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576A -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576A
KR20130045576A KR1020110109862A KR20110109862A KR20130045576A KR 20130045576 A KR20130045576 A KR 20130045576A KR 1020110109862 A KR1020110109862 A KR 1020110109862A KR 20110109862 A KR20110109862 A KR 20110109862A KR 20130045576 A KR20130045576 A KR 20130045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lighting device
lighting
ligh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이시은
정미
이희선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이온에스엘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이온에스엘디(주)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9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5576A/ko
Publication of KR2013004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7Outdoor lighting of the exterior of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력 고효율의 엘이디를 조명기구의 램프로 사용하여 친환경성을 높이고 조명기구의 소량화, 경량화시키고 조명기구의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주간의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데이터를 생성 및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의 시간별 점/소등 및 조도값에 따라 조명기기를 점/소등 시키도록 해당 조명기기 점/소등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무선으로 전달하는 점/소등 제어장치와; 상기 점/소등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건축물의 옥상마다 설치되는 옥상구조물에 복수개의 조명등으로 부착되어 있는 조명기기와; 상기 점/소등 제어장치로부터 해당 조명기기의 점/소등 제어명령신호를 무선으로 전달받아 상기 조명기기의 조도값에 따라 점/소등 동작 시키도록 각 조명기기별로 회로구성되어 있는 점등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System for Lighting Integrated with Roof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탑구조물에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야간에 다양한 컬러 및 영상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건물 조명기구를 제어할 수 있는 건축 옥탑구조물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는 야간을 활용한 생활양식이 활발해져 야간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 야간경관조명 연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경관조명은 빛에 의한 경관형성에 주안점을 두고, 도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빛의 관계성을 체계화하여 쾌적한 빛 환경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즉 빛을 이용하여 건물, 교량, 구조물, 조형물 등 피사체의 개성과 아름다움을 표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현재에는 수명이 길고 전기 사용료가 저렴하며 효용 범위가 넓은 엘이디 조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초기 설치 시에는 경제적 부담을 느끼지만 장기적 사용 시에는 이용 가치가 높아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주간에는 자연의 빛을 흡수하여 건축의 외관을 강조하고 야간에는 인공조명을 통하여 장식하고 밝게 비치어 건물의 외관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종래의 조명시스템은 조명기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경관을 해치고 관리의 효율성이 낮으며 빛 공해의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상구조물에서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조명기구의 밝기 및 컬러를 지정하도록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제공부를 구성하는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데이터 제공부를 통해 조명기구를 원격에서 점/소등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데이터를 생성 및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의 시간별 점/소등 및 조도값에 따라 조명기기를 점/소등 시키도록 해당 조명기기 점/소등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무선으로 전달하는 점/소등 제어장치와; 상기 점/소등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건축물의 옥상마다 설치되는 옥상구조물에 복수개의 조명등으로 부착되어 있는 조명기기와; 상기 점/소등 제어장치로부터 해당 조명기기의 점/소등 제어명령신호를 무선으로 전달받아 상기 조명기기의 조도값에 따라 점/소등 동작 시키도록 각 조명기기별로 회로구성되어 있는 점등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점/소등 제어장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도록, 영상데이터 생성을 위한 입력수단 혹은 영상데이터 저장매체를 읽기 위한 읽기수단 중 어느 하나인 영상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생성되거나 읽힌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영상데이터 제공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제공부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조명기기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시간별로 해당 조명의 조도값을 파악하고 해당 조명기기의 점/소등 제어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조명기기의 고유코드번호와 함께 통신모듈로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조명기기의 고유코드번호에 따라 해당 조명기기의 점등콘트롤러로 상기 점/소등 제어명령신호를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명기기는, 반투명판-건축물 상단부 사방을 둘러싸도록 옥상에 설치되는 수평 데크로부터 수직되게 설치-의 내측 벽면에서 수직/수평으로 동일 간격마다 복수개 설치되는 복수개의 조명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명등들의 광원이 반투명판을 투과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투명판의 외측 벽면은 내측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조명등의 수평 배열 방향을 따라 패널 형태의 불투명판이 부착되며, 상기 불투명판은 반투명판의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개 설치되어 있어 상기 불투명판의 간격 공간으로 반투명판에 투과된 상기 조명등의 광원이 보이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축 옥상구조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에 의하면, 저전력 고효율의 엘이디를 조명기구의 램프로 사용하여 친환경성을 높이고 조명기구의 소량화, 경량화 가능하여 조명기구의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주간의 미관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건물을 통합 운영이 가능하여 관리의 효율성이 높고 제어기를 통하여 조명기구의 밝기 및 컬러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건물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점등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간의 조명기구 소등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간의 조명기구 점등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의 설치 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옥상구조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옥상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기(200), 상기 조명기기(200)를 점/소등시키도록 조명기기(200)별로 회로 구성되어 있는 점등콘트롤러(210), 상기 점등콘트롤러(210)에게 점/소등 제어명령을 전달하도록 제어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점/소등 제어장치(100)로 구성된다.
상기 점/소등 제어장치(100)는 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영상데이터 입력부(140), 입력받은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영상데이터 제공부(130), 상기 영상데이터 제공부(130)로부터 제공받게 되는 영상데이터에 따라 조명기기(200)의 점/소등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20), 상기 제어부(120)에서 생성되는 제어명령신호를 무선으로 점등콘트롤러(210)로 전달하는 통신모듈(110)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데이터는 시간별로 해당 조명기기의 점/소등 및 점등시의 조도값, 및 광원의 색상을 부여하고 있는 데이터이다.
상기 영상데이터 입력부(140)는 영상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이며, 점/소등 제어장치(100)에서 영상데이터를 직접 생성하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이거나, 기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를 읽기 위한 ROM 등에 해당된다.
상기 영상데이터 제공부(130)는 상기 영상데이터 입력부(140)로부터 읽히거나 영상데이터 입력부(140)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게 되며, 제어부(120)의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영상데이터 제공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시간별로 해당 조명의 조도값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점/소등 제어명령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되는 해당 조명기기(200)의 점등 혹은 소등 시간에 일치되게 점/소등되도록, 이에 대한 해당 조명기기(200) 고유코드번호를 포함시켜 점/소등 제어명령신호를 통신모듈(110)에 전달한다.
상기 통신모듈(110)은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조명기기(200)의 고유코드번호에 따라 해당 조명기기(200)의 점등콘트롤러(210)로 점/소등 제어명령신호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전달한다.
상기 점등콘트롤러(210)는 해당 조명기기(200)를 점/소등시키기 위한 점/소등 제어명령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해 전달받도록 무선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명기기(200)의 점/소등 콘트롤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점등 혹은 소등 콘트롤 뿐만 아니라 점등 콘트롤 시에는 점등 조도값 및 광원 색상을 콘트롤하여 조명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조명기기(200)는 복수개의 건축물에서 각각의 옥상 구조물에 부착되어 있는 바, 1개의 조명기기(200)는 복수개의 조명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등은 저전력 고효율의 엘이디를 조명등의 램프로 사용하여 친환경성을 높이고 조명기구의 소량화,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점등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기기(200)는 옥상구조물의 데크(12) 상에서 지지대 역할을 하는 반투명판의 내측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으며, 반투명판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불투명판 사이의 공간으로 반투명판으로부터 투광된 조명기기(200)의 빛이 반사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간의 조명기구 소등 상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간의 조명기구 점등 상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의 설치 상태 예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데크(12)는 옥상구조물인 반투명판(11)과 불투명판(10)을 지지하기 위해 건축물 옥상에 설치되는 평판이다.
상기 반투명판(11)은 데크(12) 상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평판이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옥상인 상단 전체를 둘러싸도록 4면 이상으로 설치되며, 그 내측면으로 동일 간격마다 수직 및 수평되게 조명기기(200)를 구성하는 조명등을 부착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조명기기(200)를 구성하는 조명등 들은 점등콘트롤러(210)에 의해 동일하게 점/소등 및 조도값을 가지며 동작하게 된다.
상기 반투명판(11)은 그 내측면에 설치되는 조명기기(200)의 점등에 의해 조명기기(200)의 광원이 옥상 건축물 벽면에 반사된 후 다시 반투명판(11)으로 투과되도록 한다.
상기 불투명판(10)은 조명기기(200)가 설치되는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패널의 형태를 가지며 반투명판(11)의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며 수평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불투명판(10)에 의해 반투명판(1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기(200)가 보이지 않게 되며 불투명판(10)의 간격 사이로 반투명판(11)을 통해 투과되는 조명기기의 광원만이 보여지게 되는 것이다.
10 : 불투명판 11 : 반투명판
100 : 점/소등 제어장치 110 : 통신모듈
120 : 제어부 130 : 영상데이터 제공부
140 : 영상데이터 입력부 200 : 조명기기
210 : 점등콘트롤러

Claims (4)

  1. 영상데이터를 생성 및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의 시간별 점/소등 및 조도값과 광원 색상에 따라 조명기기를 점/소등 제어하도록 해당 조명기기 점/소등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무선으로 전달하는 점/소등 제어장치와;
    상기 점/소등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건축물의 옥상마다 설치되는 옥상구조물에 복수개의 조명등으로 부착되어 있는 조명기기와;
    상기 점/소등 제어장치로부터 해당 조명기기의 점/소등 제어명령신호를 무선으로 전달받아 상기 조명기기의 조도값에 따라 점/소등 동작 시키도록 각 조명기기별로 회로구성되어 있는 점등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소등 제어장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도록, 영상데이터 생성을 위한 입력수단 혹은 영상데이터 저장매체를 읽기 위한 읽기수단 중 어느 하나인 영상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생성되거나 읽힌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영상데이터 제공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제공부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조명기기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시간별로 해당 조명의 조도값과 광원색상을 파악하고 해당 조명기기의 점/소등 제어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조명기기의 고유코드번호와 함께 통신모듈로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조명기기의 고유코드번호에 따라 해당 조명기기의 점등콘트롤러로 상기 점/소등 제어명령신호를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기는,
    반투명판-건축물 상단부 사방을 둘러싸도록 옥상에 설치되는 수평 데크로부터 수직되게 설치-의 내측 벽면에서 수직/수평으로 동일 간격마다 복수개 설치되는 복수개의 조명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명등들의 광원이 반투명판을 투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판의 외측 벽면은 내측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조명등의 수평 배열 방향을 따라 패널 형태의 불투명판이 부착되며, 상기 불투명판은 반투명판의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개 설치되어 있어 상기 불투명판의 간격 공간으로 반투명판에 투과된 상기 조명등의 광원이 보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
KR1020110109862A 2011-10-26 2011-10-26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 KR20130045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862A KR20130045576A (ko) 2011-10-26 2011-10-26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862A KR20130045576A (ko) 2011-10-26 2011-10-26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576A true KR20130045576A (ko) 2013-05-06

Family

ID=4865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862A KR20130045576A (ko) 2011-10-26 2011-10-26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55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4546A (zh) * 2019-06-14 2020-12-15 天津大学 基于bim技术的建筑照明一体化模拟实施方法、装置及系统
KR20230142969A (ko) 2022-04-04 2023-10-11 한신호 옥상 슬래브 방수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4546A (zh) * 2019-06-14 2020-12-15 天津大学 基于bim技术的建筑照明一体化模拟实施方法、装置及系统
CN112084546B (zh) * 2019-06-14 2024-02-27 天津大学 基于bim技术的建筑照明一体化模拟实施方法、装置及系统
KR20230142969A (ko) 2022-04-04 2023-10-11 한신호 옥상 슬래브 방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et al. An advanced lighting system combining solar and an artificial light source for constant illumination and energy saving in buildings
US9277630B2 (en) Apparatus intelligent parallel view LED light, methods of configuration and controls
US20100190455A1 (en) Network-type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ng lamp which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RU2608537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 включающаяся и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ая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Frascarolo et al. An innovative lighting system for residential application that optimizes visual comfort and conserves energy for different user needs
KR101332944B1 (ko)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한 시나리오에 의해 동작하는 스마트 실내 조명 시스템
JP2006352562A (ja) 可視光通信照明装置
KR20080045832A (ko) 도자기 엘이디 램프 시스템
JP2011108494A (ja) 自然光追従型led照明装置。
KR20130045576A (ko) 건축 옥상구조물과 일체화된 조명시스템
JP5842119B2 (ja) 照明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照明制御システム
KR102592067B1 (ko) 스마트 실내 조명시스템
CN202835153U (zh) 多功能室外投影路灯
WO2005124290A3 (en) Indirect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CN208397958U (zh) 一种基于太阳能发电的建筑照明装置
CN201162985Y (zh) 智能化led照明灯
CN102168840B (zh) 建筑物玻璃幕墙的背景光和点阵图案实现方法及其系统
JP2015106515A (ja) 晴天天窓ランプ
KR20140140275A (ko)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감성조명 시스템, 감성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Araji et al. Paradigm in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al design: lighting utilization contributing to surplus-energy office buildings
JP2007184181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CN204539589U (zh) Led照明智能驱动系统
CN201100574Y (zh) 一种蓄光型节能饰灯
CN210118663U (zh) 照明装置及照明系统
CN205026533U (zh) 一种基于oled的室内照明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