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968A -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 Google Patents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968A
KR20130040968A KR1020130018312A KR20130018312A KR20130040968A KR 20130040968 A KR20130040968 A KR 20130040968A KR 1020130018312 A KR1020130018312 A KR 1020130018312A KR 20130018312 A KR20130018312 A KR 20130018312A KR 20130040968 A KR20130040968 A KR 20130040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device
case
user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여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바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바코
Priority to KR102013001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0968A/ko
Publication of KR2013004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흡입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흡입 장치 케이스; 및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선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부재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에 의하면, 모듈화된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각각이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의 고장 등 교체 필요성이 있는 경우,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각각이 포함되어 있는 흡입 장치 케이스 자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각각만 간편하게 교체하면 되므로,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각각과 함께 흡입 장치 케이스에 함께 포함되어 있는 다른 구성 요소들의 불필요한 교체가 방지될 수 있으므로,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각각의 교체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그러한 교체 시의 자원 절약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Inhaling apparatus and inhaling detecting sensor, selecting member and vaporizing member applied in the inha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에 관한 것이다.
흡입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인체에 흡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흡입 장치에 수용되는 흡입 대상물의 형태로는, 고체, 액체는 물론 기체도 포함된다. 고체와 액체 형태의 흡입 대상물은 고체와 액체 그 자체 형태로 흡입될 수도 있고, 기체화(gasification) 등을 거쳐 기체 형태로 변화된 후 흡입될 수도 있다. 기체 형태의 흡입 대상물은 압축된 형태로 흡입 장치 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팽창 후 흡입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대상물로는 니코틴 액, 건강 보조 성분이 함유된 액체 등이 제시될 수 있다. 대표적인 흡입 장치로는 내부에 니코틴 액을 수용한 전자 담배가 있다.
최근 금연 보조용으로 담배 잎 가루를 종이로 말아놓은 실제 담배와 유사한 전자 담배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다.
사용자가 실제 담배를 피울 때처럼 전자 담배를 입에 물고 흡입을 하게 되면, 전자 담배의 노출된 말단에서는 실제 담배에서 발생되는 불꽃과 유사한 불빛이 발생되고, 전자 담배의 사용자 입 내부의 말단에서는 실제 담배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유사한 연기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담배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실제 담배를 피우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자 담배는 신체에 해로운 타르를 함유하지 아니하고, 담배의 유효 성분인 니코틴만 함유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담배 사용의 만족감을 주면서도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해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담배는 다수 개의 분할 부재로 분할되고, 그 부재 중 제일 앞쪽의 분할 부재 내에 발광 다이오드, 전기 공급 부재 및 회로 기판이 수용되고, 그 다음 분할 부재 내에 연기 제조 장치가 수용되며, 그 다음 분할 부재 내에 니코틴 액을 함유한 필터가 수용된다.
상기 연기 제조 장치는 필터와 접촉되어 필터로부터 니코틴 액이 스며드는 액체 유도체와, 그 액체 유도체에 스며든 니코틴 액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 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화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회로 기판이 설치된 분할 부재에 선택 부재 관통 홀이 형성되고, 그 선택 부재 관통 홀을 통해 승강될 수 있고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조작 버튼 등의 선택 부재가 설치된다.
종래의 전자 담배를 포함한 흡입 장치에서는, 다른 구성 요소들에 비해 흡입 감지 센서, 기화 부재 등의 고장이 잦았는데, 이러한 흡입 감지 센서, 기화 부재 등이 흡입 장치의 케이스에 교체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흡입 감지 센서, 기화 부재 등의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도, 고장된 흡입 감지 센서, 기화 부재 등만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흡입 감지 센서, 기화 부재 등이 설치된 분할 부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분할 부재의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배터리 등의 불필요한 교체가 수반되어야 하므로, 교체 비용이 불필요하게 증대되고, 자원 낭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흡입 감지 센서, 기화 부재 등의 구성 요소 별로 교체가 가능한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흡입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흡입 장치 케이스; 및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선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부재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흡입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흡입 장치 케이스; 및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대상물을 기화시키는 기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 부재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택 부재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흡입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기화 부재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흡입 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흡입 대상물을 기화시키며,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에 의하면, 모듈화된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각각이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의 고장 등 교체 필요성이 있는 경우,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각각이 포함되어 있는 흡입 장치 케이스 자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각각만 간편하게 교체하면 되므로,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각각과 함께 흡입 장치 케이스에 함께 포함되어 있는 다른 구성 요소들의 불필요한 교체가 방지될 수 있으므로,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각각의 교체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그러한 교체 시의 자원 절약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입 감지 센서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입 감지 센서가 케이스에 결합 중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택 부재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택 부재가 케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화 부재가 결합된 삽입체가 케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화 부재가 분리된 삽입체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삽입체와 기화 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흡입 장치로 내부에 니코틴 액을 수용한 전자 담배(electronic cigarette) 방식의 장치가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이하에서 설명되는 흡입 장치 내에 수용되는 수용 액체로는 니코틴 액 대신 주사액, 건강 보조 성분이 함유된 액체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 액체가 흡입 장치 내에서 기화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아래의 발광 다이오드 등의 구성 요소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흡입 장치 내에 수용되는 흡입 대상물은 액체 형태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그러한 흡입 대상물은 액체 형태 이외에 고체 형태, 기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입 감지 센서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입 감지 센서가 케이스에 결합 중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100)는 흡입 장치 케이스와, 선택 부재(150)를 포함하고,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상기 흡입 장치(100)는 제 1 분할 부재(110)와, 제 2 분할 부재(12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흡입 대상 기체로 기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부재(110, 120)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분할 부재의 구성 갯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에는 발광 다이오드(113), 전기 공급 부재(115), 제어 부재(114) 및 흡입 감지 센서(17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 내에는 기화 부재(123), 액체 수용 부재(122) 및 뚜껑(125)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와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는 흡입 장치 케이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는 상기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분할된 형태를 이룰 수도 있고, 단일한 하나의 케이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는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 장치(100)의 작동 시, 예를 들어 상기 흡입 장치(100)를 사용자가 물고 흡입 시에, 상기 제어 부재(114)의 제어에 따라 붉은 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113)는 케이스(111) 전면의 전면 부재(112)에 형성된다.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는 상기 흡입 대상물이 사용자에게 흡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인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 상기 제어 부재(114), 상기 기화 부재(123) 등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폴리머 리튬 전지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부재(114)는 상기 흡입 장치(100)의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각종 회로가 형성된 부분이다. 이러한 제어 부재(114)는 선택 부재(150)에 의해 선택되거나,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에서 전달된 감지값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 상기 기화 부재(123) 등 상기 흡입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는 상기 흡입 감지 케이스 내의 기류 흐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말단부를 입으로 물고 흡입을 할 때, 그러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흡입 장치(100)를 통한 흡입 여부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는 다음의 다양한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아래에 제시된 방식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첫째, 사용자의 흡입에 의해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과 사용자의 외력 등에 의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흔들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흡입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이 있다.
둘째, 사용자의 흡입에 의해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당겨지는 고무 등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피당김막과, 상기 피당김막 상에 놓이는 자석과, 상기 피당김막의 당김에 따른 상기 자석의 이동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흡입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이 있다.
셋째, 사용자의 흡입에 의해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 접점과,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 접점이 접할 수 있는 고정 접점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흡입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으로 부압 형성부(116)에 형성되는 부압 등이 제시될 수 있고, 그러한 부압 외에 정압 등 다양한 형태의 압력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가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부재(114)는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 내의 액체가 기화되도록, 상기 기화 부재(123)를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가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세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는 모듈화되어, 자체적으로 교체 및 취급이 될 수 있고,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에는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가 설치되는 센서 설치 홀(117)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설치 홀(117)에 모듈화된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의 결합과 함께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는 상기 흡입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와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에서 상기 센서 설치 홀(117)의 전방에는 상기 제어 부재(114)가 설치된 상태이고, 상기 제어 부재(114) 중 상기 센서 설치 홀(117) 쪽 면에는 연결 전극(114a)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에도 상기 연결 전극(114a)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가 상기 센서 설치 홀(117)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 전극끼리 서로 닿아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연결 전극끼리의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케이스(111) 내주면, 즉 상기 센서 설치 홀(117)의 주변에는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의 삽입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가이드 홈(118)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의 몸체(171)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118)에 맞추어질 수 있는 가이드 돌기(17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가 상기 센서 설치 홀(117)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172)가 상기 가이드 홈(118)에 맞추어져 상기 가이드 홈(118)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연결 전극끼리 정확하게 맞추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는 흡입 감지를 위한 각종 회로 등 구성 요소들이 상기 몸체(171) 내부에 내삽된 형태를 이룸으로써, 모듈화된다.
상기와 같이, 모듈화된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가 상기 센서 설치 홀(117)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의 고장 등 교체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가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 자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만 간편하게 교체하면 되므로,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와 함께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에 함께 포함되어 있는 전기 공급 부재(115) 등 다른 구성 요소들의 불필요한 교체가 방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의 교체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그러한 교체 시의 자원 절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번호 140은 디스플레이 부재로서, 상기 흡입 장치(100)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상기 흡입 장치(100)의 온오프 여부, 작동 여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16b는 외기 도입 홀로서, 상기 제 1 분할 부재(110)의 케이스(111) 말단부를 구성하는 부압 형성부(116) 내의 공기가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상기 기화 부재(123)를 거치면서 기화된 흡입 대상물과 혼합되어,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케이스(121)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124)를 통해 상기 뚜껑(125)에 형성된 흡입 홀을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유출된다.
사용자가 흡입을 하면, 상기 부압 형성부(116) 내의 공기가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를 통해 사용자의 입 속으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부압 형성부(116)에 부압(負壓)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외기가 상기 부압 형성부(116)로 유입된다. 상기 부압 형성부(116)에 형성되는 부압을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가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 시에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상기 부압 형성부(116)로 도입되는 외기는 상기 기화 부재(123)에 의해 기화된 흡입 대상 기체인 니코틴과 함께 사용자에게 흡입된다.
상기 기화 부재(123)는 상기 제어 부재(114)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로부터 공급되는 니코틴 액 등 기화 대상체를 기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화 부재(123)로는 니크롬선 등 발열하는 방식으로 상기 기화 대상체를 기화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고, 초음파, 고주파 등을 이용하여 상기 기화 대상체를 기화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기화 부재(123)로는 가변 저항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화 부재(123)가 작동하면,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에서 전달된 니코틴 액이 기화될 수 있다. 상기 기화 부재(123)에 의해 기화된 니코틴은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뚜껑(125)을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유출된다.
상기 액체 수용 부재(122)는 내부에 니코틴 액이 액상으로 수용된 것으로, 그 내부에 수용된 니코틴 액을 상기 기화 부재(123)로 전달한다.
도면 번호 130은 부가 기능 구현 부재로서, 음향 입출력 기능, 영상 입출력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저장 기능 및 인터넷 연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부가 기능 구현 부재(130)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악 등의 음향을 입출력하는 음향 입출력 기능, 동영상, 사진 등을 입출력하는 영상 입출력 기능, 상기 흡입 감지 케이스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그 노출된 부분을 통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능,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 와이파이 통신망, 휴대폰 전파망 등 다양한 방식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기능,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기능, 인터넷 웹 등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 연결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번호 160은 충전 부재로서, 자체적으로 발전하거나,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충전 부재(160)가 자체적으로 발전하는 경우, 태양광, 램프 등의 인공 조명 등의 외부 광에 의해 발전할 수 있는 광 충전 방식, 진동에 의해 발전할 수 있는 진동 발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부재(160)가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되는 경우,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부재(160)의 발전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거나, 상기 기화 흡입 장치(100) 외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흡입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흡입 장치(100)를 입에 물고 흡입을 하면,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 부재(114)에 해당 감지값을 전달한다.
상세히,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면,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 케이스(121) 내부의 공기가 사용자의 입 속으로 유출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부압 형성부(116) 내의 공기도 유출되어, 상기 부압 형성부(116) 내에 부압이 형성된다. 상기 외기 도입 홀(116b)을 통해 소량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으로써, 사용자의 흡입 과정 동안, 상기 부압 형성부(116) 내에 지속적으로 부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부압 형성부(116) 내에 부압이 형성되면, 상기 흡입 감지 센서(170)가 사용자의 흡입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값을 전달받은 상기 제어 부재(114)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 및 상기 기화 부재(123)에 작동 명령을 전달하고, 그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113) 및 상기 기화 부재(123)는 상기 전기 공급 부재(115)의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발광 및 발열을 하게 된다.
상기 기화 부재(123)가 발열하면, 그 열에 의해 전달된 니코틴 액이 기화되어 연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기는 상기 제 2 분할 부재(120)의 뚜껑(125)을 통해 사용자의 입 내부로 유출된다.
상기와 같은 흡입 장치(100)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는 실제 담배를 피우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얻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택 부재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택 부재가 케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장치 케이스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선택 부재(270)가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선택 부재(270)로는 누름식 버튼, 터치식 화면 등 다양한 방식의 선택 부재가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 부재(270)는 모듈화되어, 자체적으로 교체 및 취급이 될 수 있고,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를 구성하는 제 1 분할 부재의 케이스(211)에는 상기 선택 부재(270)가 설치되는 선택 부재 설치 홀(211a)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 부재 설치 홀(211a)에 모듈화된 상기 선택 부재(270)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선택 부재(270)의 결합과 함께 상기 선택 부재(270)는 상기 흡입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와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전극 연결 등 이러한 통전을 위한 구조는 제 1 실시예에서 제시된 구조 등이 채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된다.
상기 케이스(211)에서 상기 선택 부재 설치 홀(211a) 주변에는 상기 선택 부재(270)의 삽입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가이드 홈(211b)이 형성되고, 상기 선택 부재(270)의 몸체(271)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211b)에 맞추어질 수 있는 가이드 돌기(272)가 형성된다.
상기 선택 부재(270)가 상기 선택 부재 설치 홀(211a)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272)가 상기 가이드 홈(211b)에 맞추어져 상기 가이드 홈(211b)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선택 부재(270)가 상기 선택 부재 설치 홀(211a)에 통전 가능하게 정확하게 맞추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선택 부재(270)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각종 회로 등 구성 요소들이 상기 몸체(271) 내부에 내삽된 형태를 이룸으로써, 모듈화된다.
도면 번호 273은 누름 버튼으로, 누름식인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듈화된 상기 선택 부재(270)가 상기 선택 부재 설치 홀(21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선택 부재(270)의 고장 등 교체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 부재(270)가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 1 분할 부재 자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상기 선택 부재(270)만 간편하게 교체하면 되므로, 상기 선택 부재(270)와 함께 상기 제 1 분할 부재에 함께 포함되어 있는 전기 공급 부재 등 다른 구성 요소들의 불필요한 교체가 방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선택 부재(270)의 교체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그러한 교체 시의 자원 절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화 부재가 결합된 삽입체가 케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화 부재가 분리된 삽입체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삽입체와 기화 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대상물을 기화시키는 기화 부재(323)가 모듈화되어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세히, 제 2 분할 부재의 케이스(3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제 1 분할 부재의 케이스 말단부에 삽입되는 삽입체(326)에 상기 기화 부재(32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체(326)가 상기 제 2 분할 부재의 케이스(3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제 1 분할 부재의 케이스에 상기 삽입체(326)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화 부재(323)는 상기 삽입체(326)에 끼워진 상태로 흡입 장치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분할 부재의 케이스(321)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체(326)가 상기 제 2 분할 부재의 케이스(32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삽입체(326)에 끼워진 상기 기화 부재(323)가 상기 제 2 분할 부재와 별도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체(326)에서 상기 기화 부재(323)가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상기 제 2 분할 부재의 케이스(321)에서 분리된 상기 삽입체(326)에서 상기 기화 부재(323)가 별도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삽입체(326)를 제외하고 상기 기화 부재(323)만 별도로 교체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에 의하면, 흡입 감지 센서, 기화 부재 등의 구성 요소 별로 교체가 가능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5)

  1.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흡입 장치에 있어서,
    흡입 장치 케이스; 및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선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부재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흡입 장치에 있어서,
    흡입 장치 케이스; 및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 대상물을 기화시키는 기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 부재는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분할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 장치는 복수 개의 상기 분할 부재 중 일 분할 부재에서 다른 분할 부재로 끼워지는 삽입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 부재는 상기 삽입체에 끼워져서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체가 상기 흡입 장치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다음 상기 삽입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4.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흡입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부재.
  5.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흡입 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흡입 대상물을 기화시키며, 흡입 장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 부재.
KR1020130018312A 2013-02-20 2013-02-20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KR20130040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312A KR20130040968A (ko) 2013-02-20 2013-02-20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312A KR20130040968A (ko) 2013-02-20 2013-02-20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974A Division KR20120128060A (ko) 2011-03-25 2011-05-16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368U Division KR20130005773U (ko) 2013-09-02 2013-09-02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968A true KR20130040968A (ko) 2013-04-24

Family

ID=4844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312A KR20130040968A (ko) 2013-02-20 2013-02-20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09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27913A (ja) * 2015-08-11 2018-09-27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子ベーピング装置用の電源セクション構成および電子ベーピン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27913A (ja) * 2015-08-11 2018-09-27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子ベーピング装置用の電源セクション構成および電子ベーピング装置
JP2021180666A (ja) * 2015-08-11 2021-11-2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子ベーピング装置用の電源セクション構成および電子ベーピング装置
US11400243B2 (en) 2015-08-11 2022-08-02 Altria Client Services Llc Power supply section configuration for an electronic vaping device and electronic vap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732Y1 (ko)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KR101250015B1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관절 부재와 굽힘 케이스
JP2023082144A (ja) エアロゾル送達装置のための取り外し可能な電源
CN116076805A (zh) 用于气溶胶递送装置的基于mems的传感器
KR101233985B1 (ko) 액체 기화 흡입형 전자담배
KR101326661B1 (ko) 액체 기화 흡입형 전자담배
CN115715600A (zh) 用于气溶胶递送设备的相机
CN108463126A (zh) 气溶胶递送设备的电容式感测输入设备
KR20120103351A (ko)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KR101256914B1 (ko) 액체 기화 흡입 장치
KR101162688B1 (ko) 기화 흡입 장치
US11246339B2 (en) Cantilevered operating button for an electronic vapor provision system
KR20120006582U (ko)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 및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
KR20120093046A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게임 제공 부재
KR101165772B1 (ko) 액체 기화 흡입 장치
KR20120128060A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KR101214363B1 (ko) 흡입 장치
KR101277178B1 (ko) 흡입 장치
KR101275191B1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선택 부재
KR20130040968A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KR20130005773U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KR101250017B1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음이온 발생 부재
KR101296158B1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오염 감지 센서 부재
KR20130005774U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및 기화 부재
KR20100011034U (ko) 액체 기화 흡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