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467A - 전자칠판 시스템 및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칠판 시스템 및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467A
KR20130038467A KR1020110102839A KR20110102839A KR20130038467A KR 20130038467 A KR20130038467 A KR 20130038467A KR 1020110102839 A KR1020110102839 A KR 1020110102839A KR 20110102839 A KR20110102839 A KR 20110102839A KR 20130038467 A KR20130038467 A KR 20130038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en
electronic
electronic blackboard
encoding pattern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훈
Original Assignee
(주)펜제너레이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펜제너레이션스 filed Critical (주)펜제너레이션스
Priority to KR102011010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8467A/ko
Publication of KR20130038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표면에 광학 판독용 인코딩 패턴을 형성하여 전자펜에서 표면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펜의 위치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수단과 연결된 전자칠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단에 설치되는 광학 판독가능한 인코딩 패턴이 형성된 투명 필름; 및 전자칠판 또는 투명 필름에 형성된 광학 판독가능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상기 연산수단에 전송하고 식별코드를 가지는 전자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칠판 시스템 및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ELECTRONIC BOARD}
본 발명은 전자칠판 시스템 및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펜에 구비된 이미지센서를 이용해 표면에 형성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전자펜의 궤적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단하고 전자펜의 궤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칠판은 일반적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중앙에 설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전자펜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외부에 감지 센서를 장착하여 전자펜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칠판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터치 스크린 방식이나, 외부 감지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은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커질수록 전자칠판의 단가가 올라가고, 전력소비가 급증하며, 전자펜 궤적 인식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에 따라, 전자칠판 표면에 표면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 패턴을 인간의 시각으로 판단이 어려울 정도로 미세하게 형성하고, 광학 센서를 가지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전자펜의 궤적을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상용화 되고 있다.
이러한 인코딩 패턴을 이용하는 전자칠판에 대해서는 일본특허출원 제2008-166548호(발명의 명칭 : 전자 칠판 장치 및 전자 칠판용 마커 장치)(이하 '선행발명')외에 다수 출원 및 등록되어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투명한 필기 면과, 이 필기 면의 이면에 형성되는 위치 정보 패턴(pattern)과, 상기 필기 면에 필기하는 마커(marker) 장치를 갖고, 상기 마커(marker) 장치에는, 상기 위치 정보 패턴(pattern)을 검출하는 광학 판독 수단과, 이 위치 정보로부터 필기 궤적 데이터(data)를 산출하는 연산수단과, 이 필기 궤적 데이터(data)를 보존하는 기억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정보 패턴을 인식하여 전자펜의 궤적을 추적하기 때문에 필기의 정확성이 강화되었다.
다만, 전자칠판에 필기를 하기위해서는 강의자가 항상 전자칠판 앞에 서서 필기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전자칠판 이면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자칠판의 크기가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제약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칠판 뿐만 아니라 강의용 교탁이나 노트 등 인코딩 패턴이 인쇄된 표면이면 어디에서나 필기를 가능 하도록 하며, 전자칠판에 LCD 등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지 않고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전자칠판의 크기를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제약받지 않고 대형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펜의 위치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수단과 연결된 전자칠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단에 설치되는 광학 판독가능한 인코딩 패턴이 형성된 투명 필름; 및 전자칠판 또는 투명 필름에 형성된 광학 판독가능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상기 연산수단에 전송하고 식별코드를 가지는 전자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인코딩 패턴은, 일정한 간격으로 가상의 격자선을 형성하고, 가상의 격자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마크가 형성되며, 상기 마크와 가상의 격자선의 교점의 위치에 의해 마크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a) 전자펜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b) 상기 위치정보를 기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어느 표면에 형성된 위치정보인지 판단하는 기능; (c)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전자펜의 궤적을 프로젝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b) 기능은, 전자펜으로부터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입력받는 경우 어느 표면에 형성된 위치정보인지 판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c) 기능은, 위치정보로부터 판단된 표면에 따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전자펜 궤적의 색상, 굵기 또는 선의 종류를 달리하여 프로젝터 또는 디스플레이의 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칠판 뿐만 아니라 강의용 교탁이나 노트 등 인코딩 패턴이 형성된 표면이면 어디에서나 필기를 가능 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키고,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전자칠판의 크기를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제약받지 않고 대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 시스템의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패턴의 마크.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패턴의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사용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필름의 개략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의 흐름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 시스템(100) 및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6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칠판 시스템(100)은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로젝터(10), 디스플레이 장치(20) 및 전자펜(130)의 위치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수단(30)과 연결되어, 인코딩 패턴이 형성된 전자칠판(110),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 상단에 형성된 투명필름(120) 및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는 전자펜(130)을 포함한다. 이때, 전자칠판(110)은 디스플레이 장치(20) 상단에 형성된 투명필름(120)으로 대체되어 다수의 투명필름(120)을 이용하여 전자칠판 시스템(100)을 구현할 수 도 있다.
상기 전자칠판(110)은 상기 프로젝터(10)에 의한 영상이 영사되고, 광학 판독가능한 인코딩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인코딩 패턴은 전자펜(130)에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하게 형성되어 전자펜(130)에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코딩 패턴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가상의 격자선(121)과 마크(125)를 포함한다.
상기 마크(125)는 위치 정보를 전자펜(130)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상의 격자선(121)의 교점(123)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각각의 마크(125)는 마크값을 가지고, 마크값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수이다. 그리고, 마크(125)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직선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에는 한 종류의 마크(12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마크(125)가 가상의 격자선(121)의 교점(123)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마크값이 결정된다. 전자펜(130)은 이러한 다수의 마크(125)를 감지하여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도 2 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가상의 격자선(121)의 교점(123)과 마크(125)와의 관계에 따라 4가지의 위치에 존재 할 수 있고, 마크(125)가 a와 같이 상기 교점(123)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마크값을 "1"로, b와 같이 상단에 위치하는 하는 경우 마크값을 "2"로, c와 같이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마크값을 "3"으로, d와 같이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마크값을 "4"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마크(125)는 상기와 같이 가상의 격자선(121) 위에 항상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대각선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가상 격자선(121)의 교점(123)에 다수의 마크(125)가 형성되어 위치를 나타낼 수 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마크값은 x좌표 코드와 y좌표 코드로 분리되어 x좌표, y좌표로 분리되어 위치를 지정할 수 도 있다.
상기 가상의 격자선(121)은 광학 필름 상에 눈에 보이지 않는 기준선으로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 및 세로로 형성된다. 격자선(121)사이의 거리는 대략 250㎛ 내지 300㎛가 바람직하다. 가상의 격자선(121)의 교점(123)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크(125)가 형성되는데 격자선(121)사이의 거리의 1/4 내지 1/8이 바람직하고, 격자선(121)의 교점(123)을 중심으로 격자선(121)상의 4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격자선(121)의 교점(123)마다 하나의 마크(125)를 연관시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마크(125)와 격자선(121)의 교점(123)과의 거리를 1/4와 1/8로 두가지로 분류하여 하나의 격자선(121)의 교점(123)에 두 개 이상의 마크(125)와 연관시킬 수도 있다.
전자펜(130)에서 다수의 마크(125)를 이용하여 가상의 격자선(121)을 기준으로 마크(125)가 형성된 위치를 이용하여 표면의 좌표값을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자펜(130)에서 6x6 크기의 인코딩 패턴을 감지한 경우 가로세로 6개씩 36개의 마크(125)는 각각의 마크값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마크값을 이용하여 좌표값을 광학 장치에서 판단할 수 있다. 마크값이 4개의 상이한 수를 지칭한다면 36개의 마크(125)를 포함하는 인코딩 패턴의 경우 4의 36승, 대략 47223664828696 억 개의 좌표값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투명필름(120)은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표면 상단에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광학 판독 가능한 인코딩 패턴을 포함한다. 이때, 인코딩 패턴은 전자칠판(110)의 패턴과 같은 종류의 패턴을 사용하나, 인코딩 패턴에 할당된 위치정보는 구별 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들어 좌표값 중 1 내지 1000의 영역은 전자칠판(110)에 할당하고, 1001 내지 10000의 영역은 투명필름(120)에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필름(120)과 전자칠판(110)의 위치정보의 할당 영역이 다르기 때문에 전자펜(130)에서는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어느 표면에 필기되고 있는 것인지 판단 할 수 있다.
상기 투명필름(120)에 형성되는 인코딩 패턴은 가시광선 하에서 불투명한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될 수 도 있으나 가시광선 하에서는 투명하지만 적외선하에서만 불투명한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적외선 하에서 불투명한 잉크를 사용할 경우 전자펜(130)의 이미지 센서부에서 가시광선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적외선만을 이용하여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인코딩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덧붙여, 전자칠판(110)도 프로젝터를 이용하지 않고 LCD 등 디스플레이 상에 투명필름을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상에 투명필름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투명필름마다 할당되는 인코딩 패턴의 좌표값을 달리하여 전자펜(130)에서 좌표값을 인식하는 경우 어느 투명필름에 필기 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펜(130)은 도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칠판(110)과 투명필름(120)에 형성된 광학 판독가능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연산수단(30)에 전송한다. 전자펜(130)은 광학 판독가능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기 위하여 조명부(131)와 이미지 센서부(133)를 포함한다. 조명부(131)에서는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빛을 표면에 조사하고, 조사한 빛이 표면을 반사하여 이미지센서부(133)에 입사하면 표면에 형성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한 인코딩 패턴으로부터 표면의 좌표값을 계산하여 전자펜의 식별코드와 함께 위치정보를 연산수단(30)으로 전송한다.
참고로, 상기 위치정보는 광학 판독가능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판단한 표면의 좌표값과 전자펜의 식별코드를 포함한다.
연산수단(30)은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P 등 연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전자펜(13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화면에 표시될 영상 정보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 또는 프로젝터(10)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전자펜(130)의 궤적을 표시하기 위해 도 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칠판(110) 또는 투명필름(120)에 형성된 인코딩 패턴을 이용하여 전자펜(130)의 위치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연산수단(30)에 설치되고 전자펜(13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S100), 위치정보를 기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어느 표면에 형성된 위치정보인지 판단한다(S200).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전자펜(130)의 궤적을 프로젝터(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영상에 표시하도록 한다(S300).
구체적으로, 전자펜(130)은 전자칠판(110) 또는 투명필름(120)에 형성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인코딩 패턴이 지시하는 좌표값을 얻는다. 위치정보는 상기 좌표값과 전자펜의 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전자펜(130)이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좌표값을 계산한다. 감지하는 속도는 초당 10프레임 내지 100프레임이며, 조명 밝기, 필기 장소 등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인코딩 패턴이 지시할 수 있는 좌표값은 다수의 영역으로 할당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칠판(110)의 표면과 투명필름(120)의 표면을 다른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전자칠판(110)을 이용하지 않고 다수의 투명필름(120)를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형성하는 경우 투명필름의 좌표값을 다른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전자칠판(110)과 투명필름(120)의 표면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크기를 영상크기에 맞게 보정해야한다.
따라서, 연산수단(30)은 전자펜(130)으로부터 전자펜(130)의 위치정보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어느 전자펜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인지 판단한다. 또한, 수신된 위치정보의 좌표값이 어느 표면에 할당된 좌표값인지 판단하고 해당 표면의 크기 비율에 맞게 필기 궤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프로젝터(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전자펜(13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입력받는 경우에는 어느 표면에 형성된 위치정보인지 판단하지 않도록하여 작동과정의 시간을 단축시킨다.
그리고, 위치정보로부터 판단된 표면 또는 전자펜의 에 따라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전자펜(130) 궤적의 색상, 굵기 또는 선의 종류를 달리하여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자칠판(110)에 필기하는 경우 빨간색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사용하는 경우 파란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강의자가 쓰는 전자펜과 학생이 쓰는 전자펜의 식별코드를 다르게 하여 필기하는 사람이 쓰는 전자펜의 식별코드에 따라 선의 종류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강의자가 전자칠판(110)에 필기하면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학생이 자신이 보유한 디스플레이 장치(20) 상단의 투명필름(120)이 필기하는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하여 표시되는 위치에 따라 선의 종류를 달리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 시스템(100) 및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의 작동과정 및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효과를 살펴본다.
강의자는 전자펜(130)을 이용하여 전자칠판(110)에 필기하는 경우 전자펜(130)에서 전자칠판(110)에 형성된 인코딩 패턴을 연속적으로 감지하여 절대값과 전자펜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연산수단(30)으로 전송한다. 연산수단(30)에서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전자펜으로 필기하였는지 감지하고, 필기된 좌표값이 전자칠판(110)에 해당하는 영역임을 감지한다. 이어서, 전자칠판(110)에 필기한 궤적을 전자칠판(110)의 크기에 맞는 비율로 보정하고 프로젝터(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자칠판(110)에 기 설정된 시간인 3초 이내에 연속적으로 필기할 경우에는 어느 표면에 판단하지 않고 같은 표면인 전자칠판(110)에 필기한 것으로 판단한다.
뒤이어, 학생이 전자펜(13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 상단에 형성된 투명 필름에 필기하는 경우 연산수단(30)에서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학생이 필기한 것임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 영역에 필기된 것임을 판단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크기에 맞는 비율로 필기 궤적을 보정하여 프로젝터(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인코딩 패턴을 이용하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모션센서 방식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고 전력소비도 절감되며 위치정보의 정확성은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칠판(110) 뿐만 아니라 다수의 투명필름에 인코딩 패턴을 형성하여 투명필름을 설치한 강의용 교탁이나 노트 등 어디에서나 필기를 가능 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키고, 프로젝터(10)를 이용하여 전자칠판(110)의 크기를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제약받지 않고 대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펜(130)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어느 전자펜으로 감지된 필기내용인 것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자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프로젝터 20 : 디스플레이 장치
30 : 연산수단 100 : 전자칠판 시스템
110 : 전자칠판 120 : 투명필름
121 : 격자선 123 : 교점
125 : 마크 130 : 전자펜

Claims (7)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펜의 위치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수단과 연결된 전자칠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단에 설치되는 광학 판독가능한 인코딩 패턴이 형성된 투명 필름; 및
    전자칠판 또는 투명 필름에 형성된 광학 판독가능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상기 연산수단에 전송하고 식별코드를 가지는 전자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패턴은,
    일정한 간격으로 가상의 격자선을 형성하고, 가상의 격자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마크가 형성되며, 상기 마크와 가상의 격자선의 교점의 위치에 의해 마크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광학 판독가능한 인코딩 패턴이 형성된 전자칠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4.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전자펜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b) 상기 위치정보를 기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어느 표면에 형성된 위치정보인지 판단하는 기능;
    (c)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전자펜의 궤적을 프로젝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에 표시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 기능 이후에,
    (a-1)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전자펜을 이용하여 필기한 것인지 구별하는 기능;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 기능은,
    전자펜으로부터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입력받는 경우 어느 표면에 형성된 위치정보인지 판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기능은,
    위치정보로부터 판단된 표면 또는 전자펜의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전자펜 궤적의 색상, 굵기 또는 선의 종류를 달리하여 프로젝터 또는 디스플레이의 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10102839A 2011-10-10 2011-10-10 전자칠판 시스템 및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30038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39A KR20130038467A (ko) 2011-10-10 2011-10-10 전자칠판 시스템 및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39A KR20130038467A (ko) 2011-10-10 2011-10-10 전자칠판 시스템 및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67A true KR20130038467A (ko) 2013-04-18

Family

ID=4843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839A KR20130038467A (ko) 2011-10-10 2011-10-10 전자칠판 시스템 및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84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365A1 (ko) * 2014-01-17 2015-07-23 주식회사 쏠리드에듀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9009480A1 (ko) * 2017-07-07 2019-01-10 황문진 닷코드를 이용한 전자칠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365A1 (ko) * 2014-01-17 2015-07-23 주식회사 쏠리드에듀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9009480A1 (ko) * 2017-07-07 2019-01-10 황문진 닷코드를 이용한 전자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44208B (zh) 结合笔跟踪的多点触摸触摸屏
JP5411265B2 (ja) ペントラッキングを組み込んだマルチタッチ式タッチスクリーン
RU2669717C2 (ru) Система рукописного ввода/вывода, лист рукописного ввода, система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и лист,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ввод информации
US20120249422A1 (en) Interactive input system and method
EP2713251A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virtual handwritten input
WO2018010062A1 (zh) 一种电子字帖、练字笔及系统
JP5772390B2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415654A (zh) 虚拟输入系统和相关方法
JP4761523B2 (ja) 筆記練習システムおよび筆記練習プログラム
JP5560151B2 (ja) 手書き図形認識システム、手書き図形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293260B (zh) 光学式触控装置及其感测方法
KR20130038467A (ko) 전자칠판 시스템 및 전자칠판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40055415A1 (en) Touch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touch screen
CN102004584B (zh) 有源笔定位显示方法及装置
JP2001014100A (ja) 手書入力装置及び書き方学習装置
KR101359662B1 (ko) 디지털 펜 시스템
CN206193742U (zh) 触控感应器外露型触控区和笔写区一体式电子白板
JP6373664B2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06178752U (zh) 触控感应器内陷型触控区和笔写区一体式电子白板
JP6160082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評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048165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電子ペ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90133441A (ko) 카메라를 이용한 유효포인트 추적방식의 인터랙티브 터치스크린
TWI557634B (zh) 手持式裝置和其操作方法
JP5623966B2 (ja) 可搬可能な電子黒板システムにおける再帰性反射材の設置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89569A (ko) 전자칠판의 와이드 화면 인식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