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062A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062A
KR20130040062A KR1020110104817A KR20110104817A KR20130040062A KR 20130040062 A KR20130040062 A KR 20130040062A KR 1020110104817 A KR1020110104817 A KR 1020110104817A KR 20110104817 A KR20110104817 A KR 20110104817A KR 20130040062 A KR20130040062 A KR 20130040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robot cleaner
cleaner
shap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31952B1 (en
Inventor
백승민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952B1/en
Publication of KR2013004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0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33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having the operator tracking the vehicle either by direct line of sight or via one or more cameras located remotely from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PURPOSE: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orrectly sense a hand part of a user with a camera even in case the robot cleaner moves to predetermined direction. CONSTITUTION: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comprises: a step of sensing one of shape of a hand or movement when a part of the hand is sensed(S21); a step of extracting operation command about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based on one of shape or movement of the hand(S31); and a step of operating the robot cleaner based on the operation command(S40).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DD,GG,HH,MM) No; (CC,EE,FF,II,KKㅣㅣ) Yes; (NN) End; (S11) Sound inputted?; (S12) Designated command?; (S13) Stopping driving; (S14) Changing a camera to a closeup mode; (S21,S33) Gesture inputted?; (S22) Predetermined time passed?; (S31) Inputted gesture accords with the designated command?; (S32) Feeding back a recognized command; (S40) Executing the recognized command;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 명령을 추출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to a robot cleaner capable of extracting an operation command by detecting a shape and a movement of a user's hand par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의료용 로봇, 우주 항공 로봇 등이 개발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In general, robots have been developed for industrial use and have been a part of factory automation. In recent years, medical robots, aerospace robots,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and household robots that can be used in ordinary homes are being developed.

상기 가정용 로봇의 대표적인 예는 로봇 청소기로서,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주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하는 전자기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주행 중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장애물 센서를 구비하여 스스로 주행하며 청소할 수 있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domestic robot is a robot cleaner, which is a kind of electronic equipment that sucks dust and foreign matter around while driving a certain area by itself. Such a robot cleaner is generally equipp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and has an obstacle sensor capable of avoiding obstacles during traveling, so that it can run and clean by itself.

한편,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리모콘을 이용하는 방식, 로봇 청소기 본체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청소기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가 리모콘을 휴대하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 사용자가 리모콘을 분실할 수 있다는 분실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또, 본체 버튼을 이용하여 청소기를 제어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의 구조적 특성상 사용자가 상체를 크게 구부려야 한다는 불편함, 버튼 개수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A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here are a method using a remote controller which is a user interface, a method using a button provided in the robot cleaner main body, and the like. However,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cleaner using the remote controller, there is a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carry the remote control, there may be a loss risk that the user can lose the remote control. In addition, when controlling the cleaner using the main body butto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bend the upper body greatly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number of buttons is limited.

따라서, 본 명세서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안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specification aims at providing measure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별도의 외부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체를 크게 구부리지 않으면서 편하게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detail, 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for comfortably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without largely bending the upper body even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또한, 본 명세서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 명령을 다양하게 생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method for generating various operation commands of the robot cleaner.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 부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손 부위의 형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손 부위의 형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청소기의 동작에 관한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동작 명령에 근거하여 청소기가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when a user's hand part is detected, detecting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movement of the hand part, the detected han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the movement of the part, the method may include extracting an operation comman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and operating the cleaner based on the extracted operation command.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음성에 근거하여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robot cleaner may include detecting a voice from a user and stopping an operation based on the detected vo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감지 단계는, 감지 가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step may include a step of indicating whether or not detectabl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형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동작 명령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새로운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ng of the operation command may include requesting a new input from a user when the operation command cannot be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form and movement.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추출된 동작 명령의 내용을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may include displaying or outputting a content of the extracted operation comman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재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re-detecting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movement of the user's hand reg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청소 개시, 청소 종료, 충전 모드로 전환 또는 소정의 범위, 방향으로의 청소 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cleaning start, cleaning end, switching to the charging mode, or cleaning start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손 부위에서, 한 손가락이 소정의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경우, 상기 손가락의 방향으로 청소기가 이동하도록 하는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ng may include extracting, from the hand portion, an operation command to move the cleaner in the direction of the finger when one finger points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손 부위에서, 손가락이 모두 펼쳐진 경우, 상기 손 부위의 손바닥의 방향으로 청소기가 이동하도록 하는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wherein the extracting of the robot cleaner comprises extracting an operation command for moving the cleaner in the direction of the palm of the hand when the fingers are fully extended. It features.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손 부위의 움직임이 원의 궤적을 그리는 움직임인 경우, 소정의 범위를 청소하는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ng may include extracting an operation command for cleaning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movement of the hand portion is a movement of drawing a circle trajectory. .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손 부위의 움직임이 좌우로 움직이는 움직임인 경우, 소정의 범위를 청소하는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ng step may include extracting an operation command for cleaning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movement of the hand portion is a movement moving left and righ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손 부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손 부위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하는 단계,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 중, 기설정된 손 부위의 형태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형태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청소기가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hand part of a user, when the detected hand part is moved, operating the robot cleaner by following the hand, following the hand And during operation, when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operation of the predetermined hand portion, it may include the step of operating the clean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과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손을 추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wherein the robot cleaner operates by following the hand may include following the hand by the robot cleaner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and. Can b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로봇 청소기에 설치된 카메라가 상기 손의 위치를 추종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djusting a direction of the camera such that a camera installed in the robot cleaner follows the position of the han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손 부위의 형태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청소기가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손 부위의 형태가 한 손가락이 소정의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손가락의 방향으로 청소기가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operation of the hand portion may include: a finger having a shape of the hand portion poin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case of form,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oving the cleaner in the direction of the finger.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손 부위의 형태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청소기가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손 부위에서, 손가락이 모두 펼쳐진 경우, 상기 손 부위의 손바닥의 방향으로 청소기가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includes operating the cleaner based on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n operation of the hand part. The cleaner may further include moving the cleaner in the direction of the palm of the han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하도록,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following the hand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driving unit so that the robot cleaner operates while following the hand.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손 부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손 부위의 형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손 부위의 형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청소기의 동작에 관한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된 동작 명령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movement of the hand region when the user's hand region is detec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the movement of the detected hand region.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tract an operation command related to an operation of the cleaner, and operate based on the extracted operation comman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손 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손 부위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손 부위의 형태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형태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청소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bot cleaner includes a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user's h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robot cleaner to operate by following the hand when the detected hand moves.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cleaner to operat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the operation when the controller detects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the operation of the predetermined hand part.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여,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이 해결된다.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해, 별도의 외부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체를 크게 구부리지 않으면서 편하게 로봇 청소기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even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the robot cleaner can be comfortably controlled without largely bending the upper body.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여, 로봇 청소기의 동작 명령을 다양하게 생성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method for variously generating operation commands of the robot cleaner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카메라를 장착한 로봇 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카메라를 장착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카메라의 인식 상태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LED 패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에 따라 청소기의 동작 명령이 지정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의 손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청소기의 동작 명령이 지정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추출될 동작 명령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LED패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equipped with a sing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of a robot cleaner equipped with a sing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LED patter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 recognition state of a camera.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operation command of a cleaner is designated according to a shape of a user's hand par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leaner while a user moves.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operation command of a cleaner is designated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user's hand.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LED patter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to be extrac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particular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incorrect technical terms that do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should be replaced with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correctly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Also, suffixes "module", "unit"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each component having its own distinct meaning or role no.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카메라를 장착한 로봇 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카메라를 장착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equipped with a sing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of a robot cleaner equipped with a sing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를 설명하겠다.1 and 2, a robot cleaner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40)와, 케이스(140)의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발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하는 전방센서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40)는 소정 높이를 갖는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센서유닛(120)은 실내의 벽이나 장애물과 상기 로봇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상기 전방 센서 유닛은 초음파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센서 유닛(120)은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경로의 전방에 배치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40)에는 충돌 시 충격을 완충하는 범퍼(13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obot cleaner 100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a case 140 and an outer surface of the case 140 to form an exterior, and each of the front sensors includes at least two transmitters and a receiver. Unit 120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case 14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dis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he front sensor unit 120 is a sensor that detects a distance between an indoor wall or an obstacle and the robot, and the front sensor unit may be configured as an ultrasonic sensor. The front sensor unit 120 may detect an obstacle disposed in front of the driving path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case 140 may be provided with a bumper 130 to cushion the impact when the collision.

또한,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 대상 영역이나 주행 영역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측 전방부에 카메라(1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메라(110)는 로봇 청소기가 이동하는 전방 및 상방의 영상을 촬영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일정한 각도로 좌우 및 상하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camera 110 at an upper front side to capture an image of a cleaning target region or a driving region. The camera 110 is installed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shoot the image of the front and the upper side, the camera is fixed in this embodiment, but may be formed to mov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angle. .

또,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조작부(150), 표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청소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150)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를 제어하기 위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 또는 키 타입의 설정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150)의 근방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표시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조작부(150) 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표시부(160)는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 카메라(110)가 사용자의 손 부위를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손을 인식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표시부(160)는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 등에 근거하여 청소기의 동작 명령이 추출된 경우, 추출된 동작 명령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표시부는 로봇 청소기의 현재 상태와, 현재 청소 상태 등의 상태 정보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100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150 and a display unit 160. The operation unit may generate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The operation unit 150 may include a setting unit 280 of a button or key type for inputting a command to control the robot cleaner 100. In the vicinity of the manipulation unit 150, a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display unit 160 may be formed on the operation unit 150.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whether the camera recognizes the user's hand or not, and when the camera 110 recognizes the user's hand, whether the camera recognizes the user's han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the extracted operation command when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cleaner is extracted based on the shape, movement, etc. of the user's hand.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display state information such as a current state of the robot cleaner and a current cleaning state. The display unit 160 is formed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the like. Can be.

보다 상세하게,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제어부(210), 감지부(220), 에지테이터, 구동 바퀴와 구동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 2모터(231, 2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230), 흡입부(240), 위치 검출부(250), 저장부(260), 표시부(270), 설정부(280)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controller 210, a detector 220, edge data, first and second motors 231 and 232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driving wheel and the driving wheel. The driving unit 230, the suction unit 240, the position detector 250, the storage unit 260, the display unit 270, and the setting unit 280 may include a battery (not shown).

상기 에지테이터는 로봇 청소기(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닥의 먼지, 오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흡입부(240)에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물질을 쓸어낸다.The edge data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robot cleaner 100 so that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and dirt on the floor can be smoothly sucked into the suction part 240.

상기 구동부(230)는 상기 제어부(21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로봇 청소기의 좌측 바퀴와 우측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바퀴의 구동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100)가 전방으로 주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좌측 바퀴는 제 1 모터(231)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우측 바퀴는 제 2 모터(232)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 driving unit 230 may transmit driving force to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of the robot cleaner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210.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100 may travel forwar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For example, the left wheel may receive power by the first motor 231, and the right wheel may receive power by the second motor 232.

상기 흡입부(240)는 먼지 수납 수단(예를 들어, 먼지통)(241)과 흡입 수단(예를 들어, 흡입팬)(242) 및 미도시된 흡입 덕트와 필터부와 흡입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240)는 바닥의 이물질을 흡입, 수용할 수 있다.The suction part 240 may include a dust accommodating means (for example, a dust container) 241, a suction means (for example, a suction fan) 242, a suction duct, a filter part, and a suction port which are not shown. . In addition, the suction unit 240 may suck and accommodate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상기 배터리는 상기 구동부(230) 등에 동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충전대(미도시) 등에서 충전될 수 있다. The battery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unit 230 and the like. Such a battery may be charged in a charging stand (not shown).

상기 감지부(220)는 장애물 감지를 위한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장애물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진행 경로를 파악하는 센서 유닛(221), 로봇 청소기(100)의 진행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222),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 유닛(2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20 transmits a signal for detecting an obstacle and receives a signal reflected from the obstacle to detect an obstacle or determine a path of the sensor unit 221 and an image of a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It may include a camera unit 222 for photographing, a voice recognition unit 223 that can recognize the user's voice.

상기 센서 유닛(221)은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전방 센서(120)와, 로봇 청소기의 측면에 배치되어 벽면을 감지하는 측면센서(미도시)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대를 감지하는 IR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21 may include a front sensor 120 for detecting an object in front of the robot, a side sensor (not shown) disposed on a side of the robot cleaner, and a wall sensor for detecting a wall, and sensing the charging stand to charge the battery. IR sensors (not shown) and the like.

상기 카메라 유닛(222)은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가 청소 대상 영역에서 이동 중이거나 정지한 상태에서 천장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 유닛(222)은 단일의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상방의 영상 즉, 천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로봇 청소기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나, 상하 또는 좌후로 회전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천장뿐만 아니라 주변 영역의 전후 및 상하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222 may capture an image including a ceiling while the robot cleaner is moving or stopped in the cleaning target area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 unit 222 is fixed to the robot cleaner so as to take a picture of the upper image, that is, the ceiling image using a single camera 110, but if it can be rotat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the ceiling In addition, images of the front, rear, and top and bottom of the surrounding area can be taken.

한편, 카메라 유닛(222)에 의하여 촬영되고 있는 화면에서 사용자의 손 부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이 상기 카메라 유닛(222)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영상은 저장부(260)에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s hand region is detected on the screen captured by the camera unit 222,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hand region may be detected by the camera unit 222. The detected imag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260.

또, 상기 카메라 유닛(222)은, 사용자의 손 부위가 감지된 경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손 부위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추적하면서 사용자의 손 부위를 계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hand part is detected, the camera unit 222 may continuously detect the user's hand part while continuously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hand par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또,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유닛(222)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하면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천장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 경우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두 영상에는 동일한 특징점이 다수 포함되도록 시간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 unit 222 photographs the ceiling image at regular time intervals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time interval so that two consecutively adjacent images include the same feature point.

상기 음성 입력 유닛(2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동작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 유닛(22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voice input unit 223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Meanwhile, the controller 210 may extract an operation command based on the processed voice data. The voice input unit 223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상기 제어부(200)는 로봇 청소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200)는 특징점 추출부(211), 파티클 생성부(212), 3D 정보 처리부(213), 동작 명령 추출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0 may include a feature point extractor 211, a particle generator 212, a 3D information processor 213, and an operation command extractor 214.

상기 특징점 추출부(211)는 카메라 유닛(222)에서 촬영된 천장 영상을 입력받아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천장의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특징점 추출부(211)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에 주파수의 변화폭이 큰 물체나 영역을 특징점으로 결정하며 천장 모서리나, 코너, 전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특징점은 각 영상 프레임 별로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feature point extractor 211 may receive the ceiling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222 and extract the feature point from the image of the ceiling by image processing the image. The feature point extractor 211 receives the captured image and converts the image into a frequency domain, thereby performing image processing. In this case, the feature point extractor 211 determines an object or region having a large frequency change as a feature point, It can be a light.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60 for each image frame.

상기 파티클 생성부(212)는 카메라(222)로부터 순차적으로 촬영된 두개의 천장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이 추출되면, 두 영상의 동일 특징점을 매칭시킨 후에 먼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징점 파티클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feature point is extracted from two ceiling images photographed sequentially from the camera 222, the particle generator 212 may generate the feature point particle from the first image after matching the same feature point of the two images.

상기 3D 정보 처리부(213)는 상기 생성된 파티클을 상기 특징점 매칭이 이루어진 뒤의 영상으로 투영하여 상기 투영된 파티클의 확률이 가장 높은 파티클을 실제 주변환경의 특징점으로 결정하여 실제 특징점의 3차원 정보를 추출하고 주변환경의 3차원 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The 3D information processor 213 projects the generated particles into an image after the feature point matching is performed, and determines the particle having the highest probability of the projected particles as a feature point of the actual surrounding environment to obtain 3D information of the actual feature point. Extract and create 3D maps of the environment.

상기 동작 명령 추출부(214)는, 카메라(222)에 의하여 감지된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에 근거하여 청소기의 동작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동작 명령 추출부(214)는 카메라에 의하여 감지된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감지된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그 동작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은 저장부(260)에 포함되어질 수 있다.The operation command extractor 214 may extract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cleaner based on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hand part detected by the camera 222. For example, the operation command extracting unit 214 checks whether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hand part detected by the camera exists, and if there is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detected hand part. The operation command can be extracted.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hand portion may be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260.

또, 상기 동작 명령 추출부(214)는, 사용자의 음성에 근거하여 청소기의 동작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기설정된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하여 동작을 정지하거나, 카메라를 근접 촬영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음성은 저장부에 포함되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command extractor 214 may extract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cleaner based on the voice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a preset voice is input, the robot cleaner may stop the operation or change the camera to the close-up mode in order to recognize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user's hand. The preset voice may be included in the storage.

상기 구동부(230)는 제어부(2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2모터(231, 232)를 구동시켜 로봇 청소기(100)을 주행시킨다. 구동부(230)의 제1,2모터(231, 232)는 로봇 청소기(100)를 주행시키는 좌/우바퀴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2모터(231, 232)의 회전속도와 회전 방향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는 전후좌우로 주행한다.The driver 230 drives the first and second motors 231 and 232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210 to drive the robot cleaner 100. The first and second motors 231 and 232 of the driver 230 are connected to the left / right wheels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100. Therefore, the robot cleaner 100 travels back, front,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tors 231 and 232.

상기 위치 검출부(250)는 로봇 청소기의 이동에 따른 위치 변동을 감지하며, 특히 바퀴의 일측에 부착되어 바퀴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또, 위치 검출부(250)는 상기 바퀴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가 초기 위치에서 멀어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위치 검출부(250)가 인코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 detection unit 250 detects a position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and is particular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heel to detect the rotation speed of the wheel. In addition, the position detector 250 may detect the degree of the robot cleaner away from the initial position based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wheel. In this case,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50 preferably includes an encoder.

상기 저장부(260)는 예를 들면,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되며, 로봇 청소기(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 유닛(220)에 의하여 감지된 영상 정보와 그 영상 정보에서 추출된 특징점, 상기 위치 검출부(250)에 검출한 로봇 청소기의 위치 정보 등의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또, 상기 저장부(260)는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또, 상기 저장부(260)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60 is configured of, for example, a non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n EEPROM or a flash memory, and stores an operation program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100. In addition,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ma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220, a feature point extract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or 250 are stored.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60 may store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hand part.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60 may store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상기 표시부(270), 설정부(280)에 관하여는, 앞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상기 표시부(270), 설정부(280)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display unit 270 and the setting unit 280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description of the display unit 270 and the setting unit 280 will be omitted here.

한편, 상기 로봇 청소기는 음성으로 로봇 청소기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obo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unit (not shown) capable of outputting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by vo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로봇 청소기에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을 인식시켜 로봇 청소기를 동작시키기 전, 로봇 청소기를 호출할 수 있다(S10). 상기 로봇 청소기의 호출에 의하여, 동작 중인 로봇 청소기는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로봇 청소기의 호출에 의하여, 로봇 청소기의 카메라가 촬영 모드를 근접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촬영 모드에서는 카메라가 로봇 청소기 상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손 부위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 the robot cleaner may be called before the robot cleaner is operated by recognizing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user's hand region (S10). By the call of the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in operation may stop the operation.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s camera may switch the shooting mode to the close-up photography mode by calling the robot cleaner. In the closeup mode, the camera may more accurately recognize a user's hand located above the robot cleaner.

상기 로봇 청소기의 호출은 사용자의 음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S11). 사용자가 로봇 청소기에 대하여 음성 명령을 발신하고, 상기 로봇 청소기는 음성 입력 유닛(223)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The call of the robot cleaner may be made by a voice of a user (S11). A user sends a voice command to the robot cleaner, and the robot cleaner may receive a voice of the user by the voice input unit 223.

사용자에 의한 호출이 이루어지고 난 뒤,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수신된 음성이 지정된 명령과 일치하는지 비교할 수 있다(S12).After the call by the user is made, the robot cleaner may compare whether the received voice matches the designated command (S12).

예컨대, 상기 동작 명령 추출부(214)는 수신된 음성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이 저장부(260)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command extractor 214 may check whether the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voice is included in the storage 260.

상기 음성이 로봇 청소기를 호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설정된 음성과 동일한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는 주행을 정지하고(S13), 카메라를 근접 촬영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S14).When the voice is the same as the preset voice used when calling the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may stop driving (S13) and change the camera to a close-up mode (S14).

상기 음성이 로봇 청소기를 호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설정된 음성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새로운 음성 입력을 기다릴 수 있다.If the voice does not match the preset voice used when calling the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may wait for a new voice input.

상기 호출에 의하여 로봇 청소기(100)가 동작을 정지해 있거나, 로봇 청소기(100)가 동작 명령을 입력받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을 정지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100)에 설치된 카메라에 손을 이용한 제스쳐를 입력할 수 있다(S21). 사용자가 손을 이용한 제스쳐를 카메라를 통하여 로봇 청소기에 입력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의 손 부위가 어떠한 형태인지, 사용자의 손이 어떠한 움직임을 보였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손 부위의 형태는 손, 손바닥, 손가락이 취하는 모양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robot cleaner 100 stops the operation by the call or the robot cleaner 100 stops the operation without receiving the operation command, the user touches the camera installed in the robot cleaner 100. The used gesture may be input (S21). When the user inputs a gesture using a hand to the robot cleaner through a camera, the camera may detect a shape, a movement, and the like of the hand part. For example, the camera may sense what shape the user's hand part has, what movement the user's hand has show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hand portion may mean a shape that the hand, palm, fingers take.

한편, 로봇 청소기가 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스쳐가 입력되지 않고 일정 시간 경과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는 호출 상태를 벗어날 수 있다(S22).On the other hand, when the gesture is not input by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robot cleaner is call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robot cleaner may leave the call state (S22).

한편, 로봇 청소기가 사용자의 손 부위를 인식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 로봇 청소기가 사용자의 손 부위를 인식하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 등을 표시부(270)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270 may display whether the robot cleaner recognizes a user's hand and whether the robot cleaner recognizes a user's hand.

예컨대, 상기 표시부가 LED램프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도 4에 나타낸 방법에 의하여 카메라의 인식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 부위를 인식 가능한 상태인 경우, LED램프를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또,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 부위를 인식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LED램프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또,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 부위를 인식하여 그 형태, 움직임을 감지하고 있는 경우, LED램프가 점멸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카메라의 인식 상태에 따른 LED 패턴을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with an LED lamp,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e recognition state of the camera by the method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camera is in a state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hand, the LED lamp may be kept on. In addition, when the camera is unable to recognize the user's hand portion, it is possible to specify to keep the LED lamp off. In addition, when the camera recognizes the user's hand and detects its shape and movement, the LED lamp may be designated to blink.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is possible to specify various LED patterns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state of the camera.

로봇 청소기의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는 감지된 상기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으로부터 청소기의 동작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S30).When the camera of the robot cleaner detects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user's hand part, the robot cleaner may extract an operation command of the cleaner from the detected shape and movement of the hand part (S30).

상기 손 부위의 형태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는 손가락의 굽힘,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 각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손 부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는 손 부위의 움직임 궤적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손 부위의 형태 및 움직임을 동시에 감지할 수도 있다.When detecting the shape of the hand part, the robot cleaner may detect the bending of the fing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nger points, the angle,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hand portion, the robot cleaner may detect a movement trace of the hand portion.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may simultaneously detect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hand part.

상기 청소기의 동작 명령은 청소 시작, 충전 모드로 전환, 청소 정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청소, 소정 범위의 청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command of the cleaner may include cleaning start, switching to a charging mode, cleaning stop, cleaning while mov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cleaning in a predetermined range.

도 5는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에 따라 청소기의 동작 명령이 지정된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operation command of the cleaner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user's hand part.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펴고 있는 손 부위의 형태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로봇 청소기의 청소 시작 명령으로 지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hand where the user stretches two fingers may be designated as a cleaning start command of the robot cleaner.

또,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세 손가락을 펴고 있는 손 부위의 형태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로봇 청소기의 충전 모드 전환 명령으로 지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5B,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and where the user stretches three fingers may be designated as a charging mode switching command of the robot cleaner.

또,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네 손가락을 펴고 있는 손 부위의 형태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로봇 청소기의 청소 중지 명령으로 지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5C,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and portion where the user extends four fingers may be designated as the cleaning stop command of the robot cleaner.

도 6은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청소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leaner while a user moves.

이 때,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가락을 펴고 있는 손 부위의 형태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로봇 청소기의 손가락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지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a),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and portion where the user stretches one finger may be designated as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nger of the robot cleaner.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청소기에 한 손가락을 펴고 있는 손 부위의 형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로봇 청소기는 펴져 있는 손가락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the user may input the shape of a hand portion with one finger extended to the cleaner, in which the robot cleaner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extended finger.

사용자가 로봇 청소기의 움직임을 직접 제어하여 청소하고 싶은 경우, 상기와 같이 로봇 청소기의 이동 방향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를 따라가면서 로봇 청소기의 이동 방향을 바꾸고 싶을 때, 손가락의 방향을 로봇 청소기를 이동시키고 싶은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When the user wants to direct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while following the robot cleaner, the user ma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ing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cleaner is to be moved.

한편, 사용자가 손 부위를 로봇 청소기에 인식시킨 후 로봇 청소기를 따라가면서 청소기의 이동 방향을 지정해 줄 때, 로봇 청소기와 사용자는 계속적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로봇 청소기와 사용자의 손 부위의 상대적 위치 역시 계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의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 부위를 인식한 후, 상기 카메라가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손 부위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손 부위를 계속적으로 좇아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여, 로봇 청소기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 부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hand part to the robot cleaner and specifi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leaner while following the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and the user are continuously moving, so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robot cleaner and the user's hand part is also continuously. Can be changed to Therefore, after the camera of the robot cleaner recognizes the user's hand par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camera to continuously detect the user's hand part and continuously follow the user's hand part. By such a control, even when the robot cleaner is mov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camera can accurately detect the user's hand.

또,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섯 손가락을 펴고 있는 손 부위의 형태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로봇 청소기의 손바닥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지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b), the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and portion where the user stretches five fingers can be designated as the movement in the palm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청소기에 다섯 손가락을 펴고 있는 손 부위의 형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손 부위의 손바닥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b), a user may input a shape of a hand portion having five fingers spread on the cleaner, and at this time, the robot cleaner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palm of the hand portion.

사용자가 로봇 청소기의 움직임을 직접 제어하여 청소하고 싶은 경우, 상기와 같이 로봇 청소기의 이동 방향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의 앞에서 로봇 청소기가 사용자를 따라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로봇 청소기의 이동 방향을 바꾸고 싶을 때, 손바닥의 방향을 로봇 청소기를 이동시키고 싶은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When the user wants to direct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user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 to follow the user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and when it is desired to chang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the user ma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alm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cleaner is to be moved.

상기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hand region may be variously designated as necessary.

지금까지 도 6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사용자의 손 부위의 특정한 형태를 인식한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로봇 청소기가 특정한 형태의 손 부위를 인식하지 않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할 수 있다. Up to now, in the case where the robot cleaner recognizes a specific shape of the user's hand portion, the robot cleaner has been described to operate following the hand. However, even when the robot cleaner does not recognize a specific part of the hand, the robot cleaner may operate while following the hand.

즉, 상기 로봇 청소기가 사용자의 손 부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손 부위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이동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robot cleaner detects a user's hand part and the detected hand part moves, the robot cleaner may move while following the hand.

또, 상기 동작 명령 추출부(214)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 하던 중, 상기 손 부위에서 특정 형태,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상기 형태 또는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command extractor 214 may extract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r movement when the robot cleaner detects a specific shape or movement on the hand while the robot cleaner operates while following the hand. Can be.

또,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와 상기 손의 간격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bot cleaner operates while following the hand, the controller 210 may control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robot cleaner and the hand.

도 7은 사용자의 손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청소기의 동작 명령이 지정된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operation command of the cleaner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hand.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 부위를 좌우로 흔드는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현재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소정의 범위를 집중적으로 청소하라는 명령으로 지정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A,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s movement of shaking a hand part left and right may be designated as a command to intensively clean a predetermined range relatively narrow at the current position.

한편, 사용자가 손 부위를 좌우로 흔드는 범위에 따라, 청소기 흡입부의 흡입 강도를 조절하거나, 로봇 청소기가 청소하는 범위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ange in which the user shakes the hand part from side to side, the suction strength of the cleaner suction part may be adjusted, or the robot cleaner may be controlled to clean the range.

또,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 부위로 원의 궤적을 그리는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현재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소정의 범위를 집중적으로 청소하라는 명령으로 지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B,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a movement in which a user draws a circle trajectory with a hand part may be designated as a command to intensively clean a relatively wide predetermined range from a current position. .

한편, 사용자가 손 부위로 원의 궤적을 그리는 범위에 따라, 청소기 흡입부의 흡입 강도를 조절하거나, 로봇 청소기가 청소하는 범위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ange in which the user draws the trajectory of the circle with the hand part, the suction strength of the cleaner suction part may be adjusted or the range of the robot cleaner cleaning may be adjusted.

상기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사용자의 손 부위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hand portion may be variously designated as necessary.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260)에 포함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user's hand portion may be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260.

상기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 등을 감지하는 단계(S20) 이후, 상기 감지된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31). After the camera detects the shape or movement of the user's hand portion (S2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hape or movement of the hand portion exists (S31).

예컨대, 상기 동작 명령 추출부(214)는 카메라에 의하여 감지된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이 저장부(260)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command extractor 214 may check whether the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hand part detected by the camera is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260.

상기 감지된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이 저장부(260)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동작 명령 추출부(214)는 상기 동작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S30).When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hape and movement of the hand part is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260, the operation command extractor 214 may extract the operation command (S30).

또, 상기 감지된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으로부터 동작 명령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로부터의 새로운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tion command cannot be extracted from the detected shape and movement of the hand part, the robot cleaner may request a new input from the user.

한편, 상기 동작 명령이 추출되기 전에, 상기 동작 명령이 사용자가 의도하였던 동작 명령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32,S33).Meanwhile, before the operation command is extrac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operation command matches the operation command intended by the user (S32 and S33).

즉, 감지된 사용자의 손 부위에 근거하여 추출될 동작 명령이 표시부(270)에 표시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on command to be extracted based on the detected user's hand por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70.

예컨대, 상기 표시부가 LED램프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도 8에 나타낸 방법에 의하여 추출될 동작 명령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작 명령 추출부(214)가 추출할 동작 명령이 청소 시작 명령인 경우, LED램프를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동작 명령 추출부(214)가 추출할 동작 명령이 동작 정지 명령인 경우, LED램프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동작 명령 추출부(214)가 추출할 동작 명령이 청소 시작 명령인 경우, LED램프가 점멸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추출될 동작 명령에 따른 LED패턴을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with an LED lamp,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operation command to be extract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operation command to be extracted by the operation command extraction unit 214 is a cleaning start command, the LED lamp may be specified to be kept in an on state.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command to be extracted by the operation command extracting unit 214 is an operation stop command, the LED lamp may be kept in the off state.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command to be extracted by the operation command extraction unit 214 is a cleaning start command, the LED lamp may be designated to blink.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the LED patter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to be extracted can be variously designated.

상기 피드백 단계(S32)에서, 사용자가 추출될 동작 명령이 의도하였던 동작 명령과 상이하다는 사실을 확인한 경우, 사용자는 동작 명령이 추출되기 전에 새로운 제스쳐를 취할 수 있다(S33).In the feedback step S32, when the user confirms that the operation command to be extracted is different from the intended operation command, the user may take a new gesture before the operation command is extracted (S33).

동작 명령 추출부(214)가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에 대응되는 동작 명령을 추출한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동작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S40).When the operation command extracting unit 214 extracts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user's hand, the robot cleaner may perform the operation command (S40).

지금까지 서술한 방법에 의하여 청소기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외부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청소기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청소기를 제어할 때,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기 위해서 상체를 구부리지 않더라도 편하게 로봇 청소기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손 부위의 형태, 움직임으로부터 청소기의 동작 명령을 다양하게 생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cleaner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cleaner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In addition, when controlling the clean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robot cleaner even if the user does not bend the upper body to input a ke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variety of operating instructions of the cleaner from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hand por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서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은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Further, the steps constituting each embodiment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the steps constituting the other embodiments.

또,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은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the lik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들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methods described so far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The software modules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code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a storage unit and executed by a processor.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 로봇 청소기 110 : 카메라 120 : 전방 센서 유닛
130 : 범퍼 140 : 케이스 150 : 조작부
160 : 표시부
210 : 제어부 211 : 특징점 처리부 212 : 파티클 생성부
213 : 3D 정보 처리부 214 : 동작 명령 추출부 220 : 감지 유닛
221 : 센서 유닛 222 : 카메라 유닛 223 : 음성 입력 유닛
230 : 구동부 231 : 제 1 모터 232 : 제 2 모터
240 : 흡입부 241 : 먼지 수납 수단 242 : 흡입 수단
250 : 위치 검출부 260 : 저장부 280 : 설정부
100: robot cleaner 110: camera 120: front sensor unit
130 bumper 140 case 150 control panel
160:
210: control unit 211: feature point processing unit 212: particle generation unit
213: 3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4: motion command extraction unit 220: detection unit
221: sensor unit 222: camera unit 223: audio input unit
230: driving unit 231: first motor 232: second motor
240 suction part 241 dust storage means 242 suction means
250: position detection unit 260: storage unit 280: setting unit

Claims (19)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 부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손 부위의 형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손 부위의 형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청소기의 동작에 관한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동작 명령에 근거하여 청소기가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Detecting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movement of the hand part when the user's hand part is detected;
Extracting an operation command relating to an operation of a cleaner based on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movement of the detected hand region; And
And operating the cleaner based on the extracted operation command.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음성에 근거하여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etecting voice from a user; And
And stopping the operation based on the detected vo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감지 가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aid sensing step;
And controlling whether the robot cleaner can be det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형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동작 명령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새로운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ng of the operation command comprises:
And requesting a new input from a user when the operation command cannot be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sensed shape and mov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동작 명령의 내용을 표시 또는 음성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displaying or voice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extracted operation command.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 부위의 형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재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Re-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user's hand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의 동작은,
청소 개시, 청소 종료, 충전 모드로 전환 또는 소정의 범위, 방향으로의 청소 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And a cleaning start, cleaning end, switching to a charging mode, or cleaning start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손 부위에서, 한 손가락이 소정의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경우, 상기 손가락의 방향으로 청소기가 이동하도록 하는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ng step,
And a control command for extracting an operation command for moving the cleaner in the direction of the finger when one finger is poin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t the hand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손 부위에서, 손가락이 모두 펼쳐진 경우, 상기 손 부위의 손바닥의 방향으로 청소기가 이동하도록 하는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ng step,
And a method of extracting an operation command to move the cleaner in the direction of the palm of the hand when the fingers are fully extended in the hand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손 부위의 움직임이 원의 궤적을 그리는 움직임인 경우, 소정의 범위를 청소하는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ng step,
And if the movement of the hand portion is a movement of drawing a circle trajectory, extracting an operation command of cleaning a predetermined ra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손 부위의 움직임이 좌우로 움직이는 움직임인 경우, 소정의 범위를 청소하는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ng step,
If the movement of the hand portion is a movement to move left and right,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extracting an operation command for cleaning a predetermined range.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 부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손 부위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 중, 기설정된 손 부위의 형태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형태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청소기가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Detecting a user's hand area;
Operating the robot cleaner by following the hand when the detected hand portion moves; And
And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the operation when the controller detects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the operation of the predetermined hand part while following the hand. Wa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과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손을 추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robot cleaner operates by following the hand.
And following the hand by the robot cleaner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an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에 설치된 카메라가 상기 손의 위치를 추종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camera such that the camera installed in the robot cleaner follows the position of the han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손 부위의 형태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청소기가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손 부위의 형태가 한 손가락이 소정의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형태인 경우, 상기 손가락의 방향으로 청소기가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the operation of the hand part comprises:
If the shape of the hand portion is one finger poin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oving the cleaner in the direction of the fing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손 부위의 형태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청소기가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손 부위에서, 손가락이 모두 펼쳐진 경우, 상기 손 부위의 손바닥의 방향으로 청소기가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the operation of the hand part comprises:
In the hand area, when the fingers are all extended,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oving the cleaner in the direction of the palm of the hand area.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하도록,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robot cleaner operates by following the hand.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robot cleaner operates while following the hand.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 부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손 부위의 형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손 부위의 형태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청소기의 동작에 관한 동작 명령을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된 동작 명령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In the robot cleaner,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movement of the hand region when the user's hand region is detected;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tract an operation command related to an operation of the clean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detected hand part, wherein the robot cleaner operates based on the extracted operation command.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 부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손 부위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손을 추종하며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손 부위의 형태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형태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청소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In the robot cleaner,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user's hand; And
When the detected hand portion moves, the robot clean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operate while following the hand,
The controller, when detecting at least one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operation of the hand portion, the robot cleaner to control to operate the clean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operation.
KR1020110104817A 2011-10-13 2011-10-13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331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817A KR101331952B1 (en) 2011-10-13 2011-10-13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817A KR101331952B1 (en) 2011-10-13 2011-10-13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062A true KR20130040062A (en) 2013-04-23
KR101331952B1 KR101331952B1 (en) 2013-11-26

Family

ID=4844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817A KR101331952B1 (en) 2011-10-13 2011-10-13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952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2017A (en) * 2014-02-10 2014-04-30 朱寰 Cleaning robot toy
KR20140145328A (en) * 2013-06-13 201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334851A (en) * 2014-08-12 2016-02-17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Mobile device capable of sensing gesture
US9440351B2 (en) 2014-10-30 2016-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a robotic device
JP2017064064A (en) * 2015-09-30 2017-04-0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Vacuum cleaner
RU2644096C2 (en) * 2015-10-29 2018-02-07 Шэньчжэнь Мэгмит Электрикал Ко, Лтд.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toilet
CN112545373A (en) * 2019-09-26 2021-03-26 珠海市一微半导体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sweeping robot, sweeping robot and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087B1 (en) * 2014-07-15 2020-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2081340B1 (en) * 2018-07-20 2020-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plurality of autonomous cleaner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845A (en) * 2000-05-23 2001-12-07 이정철 home us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69909B1 (en) 2006-09-06 2007-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41481B1 (en) * 2008-12-05 2013-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for controlling robot based on motion recognition and method thereby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8616B2 (en) 2013-06-13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45328A (en) * 2013-06-13 201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837986A3 (en) * 2013-06-13 2016-0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285804B2 (en) 2013-06-13 2016-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254756B2 (en) 2013-06-13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U2014278987B2 (en) * 2013-06-13 2016-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752017A (en) * 2014-02-10 2014-04-30 朱寰 Cleaning robot toy
CN105334851A (en) * 2014-08-12 2016-02-17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Mobile device capable of sensing gesture
US9662784B2 (en) 2014-10-30 2017-05-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a robotic device
US9829890B2 (en) 2014-10-30 2017-1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a robotic device
US9440351B2 (en) 2014-10-30 2016-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a robotic device
JP2017064064A (en) * 2015-09-30 2017-04-0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Vacuum cleaner
RU2644096C2 (en) * 2015-10-29 2018-02-07 Шэньчжэнь Мэгмит Электрикал Ко, Лтд.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toilet
CN112545373A (en) * 2019-09-26 2021-03-26 珠海市一微半导体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sweeping robot, sweeping robot and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952B1 (en)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952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423797B2 (en) Robot cleaner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US9977954B2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obot cleaner
KR101855831B1 (en) Cleaning apparatus and collaboration cleaning method using robot cleaners
CN105310604B (en) The method of robot cleaner system and control machine people's cleaner
KR101842459B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027101B1 (en) Auto-cleaning system, cleaning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leaning robot
EP2677386B1 (en) Robot cleaner and obstacle detection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2413772B1 (en) Mobile robot with single camera and method for recognizing 3d surroundings of the same
EP2592988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125539B2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976462B1 (en) A robot cleaner a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02646A (en) Automatic moving apparatus and manual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93800A (en) 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US1164457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48963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798045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223480B1 (en) Mobile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160090278A (en) Mobile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1601386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human of robot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