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049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망들을 이용한 음성 호의 연속성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망들을 이용한 음성 호의 연속성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049A
KR20130045049A KR20110109491A KR20110109491A KR20130045049A KR 20130045049 A KR20130045049 A KR 20130045049A KR 20110109491 A KR20110109491 A KR 20110109491A KR 20110109491 A KR20110109491 A KR 20110109491A KR 20130045049 A KR20130045049 A KR 20130045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all
terminal
party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0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052B1 (ko
Inventor
김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052B1/ko
Priority to PCT/KR2012/008758 priority patent/WO2013062308A1/en
Priority to EP12844241.5A priority patent/EP2772095B1/en
Priority to US13/660,397 priority patent/US8953560B2/en
Publication of KR20130045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049A/ko
Priority to US14/590,412 priority patent/US972353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호의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은, 상대방 단말과 제1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망에서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과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제2통신부와, 상기 제2망에서 호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종료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망들을 이용한 음성 호의 연속성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CONTINUITY USING DIFFERENT NETWORKS IN WIREL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망(network)들을 이용하여 음성 호의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대역 통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속, 대용량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규격의 통신 기술로의 전환이 고려되고 있다. 새로운 규격의 통신 기술이 도입될 때, 전국망을 구축하기 전까지의 과도기적 기간 동안, 새로운 시스템은 제한적인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리지의 제약으로 인해, 새로운 시스템을 통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이동하는 사용자는 서비스의 단절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준은 신규 망 및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가지는 기존 망 간 VCC(Voice Call Continuity) 기술 및 SRVCC(Single Radio VCC)를 정의하고 있다. 상기 VCC 기술 및 상기 SRVCC 기술이 고려하는 기존 망은 CS(Circuit Switched) 망, 신규 망은 PS(Packet Switched) 망을 의미한다. 상기 VCC는 CS 도메인(domain) 및 IMS(IP Multimedia Subsystem) 간 음성 호(voice call)을 전환하는 기술로서, 음성 호 발생(origination), 음성 호 종료(termination)을 위한 기능 및 CS 도메인 및 IMS 간 도메인 전환을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SRVCC는 단말이 주어진 시간에 하나의 접속 망을 통하여만 송신/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PS 접속 기반의 IMS 및 IMS에 앵커(anchor)된 호를 위한 CS 접속 간의 VCC이다.
상기 VCC 기술 및 상기 SRVCC 기술에 따르면, IMS 서버(server)가 모든 호(call)의 앵커(anchor)로서 기능한다. 즉, 신규 망을 통한 VoIP 호는 물론 CS 호도 기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 아닌 IMS를 기반으로 서비스된다. VCC의 경우, VoIP 호 및 CS 호 간에 양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양방향 전환을 위해, 상기 CS 호는 PSTN 망을 사용하지 못하고 언제나 IMS 서버를 통해 설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는 CS 망을, 코어(core) 망은 PS 기반의 IMS 서버를 이용하게 되며, 각 방식의 특성 차이로 인해 망효율이 떨어지고 음성 서비스(voice service)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핸드오버(voice handover)가 무선 인터페이스가 아닌 IMS 단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성 데이터의 유실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일시적인 음성 단절 등 음성 품질(voice quality)이 저하될 수 있다.
SRVCC의 경우, MSC에 의해 PSTN 망을 사용하는 CS 호 및 IMS 서버를 통한 호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VoIP 호에서의 CS 호로의 단방향 전환만이 지원된다. 즉, 단말이 신규 망의 커버리지 내에서 호 설정 중 상기 신규 망의 커버리지를 벗어나면, 호는 기존 망으로 전환되나, 다시 신규 망의 커버리지로 진입하더라도 VoIP 호로 전환되지 아니한다. 이 경우, CS 호는 IMS 서버에 앵커(anchor)된다.
나아가, CS 망에서 호를 제어하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PS 망에서 호를 제어하는 IMS 서버 간의 새로운 인터페이스(new interface)의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SRVCC 기술은 이종 망 간의 핸드오버(handover)를 기반으로 하므로, 상기 SRVCC 기술은 핸드오버를 위한 두 망들 간의 인터페이스들을 더 요구한다.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1x 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 간에 1xCS(1xCircuit Switched) IWS(InterWorking Solution function), S102 등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고, WCDMA(Wideband CDMA) 망 및 LTE 망 간에 S3, S3-CS 등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기존 방식의 또 다른 문제점은, PS 망 및 CS 망이 서로 다른 보코더(vocoder)를 채용할 경우, 코어 망에서 트랜스코딩(transcoding)을 하거나, 또는, 두 망들이 동일한 보코더를 사용하도록 한 쪽 망을 수정해야 하는 점이다. 예를, 들어 LTE 망과 CDMA1x 망의 경우, 사용되는 보코더들은 AMR(Adaptive Multi Rate ) 및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c)로서, 서로 상이하다. VCC의 경우, IMS 서버에서 VCC 수행 후 음성 호가 종료될 때까지 트랜스코딩이 수행되거나, 또는, 두 망들의 보코더들이 일치되어야 한다. 전자의 경우, 코어 망의 부담이 증가하고, 후자의 경우 단말이 지원해야하는 보코더가 확장되어야 한다. 사업자의 코어 망은 기본적으로 타 사업자의 가입자와의 통화 시에 트랜스코딩을 지원하나, VCC의 경우 동일 사업자의 가입자들 간 통화 시에도 트랜스코딩이 필요하기 때문에, 코어 망의 부담이 크게 증가한다. SRVCC의 경우, VC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코어 망에서의 트랜스코딩이 수행되거나, 또는, 보코더의 일치가 필요하다. 단, SRVCC는 PSTN을 이용한 기존 음성 호도 가능하므로, 상기 보코더를 상기 AMR로 통일할 경우, CS 망은 상기 AMR 및 상기 EVRC를 모두 지원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규 시스템이 전국망으로 구축하기 전까지의 과도기적 기간 동안 신규 시스템만으로의 통화 서비스 제공은 호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 망을 이용한 VCC 또는 SRVCC 기술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규격화된 VCC 기술 및 SRVCC 기술은 신규 망 및 기존 망에서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요구한다. 또한, 핸드오버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핸드오버로 인한 연결 지연의 우려가 있으며, 나아가, 데이터 유실의 가능성 및 보코더 통일의 문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추가적 인터페이스 구축, 연결 지연, 데이터 유실, 보코더 통일 요구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효과적으로 호의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호의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추가 없이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호의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VoIP 호 및 CS 호 간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상대방 단말과 제1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망에서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과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제2통신부와, 상기 제2망에서 호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종료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호를 제어하는 장치는,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발신자 및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제2망에서 호를 보유한 경우, 상기 제1망에서의 호가 상기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한 단말들 간에 요청된 이중 호 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망에서의 호가 상기 이중 호이면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을 허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대방 단말과 제1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망에서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과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망에서 호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호를 제어하는 객체의 동작 방법은,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발신자 및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제2망에서 호를 보유한 경우, 상기 제1망에서의 호가 상기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한 단말들 간에 요청된 이중 호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망에서의 호가 상기 이중 호이면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을 허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둘 이상의 망들에 접속 가능한 단말이 이중 호(dual call) 연결을 통해 호의 연결 매체를 변경함으로써, 시스템의 추가적인 인터페이스 구축, 연결 지연, 데이터 유실 등의 문제점 없이 효과적으로 호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커버리지 분포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호 제어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망 전환을 시작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망 전환에 대응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호 제어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망(network)들을 이용하여 호의 연속성(continuity)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규격에 따르는 제1망 및 제2망을 가정한다. 이하 설명에서, 제1망은 특정 지역 내에서 빈틈 없는 커버리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제2망은 상기 제1망의 커버리지 내의 일부 영역을 점유하는 커버리지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커버리지 분포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망은 지역 전체를 포함하는 커버리지를 가진다. 제2망은 상대적으로 제한된 커버리지를 가지며, 상기 제1망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망의 커버리지의 일부와 중첩된다. 상기 제2망과 같은 커버리지 분포는 상기 제2망을 전국망으로 구축하는 과도기적 기간 동안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망은 이미 전국망으로 구축된 기존 망일 수 있다.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은 서로 다른 통신 규격에 따른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망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기반한 CS(Circuit Switched) 망일 수 있고, 상기 제2망은 인터넷 망에 기반한 PS(Packet Switched) 망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CS 망은 CDMA1x(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it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S 망은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Fi(Wireless Fidelity)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제1망을 CS 망으로, 제2망을 PS 망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규격의 PS 망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계층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단말(210), 제1접속망(access network)(221), 제2접속망(222), 제1호(call) 제어국(231), 제2호 제어국(232), PSTN(240), 인터넷 망(250)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210)은 사용자 장비이다. 상기 단말(210)은 제1망에 속한 상기 제1접속망(221)에 접속할 수 있고, 제2망에 속한 상기 제2접속망(222)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210)은 상기 제1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즉, 상기 단말(210)은 둘 이상의 모뎀들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단말(210)에 포함되는 상기 둘 이상의 모뎀들은 별도의 칩(chip)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210)은 SVD(Simultaneous Voice and Data)를 지원한다. 상기 SVD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210)은 상기 둘 이상의 모뎀들을 이용한 이중 호(dual call) 기반의 망 전환을 지원한다. 상기 단말(210)은 셀룰러 전화기(celluar phone), 개인 휴대 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 무선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망(221)은 상기 제1망에 속하며, 상기 단말(210)로 상기 제1망을 통한 서비스를 위한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상기 제1접속망(221)의 상세 구성은 상기 제1망의 시스템 규격 및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접속망(221)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SC(Base Station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TS는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210)과 무선 링크(link)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BSC는 상기 BTS의 상위 노드(node)로서, 다수의 BTS들을 관리하고, 무선 채널 설정(Setup), 핸드오버(Handover)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2접속망(222)은 상기 제2망에 속하며, 상기 단말(210)로 상기 제2망을 통한 서비스를 위한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상기 제2접속망(222)의 상세 구성은 상기 제2망의 시스템 규격 및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접속망(221)은 eNB(evolved Node B), S-GW(Serving GateWay),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NB는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210)과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S-GW는 상기 eNB 및 패킷 망과의 데이터 경로를 관리한다. 상기 P-GW는 상기 단말(210)로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QoS(Quality of Service) 정책을 적용하며, 데이터 전달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MME는 상기 단말(210)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을 담당하고, 베어러(bearer) 및 이동성을 관리한다.
상기 제1호 제어국(231)은 상기 제1망을 통해 상기 단말(210)로부터 발신되는 호 및 상기 제1망을 통해 상기 단말(210)로 착신되는 호를 통제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호 제어국(231)은 상기 제1망을 통해 상기 단말(210)로부터 발신되는 호의 상대방을 식별하고, 호를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1호 제어국(231)은 상기 단말(210)로 착신되는 호를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접속망(221)을 통해 상기 단말(210)을 페이징(paging)한다. 상기 제1호 제어국(231)은 MSC(Mobile Switching Center)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2호 제어국(232)은 상기 제2망을 통해 상기 단말(210)로부터 발신되는 호 및 상기 제2망을 통해 상기 단말(210)로 착신되는 호를 통제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호 제어국(232)은 상기 제2망을 통해 상기 단말(210)로부터 발신되는 호의 상대방을 식별하고, 상기 호를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2호 제어국(232)은 상기 단말(210)로 착신되는 호를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접속망(222)을 통해 상기 단말(210)을 페이징한다. 상기 제2호 제어국(232)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또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PSTN(240)은 상기 제1망의 코어 망으로서, 전화 회선을 접속하여 가입자 간에 통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망이다. 서로 다른 사업자들의 가입자들 간에는 상기 PSTN(240)을 통해 CS 호의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반면, 동일 사업자의 가입자들 간에는 상기 제1호 제어국(231), 예를 들어, MSC를 통해 CS 호의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망(250)는 상기 제2망의 코어 망으로서,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망이다. 서로 다른 사업자들의 가입자들 간에는 상기 인터넷 망(250)을 통해 VoIP 통화를 위한 음성 패킷이 전달된다. 반면, 동일 사업자의 가입자들 간에는 상기 제2호 제어국(232), 예를 들어, IMS 서버를 통해 VoIP 통화를 위한 음성 패킷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2개의 단말들, 단말A 및 단말B가 존재하며, 상기 단말A 및 상기 단말B 간 상기 제2망을 통해 VoIP 호가 설정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이때, 상기 단말A 및 상기 단말B는 호의 연속성을 위한 망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한다. 상기 망 전환은 상기 제2망에서 상기 제1망으로 호의 연결 매체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망 전환 실시 조건은 상기 제2망에 대한 신호 세기가 제1임계치보다 작고, 상기 제1망에 대한 신호 세기가 제2임계치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A가 상기 망 전환의 조건이 만족됨을 판단하면, 상기 단말A는 망 전환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망 전환이 종래의 IRAT(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핸드오버와 상이한 점은 단말에 의해 스스로 수행 여부가 판단되는 것 및 망 전환이 필요한 경우 단말 스스로 망 전환을 시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망 전환은 DCVCC(Dual Call Voice Call Continuity)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단말A가 상기 망 전환을 결정하면, 상기 단말A는 상기 제2망을 통한 호를 유지한 채, 상기 제1망을 통한 호를 추가로 설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A는 상기 제1접속망(221)에 접속하고, 상기 제1호 제어국(231)로 상기 단말B로의 호 설정을 요청한다. 이때, 통화 연결을 위한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수신자 번호 표시, 연결음 출력 등의 절차는 모두 생략된다. 이로 인해, 상기 단말A의 사용자는 망 전환 절차를 인지하지 못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망 전환이 수행됨을 사용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A는 화면 또는 소리를 통해 상기 망 전환의 수행을 알릴 수 있다. 이후, 후술되는 절차에 의해 상기 제1망에서의 호가 설정되면, 상기 단말A는 음성 데이터 경로를 상기 제2망을 위한 모뎀에서 상기 제1망을 위한 모뎀으로 스위칭(switching)하고, 상기 제2망에서의 호를 종료한다.
상기 호 설정을 요청받은 상기 제1호 제어국(231)은 상기 단말A에서 발신된 호의 허용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단말A는 상기 제1망은 물론 상기 제2망에서도 호 설정이 가능하므로, 상기 제1호 제어국(231)은 상기 단말A가 상기 제2망에서 이미 호를 가지는지 판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호 제어국(231)은 상기 제2호 제어국(232)으로부터 상기 단말A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단말들의 호 상태를 관리하는 별도의 객체로부터 상기 단말A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별도의 객체는 HSS(Home Subscriber Server)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단말A가 상기 제2망에서 호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상기 제1망을 통한 이중의 호 설정은 허용되지 아니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호 제어국(231)은 상기 제2망에서 설정된 호의 상대방 및 상기 제1망에서 요청된 호의 수신자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2개의 호들의 상대방이 동일하면, 상기 제1호 제어국(2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전환 상황임을 인지하고, 호 설정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호 제어국(231)은 상기 제1접속망(221)을 통해 상기 단말B를 페이징(paging)한다. 이때, 상기 제1망에서 상기 단말A 및 상기 단말B를 관리하는 호 제어국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호 제어국(231)은 상기 단말B를 관리하는 다른 호 제어국으로 페이징을 요청한다. 이 경우, 상기 단말B를 관리하는 다른 호 제어국은 상기 단말B가 상기 제2망에서 이미 호를 가지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2망에서 설정된 호의 상대방 및 상기 제1망에서 요청된 호의 발신자를 비교한 후, 2개의 호들의 상대방이 동일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전환 상황임을 인지하고, 상기 제1접속망(221)을 통해 상기 단말B를 페이징(paging)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A가 상기 제1망에서 호 설정 요청 시, 본 발명의 DRVCC 기반의 망 전환을 실시함을 알리는 지시자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호제어국(231)은 별도의 확인 절차 없이 상기 지시자를 통해 망 전환 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망(221)도 망 전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망에서의 페이징을 수신한 상기 단말B는 상기 제1망의 호를 위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설정한다. AWIM(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B는 상기 호의 발신자 및 상기 제2망에서 설정된 호의 상대방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2개의 호들의 상대방이 동일하면, 상기 단말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 전환 상황임을 인지하고, 상기 제2망을 통한 호를 상기 제1망을 통한 호로 전환한다. 이때, 통화 연결을 위한 UI, 예를 들어, 발신자 번호 표시, 수신음 출력, 사용자 수락 대기 등의 절차는 모두 생략된다. 즉, 상기 단말B는 음성 데이터 경로를 상기 제2망을 위한 모뎀에서 상기 제1망을 위한 모뎀으로 스위칭(switching)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통해, VCC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추가 증설 없이, PS 망 및 CS 망의 핸드오버가 실시될 수 있다. 나아가,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 상의 수정도 요구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망 전환 시, 상기 음성 데이터 경로의 스위칭으로 인한 음성 단절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음성 데이터 경로의 스위칭'을 '음성 스위칭(voice switching)'이라 칭한다.
음성(voice) 통화 시 오디오 코덱(audio codec)은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을 디지털(digital) 신호로 샘플링(sampling)하고, 샘플링 데이터를 모뎀으로 전달한다. 동시에, 상기 오디오 코덱은 상기 모뎀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analog)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오디오 코덱 및 모뎀 간 음성 데이터 경로는 하나의 모뎀에만 활성화, 즉, 오디오 코덱은 하나의 모뎀과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VCC 기법에 따라 망이 전환되는 순간, 오디오 코덱의 음성 데이터 경로도 모뎀들 간 스위칭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중 호(dual call) 기반의 DCVCC 기법의 경우, 2개의 호들이 이중으로 설정되므로, 각 망을 위한 보코더(vocoder)들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단말에 구비된 오디오 코덱은 음성 데이터를 2개의 모뎀들 모두로 제공하고, 상기 2개의 모뎀들은 각자의 보코더를 통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encoding)하고, 음성 패킷을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송신한다. 이때, 수신측 단말에 구비한 2개의 모뎀들은 해당 망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패킷을 디코딩(decoding)하여 동일한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오디오 코덱의 앞단에서의 스위칭을 통해, 상기 2개의 모뎀들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 중 하나만이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입력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CDMA 시스템으로 DCVCC가 수행되는 경우, LTE 모뎀 및 CDMA 모뎀은 동시에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LTE 모뎀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만 오디오 코덱으로 제공된다. 이때, VCC가 결정되면, CDMA 모뎀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제공되도록 음성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요약하면, 송신측 단말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각 망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인코딩하고, 각 망으로 음성 패킷을 송신한다. 수신측 단말은 각 망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패킷을 모두 디코딩하되, 하나의 음성 데이터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VCC 시점에서, 상기 수신측 단말은 음성 스위칭을 수행한다. 상술한 방식을 적용할 경우, 2개의 망들 간 동기(sync)가 정확히 일치하지 아니하더라도 1개 이상의 음성 패킷 유실(packet loss)은 발생하지 않는다. 단, 오디오 코덱에서 다수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이용한 다중 출력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코덱은 하나의 모뎀과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단절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른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안은 음성 스위칭(voice switching) 이후 이전 망에서의 호를 종료하는 시점을 일정 시간 지연(delay)하는 것이다. 2개의 단말들의 음성 스위칭 시점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단말이 먼저 음성 스위칭 후, 호를 종료하였지만, 다른 단말은 아직 음성 스위칭을 수행하지 아니한 경우, 음성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S 망에서 CS 망으로 음성 스위칭 시, 하나의 단말이 음성 스위칭 후 PS 호를 종료하였지만, 다른 단말은 아직 CS 망으로 음성 스위칭을 수행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다른 단말은 CS 망으로 음성 스위칭 전까지 음성을 출력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2개의 단말들에서 음성 스위칭 후 일정 시간 동안 이중의 호 설정을 유지하면, 음성 단절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음성 스위칭 및 인코딩/디코딩 방식에 의해, 서로 다른 보코더들 간 트랜스코딩(transcoding)이 요구되지 아니한다. PS 망 및 CS 망이 서로 다른 보코더를 채용한 경우, 기존의 VCC 기법은 트랜스코딩 또는 보코더의 통일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독립적인(independent) 2개의 호들이 설정되는 방식에 기반하므로, 서로 다른 보코더들이 사용되더라도 상기 트랜스코딩이 필요하지 아니하다. 또한, 오디오 코덱에서 음성 스위칭을 수행함으로써 음성 데이터 유실이 최소화된다. 서비스 품질 관점에서, 음성 데이터 유실의 최소화는 음성 단절 구간의 최소화를 보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DCVCC에 따라 호의 연결 매체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오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류 상황은 새로운 망에서의 호 설정이 실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실패 판단 기준 및 대처 방안이 정의되어야 한다. 일 예로, 상기 실패 판단 기준으로서, 타이머(timer)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해당 망의 규격에 정의된 호 연결에 대한 실패 기준이 채용될 수 있다. 대처 방안의 일 예로서, 단말은 실패 이후 재시도(retry)하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또는, 대처 방안의 다른 예로서, 단말은 해당 망의 규격에 정의된 바에 따를 수 있다.
오류 상황의 다른 예로, 상기 오류 상황은 2개의 단말들이 서로 망 전환을 시도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호 설정을 요청받은 상기 제1호 제어국은 호 설정을 요청한 단말이 제2망에서 이미 호를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중 호 여부를 판단한 후, 제1망을 통한 호 설정을 허용한다. 그러나, 수신측 단말이 동일한 시점에서 상기 제1호 제어국으로 이중 호를 요청한 경우, 상기 수신측 단말이 이미 제1망에서도 호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어 이중호를 허용하더라도, 상기 제1호 제어국은 호 설정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 경우, 일반적인 호의 경우, 발신자에게 통화 중 응답이 송신된다. 즉, 2개의 단말들이 동시에 서로 망 전환을 시도할 경우, 상기 2개의 단말들이 모두 상대방이 통화 중이라는 응답을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대처 방안의 일 예로, 이중 호 시도 시 수신측 단말이 제1망에서도 호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각 시스템의 호 제어국은 호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이중 호 연결을 다시 시도할 수 있다. 대처 방안의 다른 예로, 단말이 상대방이 통화 중인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면, 상기 단말은 호 연결을 해제하고,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이중 호 설정을 재시도 할 수 있다. 즉, 이중 호 설정 중 상대방 단말이 통화 중임을 알리는 신호 또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각 단말은 동시에 이중 호 설정을 시도한 것이라 인지하고, 2개의 단말 중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단말만이 이중 호 설정을 재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의된 규칙은 기존의 호를 발신한 단말이 재시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화 중 응답은 상기 동시 시도를 나타내는 별도의 응답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오류 상황의 또 다른 예로, 상기 오류 상황은 2번째 호 설정 중 1번째 호가 끊어진(drop)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들은 2번째 호의 설정 절차를 지속한다. 이때, 상기 2번째 호의 설정도 실패된 경우, 다시 말해, 2개의 호들 모두가 실패한 경우, 상기 단말들은 호의 드랍(drop)이라 판단한다. 이를 통해, 단말의 호 드랍(drop)율이 낮아질 수 있다. VCC 기법에 의한 망 전환은 일반적으로 PS 망의 커버리지의 경계 지점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핸드오버에 기반한 VCC 기법의 경우, 망 전환 완료 이전에 기존 망에서의 호가 끊어지면, 핸드오버 절차가 중단되고, 호 드랍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중 호 기반의 DRVCC 기법의 경우, 두 망들 간 상호작용(interaction)이 없으므로, 기존 망에서의 호가 끊어지더라도 새로운 망에서의 호 설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한 단말들은 제1망으로 호의 연결 매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절차와 유사한 과정을 통해, 제1망에서 호를 설정한 단말들이 제2망으로 호의 연결 매체를 변경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상기 제2망의 커버리지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므로, 상대방도 제2망의 커버리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가 추가된다. 상기 제2망의 커버리지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상기 제2망에서 이동성을 관리하는 객체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성을 관리하는 객체는 IMS 서버일 수 있다.
VCC는 대부분 제한된 커버리지를 가지는 망의 경계 지점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단말이 경계 지점에서 호를 지속할 경우 제1망 및 제2망 간에 VCC가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반복적인 VCC 수행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리지가 제한되는 제2망에서 제1망으로의 망 전환, 즉, DRVCC는 호 드랍(call drop)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언제나 허용하고, 상기 제1망에서 제2망으로의 망 전환, 즉, DRVCC는 이전 DRVCC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후에 허용하거나, 또는, DRVCC 판단 기준을 강화하여 발생빈도를 낮출 수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서, 상기 제1망에서 상기 제2망으로의 DRVCC를 금지하는 방안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호의 연속성을 제공하는 단말 및 호 제어국의 구성 및 동작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제1RF처리부(310-1), 제2RF처리부(310-2), 제1모뎀(320-1), 제2모뎀(320-2), 오디오처리부(330), 스위치(340), 호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RF처리부(310-1) 및 상기 제1모뎀(320-1)는 제1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RF처리부(310-2) 및 상기 제2모뎀(320-2)는 제2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제1모뎀(320-1) 및 상기 제2모뎀(320-2)는 분리된 2개의 칩들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다중 모드(multi-mode)를 지원하는 1개의 통합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뎀(320-1) 및 상기 제2모뎀(320-2)이 1개의 통합 칩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통합 칩은 상기 스위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뎀은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뎀 및 상기 RF처리부의 묶음이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RF처리부(310-1)는 상기 제1망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및 기저대역 신호 간 상호 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제1RF처리부(310-1)는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RF처리부(310-2)는 상기 제2망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및 기저대역 신호 간 상호 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제2RF처리부(310-2)는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뎀(320-1)은 상기 제1망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상호 변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CDMA 방식에 따르는 경우, 상기 제1모뎀(320-1)은 코드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확산하고, 수신 신호를 역확산한다. 또한, 상기 제1모뎀(320-1)은 주기적으로 상기 제1망과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상기 호제어부(35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품질은 신호 세기, 수신 전력, SNR(Signal to Nois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뎀(320-1)은 VCC 기법에 따라 망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VCC제어부(32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망에서 호가 진행중인 경우, 상기 VCC제어부(322-1)는 망 전환 실시 조건이 만족되는지 모니터링하고, 상기 망 전환 실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망 전환을 수행하도록 상기 호제어부(350)를 트리거링(triggering)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모뎀(320-1)은 상기 채널 품질을 상기 호제어부(350)로 제공하고, 상기 망 전환 실시 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호제어부(35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모뎀(320-1)은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제1망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패킷을 디코딩하는 제1보코더(vocoder)(324-1)를 포함한다.
상기 제2모뎀(320-2)은 상기 제2망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상호 변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OFDM(Orth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제2모뎀(320-2)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생성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다. 또한, 상기 제2모뎀(320-2)은 주기적으로 상기 제2망과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상기 호제어부(35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품질은 신호 세기, 수신 전력 SNR, SINR, CINR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뎀(320-2)은 VCC 기법에 따라 망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VCC제어부(32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망에서 호가 진행중인 경우, 상기 VCC제어부(322-2)는 망 전환 실시 조건이 만족되는지 모니터링하고, 상기 망 전환 실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망 전환을 수행하도록 상기 호제어부(350)를 트리거링(triggering)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모뎀(320-2)은 상기 채널 품질을 상기 호제어부(350)로 제공하고, 상기 망 전환 실시 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호제어부(35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뎀(320-2)은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제2망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패킷을 디코딩하는 제2보코더(vocoder)(324-2)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호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330)의 DAC(332)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소리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처리부(330)의 ADC(334)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의 전기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상기 제1모뎀(320-1) 및 상기 제2모뎀(320-2) 각각과 연결된 경로들을 가진다.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2개의 경로들을 구성하기 위한 2개의 입출력 단자(port)들을 구비한 하나의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개의 입출력 단자를 구비한 칩 및 경로를 제어하는 스위칭 칩(switching chi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3의 경우,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2개의 출력 단자들을 구비하고, 1개의 입력 단자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에 스위치(340)가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디오 처리부(330)는 상기 스위치(340)에 의해 연결된 하나의 모뎀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또한, 이중 호 설정 시,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모뎀(320-1) 및 상기 제2모뎀(330-1) 양쪽으로 출력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모뎀(320-1) 및 상기 제2모뎀(320-2)이 1개의 통합 칩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스위치(340)는 상기 통합 칩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1개의 출력 단자만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된 스위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연결된 하나의 모뎀으로만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호제어부(350)는 상기 제1망 또는 상기 제2망을 통한 호 설정 여부를 판단하고, 호 설정 절차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호 설정 여부의 근본적인 판단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계층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호제어부(350)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 Appilcation Processor)일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호제어부(350)는 다른 계층에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호제어부(350)는 다음과 같이 망 전환 절차를 제어한다. 상기 망 전환 절차를 위해, 상기 호제어부(350)는 VCC제어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망에서 호 설정 중에 상기 단말이 상기 제1망으로의 전환을 트리거링하는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2망에서 호 설정 중에 상기 제2모뎀(320-1)로부터 상기 제1망으로의 전환이 트리거링(triggering)된 경우, 상기 호제어부(350)는 상기 제2망에서 설정된 호의 상대방으로 상기 제1망을 통해 호를 설정하도록 상기 제1모뎀(320-1)을 트리거링(triggering)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모뎀(320-1)은 상기 상대방과의 통신을 위한 상기 제1망의 접속 망과의 트래픽 채널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호제어부(350)는 통상의 통화 발신 시 발생하는 UI, 예를 들어, 수신자 번호 표시, 연결음 출력 등의 절차를 모두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호제어부(350)는 상기 제1모뎀(320-1) 및 상기 제2모뎀(320-2)로부터 제공되는 각 망의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상기 망 전환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호제어부(350)는 상기 오디오처리부(330) 및 상기 제1모뎀(320-1) 간 경로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스위치(34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호제어부(350)는 상기 제2망에서의 호를 종료하도록 상기 제2모뎀(320-2)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호제어부(350)는 음성 스위칭 후 미리 정의된 시간 경과하기 전까지 상기 제2망에서의 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망을 통한 호 설정 중에 상대방에 의해 상기 제1망으로의 전환이 트리거링되는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2망에서 호 설정 중 상기 제1망에서 호 설정을 요청하는 페이징이 발생하면, 상기 제1모뎀(320-1)은 페이징에 응답하고, 상기 제1망의 접속 망과의 채널을 설정한 후, 상기 호제어부(350)로 통지한다. 상기 제2망에서의 호 설정 중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을 위한 채널 설정이 이루어짐을 통지받으면, 상기 호제어부(350)는 상기 제2망을 통한 호의 상대방 및 상기 제1망을 통한 호의 발신자를 비교한다. 2개의 호들의 상대방이 동일하면, 상기 호제어부(350)는 본 발명의 망 전환 상황임을 인지하고, 상기 제2망을 통한 호를 상기 제1망을 통한 호로 전환한다. 즉, 상기 호제어부(350)는 음성 데이터 입력 경로를 상기 제2모뎀(320-2)에서 상기 제1모뎀(320-1)으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340)를 제어하고, 상기 제2망의 호를 종료하도록 상기 제2모뎀(320-1)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호제어부(350)는 통상적인 통화 수신시 발생하는 UI, 예를 들어, 발신자 번호 표시, 수신음 출력, 사용자 수락 대기 등의 절차를 모두 생략한다. 또한, 상기 호제어부(350)는 음성 스위칭 후 미리 정의된 시간 경과하기 전까지 상기 제2망에서의 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호 제어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 제어국은 통신부(410), 저장부(420),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410)는 접속 망 내 다른 객체들 및 코어 망 내 다른 객체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통신부(410)는 송신 데이터를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수신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저장부(420)는 상기 호 제어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420)는 상기 제어부(4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420)는 상기 호 제어국이 속한 망에서의 단말들의 호 보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420)는 단말이 본 망에서 설정된 호를 보유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본 망은 상기 호 제어국이 속한 망을 의미한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들의 호 보유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호 제어국 외 다른 다른 객체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부(420)는 상가 단말들의 호 보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호 제어국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30)는 본 망을 통해 단말로부터 발신 또는 착신되는 호를 통제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단말로부터 발신되는 호의 상대방을 식별하고, 상기 호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단말로 착신되는 호를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430)는 VCC모듈(432)를 포함하며, 상기 VCC모듈(432)을 통해 이중 호(dual call) 기반의 망 전환 상황을 지원한다. 즉, 다른 망에서 이미 호를 설정한 두 단말들 간 본 망을 통해 이중으로 호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VCC모듈(432)은 망 전환 상황임을 인지하고, 본 망에서의 호 설정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망에서 호 설정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430)는 다른 망의 호 제어국 또는 단말들의 호 보유 상태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객체로부터 발신자 및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다른 망에서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모두가 상기 호 제어국의 관리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모두에 대한 다른 망에서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나, 상기 발신자만이 상기 호 제어국의 관리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발신자에 대한 다른 망에서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수신자만이 상기 호 제어국의 관리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수신자에 대한 다른 망에서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로부터 제2단말과의 호 설정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제2단말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30)는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다른 망에서 호를 보유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다른 망에서 호를 보유하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430)는 본 망에서 요청된 호가 이중 호인지, 다시 말해, 상기 본 망에서 요청된 호가 상기 다른 망에서 호를 설정한 두 단말들 간에서 요청된 것인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발신자의 다른 망에서의 호의 상대방 및 상기 본 망에서의 호의 수신자를 비교한다. 또한, 상기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수신자의 다른 망에서의 호의 상대방 및 상기 본 망에서의 호의 발신자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30)는 전화번호 등 다양한 형태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상대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본 망에서 요청된 호가 이중 호이면, 상기 제어부(430)는 본 망에서의 호 설정을 허용한다. 다시 말해,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망에서 호를 보유하고 있고, 상기 본 망에서 요청된 호와 상기 다른 망에서의 호의 상대방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430)는 망 전환 상황임을 인지하고, 본 망에서의 호 설정을 허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30)는 접속 망으로 상기 발신자에게 페이징을 수행할 것을 명령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신자가 본 망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망이 제한된 커버리지를 가지는 망인 경우,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수신자가 본 망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자가 본 망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술한 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430)는 과금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DCVCC의 경우, 이중 호가 연결되더라도 첫 번째 호가 해제되기 전까지는 두 번째 호에 대한 과금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단말 스스로 DCVCC를 시도하는 경우 외에는 이중 호를 시도할 수 없도록 제한이 되어 있는 경우, 호 제어국은 제1망을 통한 호 연결 요청 시 상대 단말의 상태 확인 절차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일반적인 호 연결 절차에 따라 호 설정을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제어부(430)는 과금을 제어하기 위해 DCVCC 상황이라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망 전환을 시작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는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망 전환이 트리거링되는 경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501단계에서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제1망에 접속할 수 있는 모뎀 및 제2망 모두에 접속할 수 있는 모뎀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과 호를 설정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오디오 처리 블록은 상기 제2망을 위한 모뎀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다.
상기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은 503단계로 진행하여 망 전환 실시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망 전환 실시 조건은 상기 제2망에 대한 채널 품질이 제2임계치보다 작고, 상기 제1망에 대한 채널 품질이 제1임계치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은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에서의 채널 품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상기 망 전환 실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단말은 505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발신 시 발생하는 UI를 생략한 채 제1망에서의 호 설정을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은 이중 호를 이용한 망 전환을 수행할 것을 결정하고, 동일한 상대방에 대하여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한다. 단, 상기 단말은 통상의 통화 발신 시 발생하는 UI, 예를 들어, 수신자 번호 표시, 연결음 출력 등의 절차를 모두 생략한다.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에서 이중으로 호가 설정된 동안, 상기 단말은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 모두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을 완료한 후, 상기 단말은 507단계로 진행하여 제2망에서의 호를 종료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에서 상기 상대방과 이중으로 호를 설정한 후, 상기 제2망에서의 호를 종료한다. 단, 상기 제2망에서의 호를 종료하기에 앞서, 상기 단말은 상기 오디오 처리 블록이 상기 제1망을 위한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음성 데이터 입력 경로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음성 데이터 경로를 제어한 후 미리 정의된 시간 경과 전까지 상기 제2망에서의 호를 유지한 후, 상기 제2망에서의 호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절차 진행 중, 상기 제2망에서의 호가 끊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절차를 지속한다.
또한, 상기 도 5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대방 단말과 동시에 망 전환이 시도됨으로 인해,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중 통화 중 응답이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상대방 단말도 동시에 망 전환을 시도함을 인지하고,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망 전환 재시도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의된 규칙은 기존의 호를 발신한 단말이 재시도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망에서의 호의 발신자이면, 상기 단말은 상기 505단계 내지 상기 507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단말이 상기 제2망에서의 호의 발신자가 아니면, 상기 단말은 상대방 단말로부터의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요청을 대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망 전환에 대응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은 상기 단말의 상대방에 의해 상기 망 전환이 트리거링되는 경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망 전환에 대응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은 상기 단말의 상대방에 의해 상기 망 전환이 트리거링되는 경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601단계에서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제1망에 접속할 수 있는 모뎀 및 제2망에 접속할 수 있는 모뎀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과 호를 설정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오디오 처리 블록은 상기 제2망을 위한 모뎀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603단계로 진행하여 제1망에서 호 설정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호 설정에 대한 요청으로서, 상기 단말은 페이징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호 설정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단말은 605단계로 진행하여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을 요청하는 페이징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페이징에 응답하고, 상기 제1망의 접속 망과의 채널을 설정한다.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단말은 6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발신자 및 상기 제2망에서의 호의 상대방이 동일한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제2망에서의 호의 상대방 및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발신자를 비교한다. 즉, 상기 단말은 각 호의 상대방들을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상대방과 이중으로 호가 설정되었는지, 다시 말해, 망 전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각 망에서의 상대방이 동일하지 아니하면, 상기 단말은 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종료한다. 즉, 상기 망 전환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중으로 호가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은 코어 망에서의 오류로 인해 잘못된 호 설정이 수행되었음을 판단하고, 상대적으로 후에 설정된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종료한다. 나아가, 상기 단말은 오류 상황의 발생을 접속 망 또는 코어 망에 통지할 수 있다.
상기 각 망에서의 상대방이 동일하면, 상기 단말은 611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수신 시 발생하는 UI를 생략한 채 제2망에서 제1망으로 호를 전환한다. 즉, 상기 단말은 망 전환 상황임을 인지하고,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활성화한 후, 상기 제2망에서의 호를 종료한다. 단, 상기 단말은 통상적인 통화 수신시 발생하는 UI, 예를 들어, 발신자 번호 표시, 수신음 출력, 사용자 수락 대기 등의 절차를 모두 생략한다. 상기 제2망에서의 호를 종료하기에 앞서, 상기 단말은 상기 오디오 처리 블록이 상기 제1망을 위한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음성 데이터 경로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음성 데이터 경로를 제어한 후 미리 정의된 시간 경과 전까지 상기 제2망에서의 호를 유지한 후, 상기 제2망에서의 호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에서 이중으로 호가 설정된 동안, 상기 단말은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 모두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절차 진행 중, 상기 제2망에서의 호가 끊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절차를 지속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호 제어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은 제2망에서 제1망으로 망 전환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망에 속한 호 제어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호 제어국은 701단계에서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발신자를 제1단말, 수신자를 제2단말로 칭한다.
상기 제1망에서 호 설정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호 제어국은 7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다른 망에서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망에서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망의 호 제어국 또는 단말들의 호 보유 상태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객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모두가 상기 호 제어국의 관리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 제어국은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모두에 대한 다른 망에서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나, 상기 발신자만이 상기 호 제어국의 관리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 제어국은 상기 발신자에 대한 다른 망에서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수신자만이 상기 호 제어국의 관리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호 제어국은 상기 수신자에 대한 다른 망에서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다른 망에서의 호 보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호 제어국은 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망을 포함한 다른 망에서 호를 보유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망을 포함한 다른 망에서 호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면, 상기 호 제어국은 이하 711단계로 진행한다. 단, 상기 703단계에서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중 하나에 대한 정보만을 획득한 경우, 상기 호 제어국은 획득한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이 다른 망에서 호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면, 이하 71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다른 망에서 호를 보유하고 있으면, 상기 호 제어국은 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망에서 요청된 호가 이중 호인지, 다시 말해, 상기 제1망에서 요청된 호가 상기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한 두 단말들 간에서 요청된 것인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703단계에서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호 제어국은 상기 발신자의 제2망에서의 호의 상대방 및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수신자를 비교한다. 또한, 상기 703단계에서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호 제어국은 상기 수신자의 제2망에서의 호의 상대방 및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발신자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상기 호 제어국은 전화번호 등 다양한 형태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상대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망에서 요청된 호가 이중 호가 아니면, 상기 호 제어국은 709단계로 진행하여 본 망에서의 호 설정을 거부한다. 다시 말해,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망에서 호를 보유하고 있으나, 상기 701단계에서 요청된 호와 상기 다른 망에서의 호의 상대방이 상이한 경우, 상기 호 제어국은 본 망, 즉, 제1망에서의 호 설정을 거부한다. 이에 따라, 상기 호 제어국은 상기 발신자로 호 설정 불가함을 알리는 신호 및 연결 불가 원인을 알리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망에서 요청된 호가 이중 호이면, 상기 호 제어국은 711단계로 진행하여 본 망에서의 호 설정을 허용한다. 다시 말해,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망에서 호를 보유하고 있고, 상기 701단계에서 요청된 호와 상기 다른 망에서의 호의 상대방이 동일한 경우, 상기 호 제어국은 망 전환 상황임을 인지하고, 본 망, 즉, 제1망에서의 호 설정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호 제어국은 접속 망으로 상기 발신자에게 페이징을 수행할 것을 명령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단말이 본 망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망이 제한된 커버리지를 가지는 망인 경우, 상기 호 제어국은 상기 제2단말이 본 망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단말이 본 망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한다.
상기 도 7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1단말로부터의 이중 호 설정 요청 및 상기 제2단말로부터의 이중 호 설정 요청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호 제어국은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제2단말 모두에게 통화 중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8)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과 제1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망에서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과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제2통신부와,
    상기 제2망에서 호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종료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 중 하나는, CS(Circuit Switched) 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 중 나머지 하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으로 제공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에 이중으로 호가 설정된 동안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으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종료하기에 앞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의 음성 데이터 입력 경로를 상기 제1통신부에서 상기 제2통신부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 데이터 입력 경로를 스위칭하고 미리 정의된 시간이 경과 한 후,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부는,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2망으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상기 제1망에서의 채널 품질이 제1임계치보다 작을 조건, 상기 제2망에서의 채널 품질이 제2임계치보다 클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망에서의 호 설정 시, 수신자 번호 표시, 연결음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UI(User Interface) 없이 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제2망으로부터 호 설정이 요청되면, 상기 제2망의 접속 망과의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종료하기에 앞서, 상기 제2망에서의 호의 발신자 및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상대방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망에서의 호 설정 시, 발신자 번호 표시, 수신음 출력, 사용자 수락 대기 중 적어도 하나의 UI(User Interface) 없이 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호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발신자 및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제2망에서 호를 보유한 경우, 상기 제1망에서의 호가 상기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한 단말들 간에 요청된 이중 호 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망에서의 호가 상기 이중 호이면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을 허용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발신자가 상기 제2망에서 호를 보유한 경우, 상기 발신자가 상기 제2망에서 보유한 호의 상대방을 확인하고, 상기 제2망에서 보유한 호의 상대방 및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수신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이중 호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수신자가 상기 제2망에서 호를 보유한 경우, 상기 수신자가 상기 제2망에서 보유한 호의 상대방을 확인하고, 상기 제2망에서 보유한 호의 상대방 및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발신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이중 호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과 제1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망에서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과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망에서 호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종료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 중 하나는, CS(Circuit Switched) 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 중 나머지 하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에 이중으로 호가 설정된 동안, 상기 제1망 및 상기 제2망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종료하기에 앞서, 제2망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오디오 처리 블록의 음성 데이터 입력 경로를 스위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에서의 호는, 상기 음성 데이터 입력 경로를 스위칭하고 미리 정의된 시간이 경과 한 후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2망으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상기 제1망에서의 채널 품질이 제1임계치보다 작을 조건, 상기 제2망에서의 채널 품질이 제2임계치보다 클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수신자 번호 표시, 연결음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UI(User Interface) 없이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2망으로부터 호 설정이 요청되면, 상기 제2망의 접속 망과의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에서의 호를 종료하기에 앞서, 상기 제2망에서의 호의 발신자 및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상대방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발신자 번호 표시, 수신음 출력, 사용자 수락 대기 중 적어도 하나의 UI(User Interface) 없이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호를 제어하는 객체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망에서의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발신자 및 수신자 중 적어도 하나가 제2망에서 호를 보유한 경우, 상기 제1망에서의 호가 상기 제2망에서 호를 설정한 단말들 간에 요청된 이중 호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망에서의 호가 상기 이중 호이면 상기 제1망에서의 호 설정을 허용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호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발신자가 상기 제2망에서 호를 보유한 경우, 상기 발신자가 상기 제2망에서 보유한 호의 상대방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망에서 보유한 호의 상대방 및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수신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호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수신자가 상기 제2망에서 호를 보유한 경우, 상기 수신자가 상기 제2망에서 보유한 호의 상대방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망에서 보유한 호의 상대방 및 상기 제1망에서의 호의 발신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109491A 2011-10-25 2011-10-2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망들을 이용한 음성 호의 연속성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43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91A KR101843052B1 (ko) 2011-10-25 2011-10-2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망들을 이용한 음성 호의 연속성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12/008758 WO2013062308A1 (en) 2011-10-25 2012-10-2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continuity using different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2844241.5A EP2772095B1 (en) 2011-10-25 2012-10-2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continuity using different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3/660,397 US8953560B2 (en) 2011-10-25 2012-10-25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continuity using different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4/590,412 US9723530B2 (en) 2011-10-25 2015-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continuity using different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91A KR101843052B1 (ko) 2011-10-25 2011-10-2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망들을 이용한 음성 호의 연속성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049A true KR20130045049A (ko) 2013-05-03
KR101843052B1 KR101843052B1 (ko) 2018-03-29

Family

ID=4813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491A KR101843052B1 (ko) 2011-10-25 2011-10-2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망들을 이용한 음성 호의 연속성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953560B2 (ko)
EP (1) EP2772095B1 (ko)
KR (1) KR101843052B1 (ko)
WO (1) WO201306230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015A (ko) * 2013-08-30 2015-03-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31765A (ko)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팬택 단말 간 음성 통화 발신 방법 및 장치
KR20160140265A (ko) * 2015-05-29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264132B2 (en) 2016-08-01 2019-04-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between carri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1514B2 (en) 2013-04-19 2017-03-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mization of over-the-top (OTT) services on carrier networks
US9351203B2 (en) 2013-09-13 2016-05-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ice call continuity in hybrid networks
US9935787B2 (en) 2013-12-26 2018-04-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unneling VoIP call control on cellular networks
US9510251B2 (en) 2013-12-31 2016-1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ll handoff initiation in hybrid networks
US9560185B2 (en) 2014-03-1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ybrid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nnection indicator
KR102278510B1 (ko) 2014-03-26 2021-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9363711B2 (en) 2014-04-07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experiences during call handovers on a hybrid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9456333B2 (en) 2014-07-09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entralized routing in hybrid networks
US9479971B2 (en) * 2014-10-07 2016-10-25 General Motors Llc Controlling vocoder selection at a wireless device
US9930516B2 (en) * 2015-05-15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E monitoring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7251610B (zh) * 2015-05-20 2020-09-25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通信节点、终端及通信控制方法
US9712918B2 (en) * 2015-05-27 2017-07-18 Qsc, Llc Audio processor with bi-directional input/output ports
US10609613B2 (en) * 2016-08-19 2020-03-31 Qualcomm Incorporated UE network mobility during IMS
US11172411B2 (en) 2016-12-12 2021-1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service continuity threshol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3813396A1 (en) * 2019-10-25 2021-04-28 Thales Dis France Sa Chip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nnection to at least one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31666B (it) * 1975-02-12 1979-05-10 Sits Soc It Telecom Siemens Disposizione circuitale per il controllo automatico della continutta trasmissiva di un collegamento tra utente chiamante e utente chiamato in una rete di fonia e dati
US6975881B2 (en) * 2003-08-25 2005-12-13 Motorola, Inc.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during a cell reselection
US8078164B2 (en) 2004-01-06 2011-12-13 Vasu Networks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VOIP/cellular seamless roaming switching controller
US7613171B2 (en) * 2004-08-31 2009-11-03 Ephraim Zehavi Cellular network service over WLAN
US8130718B2 (en) * 2004-12-09 2012-03-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of cellular networks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01208970A (zh) 2005-06-15 2008-06-25 阿泽尔网络公司 在ip-can与cs网络之间的话音呼叫连续性应用服务器
US8023497B2 (en) * 2006-04-19 2011-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anchoring of CS calls for CS-to-VoIP handoffs
US8467792B2 (en) * 2006-06-27 2013-06-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call continu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GB0615695D0 (en) 2006-08-08 2006-09-13 Lucent Technologies Inc Call continuity
US20080089325A1 (en) * 2006-10-14 2008-04-17 E28 Limited Audio quality-based continuity switching system and method
US8249016B1 (en) * 2007-08-09 2012-08-21 Cellco Partnership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ter-domain handoff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a dual mode access terminal
US20090180440A1 (en) 2008-01-16 2009-07-16 Snrlabs Corporation Client-Based Multimode Handover in Communication Systems
US8483135B2 (en) * 2008-07-30 2013-07-09 Alcatel Lucent Online charging for sessions that are transferred between network domains
EP2224671B1 (en) 2009-02-27 2016-05-25 Alcatel Lucent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erging telephony services over circuit switched network and packet switched data network
US20120015656A1 (en) * 2009-12-30 2012-01-19 Kundan Tiwari Method of Handling Multicall Functionality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9137711B2 (en) * 2010-01-11 2015-09-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wait period for single radio continuity transfers
US8929284B2 (en) * 2010-02-03 2015-01-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inter-system transfer of a packet switched session
US20110230192A1 (en) 2010-03-18 2011-09-22 Kundan Tiwari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equenced message transfer during signal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EP2515498A1 (en) * 2011-04-20 2012-10-24 Mondial Teleco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oice quality contro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015A (ko) * 2013-08-30 2015-03-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31765A (ko)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팬택 단말 간 음성 통화 발신 방법 및 장치
KR20160140265A (ko) * 2015-05-29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264132B2 (en) 2016-08-01 2019-04-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between carriers
US11019217B2 (en) 2016-08-01 2021-05-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between carr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2095B1 (en) 2020-01-01
US20150124777A1 (en) 2015-05-07
KR101843052B1 (ko) 2018-03-29
US9723530B2 (en) 2017-08-01
WO2013062308A1 (en) 2013-05-02
EP2772095A4 (en) 2015-12-30
EP2772095A1 (en) 2014-09-03
US8953560B2 (en) 2015-02-10
US20130100887A1 (en)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052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망들을 이용한 음성 호의 연속성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50621B1 (ko) 다중 무선 네트워크들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
JP5377441B2 (ja) 多様な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網が重なってい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音声及びデータ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装置
EP162570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ly roaming betwee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078164B2 (en) Mobile telephone VOIP/cellular seamless roaming switching controller
JP5074210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EP18381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s
KR101037341B1 (ko) 불연속 전송 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WO2006006115A1 (en) Methods and circuits for roaming between different networks
KR102093485B1 (ko)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억세스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101069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services
WO2008011918A1 (en) Methods, mobile network node and mobile terminal for reducing the number of unsuccessful service change requests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WO2009046594A1 (fr) Procédé de négociation de codec entre un réseau sans fil et un réseau central dans un système de télécommunication mobile
KR20130097355A (ko) 다중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심리스 핸드오버 처리방법
KR101765895B1 (ko) 링백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링백톤 서버 및 그 서버의 구동 방법
KR102076766B1 (ko) 단말 활성화 유지 방법 및 장치
KR20200034689A (ko)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억세스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81047B1 (ko) 지능망 서비스의 폴백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US20110038366A1 (en) Switching data streams between cor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