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935A -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935A
KR20130042935A KR1020110107105A KR20110107105A KR20130042935A KR 20130042935 A KR20130042935 A KR 20130042935A KR 1020110107105 A KR1020110107105 A KR 1020110107105A KR 20110107105 A KR20110107105 A KR 20110107105A KR 20130042935 A KR20130042935 A KR 20130042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signal
receiving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07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2935A/ko
Publication of KR20130042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단말이 연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단말이 연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MS(IP Multimedia Subsystem 또는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적 프레임워크(architectural framework)이다. IMS는 본래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무선 표준으로 설계되었다. IMS 표준(3GPP Rel-5)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정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1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1로부터 서비스 제공 홀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1로 서비스 제공을 홀딩하는 단계; 단말2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 및 이어받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1로의 서비스 제공이 홀딩된 위치부터 상기 단말2로 서비스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1 및 단말2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1로부터 서비스 제공 홀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1로 서비스 제공을 홀딩한 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2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 및 이어받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1로의 서비스 제공이 홀딩된 위치로부터 상기 단말2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상술한 시스템에서 위치 등록 호 처리 과정을 도시한다.
도 3은 단말1의 발신 등록 호 처리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단말2에서 이어받기가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IM AS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IM AS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IMS(IP Multimedia Subsystem 또는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적 프레임워크(architectural framework)이다. IMS는 본래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무선 표준으로 설계되었다. IMS 표준(3GPP Rel-5)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정되었다. 이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유선망 등과 같은 GPRS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3GPP, 3GPP2,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 Institute) TISPAN(Telecoms & Internet Converged Services & Protocols for Advanced Networks)에 의해 이후에 업데이트되었다.
인터넷과의 융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IMS는 가능한 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프로토콜, 예를 들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이용한다. IMS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준화하는 것 보다는 유선 또는 무선 단말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및 음성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서비스 계층(service layer)으로부터 접속 네트워크(access network)를 분리하는 수평의 제어 계층을 가짐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단말(110), 접속 네트워크(또는 IP 네트워크)(120), 코어 네트워크(130) 및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CP)(140)를 포함한다.
단말(110)은 M2M 장치(Machine to Machine Device), 휴대 전화, 스마트폰, 전자 항법 장치(예를 들면, GPS 장치), 미디어 재생기, 게임기, 컴퓨터, 전자 수첩, PDA 등을 포함하여 유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110)은 음성 또는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단말(110)은 접속 네트워크(120)를 통해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IMS에 접속할 수 있다. 단말(110)은 IMS에 직접 등록할 수 있고, 심지어 다른 네트워크 또는 국가에서 로밍 중일 때도 가능하다.
접속 네트워크(120)는 IP를 이용하고 SIP를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접속 네트워크(120)는 유선 접속망(예를 들면, DSL(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 모뎀, 이더넷(Ethernet)), 이동 통신망(예를 들면, W-CDMA(Wideband CDMA), CDMA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PRS), 및 무선 통신망(예를 들면, WLA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일 수 있다. 기존 전화 서비스(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H.323, IMS 호환 불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전화 시스템은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접속 네트워크(120)는 NodeB, RNC(Radio Network Controller),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를 포함하는 GPRS 시스템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30)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132)를 포함한다. CSCF(132)는 SIP 서버 또는 프록시로서, IMS에서 SIP 시그널링 패킷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CSCF(132)는 P-CSCF(Proxy-CSCF), S-CSCF(Serving CSCF), I-CSCF(Interrogating-CSCF)를 포함할 수 있다. P-CSCF는 단말(110)이 접촉하는 첫 번째 포인트인 SIP 프록시이다. S-CSCF는 SIP 서버이면서 세션 제어를 수행한다. S-CSCF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사용자와 S-CSCF 관련을 업로드하기 위해 후술할 HSS(Home Subscriber Server)(134)에 Cx 및 Dx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모든 필요한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는 HSS(134)로부터 탑재된다. 외부 서버는 I-CSCF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SIP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 P-CSCF, S-CSCF, I-CSCF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 각각을 구별하지 않고 통칭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기술될 것이다.
코어 네트워크(130)는 또한 HSS(또는 UPSF(User Profile Server Function)으로 불림)(134)를 포함한다. HSS(134)는 IMS 네트워크 개체를 지원하는 주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이다. HSS(134)는 가입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수행하며, 가입자 위치 및 IP 정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30)는 또한 IM AS(IP Multimedia Application Server)(136)를 포함한다. IM AS(136)는 단말(110)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SIP를 이용하여 CSCF(132)에 접속한다.
IM AS(136)에서 단말(110)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CP)(140)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즉, 단말(110)로부터 콘텐츠 제공을 요청받을 때, IM AS(136)는 CP(140)에 콘텐츠 공급을 요청하고 CP(140)에서 공급되는 콘텐츠를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시스템에서 위치 등록 호처리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110-1)은 위치 등록을 위해 자신의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CSCF(132)로 전송한다(S202). 등록 메시지는 단말1(110-1)이 자동차, 이동전화, 가정 등인지의 타입 정보를 갖는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를 포함한다. CSCF(132)는 HSS(134)로 SAR(Server Assignment Request)를 전송하고(S204), 이를 수신한 HSS(134)는 CSCF(132)로 SAA(Server Assignment Answer)를 전송하여(S206) 위치 등록 처리를 수행한다. SAA는 제3자 IM AS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고, CSCF(132)는 이를 수신한다. CSCF(132)는 위치 등록 처리를 한 후 단말1(110-1)로 200 OK 메시지를 전송한다(S208).
CSCF(132)는 단말1(110-1)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110-1)이 콘텐츠 실행 가능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S210 단계에서 단말1(110-1)이 콘텐츠 실행 가능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후의 단계가 종료된다(S212). S210 단계에서 단말1(110-1)이 콘텐츠 실행 가능 단말인 경우, CSCF(132)는 IM AS(136)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S214). 등록 메시지는 단말1(110-1)이 자동차, 이동전화, 가정 등인지의 타입 정보를 갖는 SDP를 포함한다. IM AS(136)는 수신한 타입 정보를 저장하고(S216), CSCF(132)로 200 OK 메시지를 전송한다(S218).
이후에, 단말1(110-1)은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여 IM AS(136)에 가입하고, IM AS(136)는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1(110-1)로 통지한다. 이러한 과정은 단말의 상태 정보가 변경될 경우, 이를 IM AS(136)로 알려주기 위해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IM AS(136)는 통지를 CSCF(132)를 통해 단말1(110-1)로 전송하여(S224, S226), 콘텐츠 실행 모드를 사용할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말1(110-1)은 콘텐츠 실행 모드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228). 사용자가 단말1(110-1)을 조작하여 단말1(110-1)에서 콘텐츠 실행 모드를 사용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이러한 변경 정보가 200 OK 메시지에 포함되어 CSCF(132)를 통해 IM AS(136)로 전송되고(S230, S232), IM AS(136)는 단말1(110-1)이 콘텐츠 실행 모드를 활성화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저장한다(S234). 단말1(110-1)에서 콘텐츠 실행 모드를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한 경우, 이러한 변경 정보가 200 OK 메시지에 포함되어 CSCF(132)를 통해 IM AS(136)로 전송되고(S236, S238), IM AS(136)는 단말1(110-1)이 콘텐츠 실행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저장한다(S240).
한편, S202 단계에서 등록 메시지가 단말1(110-1)의 콘텐츠 실행 모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S224 내지 S24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1(110-1)의 콘텐츠 실행 모드 여부는 S216 단계에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단말1(110-1)에서 콘텐츠 실행 모드가 기본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S224 내지 S24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1(110-1)이 콘텐츠 실행 모드를 활성화한 경우, 단말1(110-1)의 발신 등록 호 처리 과정이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110-1)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특정 서비스를 받기 위해 세션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단말1(110-1)은 CSCF(132)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302), CSCF(132)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IM AS(136)로 전달한다(S304). 서비스 요청 신호는 수신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 해상도, 전송 속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M AS(136)는 특정 서비스에 관련된 CP(140)를 탐색하고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CP(140)로 전송한다(S306).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CP(140)는 200 OK 메시지를 IM AS(136)로 전송하고(S308), IM AS(136)는 200 OK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는 ACK 메시지를 CP(140)로 전송한다(S310). 또한, IM AS(136)는 서비스 요청의 수신이 성공하였다는 200 OK 신호를 CSCF(132)를 통해 단말1(110-1)로 전송한다(S312, S314).
단말1(110-1)은 단말1(110-1)의 프로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 메시지를 IM AS(136)로 전송하고(S316), IM AS(136)는 단말1(110-1)의 프로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단말1(110-1)로 전송하여(S318) 세션 설정 과정을 완료한다.
세션 설정 과정이 완료된 후, IM AS(136)는 통지 메시지를 CSCF(132)를 통해 단말1(110-1)로 전송한다(S320, S322). 통지 메시지는 단말1(110-1)이 이어받기 모드를 사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문의를 포함한다. 이어받기 모드는 단말1(110-1)에서 현재 서비스 받고 있다가 중지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후에 다른 장치에서 이어받을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모드이다. 예를 들면, 이어받기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단말1(110-1)에서 동영상을 재생하다가 재생을 중지할 때, 다른 단말을 통해 중지된 위치로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단말1(110-1)은 이어받기 실행 모드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324). 사용자가 단말1(110-1)을 조작하여 단말(110-1)에서 이어받기 실행 모드를 사용할 것을 결정한 경우, 이러한 변경 정보가 200 OK 메시지에 포함되어 CSCF(132)를 통해 IM AS(136)로 전송된다(S326, S328). IM AS(136)는 이어받기 실행 모드가 활성화된 것을 저장하고, 단말1(110-1)에서 이어받기 실행 모드가 활성화된 것을 CP(140)로 전송하며(S330), CP(140)는 200 OK 메시지를 IM AS(136)로 전송한다(S332). 사용자가 단말1(110-1)을 조작하여 단말1(110-1)에서 이어받기 실행 모드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결정한 경우, 이러한 변경 정보가 200 OK 메시지에 포함되어 CSCF(132)를 통해 IM AS(136)로 전송된다(S334, S336). IM AS(136)는 이어받기 실행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을 저장하고, 단말1(110-1)에서 이어받기 실행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을 CP(140)로 전송하며(S338), CP(140)는 200 OK 메시지를 IM AS(136)로 전송한다(S340).
이어받기 실행 모드 설정이 완료된 후 서비스가 제공된다. CP(140)는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IM AS(136)로 제공하고(S342), IM AS(136)는 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1(110-1)로 제공한다(S344).
위치 등록이 완료된 단말1(110-1)의 사용자 관점에서 보면, 사용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1(110-1)을 통해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서비스를 선택한다. 단말1(110-1)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이전에 이어받기 모드를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 인테페이스를 통해 문의한다. 사용자가 이어받기 모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단말1(110-1)을 통해 재생된다.
한편, S302 단계에서 요청 메시지지가 단말1(110-1)의 이어받기 모드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S320 내지 S34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1(110-1)의 이어받기 모드 활성화 여부는 S304 단계 이후 IM AS(136)에 저장되고 S306 단계 이후 CP(1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단말1(110-1)에서 이어받기 모드가 기본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S320 내지 S34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어받기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이어받기가 실행되는 과정이 도 4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이어받기 모드가 활성화된 단말1(110-1)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과 같은 서비스를 홀딩하는 경우, 단말1(110-1)은 홀딩 정보를 갖는 SDP를 포함하는 subscribe 메시지를 전송하고, subscribe 메시지는 CSCF(132)를 통해 IM AS(136)로 전달된다(S402, S404). 이후, 메시지를 수신한 CP(140)로부터 IM AS(136)로의 서비스 제공은 홀딩된다(S406). 서비스 제공이 홀딩된 후, IM AS(136)는 200 OK 메시지를 CSCF(132)를 통해 단말1(110-1)로 전송한다(S408, S410). 그리고, IM AS(136)는 홀딩된 서비스가 단말1(110-1) 또는 다른 단말에서 중지된 위치로부터 시작될 수 있음을 통지한다(S412).
홀딩된 서비스는 단말1(110-1)에서 다시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도 3에서 이어받기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단말1(110-1)이 아닌 다른 단말(110-2)에서 다시 제공될 수도 있다.
단말2(110-2)에서 단말1(110-1)에서 홀딩된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요청 메시지는 CSCF(132)를 통해 IM AS(136)로 전송된다(S414, S416). IM AS(136)는 200 OK 메시지를 CSCF(132)를 통해 단말2(110-2)로 전송한다(S418, S420). 단말2(110-2)는 200 OK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는 ACK 메시지를 CSCF(132)를 통해 IM AS(136)로 전송한다(S422, S424). 단말2(110-2)는 단말2(110-2)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 메시지를 IM AS(136)로 전송하고(S426), IM AS(136)는 단말2(110-2)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단말2(110-2)로 전송한다(S428).
이러한 세션 설정 과정을 수행하면서, IM AS(136)는 단말2(110-2)가 사용자 가입 DB에 포함된 단말인지 여부를 인지한다. 즉, 단말1(110-1)과 단말2(110-2)가 같은 사용자에 의해 가입된 단말인 경우와 같이 두 단말 사이에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를 인지한다. 관련성이 있는 경우, IM AS(136)는 단말2(110-2)가 단말1(110-1)에서 홀딩된 서비스를 이어받기 할 것인지 여부, 즉 이어받기 모드(Tran mode) 여부에 대한 문의 정보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CSCF(132)를 통해 단말2(110-2)로 전송한다(S430, S432).
단말2(110-2)는 이어받기를 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S434). 사용자가 단말2(110-2)를 조작하여 단말1(110-1)에서 홀딩된 서비스를 이어받기 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이러한 변경 정보가 200 OK 메시지에 포함되어 CSCF(132)를 통해 IM AS(136)로 전송된다(S436, S438). IM AS(136)는 단말2(110-2)에서 이어받기를 할 것을 저장하고, 단말2(110-2)가 단말1(110-1)에서 홀딩된 서비스를 이어받기 할 것을 CP(140)로 전송하며(S440), CP(140)는 200 OK 메시지를 IM AS(136)로 전송한다(S442). 사용자가 단말2(110-2)를 조작하여 단말1(110-1)에서 홀딩된 서비스를 이어받기 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한 경우, 이러한 변경 정보가 200 OK 메시지에 포함되어 CSCF(132)를 통해 IM AS(136)로 전송된다(S444, S446). IM AS(136)는 단말2(110-2)에서 이어받기 하지 않을 것을 저장하고, 단말2(110-2)가 단말1(110-1)에서 홀딩된 서비스를 이어받기 하지 않을 것을 CP(140)로 전송하며(S448), CP(140)는 200 OK 메시지를 IM AS(136)로 전송한다(S450).
이후, CP(140)로부터 IM AS(136)로 서비스가 제공되고(S452), IM AS(136)로부터 단말2(110-2)로 서비스가 제공된다(S454). 단말2(110-2)가 이어받기를 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CP(140)가 IM AS(136)로 제공하고 IM AS(136)가 단말2(110-2)로 제공하는 서비스는 단말1(110-1)에서 홀딩된 위치부터 제공될 것이다. 단말2(110-2)가 이어받기를 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한 경우, CP(140)가 IM AS(136)로 제공하고 IM AS(136)가 단말2(110-2)로 제공하는 서비스는 처음부터 제공될 것이다.
도 4의 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내면 도 5와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단말1(110-1)은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서비스 홀딩 요청을 IM AS(136)로 전송하고(S502) IM AS(136)는 서비스를 홀딩한다(S504).
단말1(110-1)이 서비스 홀딩을 한 후, 단말2(110-2)가 IM AS(136)로 서비스 요청을 할 때(S506), IM AS(136)는 단말2(110-2)에 서비스 이어받기를 할 것인지를 문의한다(S508). 단말2(110-2)가 서비스 이어받기를 하는 것으로 확인하면(S510), IM AS(136)는 단말1(110-1)이 서비스를 홀딩한 지점에서부터 단말2(110-2)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S512).
단말1(110-1) 및 단말2(110-2)를 포함하여 복수의 단말을 갖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면, 단말1(110-1)을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을 것을 선택한 사용자는, 도 3의 발신등록 호처리 과정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과 같은 특정 서비스를 선택한 후 이어받기 모드를 활성화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1(110-1)을 통해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홀딩할 수 있다. 이후에 서비스를 제공받던 단말1(110-1)이 아닌 단말2(110-2)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단말2(110-2)를 통해 상기 특정 서비스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110-1)에서 홀딩한 위치로부터 이어받기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것인지 문의할 때, 사용자가 이어받기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1(110-1)에서 홀딩한 위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이어받기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이어받기가 실행되는 과정이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6을 참조하면, IM AS(136)는 단말1(110-1)에 서비스를 제공할 때 단말1(110-1)에 이어받기 허용 여부를 문의한다(S602). IM AS(136)는 단말1(110-1)로부터 이어받기를 허용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604). 이후 단말1(110-1)로 서비스를 제공하던 중 단말1(110-1)로부터 서비스 홀딩 신호를 수신하고(S606), 단말1(110-1)로의 서비스 제공을 홀딩한다(S606). 서비스를 홀딩하고 있는 중에 단말2(110-1)로부터 가입 신호를 수신하면(S610), 단말2(110-2)에 이어받기를 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한다(S612). 단말2(110-2)로부터 단말2(110-2)가 이어받기를 할 것이라는 이어받기 신호를 수신하면(S614), IM AS(136)는 단말2(110-2)로 단말1(110-1)에 의해 홀딩된 위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S616).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IM AS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IM AS는 CSCF를 통해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 1 송수신부(702), CP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송수신부(704), 및 서비스 제어부(708)를 포함한다.
제 1 송수신부(702)는 단말로부터 가입 신호, 서비스 제공 요청, 서비스 홀딩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단말로 콘텐츠, 이어받기 허용 여부 신호, 이어받기 여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송수신부(704)는 CP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CP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송수신부(704)에서 수신된 콘텐츠는 제 1 송수신부(702)를 통해 단말로 전달된다.
서비스 제어부(708)는 단말이 서비스 제공 요청을 할 때 이어받기를 허용 여부에 대한 신호에 대한 응답을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708)는 서비스 제공이 홀딩된 후 다른 단말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할 때 이어받기가 허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어받기가 허용된 경우 단말로 이어받기를 할 것인지 여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어받기를 할 것으로 단말이 신호하는 경우, 서비스 제어부(708)는 홀딩된 위치로부터 단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단말1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1로부터 서비스 제공 홀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1로 서비스 제공을 홀딩하는 단계;
    단말2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 및 이어받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1로의 서비스 제공이 홀딩된 위치부터 상기 단말2로 서비스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 및 이어받기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 및 이어받기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1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1로 이어받기 허용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1로부터 이어받기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2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 및 이어받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2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2로 이어받기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2로부터 이어받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과 단말2 사이의 관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단말1 및 단말2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1로부터 서비스 제공 홀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1로 서비스 제공을 홀딩한 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2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 및 이어받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1로의 서비스 제공이 홀딩된 위치로부터 상기 단말2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1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 및 이어받기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1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1로 이어받기 허용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단말1로부터 이어받기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2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2로 이어받기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단말2로부터 이어받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단말1과 단말2 사이의 관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107105A 2011-10-19 2011-10-19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042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105A KR20130042935A (ko) 2011-10-19 2011-10-19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105A KR20130042935A (ko) 2011-10-19 2011-10-19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935A true KR20130042935A (ko) 2013-04-29

Family

ID=4844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105A KR20130042935A (ko) 2011-10-19 2011-10-19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29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0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edia and media control transfer between devices
US8832792B2 (en) Limiting services based on location
CA2636466C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an incoming call to a proper domain in a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ims
EP2399367B1 (en) Location-based ims server selection
JP4875755B2 (ja) メディア独立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003128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edia and media control transfer between devices
KR101460768B1 (ko)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세션의 스위칭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저장매체
US201100408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edia and media control transfer between devices
US84425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 mobile node via a registration proxy
US9107196B2 (en) Reconnecting dropped calls using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EP2045964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registering the connection address of wireless ip access network
CN103703737A (zh) 用于支持ims服务连续性的实现的方法和设备
US20120213346A1 (en) Method, server and terminal device for playing multimedia ring tone during call
CN101401383B (zh) Ip多媒体子系统中的消息路由
EP2479968B1 (en) Method for playing multimedia ring tone during conversation period, server and terminal device thereof
KR20130042935A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50054396A (ko) 하이브리드 LTE 가입자에 대한 VoLTE 착신서비스 제공시스템, 홈 가입자 서버 및 그 서비스착신 처리방법, 호제어기능장치,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위치등록방법
KR20110131573A (ko)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