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106A -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 Google Patents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106A
KR20130039106A KR1020110103571A KR20110103571A KR20130039106A KR 20130039106 A KR20130039106 A KR 20130039106A KR 1020110103571 A KR1020110103571 A KR 1020110103571A KR 20110103571 A KR20110103571 A KR 20110103571A KR 20130039106 A KR20130039106 A KR 20130039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e port
outlet
pump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7418B1 (ko
Inventor
손일립
배성우
Original Assignee
(주)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성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성신 filed Critical (주) 디.에이치.테크
Priority to KR102011010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41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fl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86Mechanical details of the pump control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086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구와, 필터가 내장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여과부; 통수공과, 유출부가 형성되고, 임펠러가 내장되는 펌프하우징과, 모터가 내장되는 모터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핑부; 상기 펌프하우징의 유출부를 구획하고,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의 양측으로 배열되고, 상기 유출부와 연통되는 유실부와, 상기 유실부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토출구와, 상기 유실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토출구 또는 상기 제2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볼을 포함하는 토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토출구가 서로 다른 구경을 이루어진 비대칭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다른 양의 유체를 토출시킴으로써 펌프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또한 바이스패스관이 구비되어 유체의 토출 시 토출구에 과압이 작용하는 경우 토출구의 내부 압력을 감압시킴으로써 토출구의 피로도를 낮춰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고, 또한 이에 의하여 토출량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볼의 개폐 동작 시 각 토출구의 압력차이로 인한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차단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펌프의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PUMP}
본 발명은 세탁기, 식기세척기 등에 사용되는 펌프에 관한 것으로, 각 토출구가 서로 다른 구경을 이루어진 비대칭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다른 양의 유체를 토출시킴으로써 펌프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또한 바이스패스관이 구비되어 유체의 토출 시 토출구에 과압이 작용하는 경우 토출구의 내부 압력을 감압시킴으로써 토출구의 피로도를 낮춰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고, 또한 이에 의하여 토출량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볼의 개폐 동작 시 각 토출구의 압력차이로 인한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차단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펌프의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양방향 토출 펌프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7-0001764호(1997.02.15.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정, 역회전에 의해 출구가 조정되는 3방향 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몸체내측 적소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통공이 각각 마련된 격판이 고정되고, 볼과 깃이 마련된 탄성재질의 회동판이 상기 격판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동판 전방에 정ㅇ역회전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임펠러가 배치되고, 상기 몸체내측 상단부에 상기 볼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고 그 양측에 상기 볼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출구를 마련하여 정,역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임펠러가 유체에 가하는 원심력 및 회전력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2개의 출구를 자동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모터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각 출구로 선택적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경우 각 출구에는 과압이 발생할 수 있고,
이렇게 과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각 출구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며, 또한 이러한 과압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각 출구는 피로도가 누적되어 취약해지거나, 또는 파손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볼밸브가 정확히 토출구의 입구를 막지 못하여 진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동은 소음을 발생시키고, 정량을 정확히 토출하지 못하여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해결하여 보다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펌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탁기, 식기세척기 등에 사용되는 펌프에 관한 것으로, 각 토출구가 서로 다른 구경을 이루어진 비대칭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다른 양의 유체를 토출시킴으로써 펌프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또한 바이스패스관이 구비되어 유체의 토출 시 토출구에 과압이 작용하는 경우 토출구의 내부 압력을 감압시킴으로써 토출구의 피로도를 낮춰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고,
또한 이에 의하여 토출량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볼의 개폐 동작 시 각 토출구의 압력차이로 인한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차단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펌프의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유실부에 구비된 결합구와 각 토출구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결합수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밀폐부재가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함으로써 펌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구와 각 토출구 간에 분리 장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구경의 토출구를 수시로 분리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펌프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모터하우징에는 보강살이 구비되어 있어 펌핑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아 취약해지는 부위를 보강하여 줌으로써 모터하우징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필터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의 케이스와 연통되는 통수공과, 일측방향에 유출부가 형성되고, 임펠러가 내장되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과 연결되고, 모터가 내장되는 모터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핑부; 상기 토출수단은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펌프하우징의 유출부를 양방향으로 나누는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의 양측으로 배열되고, 상기 유출부와 연통되는 유실부와, 상기 유실부와 연결되고, 양방향으로 돌출 배열된 제1 및 제2 토출구와, 상기 유실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토출구 또는 상기 제2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볼을 포함하는 토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수단의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는 서로 다른 구경으로 이루어진 비대칭구조이며,
상기 토출수단의 각 토출구 중에서 구경이 작은 토출구 쪽에는 토출구 내부의 압력을 감압(減壓)시키기 위한 바이패스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구경이 작은 토출구와 연통되는 유출부의 크기는 다른 쪽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유출부의 크기보다 확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토출수단의 각 토출구 중에서 구경이 작은 토출구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여과부의 케이스로 인입되는 바이패스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토출수단의 제1 토출구 또는 제2 토출구, 또는 이들 모두를 상기 유실부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유실부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형성되고, 분절된 형태로 이루어진 장방형 형태의 결합돌기와, 상기 각 토출구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이 가능한 결합홈과, 상기 토출구의 외측면 또는 상기 결합구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기밀유지를 위한 제1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토출수단의 유실부 상부에를 덮는 보호캡이 더 구비되며,
상기 유실부의 상단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캡의 상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부에는 상기 삽입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제2 밀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밀폐부재가 상기 삽입돌기의 상단부와 상기 삽입홈의 상면부에 밀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는 세탁기, 식기세척기 등에 사용되는 펌프에 관한 것으로, 각 토출구가 서로 다른 구경을 이루어진 비대칭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다른 양의 유체를 토출시킴으로써 펌프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또한 바이스패스관이 구비되어 유체의 토출 시 토출구에 과압이 작용하는 경우 토출구의 내부 압력을 감압시킴으로써 토출구의 피로도를 낮춰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고,
또한 이에 의하여 토출량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볼의 개폐 동작 시 각 토출구의 압력차이로 인한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차단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펌프의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유실부에 구비된 결합구와 각 토출구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결합수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밀폐부재가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함으로써 펌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구와 각 토출구 간에 분리 장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구경의 토출구를 수시 분리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펌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모터하우징에는 보강살이 구비되어 있어 펌핑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아 취약해지는 부위를 보강하여 줌으로써 모터하우징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의 제1 구현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의 제1 구현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의 제1 구현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의 제2 구현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단면도 및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는
유입구(11a)와, 상기 유입구(11a)와 연결되고, 필터가 내장되는 케이스(11)를 포함하는 여과부(10); 상기 여과부(10)의 케이스(11)와 연통되는 통수공(21a)과, 일측방향에 유출부(21b)가 형성되고, 임펠러가 내장되는 펌프하우징(21)과, 상기 펌프하우징(21)과 연결되고, 모터(27)가 내장되는 모터하우징(23)을 포함하는 펌핑부(20);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펌프하우징(21)의 유출부(21b)를 양방향으로 나누는 유도부(32)와, 상기 유도부(32))의 양측으로 배열되고, 상기 유출부(21b)와 연통되는 유실부(31)와, 상기 유실부(31)와 연결되고, 양방향으로 돌출 배열된 제1 및 제2 토출구(33)(35)와, 상기 유실부(31)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토출구(33) 또는 상기 제2 토출구(35)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볼(37)을 포함하는 토출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에서, 상기 여과부(10)는
유입되는 유체를 필터에 의하여 여과하여 펌핑부(20)로 유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여과부(10)는 필터(미도시)가 내장되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는 배관이나 호스와 케이스(11)를 연결하기 위한 유입구(11a)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1)는 펌핑부(20)의 펌프하우징(21)에 형성된 통수공(21a)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11a)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를 필터로 여과한 후, 여과된 유체를 펌핑부(20)로 배출시켜 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1)의 타측에는 장착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13)에는 결합공(13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펌프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거치시키는 경우 설치장소에 형성된 연결부에 상기 결합공(13a)에 볼트나 피스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펌프를 설치장소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의 외측부 하부에는 지지브라켓(15)이 구비되어 있어 펌프의 설치 시, 설치장소에 상기 지지브라켓(15)이 거치되거나, 또는 케이스를 받침 지지함으로써 펌프의 설치 후, 펌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유입구(11a)의 지름은 상기 케이스(1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유입구(11a)와 케이스(11)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유로 사이즈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수압차에 의한 충격에 저항할 수 있도록 보강돌기(11b)가 다수 형성되어 유입구(11a)의 강도를 보강하여 줌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에서, 상기 펌핑부(20)는
상기 여과부(10)에서 유입된 유체를 펌핑하여 토출수단(3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펌핑부(20)는 상기 여과부(10)의 케이스(11)와 연통되는 통수공(21a)과, 일측방향에 유출부(21b)가 형성되고, 임펠러(25)가 내장되는 펌프하우징(21)과,
상기 펌프하우징(21)과 연결되고, 모터(27)가 내장되는 모터하우징(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성기 펌핑부(20)의 모터하우징(23) 내부에는 모터(27)가 내장되는데,
상기 모터(27)는 BLDC모터(Brushless DC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BLDC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상기 모터(27)는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아울러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27)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임펠러(25)가 내장되어 상기 모터(27)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펌프하우징(21) 내부에 고압의 펌핑압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펌핑부(20)의 펌프하우징(21)에서 상기 통수공(21a)은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10)의 케이스(11)와 연통되어 있어 상기 케이스(11)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임펠러(25)에 의하여 형성된 펌핑압에 의하여 상기 유실부(31)로 유입된다.
이는 상기 펌프하우징(21)의 유출부(21b)는 펌프하우징(21)의 내부 일측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출부(21b)는 토출수단(30)의 유도부(32)에 의하여 양방향으로 배열되며,
또한 상기 각 유출부(21b)는 토출수단(30)의 유도부(32) 양측에 배열되는 유실부(31)와 연통되어 상기 임펠러(25)의 펌핑압에 의하여 유체가 유출부(21b)로부터 상기 유실부(31)로 유입된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모터하우징(23)의 외측면에는 상기 펌프하우징(21)과의 결합부위 주변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살(23a)이 더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임펠러(25)가 배열된 공간인 펌핑실에는 고압의 펌핑압력이 걸리게 되고,
이때 상기 펌핑실이 위치하는 모터하우징(23)의 해당부위는 펌핑압력에 의한 피로가 집중되고 누적되어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펌핑실이 위치하는 모터하우징(23)의 해당부위에 다수의 보강살(23a)을 형성하여 모터하우징(23)의 강도를 보강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살(23a)은 상기 펌프하우징(21)과의 결합부위 주변에 형성되어 있어, 펌프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펌핑부(20)의 펌프하우징(21)과 모터하우징(23)을 분해 조립되는 경우 상기 펌프하우징(21)과 모터하우징(23)의 결합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하여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모터하우징(23)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에서, 상기 토출수단(30)은
상기 펌핑부(20)에 의하여 유입되는 유체를 개폐볼(37)에 의하여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유체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토출수단(30)은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펌프하우징(21)의 유출부(21b)를 양방향으로 나누는 유도부(32)와,
상기 유도부(32)의 양측으로 배열되고, 상기 유출부(21b)와 연통되는 유실부(31)와,
상기 유실부(31)와 연결되고, 양방향으로 돌출 배열된 제1 및 제2 토출구(33)(35)와,
상기 유실부(31)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토출구(33) 또는 상기 제2 토출구(35)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볼(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유도부(32)는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임펠러(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나의 유출부(21b)로 유체를 유입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유실부(31)는 상기 각 유출부(21b)와 연통되어 있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출부(21b)를 통하여 유체가 유입된다.
이렇게 상기 유실부(21b)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는 상기 각 유실부(31)가 연통된 상부 공간에 배열된 개폐볼(37)을 유입방향과 반대로 밀어 반대쪽의 토출구를 폐쇄하고, 동시에 유체의 유입방향에 위치하는 토출구는 개방되어 유체가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즉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유도부(32)는 제2 토출구(35)가 구비된 유실부(31)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도하고,
반대로 임펠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유도부(32)는 제1 토출구(33)가 구비된 유실부(31)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도부(332)는 상기 펌핑부(20)의 각 유출부(21b)와, 상기 각 유실부(31)로 임펠러(25)의 회전방향에 따라 유체를 일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개폐볼(37)을 유체압으로 밀어 상기 토출구(33)(35)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개폐볼(37)은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고무나, 엘라스토머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개폐볼(37)이 상기 각 토출구(33)(35)를 폐쇄하는 경우 탄성에 의하여 각 토출구의 입구에 확실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밀폐성능을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각 토출구(33)(35)는 서로 다른 구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유체의 토출량을 달리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힘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경우 각 토출구(33)(35)가 받는 토출압력은 상호 달리지게 된다.
즉 상기 각 토출구(33)(35) 중에서 제1 토출구(33)의 구경보다 상기 제2 토출구(35)의 구경이 작은 경우 압력은 단면적에 반비례하게 되므로,
동일한 힘으로 유체가 토출되는 경우 구경, 즉 토출구의 단면적이 작은 상기 제2 토출구(35) 측의 작용압력이 더 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토출구(35)에는 강한 작용압력에 의하여 과부하가 걸릴 수 있고, 또한 유체의 토출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토출수단에서 구경이 작은 제2 토출구(35) 내부 압력을 감압(減壓)시키기 위해 바이패스수단(60)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수단(60)으로는 두 가지의 구현례를 도입하고 있는데,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현례로는 상기 제2 토출구(35)와 연통되는 유출부(60(21b)) 및/또는 유실부(31)의 크기(D2)를 상기 제1 토출구(33)와 연통되는 유출부(21b) 및/또는 유실부(31)의 크기(D1)보다 확장되도록 하여 상기 임펠러에 의하여 바이패스되는 유체량을 증가시켜 상기 제2 토출구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키게 된다.
즉상기 제2 토출구(35)와 연통되는 유출부(60(21b)) 및/또는 유실부(31)의 크기(D2)가 상기 제1 토출구(33)와 연통되는 유출부(21b) 및/또는 유실부(31)의 크기(D1)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2 토출구(35)와 연통된 유출부(60(21b))를 통한 배출압력은 상대적으로 작게 작용하게 된다.
이는 압력은 단위면적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제2 토출구(35)와 연통된 유출부(60(21b)) 및/또는 유실부(31)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은 감소하고, 반면에 상기 임펠러(25)에 의하여 바이패스되는 유체의 양을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제2 토출구 내부의 압력은 낮아져 감압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현례로는 상기 토출수단(30)에서 구경이 작은 제2 토출구(35)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여과부(10)의 케이스(11)로 인입되는 바이패스관(60)을 도입하여 유체를 바이패스시켜 제2 토출구(35)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바이패스관(60)은 상기 제2 토출구(35)에 유입되는 일정양의 유체를 분기시켜 상기 케이스(11)로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상기 제2 토출구(35)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키고, 이때 상기 제2 토출구(35)의 작용압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스패관(60)에 의하여 상기 제2 토출구(35) 내부의 작용압력을 조절하여 줌으로써 토출수의 압력이나, 토출량을 조절하여 펌프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수단(30)의 제1 토출구(33) 또는 제2 토출구(35), 또는 이들 모두를 상기 유실부(31)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유실부(31)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구(41)와, 상기 결합구(41)에 형성되고, 분절된 형태로 이루어진 장방형 형태의 결합돌기(43)와, 상기 각 토출구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3)가 삽입이 가능한 결합홈(45)과, 상기 토출구의 단부 부분에는 환형의 수용홈(47)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47)에 장착되는 제1 밀폐부재(4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각 토출구와 결합구(41)를 견고히 결합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각 토출구와 결합구(41)가 결합된 후에는 상기 제1 밀폐부재(49)가 구비되어 있어 유체의 유동 시, 수밀성을 보장함으로써 상기 각 토출구와 결합구(41)간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각 토출구가 상기 각 결합구(41)에서 분리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상기 결합돌기(43)와 결합홈(45)을 상호 대응하도록 분절된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토출구를 상기 결합구(41)에 삽입 또는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결합홈(45)을 상기 각 결합돌기(43)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토출구를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결합홈(45)에 상기 결합돌기(43)가 삽입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구(41)에서 상기 각 토출구를 분리 또는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토출수단(30)의 유실부(31) 상부에를 덮는 보호캡(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유실부(31) 상단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삽입돌기(31a)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캡(50)의 상부에는 플랜지부(5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51)의 하면부에 상기 삽입돌기(31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7)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53)에는 제2 밀폐부재(55)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밀폐부재(55)가 상기 삽입돌기(31a)의 상단부와 상기 삽입홈(53)의 상면부에 밀착 배열된다.
즉 상기 보호캡(50)은 상기 유실부(31)의 상부를 덮어 상기 개폐볼(37)이 분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삽입돌기(31a)는 상기 삽입홈(53)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제2 밀폐부재(55)가 상기 삽입돌기(31a)의 상단부와 상기 삽입홈(53)의 상면부에 밀착되어 유체의 유동 시, 유체가 상기 유실부(31)와 보호캡(50)의 연결부위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보호캡(50)의 플랜지부(51)에는 다수의 연결공(51a)이 형성되고, 상기 유실부(31)의 외측면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돌출부(31b)가 형성되어 나사나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보호캡(50)과 유실부(31)가 견고히 고정 결합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여과부 11 : 케이스
11a : 유입구 11b : 보강돌기
13 : 장착부 13a : 결합공
15 : 지지브라켓
20 : 펌핑부 21 : 펌프하우징
21a : 통수공 21b : 유출부
23 : 모터하우징 23a : 보강살
25 : 임펠러 27 : 모터
30 : 토출수단 31 : 유실부
31a : 삽입돌기 31b : 연결돌출부
32 : 유도부 33 : 제1 토출구
35 : 제2 토출구 37 : 개폐볼
40 : 결합수단 41 : 결합구
43 : 결합돌기 45 : 결합홈
47 : 수용홈 49 : 제1 밀폐부재
50 : 보호캡 51 : 플랜지부
51a : 연결공 53 : 삽입홈
55 : 제2 밀폐부재
60 : 바이패스수단

Claims (4)

  1.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필터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의 케이스와 연통되는 통수공과, 일측방향에 유출부가 형성되고, 임펠러가 내장되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과 연결되고, 모터가 내장되는 모터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핑부;
    상기 토출수단은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펌프하우징의 유출부를 양방향으로 나누는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의 양측으로 배열되고, 상기 유출부와 연통되는 유실부와,
    상기 유실부와 연결되고, 양방향으로 돌출 배열된 제1 및 제2 토출구와,
    상기 유실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토출구 또는 상기 제2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볼을 포함하는 토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수단의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는 서로 다른 구경으로 이루어진 비대칭구조이며,
    상기 토출수단의 각 토출구 중에서 구경이 작은 토출구 쪽에는 토출구 내부의 압력을 감압(減壓)시키기 위한 바이패스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구경이 작은 토출구와 연통되는 유출부의 크기는 다른 쪽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유출부의 크기보다 확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토출수단의 각 토출구 중에서 구경이 작은 토출구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여과부의 케이스로 인입되는 바이패스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의 제1 토출구 또는 제2 토출구, 또는 이들 모두를 상기 유실부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유실부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형성되고, 분절된 형태로 이루어진 장방형 형태의 결합돌기와,
    상기 각 토출구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이 가능한 결합홈과,
    상기 토출구의 외측면 또는 상기 결합구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기밀유지를 위한 제1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수단의 유실부 상부에를 덮는 보호캡이 더 구비되며,
    상기 유실부의 상단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캡의 상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부에는 상기 삽입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제2 밀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밀폐부재가 상기 삽입돌기의 상단부와 상기 삽입홈의 상면부에 밀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KR1020110103571A 2011-10-11 2011-10-11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KR101297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571A KR101297418B1 (ko) 2011-10-11 2011-10-11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571A KR101297418B1 (ko) 2011-10-11 2011-10-11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106A true KR20130039106A (ko) 2013-04-19
KR101297418B1 KR101297418B1 (ko) 2013-08-19

Family

ID=4843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571A KR101297418B1 (ko) 2011-10-11 2011-10-11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0739A (zh) * 2017-10-12 2018-01-23 广州奥姆特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可切换双向流道的水泵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79B1 (ko) * 2015-01-14 2016-12-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978Y1 (ko) 1996-10-28 1999-09-15 전주범 유동개선형 양방향 온수순환펌프
KR100220407B1 (ko) * 1996-10-28 1999-09-15 전주범 유로전환 하우징을 지닌 온수순환펌프
KR19980067705U (ko) * 1997-05-28 1998-12-05 배순훈 수격방지장치가 일체화된 가스보일러의 순환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0739A (zh) * 2017-10-12 2018-01-23 广州奥姆特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可切换双向流道的水泵座
CN107620739B (zh) * 2017-10-12 2024-04-09 广州奥姆特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可切换双向流道的水泵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418B1 (ko) 201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86747A1 (en) Pump having selectable outlets
US20100266434A1 (en) Flow-controllable cell pump with pivotable control slide valve
CN102465886A (zh) 离心泵及具有该离心泵的家用电器
KR101297418B1 (ko)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EP2524992B1 (en)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rain hose
KR101234992B1 (ko)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양수기
CN202468462U (zh) 一种改进的双向泵
KR101250985B1 (ko) 부스터 펌프
KR20080099118A (ko) 기어 펌프
KR102146376B1 (ko) 세탁기
CN110359240B (zh) 洗衣机
KR200459968Y1 (ko) 삼방변밸브가 일체로 장착된 보일러용 순환펌프
CN107904870B (zh) 排水泵和具有其的洗衣机
CN110607659A (zh) 滚筒洗衣机及其喷淋装置
CN110607633A (zh) 一种洗衣机
KR20230001070U (ko) 다이어프램 작동식 배수펌프 유닛
KR101964588B1 (ko) 베인 로터리 압축기
CN110387699B (zh) 滚筒洗衣机及其喷淋系统
WO2019201116A1 (zh) 滚筒洗衣机及其喷淋系统
US20210140437A1 (en) Flow path conversion pump
CN110387705B (zh) 滚筒洗衣机及其喷淋系统
CN110607647A (zh) 一种洗衣机
CN110607658A (zh) 一种洗衣机
CN110387706B (zh) 滚筒洗衣机及其喷淋系统
US10975515B2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