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279A - 수소 광촉 음이온 살균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소 광촉 음이온 살균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279A
KR20130039279A KR1020110103832A KR20110103832A KR20130039279A KR 20130039279 A KR20130039279 A KR 20130039279A KR 1020110103832 A KR1020110103832 A KR 1020110103832A KR 20110103832 A KR20110103832 A KR 20110103832A KR 20130039279 A KR20130039279 A KR 20130039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chamber
ceramic
supply pipe
magnet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2999B1 (ko
Inventor
권기진
권선영
권근우
Original Assignee
권기진
권근우
권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진, 권근우, 권선영 filed Critical 권기진
Priority to KR1020110103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9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of me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순도의 음이온 방출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살균 및 정화처리된 공기 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 축산업 및 수산업 분야, 의료 및 식품발효 분야 등과 같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살균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11) 내에 공급실(20)과 밀폐된 독립공간의 이온화실(30), 자화(磁化)실(40), 살균실(50)을 마련하고; 상기 공급실(20)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 공급장치(21)에 결합된 제1 공급대롱(22)의 단부가 이온화실(30) 내부에 위치하게 하며, 제1 공급대롱(22)의 단부에 제1 세라믹 공급관(31)을 결합하고, 공급실(30)에 다수의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32)를 투입하여 제1 세라믹 공급관(31)의 상부에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32)가 적층되도록 하며; 상기 공급실(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공급대롱(33)의 단부가 자화(磁化)실(40) 내부에 위치하게 하고, 제2 공급대롱(33)의 단부에 제2 세라믹 공급관(41)을 결합하며, 자화실(30)에 다수의 자화(磁化) 마그네슘 구상체(42)를 투입하여 제2 세라믹 공급관(41)의 상부에 마화 마그네슘 구상체(42)가 적층되도록 하고; 상기 자화실(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 공급대롱(43)의 단부가 살균실(50) 내부에 위치하게 하고, 제3 공급대롱(43)의 단부에 제3 세라믹 공급관(51)을 결합하며, 살균실(50) 내에 천연식초(52)를 투입하여 제3 세라믹 공급관(51)이 천연식초(52)에 잠겨지도록 하고; 상기 살균실(5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4 공급대롱(53)의 단부를 케이스(11) 외부로 유출시켜 제4 공급대롱(53)의 단부에 제4 세라믹 공급관(60)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살균 정화장치는 전자 부품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그 구성을 매우 간결하게 하여 저렴한 비용에 의해 양산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와 자화 마그네슘 구상체를 이용하여 고순도의 음이온 및 수소이온이 방출되는 자연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농, 축산업 및 수산업 분야, 의료 및 식품발효 분야 등과 같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소 광촉 음이온 살균 정화장치{purifier}
본 발명은 공기 또는 물을 살균 정화해주기 위한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천연광촉 음이온 기술을 이용하여 물 또는 공기에서 고순도의 음이온 방출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물 또는 공기를 살균 및 정화시킴으로써 농, 축산업 분야 및 수산업 분야, 의료 분야 및 식품발효 분야 등과 같이 광범위한 분야에서 유익하게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물 또는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살균 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서는 대기 오염이 심각할 뿐만 아니라 황사 및 생활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 분진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대다수의 가정이나 공공시설에서는 전문적인 정화장비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고 있다.
또한, 원예 및 하우스를 이용한 집단 재배시설이나 특용 작물 재배시설, 축사를 운용하는 농, 축산업이나 수산업 등에서도 오염된 물이나 공기의 정화를 위한 정화장비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의료산업이나 음식을 발효시키는 식품산업 등에서도 정화장비의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이며, 근래에 들어서는 구제역이나 조류 독감 등과 같은 집단 전염병의 창궐이 빈번하므로 그와 같은 잔염병의 발생시에 활용할 수 있는 살균 및 정화장비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공기 정화장비에는 공기를 정화하는 단순 기능만을 수행하는 정화장비와 공기 정화 및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정화장비, 그 외 정화된 공기에서 이온이 발생하도록 한 기능을 추가한 정화장비 등이 있으며, 대부분의 정화장비는 공기의 정화에 사용이 적합하도록 제조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정화장비는 공기 중에 함유된 유해 분진을 필터링하거나 음이온 필터를 이용해 정화된 공기에서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한 것으로, 고가의 부품과 정밀한 전자 부품 등을 사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장비의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장비의 유지보수가 까다롭고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의 소요가 많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공기 정화 기능 외에 부가된 살균기능에 대해서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공기 정화장비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구조를 간결하게 함과 아울러 전자 부품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세라믹 공급관과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 자화(磁化) 마그네슘 구상체, 천연 식초 등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 및 살균시킴과 아울러 공기에서 고순도의 음이온 및 자연 수소이온의 방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살균 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살균 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라믹 공급관과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 자화(磁化) 마그네슘 구상체, 천연 식초 등으로 살균 및 정화처리를 실시한 공기를 이용하여 특질을 변화시킨 물(水)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한 살균 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허 제10-0805271호에 개시된 천연광촉 음이온 제조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천연광촉 음이온 물질의 효율적인 사용방안을 제시하여 특허 제10-0805271호 기술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에 공급실과 밀폐된 독립공간의 이온화실, 자화(磁化)실, 살균실을 마련하고; 상기 공급실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 공급장치에 결합된 제1 공급대롱의 단부가 이온화실 내부에 위치하게 하며, 제1 공급대롱의 단부에 제1 세라믹 공급관을 결합하고, 공급실에 다수의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를 투입하여 제1 세라믹 공급관의 상부에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가 적층되도록 하며; 상기 공급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공급대롱의 단부가 자화(磁化)실 내부에 위치하게 하고, 제2 공급대롱의 단부에 제2 세라믹 공급관을 결합하며, 자화실에 다수의 자화(磁化) 마그네슘 구상체를 투입하여 제2 세라믹 공급관의 상부에 마화 마그네슘 구상체가 적층되도록 하고; 상기 자화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 공급대롱의 단부가 살균실 내부에 위치하게 하고, 제3 공급대롱의 단부에 제3 세라믹 공급관을 결합하며, 살균실 내에 천연 식초를 투입하여 제3 세라믹 공급관이 천연 식초에 잠겨지도록 하고; 상기 살균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4 공급대롱의 단부를 케이스 외부로 유출시켜 제4 공급대롱의 단부에 제4 세라믹 공급관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살균 정화장치는 전자 부품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그 구성을 매우 간결하게 하여 저렴한 비용에 의해 양산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와 자화 마그네슘 구상체를 이용하여 고순도의 음이온 및 수소이온이 방출되는 자연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농, 축산업 및 수산업 분야, 의료 및 식품발효 분야 등과 같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와 자화 마그네슘 구상체, 천연 식초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음이온 및 수소이온이 방출될 뿐만 아니라 다량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살균 산소를 제공할 수 있어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자연치유력을 증가시켜 가정이나 공공시설에서 사용할 경우 위생건강에 일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병원에서 사용할 경우 치료효과의 향상까지 기대할 수 있고, 구제역이나 각종 가축 전염병의 창궐시에는 축산농가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가스용기를 연결하고 살균실에 물을 투입하여 이온화 및 자화된 가스의 압력으로 특질화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이온수, 탄산수, 수소-음이온수, 오존수 등과 같은 다양한 특질의 물을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살균 정화장치를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살균 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금 메쉬를 발췌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3,4, 세라믹 공급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백금 메쉬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2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공기 정화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11) 내부에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공급실(20), 이온화실(30), 자화(磁化)실(40), 살균실(50)을 마련하되, 각각의 이온화실(30), 자화실(40), 살균실(50)은 밀폐된 독립 공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공급실(20)의 외측에는 외기의 흡입을 위한 복수의 통기공(12)을 형성하고, 공급실(20)의 내부에는 공기 공급장치(21)를 설치하여 공기 공급장치(21)에 결합되는 제1 공급대롱(22)의 단부가 이온화실(30) 내부에 위치하게 하며, 이온화실(30) 내부에 위치한 제1 공급대롱(22)의 단부에 미세한 통기공이 조밀하게 형성된 제1 세라믹 공급관(31)을 결합하되, 제1 세라믹 공급관(31)은 공급실(30)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공급실(30)에 다수의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32)를 투입하여 제1 세라믹 공급관(31)의 상부에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32)가 층층으로 적층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32)는 특허 제10-0805271호의 기술내용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천연 광물과 모라자이트(morazite), 제노타이트(zenotine), 일라이트-운모(illite-mica), 제올라이트(zeolite), 토르마린(tourmaline) 혼합물에 물을 혼합하여 36시간 동안 숙성한 다음 150℃의 온도로 가열/건조하여 수분이 완전하게 증발되도록 하고, 건조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촉매제를 투입한 후 구상체로 성형하고, 혼합물 구상체를 100℃ 미만의 온도로 3시간 이상 처리하는 공정으로 제조한 것이며, 위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32)는 다량의 음이온을 방출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다량으로 방출하게 된다.(특허 제10-0805271호 등록특허공보 참조)
상기 공급실(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공급대롱(33)의 단부가 자화(磁化)실(40) 내부에 위치하게 하고, 자화실(40) 내부에 위치한 제2 공급대롱(33)의 단부에 미세한 통기공이 조밀하게 형성된 발포 세라믹 기둥체 형태의 제2 세라믹 공급관(41)을 결합하되, 제2 세라믹 공급관(41)은 자화실(40)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자화실(30)에 다수의 자화(磁化) 마그네슘 구상체(42)를 투입하여 제2 세라믹 공급관(41)의 상부에 자화 마그네슘 구상체(42)가 층층으로 적층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자화실(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 공급대롱(43)의 단부가 살균실(50) 내부에 위치하게 하고, 살균실(50) 내부에 위치한 제3 공급대롱(43)의 단부에 미세한 통기공이 조밀하게 형성된 발포 세라믹 기둥체 형태의 제3 세라믹 공급관(51)을 결합하되, 제3 세라믹 공급관(51)은 살균실(50)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살균실(50) 내에 천연 식초(52)를 투입하여 제3 세라믹 공급관(51)이 천연 식초(52)에 잠겨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살균실(5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4 공급대롱(53)의 단부를 케이스(11) 외부로 유출시켜 제4 공급대롱(53)의 단부에 미세한 통기공이 조밀하게 형성된 발포 세라믹 기둥체 형태의 제4 세라믹 공급관(60)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이온화실(30) 및 자화실(40), 살균실(50)의 내부 일측에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는 플레이트 형태의 백금 메쉬(34,44,54)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도록 하고, 살균실(50)의 상단에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급수관(55)을 필요에 따라 설치하여 외부에서 물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며, 살균실(50)의 하부 일측에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배출구(미도시됨)을 설치하여 내부의 물질을 배출하여 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백금 메쉬(34,44,54)는 가로로 배치된 다수의 백금 와이어(W1)와 세로로 배치된 다수의 백금 와이어(W2)에 의해 격자상의 형태를 이루게 되며,(도 3 참조) 가로로 배치된 백금 와이어(W1)와 세로로 배치된 배금 와이어(W2)에는 다른 극성의 전기를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백금 메쉬(34,44,54)에 의해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이온화실(30) 및 자화실(40), 살균실(50)을 연결하는 제2,3,4 공급대롱(33,43,53)은 중공의 파이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제2,3,4 공급대롱(33,43,53)의 하단에 외측으로 확개되는 깔대기 형태의 유입 보조수단이나 기타 다양한 형태의 유입 보조수단을 설치하여 실내 물질의 원활한 유입(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세라믹 공급관(31)과 제2 세라믹 공급관(41), 제3 세라믹 공급관(51), 제4 세라믹 공급관(60) 등은 중공의 관체로 성형하여 내부 중공영역에 복수의 세라믹볼(C)을 수납하고, 중공의 관체(B) 표면 및 통기공(H) 내면에는 옻진액 50중량%에 대하여 카본을 50중량%로 혼합한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M)을 형성하며, 관체(B)의 중공영역 내벽면에는 외부에서 전기가 공급되는 원통형 백금 메쉬(G1,G2,G3,G4)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원통형 백금 메쉬(G1,G2,G3,G4)는 가로로 배치된 다수의 백금 와이어(W1)와 세로로 배치된 다수의 백금 와이어(W2)에 의해 격자상의 형태를 이루도록 제조한 널빤지꼴의 메쉬(도 3 참조)를 둥글게 말아서 구성한 것으로, 가로로 배치된 백금 와이어(W1)와 세로로 배치된 백금 와이어(W2)에는 다른 극성의 전기를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백금 메쉬(34,44,54)에 의해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급실(20)에 마련되는 공기 공급장치(21)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이온화실(30) 및 자화실(40), 살균실(50) 등으로 경유시켜 공기에 대한 살균 및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구성하기 위해 제시한 하나의 실시예이고, 본 발명이 향유하는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공급실(20)에 연결되는 제1 공급대롱(22)에 압축 산소용기 또는 질소용기, 탄산가스용기, 오존용기, 질소용기 등을 결합하여 다양한 특질의 가스를 제공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다양한 분야에서 살균 및 정화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라 할 것이다.
<발명의 작용관계>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공급실(20)에 마련되는 공기 공급장치(21)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이온화실(30) 및 자화실(40), 살균실(50) 등을 경유하면서 공기에 대한 살균 및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공급장치(21)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제1 공급대롱(22)을 통해 이온화실(3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1 공급대롱(22)의 단부에 설치된 제1 세라믹 공급관(31)을 경유하면서 세라믹으로 제조된 중공의 관체(B) 및 그 내부에 수납된 세라믹볼(C)에 의해 원적외선을 포함하게 되고 이온화실(30) 내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관체(B)의 중공영역 내벽면에 설치된 원통형 백금 메쉬(G1)와 관체(B)의 표면 및 통기공(H)에 도포된 코팅층(M)에 의해 공기의 살균과 정화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온화실(30) 내로 공급된 공기는 제1 세라믹 공급관(31)의 상부에 적층된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32) 사이를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때,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32)에서 방출되는 다량의 음이온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공기에 포함되게 되며,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32) 사이를 빠져나온 공기는 제2 공급대롱(33)을 통해 자화실(40)로 공급된다.
이온화실(3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제2 공급대롱(33)을 통해 자화실(4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2 공급대롱(33)의 단부에 설치된 제2 세라믹 공급관(41)을 경유하면서 세라믹으로 제조된 중공의 관체(B) 및 그 내부에 수납된 세라믹볼(C)에 의해 원적외선을 포함하게 되고 자화실(40) 내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관체(B)의 중공영역 내벽면에 설치된 원통형 백금 메쉬(G1)와 관체(B)의 표면 및 통기공(H)에 도포된 코팅층(M)에 의해 공기의 살균과 정화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자화실(30) 내로 공급된 공기는 제2 세라믹 공급관(41)의 상부에 적층된 자화 마그네슘 구상체(42) 사이를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때, 자화 마그네슘 구상체(42)에 의해 공기가 자화되며, 자화 마그네슘 구상체(42) 사이를 빠져나온 공기는 제3 공급대롱(43)을 통해 살균실(50)로 공급된다.
자화실(4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제3 공급대롱(43)을 통해 살균실(5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3 공급대롱(43)의 단부에 설치된 제3 세라믹 공급관(51)을 경유하면서 세라믹으로 제조된 중공의 관체(B) 및 그 내부에 수납된 세라믹볼(C)에 의해 원적외선을 포함하게 되고 살균실(50) 내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관체(B)의 중공영역 내벽면에 설치된 원통형 백금 메쉬(G1)와 관체(B)의 표면 및 통기공(H)에 도포된 코팅층(M)에 의해 공기의 살균과 정화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살균실(50) 내로 공급된 공기는 기포화되어 살균실(50) 내에 채워진 천연 식초(52)를 뚫고 올라가는데, 이때, 천연 식초(52)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고 공기는 약산성을 띠게 되고 찬연 식초(52)를 뚫고 올라온 공기는 제4 공급대롱(43)의 제4 세라믹 공급관(60)을 경유하면서 세라믹으로 제조된 중공의 관체(B) 및 그 내부에 수납된 세라믹볼(C)에 의해 원적외선을 포함하게 되고 살균실(50) 내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관체(B)의 중공영역 내벽면에 설치된 원통형 백금 메쉬(G1)와 관체(B)의 표면 및 통기공(H)에 도포된 코팅층(M)에 의해 공기의 최종적인 살균과 정화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관(55)을 이용해 살균실(50)에 물을 투입하여 이온화 및 자화된 공기의 압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이온화 및 자화된 공기에 의해 이온화 및 자화가 이루어진 약산성의 물을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각종 가스용기를 연결해 살균 및 정화처리가 이루어진 특질화된 성질의 이온/자화수를 공급함으로써 살균 정화장치를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공급실(20)에 연결되는 제1 공급대롱(22)에 탄소가스 용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탄산수를 얻을 수 있으며, 공급실(20)에 연결되는 제1 공급대롱(22)에 수소가스 용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수소-음이온수를 얻을 수 있고, 공급실(20)에 연결되는 제1 공급대롱(22)에 오존 용기를 연결하면 오존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살균/정화된 수소-음이온수를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해 살균/정화된 수소-음이온수를 반신욕 등에 사용하거나 증류액 등을 이용하여 주사제를 만들어 투약할 경우에는 암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의료학회의 발표에 의해 암바이러스는 피막이 수소 입자로 코팅되어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암바이러스는 피막이 수소 입자로 코팅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약물주사로 분열을 일으키지 못해 별도의 항암치료(방사선치료)를 받고 있으나 수소-음이온은 수소 입자로 코팅된 암바이러스의 피막을 분해하여 바이러스를 괴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통과한 공기 및 물 혹은 기타 액체는 마이크로입자 혹은 나노입자로 작아져 침투력이 높아졌으며, 본 발명을 통과한 공기 및 물 혹은 기타 액체는 동/식물/염색에 빠르게 완벽하게 침투력을 완성 할 수 있다.
적용예 1) 항암물질과 안토니오산이 많은 빨간 열매(혹 다양한 색상 및 한약재 등)를 녹즙으로 만들어서 본 발명을 통과시킨 후 열매나 씨앗 혹은 고기 및 원단 등 다양한 물질에 적당한 시간동안 침투시키면 다양한 기능 및 향과 색상을 갖는 다양한 제품을 얻을수 있다.
적용예 2) 항암물질과 안토니오산이 많은 빨간 열매(혹 다양한 색상 및 한약재 등)를 녹즙으로 만들어서 본 발명을 통과시킨 액체에 콩을 약 2시간 정도 담근 후 콩나물을 재배하고 재배과정에서 본 발명을 통과시킨 액체를 공급하면 항균 및 살균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콩이 썩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들고 저독성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항암물질과 안토니오산의 함량이 높은 다양한 색상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
적용예 3) 항암력과 안토니오산이 많은 빨간 열매(혹 다양한 색상 및 한약재 등)를 녹즙으로 만들어서 본 발명을 통과시킨 후 버섯에 공급하면 입자가 작아서 버섯에 빠르게 침투하여 항암물질과 안토니오산의 함량이 높은 다양한 색상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다.
적용예 4) 본 발명을 통과한 액체는 입자가 작아지고 침투력이 향상되는 것을 응용할 경우 구제역 등으로 매몰한 소 돼지 닭의 근육(살부위)을 빠르게 분해할 수 있는 물질을 구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구해진 액체를 매몰 가축에 투입하면 죽은 동물 사체의 근육질이 작아져 빠른 시간에 미생물이 분해할 수 있게 되어 매몰된 가축의 사체로 인한 2차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적용예 5) 본 발명을 발효 및 효소, 술, 음료수 등을 제조하는 곳에서 활용할 경우 발효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입자가 작아지므로 침투력이 높아져 깊은 맛을 낼 수 있게 된다.
적용예 6) 본 발명을 원예(수경재배) 화웨단지에서 활용할 경우 눈에 보이지 않은 미세한 세균을 박멸할 수 있어 생산량의 증대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열매 혹은 꽃에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고 향기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다.
적용예 7) 항균력이 높은 원료 액체를 본 발명에 통과시킨 후 건물에 살포하면 콘크리트에 깊이 침투하여 각종 독성 물질을 중화시켜 새집(빌딩) 증후군을 제거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적용예 8) 본 발명을 공기 정화기로 사용할 경우 호흡장애 및 천식 등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어 병의원에서 노약자에게 도움이 되며,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적용예 9) 축분이나 계분, 돈분에 함유된 액체를 본 발명으로 통과시킨 결과 항균 살균력이 우수하여 악취를 현저히 줄였으며, 분뇨의 발효 숙성기간이 단축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적용예 10) 본 발명을 이용하여 양식장의 물을 지속적으로 여과한 결과 양식장의 물이 깨끗해질 뿐만 아니라 어류가 발생하는 각종 질병이 현저히 줄어드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작용예 11) 본 발명에 가열하고자 하는 공기 및 물을 통과시키면 통과 물질의 입자가 작아져 현저하게 빠른 속도로 물 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었는바, 본 발명은 항균 및 살균력이 우수하여 겨울철 실내 난방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경용 숲이나 치유용 숲의 온도를 부드럽고 따뜻하게 상승 시켜주고 보이지 않은 각종 유해세균을 감소시키고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고, 음이온과 원적외선 및 숲속의 신선한 피톤치드의 방출 효과를 높일 수 있었으며, 여름철에 본 발명을 땅에 묻어 사용할 경우 상온보다 차가운 지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차가운 물과 공기 에너지를 제공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10: 공기 정화장치 11: 케이스
12: 통기공 20: 공급실
21: 공기 공급장치 22: 제1 공급대롱
30: 이온화실 31: 제1 세라믹 공급관
32: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 33: 제2 공급대롱
40: 자화실 41: 제2 세라믹 공급관
42: 자화 마그네슘 구상체 43: 제3 공급대롱
50: 살균실 51: 제3 세라믹 공급관
53: 제4 공급대롱 60: 제4 세라믹 공급관

Claims (3)

  1. 케이스(11) 내에 공급실(20)과 밀폐된 독립공간의 이온화실(30), 자화실(40), 살균실(50)을 마련하며;
    상기 공급실(20)의 외측에는 외기의 흡입을 위한 복수의 통기공(12)을 형성하고, 공급실(20)의 내부에는 공기 공급장치(21)를 설치하여 공기 공급장치(21)에 결합되는 제1 공급대롱(22)의 단부가 이온화실(30) 내부에 위치하게 하며, 이온화실(30) 내부에 위치한 제1 공급대롱(22)의 단부에 미세한 통기공(H)이 조밀하게 형성된 제1 세라믹 공급관(31)을 결합하되, 제1 세라믹 공급관(31)은 공급실(30)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온화실(30)에 다수의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32)를 투입하여 제1 세라믹 공급관(31)의 상부에 천연광촉 음이온 구상체(32)를 적층하며;
    상기 이온화실(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공급대롱(33)의 단부가 자화실(40) 내부에 위치하게 하고, 자화실(40) 내부에 위치한 제2 공급대롱(33)의 단부에 미세한 통기공(H)이 조밀하게 형성된 제2 세라믹 공급관(41)을 결합하되, 제2 세라믹 공급관(41)은 자화실(40)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자화실(30)에 다수의 자화 마그네슘 구상체(42)를 투입하여 제2 세라믹 공급관(41)의 상부에 자화 마그네슘 구상체(42)를 적층하고;
    상기 자화실(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 공급대롱(43)의 단부가 살균실(50) 내부에 위치하게 하고, 살균실(50) 내부에 위치한 제3 공급대롱(43)의 단부에 미세한 통기공(H)이 조밀하게 형성된 제3 세라믹 공급관(51)을 결합하되, 제3 세라믹 공급관(51)은 살균실(50)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살균실(50) 내에 천연 식초(52)를 투입하여 제3 세라믹 공급관(51)이 천연 식초(52)에 잠겨지게 하고;
    상기 살균실(5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4 공급대롱(53)의 단부를 케이스(11) 외부로 유출시켜 제4 공급대롱(53)의 단부에 제4 세라믹 공급관(60)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라믹 공급관(31)과 제2 세라믹 공급관(41), 제3 세라믹 공급관(51), 제4 세라믹 공급관(60)은 밀폐된 중공의 관체(B)로 성형하여 내부의 중공영역에 복수의 세라믹볼(C)을 수납하고, 중공의 관체(B) 표면 및 통기공(H) 내면에는 옻진액 50중량%에 대하여 카본을 50중량%로 혼합한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M)을 형성하며, 관체(B)의 중공영역 내벽면에 외부에서 전기가 공급되는 원통형 백금 메쉬(G1,G2,G3,G4)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실(30) 및 자화실(40), 살균실(50)의 내부를 가로지르게 플레이트 형태의 백금 메쉬(34,44,54)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도록 하고, 살균실(50)의 상단에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급수관(55)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물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며, 살균실(50)의 하단부 일측에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배출구를 설치하여 내부 물질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정화장치.
KR1020110103832A 2011-10-11 2011-10-11 수소 광촉 음이온 살균 정화장치 KR10137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32A KR101372999B1 (ko) 2011-10-11 2011-10-11 수소 광촉 음이온 살균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32A KR101372999B1 (ko) 2011-10-11 2011-10-11 수소 광촉 음이온 살균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279A true KR20130039279A (ko) 2013-04-19
KR101372999B1 KR101372999B1 (ko) 2014-03-13

Family

ID=4843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832A KR101372999B1 (ko) 2011-10-11 2011-10-11 수소 광촉 음이온 살균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789A (ko) * 2020-12-16 2022-06-24 권기진 고순도 수소 음이온을 이용한 살균 및 치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15A2 (ko) * 2016-12-14 2018-06-21 탁승호 수소수를 이용한 살균 시스템
KR101926753B1 (ko) 2018-07-26 2018-12-07 조상희 용존산소 함량을 높이는 농축산용 기능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281A (ja) * 2000-11-06 2002-05-21 Hightech Kk 光触媒と特殊セラミックを組み合わせた空気清浄機
KR100514440B1 (ko) * 2003-12-17 2005-09-22 장종윤 음이온산소 및 자화기능수의 제조장치
KR20080059959A (ko) * 2006-12-26 2008-07-01 손일갑 공기 살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789A (ko) * 2020-12-16 2022-06-24 권기진 고순도 수소 음이온을 이용한 살균 및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999B1 (ko)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23888B (zh) 一种无农药棚菜生产的实用方法
CN103301497A (zh) 一种食用菌接种室和培养室的空气消毒方法
KR101372999B1 (ko) 수소 광촉 음이온 살균 정화장치
CN100566760C (zh) 浪涌场能绿色植物空气清新净化法
RU2542504C1 (ru) Способ санации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помещений в присутствии животных
CN202283006U (zh) 一种用于食品的果蔬臭氧消毒机
CN103947686B (zh) 一种中药空气消毒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633856B1 (ko) 산소와 오존을 함유한 미세기포가 녹아 있는 작물의병해충방제제
CN105794889A (zh) 一种植物酶灭菌剂的制作方法
KR200149487Y1 (ko) 음이온 및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한 공기 및 물 정화장치
CN106332922A (zh) 一种天然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CN105012973A (zh) 一种电化水用于猪场消毒的应用
CN106852288B (zh) 菲牛蛭的养殖方法
CN105010424A (zh) 一种消毒剂组合物
CN108211752A (zh) 一种除味剂及消除空间内空气异味的方法
CN108273106A (zh) 一种防感药香
CN110754155A (zh) 一种土壤连作障碍仪研制及应用
KR101477078B1 (ko) 생약성분을 포함하는 천연 탈취 및 살균제와 그 제조방법
KR102563852B1 (ko) 수소 발생 장치
CN107580923A (zh) 智能温室臭氧防病机
KR20080042222A (ko) 살균 및 항균성을 가지는 신선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1784A (ko) 유해성분 흡착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화분
CN104686596A (zh) 一种空气消毒剂
CN111838202A (zh) 一种新型除味剂
CN209884826U (zh) 臭氧消毒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