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314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5314A KR20130045314A KR1020130041693A KR20130041693A KR20130045314A KR 20130045314 A KR20130045314 A KR 20130045314A KR 1020130041693 A KR1020130041693 A KR 1020130041693A KR 20130041693 A KR20130041693 A KR 20130041693A KR 20130045314 A KR20130045314 A KR 201300453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water
- inner tank
- container
- cabinet
- laund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조의 내측면 및 바닥면을 향해 동시에 세탁수를 분사하여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헹굴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rinsing laundry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inner and bottom surfaces of the inner tank at the same time.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세탁장치와, 젖은 세탁물을 탈수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세탁물을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여 세탁물로 인한 알러지를 방지하고, 세탁물을 간편하게 세탁하는 리프레셔 등, 세탁물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각종 장치를 통칭한다.In general, laundry treatment equipment uses chemical reaction between water and detergent and physical action such as friction between water and laundry to separate contaminants on clothes, bedding,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undry'). Various kinds of laundry treatments, such as a washing machine, a drying device for dehydrating and drying wet laundry, a spray of heated steam to prevent allergies due to laundry, and a refresher for washing laundry simply by applying physical and chemical effects to the laundry Collectively, the device.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종인 세탁장치는, 그 구조와 세탁방식에 따라 교반식(agitator type)과 드럼식(drum type) 및 와권식(pulsator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세탁장치는, 통상 세척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한 행정 중에서 소정의 행정만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세탁방법으로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laundry machine, which is a kind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is classified into an agitator type, a drum type, and a pulsator type according to its structure and washing method. Such a washing apparatus washes laundry while sequentially performing washing, rinsing, and dehydrating strokes,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only a predetermined stroke among the above-described strokes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Washing is done by the washing method.
그러나, 종래의 세탁장치는 내조의 바닥면을 향해 세탁수가 급수되고, 급수된 세탁수가 내조에 차오르면서 세탁물이 젖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세탁물을 모두 적시기 위해서는 세탁물의 높이에 이르기까지 급수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과도한 양의 세탁수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 과정 중간에 내조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탈수가 이루어 지고, 탈수 후 세탁물을 헹구기 위해 다시 급수가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내조의 고속 회전에 의해 내조의 내측면에 세탁물이 달라 붙게 되고, 달라 붙은 세탁물을 헹구기 위해서는 다시 세탁물이 달라붙은 위치에 이르기까지 세탁수를 급수하여야 하여 과도한 양의 세탁수가 소비되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과정은 세탁과정 중에 간헐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소비되는 세탁수의 양의 더욱 증가하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tank, and the laundry is wet as the supplied washing water fills the inner tank. Therefore, in order to wet all the laundry, water must be provided up to the height of the laundry,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xcessive amount of washing water is consumed. In particular, the recent laundry treatment equipment is dehydrated while the inner tank rotates at a high speed in the middle of the washing process, and water is supplied again to rinse the laundry after dehydration. To cling and rinse the laundry, an excessive amount of wash water was consumed because the washing water had to be watered again until the laundry was stuck. In particular, such a process is repeated intermittently during the washing process,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amount of washing water consumed.
본 발명은 내조의 내측면과 바닥면을 향해 동시에 세탁수를 분사하여, 내조 내의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적심으로써, 세탁 및 헹굼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되는 세탁수의 양을 줄인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sprays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inn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tank at the same time to effectively wet the laundry in the inner tank, thereby improving washing and rinsing efficiency and reducing the amount of washing water consumed. The purpose.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부가 개방된 캐비닛; 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포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캐비닛 커버;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조; 및 상기 캐비닛 커버에 배치되어 상기 내조의 바닥면 및 내측면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를 통해 분사된 세탁수가 상기 내조와 만나며 이루는 상단 경계선은 상기 내조의 내측면 상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사선을 포함한다.Laundry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inet top open; A cabinet cover formed with a fabric access hole to allow the fabric to enter and exit, and a cabinet cover disposed above the cabinet; An inner tub rotatably disposed in the cabinet; And a spraying unit disposed on the cabinet cover to spray washing water to the bottom and inner surfaces of the inner tank, wherein an upper boundary line formed by the wash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spray unit meets the inner tank at an upper s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ank. And a diagonal line extending downward.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내조의 내측면과 바닥면을 향해 동시에 세탁수를 분사하여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적시고, 세탁 성능 및 헹굼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sprays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inner and bottom surfaces of the inner tank to effectively wet the laundry, thereby improving washing performance and rinsing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내조의 내측면에 달라붙어 있는 세탁물에 직접 세탁수를 분사함으로써 소비되는 세탁수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washing water consumed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directly to the laundry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ank.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내조의 하방 경사 방향으로 세탁수를 분사하여 분사면적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xpanding the spray area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inner tan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부분도이다.
도 3은 분사부에 의해 내조 내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4는 분사부에 의해 세탁물의 헹굼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5는 탑커버에 분사부가 장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6은 분사부의 분사 폭 각도(W) 및 회전 각도(θ)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분사부의 기울임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분사부의 분사 두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내조가 빈 상태에서 세탁수가 분사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세탁수 및 세탁물이 포화된 내조에 세탁수가 분사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분사부가 탑커버에 배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분사부와 탑커버의 조립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분사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분사부가 탑커버에 배치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탑커버의 저면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탑커버 및 분사부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분사부가 외조 커버에 배치되는 형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외조 커버의 저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외조 커버의 측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as viewed from above.
3 is a partial view for explaining the form of the washing water sprayed into the inner tank by the injection unit.
4 is a partial view for explaining the manner in which the laundry is rinsed by the injection unit.
Figure 5 is a partial view for explaining how the injection unit is mounted on the top cover.
6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injection width angle W and the rotation angle θ of the injection por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injection unit.
8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jection thickness angle of the injection unit.
9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washing water is sprayed when the inner tank is empty.
10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re sprayed into the inner tank saturated with the laundry.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injection unit is disposed on the top cover.
FIG. 12 is an assembly view of the injection part and the top cover shown in FIG. 11.
FIG. 13 is a side view of the sprayer shown in FIGS. 11 and 12.
FIG. 1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cover in order to explain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pray unit is disposed on the top cover.
FIG. 15 is a side view of the top cover and the jetting unit shown in FIG. 14.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tub cover to expla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spray unit is disposed on the outer tub cover.
1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outer cover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상측에서 바라본 부분도이다. 도 3은 분사부(150)에 의해 내조(115) 내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4는 분사부(150)에 의해 세탁물의 헹굼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5는 탑커버(112)에 분사부(150)가 장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6은 분사부(150)의 분사폭 각도(W) 및 회전 각도(θ)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분사부(150)의 기울임 각도(V)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분사부(150)의 분사 두께 각도(T)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도 1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구된 캐비닛(111)과, 캐비닛(111)의 개구된 상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이하, '포'라고 한다θθ.)이 출입하는 포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12)와, 상기 포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13)와, 지지부재(117)에 의해 캐비닛(111)의 내부에 매달리고 댐퍼(118)에 의해 완충되는 외조(122)와, 외조(122)의 내측에 배치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포가 수용되는 내조(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조(115)에는 세탁수가 외조(122)와 내조(115)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공(115a)이 형성되고, 외조(122)의 상부에는 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포 출입홀(h)이 형성된 외조 커버(114)가 구비된다. 내조(115)의 바닥에는 회전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116)가 구비되고, 외조(122)의 하측에는 내조(115) 및/또는 펄세이터(116)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0)가 배치된다. 또한, 외조(122)로부터 세탁수를 배수시키도록 배수호스(142)와 배수펌프(144)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 the
탑커버(112)에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 전반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 패널(124)이 구비되고, 탑커버(112)의 내측에는 세제(D)가 수용될 수 있는 세제박스(134)와 세제박스(134)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며, 급수호스(119)로부터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34)를 경유하여 내조(115) 내로 공급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세제박스 하우징(136)이 배치된다. 세제박스 하우징(136)에는 급수호스(118)로부터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34)로 분배되도록 분배홀(136h)이 형성될 수 있다.The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트롤패널(124)을 통해 세탁 코스, 세탁 시간 등을 설정하고,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이 개시되면,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해 세제가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세제박스(114)를 경유하며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이하,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를 '세제수'라고 한다.)가 공급되고, 동시에 분사부(150)가 내조(115) 내로 세탁수를 분사한다. 이때, 분사부(150)에 의해 분사되는 세탁수는 넓게 퍼지면서 포에 직접 닿기 때문에, 세탁수양의 줄이면서도 헹굼성능이 향상된다.Referring to FIG. 2, when a user sets a washing course, a washing time, and the like through the
도 3을 참조하면, 분사부(150)에 의해 분사된 세탁수는 비교적 얇게 펼쳐지짐과 아울러, 소정의 각도로 비틀리면서 대략 내조(115)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분사된다. 따라서, 분사된 세탁수는 내조(115)의 내측면 및 바닥면에 함께 닿게 된다. 이때, 분사된 세탁수와 내조(115)가 닿는 부분의 상단 경계선(P)은 내조(115)의 내측면에서 바닥면으로 사선을 이루며 형성되기 때문에 분사면적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ashing water sprayed by the
도 4를 참조하면, 세제수에 의해 세탁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탁행정 중에 내조(115)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간헐적으로 탈수가 이루어 지게 되고, 내조(115)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포가 내조(115)의 내측면에 달라붙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내조의 바닥면을 향해 세탁수를 급수하고 급수된 세탁수가 차오르면서 포를 적시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기 내조의 내측면에 달라 붙어 있는 포를 헹구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세탁수가 소비되었고, 헹굼에 쓰이면서 오염된 세탁수가 여전히 상기 내조에 남게 되고 이로 인해 포가 다시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조 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시키고 다시 깨끗한 세탁수를 급수하는 과정이 수회 반복되어야 하고, 소비되는 세탁수의 양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while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내조(115)의 내측면과 바닥면에 있는 포(m)에 직접적으로 세탁수가 닿도록, 내조(115)의 내측면 및 바닥면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한다. 이때, 포에 골고루 세탁수가 분사되도록, 내조(115)가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조(115)를 계속 해서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시키거나,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포를 헹구면서 오염된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 수공(115a)을 통해 외조(122)로 출수되고, 배수펌프(144)가 작동되면서 배수유로(14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따라서, 포의 재오염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water contaminated while rinsing the cloth is discharged to the
도 5를 참조하면, 분사부(150)는 탑커버(112)에 장착되는 세제수 공급부(134, 136)의 일측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제박스 하우징(136)에는 분사부(150)를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156)이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이하,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분사부(150)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입관(151)과, 유입관(151)을 통과한 세탁수의 진행방향을 하방으로 경사지게 유도하며, 유입관(151)을 통과한 세탁수가 발산되도록 유로 단면적이 점차 증가되도록 형성된 발산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발산부(152)는 유입관(151)을 통해 세탁수가 유입되는 입구단측에서 세탁수가 분사되는 출구단측으로 점차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대략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 and 6 to 8, the
한편, 분사부(150)는 터브 커버(112)에 장착시 결합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155)는 유입관(151)의 외주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판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보강부(155)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체를 이루며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분사부(150)는 기준선(M)을 중심으로 좌, 우로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도 6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 기준선(M)이 수직선(L)과 사이에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도록, 유입관(151)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도 θfh 회전된 상태로 정렬된다.The
이하, 상기 각도 θ를 '회전 각도'라고 정의한다. 상기와 같이 분사부(150)가 수직선(L)과 각도 θ로 회전된 상태로 정렬되기 때문에, 내조(115)에 닿는 세탁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조(115)의 내측면에서 사선방향으로 진행하여 바닥면에 이르는 상단 경계선(P)을 이루게 된다. 즉, 여기서 상단 경계선(P)은 분사된 세탁수의 상측 경계면(S)이 내조(115)의 내면과 만나면서 형성되는 경계선이다. 이때, 상단 경계층(S)은 유입관(151)을 통해 유입되어 발산부(152)의 상면(152a)을 따라 분사되는 세탁수에 의해 형성된다.Hereinafter, the angle θ is defined as a 'rotation angle'. Since the
한편, 발산부(152)의 상면(152a)은 수직선(L)과 소정의 각도(V)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 소정의 각도 V를 '기울임 각도'라고 정의한다. 즉, 기울임 각도(V)가 작을 수록 세탁수가 하방을 향해 분사될 것이다. 또한, 기울임 각도(V)가 작을수록, 유입관(151)으로부터 유입되어 진행하는 세탁수가 상면(152a)으로부터 받는 충격은 더 커 질 것이고, 상면(152a)과 부딪힌 세탁수가 넓게 퍼지면서 분사되게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분사부(150)에 의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폭은 발산부(15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 유로의 폭을 이루는 양측경계(w1, w2)가 이루는 각도(도 6에서 W)에 의해 정해진다. 이하, 각도 W를 '분사 폭 각도'라고 정의한다.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washing water sprayed by the
마찬가지로, 분사부(150)에 의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두께는 발산부(15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 유로의 두께를 이루는 양측 계(t1, t2)가 이루는 각도 T에 의해 정해진다. 이하, 각도 T를 '분사 두께 각도'라고 정의한다.Similarly, the thickness of the washing water sprayed by the
유입관(151)은 세탁수가 유입되는 입구단(151a) 측에서 발산부(152)로 토출되는 출구단(151b)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입구단(151a)의 내경은 d1이고, 출구단(151b)의 내경은 d2로 표시되며, 이때, d1>d2가 성립한다. 즉, 유로관(151)의 직경이 입구단(151a)에서 출구단(151b)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발산부(152)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유동 속도가 증가하게 되고 분사력이 향상된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내조(115)의 내측면 및 바닥면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함과 아울러 분사된 세탁수와 내조(115)가 만나면서 형성되는 상단 경계선이 사선을 이루도록, 회전 각도(θ), 분사 폭 각도(W), 분사 두께 각도(T) 및 기울임 각도(V)가 정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W는 T 보다 크고 둔각을 이루며, V 및 θ는 예각을 이룬다.
한편, 분사되는 세탁수 중 더 많은 양의 세탁수가 내조(115)의 내측면에 닿도록 하기 위해서는 θ값이 더 커지도록 분사부(150)를 회전시켜 캐비닛 커버(112)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탁수가 폭 방향으로 얇게 펼쳐지면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T값이 V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발산부(15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have a larger amount of washing water spray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도 9는 내조(115)가 빈 상태에서 세탁수가 분사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세탁수 및 세탁물이 포화된 내조(115)에 세탁수가 분사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9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in an empty state of the
도 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내조(115)가 비워진 경우에는 외조(122)와 연결된 지지부재(117) 및 댐퍼(118)에 하중이 가장 적게 걸리게 된다. 이때 분사부(150)와 내조(115)의 상단과의 거리는 l이 되고, 분사부(150)에 의해 분사된 세탁수는 내조(115)의 상단으로부터 h 만큼 떨어진 높이까지 닿게 된다. 반면에, 내조(115)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용량까지 세탁수 및 세탁물이 수용된 경우에는, 지지부재(117) 및 댐퍼(118)에 가장 하중이 크게 걸리기 때문에, 내조(115)가 하측으로 처지게되고, 분사부(150)와 내조(115)의 상단 사이의 거리가 l'가 되고(l<l'), 분사된 세탁수는 내조(115)의 상단으로 부터 h'만큼 떨어진 높이까지 닿게 된다. (h>h')1, 9, and 10, when the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부하에 관계없이 내조(115) 내로 세탁수를 넘치지 않고 분사되도록 분사부(150)의 회전 각도 θ, 분사 폭 각도 W 및 분사 두께 각도 T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도 11은 분사부(150)가 탑커버(112)에 배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분사부(150)와 탑커버(112)의 조립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분사부(150)의 측면도이다.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탑커버(112)에는 분사부(150)을 설치하기 위한 유입관 관통홀(112a) 및 분사부 위치 설정홀(112b, 112c)이 형성된다. 분사부(150)의 유입관(151)이 유입관 관통홀(112a)에 삽입되고, 분사부(150)에 형성된 위치 설정돌기(156)가 각각 위치설정홀(112b, 112c)에 삽입됨으로써 분사부(150)가 탑커버(112)에 장착된다. 이때, 위치설정홀(112b, 112c)의 배치는 분사부(150)의 분사방향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14는 분사부(150)가 탑커버(112)에 배치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탑커버(112)의 저면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탑커버(112) 및 분사부(150)의 측면도이다.FIG. 1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분사부(150)는 세제박스(134)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탑커버(112)의 저면에 설치된다. 분사부(150)를 탑커버(112)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112d)이 제공될 수 있다.14 to 15,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세제박스(134)로 유입되는 유로 중 일부를 분지시켜 분사부(150)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유로 구성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Due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nect a portion of the flow path flowing into the
도 16은 분사부(150)가 외조 커버(114)에 배치되는 형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외조 커버(114)의 저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외조 커버(114)의 측단면도이다.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분사부(150)는 외조 커버(114)이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외조 커버(114)의 저면에는 분사부(150)의 유입관(151)이 삽입되는 유입관 연결구(114a)가 외조 커버(114)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The
분사부(150)를 외조 커버(114)에 설치함으로써, 포 및/또는 세탁수의 하중에 따라 내조(115)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내조(112)에 대하여 분사부(150)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부하가 증가하여 내조(115)가 하측으로 쳐지더라도 세탁수가 내조(115)를 넘치지 않고, 내조(115) 내로 안정적으로 분사되는 장점이 있다.
By installing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at i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hat ar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100: 세탁물 처리기기 111: 캐비닛
112: 탑커버 115: 내조
122: 외조 114: 외조 커버
134, 136: 세제수 공급부 134: 세제박스
136: 세제박스 하우징 150: 분사부
151: 유입관 152: 발산부100: laundry treatment machine 111: cabinet
112: top cover 115: inner tank
122: outer cover 114: outer cover
134, 136: detergent water supply unit 134: detergent box
136: detergent box housing 150: injection unit
151: inlet pipe 152: diverging part
Claims (4)
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포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캐비닛 커버;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조; 및
상기 캐비닛 커버에 배치되어 상기 내조의 바닥면 및 내측면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를 통해 분사된 세탁수가 상기 내조와 만나며 이루는 상단 경계선은 상기 내조의 내측면 상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사선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An upper cabinet;
A cabinet cover formed with a fabric access hole to allow the fabric to enter and exit, and a cabinet cover disposed above the cabinet;
An inner tub rotatably disposed in the cabinet; And
Is disposed on the cabinet cover and comprises a spray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ank,
The upper boundary line formed by the wash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meets the inner tank includes a diagonal line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ank.
상기 분사부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을 통해 공급된 세탁수의 진행경로를 따라 유로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 발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산부는,
상기 유입관을 통해 공급된 세탁수가 부딪치며 진행방향이 굴절되도록 하는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경계선은 상기 상면을 따라 분사된 세탁수가 상기 내조와 만나는 경계로 정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injection unit
An inlet pipe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s introduced; And
Comprising a diverging portion formed so that the passag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progress path of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flow pipe,
The diverging unit,
It includes a top surface so that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pipe bumps and the traveling direction is refracted,
The upper boundary line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defined as a boundary in which the washing water sprayed along the upper surface meets the inner tank.
상기 상단 경계선의 한쪽 끝은 상기 내조의 바닥면 상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 끝은 상기 내조의 내측면 상에 위치하는 세탁물 처리기기.The method of claim 2,
One end of the upper boundary line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tank, the other end laundry machine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tank.
상기 캐비닛 커버에는 상기 유입관이 삽입되는 유입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발산부로부터 위치 설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 커버에는 상기 유입관이 상기 유입관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위치 설정돌기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위치 설정홀이 더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cabinet cover is formed with an inlet pipe through hole into which the inlet pipe is inserted,
A positioning projection protrudes from the diverging portion,
The cabinet cover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positioning hole in which the positioning projection is inserted so that the inlet pipe is not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through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1693A KR20130045314A (en) | 2013-04-16 | 2013-04-16 | Wash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1693A KR20130045314A (en) | 2013-04-16 | 2013-04-16 | Washing machin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9139 Division | 2009-04-03 | 2009-04-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5314A true KR20130045314A (en) | 2013-05-03 |
Family
ID=4865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1693A KR20130045314A (en) | 2013-04-16 | 2013-04-16 | Wash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45314A (en) |
-
2013
- 2013-04-16 KR KR1020130041693A patent/KR2013004531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73424B2 (en) | Washing machine | |
CN102597354B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 |
US20090249838A1 (en) | Washing machine | |
US9909246B2 (en) | Washing method | |
EP2488689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180119327A1 (en) | Cloth-treating apparatus | |
KR101597527B1 (en) |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
US20100236001A1 (en) | Washing method | |
KR101602671B1 (en) | Washing machine | |
KR101608657B1 (en) | Washing machine | |
KR20110040180A (en) | Washing machine | |
KR10171617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laundry | |
KR101689720B1 (en) | Washing machine | |
KR101325766B1 (en) | Washing machine | |
KR101461391B1 (en) | Washing machine having air generation apparatus | |
KR20130045314A (en) | Washing machine | |
KR10170018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laundry | |
KR101010692B1 (en) | Drum washing machine | |
KR100347901B1 (en) | Apparatus for making a falling water of washing machine | |
KR101299508B1 (en) |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
KR101299507B1 (en) |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
KR20110086422A (en) |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
KR20050121051A (en) | Washing machine | |
JPH11290574A (en) | Washer | |
KR20130077986A (en) | Washing water circulation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