의 경우 채널 대역인 6 ㎒를 전체 대역으로 사용해서 겨우 한 채널의 프로그램만을 전송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 오디오, 비디오 반송파에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을 수 없게 된다.
나아가 현재의 디지털 방송 신호는 아날로그 방송과 동시에 방송하는 상황에서 기존에 방송 중인 아날로그 채널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항상 아날로그 신호보다 낮게 방송을 수행한다. 그 결과, 디지털 방송 수신시 인접하는 아날로그 신호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인접해 있는 채널의 간섭을 받아 수신 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두 번째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채널과 불과 수십 ㎑ 정도 인접해서 위치하기 때문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컨대 ATSC 규격 등의 특정 규격을 갖도록 디지털 변조하며 하나의 채널에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여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신호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를 기 설정된 방송 규격에 따른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수신된 제1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와 형태가 다른 제2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QAM, OFDM, VSB 및 QPSK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를 변조하는 디지털 모듈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먹스;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지털 모듈레이터에 제공하는 비디오 프로세서;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지털 모듈레이터에 제공하는 오디오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모듈레이터는 복수 개이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방송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지털 모듈레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수신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방송 신호를 기 설정된 방송 규격에 따른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VSB(Vestigial Side Band),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수신된 제1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와 다른 형태의 제2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COFDM(Coded Orthogonal Frequency Modulation), BST-OFDM(Bandwidth Segmented Transmission-OFD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DMB-T(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Television Broadcasting), ADTB-T(Advanced Digital Television Broadcast-Terrestrial), BDB-T, CDTB-T, SMCC(Synchronized Multi-Carrier CDMA) 중 하나의 방송 규격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수신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도 2의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도 2의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는 셋탑 박스, VTR, VCR, DVR(Digital Video Recorder), DVD 플레이어와 같은 별도의 독립된 장치를 의미하거나, 디지털 TV, A/V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기타 수신기의 내부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내부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내부 장치를 포함한 디지털 TV, A/V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기타 수신기를 의미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독립된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수신 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수신 시스템은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 및 수신기(110)를 포함하며, 여기서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는 신호 수신부(210), 신호 처리부(220), 메모리부(230), 제어부(240) 및 디지털 신호 출력부(2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영상 수신부(210)는 각 나라의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위성 방송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신호는 아날로그 방식 및 디지털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식으로는 예컨대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VSB(Vestigial Side Band) 및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의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지상파 방송(VSB)은 미국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시스템, COFDM(Coded Orthogonal Frequency Modulation)에 기초한 유럽의 DVB-T 시스템, 그리고 BST-OFDM(Bandwidth Segmented Transmission-OFDM)에 기초한 일본의 ISDB-T 시스템과 더불어 최근 중국의 DMB-T(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Television Broadcasting), ADTB-T(Advanced Digital Television Broadcast-Terrestrial), BDB-T, CDTB-T, SMCC(Synchronized Multi-Carrier CDMA) 등과 같이 다양한 전송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수신부(210)는 가령 안테나를 통해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방송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신호, 혹은 디지털 방송신호 중 특정 방식의 신호를 동조화함으로써 원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 신호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신호 수신부(210)는 가령 셋탑 박스의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즉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제어부(240)의 제어 하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출력하기에 앞서 신호 수신부(210)는 동기화기를 통해 신호를 동기화하고, 등화기를 통해서는 채널의 왜곡 특성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선택부(210)에서 선택된 하나의 채널에 대한 디지털 영상 정보는 복수의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하나의 채널에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20)는 신호 수신부(210)에서 제공되는 특정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로 분리한다. 물론 각 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리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는 제어부(240)의 제어 하에 메모리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경우 분리된 각각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통해 관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메모리부(230)에 다시 저장하거나 저장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처리는 가령 디코딩, 스케일링 및 프레임 보간 등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20)는 디지털 채널 형태로 방송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한다. 이의 과정에서 신호 처리부(220)는 특정 국가의 디지털 방식으로 규격화하여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TSC 규격에 맞추어 QAM, VSB, QPSK 및 OFDM 등의 디지털 채널 형태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변조하여 디지털 신호 출력부(250)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신호 처리부(220)는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서로 먹싱(muxing)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220)는 신호 수신부(210)를 통해 디지털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디지털 방송 신호를 다른 디지털 채널 형태로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고, 이때 특정 국가의 전송 규격에 적합하게 변조하여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신호 수신부(210)로 VSB 방식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신호 처리부(220)는 해당 방송 신호를 특정 규격에 맞추어 QAM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QAM 신호는 실수 성분(I)과 허수 성분(Q)으로 구성된 복소 신호라면, 8VSB 신호는 실수 성분만 존재하는 8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220)는 예컨대 QAM 모듈레이터를 포함한다. 그 결과, 16 QAM의 경우에는 10 Mbps 급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256 QAM의 경우는 40 Mbps 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디지털 신호 출력부(250)는 신호 처리부(220)에서 제공한 디지털 채널 형태로 변조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지털 신호 출력부(250)는 예를 들어 커넥터 또는 잭(jack)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과 같은 별도의 수신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다양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디지털 신호 출력부(250)는 하나의 연결 잭을 통해 복수의 수신기(110)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멀티 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에서 디지털 전송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아날로그 방식으로 방송 신호를 출력할 때보다 화질과 음질이 향상되며, 아날로그 전송을 복합하여 사용할 때와 대비해 인접 채널의 노이즈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전송은 하나의 채널에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기(110)의 상태에 따라 디지털 신호 출력부(250)를 통해 PIP(Picture in Picture) 및 PVR(Personal Video Recorder)과 같은 기능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즉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멀티 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의 신호 수신부(210)는 튜너(301), 복조기(303) 및 ADC(Analog Digital Converter)(305), 동기화 및 등화기(311) 및 채널 디코더(313)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튜너(301)는 특정 방식의 신호를 동조화하여 출력하고, 복조기(303)는 튜너(301)를 경유하여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복조하며, ADC(305)는 정보의 변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및 등화기(311)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을 동기화하고, 채널의 왜곡 특성을 보정한다. 이때 동기화 및 등화기(311)는 제어부(240)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신호 처리부(220)는 디먹스(321),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세서(323, 325), 그리고 디지털 모듈레이터(327)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먹스(321)는 선택된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신호를 DRAM(331)과의 연동 하에 저장할 수 있으며, 선택된 채널의 각 프로그램에 대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비디오 프로세서(323) 및 오디오 프로세서(325)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세서(323, 325)는 수신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에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신호 처리는 디코딩, 스케일링 및 프레임 보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세서(323, 325)는 제어부(240)의 제어 하에 관련 신호의 정보를 SDRAM 1(333)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세서(323, 325)는 디먹스(32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SDRAM 1(333)에 저장한 후, 해당 신호를 독출하여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방법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디지털 모듈레이터(327)는 QAM, VSB, OFDM 및 QSPK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조하여 출력하며, 이때 디지털 모듈레이터(327)는 특정 디지털 방식에 적합하도록 수신된 방송 신호를 규격화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과정에서 디지털 모듈레이터(327)는 SDRAM 2(335)에 관련 방송 신호를 저장한 후 해당 방송 신호를 독출하여 변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디지털 모듈레이터(327)는 HD 급과 같이 데이터량이 많은 채널을 화질 저하 없이 디지털 채널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4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의 신호 처리부(220)는 디먹스(421) 및 디지털 모듈레이터(423)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의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는 도 3에서와 같이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세서(323, 325), 그리고 비디오 프로세서(323)에 연동하는 SDRAM 1(333)을 별도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의 경우, 도 4의 디지털 모듈레이터(423)는 가령 디먹스(421)에서 분리되어 제공되는 각 프로그램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QAM, VSB, OFDM 및 QSPK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디지털 변조하여 디지털 영상 출력부(250)로 제공한다. 이때 디지털 모듈레이터(423)는 추가로 특정 규격 또는 특정 국가의 디지털 방식에 적합하도록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의 과정들에서 디지털 모듈레이터(423)는 관련 방송 신호를 SDRAM(433)에 저장한 후 해당 방송 신호를 독출하여 변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점을 제외한 도 4의 신호 수신부(210) 및 메모리부(230) 등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도 3의 신호 수신부(210) 및 메모리부(230) 등과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 있는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는 예를 들어 별도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다시 말해 신호 수신부(210)를 통해 디지털 방송 신호만이 수신되는 경우에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는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입력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특성, 가령 QAM, VSB, OFDM 및 QSPK 인지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디지털 신호의 변조 형태를 결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는 영상 분석부(미도시) 및 스위칭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부는 영상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특정 경로를 개방시켜 가령 도 3의 디지털 모듈레이터(327)가 QAM, VSB, OFDM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방송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도 2와 함께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는 안테나를 통해 선택된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501).
이의 과정에서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는 가령 아날로그 방송 신호와 디지털 방송 신호가 혼합되어 수신된다고 판단될 때, 해당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동기화하고, 수신된 영상 정보의 특성을 보정하며, 나아가 채널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지털 변조한다(S503). 예를 들어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디지털 변조하거나, 입력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서로 다른 형태의 디지털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가 VSB, OFDM 및 QSPK의 형태를 갖는다면 이를 QAM의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OFDM, QSPK 및 QAM의 형태를 갖는다면 VSB의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변환된 디지털 방송 신호는 특정 규격, 즉 특정 국가의 디지털 방식에 적합하도록 변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501 단계 이후에 만약 선택된 채널에 대한 영상 분석 과정이 추가로 이루어지는 경우라면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는 영상 분석 결과에 따라 특정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분석 결과에 따라 디지털 변조 방식을 결정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후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는 특정 방식의 디지털 형태로 변조된 디지털 영상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S507). 이와 같은 변조된 디지털 형태의 영상 정보는 한 채널에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 결과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100)는 HD 급의 다량의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110: 수신기
210: 신호 수신부 220: 신호 처리부
230: 메모리부 240: 제어부
250: 디지털 신호 출력부 301, 401: 튜너
303, 403: 복조기 305, 405: ADC
311, 411: 동기화 및 등화기 313, 413: 채널 디코더
321, 421: 디먹스 323: 비디오 프로세서
325: 오디오 프로세서 327, 423: 디지털 모듈레이터
331, 431: DRAM 333: SDRAM 1
335: SDRAM 2 433: SDRM

Claims (10)

  1.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여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신호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를 기 설정된 방송 규격에 따른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수신된 제1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와 형태가 다른 제2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QAM, OFDM, VSB 및 QPSK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를 변조하는 디지털 모듈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먹스;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지털 모듈레이터에 제공하는 비디오 프로세서;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지털 모듈레이터에 제공하는 오디오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모듈레이터는 복수 개이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방송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디지털 모듈레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7.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방송 신호를 기 설정된 방송 규격에 따른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VSB(Vestigial Side Band),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수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수신된 제1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와 다른 형태의 제2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수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COFDM(Coded Orthogonal Frequency Modulation), BST-OFDM(Bandwidth Segmented Transmission-OFD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DMB-T(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Television Broadcasting), ADTB-T(Advanced Digital Television Broadcast-Terrestrial), BDB-T, CDTB-T, SMCC(Synchronized Multi-Carrier CDMA) 중 하나의 방송 규격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수신 방법.
KR1020110110583A 2011-10-27 2011-10-27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46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583A KR20130046172A (ko) 2011-10-27 2011-10-27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3/661,283 US20130111523A1 (en) 2011-10-27 2012-10-26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channel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583A KR20130046172A (ko) 2011-10-27 2011-10-27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172A true KR20130046172A (ko) 2013-05-07

Family

ID=4817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583A KR20130046172A (ko) 2011-10-27 2011-10-27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11523A1 (ko)
KR (1) KR201300461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4641B1 (fr) * 2011-12-15 2014-06-13 Eutelsat Sa Installation d'emission/reception de signaux radioelectriqu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8043B1 (fr) * 2002-12-03 2005-01-28 Philippe Guenebaud Module, systeme et procede de traitement de signaux numeriques
JP2005136770A (ja) * 2003-10-31 2005-05-26 Leader Electronics Corp デジタル放送用信号発生器
KR101147759B1 (ko) * 2005-10-05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11523A1 (en)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890B1 (ko) 디지털/아날로그 겸용 티브이 수상기
US77380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igital QAM, VSB and analog TV signals
US20090174822A1 (en) Multichannel Digital Cable Tuner
EP1681873A1 (en) A single integrated high definition television (HDTV) chip for analog and digital reception
US20110085077A1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US200803045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udio, Video and Data Services with ATSC Enabled Television Sets
CN103281495A (zh) 兼容dvb、atsc标准的数字电视接收机
KR100223009B1 (ko) 셋텁박스의 아날로그/디지털방송 수신장치
KR20130046172A (ko) 다채널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1976305A2 (en) Program recording apparatus and program recording method
US9819893B2 (en) Television tuner module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092545B1 (ko) 단일 및 다수 반송파 변조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기 및 수신 방법
US76970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processing demonstration
US20090258620A1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09254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KR102234792B1 (ko) 디지털 텔레비전 및 그 제어 방법
KR101218981B1 (ko) 멀티 기능 복합 튜너 장치
KR10109254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KR100286259B1 (ko) 하이브리드 디지털방송 수신장치
KR101093067B1 (ko) 단일 및 다수 반송파 변조 신호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멀티미디어 수신기 및 수신 방법
KR20110130906A (ko) 크로마 신호 자동 제어 기능을 갖는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송신호 수신방법
Ohm Development of Full Segment Digital Broadcast Receiver based on the ISDB-T
Tay Understanding digital television
Decoders NorDig Unified Requirements
KR20080043965A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복합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