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745A - 인증 연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증 연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745A
KR20130039745A KR1020130033472A KR20130033472A KR20130039745A KR 20130039745 A KR20130039745 A KR 20130039745A KR 1020130033472 A KR1020130033472 A KR 1020130033472A KR 20130033472 A KR20130033472 A KR 20130033472A KR 20130039745 A KR20130039745 A KR 20130039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server
authentication
user terminal
inter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교
김유성
오현택
김선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9745A/ko
Publication of KR2013003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8Usage controlling of secret information, e.g. techniques for restricting cryptographic keys to pre-authorized uses, different access levels, validity of crypto-period, different key- or password length, or different strong and weak cryptographic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인증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인증 연동 방법은, 제1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에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토큰을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서버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제2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큰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 연동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토큰 검증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이용하여 상기 토큰 검증 요청에 따른 토큰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부터 상기 토큰 검증 결과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토큰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레지스트리(registry)에 저장된다.

Description

인증 연동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interworking}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복수의 서버 간 연동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가 대중화되면서, 개인용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상의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일상화되었다. 또한 네트워크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형태가 다양화되면서 하나의 서버가 아닌 복수 개의 서버에 동시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또한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수 개의 서버가 각각 다른 로그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 개의 서버에 접속하기 위하여 매번 아이디/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번의 로그인만으로 복수 개의 서버에 로그인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는 인증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증 연동 과정에서 제3자 등에 의한 정보 유출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즉 보안성이 강화된 인증 연동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 제1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에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토큰을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서버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제2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큰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 연동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토큰 검증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이용하여 상기 토큰 검증 요청에 따른 토큰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부터 상기 토큰 검증 결과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토큰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레지스트리(registry)에 저장되는, 인증 연동 방법.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상기 토큰 및 상기 토큰의 등록일을 상기 제1서버로부터 등록받아 저장하는, 인증 연동 방법.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토큰의 만료일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서버 로그인 요청을 수신한 시각에 기 설정된 인증 가능 시간만큼을 더한 시간으로 설정되는, 인증 연동 방법.
4. 위 1에 있어서,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상기 토큰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상기 문자열로부터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계산하여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연동 방법.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토큰 검증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상기 토큰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아이디, 상기 토큰 및 토큰 검증 요청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상기 문자열로부터 추출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연동 방법.
6. 위 5에 있어서, 상기 토큰 검증 수행 단계는,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과 기 저장된 토큰의 만료일을 비교하여,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이 상기 토큰의 만료일보다 빠른 경우 상기 토큰 검증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이 상기 토큰의 만료일보다 느린 경우 상기 토큰 검증 요청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판단 단계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연동 방법.
7.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에서의 사용자 단말 인증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로부터 토큰 폐기 요청을 수신하고,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을 폐기하고,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로 토큰 폐기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토큰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증 연동 방법.
8. 위 7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토큰 폐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서버 또는 제2서버에서, 상기 아이디 및 상기 토큰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제3유동키 및 고정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 또는 제2서버에서,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제3유동키를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수신된 상기 제3유동키 및 기 저장된 고정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을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복호화된 상기 문자열로부터 추출된 토큰에 대한 폐기를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연동 방법.
9. 위 8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을 폐기하는 단계는, 상기 토큰이 저장된 레코드의 필드 값을 사용 가능(GOOD)에서 사용 불가(REVOKE)로 변경함으로써 수행되는, 인증 연동 방법.
10.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서버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고, 로그인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토큰을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토큰을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서버 로그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제1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큰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 연동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토큰 검증 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토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제2서버; 상기 제1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토큰 및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저장하는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이용하여 상기 토큰 검증 요청에 따른 토큰 검증을 수행하는 인증 연동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토큰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레지스트리(registry)에 저장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1. 위 1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상기 토큰 및 상기 토큰의 등록일을 상기 제1서버로부터 등록받아 저장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2. 위 10에 있어서, 상기 토큰의 만료일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서버 로그인 요청을 수신한 시각에 기 설정된 인증 가능 시간만큼을 더한 시간으로 설정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3. 위 10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상기 토큰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인증 연동 서버는,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상기 문자열로부터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계산하여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4. 위 10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상기 토큰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아이디, 상기 토큰 및 토큰 검증 요청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인증 연동 서버는,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상기 문자열로부터 추출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5. 위 14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을 저장하고, 수신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과 기 저장된 토큰의 만료일을 비교하여,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이 상기 토큰의 만료일보다 빠른 경우 상기 토큰 검증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이 상기 토큰의 만료일보다 느린 경우 상기 토큰 검증 요청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판단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6. 위 10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에서의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로 토큰 폐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연동 서버는,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로부터 토큰 폐기 요청을 수신하고,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을 폐기하고,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로 토큰 폐기 결과를 송신하고,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토큰을 삭제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7. 위 16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 또는 제2서버는, 상기 아이디 및 상기 토큰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제3유동키 및 고정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제3유동키를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인증 연동 서버는, 수신된 상기 제3유동키 및 기 저장된 고정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상기 문자열로부터 추출된 토큰에 대한 폐기를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8. 위 17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의 폐기는, 상기 토큰이 저장된 레코드의 필드 값을 사용 가능(GOOD)에서 사용 불가(REVOKE)로 변경함으로써 수행되는, 인증 연동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를 경우 하나의 서버에 대한 로그인 만으로 복수의 서버에 인증을 연동할 수 있게 되는 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연동 과정에서 암호화된 프로토콜 및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 연동을 수행하는 바, 외부의 공격에 강력한 인증 연동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간 인증 연동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서버로의 로그인 연동 방법(2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서버로의 로그아웃 연동 방법(3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간 인증 연동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연동 시스템(100)은 제1서버(102), 제2서버(104), 사용자 단말(106),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 및 인증 연동 서버(110)를 포함하며, 상기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12)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제1서버(102) 및 제2서버(104)는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단말(106)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네이버(Naver), 구글(Google) 등의 포털 서버, 또는 기타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이 이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제1서버(102) 및 제2서버(104)는 서로 독립된 사용자 로그인 및 인증 시스템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제1서버(102)에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106)이 제2서버(104)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먼저 제2서버(104)에 로그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는 제2서버(104)에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106)이 제1서버(102)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6)은 사용하려는 서비스의 개수만큼의 로그인 과정(아이디, 패스워드 입력 등)을 거쳐야 하는 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서버(102)(또는 제2서버(104)) 에 사용자 로그인이 완료된 경우 자동적으로 제2서버(104)(또는 제1서버(102))에도 로그인이 완료되도록 구성된다(로그인 연동 또는 인증 연동). 이와 같은 복수 개의 서버 간 로그인 연동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할 설명에서는 사용자 단말(104)이 먼저 제1서버(102)에 로그인한 이후 제2서버(104)로의 인증 연동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에서는 순서에 상관없이 네트워크상(112)에 존재하는 서버 중 하나에 로그인이 완료된 경우 로그인되지 않은 나머지 서버(들)에 대해서도 자동적으로 인증 과정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네트워크(112)에 제1서버(102) 및 제2서버(104)의 2개의 서버만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서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제3서버, 제4서버 등 다수 개의 서버가 추가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서버 중 하나의 서버에 로그인하면 다른 서버들에도 자동적으로 인증 과정이 수행되어 한 번의 로그인만으로 복수 개의 서버에 로그인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6)은 제1서버(102) 및 제2서버(104)에 로그인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06)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DA, 휴대폰(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버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형태의 단말이라면 그 형태에 관계 없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6)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6)은 그 내부에 로그인 서비스 관리 에이전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서비스 관리 에이전트는 사용자 단말(106)이 특정 서버에 로그인된 경우 해당 서버의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6)이 제1서버(102) 또는 제2서버(104)에 로그인된 경우, 상기 로그인 서비스 관리 에이전트는 로그인된 제1서버(102) 또는 제2서버(104)의 식별 정보 및 로그인 시간 등의 정보를 리스트 형식으로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6)이 제1서버(102) 또는 제2서버(104)에서 로그아웃된 경우, 상기 로그인 서비스 관리 에이전트는 로그아웃된 서버의 정보를 상기 리스트에서 삭제한다.
사용자 단말(106)은 또한 로그인된 제1서버(102) 또는 제2서버(104)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되는 토큰(token)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토큰은 서버 간의 인증 연동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소정 자리수의 난수(random numb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큰은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6)의 레지스트리(registry)에 저장될 수 있다.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는 사용자 단말(106)이 로그인한 제1서버(102) 또는 제2서버(104)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토큰 및 상기 토큰의 만료일(EXP_DATE)을 저장한다. 상기 토큰의 만료일은 서버 간 인증 연동 과정에서 토큰 검증을 위해 사용된다.
인증 연동 서버(110)는 제1서버(102) 및 제2서버(104) 간의 인증을 연동하기 위한 서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6)이 제1서버(102)로 로그인한 경우, 인증 연동 서버(110)는 제1서버(102)에서 생성된 토큰을 이용하여 제2서버(104)로의 인증을 수행한다. 즉, 인증 연동 서버(110)를 통할 경우, 사용자 단말(106)은 제1서버(102) 또는 제2서버(104)에 한 번만 로그인을 수행하더라도 나머지 서버에 자동으로 로그인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증 연동 서버(110)는 서버들 간 인증 연동을 구현하기 위한 함수(메소드; method)를 제공하기 위한 웹 서비스 서버(Web service server)로 구현될 수 있다. 웹 서비스(Seb service)란 서로 다른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이 직접 소통하고 실행될 수 있도록 동적 시스템 환경을 구현해 주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로 데이터와 서비스를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제공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작성 시 HTTP, XML, SOAP와 같은 표준화된 웹 프로토콜과 데이터 형식을 사용함으로써 운영 체계(OS) 등 특정 플랫폼과 상관없이 모든 컴퓨터 간 원활한 데이터의 흐름을 보장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즉, 본 발명에서 인증 연동 서버(110)는 표준화된 웹 프로토콜 및 데이터 전송 형식을 이용한 웹 서비스로 구현됨으로써 각각의 서버들이 서로 다른 플랫폼을 사용하더라도 원활하게 서버간 인증 연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112)는 제1서버(102), 제2서버(104), 사용자 단말(106),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 및 인증 연동 서버(110)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매개체이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112)는 유, 무선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패킷 통신이 가능한 어떤 형태의 망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112)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연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서버로의 로그인 연동 방법(2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서버로의 로그아웃 연동 방법(30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로그인 연동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서버로의 로그인 연동 방법(200)을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106)은 제1서버(102)로의 로그인을 위하여 제1서버(102)로 로그인 요청을 송신한다(202). 상기 로그인 요청은 제1서버(102)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106)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한 제1서버(102)는 수신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6)을 인증하고, 인증이 완료된 경우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106)로 송신한다(204). 만약 상기 204 단계에서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거나 한 경우 제1서버(102)는 인증 불가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6)로 송신하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2)은 상기 202 단계부터 다시 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서버(102)로의 로그인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 단말(106)은 로그인 서비스 관리 에이전트의 관리 리스트에 제1서버(102)의 식별 정보 및 로그인 시각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로그인 서비스 관리 에이전트를 업데이트한다(206).
한편, 제1서버(102)는 사용자 단말(106)의 로그인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 단말(106)에 대응되는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토큰 및 사용자 단말(106)의 아이디(ID)를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에 등록한다(208).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토큰은 소정 자리수, 예를 들어 32자리의 난수(random number)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토큰의 자리수(길이) 및 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보안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난수 생성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는 제1서버(102)로부터 수신된 상기 토큰 및 상기 아이디, 토큰의 등록일(REG_DATE)을 저장하고, 저장이 완료된 경우 등록 완료 메시지를 제1서버(102)로 송신한다(210). 상기 토큰의 등록일은 상기 토큰이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에 등록되는 시각으로서, 이는 제1서버(102)로부터 상기 아이디 및 토큰과 함께 전송받거나, 또는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가 상기 아이디 및 토큰을 제1서버(102)로부터 수신한 시각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에 상기 토큰 및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필드명 데이터 타입 설명
USER_ID VARCHAR2(40) 사용자 단말(106)의 아이디
TOKEN VARCHAR2(32) 토큰 값
REG_DATE DATE 토큰 등록일
VERIFY_DATE DATE 토큰 검증 요청 시각
EXP_DATE DATE 토큰 만료일
STATE VARCHAR2(10) 토큰 상태 값
- GOOD: 이용가능
- REVOKE: 토큰 폐기상태
상기 값들 중 토큰 검증 요청 시각, 토큰 만료일 및 토큰 상태 값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 중 해당 항목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제1서버(102)는 생성된 상기 토큰을 사용자 단말(106)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6)은 이를 사용자 단말(106) 내부에 저장한다(212, 214). 이때, 제1서버(102)는 필요한 경우 상기 토큰과 함께 사용자 단말(106)의 아이디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6)은 제1서버(102)로 제2서버(104)에 대한 로그인 요청을 송신한다(216). 전술한 202 단계에서의 제1서버(102) 로그인 과정은 사용자 단말(106)의 사용자가 직접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이나, 본 단계에서는 제2서버(104)에 대한 아이디/패스워드 입력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순히 사용자 단말(106)이 제1서버(102)로 제2서버(104)에 대한 로그인을 요청하는 것만으로 후술할 단계를 거쳐 제2서버(104)에 대한 로그인이 완료된다는 점이 202 단계와 상이하다. 즉, 본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직접적 개입(아이디/패스워드 입력 등)이 포함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106)의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진행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제2서버(104)에 대한 로그인 요청을 송신한 제1서버(102)는 인증 연동 서버(110)로 사용자 단말(106)과 대응되는 토큰의 만료일(EXP_DATE) 등록을 요청한다(218). 상기 토큰의 만료일(EXP_DATE)이란 기 저장된 토큰을 이용하여 제2서버(104)로의 로그인 연동이 가능한 시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토큰의 만료일은 제1서버(102)가 사용자 단말(106)로부터 제2서버(104) 로그인 요청을 수신(216 단계)한 시각에 기 설정된 인증 가능 시간만큼을 더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토큰의 만료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EXP_DATE = 제2서버 로그인 요청 시각 + 인증 가능 시간
상기 인증 가능 시간은 네트워크(112)에 연결된 각 구성요소들의 응답 지연 및 보안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분 내지 5분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큰의 만료일은 보안을 위하여 암호화된 형태로 인증 연동 서버(110)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큰의 만료일 등록에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ExpireToken(String EncryptedExpire, String Key1)
이때 ExpireToken은 암호화된 토큰의 만료일 및 이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를 전달하기 위한 함수(메소드)로서, 해당 만료일 등록 성공 시 True를 리턴하고 등록 실패 시 False를 리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ncryptedExpire는 만료일 등록을 요청한 토큰을 식별하기 위한 암호화된 문자열(string)로서,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0: 의미 없는 값으로서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삽입되는 값
1: 사용자 단말(106)의 ID
2: 토큰
EncryptedExpire = (0 + 1 + 2)를 암호화한 값
Key1은 상기 EncryptedExpire를 암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유동키(제1유동키)이다. 즉, 제1서버(102)는 제1유동키 및 고정키(각 서버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디 및 토큰을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아이디/토큰과 상기 제1유동키를 ExpireToken함수를 통하여 인증 연동 서버(110)로 송신한다.
인증 연동 서버(110)는 상기 암호화된 아이디/토큰과 상기 제1유동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유동키 및 인증 연동 서버(110) 내에 기 저장된 고정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문자열을 복호화한 뒤(220), 복호화된 문자열로부터 추출된 토큰의 만료일(EXP_DATE)을 계산하여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의 EXP_DATE 필드에 저장한다(222).
이후, 사용자 단말(106)은 제2서버(104)로 레지스트리에 저장된 아이디 및 토큰을 전송하고(224), 제2서버(104)는 사용자 단말(106)로부터 수신된 상기 아이디 및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 연동 서버(110)로 사용자 단말(106)의 토큰 검증 요청을 송신한다. 이때 상기 토큰 검증 요청에는 상기 아이디 및 토큰과 함께 검증 요청 시각(VERIFY_DATE)을 포함한다. 상기 검증 요청 시각은 인증 연동 서버(110)가 상기 토큰 검증 요청을 송신하는 시각을 의미한다.
상기 토큰 검증 요청은 보안을 위하여 암호화된 형태로 인증 연동 서버(110)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큰 검증 요청에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IsValidToken(String EncryptedAuth, String Key2)
이때 IsValidToken은 암호화된 토큰 검증 요청 및 이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를 전달하기 위한 함수(메소드)로서, 해당 아이디의 토큰값이 유효하면 True를 리턴하고, 유효하지 않으면 False를 리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ncryptedAuth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0: 의미 없는 값으로서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삽입되는 값
1: 사용자 단말(106)의 ID
2: 토큰
3: VERIFY_DATE
EncryptedAuth = (0 + 1 + 2 + 3)을 암호화한 값
Key2은 상기 EncryptedAuth를 암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유동키(제2유동키)이다. 즉, 제2서버(104)는 제2유동키 및 고정키(각 서버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디, 토큰 및 검증 요청 시각을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문자열과 상기 제2유동키를 IsValidToken 함수를 통하여 인증 연동 서버(110)로 송신한다.
이후 인증 연동 서버(110)는 수신된 상기 제2유동키 및 기 저장된 고정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문자열(EncryptedAuth)을 복호화하고(228), 복호화된 문자열 및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에 등록된 토큰의 만료일을 이용하여 토큰 검증 요청에 따른 토큰 검증을 수행한다(230, 232).
구체적으로, 인증 연동 서버(110)는 복호화된 문자열로부터 추출된 아이디, 토큰 및 검증 요청 시각을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로 송신한다(230).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는 인증 연동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을 저장하고, 수신된 토큰 검증 요청 시각과 기 저장된 토큰의 만료일(EXP_DATE)을 비교하여,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이 토큰의 만료일보다 빠른 경우 토큰 검증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이 토큰의 만료일보다 느린 경우 토큰 검증 요청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2서버(104)의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이 기 설정된 토큰 만료일 이내일 경우에만 상기 토큰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106)의 제2서버(104)로의 로그인을 허용한다.
이와 같은 토큰 검증 결과는 인증 연동 서버(110)를 거쳐 제2서버(104)로 전달되며(232, 234), 제2서버(104)는 인증 연동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토큰 검증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106)을 인증한다. 즉, 상기 토큰의 검증 결과 기 송신한 토큰이 유효한 토큰인 경우 사용자 단말(106)의 제2서버(104)로의 로그인을 허용하고, 유효하지 않은 토큰인 경우 사용자 단말(106)의 로그인을 허용하지 않는다. 제2서버(104)로의 로그인이 허용된 경우, 사용자 단말(106)은 로그인 서비스 관리에이전트에 포함된 리스트에 제2서버(104)를 추가하여 상기 로그인 서비스 관리에이전트를 업데이트한다.
로그아웃 연동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서버로의 로그아웃 연동 방법(300)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06)은 기 로그인된 제1서버(102)와 제2서버(104) 각각으로부터 로그아웃 과정을 수행하고(302, 306), 로그아웃된 제1서버(102) 및 제2서버(104)를 로그인 서비스 관리에이전트로부터 삭제한다(304, 308). 상기와 같은 로그아웃 단계는 각 서버 별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제1서버(102)의 로그아웃(302) 및 로그인 서비스 관리에이전트 업데이트(304)가 수행된 이후 제2서버(104)의 로그아웃(306) 및 로그인 서비스 관리에이전트 업데이트(308)가 수행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상기 단계들은 서버 별로 순서를 바꾸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모든 서버에 대한 로그아웃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06)은 제1서버(102) 또는 제2서버(104) 중 어느 하나의 서버로 토큰 폐기 요청을 송신한다(310). 상기 토큰 폐기 요청(312)은 로그아웃된 서버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서버(104)로 토큰 폐기 요청이 송신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제2서버(104)는 인증 연동 서버(110)로 암호화된 토큰 폐기 요청을 송신한다(312). 상기 암호화된 토큰 폐기 요청은 다음과 같은 함수(메소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questRevokeToken(String EncryptedRevoke, String Key3)
RequestRevokeToken은 암호화된 토큰 폐기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함수로서, 토큰의 폐기 성공시 True를, 실패시 False를 반환한다.
EncryptedRevoke는 폐기할 토큰을 식별하기 위한 암호화된 문자열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0: 의미 없는 값으로서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삽입되는 값
1: 아이디
2: 토큰
EncryptedRevoke = (0 + 1 + 2)를 암호화한 값
Key3은 상기 EncryptedRevoke 를 암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유동키(제3유동키)이다. 즉, 제2서버(104)는 제3유동키 및 고정키(각 서버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디 및 토큰을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문자열과 상기 제3유동키를 RequestRevokeToken 함수를 통하여 인증 연동 서버(110)로 송신한다.
이후 인증 연동 서버는 수신된 상기 제3유동키 및 기 저장된 고정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문자열을 복호화하고(314), 복호화된 문자열로부터 추출된 토큰에 대한 폐기를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로 요청한다(316).
상기 요청을 수신한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108)는 해당 토큰을 폐기한다. 이때 상기 토큰의 폐기는, 토큰이 저장된 레코드의 상태 값(STATE)을 사용 가능(GOOD)에서 사용 불가(REVOKE)로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즉, 해당 레코드 자체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레코드의 상태 값만을 변경함으로써 차후 로그인 이력 등의 정보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인증 연동 서버(110)는 토큰 폐기 요청을 송신한 제2서버(104)로 토큰 폐기 결과를 송신하고(318), 이를 수신한 제2서버(104)는 사용자 단말(106)에 저장된 토큰의 삭제를 요청한다(320). 그러면 사용자 단말(106)은 레지스트리에 저장된 토큰을 삭제하고(322), 로그인 서비스 관리에이전트를 종료함으로써 로그아웃 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구성요소들 간의 데이터 전송은 HTTPS(TCP443) 또는 이와 유사한 보안 강화 프로토콜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암호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각 메시지, 특히 토큰 등의 중요한 메시지의 외부 유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인증 연동 시스템 102: 제1서버
104: 제2서버 106: 사용자 단말
108: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 110: 인증 연동 서버

Claims (18)

  1. 제1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에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토큰을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서버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제2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큰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 연동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토큰 검증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이용하여 상기 토큰 검증 요청에 따른 토큰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부터 상기 토큰 검증 결과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토큰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레지스트리(registry)에 저장되는, 인증 연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상기 토큰 및 상기 토큰의 등록일을 상기 제1서버로부터 등록받아 저장하는, 인증 연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의 만료일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서버 로그인 요청을 수신한 시각에 기 설정된 인증 가능 시간만큼을 더한 시간으로 설정되는, 인증 연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상기 토큰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상기 문자열로부터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계산하여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증 연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토큰 검증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상기 토큰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아이디, 상기 토큰 및 토큰 검증 요청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상기 문자열로부터 추출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증 연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검증 수행 단계는,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과 기 저장된 토큰의 만료일을 비교하여,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이 상기 토큰의 만료일보다 빠른 경우 상기 토큰 검증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이 상기 토큰의 만료일보다 느린 경우 상기 토큰 검증 요청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판단 단계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증 연동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에서의 사용자 단말 인증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로부터 토큰 폐기 요청을 수신하고,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을 폐기하고,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로 토큰 폐기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토큰을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증 연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토큰 폐기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서버 또는 제2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상기 토큰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제3유동키 및 고정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 또는 제2서버에서,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제3유동키를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수신된 상기 제3유동키 및 기 저장된 고정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을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연동 서버에서, 복호화된 상기 문자열로부터 추출된 토큰에 대한 폐기를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증 연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을 폐기하는 단계는, 상기 토큰이 저장된 레코드의 필드 값을 사용 가능(GOOD)에서 사용 불가(REVOKE)로 변경함으로써 수행되는, 인증 연동 방법.
  10.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서버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고, 로그인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토큰을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토큰을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서버 로그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제1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토큰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 연동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토큰 검증 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토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제2서버;
    상기 제1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토큰 및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저장하는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이용하여 상기 토큰 검증 요청에 따른 토큰 검증을 수행하는 인증 연동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토큰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레지스트리(registry)에 저장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상기 토큰 및 상기 토큰의 등록일을 상기 제1서버로부터 등록받아 저장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의 만료일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서버 로그인 요청을 수신한 시각에 기 설정된 인증 가능 시간만큼을 더한 시간으로 설정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상기 토큰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인증 연동 서버는,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상기 문자열로부터 상기 토큰의 만료일을 계산하여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상기 토큰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아이디, 상기 토큰 및 토큰 검증 요청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인증 연동 서버는,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상기 문자열로부터 추출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을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로 송신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을 저장하고, 수신된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과 기 저장된 토큰의 만료일을 비교하여,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이 상기 토큰의 만료일보다 빠른 경우 상기 토큰 검증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토큰 검증 요청 시각이 상기 토큰의 만료일보다 느린 경우 상기 토큰 검증 요청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판단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에서의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로 토큰 폐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연동 서버는,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로부터 토큰 폐기 요청을 수신하고,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을 폐기하고,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로 토큰 폐기 결과를 송신하고,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토큰을 삭제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 또는 제2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상기 토큰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제3유동키 및 고정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 및 상기 제3유동키를 상기 인증 연동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인증 연동 서버는, 수신된 상기 제3유동키 및 기 저장된 고정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상기 문자열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상기 문자열로부터 추출된 토큰에 대한 폐기를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하는, 인증 연동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연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의 폐기는, 상기 토큰이 저장된 레코드의 필드 값을 사용 가능(GOOD)에서 사용 불가(REVOKE)로 변경함으로써 수행되는, 인증 연동 시스템.
KR1020130033472A 2013-03-28 2013-03-28 인증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9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472A KR20130039745A (ko) 2013-03-28 2013-03-28 인증 연동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472A KR20130039745A (ko) 2013-03-28 2013-03-28 인증 연동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449A Division KR20120119490A (ko) 2011-04-21 2011-04-21 인증 연동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745A true KR20130039745A (ko) 2013-04-22

Family

ID=4843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472A KR20130039745A (ko) 2013-03-28 2013-03-28 인증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97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6708A1 (ko) * 2013-06-05 2014-12-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보안토큰을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40142852A (ko) * 2013-06-05 2014-12-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로그인 유지 시 보안토큰을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60020317A (ko) 2014-08-13 2016-02-23 한국화학연구원 2,5-디메틸퓨란과 에틸렌으로부터 파라자일렌의 합성공정에 사용되는 나노기공성 스폰지 또는 시트 형태의 제올라이트 촉매
WO2018113690A1 (zh) * 2016-12-23 2018-06-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登录授权方法和装置、登录方法和装置
KR102201038B1 (ko) * 2020-03-19 2021-01-08 김동영 고지서 납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6708A1 (ko) * 2013-06-05 2014-12-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보안토큰을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40142852A (ko) * 2013-06-05 2014-12-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로그인 유지 시 보안토큰을 이용한 인증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60020317A (ko) 2014-08-13 2016-02-23 한국화학연구원 2,5-디메틸퓨란과 에틸렌으로부터 파라자일렌의 합성공정에 사용되는 나노기공성 스폰지 또는 시트 형태의 제올라이트 촉매
WO2018113690A1 (zh) * 2016-12-23 2018-06-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登录授权方法和装置、登录方法和装置
KR102201038B1 (ko) * 2020-03-19 2021-01-08 김동영 고지서 납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8321B2 (en) Wireless network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hen et al. Lightweight and provably secure user authentication with anonymity for the global mobility network
KR101005910B1 (ko) 애플리케이션 및 인터넷 기반 서비스들에 신뢰성있는 싱글 사인온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8059818B2 (en) Accessing protected data on network storage from multiple devices
US9485246B2 (en) Distributed authentication with data cloud
CN109618326A (zh) 用户动态标识符生成方法及服务注册方法、登录验证方法
US20120266217A1 (en) Permitting Access To A Network
US20120265996A1 (en) Permitting Access To A Network
EP2957064B1 (en) Method of privacy-preserving proof of reliability between three communicating parties
US980707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20079892A (ko) 개인망 엔티티 인증을 위한 방법
CN105075219A (zh) 包括安全性管理服务器和家庭网络的网络系统、以及用于在网络系统中包括设备的方法
JP2001186122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20130039745A (ko) 인증 연동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99973A1 (en) Service registration method and device
US11146536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managing user identities for use during communication between two web browsers
KR102118556B1 (ko)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Binu et al. A mobile 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without verifier table for cloud based services
KR100993333B1 (ko) 인터넷 접속 도구를 고려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N109598114A (zh) 跨平台统一用户账户管理方法及系统
CN115051848B (zh) 一种基于区块链的身份认证方法
KR20120119490A (ko) 인증 연동 시스템 및 방법
JP2014081887A (ja) セキュアシングルサインオン方式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720137A (zh) 一种信息管理的系统、方法以及装置
KR20230075297A (ko) 사용자 네트워크 프로파일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