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529A -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529A
KR20130044529A KR1020110108633A KR20110108633A KR20130044529A KR 20130044529 A KR20130044529 A KR 20130044529A KR 1020110108633 A KR1020110108633 A KR 1020110108633A KR 20110108633 A KR20110108633 A KR 20110108633A KR 20130044529 A KR20130044529 A KR 20130044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transmission
destination
packet data
p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045B1 (ko
Inventor
박민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8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0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부터의 접속 유지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패킷 중계 교환 장치에 전송 가능한 목적지 IP/Port와 상기 목적지별 허용 PPM을 미리 설정해 두고,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부터 접속 유지 메시지가 전송되면, 접속 유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지 IP/Port를 확인한 후, 전송 가능한 목적지인 경우, 허용 PPM 만큼만 패킷 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량이 적은 접속 유지 메시지만이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은 접속 유지 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게 되어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KEEP-ALIVE MESSAGE FROM PACKET-TRANSPORT-LIMITED MOBILE}
본 발명은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부터의 접속 유지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도 소진으로 인해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접속 유지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패킷 교환기에 한도 소진된 단말에 대해 분당 허용 가능한 패킷수를 설정해 두어 접속 유지 메시지의 재전송으로 인한 망부하를 감소시키는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부터의 접속 유지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 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음성 통화 서비스 이외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 중에서 무선인터넷 접속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 등과 같은 데이터망을 이용하는 서비스들은 대부분 사용자에게 기본 요금 외에 추가로 요금을 부과한다. 특히, 스마트폰의 활성화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 호 자동 접속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데이터 서비스 이용이 발생하여 원치 않는 요금이 발생한다.
이런 이유로 사용자들은 자신에게 맞는 패킷 데이터 메시지와 관련한 부가 서비스나 요금제 들을 선택하여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패킷 데이터 메시지 발신 금지와 패킷 데이터 메시지 상한 서비스 등이 있을 수 있다. 패킷 데이터 메시지 발신 금지 서비스는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메시지 발신을 차단하는 서비스이며, 패킷 데이터 메시지 상한 서비스는 전송 가능한 패킷 데이터 메시지량의 한도를 정하여 한도까지만 패킷 데이터 메시지 발신을 허락하고 한도가 소진되면 패킷 데이터 메시지 발신을 차단하는 서비스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어플리케이션은 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패킷 데이터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접속 유지(keep-alive) 메시지를 전송하여 접속 응답을 받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접속 유지 메시지를 전송한 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 주기를 점차 짧게 하여 접속 유지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그런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발신 금지, 한도 소진, 일시 정지 등의 이유로 패킷 데이터 메시지 발신이 허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접속 유지 메시지는 패킷 전송 시스템을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에 도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접속 응답을 받을 수 없게 되어 계속 접속 유지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은 베터리 소모가 심해지고,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을 포함한 패킷 전송 시스템은 부하가 걸리게 되어, 낭비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발신금지 가입자나 한도소진 가입자의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백그라운드에서 발생되는 접속 유지 메시지로 인한 패킷 데이터 메시지 호 연결 요구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시스템 자원낭비나 부하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부터의 접속 유지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패킷 중계 교환 장치는 패킷 데이터 메시지를 발신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발신 금지 여부 또는 한도 소진 여부를 확인하는 가입자 정보 확인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목적지를 확인하고, 상기 목적지에 따라 허용된 분당 패킷량(PPM)을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패킷 전송을 허락하는 패킷 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패킷 중계 교환 장치는 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전송이 허락된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목적지 허용 리스트와, 패킷 전송 이력을 저장하는 PPM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방법은, 패킷 중계 교환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패킷 데이터 한도 소진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정보 확인 단계; 패킷 중계 교환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발신 금지 또는 한도 소진되었음이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PPM의 허용 한도가 초과되었는지 확인하는 PPM 확인 단계; 및 패킷 중계 교환 장치는 상기 PPM 확인 결과에 따라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전송을 허락 또는 거절하는 전송 허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사용자 정보 확인 단계와, 상기 PPM 확인 단계 사이에, 상기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는 목적지 정보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정보 확인 단계에서,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목적지가 목적지 허용 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PPM 확인 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 허락후, 전송된 PPM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PPM 이력은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지 정보 확인 단계는 수신된 패킷 데이터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지 정보를 상기 패킷 중계 교환 장치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목적지 허용 리스트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금지된 사용자 단말이나 한도 소진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접속 유지(keep alive) 메시지를 송신가능하도록 하여 접속 유지 응답을 받지 못한 사용자 단말이 주기를 짧게 하여 계속해서 접속 유지 메시지를 전송함으로 인한 부하나 시스템 자원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유지 메시지 처리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부터의 접속 유지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부터의 접속 유지 메시지 처리를 위한 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이 제한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접속 유지(Keep alive) 메시지 처리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킷 전송이 제한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발신되는 접속 유지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100), 무선 제어국(RNC)(200), 패킷 교환기(SGSN : 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300), 패킷 중계 교환 장치(GGSN : Gateway GPRS Supporting Node)(400) 및 SNS 서비스 장치(500)를 포함하고, 그외에 기지국(10)과 통신망(20)을 더 포함한다.
무선 제어국(RNC)(200)은 패킷 교환기(SGSN)(300)와 사용자 단말(100) 사이에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패킷 데이터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무선 제어국(RNC)(200)과 사용자 단말(100) 사이에는 기지국(10)이 추가되어 있다.
패킷 교환기(이하, SGSN)(300)는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을 위해 무선 제어국(RNC)(200)과 정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패킷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단말(100)의 이동성 관리 및 패킷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패킷 관문 교환기(GGSN)(400)와 정합하여 인터넷과 같은 외부 패킷망과 패킷 터널링을 수행한다.
패킷 중계 교환 장치(이하, GGSN)(400)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를 위한 관문(gateway) 역할을 담당하는 노드로써, 외부적으로 통신망(20)과의 접속을 가능케 하는 라우터의 역할을 지원하고 내부적으로는 SGSN(300)과 접속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패킷 데이터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GGSN(400)은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100)의 가입자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발신 금지되었거나 한도 소진된 단말인지 확인하여, 발신 금지되었거나 한도 소진된 단말인 경우,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여 목적지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지인 경우에 한해서, 일분당 정해진 양의 메시지 전송만을 허락한다.
GGSN(400)은 접속 유지 메시지를 발송한 사용자 단말(100)이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단말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SGSN(300)으로부터 전송받는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 가능 단말인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 등록을 하거나 보존(Preservation)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천이할 때 SGSN(300)으로부터 제공받는다.
패킷 데이터 메시지 내에는 발신 IP/Port와 목적지 IP/Port가 포함되어 있고, 목적지 허용 리스트에는 접속 유지 메시지 수신이 허용된 SNS 서비스 장치(500)의 IP/Port와, SNS 서비스 별로 분당 허용 가능한 패킷량(PPM)이 등록되어 있으므로, GGSN(400)은 상기 패킷 데이터 메시지 내의 목적지 IP/Port를 목적지 허용 리스트 내에 매핑시킴으로써, 접속 유지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목적지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GGSN(40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GGSN(400)은 통신부(410), 가입자 정보 확인부(420), 패킷 교환부(430), 메모리부(44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타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가입자 정보 확인부(420)는 접속 유지 메시지가 수신되어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100)의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42)로부터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이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이 허락되지 않은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이 허락되지 않은 경우는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이 발신 금지된 경우, 한도 소진된 경우, 일시 정지된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42)의 가입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등록하거나 보존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천이할 경우 SGSN(300)으로부터 전송받아 업데이트 한다.
패킷 교환부(430)는 상기 가입자 정보 확인부(420)의 가입자 정보 확인 결과를 전송받아, 확인 결과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이 허락되어 있는 가입자인 경우, 패킷 전송을 허락해주고, 확인 결과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이 허락되어 있지 않은 가입자인 경우, 수신된 접속 유지 메시지의 목적지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여 목적지가 메모리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목적지 허용 리스트(444)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다음 상기 미리 설정된 목적지별 허용 가능한 PPM에 따라 접속 유지 메시지의 전송을 허락 또는 거절한다. 목적지별 허용 가능한 PPM은, 접속 유지 메시지만 통과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패킷 데이터 메시지는 차단할 수 있도록 유의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참고로, 접속 유지 메시지는 수십~수백 Byte 밖에 안되고, 1 패킷은 보통 1500 Byte이므로 접속 유지 메시지는 1 패킷에 들어간다.
메모리부(440)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42), 목적지 허용 리스트(444), PPM 이력 DB(446)를 포함한다.
PPM 이력 DB(446)는 발신 IP/Port, 수신 IP/Port, 전송된 패킷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PM 이력 DB(446)는 1분 마다 리셋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이 데이터 전송 시도시 GGSN(400)은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IP 헤더 안의 목적지 IP/Port를 확인한다. 확인된 목적지 IP/Port가 목적지 허용 리스트(444)에 있을 경우 미리 정의된 PPM 값만큼의 패킷 메시지 전송을 허용하고 그 이후 패킷은 차단시킨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 서버(500)의 IP/Port에 1PPM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패킷 교환부(430)는 수신된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목적지 IP/Port가 서비스 제공 서버(500)의 IP/Port인지를 확인하고, 수신된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패킷량을 확인한다. 확인한 1패킷을 넘는 경우 수신된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시키고, 확인된 패킷량이 1패킷인 경우, 1분 안에 전송된 패킷이 없을 경우, 해당 패킷 메시지의 전송을 허락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발신 금지 및 한도 소진 고객의 사용자 단말 내의 어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에서 발생되는 접속 유지 메시지가 SNS 서비스 장치(500)에 전송될 수 있으므로, 접속 유지 메시지의 재전송에 의한 망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부터의 접속 유지 메시지 처리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패킷 중계 교환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 등록을 하거나 보존(Preservation)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천이할 때 SGSN(300)으로부터 제공받아,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42)에 저장해둔다(S10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무선 제어국(RNC)(200), 패킷 교환기(SGSN)(300)를 거쳐, 패킷 중계 교환 장치(GGSN)(400)가 패킷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패킷 데이터 메시지 한도 소진 여부를 확인한다(S110).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이 허락되어 있지 않은 단말, 즉, 상기 발신 금지, 한도 소진 또는 일시 정지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패킷 데이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목적지 IP/Port를 확인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목적지 IP/Port를 목적지 허용 리스트에 매칭시켜 일치하는 데이터가 있는 지 확인한다(S120).
확인 결과 매칭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한다(S125).
확인 결과 매칭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목적지 IP/Port에 대해 미리 설정된 PPM의 허용 한도가 초과되었는지 확인한다(S130).
PPM 허용 한도가 초과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수신된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전송을 허락한다(S140).
수신된 패킷 데이터 메시지가 목적지에 전송되면 PPM 이력을 저장한다(S150).
PPM 이력은 1분마다 리셋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메모리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패킷 데이터 발신이 금지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작성한 패킷 데이터 메시지는 차단되고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 제공 장치(500)간의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의 의해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전송되는 접속 유지 메시지는 전송되므로 사용자 단말(100)은 일정 기간 동안 접속 유지 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게 되어 시스템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발신금지된 사용자 단말이나 한도 소진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접속 유지(keep alive) 메시지를 송신가능하도록 하여 접속 유지 응답을 받지 못한 사용자 단말이 주기를 짧게 하여 계속해서 접속 유지 메시지를 전송함으로 인한 부하나 시스템 자원 낭비를 방지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무선 제어국(RNC)
300 : 패킷 교환기(SGSN) 400 : 패킷 중계 교환 장치(GGSN)
410 : 통신부 420 : 가입자 정보 확인부
430 : 패킷 교환부 440 : 메모리부
442 : 가입자 정보 DB 444 : 목적지 허용 리스트
446 : PPM 이력 DB 500 : SNS 서비스 장치

Claims (6)

  1. 패킷 데이터 메시지를 발신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발신 금지 여부 또는 한도 소진 여부를 확인하는 가입자 정보 확인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목적지를 확인하고, 상기 목적지에 따라 허용된 분당 패킷량(PPM)을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패킷 전송을 허락하는 패킷 교환부
    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패킷 중계 교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전송이 허락된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목적지 허용 리스트와, 패킷 전송 이력을 저장하는 PPM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패킷 중계 교환 장치.
  3. 패킷 중계 교환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패킷 데이터 한도 소진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정보 확인 단계;
    패킷 중계 교환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발신 금지 또는 한도 소진되었음이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PPM의 허용 한도가 초과되었는지 확인하는 PPM 확인 단계;
    패킷 중계 교환 장치는 상기 PPM 확인 결과에 따라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전송을 허락 또는 거절하는 전송 허락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확인 단계와, 상기 PPM 확인 단계 사이에, 상기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는 목적지 정보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정보 확인 단계에서, 패킷 데이터 메시지의 목적지가 목적지 허용 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PPM 확인 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패킷 데이터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허락후, 전송된 PPM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PPM 이력은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정보 확인 단계는 수신된 패킷 데이터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지 정보를 상기 패킷 중계 교환 장치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목적지 허용 리스트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방법.
KR1020110108633A 2011-10-24 2011-10-24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11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633A KR101911045B1 (ko) 2011-10-24 2011-10-24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633A KR101911045B1 (ko) 2011-10-24 2011-10-24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382A Division KR102006331B1 (ko) 2018-10-11 2018-10-11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529A true KR20130044529A (ko) 2013-05-03
KR101911045B1 KR101911045B1 (ko) 2018-10-24

Family

ID=4865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633A KR101911045B1 (ko) 2011-10-24 2011-10-24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745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지역 기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331B1 (ko) * 2018-10-11 2019-08-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3497B2 (en) * 2002-05-08 2006-09-26 Lenovo (Singapore) Pte. Ltd. Bandwidth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745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지역 기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045B1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738B1 (ko) Epc에서의 원활한 ue 이전
US88380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communication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346288B2 (ja) Lteネットワーク上でショートデータバーストサービスを最適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00374950A1 (en) Method, Telecommunications Node and Telecommunications Terminal
JP2020519107A (ja) レポート送信方法、レポート受信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9154911B2 (en) Selective delivery of presence messag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12219380A (zh) 用于蜂窝网络的系留策略
KR20040111588A (ko) Gprs 단말기의 자동 구성 방법 및 장치
JP2013175916A5 (ko)
CN105684511A (zh) 从移动无线电通信设备的数据传输
KR101911045B1 (ko)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4911222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中継装置
JP5262662B2 (ja) 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位置登録方法、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2006331B1 (ko) 패킷 전송이 제한된 단말의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667558B (zh) 在无线电信网络中增强的过载保护
US1180546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EP3171660A1 (en) Communication system, relay devic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1037256A1 (ja) 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KR101960254B1 (ko) IoT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제어 방법 및 트래픽 제어 서버
KR20130023971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CN114270881B (zh) 一种接入网络方法和装置
US20110312296A1 (en) Prioritization of Emergency SMS Messages
US20100232377A1 (en) Method for Packet Data Session Release in Ultra Mobile Broadband Access Network
US20200275374A1 (en) Service control apparatus,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ser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00009069A (ko) 착신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위한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