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838A - 인접 채널 간섭 비율에 따라 송신 전력이 제한되는 단말 - Google Patents

인접 채널 간섭 비율에 따라 송신 전력이 제한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838A
KR20130041838A KR1020127034119A KR20127034119A KR20130041838A KR 20130041838 A KR20130041838 A KR 20130041838A KR 1020127034119 A KR1020127034119 A KR 1020127034119A KR 20127034119 A KR20127034119 A KR 20127034119A KR 20130041838 A KR20130041838 A KR 20130041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nd
mhz
lte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9108B1 (ko
Inventor
양윤오
임수환
정만영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41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는 인접 셀 내의 단말이 사용하는 업링크 대역과 연속하지 않게 일정 대역만큼 이격된 업링크 대역에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때, ACIR(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Ration)의 값은 상기 일정 대역과의 오프셋에 따라 소정 값으로 제한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접 채널 간섭 비율에 따라 송신 전력이 제한되는 단말{TERMINAL, THE TRANSMISSION POWER OF WHICH IS LIMITED IN ACCORDANCE WITH AN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RATIO}
본 발명은 인접 채널의 간섭 비율에 따라 송신 전력이 제한되는 단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 통신은 음성뿐 만이 아니라, 영상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데, 현재 상기 3세대 이동 통신은 데이터 트래픽이 급속히 증가하여, 더 높은 대역폭을 갖도록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더 높은 대역폭을 갖도록 진화된 망(Long-Term Evolution Network: LTE)을 만들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 LTE에서는 E-UMTS(Evolved-UMTS)와 E-UTRAN(Evolved-UTRAN)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상기 E-UTRAN에서는 무선 접속 기술(RAT)로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한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향링크는 기지국(base station; BS)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다.
LTE 물리 구조
3GPP(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LTE(Long Term Evolution)는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type 1) 무선 프레임 구조 (Radio Frame Structure)와 TDD (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 (Radio Frame Structure)를 지원한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time duration)으로 정의된다.
3GPP는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type 1) 무선 프레임 구조 (Radio Frame Structure)와 TDD (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 (Radio Frame Structure)를 지원한다.
도 2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 타입 1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며,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도 3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해프 프레임 (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해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GP (Gap Period), UpPTS (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즉, 무선 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도 4는 LTE 하향링크의 슬롯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슬롯(slot)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Figure pct00001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와
Figure pct00002
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로 구성되는 자원 격자 (Resource Grid)에 의해 묘사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003
은 하향링크에서의 자원 블록 (Resource Block; RB)의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4
는 하나의 RB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5
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도 5는 LTE 상향링크 슬롯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슬롯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Figure pct00006
개의 부반송파와
Figure pct00007
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자원 격자에 의해 묘사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008
은 상향링크에서의 RB의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9
는 하나의 RB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10
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는 상기 상향링크 슬롯과 하향링크 슬롯 내에서 인덱스 (k, l)로 정의되는 자원 단위로 1개의 부반송파와 1개의 OFDM심볼을 나타낸다. 여기서, k는 주파수 축 상의 인덱스이고, l은 시간 축 상의 인덱스이다.
LTE - Advanced
한편, LTE에서 보다 발전하여, 보다 고속의 송수신 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려는 논의가 있다.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Advanced의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IMT-Advanced는 정지 및 저속 이동 상태에서 1Gbps, 고속 이동 상태에서 500Mbps의 데이터 전송률로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 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IMT-Advanced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시스템 표준으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방식 기반인 LTE(Long Term Evolution)를 개선한 LTE-Advanced(LTE-A)를 준비하고 있다. LTE-Advanced는 IMT-Advanced를 위한 유력한 후보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이 보다 더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위해서는 유리한 전파 특성을 갖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이용이 필요하나, 기존 무선 서비스 시스템들에 의한 주파수 선점으로 이 대역을 사용하는 신규 서비스 및 무선 기술의 개발에 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LTE-Advanced(혹은 LTE-A라고도 함) 시스템에서는 LTE 시스템과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려 하고 있다. 다만, LTE-Advanced 시스템이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경우, LTE 시스템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시스템 간 간섭이 발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은 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b)을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TE-A 시스템(15a)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인접한 LTE 시스템(15b)에 간섭을 미치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이 간섭을 주는 시스템을 공격(aggressor) 시스템(또는 1차 시스템)이라고 하고, 간섭이 영향을 받는 시스템을 희생 시스템(또는 2차 시스템)이라고 한다. 그리고 공격 시스템에서의 UE를 공격 UE(또는 1차 UE)라고 하고, 희생 시스템에서의 UE를 희생(victim) UE(또는 2차 UE)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격 UE가 전송한 신호는 희생 UE에 간섭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희생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희생 UE 사이의 링크는 간섭을 받게되며, 이러한 링크를 희생 링크라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시스템 간 간섭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인터-셀 간 간섭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인접 셀의 업링크에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 단말의 업링크 송신 파워를 제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는 인접 셀 내의 단말이 사용하는 업링크 대역과 연속하지 않게 일정 대역만큼 이격된 업링크 대역에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때, ACIR(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Ration)의 값은 상기 일정 대역과의 오프셋에 따라 아래의 테이블의 값으로 제한될 수 있다.
Figure pct00011
상기 단말은 LTE-A 단말 또는 E-UTRA 단말이고, 상기 인접 셀 내의 단말은 LTE 단말 또는 LTE-A 단말 또는 UTRA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일정 대역은 보호 대역일 수 있다.
상기 일정 대역은 1MHz일 수 있다.
상기 신호가 전송되는 업링크 대역은 777 MHz 내지 787 MHz 내의 대역이고, 상기 인접 셀 내의 단말이 이용하는 업링크 대역은 788 MHz 내지 798 MHz 내의 대역일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의 값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서 산출되고,
Figure pct00012
여기서 상기 k는 k번째 ACLR값을 나타내는 상수이고, BW16RB는 16개의 리소스 블록의 대역폭 크기, BWguard는 보호 대역의 대역폭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단말을 또한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는 인접 셀 내의 단말이 사용하는 업링크 대역과 연속하지 않게 일정 대역만큼 이격된 업링크 대역에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때, ACIR(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Ration)의 값은 상기 일정 대역과의 오프셋 k에 따라 수학식에 의해서 산출되는 값으로 제한되고,
Figure pct00013
여기서 상기 k는 k번째 ACLR값을 나타내는 상수이고, BW16RB는 16개의 리소스 블록의 대역폭 크기, BWguard는 보호 대역의 대역폭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은 LTE-A이 단말 또는 E-UTRA 단말이고, 상기 인접 셀 내의 단말은 LTE 단말 또는 LTE-A 단말 또는 UTRA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일정 대역은 보호 대역일 수 있다. 상기 일정 대역은 1MHz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에 의해서 계산되는 값은 아래의 테이블로 정리될 수 있다.
Figure pct00014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시에 의하면, 시스템 간 간섭이 억제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개시에 의하면, 인터-셀 간 간섭이 억제된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LTE 하향링크의 슬롯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LTE 상향링크 슬롯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시스템 간 간섭이 발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과 희생 시스템의 대역폭이 동일한 제1 및 제2 시나리오에서, 희생 시스템의 업링크가 간섭받는 것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8은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 보다 희생 시스템의 대역폭이 더 큰 제3 시나리오에서, 희생 시스템의 업링크가 간섭받는 것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9은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 보다 희생 시스템의 대역폭이 작은 제4 시나리오에서, 희생 시스템의 업링크가 간섭받는 것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10은 공격 시스템과 희생 시스템 간에 보호 대역이 있는 시나리오에서, 희생 시스템의 업링크가 간섭받는 것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따른 UE(100) 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LTE 또는 LTE-A 시스템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그 외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에서는 UE(User Equipment)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UE는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무선 모뎀(Wireless Modem), 노트북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을 갖춘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도 7은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과 희생 시스템의 대역폭이 동일한 제1 및 제2 시나리오에서, 희생 시스템의 업링크가 간섭받는 것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7(a)을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시스템의 대역폭의 크기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때, 두 시스템이 주파수 축상에서 보호 대역이 없이 서로 인접한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에, 공격 시스템(또는 1차 시스템)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다시 말해서, UE 또는 CPE가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불요 방사(unwanted emission)로 인하여,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희생 시스템(또는 2차 시스템)(다시 말해서 인접 셀에서의 업링크)은 간섭을 받게 된다. 이때, 도 7에서는 공격 시스템이 LTE-A UE인 상황을 가정하였다.
한편, 상기 두 시스템이 주파수 축상에서 서로 인접한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아래의 표 1에서 공격 시스템은 업링크를 위해 동작 대역 18을 사용하고, 희생 시스템은 업링크를 위해 동작 대역 19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동작 대역 18 내에서 상기 두 시스템이 서로 인접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Figure pct00015
도 7(b)에서와 같이, 공격 시스템(즉, UE 또는 CPE)에서의 업링크 신호 송신이 불필요하게 인접 채널로 방사되어, 인접 시스템(즉, 인접 셀의 UE 또는 CPE)은 간섭의 영향을 받게된다.
인접 채널 간섭 비율, 즉 ACIR(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Ration)이 나타나 있다. 상기 ACIR은 공격 시스템의 송신기(기지국 또는 UE)가 전송하는 전체 파워 대 희생 시스템의 수신기에 영향을 미치는 간섭 파워의 비로 나타낸다. 따라서, ACIR=Paggressor - Pvictim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Paggressor 는 공격 시스템의 전송 파워이고, Pvictim은 희생 시스템에서 수신기에서의 간섭 파워이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CIR의 대역폭은 상기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과 같다. 공격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 바로 옆에 위치한 대역은 ACIR 1의 값 만큼 간섭을 겪게 된다. 상기 ACIR은 상기 공격 시스템과 주파수 축상에서 점차 멀어질수록 ACIR 2의 값, ACIR 3의 값으로 줄어들게 된다. 상기 ACIR 3는 주파수 축상에서 여러 대역으로 넓게 퍼져 있다.
상기 ACIR 값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pct00016
위의 표 1에서 상기 X는 시뮬레이션에 대한 스텝 사이즈이다(예, X=..,-10,-5, 0, 5, 10,..[dB]).
한편,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과 희생 시스템의 대역폭이 동일한 제1 및 제2 시나리오에 따라 ACIR의 값은 아래의 표 2에서 나타난 업링크 ACIR값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17
도 8은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 보다 희생 시스템의 대역폭이 더 큰 제3 시나리오에서, 희생 시스템의 업링크가 간섭받는 것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을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희생 시스템(또는 2차 시스템)의 대역폭은 3.84MHz이고,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은 2.88 MHz(2.88 MHz = 180 kHz x 16 RBs)이다. 상기 희생 시스템은 UTRA 시스템, 즉 WCDMA 시스템이다.
도 8(a)을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시스템이 주파수 축상에서 보호 대역이 없이 서로 인접한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에, 공격 시스템(또는 1차 시스템)(즉, UE 또는 CPE)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송신은 불필요하게 인접한 2개의 채널로 방사되어, 인접한 희생 시스템(또는 2차 시스템) (즉, 인접 셀 내의 UE 또는 CPE)은 업링크에 간섭의 영향을 받게 된다. 즉, 희생 시스템의 채널 대역폭은 ACIR1 및 ACIR2의 영향을 받게 된다.
아울러, 도 8(b)를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이 희생 시스템의 대역폭과 16RB(즉, 2.88MHz)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공격 시스템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희생 시스템은 ACIR 2와 ACIR 3에 의해서 간섭을 받게 된다.
아울러, 도 8(c)를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이 희생 시스템의 대역폭과 32RB(즉, 5.76MHz)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공격 시스템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희생 시스템은 ACIR 3에 의해서 간섭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들에 있어서, ACIR의 값들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 4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18
도 9은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 보다 희생 시스템의 대역폭이 작은 제4 시나리오에서, 희생 시스템의 업링크가 간섭받는 것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8(c)을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희생 시스템의 대역폭은 1.28MHz이고,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은 2.88 MHz(2.88 MHz = 180 kHz x 16 RBs)이다. 상기 희생 시스템은 UTRA 시스템, 즉 WCDMA 시스템이다.
먼저, 도 9(a)을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시스템이 주파수 축상에서 보호 대역이 없이 서로 인접한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에, 공격 시스템(즉, UE 또는 CPE)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송신은 불필요하게 인접한 2개의 채널로 방사되어, 인접 시스템(즉, 인접 셀 내의 UE 또는 CPE)은 업링크에 간섭의 영향을 받게 된다. 즉, 희생 시스템의 채널 대역폭은 ACIR1의 일부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아울러, 도 9(b)를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이 희생 시스템의 대역폭과 16RB(즉, 2.88MHz)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공격 시스템(즉, UE 또는 CPE)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희생 시스템(즉, 인접 셀 내의 UE 또는 CPE)은 ACIR 2의 일부에 의해서 간섭을 받게 된다.
아울러, 도 9(c)를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이 희생 시스템의 대역폭과 32RB(즉, 5.76MHz)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공격 시스템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희생 시스템은 ACIR 3의 일부에 의해서 간섭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들에 있어서, ACIR의 값들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 5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19
이상에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언급한 시나리오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20
이상에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공격 시스템과 희생 시스템이 주파수 축상에서 바로 인접하거나 혹은 16RB 떨어져 있거나, 혹은 32RB 이상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공격 시스템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희생 시스템이 간섭을 겪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한 설명들은 공격 시스템과 희생 시스템이 표 1 내의 동일한 동작 대역(예컨대, 동작 대역 18) 내에서 주파수 축상에서 서로 인접하거나 혹은 16RB 떨어져 있거나, 혹은 32RB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ACIR의 값들을 정의하였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한 설명들은 공격 시스템이 표 1 내의 동작 대역 18(815 MHz-830 MHz)을 사용하고, 희생 시스템이 동작 대역 19(830 MHz-845 MHz)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두 시스템이 사용하는 동작 대역들간에 보호 대역 없는 경우에 대하여, ACIR 값들을 정의하였다.
그러나, 표 1의 동작 대역 13(777 MHz-787 MHz)과 동작 대역 14(788 MHz-798 MHz)에서와 같이, 보호 대역 1MHz가 존재하는 경우, 전술한 ACIR 값들은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보호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정확한 ACIR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보호 대역을 고려한 새로운 ACIR 모델링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두 시스템이 사용하는 동작 대역들 간에 보호 대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정확한 ACIR 값을 제시하기로 한다.
도 10은 공격 시스템과 희생 시스템 간에 보호 대역이 있는 시나리오에서, 희생 시스템의 업링크가 간섭받는 것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격 시스템이 표 1에 나타난 동작 대역 13을 사용하고, 희생 시스템이 표 1에 나타난 동작 대역 14를 사용하는 경우, 공격 시스템과 희생 시스템의 동작 대역 간에는 보호 대역 1MHz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시나리오는 다음의 표 7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21
따라서, 새로운 ACIR 값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다만, 도 10에서는 동작 대역 간에 보호 대역 1MHz가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두 시스템의 동작 대역들 간에 보호 대역 1MHz가 존재하는 경우 뿐만이 아니라, 두 시스템의 동작 대역들이 서로 16RB의 정수 배로 인접하지 않은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0(a)을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격 시스템(즉, UE 또는 CPE)이 업링크를 위해 표 1에 나타난 동작 대역 13을 사용하고, 희생 시스템이 업링크를 위해 표 1에 나타난 동작 대역 14를 사용하는 경우, 공격 시스템과 희생 시스템의 동작 대역 간에는 보호 대역 1MHz가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격 시스템(즉, UE 또는 CPE)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송신은 불필요하게 인접한 2개의 채널로 방사되어, 인접한 희생 시스템(즉, 인접 셀 내의 UE 또는 CPE)은 업링크에 간섭의 영향을 받게 된다. 즉, 희생 시스템의 채널 대역폭은 ACIR1의 일부와 ACIR2의 일부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인접한 희생 시스템이 받는 ACIR의 값은 상기 ACIR 1의 일부와 상기 ACIR2의 일부에 해당하며, 31.7dB이다. 이는, 아래의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22
한편, 도 10(b)를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이 보호 대역과 16RB(즉, 2.88MHz)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공격 시스템(즉, UE 또는 CPE)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희생 시스템(즉, 인접 셀 내의 UE 또는 CPE)은 업링크에 ACIR 2의 값만큼 간섭을 받게 된다. 상기 인접한 희생 시스템이 받는 ACIR의 값은 43dB이다. 이는, 아래의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23
한편, 도 10(c)를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격 시스템의 대역폭이 보호 대역과 32RB(즉, 5.76MHz)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공격 시스템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희생 시스템은 ACIR 2의 값만큼 간섭을 받게 된다. 상기 인접한 희생 시스템이 받는 ACIR의 값은 43dB이다. 이는, 아래의 수학식 3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24
위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25
한편, 위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은 아래의 수학식 4로 일반화될 수 있다.
Figure pct00026
여기서 상기 k는 k번째 ACLR값을 나타내는 상수이고, BW16RB는 16RB에 해당하는 대역폭이고, BWguard는 보호 대역의 대역폭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격 시스템(또는 1차 시스템)은 인접 시스템에게 ACIR만큼 간섭을 주게 된다. 따라서, 공격 시스템의 송신기, 예컨대 단말 또는 UE(또는 CPE)는 신호를 송신할 때, 표 8에 나타난 상기 ACIR의 값을 넘지 않는 전력 또는 수학식 4에 의해서 산출되는 ACIR의 값을 넘지 않는 전력으로 송신하도록, 제어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은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가 단독으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를 읽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바, 이하 그 조합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설명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서 배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따른 UE(100) 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E(100)은 컨트롤러(101)와 송수신부(102)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101)은 상기 송수신부(102)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101)은 상기 송수신부들(102)가 신호를 송신할 때, 표 8에 나타난 상기 ACIR의 값을 넘지 않는 전력 또는 수학식 4에 의해서 산출되는 ACIR의 값을 넘지 않는 전력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단말로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인접 셀 내의 단말이 사용하는 업링크 대역과 연속하지 않게 일정 대역만큼 이격된 업링크 대역에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때, ACIR(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Ration)의 값은 상기 일정 대역과의 오프셋에 따라 아래의 테이블의 값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Figure pct00027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LTE-A 단말 또는 E-UTRA 단말이고,
    상기 인접 셀 내의 단말은 LTE 단말 또는 LTE-A 단말 또는 UTRA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대역은 보호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대역은 1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전송되는 업링크 대역은 777 MHz 내지 787 MHz 내의 대역이고,
    상기 인접 셀 내의 단말이 이용하는 업링크 대역은 788 MHz 내지 798 MHz 내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값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서 산출되고,
    Figure pct00028

    여기서 상기 k는 k번째 ACLR값을 나타내는 상수이고, BW16RB는 16개의 리소스 블록의 대역폭 크기, BWguard는 보호 대역의 대역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단말로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인접 셀 내의 단말이 사용하는 업링크 대역과 연속하지 않게 일정 대역만큼 이격된 업링크 대역에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때, ACIR(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Ration)의 값은 상기 일정 대역과의 오프셋 k에 따라 수학식에 의해서 산출되는 값으로 제한되고,
    Figure pct00029

    여기서 상기 k는 k번째 ACLR값을 나타내는 상수이고, BW16RB는 16개의 리소스 블록의 대역폭 크기, BWguard는 보호 대역의 대역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LTE-A이 단말 또는 E-UTRA 단말이고,
    상기 인접 셀 내의 단말은 LTE 단말 또는 LTE-A 단말 또는 UTRA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대역은 보호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대역은 1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전송되는 업링크 대역은 777 MHz 내지 787 MHz 내의 대역이고,상기 인접 셀 내의 단말이 이용하는 업링크 대역은 788 MHz 내지 798 MHz 내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에 의해서 계산되는 값은 아래의 테이블
    Figure pct00030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27034119A 2010-06-29 2011-06-29 인접 채널 간섭 비율에 따라 송신 전력이 제한되는 단말 KR101409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935110P 2010-06-29 2010-06-29
US61/359,351 2010-06-29
PCT/KR2011/004751 WO2012002728A2 (ko) 2010-06-29 2011-06-29 인접 채널 간섭 비율에 따라 송신 전력이 제한되는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838A true KR20130041838A (ko) 2013-04-25
KR101409108B1 KR101409108B1 (ko) 2014-06-17

Family

ID=4540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119A KR101409108B1 (ko) 2010-06-29 2011-06-29 인접 채널 간섭 비율에 따라 송신 전력이 제한되는 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31003B2 (ko)
KR (1) KR101409108B1 (ko)
WO (1) WO20120027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7804B2 (en) 2011-06-21 2015-09-15 Media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fferent TDD configurations in carrier aggregation
KR20140146593A (ko) * 2012-05-16 2014-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소된 전송 리소스 블록과 전력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무신 기기 및 기지국
US9088356B2 (en) * 2012-11-02 2015-07-21 Alcatel Lucent Translating between testing requirements at different reference poin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1243B2 (en) * 2001-11-08 2005-05-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27031B1 (ko) * 2006-03-31 2009-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13987A (ko) *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통신에서 보호대역 결정 방법 및 장치
US8891350B2 (en) * 2008-07-07 2014-11-18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data transmission over guard sub-carriers in multi-carrier OFDM systems
KR20110057135A (ko) * 2008-08-11 2011-05-3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유저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US7808312B2 (en) * 2008-10-31 2010-10-05 Micro Mobio Corporation Broadband RF linear amplifier
US20100113050A1 (en) * 2008-11-03 2010-05-06 Fang-Chen Cheng Carrier aggregation for optimizing spectrum utilization
US8213537B2 (en) * 2009-01-23 2012-07-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purious emissions resulting from carrier leakage
EP2462756B1 (en) * 2009-08-03 2013-12-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educing interference from dominant interfering neighboring base stations
US8804586B2 (en) * 2010-01-11 2014-08-12 Blackberry Limited Control channel interference management and extended PDCCH for heterogeneous network
US8446872B2 (en) * 2010-06-18 2013-05-21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frequency allo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2728A3 (ko) 2012-05-03
KR101409108B1 (ko) 2014-06-17
WO2012002728A2 (ko) 2012-01-05
US20130100891A1 (en) 2013-04-25
US9031003B2 (en) 201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19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by terminal supporting dual-connectivity between E-UTRA and NR and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KR102514446B1 (ko) 측정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JP6946311B2 (ja) アップリンク(ul)狭帯域インターネット・オブ・シングス(nb−iot)のためのパイロット設計
US8855080B2 (en) Method, device, and data frame for spectrum sensing
US10313094B2 (en) Terminal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cellular communication and D2D communication
KR20190097171A (ko)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352508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and prose signal
WO201312983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36173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by aggregating two uplink carriers
CN104350777A (zh) 无线基站、用户终端、无线通信系统以及干扰估计方法
KR102099821B1 (ko) 매크로셀과 소규모셀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단말이 소규모셀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US20160029321A1 (en) Interference-removed reception method and terminal
KR20150082213A (ko) 간섭 제거 수신 방법 및 단말
KR101449373B1 (ko) 스퓨리어스 방사를 최소화하기 위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사용자 장치
KR20150035570A (ko) 매크로셀과 소규모셀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단말이 소규모셀을 검출하는 방법
WO20180364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ed ofdm
KR101409108B1 (ko) 인접 채널 간섭 비율에 따라 송신 전력이 제한되는 단말
US10334600B2 (en) Studies about MSD level in band 46
US20170310381A1 (en) Terminal using frequency band of mobile satellite service for lte/lte-a
KR20150013444A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abs 구간 추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47456B2 (en) Method for limiting spurious emission and user equipment performing the method
US1020617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IRC receiver selectively by a user equipment
KR102448867B1 (ko) 풀-듀플렉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비동기 환경을 고려한 자기 간섭 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064087B2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ption method
KR20220163273A (ko) 동일 대역 전이중 통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