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434A - 휴대폰 자동 수신 응답 및 자동 종료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 자동 수신 응답 및 자동 종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434A
KR20130045434A KR1020110109621A KR20110109621A KR20130045434A KR 20130045434 A KR20130045434 A KR 20130045434A KR 1020110109621 A KR1020110109621 A KR 1020110109621A KR 20110109621 A KR20110109621 A KR 20110109621A KR 20130045434 A KR20130045434 A KR 20130045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er
voice
user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원
Original Assignee
황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원 filed Critical 황선원
Priority to KR102011010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5434A/ko
Publication of KR20130045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43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폰 전화 착신 신호 후, 설정 시간 경과 후 사용자 수신 작동 없이 자동 수신되어 음성을 들으면서 콜러를 확인한 후 통화 의사가 없는 경우 메시지 녹음 안내멘트 송출 및 통화 호가 자동 종료되고, 통화 판단 시 음성 인식부의 인식 멘트를 발성하여 통화 상태로 전환토록 하는, 선별 통화 및 자동 통화 종료를 도와주는 자동 수신 및 자동 통신 종료에 관한 장치 및 방법.

Description

휴대폰 자동 수신 응답 및 자동 종료 방법.{ Method of Automatic Receiving and Closing Mobile Phone Call}
전화 자동 수신 및 전화 착신 자동 녹음의 기술을 휴대폰에 적용하여 선별적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걸려오는 전화를 무조건 받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확인 절차를 거쳐 필요없는 전화일 경우는 이를 무시하고 필요한 것만 선별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개인의 필수품이 된 휴대폰에 걸려오는 전화 중에는 사용자가 원치 않는 전화인 경우가 있으며, 이를 사전에 확인하여 필요없는 전화인 경우 통화하는 것을 거절 또는 피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있다.
휴대폰에 착신 신호가 발생할 경우, 일정 시간 후에 자동 수신 되도록 하고, 수신과 함께 일정 시간이 경과 된 후에 부재 중 멘트 및 메시지가 녹음 안내 멘트가 자동 전송된다.
이 멘트의 종료와 함께 메시지 녹음이 끝난 후, 또는 녹음이 없을 경우는 자동 통화 종료된다.
사용자는 자동 수신 직 후, 전화기에 나타나는 상대방 전화 번호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목소리를 들으며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고, 통화를 원할 경우는 응답과 함께 통화 행위가 이어지고, 통화를 원치않을 경우는 무 응답 및 시간 경과로 상기 부재중 멘트와 녹음 안내 멘트가 자동 전송되고 수신 호가 종료된다.
착신 신호 발생 수초 후에 자동 수신 및 수신 상태에서의 수초 후에 자동 멘트 전송을 위한 클럭(타이머)부.
자동 수신 상태에서 상대방(발신자)의 음성을 듣고 특정 단어의 음성인식에 따라 응답 또는 응답패턴에 따른 자동 응답을 하거나, 통화 여부를 결정하여 통화를 원할 경우 통화의지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통화의사표시 음성을 인식하고, 통화를 마친 후 통화 종료 멘트를 인식하는 음성인식 부,
기본적 프로그램 및 멘트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
멘트의 레코딩을 위한 레코딩 부.
각종 명령어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
상기 프로그램 및 각종 기능의 전반적 통제를 위한 제어부를 통하여 기능이 수행 될 수 있다.
하루 중 수시로 걸려오는 필요없는 전화를 선별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대방의 기분을 거슬리게 하지않고 부재 중 멘트 및 메시지 녹음 멘트로 상대방의 신원과 전화를 건 목적을 통화 없이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수행하여 손으로 전화를 잡을 수 없는 경우에도 음성 인식 수신 기능으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부재중에 수신 상황 및 콜러(발신자)를 확인하고 답신 여부를 판단하는 도우미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여,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휴대폰 자동 수신 및 자동 종료 방법은 휴대폰의 일반적 기능을 수행하는 일반 장치와 함께, 메모리부 (10); 실시간 클럭부(20); 키(또는 키 패드) 입력부(30); 음성 인식부(40); 레코더부(50);제어부(6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부(10)에는 상기 휴대폰 자동 수신 및 자동 종료 방법의 동작을 위한 구동 프로그램, 착신 신호 지속 허용 시간, 처음 콜러 멘트 녹음 지속 시간, 무음 상태 지속 시간, 콜러 녹음 지속 시간, 콜러와의 대응 멘트, 부재중 및 메시지 녹음 멘트, 콜러 음성 데이터 및 콜러 메시지, 통화 인식 멘트, 통화 종료멘트, 응답 패턴 결정용 멘트(이름) 및 전화번호, 비상통화용 암호와 이에 대응하는 응답 또는 응답 패턴 등이 저장된다.
실시간 클럭부(20)는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휴대폰 자동 수신 및 자동 종료 방법의 제어부로 착신 실시간 및 시간의 경과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 신호음 지속시간, 콜러 음성 녹음 지속시간, 무음 지속시간 등의 경과를 제어부로 알려 준다.
키(또는 키 패드) 입력부(30)는 메뉴 키, 설정 키, 선택 키, 텍스트 입력이 가능한 자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폰 자동 수신 및 자동 종료 방법의 메뉴 기능을 선택하고 설정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음성 인식부(40)는 착신 신호음 또는 진동 지속 상태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고 콜러의 음성이 레코더부의 녹음과 함께 녹음되는 녹음 지속시간 중에 , 또는 녹음 단계가 종료되고 부재중 및 메시지 녹음 안내 멘트가 종료되기 전에, 또는 콜러의 메시지 녹음 종료 전에, 사용자의 통화 결정으로 통화를 원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특정 멘트를 인식하여 통화 단계로 진행되도록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통화 종료시에 통화 종료를 뜻하는 특정 멘트를 인식하여 제어부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무음 지속 상태의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무음 상태를 식별한다. 콜러의 멘트 중에 음성 인식부의 인식을 위하여 레코더부를 통해 저장 설정된 사용자 이름, 가족이름, 비상통화 암호 등을 식별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그에 대응하는 응답 패턴을 실행하도록 한다.
레코더부(50)는 착신 신호 단계에 이어지는 자동 수신 상태에서 콜러의 음성을 녹음하고, 부재중 멘트에 이어지는 콜러의 메시지를 녹음한다.
또한 사용자의 통화의사표시 멘트 및 통화 종료 멘트, 사용자 및 사용자 가족이름, 비상통화 암호를 녹음하여 음성 인식부의 인식을 위한 데이터로 제공한다.
사용자의 부재중 안내 멘트를 녹음하여 안내 멘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부재중 안내 멘트는 사용자가 1개 이상 다양한 내용으로 녹음 할 수 있고 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선택 설정 사용할 수 있다. 부재중 멘트는 또한 외부에서 녹음된 내용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 도 있다.
제어부(60)는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 신호 지속시간, 콜러 음성 녹음 시간, 무음 지속시간이 설정된 경우, 실시간 클럭부로부터 시간 경과를 안내 받고 다음 단계로 진행되도록 하고, 음성 인식부의 통화 단계진입 신호를 받아 자동 종료모드의 진행을 중단하고 콜러와 통화단계로 진입하도록 하고, 음성 인식부의 통화 종료 신호를 받아 통화를 종료하도록 제어 한다.
또한 착신 신호 지속 시간이 경과됨을 안내받은 후, 자동 수신 상태로 진입하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 휴대폰 마이크부의 오디오 입력 단자를 차단시켜 일반 전화기의 훅 온(hook on) 상태가 되어 사용자측의 사운드 입력을 차단시키고, 음성 인식부의 통화단계 진입 신호와 함께 오디오 차단은 오픈되어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이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부재중 및 메시지 녹음 안내 멘트가 종료된 다음, 콜러 측 무음 상태로 수초가 경과 된 후, 또는 녹음 후 무음 상태로 수초가 경과 된 후, 통화 상태의 호가 종료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음성인식부로부터 메모리부에 저장된 특정 단어(또는 암호) 인식 신호를 접할 때, 자주 통화하는 전화번호 또는 분류 저장된 전화번호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응답 또는 응답 패턴으로 대응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은 휴대폰 자동 수신 및 자동 종료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과정의 일 예( 실행 예 A)이다.
사용자 단말기에 착신 신호가 지속되는 착신 신호 지속 허용 시간을 설정한다. 즉, 착신 알림 음이나 진동 지속 상태의 지속 시간( 예로 3초)을 설정한다. 또는 링 톤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설정일 수도 있다. 또한 다음 단계 진행을 위한 콜러의 음성이 없는(또는 단절되는) 무음 지속 시간( 예로 2초) 및 통화 종료를 위한 콜러 무음 시간( 예로 3초)을 설정한다. 설정 시간 또는 횟수는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제어부는 착신 신호가 올 경우 메모리부에 저장된 착신 지속 허용 시간이 설정되어있는지를 확인하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실시간 클럭부로 부터 착신 신호 지속 허용 시간(3초)이 경과 되는 것을 안내 받고 착신 신호 종료 및 자동 수신 상태(자동 종료 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
콜러의 수신자 확인 멘트가 스피커를 통해 일정 시간 출력 및 녹음되고 콜러의 음성이 단절되는 무음 지속상태가 지속되는 콜러 무음 지속시간(예 2초)을 설정한다.
제어부는 콜러 무음 지속 설정 시간이 경과 되는 것을 실시간 클럭부로부터 안내받고 부재중 및 메시지 녹음 안내멘트 단계로 진행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메모리부에 입력한 안내 멘트가 송출되도록 한다.
사용자의 안내 멘트는 레코더부를 통하여 사용자 음성으로 직접 녹음하여 안내 멘트로 설정하거나 별도의 멘트를 다운로드를 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안내 멘트가 종료된 후, 또는 콜러의 메시지 녹음 후 콜러의 음성이 없는 무음 상태가 수초 ( 예를 들어 3초)지속되거나, 또는 콜러가 통신을 종료하는 경우, 자동 종료 모드의 작용으로 통화 호는 닫히고 통신이 종료된다.
또는 착신 신호 종료 후 콜러의 음성이 수신되는 동안 콜러를 확인하고 콜러의 메시지 녹음이 종료되기 전에, 어느 단계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결정하고 음성 인식부가 인식하도록 미리 레코딩한 인식멘트를 발성하는 경우, 제어부는 음성 인식부로 부터 통화단계진입 신호를 받고 통화 단계로 진행하도록 하고, 안내 멘트 송출 또는 콜러 메시지의 녹음 작동은 중단된다.
즉, 음성 인식부가 인식 멘트를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로 알려주면 자동 종료모드는 해제되고 통화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또한 동시에 마이크 음성 입력 단자가 닫힌 경우에는 입력 단자가 오픈되고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를 통해 송출되도록 통화 상태가 된다.
통화 인식 멘트는 레코더 부를 통하여 인식멘트의 녹음 안내에 따라 사용자의 목소리로 " 통화" 또는 " 여보세요" 의 형태로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음성 인식부의 인식 표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화 종료를 위한 인식멘트로 " 통화 끝." " 통화 종료." 등의 형태로 저장하여 음성인식부의 통화 종료 인식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수 초간(예를 들어 3초)의 콜러 무음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자동으로 통화 호가 닫히고 통신이 종료되는 상태로 진입되어 통화가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정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일 예를 설명한다.
휴대폰을 손으로 조작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작업 중 한 장소에 놓인 휴대폰에서 착신 상황을 확인한다. 설정한 착신 신호 지속 시간 3초가 경과되고 콜러의 음성이 들리는 것을 확인한다.
착신 신호 발신 3초 경과.
콜러 " 여보세요? 여보세요? O O O 씨 인가요?" ( 무음시간 2초 경과)
안내 멘트 "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메시지를 남겨 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콜러 메시지 녹음 또는 무음 3초 또는 콜러의 통화종료로 통화 종료.
그동안 녹음된 음성은 부재중 인 경우 콜러 확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가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아무런 조치 없이 그대로 하던 일을 계속하면 휴대폰은 다음 단계(부재중 멘트 단계, 메시지 녹음 단계, 통신 종료 단계)로 진행하여 통신을 종료하게 된다.
또는 콜러 전화 번호가 휴대폰의 표시부에 안내되고 목소리까지 확인하여 통화를 결정하면, " 통화" 또는 "여보세요" 라는 인식 멘트의 발성으로 자동 종료모드는 해제되고 통화 상태로 진입한다.
통화 후, 무음 상태가 설정 시간 3초 이상 경과 되어 자동 종료 되거나, 콜러의 통화 종료, 또는 " 통화 끝." 의 통화종료 인식멘트를 발성하여 음성인식부의 인식으로 통화를 종료하게 된다.
다음은 착신 신호 종료 후 콜러의 음성이 수신되는 동안 설정 가능한 또다른 예(실행 예 B)이다.
설정된 착신 신호 지속시간이 종료된후, 콜러의 수신자 확인 멘트에 대한 부재중 응답멘트를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전화에 응답하는 형식으로 다른 사람의 음성으로 녹음 된 음성 안내 멘트를 사용하고, 콜러의 물음에 대한 응답을 단계적 멘트로 대응하도록한 내용으로 할 수 있다.
콜러 " 여보세요. " (콜러의 음성이 없는 무음 지속시간 2초 경과 후).
안내 멘트 " 여보세요." ( 사용자의 음성이 아닌 안내 도우미 목소리 ).
콜러 " 어 ? 이거 O O O 씨 전화 아닌가요?"
안내 멘트 " 아, 네 O O O 씨 전화입니다. 저는 O O O 씨 전화 비서입니다."
콜러 " 아 네, O O O 씨 부탁합니다." ( 다시 콜러의 음성이 없는 무음 지속시간 2초 경과 후).
안내 멘트 " 죄송합니다만 지금 O O O 씨는 전화를 받을수가 없습니다. 용건을 저에게 말씀하시면 제가 전해드리겠습니다. 말씀해 주세요."
콜러 메시지 녹음 단계 시작. ( 콜러 음성 녹음 없이 콜러 측 무음 상태 2초 경과 후 다시)
안내 멘트 "용건을 말씀하시면 제가 전해드리겠습니다. 말씀해 주세요. 녹음 가능 시간은 15초입니다." (콜러 메시지녹음 또는 콜러측 통화 종료로 또는 무음 상태 3초 경과로 자동 통화 종료.)
위와 같이 콜러가 사용자의 이름을 말하는 경우 음성인식부는 사용자의 이름을 인식하여 제어부로 알려주면 제어부는 그에 따른 응답 패턴으로 대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이름 뿐 아니라 가족이름 과 같은 음성 인식부가 식별 가능한 것 뿐 아니라,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가 별도로 분류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콜러인 경우에도 상응하는 응답패턴으로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다른 일을 하는 중에도 알 수 있도록 이를 알리는 소리 신호(또는 점멸 신호)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자주 이용하는 전화번호는 몇회 이상(예 5회) 수신 또는 발신하는 전화번호인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대화 내용은 저장되어 부재중 콜러 확인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위의 안내 멘트 중에, 또는 콜러의 메시지 녹음이 종료되기 전 언제라도 사용자가 콜러와 통화를 결심하고 인식멘트를 발성하면 자동 종료모드의 진행이 해제되고 바로 통화 상태로 진입하게되는데, 이 때 다시
" 아 잠깐만요, 지금 주인님께서 오셨습니다."
라는 안내 도우미의 안내 멘트가 송출되고 콜러와의 통화가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처럼 본인의 음성이 아닌 것 뿐만아니라 본인의 음성으로도 다양한 단계적 대화 형식의 문답 패턴을 설정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직접 메시지를 남겨달라는 멘트만 있는 경우보다 이와같이 단계적인 문답식의 대화를 유도하여, 직접 전화에 응대하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그러한 과정에서 콜러의 음성을 녹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시지를 남겨달라는 멘트만 있는 경우 콜러는 메시지를 남기지 않고 바로 통화를 단절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위와같은 경우는 콜러의 음성이 녹음되는 가능성이 많아 콜러의 파악에 도움이될 수 있다.
다음은 보다 간단한 응답 형태로 콜러의 착신에 응대하는 또 다른 예(실행 예 C)이다.
설정된 착신 신호 지속시간이 종료된후, 콜러의 수신자 확인 멘트에 대한 간단한 형태의 대응 패턴이다.
콜러 "여보세요. 미래를 보장하는 아주 좋은 방법이 있는데요 지금 보험에 가입하라는 것은 아니고요. 여보세요? 여보세요? "
라는 처음 콜러 멘트 녹음 지속 시간(예 3초)을 초과하는 긴 설명이 이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대개 영업을 목적으로하는 무작위 콜링인경우가 많으므로 이때는 간단히 " 죄송합니다.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메시지를 남겨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라는 짧은 응답 멘트가 송출되도록 한다.
이 응답 멘트는 설정된 콜러 멘트 녹음 지속시간(예 3초)이 경과되면 자동 송출되도록 하거나, 콜러의 음성이 수신되는 중에라도 핸드폰 표시부에 보이도록 한 응답 패턴 번호를 터치하여 송출 되도록 할 수 있다. 메시지 녹음 시간도 짧은 시간(예 5초)으로 설정한다.
물론 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 경우에도 인식멘트의 발성으로 통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음의 예는 콜러와 사용자간 특별한 관계로 반드시 통화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는 설정(실행 예 D)이다.
비상통화용 암호 설정으로 "지금 바로"를 레코더부를 통해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비상 통화 요청상태를 알리는 신호로 "어전트" 를 설정한다.
착신 신호 종료 후, 자동 종료 모드 진행 중, 암호를 알고 있는 콜러가 사용자와의 긴급 통화를 원할 경우 콜러는 " 지금 바로" 를 말한다.
멘트의 발성을 음성인식부가 인식하여 제어부로 알려주고 이 때 제어부는 긴급통화 요청을 알리는 신호 " 어전트" 를 스피커로 반복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바로 통화단계로 진입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응답 패턴(A,B,C,D)의 선택 설정은 착신 신호 전에 할 수 있고, 또는 착신 신호 중 콜러 전화 번호를 확인 한 후에 각각의 응답패턴의 기능이 설정된 기능키 또는 핸드폰 표시부 화면 위의 특정 기능 부여 부분을 터치하여 응답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작업 중, 휴대폰을 조작하지 않고 통화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는 경우에도 불필요한 전화 통화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예방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부재 중에서 녹음된 음성으로 상대방을 확인하고 답신의 여부를 결정 할 수 도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 D응답패턴 뿐만아니라 이들을 혼용하거나 더욱 상세한 응답 패턴을 사용할 수도 있고, 통화를 허락하는 방법 과 종료하는 방법으로 음성 인식 뿐 아니라 특정 기능 키 조작, 화면 터치, 근접센서, 휴대폰 흔들기 뒤집기 등의 휴대폰 위치 좌표 변형 및 무음 지속시간 설정(종료 방법) 등을 1개 이상 함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콜러의 음성을 확인하는 단계인 콜러 음성 녹음 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부재중 안내 멘트 단계로 진입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통화가 필요한 단계에서 흔들기는 통화단계로, 통화 후 흔들기는 통화 종료로 설정이 가능하고, 근접센서의 경우, 센서 인식 범위에 사용자 몸의 일부가 접근되는 행동으로 통화를, 인식범위에서 멀어지는 경우 통화종료의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휴대폰의 콜러를 확인하고 통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착신 신호 지속 시간 설정 단계;
    콜러의 음성을 들으면서 콜러를 확인하는 응답 패턴 설정 단계;
    통화 필요 판단 시, 인식 멘트를 발성하여 음성 인식부의 인식으로 자동 종료 모드에서 통화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통화인식멘트 입력 단계;
    통화 종료 무음 지속 시간 설정 과 (또는) 통화 종료 인식멘트를 입력하는 통화 종료 모드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착신 신호에 응답하지않으면 자동 수신 및 자동 종료모드로 진행되어 자동 종료되거나, 인식멘트의 발성으로 자동 종료모드가 해제되고 통화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자동 수신 응답 및 자동 종료 방법.
  2. 상기 1항에 있어서
    통화인식멘트 입력 단계는 통화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인식 멘트와 함께 특정 기능 키 조작, 화면 터치, 근접센서, 휴대폰 흔들기 뒤집기 등의 휴대폰 위치 좌표 변형 등의 기능이 1개 이상 선택적으로 설정 및 사용될 수 있고,
    종료모드 설정 단계에서는 무음 지속 시간 설정 과 통화 종료 인식멘트 와 함께 콜러의 통화 종료, 기능 키 및 화면 등 특정 부위 터치, 근접센서, 휴대폰 흔들기 뒤집기 등의 휴대폰 위치 좌표 변형 등의 기능이 1개 이상 선택적으로 설정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자동 수신 응답 및 자동 종료 방법.
  3. 상기 1항에 있어서
    착신 신호 지속 시간 설정 단계; 다음 단계인 응답 패턴 설정 단계에서 콜러에 응답하는 응답 패턴을 2 개 이상 준비하고 착신 신호 이전에,또는 이후에 선택적으로 설정 또는 사용할 수있으며,
    콜러의 멘트 중에 사용자가 메모리부에 입력한 특정 단어(또는 암호)를 음성인식부가 인식하는 경우, 또는 자주 통화하는 전화번호 및 메모리부에 분류 저장된 특정 전화번호로 부터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응답 또는 응답 패턴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자동 수신 응답 및 자동 종료 방법.


KR1020110109621A 2011-10-26 2011-10-26 휴대폰 자동 수신 응답 및 자동 종료 방법. KR20130045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621A KR20130045434A (ko) 2011-10-26 2011-10-26 휴대폰 자동 수신 응답 및 자동 종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621A KR20130045434A (ko) 2011-10-26 2011-10-26 휴대폰 자동 수신 응답 및 자동 종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434A true KR20130045434A (ko) 2013-05-06

Family

ID=4865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621A KR20130045434A (ko) 2011-10-26 2011-10-26 휴대폰 자동 수신 응답 및 자동 종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54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810B1 (ko) 공유된 음성 작동 디바이스상의 호출 핸들링
US9071947B1 (en) On-hold processing for telephonic systems
KR20200016295A (ko) 비동기식 멀티모드 메시징 시스템 및 방법
CN105210355B (zh) 用于在电话呼叫的接收者判断不适合说话时应答电话呼叫的设备和相关方法
EP1732294A1 (en) Voice activated phone mute reminder method and apparatus
US20180054507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with Caller and Real-Time Transcription and Manipulation Thereof
US20070263805A1 (en) Method to alert participant on a conference call
US20070047708A1 (en) Voice call reply using voice recognition and text to speech
US20080096587A1 (en) Telephone for Sending Voice and Text Messages
US9736309B1 (en) Real-time transcription and interaction with a caller based on the transcription
KR20210091352A (ko) 명령 기반형 대화식 시스템 및 그 방법
EP1511277A1 (en) Method for answering an incoming event with a phone device, and adapted phone device
KR20130041715A (ko) 전화 자동 수신 응답 및 자동 종료 방법.
JP2012078384A (ja) 声紋による話者特定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KR20130045434A (ko) 휴대폰 자동 수신 응답 및 자동 종료 방법.
EP128767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signal based answer call message generation
WO2018207482A1 (ja) 発話制御装置、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発話制御装置の制御方法
KR100298317B1 (ko) 휴대용전화기의통화방법
US819513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thereof
TW201336290A (zh) 通信裝置及通信方法
JPS6345950A (ja) 対話形音声応答装置
JP2016144024A (ja) 音声メモ保存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KR20060130897A (ko) 휴대 단말기의 무성음 통화 장치 및 방법
JP2017224958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の制御方法
JP2002199087A (ja) 着信応対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