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852A - 영어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어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852A
KR20130043852A KR1020110108004A KR20110108004A KR20130043852A KR 20130043852 A KR20130043852 A KR 20130043852A KR 1020110108004 A KR1020110108004 A KR 1020110108004A KR 20110108004 A KR20110108004 A KR 20110108004A KR 20130043852 A KR20130043852 A KR 20130043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learning
english
database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뮤엠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뮤엠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뮤엠교육
Priority to KR102011010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3852A/ko
Publication of KR2013004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영어학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학습 방법은 통신망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한 학습자의 회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에게 주어, 주어+조동사, 주어+준 조동사로 이루어진 시작부(initial part)에 대한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시작부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에 동사, 동사+목적어로 이루어진 핵심부(middle part)에 대해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핵심부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에 상기 핵심부를 수식하는 수식부(ending part)에 대한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에게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로 이루어진 영어 문장을 통한 연습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에게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패턴(pattern)이 습득되도록 장문의 영어 문장으로 이루어진 반복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어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Method for english study and english study system}
본 발명은 영어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어 문장의 길이에 상관없이 주어 또는 주어+조동사, 주어+준조동사로 이루어진 시작부와, 상기 시작부와 연결되고 동사 또는 동사+목적어로 이루어진 핵심부와, 상기 핵심부를 수식하는 수식부로 이루어진 영어 문장의 패턴을 단어의 조합이 아닌 의미 있는 의미구에 대한 학습을 통해 영어를 습득할 수 있는 영어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어를 학습하는 방법으로는 문장의 기본구성을 분별하여 학습하는 방법과, 읽고 듣는 등 회화를 주로 하여 학습하는 방법과, 전문기술분야에서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전문단어를 위주로 하여 학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영어교육 학습방법은 일반적으로 단기간에 습득하여 어느 정도의 수준에 도달하는 학습 정도를 가질 수도 있으며, 꾸준히 계속적으로 학습하여 일상생활에 적용하거나 새로운 문화에 대한 영어분야의 지식을 습득하도록 학습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영어에 대한 학습방법을 영어문장 유형별, 회화 중심 또는 용어 중심으로 한다 하여도 그 어느 것 하나 필요하지 않는 것이 없다. 이에 과거에는 영어문장에 대한 다수의 문장 형식별로 학습하고, 또한 이를 더욱 세분화하여 수년 동안 학습하여도 정작 일상생활에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회화 또는 전문용어를 위주로 학습한다 하여도, 영어문장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게 되면 회화를 통하여 일상생활에 적용하거나 전문분야의 지식을 습득하기엔 한계가 있는 것이다.
특히 어느 정도의 기본 문장에 대한 지식이 있다 하여도 순식간에 말하고 듣게 되는 회화의 경우, 많은 양의 영작 및 영문해석 등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기존의 문장 분류 형식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01108호에서 디 패턴 정의를 이용한 영어교육 학습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상기 디 패턴 정의를 이용한 영어교육 학습방법은 디 패턴에 대한 정의가 복잡하고 유아 또는 초등학생이 장문의 영어문장을 학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학습자가 기존의 복잡한 영어 문장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의미구들을 패턴화하여 손쉽게 영어 문장을 이해하고 학습하여 영어 교육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어학습 방법은 통신망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한 학습자의 회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에게 주어, 주어+조동사, 주어+준 조동사로 이루어진 시작부(initial part)에 대한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시작부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에 동사, 동사+목적어로 이루어진 핵심부(middle part)에 대해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핵심부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에 상기 핵심부를 수식하는 수식부(ending part)에 대한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에게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로 이루어진 영어 문장을 통한 연습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에게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패턴(pattern)이 습득되도록 장문의 영어 문장으로 이루어진 반복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학습자에게 주어, 주어+조동사, 주어+준 조동사로 이루어진 시작부(initial part)에 대한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부에 대한 다양한 영어 문장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문장이 원어민의 음성으로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학습자가 시작부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에 동사, 동사+목적어로 이루어진 핵심부(middle part)에 대해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부에 대한 다양한 영어 문장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문장이 원어민의 음성으로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학습자가 핵심부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에 상기 핵심부를 수식하는 수식부(ending part)에 대한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식부에 대한 다양한 영어 문장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문장이 원어민의 음성으로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학습자에게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패턴(pattern)이 습득되도록 장문의 영어 문장으로 이루어진 반복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문장이 원어민의 음성으로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어 학습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학습자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여 회원 가입한 학생 가입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영어 문장을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로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문장 구성자료로 구성된 영어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와,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 및 통계 정보가 저장되는 통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학생들의 개별 학습 상태 및 테스트 정보를 회원 가입된 교사에게 제공하는 교사용 학습 서버와, 상기 교사용 학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회원 가입된 학습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학습자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영어 학습을 실시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영어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는 유아용 학습자료가 저장된 유아용 데이터베이스와, 초등학생용 학습자료가 저장된 초등학생용 데이터베이스와, 중학생용 학습자료가 저장된 중학생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어를 처음 배우는 유아 또는 초등학생이 영어에 대해 손쉽게 접근하고 학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어 학습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영어 작문 및 번역에 대한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학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학습 방법에서 시작부와 핵심부와 수식부에 해당되는 개별 영어 문장을 이용한 작문을 위한 연습 메뉴가 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학습 방법에서 시작부와 핵심부와 수식부에 대한 패턴이 습득되도록 반복 학습 메뉴가 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학습 방법의 시작부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학습 방법의 핵심부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학습 방법의 수식부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학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어학습 방법은 통신망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한 학습자의 회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T100)와; 상기 학습자에게 주어, 주어+조동사, 주어+준 조동사로 이루어진 시작부(initial part)에 대한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ST200)와; 상기 학습자가 시작부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에 동사, 동사+목적어로 이루어진 핵심부(middle part)에 대해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ST300)와; 상기 학습자가 핵심부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에 상기 핵심부를 수식하는 수식부(ending part)에 대한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ST400)와; 상기 학습자에게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로 이루어진 영어 문장을 통한 연습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ST500); 및 상기 학습자에게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패턴(pattern)이 습득되도록 장문의 영어 문장으로 이루어진 반복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ST600)를 포함한다.
통신망(2)(도 2 참조)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한 학습자의 회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T100)는 상기 학습자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2)을 이용하거나 컴퓨터 단말기(310) 또는 인터넷과 무선으로 접속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320)를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에 회원 가입을 통해 설정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한 통상의 로그인 과정과 유사하다.
컴퓨터 단말기(310)는 통상의 데스크 탑 PC 또는 노트북, 랩탑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이동 단말기(320)는 일 예로 스마트 폰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망(2)은 인터넷, PSTN등의 유선 통신망이나, CDMA, WCDMA 등의 이동 통신망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망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영어학습 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영어문장을 의미 있는 의미구들로 패턴화하여 학습자가 이를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영어 문장을 5형식으로 획일화한 기존의 영어 학습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효율적으로 영어 학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학습자에게 영어 문장 중 주어, 주어+조동사, 주어+준 조동사로 이루어진 시작부(initial part)에 대해 학습메뉴를 제공(ST200)한다.
시작부는 영어 문장이 시작되는 부분으로서 통상 주어 단독 또는 주어+조동사로 시작되거나, 주어+준조동사로 시작된다. 예를 들면 They~, They will~, They like to~ 로 시작되는 영어 문장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조동사는 may, might, can, should, shall, will. would, must, dare, do 중의 어느 하나가 해당될 수 있고, 준조동사는 ought to, have to, had better. be supposed to, be to, need to, want to, like to, used to, be able to, be going to 중의 어느 하나가 해당 될 수 있다.
학습자에게는 시작부에 대한 다양한 영어 문장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한 테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ST210). 상기 학습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표시되는 영어 문장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어 문장은 원어민의 음성으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ST220)된다. 상기 학습자는 자신이 선택한 영어 문장에 대해 시각과 청각을 통해 반복적인 학습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학습자가 학습한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 별도로 저장(ST230)된다.
학습자에게는 시작부에 대한 학습이 종료된 후에 동사, 동사+목적어로 이루어진 핵심부(middle part)에 대해 학습메뉴가 제공(ST300)된다.
핵심부는 영어 문장 중 가장 핵심이 되는 의미구들이 기재되는 부분으로서 동사 또는 동사+목적어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sleep, play와 같이 동사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go to school, drink milk, play soccer, play computer games, read books와 같이 동사+목적어의 형태의 의미구로 사용된다.
앞서 설명된 시작부와 핵심부를 함께 적용해보면‘They will drink milk’ 에서‘They will 은 주어+조동사로 이루어진 시작부에 해당되고,‘drink milk 는 핵심부에 해당되며 학습자가‘They will drink milk’로 기재된 영어 문장의 문장 형식을 일일이 따지지 않고서도 시작부와 핵심부에 대한 학습만 실시한 경우에는 별다른 어려운 없이 영어문장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학습자에게는 핵심부에 대한 다양한 영어 문장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한 테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ST310). 상기 학습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영어 문장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어 문장은 원어민의 음성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ST320)된다. 상기 학습자는 자신이 선택한 영어 문장에 대해 시각과 청각을 통해 반복적인 학습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학습자가 학습한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 별도로 저장(ST330)된다.
사용자에게는 핵심부에 대한 학습이 종료된 후에 상기 핵심부를 수식하는 수식부(ending part)에 대해 학습메뉴가 제공(ST400)된다.
수식부는 상기 핵심부를 수식하는 의미구로서 부사구, 전치사구, 형용사구, 접속사구 또는 명사구 등이 해당 될 수 있으며 특정 구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부사구의 경우에는‘My apple is on the desk’라는 영어 문장에서‘on the desk’는 부사구에 해당된다. 이외에도‘She speaks English with fluency’,‘The boy was dressed in a blue jacket’,‘The paper became yellow with age’,‘They treated her with kindness’의 영어 문장에서 밑줄친 부분은 모두 부사구에 해당된다.
전치사구는 전치사와 결합된 명사(명사어구)로서 out of+명사, at+명사, in 또는 on 또는 with로 시작되는 전치사와 결합되는 명사 등 다수개의 전치사구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play in the water’,‘take walks in tje parks’,‘go camping with my family’,‘help my dad at home’의 영어 문장에서 밑줄친 부분이 이에 해당된다. 참고로 형용사구, 접속사구 또는 명사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에게는 수식부에 대한 다양한 영어 문장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한 테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ST410). 상기 학습자는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영어 문장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어 문장은 원어민의 음성으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학습자는 자신이 선택한 영어 문장에 대해 시각과 청각을 통해 반복적인 학습(ST420)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학습자가 학습한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 별도로 저장(ST430)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학습자에게는 상기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개별 학습메뉴가 제공된 후에 상기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해당되는 개별 영어 문장을 이용한 작문 테스트를 위한 연습 메뉴가 제공(ST500)된다. 예를 들어‘They’,‘They like to’는 시작부에 해당되고,‘go to school’,‘sleep’,‘drink milk’는 핵심부에 해당되며,‘alone’,‘every day’로 기재된 단어는 수식부에 해당된다.
학습자는 제시된 연습 메뉴를 통해 영어 문장에서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의 위치에 대해 연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별적으로 학습한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해 한번 더 복습할 수 있다.
학습자는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가 기재된 단어를 이용하여 작문 연습을 실시하거나 이를 통해 앞서 학습한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위치 및 의미에 대해 복습을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학습자의 시각적인 인지 능력이 향상되도록 각기 서로 색깔로 표시될 수 있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학습자는 이와 같이 학습한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해 복습을 실시한 후에, 상기 학습자에게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가 연속 배열된 장문의 영어 문장에 대해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패턴(pattern)이 습득되도록 반복 학습 메뉴(ST600)가 제공된다.
반복 학습(ST600)은 개별적으로 학습된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해 학습자가 단일 영어 문장으로 다양하게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영어 문장이 서로 간에 구획되어 제시된다.
학습자는 별도로 구비된 펜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터치 디스플레이 또는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된 화면에 접촉하여 제시된 영어 문장을 접촉하면 선택된 영어 문장이 원어민의 음성으로 출력(ST610)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 모니터에는 제시된 영어 문장과 대응되는 상황적 이미지가 표시되고, 각각의 상황적 이미지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되는 영어 문장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영어 문장에 대한 패턴을 암기하지 않고서도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해 인지한 상태에서 다양하게 변화되는 연어 문장에 대해 시각과 청각을 통해 학습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 별도로 저장(ST620)되고 단말기에 접속한 다수의 학습자에 대한 개별 학습 결과 또한 학습자 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학습자는 이와 같은 일련의 영어 문장에 대한 학습을 모두 완료한 후에 로그아웃을 통해 학습을 종료하며,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 및 통신망과 사용자 단말을 통해 로그인된 다수의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어 학습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어 학습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100)와,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00)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와,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120)와, 통계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한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학습자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여 회원 가입한 학생 가입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통신망은 앞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120)는 영어 문장을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로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문장 구성자료로 구성되고, 원어민의 음성으로 녹음된 음성자료와, 동영상 자료와, 각종 사진자료가 포함된다.
영어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120)는 유아용 학습자료가 저장된 유아용 데이터베이스(122)와, 초등학생용 학습자료가 저장된 초등학생용 데이터베이스(124)와, 중학생용 학습자료가 저장된 중학생용 데이터베이스(1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아 또는 초등학생을 기준으로 살명하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통계 데이터베이스(130)는 영어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와,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 및 통계 정보가 저장된다.
서버(200)는 교사용 학습 서버(210)와, 학습자 서버(220)를 포함하며 상기 교사용 학습 서버(210)는 학생들의 개별 학습 상태 및 테스트 정보를 회원 가입된 교사에게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교사용 학습 서버(210)는 회원 가입된 다수의 학습자에 대한 정보를 교사에게 제공하여 상기 교사가 개별 학습자의 학습 진도에 따른 학습 상태와 테스트 결과에 따른 정답 및 오답률을 확인할 수 있다.
학습자 서버(220)는 상기 교사용 학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회원 가입된 학습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학습자 서버(220)는 다수의 학생에 대한 일별 학습 진도량과, 주간별 학습 진도량 및 월별 학습 진도량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고, 문제풀이 결과에 따른 다른 학생들과의 학습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사는 해당 학습자의 학습량과 진도 및 학습 결과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을 해당 학습자에게 이메일로 제공하거나, 틀린 문제에 대한 첨삭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고 상기 서버(200)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영어 학습을 실시하기 위해 구비된다. 사용자 단말은 이동 단말기 또는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일 예로 스마트 폰이 사용되고, 컴퓨터 단말기는 통상의 데스크 탑 PC 또는 노트북, 랩탑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어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학습자는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한 통신망과 접속을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로그인을 실시(ST100)한다. 학습자 서버(220)는 로그인된 학습자에 대해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된 학습자인지를 확인한 후에 상기 학습자가 유아일 경우에는 유아용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영어문장 자료를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가 초등학생일 경우에는 초등학생용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영어문장 자료를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학습자가 초등학생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학습자에게 시작부에 대한 학습메뉴가 제공될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주어 또는 주어+조동사 및 주어+준조동사로 이루어진 시작부에 대한 영어 문장이 표시되고 상기 학습자는 표시된 시작부에 대한 학습(ST200)을 실시한다.
학습자는 사용자 단말(300)에 표시된 시작부의 He likes to, They like to 및 He doesn't like to로 표시된 영어 문장의 의미구들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고, 시작부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제공(ST210)된 문제 풀기를 실시할 수 있다.
학습자는 별도로 구비된 광학용 펜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에 제시된 문제를 선택하면, 선택된 문장이 원어민의 음성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ST220)되고, 상기 학습자는 원어민의 발음을 듣고 정답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정답은 통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ST230)되며 학습자는 연속해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문제 풀이를 실시한다.
학습자에게는 시작부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에 동사 또는 동사+목적어로 이루어진 핵심부에 대한 학습메뉴가 제공된다(ST300).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학습자는 사용자 단말(300)에 표시된 drink milk, play, go to school, sleep, have curly hair로 표시된 영어 문장의 의미구들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고, 핵심부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제공된 문제 풀기를 실시(ST310)할 수 있다.
학습자는 별도로 구비된 광학용 펜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에 제시된 문제를 선택하면, 선택된 문장이 원어민의 음성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ST320)되고, 상기 학습자는 원어민의 발음을 듣고 정답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정답은 통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ST330)되며 학습자는 연속해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문제 풀이를 실시한다.
학습자는 핵심부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에 수식부에 대한 학습을 실시(ST400)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학습자는 사용자 단말(300)에 표시된 this year, all day, alone, every day, in the water로 표시된 영어 문장의 의미구들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고, 수식부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제공된 문제 풀기를 실시한다(ST410).
학습자는 별도로 구비된 광학용 펜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에 제시된 문제를 선택하면, 선택된 문장이 원어민의 음성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ST420)되고, 상기 학습자는 원어민의 발음을 듣고 정답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정답은 통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ST330)되며 학습자는 연속해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문제 풀이를 실시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학습자는 이와 같이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개별 학습을 마친 후에 상기 학습자에게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해당되는 개별 영어 문장을 이용한 작문 테스트를 위한 연습메뉴가 제공(ST500)된다.
상기 연습메뉴는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150)에서 제공되는 영어 문장이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표시된다.
작문 테스트는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각각 해당되는 영어 문장이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혼합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영어 문장이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학습자는 표시된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해당되는 영어 문장을 확인한 후에 국문으로 제시된 각각의 영어 문장이 시작부에 위치하는 문장인지 핵심부 또는 수식부에 위치하는 문장인지를 판단한 후에 문제 풀이를 실시한다. 상기 학습자의 문제풀이에 따른 정답 또는 오답은 통신망을 경유하여 서버(200)를 통해 통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학습자에게는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패턴이 습득되도록 장문의 영어 문장을 통한 반복 학습 메뉴가 제공(ST600)된다.
학습자 서버(220)는 초등학생용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영어 문장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아래와 같은 영어 문장이 표시된다.
시작부 핵심부 수식부
He likes to
go to school

every day.
They like to
He doesn't like to
학습자는 제시된 영어 문장에 대해 He likes to는 시작부로 인식하고, go to school은 핵심부로 인식하며, every day는 수식부로 각각 패턴화하여 서로 다르게 인식할 수 있으며 위에서 제시된 문장이 아닌 다른 문장이 제시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 will go to the supermarket to buy something that my father wants to have for his birthday와 같은 장문의 영어 문장 또한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로 각각 패턴화하여 인식할 수 있다.
즉, I will (시작부) go to the supermarket (핵심부) to buy something that ( 수식부 ) my father(시작부) wants to have (핵심부) for his birthday ( 수식부 )로 각각 패턴화하여 서로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 서버(220)는 제시된 영어 문장과 함께 상기 영어 문장과 대응되는 상황적 이미지를 초등학생용 데이터베이스(124)에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해당 영어 문장에 따른 상황적 이미지와 함께 스피커 모양의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학습자는 광학용 펜을 사용하여 스피커 모양의 아이콘을 터치하여 원어민의 발음을 청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영어문장에 대해 원어민의 발음으로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다.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반복 학습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학습자 서버(220)는 초등학생용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영어 문장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아래와 같은 영어 문장이 표시된다. 학습자는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패턴을 반복 습득하여 제시된 영어 문장에 대한 학습을 실시한다.

시작부

핵심부

수식부

She

pee on me

now

She will

bother me

soon

He will

read books

all day

He will

make a mess


every day


He will

come home

go to school
그리고, 상기 영어 문장에 대한 반복 학습을 마친 후에 아래에 도시된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또 다른 영어 문장에 대한 문제풀이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한번 더 복습해 볼 수 있다.
Figure pat00001
학습자는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패턴이 이미 인지된 상태이므로 제시된 문제를 보고 문제풀이를 실시하고,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는 통신망을 경유하여 서버(200)를 통해 통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고, 상기 학습자를 담당하는 교사가 로그온을 통해 교사용 학습 서버(210)에 접속한 상태에서 통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학습자의 문제풀이에 따른 결과를 확인해 볼 수 있다.
학습자는 일별 진도량을 모두 마친 후에는 로그아웃을 통해 학습을 종료하고,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는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데이터베이스
110 :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20 :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
130 : 통계 데이터베이스
200 : 서버
210 : 교사용 학습 서버
220 : 학습자 서버
3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7)

  1. 영어 문장의 패턴을 이용한 영어학습 방법에 있어서,
    (a) 통신망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한 학습자의 회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학습자에게 주어, 주어+조동사, 주어+준 조동사로 이루어진 시작부(initial part)에 대한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학습자가 시작부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에 동사, 동사+목적어로 이루어진 핵심부(middle part)에 대해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학습자가 핵심부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에 상기 핵심부를 수식하는 수식부(ending part)에 대한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학습자에게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로 이루어진 영어 문장을 통한 연습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f) 상기 학습자에게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에 대한 패턴(pattern)이 습득되도록 장문의 영어 문장으로 이루어진 반복 학습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어학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시작부에 대한 다양한 영어 문장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문장이 원어민의 음성으로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어학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핵심부에 대한 다양한 영어 문장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문장이 원어민의 음성으로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어학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수식부에 대한 다양한 영어 문장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문장이 원어민의 음성으로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어학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문장이 원어민의 음성으로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어학습 방법.
  6.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학습자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여 회원 가입한 학생 가입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영어 문장을 시작부와, 핵심부 및 수식부로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문장 구성자료로 구성된 영어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와,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 및 통계 정보가 저장되는 통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학생들의 개별 학습 상태 및 테스트 정보를 회원 가입된 교사에게 제공하는 교사용 학습 서버와, 상기 교사용 학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회원 가입된 학습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학습자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영어 학습을 실시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는,
    유아용 학습자료가 저장된 유아용 데이터베이스와, 초등학생용 학습자료가 저장된 초등학생용 데이터베이스와, 중학생용 학습자료가 저장된 중학생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
KR1020110108004A 2011-10-21 2011-10-21 영어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 KR20130043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004A KR20130043852A (ko) 2011-10-21 2011-10-21 영어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004A KR20130043852A (ko) 2011-10-21 2011-10-21 영어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852A true KR20130043852A (ko) 2013-05-02

Family

ID=4865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004A KR20130043852A (ko) 2011-10-21 2011-10-21 영어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38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581B1 (ko) 2016-04-29 2016-10-21 박정선 센텐스 빌드업 영어학습 시스템, 이를 이용한 영어학습 방법 및 그 교습방법
KR20220009320A (ko) 2020-07-15 2022-01-24 서장혁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581B1 (ko) 2016-04-29 2016-10-21 박정선 센텐스 빌드업 영어학습 시스템, 이를 이용한 영어학습 방법 및 그 교습방법
KR20220009320A (ko) 2020-07-15 2022-01-24 서장혁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ian et al. Researching mobile-assisted Chinese-character learning strategies among adult distance learners
Brown Young learners’ transactions with interactive digital texts using e-readers
Li et al. Mobile-assisted vocabulary learning: Investigating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of Chinese EFL learners
Bouck Assistive technology
Mulatu et al. Teaching reading skills in EFL classes: Practice and procedures teachers use to help learners with low reading skills
Campoy-Cubillo Functional diversity and the multimodal listening construct
Köylü The ERASMUS sojourn: does the destination country or pre-departure proficiency impact oral proficiency gains?
Langarika-Rocafort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s for children aged 6–10 in the last decade
Bus et al. Toward digital picture books for a new generation of emergent readers
Olmanson et al. The challenge of Chinese character acquisition: Leveraging multimodality in overcoming a centuries-old problem
Rivera Pérez et al. Vocabulary-learning cues used on children’s bilingual programming
Rosszell Extensive reading and intensive vocabulary study in a Japanese university
KR20130043852A (ko) 영어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
Moroz App assisted language learning: How students perceive Japanese smartphone apps
Mather Making the CAPS fit: an exploration of the reading development strategies of three Intermediate Phase language educators in a rural KwaZulu-Natal school.
O'DONOGHUE Starting self-starters: Strategies to support independent learning.
Yu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multimodal language pedagogy during the COVID-19 time
Romane School-bas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use of iPads
Green Heard any good books lately? Reseeing the sound of literacy in the college English classroom
Jariwala MyAccessible Math: Shining Light on Math Concept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Nur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Using Quick Response (QR) Program in EFL Teaching and Learning
Rahman Students’ Perception On Using Educational Application On Smartphone In Learning English
Beyer THE CHALLENGES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 AMERICAN PERSPECTIVE
Joe Out of touch: An investigation of the disconnect between ‘educational’app design and research
Heike Examining ELF-aware teaching and learning: action research as a tool for ELF research and teacher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