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723A -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723A
KR20130041723A KR1020120072494A KR20120072494A KR20130041723A KR 20130041723 A KR20130041723 A KR 20130041723A KR 1020120072494 A KR1020120072494 A KR 1020120072494A KR 20120072494 A KR20120072494 A KR 20120072494A KR 20130041723 A KR20130041723 A KR 20130041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ignal
pulse width
mcu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ublication of KR2013004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어셈블리(Rear Combination Lamp assembly, RCL)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통합 제어하여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어셈블리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동등,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와, 상기 제동등, 상기 방향지시등 및 상기 후진등을 각각 제어하는 제동등 제어신호, 방향지시등 제어신호 및 후진등 제어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제어신호를 상기 제동등, 상기 방향지시등 및 상기 후진등의 사양에 대응하도록 펄스폭 변조회로 및 부스팅 회로를 통해 변환하여 구동회로로 제공하여 상기 제동등, 상기 방향지시등 및 상기 후진등을 각각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펄스폭 변조회로, 상기 부스팅 회로 및 상기 구동회로가 시스템 IC 내에 내장되어 구현된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각 램프의 사양에 맞게 변환하는 제어부를 시스템 IC로 통합함으로써 각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단순화시켜 제품 원가를 낮추고 동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APPRATUS FOR CONTROLLING REAR COMBINATION LAMP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어셈블리(Rear Combination Lamp assembly, RCL)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통합 제어하여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어셈블리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방 양측에는 차량의 위치 및 주행 상황(방향 전환, 후진 등)을 표시하기 위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ear Combination Lamp)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주행시 차량을 주행할 때에 후행 차량에게 선행 차량의 존재를 인식시키기 위하여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점등되거나 혹은 점멸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차량 주행중 제동을 위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점등되는 제동등(1)과, 차량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방향지시등(2)과, 변속레버를 후진 위치로 이동시킬 때 점등되는 후진등(3)을 포함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장치는 각 스위치(11, 12, 13)로부터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동등(1), 방향지시등(2) 및 후진등(3)을 각각 제어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어부(21, 22, 23)를 포함한다.
제동등 제어부(21)는 제동등 스위치(11)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변환하여 제동등(1)으로 출력하고, 방향지시등 제어부(22)는 방향지시등 스위치(12)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변환하여 방향지시등(2)으로 출력하며, 후진등 제어부(23)는 후진등 스위치(13)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변환하여 후진등(3)으로 출력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장치는 각각의 등(1, 2, 3)을 제어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각 스위치(11, 12, 13)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등(1, 2, 3)의 사양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각각의 등(1, 2, 3)으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장치는 각 램프에 대응되는 복수의 스위치로부터 각 램프의 요구 사양에 따른 다양한 제어신호를 독립적으로 입력받아 변환하기 위하여 각 램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부(전구 타입인 경우 직구동 장치)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그 구조가 복잡해져 제품 원가가 증가하고 동작성능이 저하되며, 또한 복수의 제어부를 어셈블리 내에 설치해야 함에 따라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어셈블리의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문헌1] KR 10-0506706 B1, 2005. 07. 29. 3-9쪽 [문헌2] KR 10-0783906 B1, 2007. 12. 03. 3-4쪽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각 램프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단순화시켜 제품 원가를 낮추고 동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램프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각 램프의 사양에 맞게 변환하는 제어부를 시스템 IC로 통합하여 어셈블리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램프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각 램프의 사양에 맞게 변환하는 제어부를 시스템 IC로 통합하고, 그 내부에 MCU(Main Control Unit)를 구현하여 고객의 사양 변화 및 요구사항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후진등 및 통합 제어 모듈을 가지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 모듈은 상기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의 작동에 필요한 전압과 펄스폭 값이 저장된 동작값 테이블과, 상기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동작값 테이블에 저장된 전압과 펄스폭 값을 선택하는 MCU(Main Control Unit)와, 상기 MCU에서 선택된 전압으로 제어 신호를 승압하는 부스트 회로와, 상기 MCU에서 선택된 펄스폭 값으로 제어 신호를 변조하는 펄스폭 변조회로와, 상기 부스트 회로와 상기 펄스폭 변조회로에 의해 전압과 펄스폭 값이 변환된 제어 신호를 상기 MCU에 의해 제어 대상으로 인식된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가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각각의 스위치가 서로 별개의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의 제어 신호는 크기가 서로 동일한 하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CU는 상기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을 제어하는 각각의 스위치로부터 전송된 두 개의 라인에 의해 서로 전압이 상이한 제어 신호의 전압차를 통해 해당 제어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MCU는 MCU 린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MCU는 상기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을 제어하는 각각의 스위치에 구비된 서로 상이한 린 아이디를 갖는 스위치 린 통신 모듈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의 린 아이디로 상기 제어 신호를 인식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을 제어하는 각각의 스위치는 케이-라인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MCU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동작값 테이블에 저장된 전압과 펄스폭 값을 변경하는 사양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각 램프의 사양에 맞게 변환하는 제어부를 시스템 IC로 통합함으로써 각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단순화시켜 제품 원가를 낮추고 동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각 램프의 사양에 맞게 변환하는 제어부를 시스템 IC로 통합함으로써 어셈블리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각 램프의 사양에 맞게 변환하는 제어부를 시스템 IC로 통합하고, 그 내부에 MCU(Main Control Unit)를 구현하여 고객의 사양 변화 및 요구사항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 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차량은 차량 주행과 관련된 자신의 의사를 모든 타 차량 등 교통 관계자들에게 명확히 표시(전달)하기 위한 의사표시 수단으로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구비한다.
상기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등화의 점등 또는 점멸로서 전달하며 이를 위하여 후면 양측에 미등 및 제동등(1), 방향지시등(2) 및 후진등(3)을 포함한다. 이러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조 및 형상은 차량의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구성하는 각 램프로 LED 램프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LED 램프는 저전력 발광소자로서 다양한 형상표현을 위해 3색 발광 다이오드를 다수 개로 배열하여 각 등(1, 2, 3)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들은 LED 구동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는 각 등(1, 2, 3)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위치(31, 32, 33)로부터 단순 제어신호, 예를 들면 하이(HIGH)신호 또는 로우(LOW)신호를 입력받아 각 등(1, 2, 3)의 사양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합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제어부(40)는 LED 구동회로, 부스팅 회로, 펄스폭 변조회로가 하나 칩으로 구현된 시스템 IC로서, 상기 시스템 IC는 다양한 기능을 집약한 시스템을 하나의 칩으로 구현한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와 더불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경박단소하여 모바일 기기, 디지털 가전, 자동차, 첨단의료 기기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 IC는 시스템 온칩(Systemp on Chip, SoC), 시스템 인 패키지(System In Package, SIP), 마이크로 시스템을 포함한다.
통합 제어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등 스위치(31), 방향지시등 스위치(32) 또는 후진등 스위치(33)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하이신호 또는 로우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신호를 구동하고자 하는 램프의 사양에 따라 펄스폭 변조회로를 통해 변조한 후 부스팅 회로를 통해 일정 레벨로 승압시켜 LED 구동회로를 통해 각 램프로 출력한다. 각 램프, 즉 제동등(1), 방향지시등(2) 또는 후진등(3)은 LED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의해 응답하여 점등 또는 점멸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는 통합 제어 모듈부(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통합 제어 모듈부(50)는 전원부(51), 제어부(52) 및 신호입력부(53)를 포함한다.
제어부(52)는 전원부(5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고, 도 3에 도시된 통합 제어부(40)와 마찬가지로 LED 구동회로, 부스팅 회로, 펄스폭 변조회로가 내장된 시스템 IC로서, 고객의 사양 변화 및 요구사항(출력값 및 시간)에 적극 대응하기 위하여 MCU(Main Control Unit)가 추가로 내장되어 있다. 상기 MCU에는 사양 설정부(60)를 통해 고객의 사양 변화 및 요구사항이 입력되게 되며, 입력된 고객의 사양 변화 및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제동등(1), 방향지시등(2) 및 후진등(3)의 동작(점등시간, 점멸시간 등)은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서, MCU는 내부에 제동등(1)과 방향지시등(2) 및 후진등(3)의 작동에 필요한 동작값 테이블을 포함하며, MCU는 각 스위치(31, 32, 3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하이신호, 예를 들어 13볼트 또는 5볼트)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동작값을 동작값 테이블에서 선택한다.
동작값 테이블은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의 작동에 필요한 동작값을 각각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동등 동작값과 방향지시등 동작값 및 후진등 동작값 각각에 대한 전압과 펄스폭 값이 저장된다.
MCU는 각 스위치(31, 32, 3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하이신호 또는 로우신호)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동작값을 동작값 테이블에서 선택하고, 해당 동작값을 부스팅 회로와 펄스폭 변조 회로에 제공한다. 또한, 부스팅 회로와 펄스폭 변조 회로는 제공된 동작값에 따라 제어 신호의 전압과 펄스폭 값을 변환하여 LED 구동회로에 인가하여 제동등(1)과 방향지시등(2) 및 후진등(3) 중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이 인식한 신호에 대응되는 등이 점등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는 각 스위치(31, 32, 33)에서 단순히 하이 신호 또는 로우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MCU에 저장된 동작값에 따라 각 스위치(31, 32, 33)에 대응되는 등(1, 2, 3)이 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외부의 입력 신호를 단순화시킴으로서 차량 제어장치의 원가절감 및 부품의 간소화를 실현시켜 전체 차량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본 실시예는 제동등 스위치(31)와 방향지시등 스위치(32) 및 후진등 스위치(33) 각각이 배선에 의해 통합 제어부(40)와 접속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린(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통신, 케이-라인(K-LINE) 통신 등을 이용하여 제동등 스위치(31)와 방향지시등 스위치(32) 및 후진등 스위치(33)가 하나 또는 두 개의 네트워크 라인에 의해 통합 제어부(40)와 접속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동등 스위치(310)와 방향지시등 스위치(320) 및 후진등 스위치(33)를 작동시켰을 때 발생되는 신호의 패턴은 서로 상이해야 하며, 이와 같이 상이한 신호를 통합 제어부(40)가 입력받아 해당 신호가 제동등, 방향지시등, 후진등 중 어떠한 등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캔 통신을 이용할 경우, 두 개의 네트워크 라인에 의해 통합 제어부(40)와 각 스위치(31, 32, 33)가 접속된다. 또한, 두 개의 라인에는 각각 전압이 상이한 CANH 신호와 CANL 신호가 스위치(31, 32, 33)에 의해 전송되며, 이 전압의 차이를 통해 MCU는 각 스위치(31, 32, 33)를 인식하여 해당하는 등(1, 2, 3)을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린 통신의 경우, 한 개의 네트워크 라인에 의해 통합 제어부(40)와 각 스위치(31, 32, 33)가 접속된다. 이때, 각 스위치(31, 32, 33)와 통합 제어부(40)는 린통신을 위한 린 통신 모듈이 각각 구배되며, 각 통신 모듈은 린 통신을 위한 임의의 린 아이디(LIN ID)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스위치(31, 32, 33)의 린 통신 모듈과 통합 제어부(40)의 린 통신 모듈은 캔 통신에 의해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케이-라인 통신의 경우, 각 스위치(31, 32, 33)와 통합 제어부(40)가 케이-라인 인터페이스에 의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4를 결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통합 제어 모듈부(50)는 신호 입력부(53)를 통해 제동등 스위치(31), 방향지시등 스위치(32) 또는 후진등 스위치(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하이신호 또는 로우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52)로 제공한다.
제어부(52)는 신호 입력부(53)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분석한다(S51). 이때, 신호의 분석은 제동등 스위치(31)와 방향지시등 스위치(32) 및 후진등 스위치(33)가 각각의 배선에 의해 신호 입력부(53)와 접속되어 있다면, 세 개 배선의 신호 유무에 따라 어떤 스위치에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물론,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통신, 린(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통신, 케이-라인(K-LINE)통신 등을 이용하여 제동등 스위치(31)와 방향지시등 스위치(32) 및 후진등 스위치(33)가 하나 또는 두 개의 네트워크 라인에 의해 통합 제어부(40)와 접속될 경우, 세 개의 스위치(31, 32, 33)에서 보내진 서로 상이한 신호 패턴에 따라 어떠한 스위치에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분석결과, 신호가 제동등 제어신호인 경우 펄스폭 변조회로 및 부스팅 회로를 통해 제동등(1)의 동작 사양이 저장된 동작값 테이블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LED 구동회로로 제공하고, LED 구동회로는 입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제동등(1)의 동작을 제어한다(S52, S55).
한편, 분석결과, 신호가 방향지시등 제어신호인 경우 펄스폭 변조회로 및 부스팅 회로를 통해 방향지시등(2)의 동작 사양이 저장된 동작값 테이블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LED 구동회로로 제공하고, LED 구동회로는 입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방향지시등(1)의 동작을 제어한다(S53, S56).
한편, 분석결과, 신호가 후진등 제어신호인 경우 펄스폭 변조회로 및 부스팅 회로를 통해 후진등(3)의 동작 사양이 저장된 동작값 테이블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LED 구동회로로 제공하고, LED 구동회로는 입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후진등(1)의 동작을 제어한다(S54, S5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스위치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내부에 구비된 통합 제어부 또는 통합 제어 모듈부가 판단하여 해당 스위치에 대응하는 등을 작동시킴으로써, 특정 등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스위치에서 미리 제어 신호를 변환하여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방향지시등의 경우 릴레이와 같은 등의 점멸 동작을 위한 부품 등을 생략할 수 있으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내부에 등의 제어를 위한 통합 제어부 또는 통합 제어 모듈부를 내장시켜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예를 들어, 자동차 생산 업체) 필요에 따라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구비된 등의 동작(예를 들어, 방향지시등의 점멸 시간 간격, 제동등의 밟기 등)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동작값 테이블 값을 언제라도 변경(차량 생산 단계, 차량 판매 후)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을 교환하는 등의 추가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 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 되어야 한다.
1 : 제동등
2 : 방향지시등
3 : 후진등
11, 31 : 제동등 스위치
12, 32 : 방향지시등 스위치
13, 33 : 후진등 스위치
21 : 제동등 제어부
22 : 방향지시등 제어부
23 : 후진등 제어부
40, 52 : 통합 제어부
50 : 통합 제어 모듈부
51 : 전원부
53 : 신호 입력부
60 : 사양 설정부

Claims (6)

  1.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후진등 및 통합 제어 모듈을 가지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 모듈은 상기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의 작동에 필요한 전압과 펄스폭 값이 저장된 동작값 테이블과, 상기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동작값 테이블에 저장된 전압과 펄스폭 값을 선택하는 MCU(Main Control Unit)와, 상기 MCU에서 선택된 전압으로 제어 신호를 승압하는 부스트 회로와, 상기 MCU에서 선택된 펄스폭 값으로 제어 신호를 변조하는 펄스폭 변조회로와, 상기 부스트 회로와 상기 펄스폭 변조회로에 의해 전압과 펄스폭 값이 변환된 제어 신호를 상기 MCU에 의해 제어 대상으로 인식된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가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의 제어 신호는 크기가 서로 동일한 하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을 제어하는 각각의 스위치로부터 전송된 두 개의 라인에 의해 서로 전압이 상이한 제어 신호의 전압차를 통해 해당 제어 신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CU는 MCU 린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MCU는 상기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을 제어하는 각각의 스위치에 구비된 서로 상이한 린 아이디를 갖는 스위치 린 통신 모듈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의 린 아이디로 상기 제어 신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과 방향지시등 및 후진등을 제어하는 각각의 스위치는 케이-라인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MCU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값 테이블에 저장된 전압과 펄스폭 값을 변경하는 사양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
KR1020120072494A 2011-10-17 2012-07-03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 KR201300417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5805 2011-10-17
KR1020110105805 2011-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723A true KR20130041723A (ko) 2013-04-25

Family

ID=4844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494A KR20130041723A (ko) 2011-10-17 2012-07-03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17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744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리어 램프 제어 방법
KR20220062692A (ko) * 2016-09-29 2022-05-17 이에스에스-헬프, 아이엔씨. 차량 비상 라이트를 위한 개선된 통신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692A (ko) * 2016-09-29 2022-05-17 이에스에스-헬프, 아이엔씨. 차량 비상 라이트를 위한 개선된 통신 시스템
KR20190078744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리어 램프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4638B2 (en)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KR102360132B1 (ko)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694099B1 (en) LED driver device
US8588997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ehicle lights
US8970112B2 (en) Actuation device for a ligh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WO2006044625A3 (en) Vehicular flasher unit having selectable flasher schemes illuminated with pulse width modulated signals
US11938862B2 (en) Remote vehicle hazard and communication beacon
EP2722226A1 (en) Light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 lamp
CN105101529A (zh) 用于车辆显示器照明的led驱动器
US9889795B1 (en)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warning devices mounted on a vehicle to provide warning signals
CA3038796A1 (en)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CN108307554B (zh) 一种基于蓝牙组网的灯带音频同步系统及方法
EP3357762B1 (en) Wire harness for vehicle
KR20130041723A (ko)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
JP6704097B1 (ja) 自動車用led照明モジュール
KR101258064B1 (ko)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지능형 통합 제어장치
CN211671016U (zh) 一种集成车内灯光控制的智能前顶灯模块及系统
KR20100084695A (ko) Led 온보드 전원 시스템
JP2014103078A (ja) 車両用led調光回路
KR20110038260A (ko)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CN216600137U (zh) 可变色的双针车灯
KR20180083617A (ko) 차량용 등화 통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59547B1 (ko) 자동차 변속레버 표시장치의 순간점등 시스템
CN206644726U (zh) 一种汽车室内灯控系统
KR20230067875A (ko) 안전 운행을 위한 자동차 브레이크등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