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415A - Clear file - Google Patents

Clear f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415A
KR20130044415A KR1020110108465A KR20110108465A KR20130044415A KR 20130044415 A KR20130044415 A KR 20130044415A KR 1020110108465 A KR1020110108465 A KR 1020110108465A KR 20110108465 A KR20110108465 A KR 20110108465A KR 20130044415 A KR20130044415 A KR 2013004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lded
connection line
folded portion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4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송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송현우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1010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4415A/en
Priority to PCT/KR2012/008659 priority patent/WO2013062273A2/en
Publication of KR2013004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4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6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 B42F7/065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4Covers with reten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6Book covers with hing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PURPOSE: A clear file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such as buckling without an intention when being folded in both a width and a height direction. CONSTITUTION: A clear file(100) comprises a cover(110), a first folding unit(120), and a second folding unit(130). The cover comprises a front side cover and a back side cover whi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line part. The first folding unit is placed in the front side cover in order to be extend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connection line part. The second folding unit is placed in the back side cover in order to be extend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connection line part. The cover is folded based on the first folding unit and the second folding unit when the front side cover and the back side cover are stacked one on top of the other.

Description

클리어 파일{Clear file}Clear file

본 발명은, 클리어 파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클리어 파일의 접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r f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structure of a clear file.

클리어 파일(clear file) 혹은 파일 폴더(file folder)는 그 내부에 문서나 화지 등의 종이류를 보관 혹은 수납하기 위한 제품으로, 통상 A4용, A3용, A2용 등으로 규격화된 사이즈로 제작되고 있다. 참고로, 클리어 파일이라 하여 투명한 재질의 제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clear file or file folder is a product for storing or storing papers such as documents and papers, and is usually manufactured in a standardized size for A4, A3, A2, and the like. . For reference, the clear file is not limited to the product of the transparent material.

그런데, 종래의 클리어 파일은 규격 사이즈가 큰 경우(예컨대, A3용 클리어 파일, A2용 클리어 파일의 경우)에는 통상 가방 안에 넣기 힘들어 가지고 다니기 매우 불편함은 물론, 보관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when the standard clear file is large (for example, A3 clear file, A2 clear file), it is usually difficult to carry in a bag, it is very inconvenient to carry around, and takes a lot of space during storage. .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클리어 파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서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클리어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r file that a user can carry or store by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the clear file to improve portability and minimize space for storag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연결 라인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와 뒷면 표지로 구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앞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 및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뒷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consisting of a front cover and a back cover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on line; A first folded part provided on the front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And a second folding part provided on the back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wherein the cover includes the first folding part and the first folding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It can be achieved by a clear file, characterized in that folded on the basis of the two folds.

상기 클리어 파일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가 상기 연결 라인부와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에 관통 형성되는 타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r file may further include perforations formed through the cover at posi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meet the connection line portion.

상기 타공부는,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의 영역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erforations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in the areas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상기 타공부는, 상기 뒷면 표지의 영역에서보다 상기 앞면 표지의 영역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거나, 상기 앞면 표지의 영역에서보다 상기 뒷면 표지의 영역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perforations are formed longe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ortion in the region of the front cover than in the region of the back cover, or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ortion in the region of the back cover than in the region of the front cover. It can be formed longer in the direction.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주름 구조를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may have a corrugated structure.

상기 주름 구조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긴 홈을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The corrugation structure may be provided by forming a plurality of elongated grooves disposed at intervals on the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접힘부의 주름 간격은 다른 접힘부의 주름 간격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is fold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s, the fold spacing of the folds located at an outer side among the first folds and the second folds may be wider than that of the other folds.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상기 커버보다 잘 휘어지도록 연성 재질의 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foldable part and the second foldable part may be provided as a sheet of a soft material to bend more than the cover.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상기 커버와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앞면 표지나 상기 뒷면 표지에 결합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cover and then coupled to the front cover or the back cover.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the first foldable part and the second foldable part may be at positions overlapping each other.

상기 제1 접힘부는, 상기 앞면 표지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접힘부는, 상기 뒷면 표지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foldable portion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ng line portion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front cover, and the second foldable portion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ng line portion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back cover. have.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접힘부는 다른 접힘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fold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s, the fold portion located at an outer side among the first fold portion and the second fold portion may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other fold portions.

상기 클리어 파일은, 상기 커버가 접혀진 상태에서 임의로 펼쳐지지 않도록 상기 커버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The clear file further comprises a binding member for binding the cover to prevent the cover from being unfolded arbitrarily in a folded stat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연결 라인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와 뒷면 표지로 구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앞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 및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뒷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포개어지도록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이중으로 포개어지도록 2차적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consisting of a front cover and a back cover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on line; A first folded part provided on the front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And a second folding part provided on the back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wherein the cover is primarily folded so that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are superposed on the connection line part. In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on the basis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can be achieved by a clear f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olded so as to be superimposed twice.

상기 클리어 파일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가 상기 연결 라인부와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에 관통 형성되는 타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r file may further include perforations formed through the cover at posi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meet the connection line por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연결 라인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와 뒷면 표지로 구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앞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 및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뒷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consisting of a front cover and a back cover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on line; A first folding part provided on the front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art; And a second folded part provided on the back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art, wherein the cover includes the first folded part and the second cover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It can be achieved by a clear file, characterized in that folded on the basis of the fold.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주름 구조를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may have a corrugated structure.

상기 주름 구조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긴 홈을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The corrugation structure may be provided by forming a plurality of elongated grooves disposed at intervals on the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art.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상기 커버보다 잘 휘어지도록 연성 재질의 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foldable part and the second foldable part may be provided as a sheet of a soft material to bend more than the cover.

상기 제1 접힘부는, 상기 앞면 표지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접힘부는, 상기 뒷면 표지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The first folded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ortion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front cover,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ortion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back cover, and the front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and the back cover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first foldable part and the second foldable part may be in a position overlapping each other.

본 발명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모두 접을 수 있는 클리어 파일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클리어 파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서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of a clear file that can be folded in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so that the user can carry or store the overall size of the clear file,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and minimizing space for storage. Can be.

또한, 본 발명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모두 접었을 때 클리어 파일이 의도하지 않게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번 반복해서 접었다 펼쳤다 해도 실질적으로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damage such as unintentionally crushing the clear file when folded bo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substantially maintaining the original shape even after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several times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또한, 본 발명은, 세로 방향으로 두 번 접을 수 있는 또는 가로 방향으로 두 번 접을 수 있는 클리어 파일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클리어 파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서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of a clear file that can be folded tw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wi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carry or store the overall size of the clear file so that it can be carried and stored. It can improve and minimize the space for stor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클리어 파일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클리어 파일에서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클리어 파일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클리어 파일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클리어 파일에서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클리어 파일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클리어 파일의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클리어 파일에서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은 도 11의 클리어 파일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lan view of a clear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r file of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connection line part in the clear file of FIG. 1;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in the clear file of FIG. 3; FIG.
5 is a plan view of a clear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r file of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connection line part in the clear file of FIG. 5;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in the clear file of FIG. 7; FIG.
9 is a plan view of a clear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r file of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connection line part in the clear file of FIG. 9; FIG.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in the clear file of FIG. 11; FIG.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obsc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클리어 파일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클리어 파일에서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클리어 파일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clear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r file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n the basis of the connection line in the clear file of Figure 1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in the clear file of FIG. 3.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은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로 구성되는 커버(110), 앞면 표지(111)에 형성되는 제1 접힘부(120), 및 뒷면 표지(113)에 형성되는 제2 접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라인부(11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1 to 4, the clear fi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cover 111 and a cover 110 composed of a back cover 113 and a first folded part formed on the front cover 111. 120, and a second folded part 130 formed on the back cover 113. In this case,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line unit 115, as shown in Figs.

커버(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판면 형상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거나 두꺼운 종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커버(110)는 그 내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문서나 화지 등의 종이류의 규격 사이즈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며, 통상 A4용, A3용, A2용 등으로 규격화된 사이즈로 구분될 수 있다.Cover 1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olypropylene) or a thick paper material as a gener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s shown in FIG. The size of the cover 11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size of papers such as documents or paper to be stored therein, and may be classified into a standardized size for A4, A3, A2, and the like.

커버(110)는 연결 라인부(115)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로 구성되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라인부(115)를 기준으로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지도록 세로 방향으로 접혀지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라인부(115)는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커버(110)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연결 라인부(115)의 길이는 앞면 표지(111)(또는 뒷면 표지(113)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연결 라인부(115)의 폭은 커버(110)의 내부에 수납하고자 하는 문서의 양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연결 라인부(115)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커버(110)가 가로 방향으로 접혀지는 구조를 갖도록, 커버(110)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110 is composed of a front cover 111 and a back cover 113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line unit 115, as shown in FIGS. 2 and 3 based on the connection line unit 115.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superimposed on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nnection line portion 115 has a constant width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110,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portion 115 is the length of the front cover 111 (or back cover 113 and The width of the connection line portion 115 is substantially the same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documents to be stored inside the cover 110. However, the connection line portion 115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 embodiment in that the cover ( It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ver 110, so that the structure 110 is fol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부(120)는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앞면 표지(111)에 형성되고, 제2 접힘부(130)는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뒷면 표지(113)에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은 가로 방향이지만, 본 실시예와 다르게 연결 라인부(115)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은 세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힘부(120)와 제2 접힘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 있는 커버(11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예의 경우 가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커버(110)는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자연스럽게 접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커버(110)는 연결 라인부(115)를 기준으로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포개어지도록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이중으로 포개어지도록 2차적으로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1 접힘부(120)와 제2 접힘부(130)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foldable part 120 is formed on the front cover 111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and the second foldable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It is formed on the back cover 113 to exten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portion 115.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is a horizontal direction, but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when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different. May b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the first folding part 120 and the second folding part 130 have a cover 110 in a state where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are stacked on each other.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configured to be easily fold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cover 110 may be naturally fold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arts 120 and 130 in a state where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are stacked on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cover 110 is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arts 120 and 130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are primarily folded so as to be superimposed on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As a result,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may be secondarily folded to overlap the double cov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olded part 120 and the second folded part 130 overlap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are stacked on each other.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모두 접을 수 있는 클리어 파일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클리어 파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서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이점들은 가지고 다니기 불편하고 보관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큰 규격 사이즈의 클리어 파일(예컨대, A3용 클리어 파일, A2용 클리어 파일)에 있어서 더욱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clear fi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of a clear file that can be folded in both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carry or store the overall size of the clear file, thereby providing port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space for storage can be minimized. In particular,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greater meaning in large standard size clear files (for example, A3 clear files and A2 clear files), which are inconvenient to carry and take up a lot of space during storage.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부(120)는 앞면 표지(111)의 중앙 위치에서 가로 방향, 즉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접힘부(130)는 뒷면 표지(113)의 중앙 위치에서 가로 방향, 즉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커버(110)를 접었을 때 클리어 파일(100)을 절반 크기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first folded part 12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front cover 111, and the second folded part 130. ) Is preferably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back cover 113, that is,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connecting line portion 115, which is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120,130) This is because, when folded, the clear file 100 can be reduced to half the size.

구체적으로, 제1 접힘부(120) 및 제2 접힘부(130) 각각은 유연성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접힘부(120)의 주름 구조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는 다수의 긴 홈을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앞면 표지(111)에 형성하여 마련되고, 마찬가지로 제2 접힘부(130)의 주름 구조도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긴 홈을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뒷면 표지(113)에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긴 홈은 앞면 표지(111)나 뒷면 표지(113)의 해당 부분을 칼선 방식이나 열선 방식 등으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주름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별도로 제작된 후 앞면 표지(111)나 뒷면 표지(113)에 접착제나 열융착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 비용의 절감 측면에서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 및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foldable part 120 and the second foldable part 130 may have a pleat structure as shown in FIGS. 1 to 4 to ensure sufficient flexibility. The corrugation structure of the first foldable part 120 is provided by forming a plurality of long grooves on the front cover 111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at a mutually spaced interval, and likewise the second Pleat structure of the folded portion 130 may also be provided by forming a plurality of long grooves arranged at intervals on the back cover 113 so as to exten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ortion 115.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long grooves may be formed by processing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ront cover 111 or the back cover 113 in a cut line method or a hot wire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arts 120 and 130 having a corrugated structure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n coupled to the front cover 111 or the rear cover 113 by an adhesive or a heat fusion method. The structure and manner of this embodiment are more preferable in terms of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힘부(130)의 주름 간격은 제1 접힘부(120)의 주름 간격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커버(110)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1 접힘부(120)는 안쪽에 제2 접힘부(130)는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제2 접힘부(130)는 제1 접힘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하고 보다 많은 부분이 접혀지게 된다. 즉, 제1 접힘부(120)는 제2 접힘부(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격하고 보다 적은 부분이 접히게 된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커버(110)가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보다 자연스럽고 안정감 있게 접혀질 수 있도록, 제2 접힘부(130)의 주름 간격은 제1 접힘부(120)의 주름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 즉 제1 접힘부(120)의 주름 간격은 제2 접힘부(130)의 주름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접힘부(120)는 2mm 주름 간격으로, 제2 접힘부(130)는 3mm의 주름 간격으로 선택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제2 접힘부(130)의 폭(W2)은 제1 접힘부(120)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 즉 제1 접힘부(120)의 폭(W1)은 제2 접힘부(130)의 폭(W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wrinkle interval of the second folded portion 130 is preferably wider than the wrinkle interval of the first folded portion 120, which is the first and second folded as shown in FIG. In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110 is folded based on the parts 120 and 130, the first folded part 120 is located inward and the second folded part 130 is located outward. Accordingly, the second folded part 130 is Compared to the first folded portion 120 is relatively gentle and more parts are folded. That is, the first folded portion 120 is relatively sharp and less than the second folded portion 130 is folded. In consideration of this aspect, the fold interval of the second foldable part 130 may be the first foldable part 120 so that the cover 110 can be folded more naturally and stably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able parts 120 and 130. It is preferable to form a wider than the wrinkle interval of, i.e., the wrinkle interval of the first folded portion 120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rinkle interval of the second folded portion (130). For example, the first folded portion 120 may be selected at a 2 mm wrinkle interval,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130 may be selected at a wrinkle interval of 3 mm. In the same context, the width W2 of the second folded portion 130 is greater than the width W1 of the first folded portion 120, that is, the width W1 of the first folded portion 120 is the second width. It is preferably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folded portion (130).

다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 표지(111) 측(도 3의 화살표 참조)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뒷면 표지(113) 측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제1 접힘부(120)의 주름 간격은 제2 접힘부(130)의 주름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고, 제1 접힘부(120)의 폭은 제2 접힘부(13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서 커버(110)가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는 접힘부의 주름 간격은 다른 접힘부의 주름 간격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110)가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는 접힘부는 다른 접힘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configured to be folded to the front cover 111 side (refer to the arrow of FIG. 3) as shown in FIGS. 3 and 4, it may be configured to be folded to the back cover 113 side. In this case, unlike the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wrinkle interval of the first foldable part 120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rinkle interval of the second foldable part 130, and the width of the first foldable part 120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foldable part 120. 2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olded portion (130). In summar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110 is folded relative to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120 and 130, and the wrinkle interval of the folded portion located outside may be wider than that of the other folded portions. Similarly, when the cover 110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arts 120 and 130, the folded part located outside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other folded part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은, 커버(110)에 관통 형성되는 타공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clear fi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erforation part 140 formed through the cover 110.

타공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가 연결 라인부(115)와 만나는 위치(본 실시예의 경우, 커버(110) 전체의 중심 위치)에서 커버(11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타공부(140)는 커버(110)가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타공부(140) 주변이 매끄럽고 깔끔한 모양을 유지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 영역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원호 형상은 커버(110)를 접는 과정에서 커버(110)의 연결 라인부(115) 주변에 가해지는 응력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도 있다. 한편, 연결 라인부(115) 영역에서 타공부(140)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타공부(140)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타공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면 표지(113) 영역에서보다 앞면 표지(111) 영역에서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 표지(111) 측(도 3의 화살표 참조)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뒷면 표지(113) 측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 타공부(140)는 앞면 표지(111) 영역에서보다 뒷면 표지(113) 영역에서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erforation part 140 has a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arts 120 and 130 meet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in this embodiment, the center position of the entire cover 110). ) May be formed through the cover 110. At this time, the perforated part 140 is the front surface as shown in FIG. 1 to maintain a smooth and neat shape around the perforated part 140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110 is fold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arts 120 and 13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are formed in an arc shape. In addition, the circular arc shape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ess applied around the connection line portion 115 of the cover 110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cover 110 is not concentrated in a specific portion. On the other hand, the perforations 14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in the connection line section 115 reg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erforation part 14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addition, the perforations 140 may be formed longe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115 in the front cover 111 region than in the back cover 113 region, as shown in FIG. Howev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is configured to be folded to the front cover 111 side (refer to the arrow of FIG. 3)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unching part ( 140 is preferably formed longe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ng line portion 115 in the back cover 113 area than in the front cover 111 area.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타공부(14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은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가 연결 라인부(115)와 만나는 위치에서 연결 라인부(115)를 포함한 일정 부분이 개방됨으로써,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커버(110)를 접었을 때 커버(110)의 연결 라인부(115) 등이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은 여러 번 반복해서 접었다 펼쳤다 해도 실질적으로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By the perforations 14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lear fi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nection line portion 115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120 and 130 meet the connection line portion 115. By opening a portion including a,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such as the connection line portion 115 of the cover 110, such as when the cover 110 is fold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arts (120,130). have. Accordingly, the clear fi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it can substantially maintain its original shape even after repeatedly folding and unfolding it several times.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을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clear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클리어 파일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클리어 파일에서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클리어 파일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lan view of a clear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r file of FIG. 5,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connection line in the clear file of FIG. 5.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in the clear file of FIG. 7.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200)은, 연결 라인부(115)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로 구성되는 커버(110),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앞면 표지(111)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220),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뒷면 표지(113)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230), 제1 및 제2 접힘부(220,230)가 연결 라인부(115)와 만나는 위치에서 커버(110)에 관통 형성되는 타공부(140), 및 접혀진 커버(110)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5 to 8, the clear fi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110 composed of a front cover 111 and a back cover 113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line unit 115, The first folded part 220 provided on the front cover 111 so as to exten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and the back cover 113 provided on the back cover 113 so as to exten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The perforated part 140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cover 110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folded part 230, the first and the second folded parts 220 and 230 meet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and the folded cover 110. It may include a binding member 250 for binding.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200)은 제1 접힘부(220), 제2 접힘부(230) 및 결속 부재(250)의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The clear fi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the first folded part 220, the second folded part 230, and the binding member 250. Since the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the same reference numeral is given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apply mutatis mutandi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부(220) 및 제2 접힘부(230) 각각은, 주름 구조를 갖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커버(110)보다 잘 휘어질 수 있도록 연성 재질의 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힘부(220) 및 제2 접힘부(230)는 얇은 두께를 갖는 고무 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접힘부(220) 및 제2 접힘부(230)는 커버(11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앞면 표지(111)나 뒷면 표지(113)에 접착제나 열융착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each of the first folded portion 220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230 may be bent better than the cover 110,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ving a corrugated structure. It may be provided as a sheet of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folded portion 220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230 may be provided as a rubber sheet having a thin thickness. In this case, the first foldable part 220 and the second foldable part 23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cover 110 and then coupled to the front cover 111 or the rear cover 113 by an adhesive or a heat fusion method. .

이러한 제1 접힘부(120)와 제2 접힘부(13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 있는 커버(11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커버(110)는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연성 재질의 시트로 마련된 제1 및 제2 접힘부(220,230)를 기준으로 자연스럽게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1 접힘부(220)와 제2 접힘부(230)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접힘부(220)는 앞면 표지(111)의 중앙 위치에서 가로 방향, 즉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접힘부(230)는 뒷면 표지(113)의 중앙 위치에서 가로 방향, 즉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the first folded part 120 and the second folded part 130 have a cover in which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are stacked on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FIG. 8, the 110 is easily configured to be fol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That is, the cover 110 may be naturally fold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arts 220 and 230 provided as a sheet of a flexible material in a state where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are stacked on each oth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olded part 220 and the second folded part 230 overlap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are stacked on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foldable part 22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front cover 111, and the second foldable part 230 is the back cover 113. More preferably, it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e,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connecting line portion 115 at the central position of.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200)은, 사용자가 클리어 파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서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이점들은 가지고 다니기 불편하고 보관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큰 규격 사이즈의 클리어 파일(예컨대, A3용 클리어 파일, A2용 클리어 파일)에 있어서 더욱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clear fi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r stored by the user by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the clear file,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and minimizing space for storage. In particular,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greater meaning in large standard size clear files (for example, A3 clear files and A2 clear files), which are inconvenient to carry and take up a lot of space during storage.

결속 부재(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0)가 연결 라인부(115)를 기준으로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이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0)가 제1 및 제2 접힘부(220,230)를 기준으로 2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임의로 펼쳐지지 않도록 커버(100)를 결속하기 위한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결속 부재(250)는 소정의 탄성을 보유한 끈(밴드) 형태로 마련되어 접혀진 커버(110)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어서 결속할 수 있다. 이때, 끈 형태의 결속 부재(250)는 뒷면 표지(113)에 형성된 2개의 관통공(113a)을 통해 커버(1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결속 부재(250)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binding member 25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110 is primari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line 115, or as shown in FIG. 8, the cover 110 may be first and second. It is a means for binding the cover 100 so as not to be unfolded arbitrarily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in the second folded state based on the folded parts (220, 230). Specifically, the binding member 25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trap (band)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can be bound by binding the folded cover 110 as shown in Figs. In this case, the strap-shaped binding member 250 may be connected to the cover 110 through two through holes 113a formed in the back cover 113.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binding member 25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disclosed in this embodiment can be changed appropriately.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을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clear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클리어 파일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클리어 파일에서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클리어 파일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lan view of a clear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r file of FIG. 9,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connection line part in the clear file of FIG. 9.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in the clear file of FIG. 11.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300)은, 연결 라인부(115)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로 구성되는 커버(110),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앞면 표지(111)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320),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뒷면 표지(113)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9 to 12, the clear fi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110 composed of a front cover 111 and a back cover 113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line unit 115, The first folded part 320 provided on the front cover 111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on line portion 115, and the second cover provided on the back cover 113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on line portion 115. It may include a folded portion 330.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300)은 제1 접힘부(320) 및 제2 접힘부(330)가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과 큰 차이가 있고, 나머지 대부분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클리어 파일(100)에서 타공부(140)는 본 실시예의 클리어 파일(300)에서 생략된다.The clear fi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folded portion 320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330 extend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on line portion 115. There is a big difference from the file 100, most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r file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figuration, the description there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applied mutatis mutandis. On the other hand, the perforations 140 in the clear file 1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mitted in the clear fil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부(320)는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앞면 표지(111)에 형성되고, 제2 접힘부(330)는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뒷면 표지(113)에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은 세로 방향이지만, 본 실시예와 다르게 연결 라인부(115)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은 가로 방향이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first folded part 320 is formed on the front cover 111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ng line part 115, and the second folded part 3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e part. It is formed on the back cover 113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115).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is a vertical direction, but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is horizontal. Can be direction.

이러한 제1 접힘부(320)와 제2 접힘부(3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 있는 커버(11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본 실시예의 경우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커버(110)는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320,330)를 기준으로 자연스럽게 접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커버(110)는 연결 라인부(115)를 기준으로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포개어지도록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320,330)를 기준으로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이중으로 포개어지도록 2차적으로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1 접힘부(320)와 제2 접힘부(330)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1, the first folding part 320 and the second folding part 330 have a cover 110 in a state where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are stacked on each oth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on line unit 115 is configured to be easily fol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embodiment. That is, the cover 110 may be naturally fold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320 and 330 in a state where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are stacked on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cover 110 is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arts 320 and 330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are primarily folded so as to be superposed on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As a result,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may be secondarily folded to overlap the double cov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olded portion 320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330 overlap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ront cover 111 and the back cover 113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300)은, 세로 방향으로 두 번 접을 수 있는 또는 가로 방향으로 두 번 접을 수 있는 클리어 파일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클리어 파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서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lear fi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of a clear file that can be folded tw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wi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rries the overall size of the clear file with them. Can be stored or stored, improving portability and minimizing space for storage.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부(320)는 앞면 표지(111)의 중앙 위치에서 세로 방향, 즉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접힘부(330)는 뒷면 표지(113)의 중앙 위치에서 세로 방향, 즉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및 제2 접힘부(320,330)를 기준으로 커버(110)를 접었을 때 클리어 파일(300)을 절반 크기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the first foldable part 32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front cover 111, and the second foldable part 330. Is preferably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ack cover 113, that is, parallel to the connecting line portion 115, which may be folded to the cover 110 relative to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320,330) This is because the clear file 300 can be reduced to half the size.

구체적으로, 제1 접힘부(320) 및 제2 접힘부(330) 각각은 유연성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다르게 제1 접힘부(320) 및 제2 접힘부(330)는 커버(110)보다 잘 휘어질 수 있도록 연성 재질의 시트, 예컨대 얇은 두께를 갖는 고무 시트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클리어 파일(200)에 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foldable part 320 and the second foldable part 330 may have a pleat structure as shown in FIGS. 9 to 12 to ensure sufficient flexibility. Alternatively, the first folded portion 320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330 may be provided with a flexible sheet, for example, a rubber sheet having a thin thickness so as to bend more than the cover 110.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apply mutatis mutandis to the clear file 2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제1 및 제2 접힘부(320,330)의 주름 구조는 그 방향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클리어 파일(100)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의 주름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 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접힘부(320)의 주름 구조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긴 홈을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앞면 표지(111)에 형성하여 마련되고, 마찬가지로 제2 접힘부(330)의 주름 구조도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긴 홈을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뒷면 표지(113)에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힘부(330)의 폭(W2)은 제1 접힘부(320)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접힘부(130)의 주름 간격은 제1 접힘부(120)의 주름 간격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이유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언급한 바 있다.Since the corrug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olds 320 and 33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rrug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olds 120 and 130 in the above-described clear file 100 except for the directionality thereof, Detailed description applie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utatis mutandis. In other words, the corrugation structure of the first foldable part 320 is provided by forming a plurality of elongated grooves disposed on the front cover 111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in a long direction. The corrugation structure of the second foldable part 330 may also be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long grooves disposed on the back cover 113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on line part 115.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the width W2 of the second folded portion 330 is greater than the width W1 of the first folded portion 320, and the wrinkle interval of the second folded portion 130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old interval of the first folded portion 120 is wider, and the reason for thi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200,300 : 클리어 파일
110 : 커버
111 : 앞면 표지
113 : 뒷면 표지
115 : 연결 라인부
120,220,320 : 제1 접힘부
130,230,330 : 제2 접힘부
140 : 타공부
250 : 결속 부재
100,200,300: Clear File
110: cover
111: front cover
113: back cover
115: connection line part
120,220,320: the first folded portion
130,230,330: second folded portion
140: punching
250: binding member

Claims (20)

연결 라인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와 뒷면 표지로 구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앞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 및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뒷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A cover comprising a front cover and a back cover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on line part;
A first folded part provided on the front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And
A second fold portion provided on the back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ortion;
The cover may be folded based on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파일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가 상기 연결 라인부와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에 관통 형성되는 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r file is,
And a perforated part formed through the cover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meet the connection line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의 영역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The method of claim 2,
The perforation part,
The clear fi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in the area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상기 뒷면 표지의 영역에서보다 상기 앞면 표지의 영역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거나, 상기 앞면 표지의 영역에서보다 상기 뒷면 표지의 영역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The method of claim 2,
The perforation part,
Longer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on line portion in the region of the front cover than in the region of the back cover, or longe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ng line portion in the region of the back cover than in the region of the front cover Clear fil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주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Each of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has a pleat struc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구조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긴 홈을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The method of claim 5,
The wrinkl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elongated grooves arranged at intervals to be formed in the cover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접힘부의 주름 간격은 다른 접힘부의 주름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is fold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s, the fold spacing of the folds located at an outer side among the first folds and the second folds is wider than that of the other folds. Clear fi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상기 커버보다 잘 휘어지도록 연성 재질의 시트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Each of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heet of a soft material so as to bend more than the co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상기 커버와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앞면 표지나 상기 뒷면 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9. The method of claim 8,
Each of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After the cover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cov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ront cover or the back cov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state that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is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are in positions overlapping each oth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는, 상기 앞면 표지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접힘부는, 상기 뒷면 표지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folded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ng line portion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front cover,
The second folded portion, the clear file,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connection line portion 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back cov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접힘부는 다른 접힘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ver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in a state that the folded portion located i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is formed in a larger width than the other folded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파일은,
상기 커버가 접혀진 상태에서 임의로 펼쳐지지 않도록 상기 커버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lear file is,
And a binding member for binding the cover to prevent the cover from being unfolded arbitrarily in a folded state.
연결 라인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와 뒷면 표지로 구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앞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 및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뒷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포개어지도록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이중으로 포개어지도록 2차적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A cover comprising a front cover and a back cover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on line part;
A first folded part provided on the front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art; And
A second fold portion provided on the back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line portion;
The cover may overlap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based on the first folded part and the second folded part in a state where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are primarily folded so as to overlap the connection line part. Clear file, characterized in that folded second to los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파일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가 상기 연결 라인부와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에 관통 형성되는 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lear file is,
And a perforated part formed through the cover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folded portions meet the connection line part.
연결 라인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와 뒷면 표지로 구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앞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 및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뒷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A cover comprising a front cover and a back cover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on line part;
A first folding part provided on the front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art; And
A second folded part provided on the back cover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art;
The cover may be folded based on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주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17. The method of claim 16,
Each of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has a pleat structur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구조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긴 홈을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wrinkl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elongated grooves arranged at intervals to be formed in the cover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on line por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상기 커버보다 잘 휘어지도록 연성 재질의 시트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17. The method of claim 16,
Each of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heet of a soft material so as to bend more than the cov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는, 상기 앞면 표지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접힘부는, 상기 뒷면 표지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first folded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ng line portion 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front cover,
The second folded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line portion 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back cover,
And the first foldable portion and the second foldable portion overlap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KR1020110108465A 2011-10-24 2011-10-24 Clear file KR2013004441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465A KR20130044415A (en) 2011-10-24 2011-10-24 Clear file
PCT/KR2012/008659 WO2013062273A2 (en) 2011-10-24 2012-10-22 Clear f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465A KR20130044415A (en) 2011-10-24 2011-10-24 Clear fi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083A Division KR20130082491A (en) 2013-07-02 2013-07-02 Clear f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415A true KR20130044415A (en) 2013-05-03

Family

ID=4816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465A KR20130044415A (en) 2011-10-24 2011-10-24 Clear fi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44415A (en)
WO (1) WO2013062273A2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3889A (en) * 2014-11-12 2016-05-26 株式会社シルキー・アクト Clear f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189982A (en) * 2017-07-13 2017-10-19 株式会社リヒトラブ File and file book
JP2021037670A (en) * 2019-09-02 2021-03-11 株式会社キングジム Binder with binding tool and object to be bound
RU2778167C1 (en) * 2022-01-21 2022-08-15 Сергей Васильевич Серебренников Package for sheet medi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24928A1 (en) * 2015-03-27 2016-09-27 Polyconcept North America Notebook and notebook cov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774U (en) * 1983-11-14 1985-06-10 株式会社ウイークエンド File cover closure locking device
JPS60127968U (en) * 1984-02-06 1985-08-28 蓮沼 珠真子 English learning card holder
JPH09193585A (en) * 1996-01-11 1997-07-29 Koji Ueda Auxiliary plate for standing around reading newspaper
JP2011131567A (en) * 2009-12-24 2011-07-07 Ken Yoshida Foldable clear holder
JP3167031U (en) * 2011-01-20 2011-03-31 株式会社ニック Document fi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3889A (en) * 2014-11-12 2016-05-26 株式会社シルキー・アクト Clear f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189982A (en) * 2017-07-13 2017-10-19 株式会社リヒトラブ File and file book
JP2021037670A (en) * 2019-09-02 2021-03-11 株式会社キングジム Binder with binding tool and object to be bound
RU2778167C1 (en) * 2022-01-21 2022-08-15 Сергей Васильевич Серебренников Package for sheet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62273A3 (en) 2013-06-20
WO2013062273A2 (en)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8532C (en) Expandable capacity pocket divider
JP3213720U (en) Mask storage case with folding function
KR20130044415A (en) Clear file
CA2838533C (en) Expandable capacity pocket device
JP2017217917A (en) folder
KR20130082491A (en) Clear file
JP3139076U (en) clear file
JP3164506U (en) Clear folder
KR101924287B1 (en) A file for keeping a document
JP3189213U (en) Trash can
JP3184301U (en) Clear file book
JP2020040305A (en) Document hold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document holder
JP7112028B2 (en) Packing material
JP2013237202A (en) Paper holder
JP7358906B2 (en) holder
JP6933044B2 (en) File
JP7400344B2 (en) holder
JP3191806U (en) Folding fan
JP2017043000A (en) Binding sheet and file
JP2023002941A (en) Storage body and file
KR200472689Y1 (en) Foldable file box
JP2015208901A (en) Binder holder cum folding guide plate
JP3195817U (en) Document storage
JP2016120645A (en) Paper holder
JP2003237275A (en) File for doc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