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648A - 곤충유래 헤파린대체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곤충유래 헤파린대체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648A
KR20130043648A KR1020130030551A KR20130030551A KR20130043648A KR 20130043648 A KR20130043648 A KR 20130043648A KR 1020130030551 A KR1020130030551 A KR 1020130030551A KR 20130030551 A KR20130030551 A KR 20130030551A KR 20130043648 A KR20130043648 A KR 20130043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heparin
acid
glycosaminoglycans
sulf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520B1 (ko
Inventor
안미영
황재삼
윤형주
윤은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3003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5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유래 헤파린대체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파린 대체 제제로 활용이 가능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대체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대체 제제 조성물의 염증 억제 또는 면역 증강에 대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곤충으로부터 유용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곤충으로부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일종인 헤파린 고분자 및 저분자 약품을 제조할 수 있고, 저렴한 원가로 헤파린과 같은 물질을 생산하여 국민 보건향상에 기여하며, 곤충 사육 농가의 소득 보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곤충유래 헤파린대체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Heparan sulfate and heparin oligomer derived from insect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곤충유래 헤파린대체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파린 대체 제제로 활용이 가능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대체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대체 제제 조성물의 염증 억제 또는 면역 증강에 대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 GAGs)은 당(glyco), 아민기(amino), 단당류(glycan)가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연결된 다당류를 의미한다. 이는 혈관 내벽을 구성하는 탄수화물성 분자 물질의 일종으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대사와 혈액 응고, 세포 간질의 형성 등 다양한 기능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GAGs는 생합성 과정에서 부분적인 변화를 통해 구조적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를 지니게 된다. GAG 류는 우론산과 글루코사민이 반복되면서 부분적으로 황산화가 이루어져 있는 기본적인 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복잡한 화학구조에 의해 여러 종류의 생물활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동물에 포함된 GAG류로는 히알우론산, 콘드로이틴 황산, 케라틴 황산, 헤파란 황산, 헤파린 등이 알려져 있고, 이 중 헤파린은 간, 허파, 피부 점막 내의 동맥을 따라서 있는 대식세포에만 존재하고 나머지 GAG류는 연결 조직에 분포하고 있다.
헤파린 황산(HS)은 포유동물세포표면(cell surface)과 세포밖간극(extracellular matrix)에 많은 양이 존재하는 거대분자 자연산물의 유일한 부류 중에 하나이다. HS는 혈액응고, 배아발달, 염증반응,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감염에 관계한다.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또는 아이두로닉산(iduronic acid)과 글루코자민(glucosamine)의 반복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황산기를 가지기도 한다. 헤파린은 널리 항응고제로 사용되는 약물인데 매우 황산화된 헤파린 황산의 특이한 형태이다. HS 또는 HS- 단백 컨쥬게이트(conjugate, 결합체)을 이용 개발한다면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항암, 항바이러스, 향상된 항응고약물)의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최근 오염된 헤파린으로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합성헤파린이 아닌 동물조직(animal tissue)으로 대체하도록 할 필요가 강조되어 지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5탄당 Atrxtra가 정맥성혈전(venous thromboembolic disorder)에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를 위해 8개이상의 당의 화학적 합성이 극히 어려울지라도 다양한 표적구조(mutiple target structure)가 특히 요구되어지고 있다(Liu et al.,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5(44), 34240-34249, October, 2010, Chemoenymatic design of heparan sulfate oligosaccharide). 곤충에서 헤파란 황산의 보고는 초파리의 중장과 타액선에서 헤파란 황산과 콘드로이킨황산이 더마탄과 히알론산은 없다고 보고하였다( Sinnis et al., 2007. Mosquito heparan sulfate and its potential role in Malaria infection and transmission.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2(35), 25376-25384).
헤파린은 항 응고제로서 혈전 방지제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수술시 혈액 응고에 의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저분자 헤파린을 투여하기도 한다. 헤파린은 주로 돼지로부터 추출하며, 유사헤파린으로서 의약품에 널리 사용되는 콘드로이틴 황산은 상어의 척추 연골 및 소의 기관지에서 주로 얻어진다. 최근 콘드로이틴 황산이 인체 내에서 심각한 과민성 쇼크와 관련된 부작용이 유발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콘드로이틴 황산은 anti-factor Xa 활성을 가지며, 이것이 인체 내에서 과민성 쇼크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글리칸 분해효소인 콘드로이티나아제(chondroithinase) ABC, 헤파리나아제(heparinase)에 분해되지 않아 혈액 잔류 가능성이 있다.
헤파린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돼지에서 유래되는 것이 보통인데, 최근 구제역 등 가축에 발생하는 질병의 유행으로 헤파린의 원료를 공급하는 돼지의 숫자 자체가 크게 감소하여 헤파린 원료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다. 따라서 헤파린의 안정적 공급을 위하여 헤파린 대체제의 개발 및 돼지 이외의 출처로부터 분리, 정제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헤파린의 대체 제제로 활용이 가능한 신규한 물질 또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저분자단위구조를 가지는 대체헤파린을 곤충에서 정제하여 혈액응고방지 및 소염 및 면역증강제로 의약품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곤충으로부터 헤파린의 대체 제제를 분리,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곤충을 유기용매에 침지하여 지방류를 제거하고 여과하여 걸러지지 않는 잔사를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건조된 잔사를 분쇄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수득한 분쇄물을 단백분해제로 처리하여 분쇄물 중 단백질을 분해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분해된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단백질 제거 후 남은 잔사에서 당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가수분해하고, 황산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성 헤파린 단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곤충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헤파리나아제를 처리하여 분해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해물에서 헤파린 단편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파린 단편(oligomer)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에 의한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확장반응의 기능장애로 인한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헤파린(heparin)의 일반적 구조는 glucosamine과 iduronic 산이 α-1,4 결합으로 이루어져있지만 생합성의 과정에서 황산화 [O( ortho )-sulfonation]의 정도에 따라 구조가 단일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황산화는 2번, 6번의 glucosamine과 iduronic산의 2번에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일부 glucosamine이 황산기 대신 아세틸기가 결합하여 있는 매우 복잡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에 반해 콘드로이틴황산 (chondroitin sulfate, CS)은 육상동물의 기관지와 어류의 연골조직에서 분리하고 있으며 구조는 N-acetylgalactosamine glucuronic 산이 β-1,3와 β-1,4의 결합으로 반복구조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황산기는 주로 galactosamine의 4번과 6번에 치환되어 있다. 평균분자량은 헤파린은 13,000 Da이며 콘드로이틴황산은 20,000 Da이상이다. 또한 콘드로이틴황산 B 또는 더마탄황산 (dermatan sulfate, DS)이 N-acetylgalactosamine과 iduronic acid이 역시 β-1,3와 β-1,4의 결합으로 반복구조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황산기가 glucosamine의 4번 위치에 주로 치환되어 있다. 최근에 미국과 독일에서 정맥주사로 헤파린을 투여 받은 환자가 사망함으로써 헤파린의 이물질에 관하여 커다란 사회적 관심을 일으켰다. 최근에 보고된 논문에 의하면 헤파린 내에 과황산화시킨 콘드로이틴황산 (Marco Guerrini et al., oversulfated chondroitin sulfate, OSCS)이 이물질로 섞여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Oversulfated chondroitin sulfate is a contaminant in heparin associated with adverse clinical events, Nature biotechnology, 26(6), 669-675, 2008; 임아랑 등, 생약회지40(2), 109~117 2009).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곤충에서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을 분리정제하고 그 단당류조성과 헤파린 이당류를 규명하여 곤충유래 헤파린 대체물의 단위구조를 밝혀 곤충 헤파린 제제가 가능케 하였다. 헤파린을 항응혈제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는데 중점을 둘 때, 항응혈 및 출혈 작용을 충분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물질로서의 구조 동정(structural identification as a substance)이 가능해야 한다. 황산기를 갖는 헤파린과 같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탈황산화시키는 특정 방법을 사용하여, 항응혈 및 출혈 활성은 실질적으로 제거된 반면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한 친화성과 같은 생체에 생물학적으로 이로운 효능은 유지하는 신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제조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의약용의 관점에서 중요한 물질로서의 구조 동정을 쉽게 달성할수 있을 정도로 미동정 구조가 크게 감소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2M 내지 3M 염산가수분해후 황산기를 갖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아세틸레이션 시킨 후 피리딘 중 100℃ 이상에서 실릴화제인 N,O-비스(트리메틸시릴)트리플로로아세트아마이드 (이후 BSTFA라 함)의 존재하에서 열처리로 시릴(silyl)화를 시켜 글루코사민 잔기로부터 6-O-황산기를 실질적으로 모두 제거한 후, 반응 혼합물로부터 피리딘을 증발시켜 얻은 각종 생리활성물질에 대해 친화성을 가질 수 있는 변성화된 헤파린 단편인 실릴화된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가수분해물(초산시릴글리코사미노글라이칸 분해단당류조합물) 또는 재조합헤파리나제를 가지고 분리정제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과 같이 배양하여 얻어진 올리고 헤파린 다당체의 최종분해산물 다당류 및 이당류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정제 중간단계 부산물로서 조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은 각종 화장품, 샴푸의 첨가제로 사용가능하며 현재 녹용 등에서는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을 동물생약의 기능성 성분으로 각광받고 있으나 글루코자민의 관절염에 대한 효과가 없다는 스위스의 임상결과가 메타분석 보고(BMJ 2010;341:c4675, doi:10.1136/bmj.c4675)되어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곤충유래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은 타 글루코자민과는 달리 3반복 동물실험에서 재현성있게 만성염증모델쥐에서 유의성있는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뒤영벌추출물 또한 소염억제 및 그 기전인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을 유의성있게 조절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좀더 곤충유래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의 유효성을 입증하고자 항체개발을 시도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질병(구제역 등) 감염 염려가 우려되는 돼지 유래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인 헤파린보다 안전한 대체제 개발을 위하여 거대분자인 분자량 1만 내지 5만 사이의 곤충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을 제조하였고, 쥐에 만성 관절염을 컴프리트 프로이드 보체를 투여하여 발부종 및 만성 관절염을 유발시킨 후 분리정제한 곤충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을 매일 투여하여 14일간 회복경과를 유의적으로 관찰하였으며 3일째와 7일째와 14일째의 투여경과와 염증회복기에 따른 랫트 혈청 중의 사이토카인 수치를 염증유발군과 양성대조군과 비교하면서 관절염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정제한 곤충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의 구조를 저분자화 및 황산기를 없애던가 아니면 아미노당에 acid(산기)를 붙여 체내 해독기전에서 볼때 뇨로 잘 배설되는 acid화하였다. 이 조작에서 GC-MS당분석시 사용되는 효소분해물의 성분분석을 위해 시료에 메탄올용매로 녹인 3M HCl에 시료를 녹인 후 120℃ 2시간 가온 후 실온으로 식힌 후 질소가스하 40℃에서 건조 후 0.3 ml 아세트 무수물(acetic anhydride)를 가한 후 30분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40℃에서 질소가스 하에서 건조하여 아세틸레이션을 수행하는 데 여기서 아세틸레이션을 80℃일때 수행한 것이 황산기가 적은 복합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의 단촐한 당을 얻었고 60℃, 40℃를 아세틸레이션 반응 조건이 다를 수록 여러 황산기를 가지는 피크의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이 검색되었다. 따라서 아세틸레이션의 반응 온도 조절로 원하는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의 기본 단위당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재조합 헤파리나제와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을 37℃에서 함께 배양하여 거대 분자 곤충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의 분해물인 헤파린 2당류를 얻을 수 있으며 이 이당류의 조합물로 새로운 헤파린 또는 헤파란 황산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헤파린을 분해하는 헤파리나제 I과 헤파란황산에 특이적으로 분해작용하는 헤파리나제 III, 헤파린과 아카란황산을 분해시키는 헤파리나제의 I, III의 기능을 가진 헤파리나제 II을 차별적으로 사용하면 다양한 저분자의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저분자 대체 헤파린을 얻을 수 있어 본 발명에서 헤파리나제 I과 헤파리나제 III의 처리로 곤충유래 대체 저분자헤파린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규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대체제의 제조방법으로, 곤충을 원재료로 하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제조방법은
(a) 곤충을 유기용매에 침지하여 지방류를 제거하고 여과하여 걸러지지 않는 잔사를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건조된 잔사를 분쇄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수득한 분쇄물을 단백분해제로 처리하여 분쇄물 중 단백질을 분해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분해된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단백질 제거 후 남은 잔사에서 당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단계에서 프로테오글라이칸을 분리하기 위하여 지방류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알콜, 에틸알콜,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 등의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침지하여 지방류를 제거할 수 있다. 침지 시간은 지방류의 제거에 충분한 경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 내지 4일이 바람직하다. 지방이 용해된 유기용매를 걸러 제거하고, 걸러지지 않은 잔사를 수득한다.
상기 (b)단계에서 건조된 잔사를 100~300메쉬의 입경을 갖도록 볼밀 또는 햄머밀로 분쇄함으로써, 이후 단계에서 단백분해를 촉진할 수 있다. 300메쉬 초과 입경은 효소분해가 늦어질 염려가 있고, 100메쉬 미만 입경은 원심분리시 상등액에 유입될 염려가 있다.
상기 (c)단계는 (b)단계에서 수득한 분쇄물을 단백분해제로 처리하여 분쇄물 중 단백질을 분해하는 단계이다. 단백질 분해는 효소에 따라 최적의 pH, 온도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수소나트륨용액(pH 9.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백분해제는 바실루스유래(Bacillus licheniformis 등) 단백분해효소인 알카라제{예를 들어, Novozyme(시그마사)} 및/또는 Aspergillus oryzae의 protease(단백분해효소)인 Flavourzyme{예를 들어, 시그마사(미국) 또는 아피스바이오텍(한국)} 등일 수 있고, 식용 발효된 간장 또는 된장발효에 들어가는 발효균 액상물, 또는 요구르트 종균액상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단백분해(발효) 소요 시간은 3~7일로, 실온 이상에서 단백질 분해를 촉진할 수 있고, 44℃ 가온시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단백분해제를 2~5중량% 사용함으로써, 곤충 껍질의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 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분해된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리클로로아세트산(5중량%)으로 원심분리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e) 단계는 상기 (d)단계에서 단백질 제거 후 남은 잔사에서 당류를 수득하는 단계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당을 공침시키고, 투석 등의 방법으로 농축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과 포타슘 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아세테이트로 당을 공침시키고, 다시 침전물을 세틸피리디늄에 침전시킨 후, 다시 침전물을 에탄올에 침전시킨 다음 생성된 침전을 증류수로 투석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a) ~ (e)단계를 반복하여 산성당 분획을 수집하여 이온교환크로마토그라피를 거치고 염경사(salt gradient; 0, 0.1, 0.5, 1, 2.5M NaCl in phosphate buffer)로 정제한 후 우론산을 포함하는 분획을 수집하는 단계를 추가로 거칠 수 있다. 이 때, 필요한 순도 정보는 예를 들어, 전기영동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제조에 있어서, 곤충은 누에수번데기, 쇠똥구리, 매미눈꽃동충하초, 귀뚜라미, 호박벌여왕벌, 서양뒤영벌여왕벌, 쇠등에(맹충), 호박벌 봉군껍질, 호박벌유충번데기봉군껍질, 서양뒤영벌일벌, 누에(Bomyx mori), 누에수번데기, 광대노린재(노린재류, Poecilocoris lewisi)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곤충은 호박벌유충번데기봉군껍질 또는 서양뒤영벌 일벌일 수 있다.
아울러,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가알코올, 예를 들어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부탄올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제공한다.
누에수번데기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은 누에수번데기에서 추출한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인 이상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crude)상태의 것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ΔUA-2S-[1-4]GlcN(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 acid-2-sulfo-[1-4]glucosamine) 및 UA-[1-4]GlcN-6S(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acid-[1-4] glucosamine 6-sulfate) 반복구조를 갖는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이며. 헤파리나제와 같이 배양시 I-H와 II-H의 헤파린 이당류로 변환한다. 그 단당류조성은 acethylation 부가 온도변화에 따라 아세틸기부가의 변동으로 조성비율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주로 아세틸레이션 40℃ 2차 반응표에서 보는 것처럼 D-Glucosamine 44% 와 17.5 % uronic acid( glucosaminic acid 1.8% + galactosaminic acid 7.3% + galacturonic acid 2.4% + glucouronic acid 6.0%)의 비율로 ΔUA-2S-[1-4]GlcN 및 UA-[1-4]GlcN-6S로 존재한다.
누에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은 헤파리나제와 같이 배양시 헤파린 이당류 I-H과 IV-H를 가진다. 가수분해시릴화로 Glucosamine(%), N-Acethylglucosamine, D-Galactosaminic acid D-Glucosamine-6-sulfate, D-galacturonic acid, D-Glucuronic acid로 존재한다.
쇠똥구리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은 ΔUA-2S-[1-4]GlcN과 ΔUA-[1-4]GlcN-6S 반복구조를 갖는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이다. I-H, II-H, IV-H, IV-A의 헤파린 2당류의 헤파리나제의 분해산물로 변환이 가능하다. 아세틸레이션 부가조작 온도에 따라 그 비율은 다르지만 그 기본 단위 분자구조는 아세틸레이션 40℃ 2차반응표에서 보는 것처럼 D-Glucosamine 40.4%, D-galactosamine 4.3% 과 N-acethylgalactosamine 20.0%의 아미노당과 우론산을 가지는 산성당으로 D-glucuronic acid 18.6%, D-galactosaminic acid 11.5%, D-glucosamic acid 4,1% 등이다. glucosaminic acid 1.8%, galactosaminic acid 7.3%, galacturonic acid 2.4%, glucouronic acid 6.0%의 비율로 ΔUA-2S-[1-4]GlcN 및 UA-[1-4]GlcN-6S로 존재한다.
매미눈꽃동충하초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은 매미눈꽃동충하초에서 추출한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인 이상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II-H, IV-H헤파린 2당류의 헤파리나제의 분해산물로 변환이 가능하다. chondroitin sulfate(ΔUA-[1-.3]-N-acethylgalactosamine-N-sulfate 계열) 일부를 포함하는 조(crude)상태의 것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UA-[1-4]GlcN-6S, ΔUA-GlcNS(glucuronic 또는 galacturonuc acid-N-glucosamine-N-sulfate 계열) 반복구조를 갖는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및/또는 ΔUA-2S-GlcN(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acid-2-sulfo-glucosamine)의 반복구조를 갖는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이다. 역시 아세틸레이션 부가조작 온도에 따라 그 비율은 다르지만 그 기본 단위 분자구조는 아세틸레이션 40℃ 2차반응표에서 보는 것처럼 D-Glucosamine 73.9.%과 N-acethylglucosamine 7.4%의 아미노당과 우론산을 가지는 산성당으로 D-glucuronic acid 2.0%, D-galactosaminic acid 4.1%, D-galcturonic acid 10.8%, D-glucosamine 6-sulfate 1.1% 등이다.
귀뚜라미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은 ΔUA-[1-4]GlcN-6S와 ΔUA--[1-4]GlcN반복구조를 갖는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이다. 아세틸레이션 부가조작 온도에 따라 그 비율은 다르지만 II-H, IV-H의 헤파린 2당류의 헤파리나제의 분해산물로 변환이 가능하다. 그 기본 단위 분자구조는 아세틸레이션 40℃ 2차반응표에서 보는 것처럼 D-Glucosamine 73.9.%과 N-acethylglucosamine 7.4%의 아미노당과 우론산을 가지는 산성당으로 D-glucuronic acid 2.0%, D-galactosaminic acid 4.1%, D-galcturonic acid 10.8%, D-glucosamine 6-sulfate 1.1% 등이다.
호박벌여왕벌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은 ΔUA-[1-4]GlcN-6S(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acid-[1-4] glucosamine 6-sulfate), UA-2S-[1-4]GlcN-6S(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 acid-2-sulfo-[1-4] glucosamine-6-sulfate) 및 ΔUA-[1-4]GlcN 반복구조를 갖는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이다. II-H, IV-H, I-H의 헤파린 2당류의 헤파리나제의 분해산물로 변환이 가능하다. 아세틸레이션 부가조작 온도에 따라 그 비율은 다르지만 그 기본 단위 분자구조는 아세틸레이션 40℃ 2차반응표에서 보는 것처럼 D-Glucosamine 42.0%과 D-galactosamine 2.7%, N-acethylglucosamine 9.3%의 아미노당과 우론산을 가지는 산성당으로 D-glucuronic acid 4.3%, D-glucosaminic acid 3.0%, D-galactosaminic acid 3.3%, D-galcturonic acid 24.0%, D-glucosamine 6-sulfate 7.2% 등이다.
서양뒤영벌여왕벌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은 ΔUA-GlcN-6S(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 acid-glucosamine 6-sulfate), UA-[1-4]GlcNAC(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acid-N-cetyl-[1-4] glucosamine) 및 UA-[1-4]GlcNS-6S(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acid-N-sulfo-[1-4] glucosamine 6-sulfate) 및 ΔUA--[1-4]GlcN 반복구조를 갖는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이다. IV-H, III-S, II-H 헤파린 2당류의 헤파리나제의 분해산물로 변환이 가능하다. 역시 아세틸레이션 부가조작 온도에 따라 그 비율은 다르지만 그 기본 단위 분자구조는 아세틸레이션 40℃ 2차반응표에서 보는 것처럼 D-Glucosamine 59.8%과 D-galactosamine 3.9%, N-acethylglucosamine 15.0%의 아미노당과 우론산을 가지는 산성당으로 D-glucuronic acid 3.9%, D-glucosaminic acid 0.7%, D-galactosaminic acid 7.9%, D-galcturonic acid 7.1%, D-glucosamine 6-sulfate 1.4% 등이다.
쇠등에(맹충)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은 ΔUA-2S-GlcN-6S(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 acid-2-sulfo-glucosamine 6-sulfate), UA-[1-4]GlcN-6S(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acid-[1-4] glucosamine 6-sulfate) 및 ΔUA-[1-4]GlcN 반복구조를 갖는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이다. II-H, IV-H, I-H 헤파린 2당류의 헤파리나제의 분해산물로 변환이 가능하다. 아세틸레이션 부가조작 온도에 따라 그 비율은 다르지만 그 기본 단위 분자구조는 아세틸레이션 40℃ 2차반응표에서 보는 것처럼 D-Glucosamine 51.1%과 D-galactosamine 0.1%, N-acethylglucosamine 13.3%의 아미노당과 우론산을 가지는 산성당으로 D-glucuronic acid 5.2%, D-glucosaminic acid 0.8%, D-galactosaminic acid 5.8%, D-galcturonic acid 22.1%, D-glucosamine 6-sulfate 1.4% 등이다.
호박벌봉군껍질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IgpcG)은 부가조작 온도에 따라 그 비율은 다르지만 그 기본 단위 분자구조는 아세틸레이션 60℃ 4차반응표에서 보는 것처럼 D-glucosamine 7.9%, D-glucuronic acid 6.0%, N-acetyl-D-galactosamine-4-sulfate 5.4%, D-galactosaminic acid 46.7%, D-galacturonic acid 12.0% 등을 가지며 ΔUA-[1-4]GlcN-6S, Δuronic acid-[1-4] glucosamine 6-sulfate 및 ΔUA--[1-4]GlcN 반복구조의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이다. II-H, IV-H, I-H 헤파린 2당류의 헤파리나제의 분해산물로 변환이 가능하다.
서양뒤영벌일벌(worker of B. terrestris)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은 ΔUA-2S-GlcN-6S(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 acid-2-sulfo-glucosamine 6-sulfate), UA-[1-4]GlcN-6S(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acid-[1-4] glucosamine 6-sulfate) 및 ΔUA--[1-4]GlcN 반복구조를 갖는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이다. II-H, IV-H, I-H 헤파린 2당류의 헤파리나제의 분해산물로 변환이 가능하다. 역시 아세틸레이션 부가조작 온도에 따라 그 비율은 다르지만 그 기본 단위 분자구조는 아세틸레이션 60℃ 4차반응표에서 보는 것처럼 D-Glucosamine 3.6%과 D-galactosamine 1.3%, N-acethylglucosamine 6-sulfate 2.3%, N-acethylglucosamine 3.3%의 아미노당과 우론산을 가지는 산성당으로 D-galacturonic acid 8.2%, D-glucosaminic acid 1.8%, D-galactosaminic acid 55.1%, D-glucosamine 6-sulfate 0.5% 등이다.
광대노린재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은 광대노린재에서 추출한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인 이상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crude)상태의 것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ΔUA-GlcNAC 반복구조를 갖는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및/또는 ΔUA-GlcNAC의 반복구조를 갖는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이다.
본 발명에서 ΔUA 또는 δUA는 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 acid를 의미하고, GlcN은 D-glucosamine을 의미하고, Ac는 Acetyl을 의미하고, NS, 2S, 6S는 각각 N-sulfo, 2-sulfate 또는 6-sulfate로 각각의 위치에 황산기가 붙은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 즉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에 의해 제조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가수분해하고, 황산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성 헤파린 단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는 산가수분해일 수 있으며,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메탄올용매로 녹인 후 강산 및 고온으로 처리하여 산가수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황산기를 갖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아세틸레이션 시킨 후 시릴화 반응에 의해 잔기로부터 황산기를 실질적으로 모두 제거한 후, 반응 혼합물로부터 피리딘을 증발시켜 황산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 황산기는 6-O-황산기, 2-O-황산기, 4-O-황산기 또는 N-O-황산기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헤파린 단편이란 헤파린의 기본구조인 2탄당의 가수분해로 생기는 단당류 2개산물을 비롯한 헤파리나제 및 산가수분해에 의해 생기는 이당류 변성헤파린 기본구조를 포함한 저분자헤파린 및 탄소수 20개미만의 올리고당 등을 포함한다.
본 조작에서 무수메탄올로 녹인 2M이상의 염산으로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을 가수분해후 아세트안하이드라이드(초산무수물) 섭씨 80℃이상, 30분이상 아세틸레이션을 고온에서 실시할 경우 6-O-황산기를 포함한 4-O-황산기, 2-O-황산기 등의 황산기의 탈황산화가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서는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에 메탄올용매로 녹인 3M HCl에 시료를 녹인 후 100℃ 이상 2시간 가온하여 가수분해하였다. 이를 실온으로 식힌 후 질소가스하 40℃에서 건조 후 0.3 ml 아세트 무수물(acetic anhydride)를 가한 후 30분동안 실온에서 방치하고, 40℃에서 질소가스 하에서 건조한 후 P2O5 하에서 진공 펌프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50 ㎕의 피리딘/N,O-비스(트리메틸시릴)트리플로로아세트아마이드(2:1, v/v)를 가하여 30분 동안 80℃에서 시릴(silyl)화시켜 변성 헤파린 단편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 즉 상기 (a) 단계 내지 (e) 단계에 의해 제조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에 헤파리나아제를 처리하여 분해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해물에서 헤파린 단편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파린 단편(oligomer 등)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서는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에 재조합헤파리나제 I, II, III를 효소를 37℃에서 완전히 처리하였고, 이를 액체크로마토그라프(HPLC)를 이용하여 분리하여 2당류, 4당류, 6당류 및 8당류의 헤파린 단편(oligomer 등)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에 대한 항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정제한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을 complete 프로이드 어쥬반트와 동량 섞어 밤새 교반시켜 유화현탁액(emulsified solution)만들어 투여하여 1차면역을 유도한 후 12 일간격으로 incomplete 프로이드 어쥬반트를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과 동량섞어 2, 3차면역으로 면역증진(booster)를 유도한 후 실험동물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폴리크로날 항체를 얻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곤충유래 헤파린 또는 헤파란 황산 항체 생물의약품으로 되어지는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과 보체 혼합하여 제조한 항체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또는 헤파린 단편은 포스포리파제 에이 투, VEGF, NOS, COX-2, PGE2에 관련 염증 억제 효과가 있어 염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응혈 작용에 의해 혈전용해 작용을 나타낼 수 있어 관상동맥 질환(협심증 등)과 뇌혈관 질환을 포함하는 혈전 관련 각종 질환 등의 치료 및/또는 예방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또는 헤파린 단편은 혈관확장반응의 기능장애로 인한 고혈압, 뇌졸중, 뇌출혈, 허혈성 심질환 또는 레이노병의 예방 및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포함하는 혈관신생억제의 효과를 가지므로 구체적으로 혈관신생에 의해 매개되는 암의 성장과 전이, 혈관종, 혈관섬유종, 관절염, 당뇨병성 망막증, 조숙아의 망막증, 신생혈관성 녹내장, 신생혈관에 의한 각막질환, 퇴화반, 반점의 변성, 익상편, 망막변성,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과립성 결막염, 건선, 모세관 확장증, 화농성 육아종,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의 바람직한 예는 조(crude)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형태로 색소를 정제한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형태로 가수분해하여 단당류형태로, 또는 효소처리배양하여 헤파린 2당류, 2당류가 2개, 3개, 4개인 사당류, 육당류, 팔당류 등의 형태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의 유효한 양으로는 0.001 내지 1000mg/day/kg체중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및 이의 중증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과 같은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투여 경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 경로로는 예를 들면, 경피, 비강, 복강, 근육, 피하 또는 정맥 등의 여러 경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경구 투여용 담체와 함께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제형은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에 기술되어 있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아울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은 염증 억제 또는 면역 증강의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 자체를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과 염증 억제 또는 면역 증강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코올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 내지 50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완화/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숀제 및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 알콜 및 유동 파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함유하며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기초 화장품 조성물(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품 조성물(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 제품 조성물(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젤), 기능성화장품 조성물(자와선 차단제, 주름개선제) 및 비누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포함하는 세안제 및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곤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헤파린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파린 대체 제제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서양뒤영벌일벌, 삽포로뒤영벌유충 및 삽포로뒤영벌번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곤충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양뒤영벌일벌, 삽포로뒤영벌유충 및 삽포로뒤영벌번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곤충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양뒤영벌일벌, 삽포로뒤영벌유충 및 삽포로뒤영벌번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곤충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가알코올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염증 억제 활성으로 소염 작용 또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곤충으로부터 유용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곤충으로부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일종인 헤파린 고분자 및 저분자 약품을 제조할 수 있고, 저렴한 원가로 헤파린과 같은 물질을 생산하여 국민 보건향상에 기여하며, 곤충 사육 농가의 소득 보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보체유도랫트 부종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은 보체투여유발 발부종억제효과 14일간 매일투여시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PSWG(SWPG, PSG, 누에수번데기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IGPCG(호박벌유충번데기 들어낸 봉군껍질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BTWG(서양뒤영벌일벌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IQG(호박벌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IND; 인도메타신을 나타낸다. 평균±표준오차로 표시하였으며, PSWG 또는 IGPCG 또는 IQG vs CFA, P<0.05이다.
도 2는 보체유도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인터루킨-6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보체유도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인터루킨-6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보체유도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내피성혈관생성인자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보체유도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인터루킨-6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보체유도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인터루킨-6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보체유도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사이크로옥시게나제-2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발부종크기변화 양성대조군과 비교실험을 나타낸 것이다. 시판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글루코자민)과 발부종억제효과 14일 반복투여경과를 비교하였다. BTWG: 서양뒤영벌일벌유래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PSWG(또는 PSG, 또는 SWPG): 누에수번데기 유래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CjGLU: 시판글루코자민(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양성대조군); IND: 인도메타신(소염양성대조군)
도 9는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TNF-α 양성대조군과 비교한 것이다.
도 10은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VEGF 양성대조군과 비교한 것이다.
도 11은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프로스타글란딘 E2 양성대조군과 비교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포스포리파제 A2 양성대조군과 비교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사이크로옥시게나제-2 양성대조군과 비교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관절염쥐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인터루킨-6 양성대조군과 비교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보체유도랫트 부종에서 서양뒤영벌일벌 알콜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SDIEX: 서양뒤영벌일벌알콜추출물; SPDYBEX: 삽포로뒤영벌유충번데기같이 알콜추출물.
도 16은 보체유도랫트 부종(만성관절염 모델쥐)에서 서양뒤영벌일벌알콜추출물의 인터루킨-6 산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SDlEX: 서양뒤영벌일벌알콜추출물 100 mg/kg; SPDYB: 삽포로뒤영벌유충 번데기같이 알콜추출물 100 mg/kg; IND:indomethacin 1 mg/kg
도 17은 보체유도랫트 부종(만성관절염 모델쥐)에서 서양뒤영벌일벌알콜추출물의 VEGF(내피성혈관성장인자)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만성관절염 모델쥐에서 서양뒤영벌일벌알콜추출물의 싸이크로옥시게나제-2(COX-2)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만성관절염 모델쥐에서 서양뒤영벌일벌알콜추출물의 분비형 포스포리파제 A2(sPLA2)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만성관절염 모델쥐에서 서양뒤영벌일벌알콜추출물의 rat 암괴사인자 (rTNF-알파)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의 VEGF 산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의 소폐동맥혈관내피세포의 VEGF 산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의 인간 HUVEC내피세포의 VEGF(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산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의 폐동맥혈관내피세포에 대한 NOS(산화질소합성효소) 산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의 인간복부에서 요도관으로 이어지는 혈관내피(HUVEC)에 대한 NOS 효소양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의 항체 대량생산에 따른 역가를 검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곤충껍질잔사에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정제
<실험방법>
1. 곤충 엑기스의 제조.
신선한 곤충(사용한 곤충 종류의 기재)에서 지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기용매인 아세톤에 이틀 동안 방치 후 실온에서 말렸다. 시료 50 g (건조중량)을 각각 0.05 M 탄산염 완충액(pH 9.0) 500 mL에 넣고 내열성 프로테아제의 일종인 알칼라제 8 mL를 가하여 60℃ 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최종 농도가 5%가 되도록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첨가하여 냉장고 4℃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8000 RPM 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모은 다음, 상등액에 1% 초산 칼륨염 (potassium acetate)를 함유한 알코올을 3배 부피로 첨가하여 침전시키고 건조시켜 곤충 엑기스를 제조하였다.
2. 곤충 엑기스로부터 다당질의 정제
곤충엑기스를 물에 녹이고, 물에 녹지 않은 물질을 원심분리로 제거한 후 5%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를 1/4 부피로 첨가하여 복합체를 만들어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2.5 M 염화나트륨에 녹여 다시 알코올로 침전시켜 정제하였다. 정제한 시료를 다시 소량의 물에 녹여 투석시킨 후 동결건조시켜 다당질을 정제하였다.
3. 결합단백질의 제거
다당질에 결합된 결합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β-일리미네니션(β-elimination)반응을 수행하였다. 정제된 다당질 75 mg 을 4 mL의 물에 녹이고 1 mL의 1.2 M 수산화나트륨과 0.9 M의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NaBH4)를 가하여 21시간 동안 25℃에서 반응시켰다. 반응후 pH를 1.2 M 염산으로 맞춘 후 4배의 에틸알코올을 가하여 냉장고에 방치하여 침전을 모았다. 침전을 P2O5 하에서 감압건조시켰다.
4. 다당질의 구조 분석-다당질의 메틸화와 메타놀리시스에 의한 당조성 분석
*효소분해물의 성분분석을 위해 시료에 메탄올 용매로 녹인 3M HCl에 시료를 녹인 후 120℃ 2시간 가온 후 실온으로 식힌 후 질소가스하 40℃에서 건조 후 0.3 ml 아세트 무수물(acetic anhydride)를 가한 후 30분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40℃에서 질소가스 하에서 건조한 후 P2O5 하에서 진공 펌프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50 ㎕의 피리딘/N,O-비스(트리메틸시릴)트리플로로아세트아마이드(2:1, v/v)를 가하여 30분 동안 80℃에서 시릴(silyl)화를 시키고 시릴화가 이루어진 시료를 가스크로마토그라프{5973N 매스 디텍터를 구비한 Agilent 6890(Agilent Technologies)}로 분석을 하였다. 칼럼은 미국 휴렛팩커드사의 HP-5 모세관 칼럼으로 규격은 0.53 mm x 30m로 주입부의 온도는 250℃, 검출기의 온도는 280℃를 각각 유지하며 칼럼의 온도는 180℃에서 1분당 10℃씩, 220℃로 1분당 2℃씩, 300℃로 분당 100℃ 증가되도록 프로그램하여 분석하였다.
5.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당조성분석 .
상기 곤충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GAG) 10종 1 mg/ml(CaG:강랑=쇠똥구리 GAG; BTQG: 서양뒤영벌여왕벌GAG; SWG:,누에GAG; BIQG; 호박벌여왕벌GAG; PSWG: 누에수번데기GAG;, TbG: 맹충GAG; GbG: 귀뚜라미GAG; ISG: 매미눈꽃동충하초GAG, IgpcG(IGPCG, 호박벌유충번데기봉군껍질), BTWG(서양뒤영벌일벌GAG)에 대하여 recombinant heparinase I(250 unit/ml), II, III(50 unit/ml)를 효소 3㎕, 5시간 37℃ 가온 반응이 완전히 진행되었을 때 반응물의 분석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프(HPLC)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강음이온교환칼럼(4.6×250nm, 5μ미국 페노미녹스 제품)을 이용하여 염화나트륨 농도 구배에 의해서 1.0ml/min의 유속으로 시료를 분리하여 모아 NMR 분석을 하였다.
헤파린 이당류(heparin disaccharide) 표준품으로 헤파란 황산계열 표준품 시그마 heparin dissacharide I-S, II-H, I-A, II-S. III-H, III-S, IV-A, IV-H, I-H, I-P, III-S를 사용하여 retention time을 대조하여 확인하였다.
6.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Ion - chromatography )를 이용한 설페이트기의 분석
1mg의 다당질에 6N 염산용액 50μl를 넣고 질소가스하에서 2.5시간 100℃에서 가열한 후 10분간 1800g 에서 원심분리하였다. 50℃에서 용액을 증발시킨 후 50% 메탄올 100μl를 가한 후 40℃ 에서 농축시켰다. 200μl의 물에 녹여 이중 50μl를 칼럼에 주입하였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의 실시로 정확히 설페이트의 이온 피크가 검출된다. HPLC 조건과 컬럼은 조절가능하다.
7. 분광법을 이용한 당구조분석
적외선(IR) 분광을 확인한 결과 IR 패턴에서 780~820 cm- 1 인 곳에서 설페이트기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1. 곤충 알콜추출잔사에서 곤충 신규글라이코사미노 글라이칸을 제조하여 수득률을 높이고, 총 9종에 대한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의 과황산을 적게 가지게 가수분해 전처리하여 단당류조성을 만들어 GC-MS로 분석하고 헤파리나제 처리 후 HPLC 분석으로 헤파린 이당류 조성을 구명하여 그 단위구조를 구명하였다.
그 결과, 누에수번데기 알콜추출 잔사, 호박벌유충번데기 봉군껍질, 서양뒤영벌 일벌알콜잔사, 호박벌 여왕벌 알콜추출잔사를 대상으로 한 결과는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얻을 수 있었다.
엑기스추출 후 곤충껍질잔사에서 정제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Insect 알콜추출물 잔사 Crude insect drug
누에수
번데기
호박벌
봉군껍질
서양뒤영벌
일벌
호박벌
여왕벌
Hue Bam
Used Amount (g) 350 150 120 80 800 100
Accuquired amount (g) 1.1 6.7 5.5 6.42 0.18 0.45
Yield 0.31 4.47 4.58 8.03 0.3 0.45
2. 반응온도, 40℃, 60℃, 80에 따른 해당 단당류 분석 조건의 비교를 하여 곤충 유래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단위구조의 단당류조성과 아미노당조성을 GC-MS를 이용한 다당질의 메틸화와 메타놀리시스에 의한 당조성 분석을 하였다.
TMS(Trimethylsilylation)의 유도체화 방법으로 amino suagar를 분석하는 방법은 이미 연구하여 보고되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는 보고되어진 실험 방법을 적용하였다. (Analytical biochemistry 347 (2005) 262-274의 방법 참고) TMS 유도체화 과정을 거친 다당류는 α 및 β-anomer와 pyranose와 furanose ring 구조로 변하기 때문에 GC/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을 경우 여러 개의 피크로 분리된다. 따라서 표준시약을 개별적으로 분석한 후 내부표준물질에 기준하여 분리되는 시간과 피크들의 상대적인 세기를 찾아내어 정리하였다 .
그 결과, 아세틸기 당부가 온도에 따른 아미노당, 산성당 GC-MS 분석조건 설정 비교한 결과, 하기 표 2 내지 표 4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에 대해서 편의상 사용한 약칭들은 다음과 같다. GBG, GbG: 귀뚜라미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GbG0.5: 염경사 0.5M에서 귀뚜라미 조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을 정제하여 색소등을 제거한 귀뚜라미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TbG: 맹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ISG: 맹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IQG 또는 ㅎoㅈ: 호박벌여왕벌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CaG: 강랑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BTQG 또는 ㅅoㅈ: 서양뒤영벌여왕벌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SWP: 누에수번데기; PSWG: 누에수번데기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SWG: 누에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IGPCG 또는 IgpcG: 호박벌유충번데기 들어낸 봉군껍질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BTWG: 서양뒤영벌일벌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G옆의 숫자는 염경사M농도구배로 분리정제시 나오는 M농도분획표시이다.
각 샘플의 아미노당 화합물 (acetylation 80℃)
Compounds R Amino and Acid monosaccharide(㎍/㎎) in insect GAG
GbG0.5 TbG0.5 ISG 1 IQG0.5 CaG BTQG SWP PSWG
Glucuronic acid 0.995 21.43 35.01 82.91 40.66 8.02 0.00 41.63 129.73
Glucosamine HCl 0.996 1.13 19.87 3.33 25.57 10.21 8.07 18.08 0.00
Galactosamine HCl 0.999 6.17 80.29 25.64 69.41 52.17 28.11 102.11 0.00
N-Acetyl Galactosamine 0.999 28.62 95.43 42.92 219.84 184.38 0.00 0.00 0.00
Glucosamic acid 0.991 258.59 434.70 530.64 389.91 187.96 0.00 575.93 0.00
Galactosamic acid 0.994 18.50 102.66 49.42 47.93 59.95 0.00 9.15 24.49
D-Glucosamine-
6-sulfate
0.983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N-Acetyl Glucosamin-
6-sulfate
0.99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N-Acetyl-D-Galactosaminitol 0.992 108.08 16.39 159.15 103.94 55.50 0.00 102.39 0.00
N-Acetyl Glucosamine 0.99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D-Glucosamine-6-Phosphate 0.989 0.00 17.25 15.56 35.09 0.00 0.00 0.00 0.00
Total Amino Sugar 442.53 801.61 909.56 932.35 558.20 36.18 849.30 154.2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시료를 trimethylsilyl regent로 TMS 유도체화 시킨 후에 GC/MSD로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아세틸레이션 80℃ 후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시릴화후 시료분석 결과 D-Glucosamine-6-Sulfate, N-Acetyl Glucosamine-6-Sulfate와 N-Acetyl Glucosamine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D-gluosamine-2-sulfate, N-acetyl-D-galactosamine 4-sulfate, N-acetyl glucosamine 6-sulfate도 거의 검출되지 않아 표에 기재하지 않았다.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을 가지고 온도 섭씨 80℃ 이상의 온도 아세틸레이션한 후 시릴화할 경우 아미노당(글루코자민, 갈락토자민, N-아세틸글루코자민, 또는 N-마세틸갈락토자민)의 부가 2-sulfate, 또는 4-sulfate, 6-sulfate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아세틸레이션을 고온(여기선 섭씨 80℃) 열처리할 시 아미노당의 탈황산이 생겨 즉 항응고 (즉 항출혈)에 관계하는 특정기가 줄어들어 관절염등의 면역활성을 가지는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단편을 제조할 수 있다.
Glucuronic acid 같은 경우 IQG 0.5 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시료에서는 1mg 당 8.02-127.93㎍으로 측정되었다. 특히 PSWG에서 129.73 ㎍/mg으로 가장 많은 양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ucosamine HCl는 PSWG를 제외한 시료에서 측정이 되었으며, IQG0.5에서 25.57 ㎍/mg으로 시료들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이 측정되었다.Galactosamine HCl도 PSWG를 제외한 시료에서 측정되었으며, SWP에서 102.11㎍/mg으로 시료들 중에서는 가장 양이 많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N-Acetyl Galactosamine은 BTQG 0.5, SWP, PSWG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IQG 0.5와 CaG 에서 각각 219.84 ㎍/mg, 184.38 ㎍/mg 으로 GbG 0.5 (28.62㎍/mg), TbG 0.5 (95.43 ㎍/mg) 그리고 ISG 1M (42.92 ㎍/mg) 보다 높은 수준으로 측정이 되었다.
BTQG와 PSWG를 제외한 다른 시료에서 Glucosamic acid가 검출되었다. 특히 SWP에게 575.93 ㎍/mg으로 가장 많은 양이 나타났다. 또한, GbG 0.5, TbG 0.5, ISG 1M, IQG 0.5에서도 Total amino sugar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양이 검출되었다. Glucosamic acid가 이렇듯 많은 양이 측정된 것은 re-N-acetylation 반응 시에 다른 amino sugar 분석실험들 (40℃)보다 높은 온도인 80℃에서 실험을 하였기 때문에 반응 시 사용된 anhydrous acetic acid의 카르복실산(-COOH)의 영향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된다.
Galactosamic acid는 BTQG0.5를 제외한 시료에서 검출이 되었으며, 9.15-102.66㎍/mg 으로 측정되었다. TbG 0.5가 102.66 ㎍/mg으로 가장 많은 양을 나타내었다.
N-acetyl-galactosaminitol은 BTQG0.5와 PSWG를 제외한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특히, ISG1M 에서 159.15 ㎍/mg으로 가장 높은 양이 나타났다.
D-Glucosamin-6-phosphate의 경우 TbG 0.5 (17.25 ㎍/mg), ISG 1M (15.56 ㎍/mg)와 IQG0.5 (35.09 ㎍/mg)시료에만 나타났으며 다른 시료 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표 3 및 표 4에서는 표 2의 결과와는 다르게 Glucosamic acid의 양이 적고 대신 검출된 Glucosamine 양이 눈에 띄게 증가한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표 3 및 표 4의 데이터 결과는. Re-N-acetylation을 40℃에서 60분 반응할 경우 시료에서 amino sugar를 유도체화한 후에 나타나는 m/z인 73, 147, 203, 204, 216, 그리고 217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서 m/z를 고려한 후에 결과값을 나타낼 경우 모든 amino sugar 항목이 검출이 되지 않아 GC/MSD로 분석한 데이터의 m/z 값은 고려하지 않고 standard와 시료 간의 retention time과 peak의 area 만을 사용하여 양을 계산하여 표 3 및 표 4로 나타내었다.
아울러, 별도로 정제한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을 포함한 7종에 대한 분석결과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갈락토자미닉산과 N-acethylgalactosamine 4-sulfate 수치 증가가 보였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3. 재조합헤파리나제와 정제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과 같이 배양하여 얻어진 올리고 헤파린 다당체의 최종분해산물 다당류 및 이당류 글라이칸 HPLC-ECPAD 동정하였다.
상기 곤충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10종(CaG, BTQG, SWG, IQG, PSWG, Tb, Gb, IS, IgpcG, BTWG)을 1 mg/ml의 농도로 인산완충액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녹인 후 recombinant heparinase I(250 unit/ml), II(50 unit/ml), III(50 unit/ml)를 효소 3㎕, 5시간 37℃ 가온 반응이 완전히 진행되었을 때 반응물의 분석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프(HPLC)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강음이온교환칼럼(4.6×250nm, 5μ미국 페노미녹스 제품)을 이용하여 염화나트륨 농도 구배에 의해서 1.0ml/min의 유속으로 시료를 분리하여 모아 NMR 분석을 하였다.
헤파린 이당체(heparin disaccharide) 표준품으로 헤파란 황산계열 표준품 시그마 heparin dissacharide I-S, II-H, I-A, II-S. III-H, III-S, IV-A, IV-H, I-H, I-P, III-S를 사용하여 retention time을 대조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재조합 헤파리나제와 정제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과 같이 배양하여 얻어진 올리고 헤파린 다당체의 최종분해산물 다당류 및 이당류 글라이칸 HPLC-UV, ECPAD 동정 결과는 하기 표 7, 표 8과 같이 헤파린 2당류가 3개인 8량체(8-mer)까지 곤충유래 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이 동정되었다. 상기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바람직한 예는 조(crude)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 형태로 색소를 정제한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형태로 가수분해하여 단당류형태로, 또는 효소처리배양하여 헤파린 2당류, 2당류가 2개, 3개, 4개인 사당류, 육당류, 팔당류들 형태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각 헤파린 2당류의 표준당구조과 약어는 다음과 같다.
δUA = 4-데옥시-L-쓰레오-헥스-4-에노피라노실우론산 (4-deoxy-L-threo-hex-4-enopyranosyluronic acid)
GLcN: D-글루코사민 (D-glucosamine)
Ac: 아세틸 (Acetyl)
NS, 2S, 6S = 각각, N-설포 (N-sulfo), 2-설페이트 (2-sulfate) 및 6-설페이트 (6-sulfate)
HI: 헤파리나제 (heparinase) I, HII: 헤파리나제 (heparinase) II, HIII: 헤파리나제 (heparinase) III
헤파린 디사카라이드 (Heparin disaccharide) I-H : α-δUA-2S-[1→4]-GlcN-6S
헤파린 디사카라이드 (Heparin disaccharide) II-H : α-δUA-[1→4]-GlcN-6S
헤파린 디사카라이드 (Heparin disaccharide) III-H : α-δUA-2S-[1→4]-GlcN
헤파린 디사카라이드 (Heparin disaccharide) IV-A : α-△UA-[1→4]-GlcNAc
헤파린 디사카라이드 (Heparin disaccharide) IV-H : α-△UA-[1→4]-GlcN
헤파린 디사카라이드 (Heparin disaccharide) III-S : α-△UA-2S-[1→4]-GlcNS
NO Insect GAG Heparinase
incubation
Heparin disaccharide
1 CaG0M HI I-H II-H IV-H
2 CaG0.5M HIII IV-A II-H
3 BTQG0.1M HI IV-H III-S
4 BTQG0.5M HIII II-H
5 SWG HI I-H IV-H
6 IQG0.5M HIII II-H IV-H
7 IQG0.5Mbad HI I-H II-H
8 IQG0.5 HIII II-H
9 PSWG0.5 HI I-H II-H
10 PSWG0.5 HIII I-H II-H
11 Tb1M HI II-H IV-H
12 Tb1M HIII I-H II-H IV-H
13 Gb1M HI II-H IV-H
14 GbiM HIII II-H IV-H
15 IS0.1M HI II-H IV-H
16 IS0.1M HIII II-H IV-H
17 IgpcG HI II-H
HII I-H IV-H
HIII I-H II-H
18 BTWG HI I-H II-H
HII I-H II-H IV-H
HIII II-H
NO Insect GAG Heparin disaccharide
1 CaG I-H, II-H, IV-H, IV-A
2 BTQG IV-H, III-S, II-H
3 SWG I-H, IV-H
4 IQG0.5 II-H, IV-H, I-H
5 PSWG I-H, II-H
6 Tb II-H, IV-H, I-H
7 Gb II-H, IV-H
8 IS II-H, IV-H
9 IgpcG II-H, IV-H, I-H
10 BTWG II-H, IV-H, I-H
4. 분광법을 이용한 당구조분석. 적외선(IR) 분광을 확인한 결과 IR 패턴에서 780~820 cm- 1 인 곳에서 설페이트기의 확인하였다.
5.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on-chromatography)를 이용한 설페이트기의 분석하였다. 1mg의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에 6N 염산용액 50μl를 넣고 질소가스하에서 2.5시간 100℃에서 가열한 후 10분간 1800 x g 에서 원심분리하였다. 50℃에서 용액을 증발시킨 후 50% 메탄올 100μl를 가한 후 40℃ 에서 농축시켰다. 200μl의 물에 녹여 이중 50μl를 칼럼에 주입하였다. 그 결과,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의 실시로 정확히 설페이트의 이온 피크가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곤충 글루코사민의 항염증 또는 면역 활성 확인
곤충유래 프로테오글라이칸 정제시 발생하는 전처리과정의 추출물과 (조)정제물등에 대한 곤충의 면역 및 혈관계작용물질 및 특성 규명하고자 실험동물인 랫트에서 염증유발시 발현하는 생체방어물질과 염증억제정도를 조사하고 보체투여에 의한 항체생산능을 조사하였다. 또한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이 싸이토카인의 분비를 조절하는지 또는 혈관내피세포에서의 혈관확장 및 혈관 내피 성장 인자 분비에 관련이 있는지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실험방법>
1. 실험동물
본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체중 200-220g의 4주령 수컷 Sprague-Dawley rat(샘타고 바이오 코리아)을 사용하였다. 사료와 음수는 자유급이 하였으며,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의 규정을 준수하였다. 쥐의 오른쪽 발바닥 피하부분에 Freud adjuvant complete를 주사한 다음 염증반응 정도로써 발적 및 부종을 확인한 후, 시간대 별로 부종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2. 발바닥 부종 측정
발바닥 부종의 측정은 CFA(Freud adjuvant complete)로 염증을 유도한 후, 대조군과 염증군, 시료 처리군으로 나누어 발바닥의 두께를 caliper로 측정하였다. 시간별 일별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을 하여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CFA 투여 전에 측정값을 대조군으로 삼아 비교하여 부종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3. 실험군의 처리
CFA를 주사한 모델 쥐를 시료 처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고, 14일 동안 복강 내로 투여를 하면서, 발바닥 조직과 혈청을 채취하여 다양한 생화학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료와 indomethacin의 말초투여가 뒤뿌리신경절(dorsal root ganglia, DRG)에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조직화학을 수행하였다.
4. 통계학적 분석
실험결과는 sigma plot version 10.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one-way ANOVA를 수행하였으며, 각 군당 유의성의 검정은 P<0.05의 기준으로 student T-test를 수행하였다.
5. cytokine 분석
(1) 조직 현탁액의 준비
발바닥 조직은 1:1 무게/부피로 1:4까지 조정하고 PRO-PREPTMProtein Extraction Solution으로 균질화하고 15,000xg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2) 채취동물시료에서 사이토카인 생성 측정
TNF-α와 VEGF 생성의 측정은 QuantikineRM, R&D systems에서 구매한 Recombinant murine로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Prostaglandin E2, Secretoty Phospholipase A2는 Cayman 제품의 매뉴얼에 따라 실험하였다.
(3) 발바닥 조직에서 COX-2 활성 측정
COX-2 활성은 IBL (Japan)에서 구매한 colorimetric assay 키트를 사용하였다. 이 키트는 높은 적합성을 지닌 두 종류의 안티바디를 사용하는 고체상의 샌드위치 ELISA로서 Tetra Methyl Benzidine (TMB)을 칼라반응기전 (chromogen)으로 사용하여 칼라반응의 세기는 rat COX-2의 양과 비례를 하는 원리이다. 실험기간 이후 발바닥 조직을 떼어내어 적혈구 세포와 혈액을 제거하기 위해 Tris buffer (pH 7.4)에 씻어냈다. 발바닥 조직은 1:4 무게/부피로 PRO-PREPTMProtein Extraction Solution으로 균질화하고 15,000xg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그 상층액으로 COX-2 assay를 실시하였다.
7. 세포수준에서의 활성조사
혈관내피세포에 대한 NO 산생능 조사 NO 산생은 Griess 시약을 사용하여 세포배지로 아질산이온축적으로 측정되어 진다. 즉, 소의 폐혈관내피세포(CPAE)에 시료를 처치하여 24시간 배양하고 VERSAmax microplatereader (Molecular Devices, Menlo Park, CA, USA)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아질산나트륨량을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8. 항체산생유도실험
분리동정한 곤충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10 mg/kg을 1차면역은 complete 프로이드 어쥬반트(시그마 CO, USA)와 동량으로 섞어 1일간 emulsify(현탁)시킨 균질액을 BALB/C mice 생쥐에 복강투여한 후 12일 간격을 두고 2차, 3차에 걸쳐 incomplete 프로이드 어쥬반트(시그마, CO., USA)를 동량 정재한 글루코자미노글라이칸에 섞어 1일 현탁후 복강내 투여 2주 경과 후 혈청을 채취하여 polyclonal antibody로 사용하였다.
역가검정은 해당 글루코자미노글라이칸을 ELISA 96well plate에 0.1 M 코팅버퍼(1.593g Na2CO3, 2.93g Na HCO3)로 10, 100, 200, 500 ng로 코팅한 후 혈청을 100, 250, 500, 1000배 희석하여 실온에서 배양한 후 샌드위치 ELISA를 수행하였다. 2nd 항체로 anti-species(mouse) IgG alkaline phosphtase를 사용 시약은 invitrogen사 WesternBreeze, chromogenic를 사용 발색 414 nm에서 측정하면서 invitrogen사 WesternBreeze 매뉴얼을 ELISA plate에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1. 곤충추출물에 대한 항부종확인 동물실험과 동물시료에 대한 싸이토카인 활성조사
1) 곤충글루코자민4종에 대한 랫트의 항부종효과와 랫트적출물에서 관련기전인 cytokine활성을 구명하여 전임상의 소염 및 면역항체활성근거를 확보하였다(도 1 내지 7).
SD rat 염증 모델 쥐 발바닥에 Freund's adjuvant complete로 주사로 발적 및 부종을 가진 염증을 유도하면서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GAG)을 14일간 투여하여 부종억제능 동물실험을 한 결과, 곤충 누에 수번데기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SWPG 또는PSWG 또는 PSG 같음) GAG (p<0.05 vs CFA), 호유번껍GAG (IGPCG, 호박벌유충번데기 들어낸 봉군껍질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서뒤일GAG (BTWG, 서양뒤영벌일벌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p<0.05 vs CFA) 각각10 mg/kg, 인도메타신 1.5 mg/kg을 CFA 발부종에 대해 14일간 투여시 소염효과를 도 1에서와 같이 확인하였다. 14일째 혈청에서 IL-6지표에서 누수번GAG가 저해되었으며(도 2 아래그림) 호유번껍GAG에서는 VEGF 수치 저해를 나타내었다(도 4). 7일째 발조직액에서 즉, 호유번껍GAGE, 서뒤일GAG 7일 투여시 염증인자인 cox-2 효소 저해를 확인하였으며(도 7) 특히 호유번껍GAG(p <0.01) 서뒤일GAG (p<0.05)로 음성대조 염증유발군인 CFA군에 대해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14일째 투여로 IL-6는 모든 처치군에서 CFA 염증유발군에 비해 낮게 나타내어 특히 호유번껍GAG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여주어 , 곤충 GAG의 염증기전의 일부로 생각되었다(도 2 윗그림). PGE2는 3일째 발조직에서 모든 처치군에서 CF처리군에 비해 낮게 나타내어(도 3) 이 또한 이들 곤충GAG의 염증기전의 일부라 생각되었다. 종양괴사인자 알파 (tumor necrosis factor-alpha)의 활성화(도 6), 염증유발하는 분비형 포스포리파제 A2 분비변화(도 5)도 확인되었다. 이들 곤충 GAG 마찬가지로 일부 GAG 즉, 누수번GAG, 호유번껍GAG 서뒤일GA에서 VEGF 저해성이 관찰되었다(도 1 내지 7).
2)양성대조군인 일반글루코자민과 efficay 비교실험결과는 도 8 내지 14와 같다.
누수번 GAG, 서뒤일 GAG, 시판 글루코자민 각각 20 mg/kg, 인도메타신 5 mg/kg을 투여와 컴프리트 프로이드어쥬반트(시그마 제품)를 100μl를 발바닥 피하주사를 투여하여 만성관절염모델 쥐를 만들어 총14일간 시료를 투여하고, 발부종크기를 캘리퍼(caliper)로 재었다. 아울러, 3일, 7일, 14일 도태후 혈청에서 각 싸이토카인 수치를 Cox-2 수치는 조직 및 뇨에서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서뒤일GAG> 누수번GAG> 일반시판 GAG 순으로 CFA 보체투여 발부종과 발적을 나타내는 소염을 억제하여 3번에 걸친 염증효력 동물실험에서 서뒤일 GAG는 같은 패턴의 효력을 나타내어 재현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도 8). 서뒤일 GAG는 14일째 발부종유발 랫트혈청에서 IL-6억제능(도 14)을 보이며 모든 처치군에서 7일째 TNF-α 저해를 나타내었다(도 9). 14일째 누수번GAG 와 인도메타신이 VEGF저해활성을 가졌으며(도 10), 시판 글루코자민에서 PEG2에 대한 미약한 저해성(도 11)을 확인하였다. 프로스타글란딘 E2는 염증성 매개물질로 본 실험에서는 보체발염증유발 3일째는 조직에서는 전체군에서 낮은 수치를 보이고 뇨에서는 시판글루코자민이 낮은 수치를 보이거나 7일째 조직에서는 대조대비 시판글루코자민과 누에수번데기글루코자민이 미약한 프로스타글란딘억제 효과(도 11)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도 8 내지 14). IL-6 싸이토카인 활성(도 14)을 누에수번데기GAG, 서뒤일 GAG이 저해함으로써 염증억제기전을 나타내었다. 3, 7일째 cox-2억제효과(도 13), sPLA2(도 12) 저해효과도 나타났다.
3)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제조 전단계 서양뒤벌일벌 및 삽포로뒤영벌 유충번데기 알콜추출물에서 확인한 항부종효과는 도 15 내지 20과 같다.
SD rat 염증 모델 쥐 발바닥에 Freund's adjuvant complete로 주사로 발적 및 부종을 가진 염증을 유도한 결과 서양뒤영벌일벌 알콜 추출물(서뒤일ex) 100 mg/kg, *p<0.05 vs CFA> 삽포로뒤영벌유충번데기를 가진 봉군알콜추출물(삽뒤유번으로 표시) 100 mg/kg, *p<0.05 vs CFA>호박벌번데기알콜추출물 100 mg/kg 순으로 염증억제 효과(도 15)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SDlEX(서양뒤영벌일벌알콜추출물 100 mg/kg); SPDYB(삽포로뒤영벌유충번데기 알콜추출물 100 mg/kg); IND(indomethacin 1 mg/kg)를 각각 14일간 투여시 인터루킨(IL)-6억제 효과(도 16)를 비롯하여 cytokine 혈청수치에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이 인도메타신과 비교하여 소염에 효과적인 추출물임을 랫트 발부종을 측정한 결과에서 확인하였으며(서뒤일ex, *p<0.05 vs CFA> 삽뒤유번ex, *p<0.05 vs CFA), 도태 랫트 혈청 중의 싸이토카인 활성을 조사한 결과 투여 7일째 TNF-α(도 20)와 IL-6 싸이토카인 활성을 삽뒤유번 봉군 알콜 추출물, 서뒤일 알콜추출물이 저해함으로써 염증억제기전을 나타내었다. 14일째 cox-2(도 18), spLA2 (도 19)저해효과, VEGF 저해 효과(도 17)가 각 추출물에서 관찰되었다 (2차실험).
2. 혈관내피세포수준에서의 활성조사(도 21 내지 도 25)
혈관신생 저해제의 새로운 표적 헤파란 설페이트의 유용성이 등장한 이래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이며 제넨텍에서 생산하는 아바스틴(Avastin)이라는 단클론 항체 약물이 이 VEGF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 아바스틴은 결장암과 폐암에 대해서 항암 화학요법제와 병용으로 승인 받아서 이용되고 있다. 암혈관에 존재하는 당인 헤파란 설페이트(heparan sulfate)의 작용을 조절하여 암 혈관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 결과 마우스에 이식된 폐암세포의 성장을 저해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
상기 기술한 참고문헌과 같이 곤충유래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은 혈관내피세포(CPAE, HUVEC)의 eNOSs(내피성 산화질소)의 산생의 조절과 CPAE와 HUVEC의 VEGF조절을 보여주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NO 산생은 Griess 시약을 사용하여 세포배지로 아질산이온축적으로 측정되어진다. eNOS, VEGF는 R&D kit에 따라 즉, 소의 폐혈관내피세포(CPAE) 또는 HUVEC세포에 곤충글라이코사미노글라이칸(10 mg/ml, 알콜추출물 시료의경우도 10 mg/ml))을 처치하여 24시간 배양하고 VERSAmax microplatereader (Molecular Devices, Menlo Park, CA, USA)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NO 수치는 아질산나트륨량을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human VEGF는 PSG, TG, ISG등에서 media보다 낮았다. 혈관내피세포 CPAE cell에서 eNOS는 ISG>PSG>CaG>BtQG>IGPC>IQG>BTWG순으로 증가, 다시 재현성 실험으로 PSG>BTQG>IQG>SDIEX>IQG>SPDYBEX>IND, 양성대조와 비교 SDIG>CGGlucosamine>PSG 순으로 활성 보임, 또한 huvex cell에서 eNOS활성은 PSG>BTQG>BTWG>IGPCG>CaG>IQG.>ISG순으로 활성을 보이며 역시 재현성시험에서 IGPCG>BTQG>Indomethacin>IQG>PSG>SDIEX>SPDYBEX순으로, 양성대조와 비교실험으로 CjGlucosamine>PSG>SDIG 순으로 eNOS 산생을 나타내었다.
3. 항체산생유도실험 (도 26)
분리동정한 곤충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항체 대량생산기법 연구, 생쥐에 투여 후 polyclonal antibody 제작, 역가검정을 하였다.
분리동정한 곤충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10 mg/kg을 1차면역은 complete 프로이드 어쥬반트(시그마 CO, USA)와 동량으로 섞어 1일간 emulsify(현탁)시킨 균질액을 BALB/C mice 생쥐에 복강투여한 후 12일 간격을 두고 2차, 3차에 걸쳐 incomplete 프로이드 어쥬반트(시그마, CO., USA)를 동량 정재한 글루코자미노글라이칸에 섞어 1일 현탁후 복강내 투여 2주 경과 후 혈청을 채취하여 polyclonal antibody로 사용하였다. 역가검정은 해당 글루코자미노글라이칸을 ELISA 96well plate에 0.1 M 코팅버퍼(1.593g Na2CO3, 2.93g Na HCO3)로 10, 100, 200, 500 ng로 코팅한 후 혈청을 100, 250, 500, 1000배 희석하여 실온에서 배양한 후 샌드위치 ELISA를 행한다. 2nd 항체로 anti-species(mouse) IgG alkaline phosphtase를 사용 시약은 invitrogen사 WesternBreeze, chromogenic를 사용 발색 414 nm에서 측정하면서 invitrogen사 WesternBreeze 매뉴얼을 ELISA plate에 적용하였다.
polyclonal antibody의 역가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26 참조).
1. PSG(누에수번데기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A로 표시)는 혈청 500:1은 100 ng, 200 ng 코팅항원에 대해, 혈청250: 1은 100 ng에 대해, 혈청100;1에 대해서 200ng, 500 ng 코팅항원에 대해 대조 BSA 대해 유의성 P<0.05을 나타내었다.
2. IGPCG(호박벌유충번데기 들어낸 껍질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B로 표시), 혈청 500:1을 100 ng, 200 ng 코팅항원에 가하여 반응시켰을 때, 250:1 혈청에 대하여 10 ng, 100 ng 반응시켰을 때 그 정색반응 수치가 대조 BSA에 대하여 p<0.05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3. BTWG (서양뒤영벌일벌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C로 표시), 4. IQG (호박벌여왕벌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D로 표시), 5. ISG (매미눈꽃동충하초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E로 표시), 6. CaG (강랑(쇠똥구리생약명)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F로 표시), 7. BTQG (서양뒤영벌여왕벌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G로 표시), 8. 맹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 (상기와 유사하여 생략) 및 9. 귀뚜라미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상기와 유사하여 생략)은 3차면역보체혼합액투여로 생성된 항체를 가진 혈청 250:1이 코팅항원 100ng에 대해, 혈청 500:1에 대해 코팅 100 ng, 200 ng에 대해 대조 BSA에 대해 p<0.05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곤충으로부터 유용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곤충으로부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일종인 헤파린 고분자 및 저분자 약품을 제조할 수 있고, 저렴한 원가로 헤파린과 같은 물질을 생산하여 국민 보건향상에 기여하며, 곤충 사육 농가의 소득 보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서양뒤영벌일벌, 삽포로뒤영벌유충 및 삽포로뒤영벌번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곤충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가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서양뒤영벌일벌, 삽포로뒤영벌유충 및 삽포로뒤영벌번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곤충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억제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가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서양뒤영벌일벌, 삽포로뒤영벌유충 및 삽포로뒤영벌번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곤충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가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30030551A 2013-03-21 2013-03-21 뒤영벌 류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40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551A KR101403520B1 (ko) 2013-03-21 2013-03-21 뒤영벌 류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551A KR101403520B1 (ko) 2013-03-21 2013-03-21 뒤영벌 류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265A Division KR20120075214A (ko) 2010-12-28 2010-12-28 곤충유래 헤파린대체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0516A Division KR101491765B1 (ko) 2013-11-19 2013-11-19 뒤영벌 류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648A true KR20130043648A (ko) 2013-04-30
KR101403520B1 KR101403520B1 (ko) 2014-06-11

Family

ID=4844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551A KR101403520B1 (ko) 2013-03-21 2013-03-21 뒤영벌 류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5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251A (ko) * 2019-12-10 2021-06-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220138241A (ko) * 2021-04-05 2022-10-12 한국원자력연구원 서양뒤영벌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807B1 (ko) * 2018-04-09 2020-06-11 대한민국 뒤영벌 속 곤충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된 신체 장기 보호용 조성물
KR20220052512A (ko) 2020-10-21 2022-04-28 (주)우리비앤비 서양뒤영벌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155B1 (ko) * 2009-01-16 2011-10-10 대한민국 소염 효과를 가지는 벌목곤충 추출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251A (ko) * 2019-12-10 2021-06-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220138241A (ko) * 2021-04-05 2022-10-12 한국원자력연구원 서양뒤영벌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520B1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 et al. Structure characterization and immunomodulating effect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Dendrobium officinale
Song et al. Effect of acetylation on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activity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pumpkin (Cucurbita pepo, lady godiva)
Mullen et al. Ellagitannins,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s in red raspberries and their contribution to antioxidant capacity and vasorelaxation properties
Chen et al. Quantification of uronic acids in tea polysaccharide conjugates and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Hsu et al. Separation, purification,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of polysaccharides from Coriolus versicolor LH1 mycelia
Chen et al.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a novel polysaccharide from Inonotus obliquus
Lu et al. Preparation of the controlled acid hydrolysates from pumpkin polysaccharides and their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valuation
KR101349136B1 (ko) 곤충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13074A (ko)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신규 용도 및 제조방법
Senthil et al. Fucoidan–an α-amylase inhibitor from Sargassum wightii with relevance to NIDDM
US20220160012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olysaccharide
KR20120075214A (ko) 곤충유래 헤파린대체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iang et al. Preliminary characterization and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Glossaulax didyma
KR101403520B1 (ko) 뒤영벌 류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Hu et al. A neuroprotective polysaccharide from Hyriopsis cumingii
Horie et al. The potency of a novel fermented unripe banana powder as a functional immunostimulatory food ingredient
Dini et al. New oleanane saponins in Chenopodium quinoa
Cai et al. Structure, anti-fatigue activity and regulation on gut microflora in vivo of ethanol-fractional polysaccharides from Dendrobium officinale
Wang et al. A novel polysaccharide from Paeonia lactiflora exerts anti-tumor activity via immunoregulation
Zhang et 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ticoagulant and antithrombotic mechanism of a novel polysaccharide from Rosa Chinensis Flos
KR101491765B1 (ko) 뒤영벌 류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ia et al. Hypoglycemic activity of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in vitro and in vivo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identification by UPLC-Triple-TOF-MS/MS
Chen et al. Anticancer activity of rhamnoallosan against DU-145 cells is kinetically complementary to coexisting polyphenolics in Psidium guajava budding leaves
Cheng et al.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function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sulfated-salt treatment of Antrodia cinnamomea
KR101200406B1 (ko) 곤충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함유하는 항응혈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