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018A - 발열 수단이 구비된 의복 - Google Patents

발열 수단이 구비된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018A
KR20130044018A KR1020110108257A KR20110108257A KR20130044018A KR 20130044018 A KR20130044018 A KR 20130044018A KR 1020110108257 A KR1020110108257 A KR 1020110108257A KR 20110108257 A KR20110108257 A KR 20110108257A KR 20130044018 A KR20130044018 A KR 20130044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clothing
present
carbon black
hea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건솔루텍
장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건솔루텍, 장희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건솔루텍
Priority to KR102011010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4018A/ko
Publication of KR20130044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2Professional or protective garments with pockets for particular uses, e.g. game pockets or with holding means for too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모자, 장갑 및 상/하의 의류와 같이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의복에 있어서, 액상 실리콘 고무와 도전성 카본 블랙을 혼합한 도전성 조성물이 코팅된 메시부와 상기 메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열층이 상기 의복의 내/외피 사이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이 구비된 의복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의복에 동절기 난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발열층이 구비됨으로써, 동절기 의복을 보다 얇고 가볍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복 착용에서 신체가 둔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외부 환경에서의 작업성 및 운동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층이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은 물론, 불규칙한 굴곡에도 발열층의 손상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기제어 저항 발열로 집열현상에 의한 화재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제품의 수명 연장이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열 수단이 구비된 의복{Garments equipped with heating means}
본 발명은 의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신발, 장갑, 모자 및 상/하의 의복 내/외피 사이에 액상 실리콘과 카본블랙이 혼합된 도전성 조성물이 코팅된 발열층이 구비되어, 동절기 혹한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발열 수단이 구비된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은 신발, 장갑, 모자 및 상/하의 의류는 등으로서, 신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개성을 돋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의복은 계절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데, 특히 동절기에는 혹한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의복의 내/외피 사이에는 안솜(batting), 폼(foam) 및 솜털 등으로 이루어진 단열재를 더 추가하고, 신발에는 가죽, 펠트 플리스 코르크 면포, 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외부 혹한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동절기 의복은 외부 혹한으로부터 단열효과를 얻기 위해 비교적 두꺼운 재질을 더 포함해야만 했으며, 이는 착용자의 활동성 저하는 물론, 특히 작업 내지는 운동용으로는 용이하지 못하다.
즉, 빙점 이하의 온도로부터 신체 보호를 위해서는 비교적 두꺼운 단열재를 의복에 더 포함해야만 했으며, 이는 신체운동의 둔화를 초래하여, 활동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두꺼운 단열재는 손의 민첩함과 동시에 정밀함을 요하는 작업은 물론, 운동선수 등에는 적용이 용이하지 못한 것이다.
또한, 의복의 미적 외관은 두꺼운 두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세련되지 않고 멋이 없는 외형을 갖는 큰 부피의 의복을 착용하는 데에 반감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복에 동절기 난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발열층이 구비됨으로써, 동절기의 의복을 보다 얇고 가볍게 제작할 수 있는 발열 수단이 구비된 의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열층을 통한 얇고 가벼운 의복 제작이 용이하여, 의복 착용에서 신체가 둔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외부 환경에서의 작업성 및 운동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열수단이 구비된 의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열층이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은 물론, 불규칙한 굴곡에도 발열층의 손상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발열수단이 구비된 의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층의 자기제어 저항 발열로 집열현상에 의한 화재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제품의 수명 연장이 발열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 모자, 장갑 및 상/하의 의류와 같이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의복에 있어서, 액상 실리콘 고무와 도전성 카본 블랙을 혼합한 도전성 조성물이 코팅된 메시부와 상기 메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열층이 상기 의복의 내/외피 사이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이 구비된 의복을 개시한다.
상기 단자부는, 전도성의 주석이 도금된 동선 및 은선 중 적어도 하나를 직조한 도체금속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액상 실리콘 고무와 도전성 카본블랙이 질량비 기준 100 : 1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시부는, 액상 실리콘 고무와 도전성 카본 블랙을 질량비 기준 100 : 1 내지 15로 혼합한 조성물이 코팅된 메시형상, 판상, 본상, 및 바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복의 일측에는 포켓이 더 형성되며, 상기 포켓에는 휴대용 전원장치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층은, 액상 실리콘 고무와 희석제를 혼합 교반한 절연재가 표면에 더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복에 동절기 난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발열층이 구비됨으로써, 동절기 의복을 보다 얇고 가볍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열층을 통한 얇고 가벼운 의복 제작이 용이하여, 의복 착용에서 신체가 둔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외부 환경에서의 작업성 및 운동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열층이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은 물론, 불규칙한 굴곡에도 발열층의 손상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열층의 자기제어 저항 발열로 집열현상에 의한 화재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제품의 수명 연장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낸 의복의 착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층을 구비하는 점퍼의 전원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층을 구비하는 신발의 전원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층을 구비하는 장갑의 전원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열수단이 구비된 의복은 첨부된 각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시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낸 의복의 착용상태도이다.
의복(100)은 사람의 신체를 감싸 외부 노출되는 피부를 보호하면서, 각 개개인의 개성을 돋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141) 및 하의(143)로 이루어진 의류(140)는 물론, 모자(130), 장갑(150)과 신발(160)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의복(100)의 내부에는 동절기 혹한에서도 야외활동이 용이하도록 그 내부에 발열층(110)이 더 구비되어, 의복(100)으로의 보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발열층(110)이 구비됨으로, 동절기 혹한에서의 야외활동이 용이하여 야외에서의 작업과 운동할 때 혹한으로부터 신체는 물론, 피부가 동상과 같이 신체적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체중감량을 목적으로 할 경우, 트레이닝(속칭 : 땀복)복 활용이 가능하다. 즉, 다이어트를 하거나, 운동선수의 체중조절이 필요할 경우, 발열층(100)을 보온력을 이용하여, 땀의 배출량이 증가 되도록 하여 그 운동량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체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열층(110)을 통해 의복(100)의 두께를 얇고 그 무게를 더욱 가벼이 제작할 수 있는데, 이는 의복(100)의 어느 일 단면을 나타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부분 단면도는 의복(100)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30), 의류(140) 장갑(150) 및 신발(160) 중 선택된 어느 일 영역의 단면도이며, 각 의복(100)의 단면이 이와 동일한 구조이나, 재질은 소정 상이하다.
이러한 의복(100)은 적어도 내피(101)와 외피(103)로 이루어지고, 그 내/외피(101,103) 사이에 발열층(110)이 구비된다.
이때, 외피(103)는 투습성 재질이거나, 신발의 경우, 가죽 등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피(101)는 피부와 직접 내지는 간접적으로 접하는 면으로서, 보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극세사 등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동절기 혹한에도 발열층(110)이 더 구비됨으로써, 의복(100)을 보다 얇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내/외(101,103)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의복(100)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야외활동의 운성동과, 편의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발열층(110)의 상세한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층(110)은 네트 구조의 메시부(120)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125)로 크게 구성된다.
메시부(120)는 경사(121)와 위사(123)가 직조된 형태의 네트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매우 바람직하게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네트 구조는 물론, 판상, 봉상, 환상 및 바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일 수도 있다.
단자부(125)는 경사(121) 또는 위사(123) 중 어느 하나의 양단에 각각 직교하게 연결되어, 메시부(1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단자부(125)는 전도성의 주석이 도금된 동선 및 은선 중 적어도 하나를 직조한 도체 금속 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자부(125)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발열층(11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외부로 노출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원공급은 휴대성이 용이한 전지를 통해 공급됨이 바람직하며, 일례로는 교체형 전지이거나, 충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열층(110)은 자기제어저항발열에 의한 안정성 물론, 유연성을 제공되도록 발열층(110)의 표면에 혼합물이 도포되는데,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층(110)의 표면에 코팅되는 혼합물은, 도전성 혼합제(127) 및 절연재(129)가 코팅된다.
도전성 혼합제(127)는 액상실리콘고무와 전도성 물성의 카본블랙(carbon black)을 혼합된 조성물로서, 질량비 기준 100 : 1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발열층(110)은 자기제어저항발열은 물론, 유연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액상실리콘 고무는 종래의 고분자 플라스틱 재료보다 내열성 내한성, 내오존성 및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것은 물론, 유연성까지 탁월한 성징을 가지기 때문이다.
특히, 액상실리콘고무의 열팽창계수(270 ×10 -6 ·K -1 )가 폴리에틸렌의 열팽창계수(PE, 150 ×10 -6 ·K -1 )보다 2배 정도 높기 때문에 발열층(110)은 자기제어 저항 발열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액상실리콘고무와 카본블랙을 혼합할 때, 톨두엔(toluene) 등의 희석제가 더 첨가될 수 있으며, 이는 카본블랙의 함유량에 따라 선택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카본블랙의 함유량이 질량비 기준 1 내지 5일 경우에는, 희석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도전성 조성물의 유동성이 충분한 확보가 가능하나, 카본블랙의 함유량이 그 이상일 경우, 그에 대응하는 질량의 희석제를 첨가하여, 도전성 조성물의 유동성이 확보되도록 해야할 것이다.
또한, 절연재(129)는 도전성 혼합제가 그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절연재(129)는 액상실리콘고무와 희석제를 혼합, 교반한 것으로, 도전성 혼합제의 표면에 코팅하되,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일체화되어 반복되는 열적 팽창 및 수축에도 박리현상에 대해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열층(110)은 자기제어 저항 발열 기능과 유연성이 탁월하여, 의복으로서 잦은 굴곡에도 발열층(110)이 손상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의복으로서의 보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기제어 저항 발열 기능을 통해 집열현상을 방지하여, 화재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제품의 수명연장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층을 구비하는 점퍼의 전원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층을 구비하는 신발의 전원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층을 구비하는 장갑의 전원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5는 점퍼(140)에 관련하여 한정하였으나, 상기 점퍼(140)는 의복의 일 형태일 뿐, 예를 들어, 트레이닝복, 땀복, 등산복 등으로 확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6의 신발(160)은 단화, 군화, 장화, 스니커즈, 운동화, 구두 등을 포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140), 신발(150), 장갑(160)에는 그 일측에 포켓(145, 151, 161)을 형성하고, 상기 포켓(145, 151, 161)에 전원장치(147, 153, 163)를 장착하며, 장착된 전원장치(147, 153, 163)에는 연결잭(149, 155, 165)이 연결되도록 연결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잭(149, 155, 165)은 점퍼(140), 신발(150), 장갑(160)의 내측에 설치된 발열층(110)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잭(149, 155, 165)을 연결단자에 연결하고, 전원장치(147, 153, 163)의 전원을 on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발열층(110)이 발열되도록 한다.
이로써, 점퍼(140), 신발(150), 장갑(160)을 한겨울에도 온기를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원장치(147, 153, 163)는 여러 형태가 될 수 있으나, 그 일예로 가장 단순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의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의복 101 : 내피
103 : 외피 110 : 발열층
120 : 메시부 121 : 경사
123 : 위사 125 : 단자부
127 : 도전성 혼합제 129 : 절연재
130 : 모자 140 : 의류
141 : 상의 143 : 하의
150 : 장갑 160 : 신발

Claims (6)

  1. 신발, 모자, 장갑 및 상/하의 의류, 운동복을 포함하는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의복에 있어서,
    액상 실리콘 고무와 도전성 카본 블랙을 혼합한 도전성 조성물이 코팅된 메시부와 상기 메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열층이 상기 의복의 내/외피 사이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이 구비된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전도성의 주석이 도금된 동선 및 은선 중 적어도 하나를 직조한 도체금속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이 구비된 의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실리콘 고무와 도전성 카본블랙이 질량비 기준 100 : 1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이 구비된 의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부는,
    액상 실리콘 고무와 도전성 카본 블랙을 질량비 기준 100 : 1 내지 15로 혼합한 조성물이 코팅된 메시형상, 판상, 본상, 및 바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이 구비된 의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일측에는 포켓이 더 형성되며, 상기 포켓에는 휴대용 전원장치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이 구비된 의복.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액상 실리콘 고무와 희석제를 혼합 교반한 절연재가 표면에 더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수단이 구비된 파티션.
KR1020110108257A 2011-10-21 2011-10-21 발열 수단이 구비된 의복 KR20130044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257A KR20130044018A (ko) 2011-10-21 2011-10-21 발열 수단이 구비된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257A KR20130044018A (ko) 2011-10-21 2011-10-21 발열 수단이 구비된 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018A true KR20130044018A (ko) 2013-05-02

Family

ID=4865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257A KR20130044018A (ko) 2011-10-21 2011-10-21 발열 수단이 구비된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40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57683U (zh) 一种电热衣/裤及其配饰
US5008517A (en) Electrically heated form-fitting fabric assembly
CN103380245B (zh) 凉爽面料
US5032705A (en) Electrically heated garment
US3751620A (en) Electric garment
US20070164010A1 (en) Electric heating/warming fabric articles
US20070045269A1 (en) Thermal garment and method
US20130306614A1 (en) Heat activated thermal garment
US20050167412A1 (en) Electrical garment heating system
CN104116274A (zh) 导电拉链
KR20100098787A (ko) 발열 양말
AU2004311573B2 (en) Heated garment system
CN207370134U (zh) 一种户外保温服装
KR20130044018A (ko) 발열 수단이 구비된 의복
CN101247679A (zh) 具有电热功能的纺织材料和采用该材料制造的纺织品
WO2003059099A1 (en) Washable electric heating garment and electric heating device thereof
CN211794351U (zh) 一种电加热袜
CN217487703U (zh) 一种无感式可穿戴保温设备
CN216019219U (zh) 冲锋衣
CN213756887U (zh) 一种基于导电袜的冷兵器搏击运动用导电鞋
CN212382112U (zh) 一种智能保暖衣服
CN217242790U (zh) 一种防风保暖运动服
CN214962710U (zh) 冲锋衣
CN216255562U (zh) 护腿及健身裤
CN1054725C (zh) 高分子电热材料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