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577A -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577A
KR20130038577A KR1020110103010A KR20110103010A KR20130038577A KR 20130038577 A KR20130038577 A KR 20130038577A KR 1020110103010 A KR1020110103010 A KR 1020110103010A KR 20110103010 A KR20110103010 A KR 20110103010A KR 20130038577 A KR20130038577 A KR 20130038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er
capacity
gas
gas sta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현동
Original Assignee
진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현동 filed Critical 진현동
Priority to KR1020110103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8577A/ko
Publication of KR2013003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4Rebates after completed purch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으로 특정 주유소에서 주유할 수 있는 유류를 미리 구입하여 정유사에 보관을 하고 있다가, 해당 주유소에서 주유를 하므로써 유류 가격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가격으로 유류를 주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유류가격이 올랐을 때 주유권을 판매하므로써 소득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OIL TRANSACTION SYSTEM}
본 발명은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으로 특정 주유소에서 주유할 수 있는 유류를 미리 구입하여 정유사에 보관을 하고 있다가, 해당 주유소에서 주유를 하므로써 유류 가격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가격으로 유류를 주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유류가격이 올랐을 때 주유권을 판매하므로써 소득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76010호(출원번호 10-2004-0003798호)에는 온라인을 통한 물품 유통방법, 유류 유통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온라인을 통한 물품 유통방법, 유류 유통방법 및 그 시스템은 소비자가 마그네틱카드, 스마트카드, 회원카드 등을 이용하여 판매측 단말기에서 회원식별을 하여야 하며, 상기와 같은 회원 식별카드가 없는 경우에는 판매측 단말기에 ID/PW, 회원 인적사항등을 입력하여 회원식별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류의 판매가격이 주유소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주유소별로 소비자가격이 책정되지 않아, 주유소의 입지여건에 따라 소비자가격이 차등화되지 않으므로 실시가 불가능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은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연결되는 단말기를 이용한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으로서,
서버에 정유사 공급가격이 입력되는 공급가격 입력단계; 서버에 주유소 소비자가격이 입력되는 소비자가격 입력단계; 서버에서 주유소별 소비자가격을 공지하는 공지단계; 소비자가 특정 주유소에서 주유할 수 있는 주유권을 구입하는 주유권 구입단계; 상기 소비자가 구입한 주유권의 주유용량이 상기 소비자의 계정에 추가되는 주유용량 추가단계; 상기 소비자가 상기 특정 주유소에서 실제로 주유하면, 상기 소비자의 계정의 주유용량을 소진시키는 주유용량 소진단계;를 갖는다.
상기 주유용량 소진단계에서 소진된 주유용량과, 각각의 소진된 주유용량별 마진 총액을 주유소 회원의 계정에 적립하는 적립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유용량 소진단계는, 상기 소비자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계정에 있는 주유용량을 차감하도록 서버에 요청하는 주유용량 차감요청과정; 서버는 상기 소비자의 계정으로부터 주유용량을 차감시키는 주유용량 차감과정; 상기 소비자 계정에서 주유용량이 차감되었음을 상기 주유소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감 주유용량 전송과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유용량 차감요청과정은, 상기 소비자가 주유하고자 하는 주유구 번호가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차감 주유용량 전송과정은, 상기 소비자가 주유하고자 하는 주유구 번호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유용량 차감요청과정은, 상기 소비자가 주유하고자 하는 차량 번호가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차감 주유용량 전송과정은, 상기 소비자가 주유하고자 하는 차량 번호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류는 휘발유, 경유뿐만 아니라, 등유, 석유, LPG가스, 액화천연가스 등 주유소, LPG충전소 등에서 취급하는 모든 상품을 의미하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게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통하여 회원식별을 하고 소비자 스스로 주유할 용량을 정하여 신청하므로 주유소 측의 실수나 의도 등에 의해 주유 용량이 왜곡될 염려가 없으며,
주유소별 소비자가격을 공지하므로 주유소별로 주유권을 판매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실시가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은 서버(10), 네트워크(30), 단말기들(40, 45)로 구성된다.
단말기들(40, 45)은 소비자 단말기(40), 주유소 단말기(45)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정유사 단말기(미도시)를 추가할 수도 있다. 소비자 단말기(40), 주유소 단말기(45)는 누가 사용하느냐의 차이로 구분할 뿐, 단말기에 차이가 있지는 않다.
소비자 단말기(40)는 스마트폰, 핸드폰, 넷북, 노트북 등 무선으로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10)는, 소비자 회원DB(11), 주유소 회원DB(12), 정유사 회원DB(13), 주유권DB(14), 소비자 가격DB(15), 정유사 가격DB(16), 주유권 발행모듈(17), 주유권 사용모듈(18), 주유권 거래모듈(19), 정산모듈(20)로 구성된다.
소비자 회원DB(11)는 주유소에서 유류를 구매하거나 주유하는 사람의 DB로 서버(10)에 회원 가입을 한 사람이다. 소비자 회원DB(11)는 통상적인 회원DB와 동일하며, 아이디, 성명, 비번,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의 인적사항 필드를 갖고 있으며, 소유하고 있는 주유권, 마일리지 등의 필드를 추가로 가질 수도 있다.
주유소 회원DB(12)는 주유소들이 회원가입을 한 DB로서, 아이디, 성명(명칭), 비번, 주민(법인)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의 인적사항 필드를 갖고 있다. 또한, 날짜별로 소비자가 실제로 주입한 주유권의 갯수 및 금액, 정유사로부터 충전을 받아야 될 주유용량, 소비자가 실제로 주입한 주유권에 의해 정유사로부터 받아야 될 마진 등의 정보필드를 추가로 가질 수도 있다.
정유사 회원DB(13)는 정유사의 아이디, 성명(명칭), 비번, 주민(법인)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의 인적사항 필드를 갖고 있다. 또한, 날짜별로 소비자가 구입한 주유권의 갯수 및 금액, 주유소로 충전해 줄 주유용량, 주유소에게 지급해야 할 마진 등의 정보필드를 추가로 가질 수도 있다.
주유권DB(14)는 소비자가 구입한 주유권에 대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주유권DB(14)는 소유자(소비자) 정보, 정유사 정보, 해당 주유권을 이용하여 주유를 할 수 있는 주유소 정보, 소비자 가격, 발행일, 소진일 등의 필드를 갖고 있으며, 주유권의 증여, 매매등이 일어난 경우에는 증여, 매매일자, 매매가격 등의 필드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소비자 가격DB(15)는 가입된 모든 주유소에서 날짜별(또는 시간별로)로 판매하는 가격이 저장되어 있다. 소비자 가격을 서버(10)를 통하여 일반에게 공지된다.
정유사 가격DB(16)는 정유사에서 각 주유소에 공급하는 가격이 저장되어 있으며, 정유사에서 단말기(미도시)를 통하여 서버에 각 주유소별로 공급가격을 입력하여 저장되며, 일반에게 공지되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유권 발행모듈(17)은 주유권을 발행하는 모듈로서, 소비자가 소비자단말기(40)를 통하여 서버(10)에 접속하여 주유권을 구입하면, 구입한 소비자의 계정으로 주유권을 발행하는 모듈로서, 발행된 주유권의 정보는 소비자 회원DB(11) 및/또는 주유권DB(14)에 저장된다.
주유권 사용모듈(18)은 소비자가 주유권을 사용하는 것을 처리한다. 소비자가 실제로 유류를 주유하기 위하여 주유소에 가서 소비자 단말기(40, 무선단말기가 바람직함)에서 자신의 계정에 있는 주유용량에서 주유할 용량을 선택하여 서버(10)로 전송하면, 주유권 사용모듈(18)은 해당 주유할 용량을 소비자의 계정에서 차감하여 계산하고 해당 주유소의 단말기(45)에 주유량, 주유구번호 또는 차량번호 등을 전송하고, 해당 주유소의 단말기(45)에서는 주유량, 주유구번호 또는 차량번호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주유용량은 주유권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주유용량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10L 주유권 한 장을 의미할 수도 있고, 해당 소비자가 계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주유용량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주유용량을 의미할 수도 있다.
주유권 거래모듈(19)은 소비자들간에 서로 주유권(또는 주유용량)을 매매하거나 증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간에 거래된 주유권(주유용량)을 정산하는 모듈이다. 주유권 거래모듈(19)은 서버(10)내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외부에서 거래가 이루어진 것을 단순히 소유주만 변경할 수 있는 시스템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정산모듈(20)은 소비자가 실제로 주유소에서 유류를 주입하여 주유권 사용모듈(18)이 작동한 경우, 정유사와 주유소간에 공급해야 할 기름의 양이나 지급해야할 마진 등을 정산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정산모듈(20)은, 소비자가 미리 구입했던 10L의 주유용량을 소진한 경우, 주유소가 10L를 정유사로부터 받을 수 있는 권한과 소비자가 소진한 주유용량 구입시에 10L에 해당하는 주유소의 마진을 주유소의 계정에 추가시켜 준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은, 공급가격 입력단계(100), 소비자가격 입력단계(200), 공지단계(300), 주유권 구입단계(400), 주유용량 추가단계(500), 주유용량 소진단계(600), 적립단계(700)로 이루어지며, 주유용량 소진단계(600)는 주유용량 차감요청과정(610), 주유용량 차감과정(620), 차감 주유용량 전송과정(630)으로 이루어진다.
공급가격 입력단계(100)는 정유사에서 주유소로 공급하는 유류가격을 입력하는 단계로서, 정유사에서 정유사 단말기(미도시)를 통하여 서버(도1의 10)에 접속하여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주유소 단말기(45)에서 입력될 수도 있다. 공급가격은 매일 변동되거나 소정의 기간을 두고 갱신할 수 있다. 공급가격은 통상적으로 정유사마다 다르고, 주유소마다 서로 다르다. 공급가격은 정유사 가격DB(도1의 16)에 입력된다.
소비자가격 입력단계(200)는 주유소에서 주유소단말기(45)를 통하여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가격을 입력한다. 소비자가격은 소비자 가격DB(도1의 15)에 입력된다. 소비자 가격은 부정기적으로 변동될 수도 있지만, 가급적 일단위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정일 전날 자정까지 입력되면 특정일에 변경된 소비자 가격이 적용되고, 특정일에 전날 자정까지 소비자 가격이 입력되지 않으면 전날의 가격을 특정일에도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단계(300)는 서버(도1의 10)에 소비자들이 소비자 단말기(도1의 40)를 통하여 접속하여 특정 주유소의 소비자 가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공지한다. 소비자 가격은 당일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가격도 날짜별로 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유권 구입단계(400)는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도1의 40)를 통하여 서버(도1의 10)에 접속하여 주유권을 구입하는 단계이다. 주유권의 구입은 통상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쇼핑하듯이 원하는 주유소의 원하는 주유권이나 주유용량을 선택하고 결제할 수 있다.
주유용량 추가단계(500)는, 주유권 구입단계(400)에서 소비자가 주유권 또는 주유용량을 구입하고 결제를 완료하면, 소비자의 계정에 주유권이나 주유용량을 추가해준다.
주유용량 소진단계(600)는 주유용량 소진단계(600)는 주유용량 차감요청과정(610), 주유용량 차감과정(620), 차감 주유용량 전송과정(630)으로 이루어진다. 주유용량 차감요청과정(610)은, 소비자가 주유권 또는 주유용량에 기재된 해당 주유소에 가서 소비자의 단말기(도1의 40)를 통하여 서버(도1의 10)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에 있는 주유용량 또는 주유권을 차감신청을 하고, 주유용량 차감과정(620)은 서버(도1의 10)에서는 소비자의 계정에서 신청한 주유용량을 차감하고, 차감 주유용량 전송과정(630)은 주유를 신청한 소비자 회원으로부터 신청된 주유 내용을 주유소 단말기(도1의 45)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주유소에서는 주유소 단말기(도1의 45)로 전송된 내용에 해당하는 주유를 해준다. 소비자의 단말기(도1의 40)은 스마트폰처럼 무선 인터넷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유용량 소진단계(600)에서 소비자의 단말기(도1의 40)에서는 해당 주유소의 주유구 번호(소비자가 주유를 하고자 하는 주유구 번호) 또는 자신의 차량번호 등을 서버(도1의 10)로 전송하고, 서버(도1의 10)에서는 주유구번호 또는 차량번호를 주유소 단말기(도1의 45)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써, 엉뚱한 차량에 주유를 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적립단계(700)는 주유용량 소진단계(600)에서 소진된 주유용량 관련 내용을 해당 주유소 계정에 적립하는 단계이다. 즉, 주유용량 소진단계(600)에서 주유된 주유량과 그에 따른 마진을 주유소 계정(도1의 12)에 적립한다. 주유소에서는 정유사로부터 유류를 충전할 때, 주유소 계정에 적립된 무료충전되는 주유량과 마진으로 정유사에 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10L를 L당 2000원에 주유권(주유용량)을 구입하였고, 당일자 주유소의 마진(소비자가-공급가)은 100원이라고 할때, 소비자가 해당 주유권(주유용량)을 사용하면, 해당 주유소는 10L를 무료로 충전할 수 있고, 1,000원을 주유소계정에 적립된 것으로 결제할 수 있다.
10. 서버 11. 소비자 회원DB
12. 주유소 회원DB 13. 정유사 회원DB
14. 주유권DB 15. 소비자 가격DB
16. 정유사 가격DB 17. 주유권 발행모듈
18. 주유권 사용모듈 19. 주유권 거래모듈
20. 정산모듈
30. 네트워크 40. 주유소 단말기
45. 소비자 단말기
100. 공급가격 입력단계 200. 소비자가격 입력단계
300. 공지단계 400. 주유권 구입단계
500. 주유용량 추가단계 600. 주유용량 소진단계
610. 주유용량 차감요청과정 620. 주유용량 차감과정
630. 차감 주유용량 전송과정 700. 적립단계

Claims (5)

  1.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연결되는 단말기를 이용한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에 정유사 공급가격이 입력되는 공급가격 입력단계;
    서버에 주유소 소비자가격이 입력되는 소비자가격 입력단계;
    서버에서 주유소별 소비자가격을 공지하는 공지단계;
    소비자가 특정 주유소에서 주유할 수 있는 주유권을 구입하는 주유권 구입단계;
    상기 소비자가 구입한 주유권의 주유용량이 상기 소비자의 계정에 추가되는 주유용량 추가단계;
    상기 소비자가 상기 특정 주유소에서 실제로 주유하면, 상기 소비자의 계정의 주유용량을 소진시키는 주유용량 소진단계;를 갖는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용량 소진단계에서 소진된 주유용량과, 각각의 소진된 주유용량별 마진 총액을 주유소 회원의 계정에 적립하는 적립단계;를 갖는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용량 소진단계는,
    상기 소비자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계정에 있는 주유용량을 차감하도록 서버에 요청하는 주유용량 차감요청과정;
    서버는 상기 소비자의 계정으로부터 주유용량을 차감시키는 주유용량 차감과정;
    상기 소비자 계정에서 주유용량이 차감되었음을 상기 주유소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감 주유용량 전송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용량 차감요청과정은, 상기 소비자가 주유하고자 하는 주유구 번호가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차감 주유용량 전송과정은, 상기 소비자가 주유하고자 하는 주유구 번호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용량 차감요청과정은, 상기 소비자가 주유하고자 하는 차량 번호가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차감 주유용량 전송과정은, 상기 소비자가 주유하고자 하는 차량 번호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
KR1020110103010A 2011-10-10 2011-10-10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 KR20130038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010A KR20130038577A (ko) 2011-10-10 2011-10-10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010A KR20130038577A (ko) 2011-10-10 2011-10-10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577A true KR20130038577A (ko) 2013-04-18

Family

ID=4843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010A KR20130038577A (ko) 2011-10-10 2011-10-10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85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6945A (ko) * 2013-11-18 2015-05-28 박경수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연료주입기 설정방법
KR101653785B1 (ko) * 2015-09-18 2016-09-09 주식회사클로버세븐 법인 주유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20766A (ko) * 2019-04-11 2020-02-26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 사용되는 도구의 속성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6945A (ko) * 2013-11-18 2015-05-28 박경수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연료주입기 설정방법
KR101653785B1 (ko) * 2015-09-18 2016-09-09 주식회사클로버세븐 법인 주유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20766A (ko) * 2019-04-11 2020-02-26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 사용되는 도구의 속성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5449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fuel
US200300331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fuel purchase incentive with the sale of a vehicle
KR20090016353A (ko) 각종 카드와 마일리지를 통합하여 사용/결제하는 방법 및그 시스템
US20090307098A1 (en) Fixed price fuel method
JP2007069923A (ja) 計量機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計量機コントロール方法、及びposシステム
KR20130038577A (ko) 정량형 유류 거래 시스템
US20200184536A1 (en) Object exchange assistant system
KR20100018678A (ko) 신용카드를 통한 기부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327513A1 (en) Fuel pre-purchasing and shar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2202154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funding a purchase
US20190016585A1 (en) Consumer wholesale gas discount card system
JP2011022819A (ja) 二酸化炭素排出権付きガスの販売管理システムおよびガス代金の電子請求・決済システム
KR20130015863A (ko) 금융기관의 유가보조금 관리 시스템
US201700395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funds data
KR101499099B1 (ko) 석유 제품의 공동 구매 방법 및 석유 제품 공동 구매를 위한 장치
KR101243976B1 (ko) 오프라인 할인 쿠폰방을 이용하는 할인 쿠폰 제공 시스템 및 할인 쿠폰 제공 방법
KR20090120129A (ko) 가상지갑의 충전 및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7466B1 (ko) 주유 예약 매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47713B1 (ko) 무선단말기에서 연료주입기를 설정하는 방법
KR100321484B1 (ko) 마일리지 결제시스템 및 방법
JP5877398B2 (ja) 取引情報登録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02155A (ko) 결제 수단 관리 장치
KR20180090946A (ko) 연료의 외상거래 시스템
KR20220000887A (ko)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연료주입기 설정방법
KR100600888B1 (ko) 온라인을 통한 물품 유통 방법, 유류 유통 방법 및 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