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59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593A
KR20130045593A KR1020110109894A KR20110109894A KR20130045593A KR 20130045593 A KR20130045593 A KR 20130045593A KR 1020110109894 A KR1020110109894 A KR 1020110109894A KR 20110109894 A KR20110109894 A KR 20110109894A KR 20130045593 A KR20130045593 A KR 20130045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door
magnet
refrigerator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7655B1 (ko
Inventor
서운규
김선규
윤승진
황정연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6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일측이 개방된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하여 회동하며,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 형성된 도어선반; 상기 도어선반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이동 바스켓; 및 상기 이동 바스켓이 상기 도어선반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는 요리할 때 냉장고로 여러번 움직이거나 냉장고 문을 수시로 열 필요 없이 손쉽게 바스켓을 탈착 가능하며, 냉장고에 부착시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냉장고 도어의 바스켓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된 저장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상기 도어의 바스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김치 등의 음식이나 야채 등을 신선하게 유지하면서 보관하기 위한 김치냉장고도 역시 냉장고의 일종이다.
냉장고에 설치된 복수 개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는 힌지에 의해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회동된다.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도어 이외에도 서랍의 전면에 도어가 장착되어 서랍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서랍식 도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냉장고의 냉동실과 냉장실은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고 공간활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을 상하로 구획하는 다수의 선반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 도어에 부착된 바스켓은 공간의 크기가 작아 주로 병이나 튜브 용기에 담겨진 식품을 저장하는 데 이용되며,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고 있어 접근성이 좋으므로 자주 사용하고 유통기한이 짧은 우유와 같은 식품을 저장하는 용도로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편의성 때문에 최근에는 냉장고 도어에 부착된 바스켓에 더 많은 식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커지고, 동시에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바스켓의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다.
본 발명은 도어에 구비된 바스켓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손쉽게 탈착 가능하면서 도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의 바스켓을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구비된 바스켓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저장하는 식품의 용기 형상에 따라 위치 및 형상이 변형 가능한 바스켓용 분할판을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중으로 구비된 냉장고용 바스켓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안쪽 바스켓에 접근이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일측이 개방된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하여 회동하며,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 형성된 도어선반; 상기 도어선반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이동 바스켓; 및 상기 이동 바스켓의 바닥면 또는 상기 도어선반의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인력으로 상기 이동 바스켓을 상기 도어선반에 고정하는 고정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석은, 상기 이동 바스켓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자석; 및 상기 도어선반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 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1 자석과 결합하는 제2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자석은 상기 이동 바스켓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선반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 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1 자석과 결합하는 제2 금속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자석은 상기 도어선반의 상면에 형성된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는 상기 이동 바스켓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2 자석과 결합하는 제1 금속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이동 바스켓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요철; 및 상기 도어선반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요철의 상응하여 결합가능한 제2 요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요철은, 상기 이동 바스켓의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면의 하단으로 연장된 제1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의해 둘러쌓인 제1 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요철은, 상기 제1 요부에 삽입 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요철은,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 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요리할 때 냉장고로 여러번 움직이거나 냉장고 문을 수시로 열 필요 없이 손쉽게 바스켓을 탈착 가능하며, 냉장고에 부착시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냉장고 도어의 바스켓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플렉서블한 분할판을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바스켓에 저장된 식품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식품을 보관할 수 있어, 냉장고 도어에 부착된 바스켓의 이용 편의성을 높인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의 바깥쪽 바스켓이 힌지구조로 열릴 수 있어 안쪽에 보관된 식품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바, 안쪽의 바스켓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 바스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선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바스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시예에 따른 분할판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바스켓과 분할판의 평면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바스켓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스켓 프레임의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냉장고용 운반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동일한 도면번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는 냉동실(32)과 냉장실(22)이 상/하로 구획되어 냉동실(32)이 냉장실(22)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동실(32)과 냉장실(22)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동실(32)과 냉장실(22)이 상/하로 구획되고 냉동실(32)이 냉장실(22)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Type)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냉동실(32)에서는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고, 냉장실(22)에서는 냉동실(3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식품을 보관한다.
상기 냉장고(10)는 본체에 의해서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되는 기계장치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며 보호한다. 상기 냉장고(10)의 본체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보았을 때에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2)와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보관실, 즉 상기 냉동실(32) 및 상기 냉장실(22)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4)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와 상기 인너 케이스(1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냉기가 순환되는 통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와 상기 인너 케이스(14)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기계실(미도시)에는 냉매를 순환시켜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매사이클장치가 설치된다. 냉매사이클장치를 이용해 냉장고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보관하는 식품류의 신선도를 유지될 수 있다. 냉매사이클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상변환시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증발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10)에는 냉동실(32) 및 냉장실(22)을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2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20)는 그 일단이 힌지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10)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는 전방을 향해서 냉장고의 양 모서리를 중심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32)과 상기 냉장실(22)의 사이에는 베리어(Barrier)(16)가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32)과 상기 냉장실(22)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16)는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 케이스(1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16)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냉동실(32)과 상기 냉장실(22)이 상기 베리어(16)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동실(32)의 중앙에는 격벽(18)이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32)을 두 개의 구분된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격벽(18)은 상기 인너 케이스(14)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좌우에 두 개로 구분된 상기 냉동실(3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개별적으로 각각의 냉동실(32)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22)에는 상기 냉동실(32)과 달리 상기 냉장실(22)의 중앙을 좌우로 구분하는 격벽이 설치되지 않으나, 상기 냉동실(32)에 적용된 것과 같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도어(20)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보조 도어(70)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 도어(70)는 두 개의 상기 도어(20)에 모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기 도어(20)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 도어(70)는 상기 도어(20) 보다는 상기 냉장실(2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보조 도어(70)는 밀폐한 채 상기 도어(20)만을 개방한 경우에 상기 보조 도어(70)에 설치된 수납실을 사용해서 식품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바스켓(300, 350, 400)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의 대형화에 따라 상기 도어(20)에 구비된 상기 바스켓(300, 350, 400)의 저장 용량이 커졌으며, 상기 도어(20)에 구비된 바스켓(300, 350, 400)이 케이스 내부보다 접근이 용이한 공간이므로 그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바스켓(300, 350, 4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고 있는 상기 바스켓(300, 350, 400)의 실시예는 크게 3가지 종류로 나눠질 수 있다. 병에 들은 음료나 튜브형 용기에 들은 식품 등 두께가 얇은 식품을 안쪽부터 바깥쪽으로 여러 층으로 보관할 때, 안쪽에 보관된 식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이동 바스켓(300)이나, 이중구조로 개폐가능한 바스켓 프레임(33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하고 남은 야채 등을 보관하기 위한 밀폐 바스켓(350)과, 다양한 식품을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으며, 저장 용량을 늘릴 수 있는 대용량 바스켓(40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20) 및 그 내부의 이동 바스켓(3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20), 이동 바스켓(300) 및 이동 바스켓(300)을 지지하는 도어선반(3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20)는 그 일단이 상기 냉장고(10) 본체에 힌지결합하고 상기 냉장고(10)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이동 바스켓(300)은 자주 사용하는 식품이나 병과 같이 두께가 얇은 용기에 담긴 식품을 저장할 때 이용된다.
상기 도어선반(310)은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돌출된 부재로서, 편평한 판형상으로 상부에 물건을 안치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선반(310)은 그 둘레가 개방되어 있어 상기 도어(20)가 개폐되면 상기 도어선반(310) 위에 놓은 식품이 떨어지게 되어, 상기 도어선반(310) 위에 물건을 수납할 수 없다.
따라서, 둘레가 막혀있는 용기가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선반(3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이동 바스켓(300)을 이용한다. 상기 이동 바스켓(300)은 상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상기 도어선반(310) 위에 탈부착 가능하다. 상기 이동 바스켓(300)은 용도에 따라 높이가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며, 도 3에 도시된 상기 이동 바스켓(300)은 병이나 우유와 같이 세워서 저장하는 식품을 저장하기 위해 넣고 빼기 용이하도록 벽면 높이가 낮다.
상기 이동 바스켓(300)의 바닥면 형상은 반드시 상기 도어선반(310)과 동일할 필요는 없으나, 상기 도어선반(31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인 경우 상기 도어선반(310)에 안정적으로 안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어선반(310) 위에 상기 이동 바스켓(300)이 결합됐을 때 돌출되거나 함몰된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외관상 일체형과 같이 보이도록 결합되므로, 돌출된 부분에 걸리거나 부딪혀서 상기 이동 바스켓(300)이 상기 도어선반(310)으로 부터 분리되는 등의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도어선반(310) 위에 상기 이동 바스켓(300)을 올려놓는 경우 상기 도어(20)의 개폐시 상기 이동 바스켓(300)이 통채로 상기 도어선반(310)으로 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는 바, 상기 이동 바스켓(300)이 상기 도어선반(3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일 실시예로서, 자력에 의해 상기 이동 바스켓(300)과 상기 도어선반(310)이 결합하는 고정자석(308, 308)을 들 수 있다. 고정자석(308, 308)은 상기 이동 바스켓(300)의 바닥면 또는 상기 도어선반(310)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인력으로 상기 이동 바스켓(300)을 상기 도어선반(310)에 고정한다.
고정자석은 상기 이동 바스켓(3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자석(308)과 상기 도어선반(3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석(308)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자석(308)과 결합하는 제2 자석(318)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바스켓(300)이 상기 도어선반(310)에 안착시 서로 면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자석(308, 308)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석(308, 308)의 크기와 갯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이동 바스켓(300) 중 일 측에만 고정자석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고정자석의 인력에 의해 결합되는 금속판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바스켓(3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자석(308) 및 상기 도어선반(31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 자석(308)의 인력으로 상기 제1 자석(308)과 결합하는 제2 금속판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선반(310)위에 상기 이동 바스켓(300)을 고정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상기 도어선반(310)의 상면에 형성된 제2 자석(318) 및 상기 이동 바스켓(3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자석(318)의 인력으로 상기 제2 자석(318)과 결합하는 제1 금속판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선반(310) 위에 상기 이동 바스켓(30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판과 상기 제2 금속판은 상기 제1 자석(308)과 상기 제2 자석(318)과 같이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이동 바스켓(300)의 바닥면 전체나 상기 도어선반(310) 상면 전체를 금속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자석 이외에 상기 도어선반(310)과 상기 이동 바스켓(300)을 고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요철구조를 부가할 수 있다. 요철구조는 상기 도어선반과 상기 이동 바스켓(300)을 고정하는 역할 이외에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도 한다.
즉, 본원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이동 바스켓(3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요철(301)과 상기 도어선반(3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요철(301)에 상응하여 결합가능한 제2 요철(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요철(301)의 요철형상과 상보적으로 상기 제2 요철(311)이 형성된 경우 요부와 돌출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고정되어 수평방향의 힘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의 개폐시 상기 도어선반(310)으로 부터 상기 이동 바스켓(300)이 분리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도어선반(310)과 상기 이동 바스켓(300) 각각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1 요철(301)은 제1 돌출부(302)와 제1 요부(3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돌출부(302)는 상기 이동 바스켓(300)의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면의 하단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상기 제1 요부(303)는 상기 제1 돌출부(302)에 의해 둘러쌓여 있다.
상기 제1 요철(301)과 맞물려 체결되는 상기 제2 요철(3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요부(303)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바스켓(300)이 상기 도어선반(310)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요철(311)은 상기 제1 돌출부(302)가 삽입되는 제2 요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철(301)과 제2 요철(311) 양측 모두 반드시 요부와 돌출부를 함께 구비할 필요는 없고, 어느 한쪽이 요부를 다른 한 쪽이 그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면, 요부와 돌출부가 맞물려 측방향의 힘에 저항할 수 있는 바, 상기 이동 바스켓(300)과 상기 도어선반(310)이 상기 도어(20)의 개폐에 안정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바스켓(315)에 구비되는 분할판(320)에 대해 살펴본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분할판(320)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어(20), 바스켓(315), 분할판(320) 및 결합부(305a, 305b, 325a, 325b)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바스켓(315)은 앞에서 설명한 상기 이동 바스켓(300) 또는 후술할 제1 바스켓(340) 및 제2 바스켓(345)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식품을 저장하는 상자형상의 저장공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냉장고 도어에 부착되는 바스켓(315)은 병이나 튜브와 같이 두께가 얇은 용기에 들어있는 식품을 세워서 저장하므로, 본 발명의 분할판(320)을 이용하면 상기 바스켓(315)의 활용도가 향상된다.
상기 분할판(320)은 상기 바스켓(315)의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크기가 작은 병 등을 수납할 때에 도어(20)의 개폐시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는 문제가 있는바, 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분할판(320)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렉서블한 소재는 변형 가능하면서도 탄성이 있어 원래 형상으로 돌아올 수 있고, 수납된 식품을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실리콘을 들 수 있다.
상기 분할판(320)은 플라스틱과 같이 딱딱한 소재로 된 분할판(320)의 경우 크기가 큰 식품은 수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오히려 분할판(320)으로 인해 그 수납할 수 있는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플렉서블한 소재의 경우 수납되는 식품의 크기에 따라 변형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식품을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되는 식품을 정리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20)의 바스켓과 분할판(320)의 사시도로서, 가운데의 분할판(320)은 실리콘과 같이 플렉서블한 소재로 되어 있고, 양단은 상기 바스켓(315)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스켓(315)에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바스켓(315)에 수납하는 식품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탈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탈착 방법은 억지끼움 방식이나, 걸쇠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등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스켓(315)과 분할판(320)의 결합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바스켓(315)은 내부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제1 결합부(305a, 305b)와 상기 분할판(320)은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제1 결합부(305a, 305b)에 체결되는 제2 결합부(325a, 325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결합부(305a, 305b)는 상기 바스켓(315)의 일측과 타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325a, 325b)는 플렉서블한 부분과 별도로 변형되지 않는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결합부(305a, 305b)와 안정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305a, 305b)는 도 7과 같이 돌기형상 또는 도 8과 같이 홈형상으로 가능하고, 이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제2 결합부(325a, 325b)는 상기 제1 결합부(305a, 305b)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형상 또는 돌기형상인 것이 특징이다.
도 7 및 도 8의 평면도에 도시된 결합부의 형상은 상기 분할판(320)의 상기 제2 결합부(325a, 325b)가 상부에서 부터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상기 제1 결합부부(305a, 305b)에 결합된다.
이때, 돌기 형상인 도 7의 제1 결합부(305a)와, 도 8의 제2 결합부(325b)는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306a, 30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306a, 306b)는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상기 홈부(325a, 305b)와 분리되지 않고 결합되도 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325a)의 홈 형상은 걸림돌기(306a)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입구보다 안쪽이 넓게 형성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305b)는 입구보다 안쪽이 넓어 상기 제 2 결합부(325b)의 걸림돌기(306b)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305a, 305b)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분리판의 위치를 바꿔 끼울 수 있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도어(20)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결합(305a, 305b)부가 상기 바스켓(315)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결합부(305a, 305b)를 상기 바스켓(315)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한다.
다음으로, 바스켓 프레임(33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20)와 바스켓 프레임(33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바스켓 프레임(330), 제1 바스켓(240), 제2 바스켓(245) 그리고 잠금장치(335)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은 일단이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힌지 결합하여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에 구비된 바스켓이 바깥쪽의 제1 바스켓(240)과 안쪽의 제2 바스켓(245)과 같이 이중으로 배치되었을 때, 안쪽의 제2 바스켓(245)에 식품을 수납하거나 수납한 식품을 꺼내기 어려운 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바스켓(240)은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에 상기 도어(20)와 반대 방향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바스켓(245)은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과 상기 도어(20) 사이에 개재된다.
제2 바스켓(245)에 식품을 수납하거나 꺼내고자 할 때,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1 바스켓(240)이 상기 제2 바스켓(245)으로 부터 이격되게 하여 상기 제2 바스켓(245)을 노출시킨다.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이 열린 경우에는 상기 제2 바스켓(245)의 접근성이 향상된다.
안쪽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바스켓(245)은 상기 제1 바스켓(2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낮은 식품을 저장하기 때문에 평소에는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이 상기 도어(20)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을 고정하는 잠금장치(3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335)는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의 힌지와 반대쪽, 즉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의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는 상기 잠금장치(335)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상기 잠금장치(335)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잠금장치(335)는 레버(336)와 후크(3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336)는 일단이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에 힌지결합하고 사용자가 타단에 힘을 가하면 상기 레버(336)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한다.
상기 후크(337)는 일단이 상기 레버(336)에 결합하고, 상기 레버(336)의 회동운동에 의해 타단이 상기 도어(20)에 구비된 잠금홈(338)에 체결되어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을 열고자 할 때에는 상기 레버(336)를 반대로 회동시켜 상기 타단이 상기 도어(20)의 잠금홈(338)으로 부터 분리되어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을 열 수 있다.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에 결합한 상기 제1 바스켓(240)은 상기 바스켓 프레임(330)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선반(310)과 상기 도어선반(310)에 탈착 가능한 이동 바스켓(30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 구조 및 바스켓을 구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요리할 때 냉장고로 여러번 움직이거나 냉장고 문을 수시로 열 필요 없이 손쉽게 바스켓을 탈착 가능하며, 냉장고에 부착시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냉장고 도어의 바스켓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플렉서블한 분할판을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바스켓에 저장된 식품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식품을 보관할 수 있어, 냉장고 도어에 부착된 바스켓의 이용 편의성을 높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바스켓은 바깥쪽의 바스켓이 힌지구조로 열릴 수 있어 안쪽에 보관된 식품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바, 안쪽의 바스켓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 냉장고 12: 아우터 케이스
14: 인너 케이스 18: 격벽
20: 도어 22: 냉장실
32: 냉동실 40: 드로워
70: 보조도어 300: 이동 바스켓
301: 제1 요철 302: 제1 돌출부
303: 제1 요부 305: 제1 결합부
306: 걸림돌기 308: 제1 자석
310: 도어선반 311: 제2 요철
312: 제2 돌출부 313: 제2 요부
318: 제2 자석
320: 분할판 325: 제2 결합부
330: 바스켓 프레임 335: 잠금장치
336: 레버 337: 후크
340: 제1 바스켓 345: 제2 바스켓
350: 밀폐 바스켓 400: 대용량 바스켓

Claims (7)

  1. 일측이 개방된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하여 회동하며,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 형성된 도어선반;
    상기 도어선반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이동 바스켓; 및
    상기 이동 바스켓의 바닥면 또는 상기 도어선반의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인력으로 상기 이동 바스켓을 상기 도어선반에 고정하는 고정자석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석은,
    상기 이동 바스켓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자석; 및
    상기 도어선반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1 자석과 결합하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석은 상기 이동 바스켓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선반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1 자석과 결합하는 제2 금속판을 더 구비한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도어선반의 상면에 형성된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바스켓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2 자석과 결합하는 제1 금속판을 더 구비한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바스켓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요철; 및
    상기 도어선반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요철의 상응하여 결합가능한 제2 요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은,
    상기 이동 바스켓의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바닥면의 하단으로 연장된 제1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의해 둘러쌓인 제1 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요철은,
    상기 제1 요부에 삽입 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은,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 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109894A 2011-10-26 2011-10-26 냉장고 KR101857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894A KR101857655B1 (ko) 2011-10-26 2011-10-26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894A KR101857655B1 (ko) 2011-10-26 2011-10-2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593A true KR20130045593A (ko) 2013-05-06
KR101857655B1 KR101857655B1 (ko) 2018-05-14

Family

ID=4865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894A KR101857655B1 (ko) 2011-10-26 2011-10-2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050A (ko) * 2014-05-12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3702705A1 (en) * 2019-02-27 2020-09-0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magnetic bi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050A (ko) * 2014-05-12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3702705A1 (en) * 2019-02-27 2020-09-0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magnetic bin system
US10907892B2 (en) 2019-02-27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magnetic bin system
US11525624B2 (en) 2019-02-27 2022-12-1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magnetic bi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655B1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5538A (ko) 냉장고
EP2818814B1 (en) Refrigerator
EP2422145B1 (en) Refrigerator
KR20130053214A (ko) 냉장고
KR102073328B1 (ko)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3029401A2 (en) Refrigerator and evaporator for the same
KR102174511B1 (ko) 디바이더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80111165A (ko) 냉기 유출 방지장치를 갖는 냉장고
EP3152502B1 (en) Refrigerator
TWI363861B (ko)
US10648726B2 (en) Refrigerator
KR101677611B1 (ko)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US10041723B2 (en) Refrigerator
KR20110080523A (ko) 커버어셈블리를 가진 서랍칸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1857655B1 (ko) 냉장고
KR100719250B1 (ko) 분할된 저장공간을 갖는 냉장고용 홈바 도어
KR101884349B1 (ko) 냉장고
KR20110068422A (ko) 냉장고
KR20130055173A (ko) 냉장고
KR20130053215A (ko) 냉장고
KR200420472Y1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20130045539A (ko) 냉장고
EP4242563A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ontainer
KR101988308B1 (ko) 냉장고
KR101838066B1 (ko) 냉장고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