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591A -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591A
KR20130044591A KR1020110108727A KR20110108727A KR20130044591A KR 20130044591 A KR20130044591 A KR 20130044591A KR 1020110108727 A KR1020110108727 A KR 1020110108727A KR 20110108727 A KR20110108727 A KR 20110108727A KR 20130044591 A KR20130044591 A KR 20130044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eights
spiral
gripping rod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복
Original Assignee
강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복 filed Critical 강영복
Priority to KR102011010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4591A/ko
Publication of KR2013004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기(barbell)나 아령(dumbbel)과 같은 근력 운동기구의 파지봉에 장착되는 웨이트의 착탈을 쉽게 하게 위하여 중앙에 형성된 원형 구명 대신 트임부를 통하여 개구된 결합부를 웨이트에 형성하고, 또한 웨이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도입하여 안전성까지 높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는 트임부를 통하여 개구된 결합부를 갖는 웨이트; 상기 웨이트가 결합되는 장착부를 갖는 파지봉; 및 상기 웨이트와 상기 파지봉의 분리를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BARBELL EQUIPPED WITH EASY-COUPLING WEIGHTS}
본 발명은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기(barbell)나 아령(dumbbel)과 같은 근력 운동기구의 파지봉에 장착되는 웨이트의 착탈을 쉽게 하게 위하여 중앙에 형성된 원형 구명 대신 트임부를 통하여 개구된 결합부를 웨이트에 형성하고, 또한 웨이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도입하여 안전성까지 높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웨이트에 형성된 중공에 파지봉을 끼워 웨이트를 부착하고 빼내는 전통적인 역기(barbell)나 아령(dumbbel)과 같은 근력 운동기구는 원하는 중량을 얻기 위하여 웨이트를 착탈하는 과정과 고정하는 작업으로 인하여 불편함이 상존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42979호(공개일자 2004년05월22일) [웨이트 운동기구]가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덤벨이나 바벨을 이용한 웨이트 운동시 운동량에 따라 중량조절이 간편하도록 복수개의 웨이트의 분리/결합이 쉽고 빠르도록 하여 기존의 바벨이나 덤벨사용시 불편했던 점을 개선하기 위한 웨이트 운동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그 기술의 핵심은 그 양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바아와;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그 일측면에 형성된 홀의 내측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또다른 추가웨이트 또는 고정웨이트의 홀에 삽입되는 지지턱과 지지턱의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추가웨이트와; 그 일면에 상기 추가웨이트의 지지턱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된 2개의 고정웨이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숫나사부와 암나사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웨이트를 동시에 분리/결합 할 수 있어, 웨이트의 중량조절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특허의 운동기구는 웨이트 자체에 형성된 암수 나사에 의하여 상호 웨이트가 결합되므로 웨이트 착탈시 웨이트를 일일이 돌려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단순히 웨이트 중공에 파지봉을 끼워 결합하는 전통적인 역기 등에 비하여 결코 편리하다고 할 수 없다.
나아가 상기 공개특허는 웨이트와 웨이트가 단순히 암수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므로 웨이트 중량 증가시의 경우나 부주의로 완벽하게 나사결합하지 않는 경우 웨이트가 추락하여 건물이나 기구 파손, 사용자의 상해 발생 위험이 상존하므로 상품성이 없고 위험하며, 나아가 웨이트 마다 암수 나사를 형성해야 하므로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 실용신안등록 제20-0188646호(등록일자 2000년04월28일) [덤벨의 축봉]이 있는데,
상기 등록고안은 축봉의 구조를 개선하여 중량체의 신속하고 견고한 고정수단을 제공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통상 덤벨에 제공되는 중량체는 주물 제작되어 축봉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격렬한 운동이 수반되므로 그 효과적인 고정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점을 해결하고, 운동방법이나 운동의 목적에 따라 중량체의 무게를 수시로 조절하기도 하는바, 이때 중량체의 무게를 증감하기 위한 중량체의 간편한 교체수단도 요구되므로 중량체의 용이한 고정 및 해지를 이루는 개선된 구조를 제시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그 기술적인 핵심은 축봉을 나사봉으로 구성하고 중량체를 압착 고정하는 수단으로 조임구를 제공하되 조임구는 상기 나사봉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중량체와 축봉 그리고 조임구 상호간의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도록 하고 있다.
그라나 상기 등록고안의 기술 역시 단순히 웨이트 중공에 파지봉을 끼워 결합하는 전통적인 역기(barbell)나 아령(dumbbel) 등에 비하여 결코 편리하다고 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일일이 디스크 형상의 웨이트 중공에 파지봉을 끼워 결합하는 전통적인 역기 또는 아령의 웨이트 착탈 방식이 불편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웨이트의 중공이 트임부를 갖는 결합부 형태로 되어 있어 파지봉의 장착부 어느 위치에도 트임부를 거쳐 결합부로 쉽게 진입할 수 있어 장착이 편리하고, 장착상태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확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 특히 역기(barbell)나 아령(dumbbel) 같은 근력 운동기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웨이트와 웨이트의 접면에 상호 맞물림부가 구비되어 있어 운동을 위하여 들고 내리는 과정에서 상호 충돌, 진동, 소음 등을 방지하며, 고정수단에 의한 보다 완벽한 고정을 보장할 수 있는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파지봉의 장착부에 나선을 갖는 곡면부와 직선부를 형성하고, 나선에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너트부재가 결합되는 형태로 하여 웨이트 장착 용이성 및 고정력 확보에 만전을 기할 수 있는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는
트임부를 통하여 개구된 결합부를 갖는 웨이트;
상기 웨이트가 결합되는 장착부를 갖는 파지봉; 및
상기 웨이트와 상기 파지봉의 분리를 방지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에서
상기 웨이트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 웨이트의 접면에는 맞물림부를 갖고,
상기 파지봉의 장착부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와,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직선부를 갖고, 상기 직선부에 접촉하는 형태로 웨이트의 결합부가 끼워지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곡면부의 나선에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봉의 장착부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를 갖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곡면부의 나선에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의 맞물림부는 웨이트 양면에 각각 형성된 요부(凹部) 및 철부(凸部)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파지봉의 장착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웨이트의 맞물림부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는 일일이 디스크 형상의 웨이트 중공에 파지봉을 끼워 결합하는 전통적인 역기 또는 아령의 웨이트 착탈 방식이 불편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웨이트의 중공이 트임부를 갖는 결합부 형태로 되어 있어 파지봉의 장착부 어느 위치에도 트임부를 거쳐 결합부로 쉽게 진입할 수 있어 장착이 편리하고, 장착상태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확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 웨이트와 웨이트의 접면에 상호 맞물림부가 구비되어 있어 운동을 위하여 들고 내리는 과정에서 상호 충돌, 진동, 소음 등을 방지하며, 고정수단에 의한 보다 완벽한 고정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파지봉의 장착부에 나선을 갖는 곡면부와 직선부를 형성하고, 나선에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너트부재가 결합되는 형태로 하여 웨이트 장착 용이성 및 고정력 확보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운동기구에 대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A)는 웨이트(10), 웨이트가 결합되는 파지봉(20), 그리고 웨이트를 파지봉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하부의 일점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10)는 단순히 중공을 갖는 것이 아니라 트임부(13)를 통하여 상호 연통 개구된 결합부(11)를 갖는다. 상기 결합부(11)는 디스크 형상의 웨이트의 중앙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는 필요에 따라 편심된 위치(결합부 상단부가 웨이트 중심에서 더 상부에 위치함)에 배열되어 있어 파지봉(20)에 결합된 웨이트가 구속되지 않은 경우 트임부(13)가 항상 하부에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지봉(20)은 웨이트가 결합되는 장착부를 갖는데, 역기(barbell)나 아령(dumbbel)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운동기구(A)를 실제 손으로 잡는 부위는 양측에 구비된 웨이트들 사이의 중앙 부위에 해당하며, 장착부(21)는 양측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웨이트가 파지봉의 중앙에 구비되고 사용자는 파지봉의 양측을 잡고 운동기구를 들어 올리는 형태의 운동기구에도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10)는 크기와 중량이 서로 다르거나 상호 같은 복수의 것을 파지봉(20)의 장착부(21)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각 웨이트(10)의 접면에는 맞물림부가 구비되어 있어 장착된 웨이트 상호 간에 중첩된 부위를 가져 고정수단에 의한 고정력을 강화함은 물론, 운동을 위하여 들고 내리는 과정에서 상호 충돌, 진동,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맞물림부(15)는 도 1에서는 파지봉(20) 우측의 장착부(21)에 배열되는 웨이트를 기준으로 볼 때,
하나의 웨이트(10)는 우측의 철부(凸部)(15B)와 좌측의 요부(凹部)(15A)를 갖는 형태이다.
이에 비하여 도 2에 도시된 운동기구(A)에서는 웨이트(10)는 우측의 요부(凹部)(15a)와 좌측의 철부(凸部)(15b)를 가지며,
도 3에서는 웨이트(10)가 우측 요부(凹部)(15a') 및 좌측 철부(凸部)(15b')를 갖는 형태이나, 각각 단순히 구멍과 돌기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호 조금씩 다른 도 1, 도 2, 도 3의 운동기구(A)에서 상기 파지봉(20)의 장착부(21)에는 나선(23A)이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23)와,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직선부(25)를 갖는다.
특히 상기 직선부(25)는 파지봉의 장착부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양측을 절단한 원형으로, 유사 타원 구조이며, 대칭된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웨이트(10)는 파지봉(20)의 장착부(21)에 트임부(13)를 통하여 결합되어 결합부(11)가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파지봉(20)의 직선부(25)에 웨이트(10)의 결합부(11)가 접촉하는 형태이며, 상부 곡면부(23)에 결합부(11)가 상단이 접촉 안착되는 형태이다.
즉, 상기 결합부(11)의 폭은 파지봉 장착부(21)의 상하 곡면부(23)의 폭(장착부의 단면이 완벽한 원형일 경우 그 원의 외경에 해당함) 보다는 작고, 장착부(21) 양측 직선부(25)의 폭에 상응하여 파지봉에 결합된 웨이트의 공회전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파지봉 장착부의 직선부가 하나인 경우에도 이러한 공회전 방지 구조는 구현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공회전 방지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파지봉(20) 장착부(21) 곡면부(23)의 나선(23A)에 결합되는 너트부재(31)를 포함한다.
또 상기 너트부재(31)는 상기 웨이트(10)의 맞물림부(15)에 상응하는 수용부를 가져 웨이트(10)가 트임부(13)가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착된 웨이트(1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너트부재(31)의 수용부는 수용홈(31A) 타입으로 웨이트(10)의 철부(15B)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도 2에서 상기 너트부재(31)는 수용부가 너트부재의 외곽이 웨이트(10)의 요부(15a)에 수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파지봉(20)의 장착부(21)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웨이트(10)의 맞물림부에 결합되는 고정판(33)으로 구성된다. 이 고정판은 파지봉과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거나, 고정형(용접, 리베팅, 키 고정 등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고정판(33)은 인접한 웨이트(10)의 맞물림부인 요부(15A)에 결합되는 형태이고,
도 2에서 고정판(33)은 수용홈(33A)을 가져 인접한 웨이트(10)의 맞물림부인 철부(15b)를 수용하는 형태이며,
도 3에서는 너트부재가 아닌 고정판(33)에 인접한 웨이트(10)의 돌기 타입의 철부(15b')가 끼워지는 구멍형 수용홈(3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파지봉, 너트부재, 웨이트에 대한 소재나 규격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운동기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운동기구 10: 웨이트
11: 결합부 13: 트임부
15: 맞물림부 15A,15a,15a': 요부
15B,15b,15b': 철부 20: 파지봉
21: 장착부 23: 곡면부
25: 직선부 30: 고정수단
31: 너트부재 31A: 수용홈
33: 고정판 33A,33a: 수용홈

Claims (4)

  1. 트임부를 통하여 개구된 결합부를 갖는 웨이트;
    상기 웨이트가 결합되는 장착부를 갖는 파지봉; 및
    상기 웨이트와 상기 파지봉의 분리를 방지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 웨이트의 접면에는 맞물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봉의 장착부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와,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직선부를 갖고,
    상기 직선부에 접촉하는 형태로 웨이트의 결합부가 끼워지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곡면부의 나선에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봉의 장착부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를 갖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곡면부의 나선에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의 맞물림부는 웨이트 양면에 각각 형성된 요부(凹部) 및 철부(凸部)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파지봉의 장착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웨이트의 맞물림부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
KR1020110108727A 2011-10-24 2011-10-24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 KR20130044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727A KR20130044591A (ko) 2011-10-24 2011-10-24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727A KR20130044591A (ko) 2011-10-24 2011-10-24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591A true KR20130044591A (ko) 2013-05-03

Family

ID=4865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727A KR20130044591A (ko) 2011-10-24 2011-10-24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459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9367A (zh) * 2016-04-11 2016-06-29 袁蓓莎 多功能双铃杆哑铃
CN105749488A (zh) * 2016-04-11 2016-07-13 湖州师范学院 双铃杆哑铃
KR102223945B1 (ko) 2020-09-07 2021-04-06 정연욱 반려동물 무릎 기능성 보조기
KR102268890B1 (ko) 2020-12-01 2021-06-25 정연욱 반려동물 무릎 보조기
KR102290786B1 (ko) 2020-12-01 2021-08-20 정연욱 반려동물의 기능성 재활 보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9367A (zh) * 2016-04-11 2016-06-29 袁蓓莎 多功能双铃杆哑铃
CN105749488A (zh) * 2016-04-11 2016-07-13 湖州师范学院 双铃杆哑铃
CN105709367B (zh) * 2016-04-11 2022-06-24 袁蓓莎 多功能杠铃
KR102223945B1 (ko) 2020-09-07 2021-04-06 정연욱 반려동물 무릎 기능성 보조기
KR102268890B1 (ko) 2020-12-01 2021-06-25 정연욱 반려동물 무릎 보조기
KR102290786B1 (ko) 2020-12-01 2021-08-20 정연욱 반려동물의 기능성 재활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4591A (ko)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
EP1447115B1 (en) Selectorized dumbbell using commodity weights
US8858406B2 (en) Adjustable weight kettlebell
AU2007202354B2 (en) An exercise device
CN1674961A (zh) 可调节的哑铃系统
WO2003105965A1 (en) Dumbbell having interlocking components
US7625002B2 (en) Vehicle frame with a rotation limiting mechanism for limiting rotation of a steerer relative to a head tube
US7153248B2 (en) Adjustment assembly for a universal exercising machine
US20060199709A1 (en) Weightlifting apparatus for exercising the triceps
WO2008109754A2 (en) Improved dumbbell having secured assembly
EP1820543B1 (en) An exercise device
US20140243169A1 (en) Embedded Shelf On Exercise Equipment With Individual Gripping Members For Each Hand
KR101294727B1 (ko) 무게조절용 조립식 아령
KR101839517B1 (ko) 중량 조절형 아령
CN205360366U (zh) 一种蹦床围网与支撑杆套接的支撑套结构
CN201239459Y (zh) 跳绳器手柄
CN217041203U (zh) 一种哑铃
CN201357896Y (zh) 一种自行车座杆结构
GB2439221A (en) Weight mounting for exercise device
CN216676840U (zh) 一种便于更换杠铃片的杠铃
CN218900702U (zh) 一种便于拆卸更换的健身壶铃
CN209776693U (zh) 前车架与把立管的锁定与解锁机构
CN216456703U (zh) 一种可快速调节式哑铃组合
CN214388687U (zh) 一种方便更换加装固定块的体育用杠铃
CN211752158U (zh) 一种用于健身器材配重的调节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