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895A -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895A
KR20130037895A KR1020110102410A KR20110102410A KR20130037895A KR 20130037895 A KR20130037895 A KR 20130037895A KR 1020110102410 A KR1020110102410 A KR 1020110102410A KR 20110102410 A KR20110102410 A KR 20110102410A KR 20130037895 A KR20130037895 A KR 2013003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adhesive resin
solar cell
resin composition
fluo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047B1 (ko
Inventor
박원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씨
Priority to KR1020110102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0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에 권취된 불소계 필름을 권출시키는 단계; 상기 권출되는 불소계 필름의 일측면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1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일측면에 기재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불소계 필름에 적층된 기재 필름 상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일측면에 불소계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모두에 안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Backside Protective Sheet Having Color for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수지층을 이용하여 권출되는 불소계 필름상에 기재 필름 및 불소계 필름을 적층한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태양전지모듈은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서, 무공해, 무소음, 무한 공급 에너지라는 장점을 갖춰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태양전지모듈은 통상 강화유리, EVA 필름, 태양전지 셀, EVA 필름, 이면 보호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적층된 모듈을 진공상태에서 고온 압축 라미네이팅 처리하여 제조한다.
특히, 태양전지모듈은 태양광을 잘 받을 수 있도록 옥외에 설치되므로, 눈, 비 등의 외부 환경에 견딜 수 있도록 그 배면에 백시트로서 태양전지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트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시트는 방수, 절연 및 자외선 차단 역할을 제공함과 동시에 태양전지모듈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높은 온도 및 습도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된다.
전술한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는 대표적으로 PVF/PET/PVF가 적층된 구조를 갖고, 일부 제품의 경우 PVF 등의 불소계 필름/PET/EVA, PE 등의 수지가 필름 형태로 적층된 구조로 제조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는 통상 PET 필름에 PVF 필름을 1차 라미네이션하여 적층한 후 1차 경화하고, PVF 필름이 적층된 PET 필름에 다른 PVF 필름이나 EVA, PE 등의 수지 필름을 2차 라미네이션하여 적층한 후 2차 경화시키는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제조된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10-2011-0099361
본 발명은 불소계 필름의 일측면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시켜 접착수지층을 형성한 후 기재 필름을 적층하고, 적층된 기재 필름의 일측면에 다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시켜 접착수지층을 형성한 후 불소계 필름을 적층함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안료가 포함되어 연속공정으로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보호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롤러에 권취된 불소계 필름을 권출시키는 단계;
상기 권출되는 불소계 필름의 일측면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1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일측면에 기재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불소계 필름에 적층된 기재 필름 상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일측면에 불소계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모두에 안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불소계 필름의 일측면에 용융압출을 통해 접착수지층을 형성한 후 기재 필름을 적층하고, 적층된 기재 필름의 일측면에 다시 용융압출을 통해 접착수지층을 형성한 뒤 불소계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연속공정에 의해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필름을 신속하고 저렴하게 양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융압출되어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안료가 포함되어 제조된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필름에 색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롤러에 권취된 불소계 필름을 권출시키는 단계; 상기 권출되는 불소계 필름의 일측면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1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일측면에 기재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불소계 필름에 적층된 기재 필름 상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일측면에 불소계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모두에 안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는 태양전지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로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이면에 부착되어 적용되므로 백시트(back sheet)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 특정적으로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는 불소계 필름상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접착수지층을 형성한 후 기재필름을 적층, 또는 합지하여 적층하고, 상기 불소계 필름이 적층된 기재 필름의 배면에 다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접착수지층을 형성한 뒤 불소계 필름을 적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 예를 들면 불소계 필름상에 접착수지층(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또는 상기 불소계 필름이 적층된 기재 필름의 배면에 접착수지층(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안료가 포함되어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에 색상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로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 특정적으로 안료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자외선 흡수제 0.5 내지 2.0중량부; 안료 5 내지 2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수지층, 예를 들면 1차 및/또는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는 핫 멜팅(hot melting) 수지, 예를 들면 PVB, PE, EVA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핫 멜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핫 멜팅 수지가 용융압출되어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경우, 별도의 건조공정 없이 기재 필름이 접착수지층에 의해 불소계 필름과 합지되어 적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압출은 압출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280 내지 330℃의 온도로 용융시켜 압출하는 것이 좋고,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것은 티다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PET, 저 함량 올리고머(low oligomer) PET, PI, PE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상기 불소계 필름은 PVF, PVDF, THV 수지, TFE, PCTFE, ETF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은 롤러에 권취된 불소계 필름을 권출시키는 단계(S10); 상기 권출되는 불소계 필름의 일측면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20); 상기 1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일측면에 기재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S30); 상기 불소계 필름에 적층된 기재 필름 상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40); 및 상기 2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일측면에 불소계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모두에 안료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에 권취된 불소계 필름을 권출시키는 단계(S10)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를 구성하는 불소계 필름이 미리 권취된 롤러로부터 불소계 필름을 권출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불소계 필름은 불소 성분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으로서,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 특정적으로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에 내구성 및 절연성을 제공한다.
상기 불소계 필름으로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물질로는 PVF(Polyvinyl fluorid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THV 수지, TFE(Tetrafluoroethylene), PCTFE(Polychlorotri-fluoroethylene), ETFE(Ethylene tetrafluoroethyl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권출되는 불소계 필름의 일측면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20)는 권출되는 불소계 필름에 기재 필름을 합지시켜 적층하기 위한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접착수지층, 특정적으로 1차 접착수지층은 불소계 필름과 기재 필름을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접착력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핫 멜팅(hot melting)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핫 멜팅 수지로는 폴리우레탄계 핫 멜팅, 아크릴계 핫 멜팅, PVB계 핫 멜팅 수지 등이 사용 가능하나, 백시트의 사용 여건을 고려할 때 PVB, PE, EVA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핫 멜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티다이를 통해 압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융압출은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280 내지 330℃의 온도로 용융시켜 압출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필름의 일측면에 형성된 1차 접착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 내지 25㎛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1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일측면에 기재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S30)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를 구성하는 불소계 필름에 기재 필름을 합지시켜 적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재 필름은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 특정적으로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에 절연성 및 강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필름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추천하기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저 함량 올리고머(low oligomer) PET, PI(Polyimide), PEN(Polyethylene naphthal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과 불소계 필름은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불소계 필름에 형성되는 1차 접착수지층이 핫 멜팅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용융압출되어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건조공정 없이 핫 멜팅 수지가 용융압출되며 기재 필름에 제공되어 상기 불소계 필름과 기재 필름을 합지시켜 적층한다.
이때, 상기 기재 필름은 별도의 롤러에 미리 권취된 후 용융압출에 의해 불소계 필름에 1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됨과 동시에 불소계 필름에 형성된 1차 접착수지층으로 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계 필름에 적층된 기재 필름 상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40)는 불소계 필름에 적층된 기재 필름의 일측면, 예를 들면 기재 필름의 배면에 불소계 필름을 합지시켜 적층하기 위한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접착수지층, 특정적으로 2차 접착수지층은 기재 필름과 불소계 필름을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접착력을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핫 멜팅(hot melting)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핫 멜팅 수지로는 폴리우레탄계 핫 멜팅, 아크릴계 핫 멜팅, PVB계 핫 멜팅 수지 등이 사용 가능하나, 백시트의 사용 여건을 고려할 때 PVB, PE, EVA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핫 멜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핫 멜팅 수지가 용융압출되어 접착수지층, 예를 들면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경우, 별도의 건조공정 없이 불소계 필름이 2차 접착수지층에 의해 기재 필름에 합지되어 적층된다.
또한, 상기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핫 멜팅 수지는 티다이를 통해 압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융압출은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280 내지 330℃의 온도로 용융시켜 압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의 일측면에 형성된 2차 접착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 내지 25㎛일 수 있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수지층, 예를 들면 1차 및/또는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자외선 흡수제 0.5 내지 2.0 중량부; 안료 5 내지 2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안료가 포함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가 색상을 띄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수지는 핫 멜팅(hot melting)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핫 멜팅 수지로서 예시적으로 PVB, PE, EVA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핫 멜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자외선 흡수제는 압출수지의 자외선에 의한 탈색,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수지층, 특정적으로 1차 접착수지층 및/또는 2차 접착수지층이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통상적인 자외선 흡수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일례로서, benzophenone계, benzotriazole계, salicylic계, acrylonitrile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사용량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사용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자외선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압출공정중 자외선 흡수제의 과다로 인해 압출수지의 핵역할을 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중심으로 Gel(겔, 수지의 뭉침 현상)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안료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에 색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안료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안료의 일례로서, 산화티타늄, 탄산칼슘, 카본블랙, 구리-크롬-망간 합금 등의 복합 금속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의 사용량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안료의 사용량의 5 중량부 미만이면,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 특정적으로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를 구성하는 접착수지층에 충분한 색상을 제공할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성 및 가수분해 저항성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특정적으로 안료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용융압출되어 형성된 접착수지층, 특정적으로 1차 접착수지층 및/또는 2차 접착수지층이 산화되는 것, 즉 노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산화방지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일례로서, 펜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디에틸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티오비스(6-t-부틸-m-크레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티이오비스[2-(1,1-디-메티에틸)-5-메틸-페놀,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터트-뷰틸-4-하이드록시시나네이트)-메탄 등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사용량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일측면에 불소계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S50)는 최종적인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를 구성하는 불소계 필름이 적층된 기재 필름의 일측면에 다른 불소계 필름을 합지시켜 적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불소계 필름과 기재 필름은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재 필름에 형성되는 2차 접착수지층이 핫 멜팅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가 용융압출되어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건조공정 없이 핫 멜팅 수지가 용융압출되며 기재 필름에 제공되어 상기 기재 필름과 불소계 필름을 합지시켜 적층한다.
이때, 상기 불소계 필름은 별도의 롤러에 미리 권취된 후 용융압출에 의해 기재 필름에 2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됨과 동시에 기재 필름에 형성된 2차 접착수지층으로 권출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필름은 불소 성분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필름으로서,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에 내구성 및 절연성을 제공한다.
상기 불소계 필름으로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물질로는 PVF(Polyvinyl fluorid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THV 수지, TFE(Tetrafluoroethylene), PCTFE(Polychlorotri-fluoroethylene), ETFE(Ethylene tetrafluoroethyl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롤러에 권취된 불소계 필름을 권출시키는 단계;
    상기 권출되는 불소계 필름의 일측면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1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일측면에 기재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불소계 필름에 적층된 기재 필름 상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접착수지층이 형성된 일측면에 불소계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1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2차 접착수지층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모두에 안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자외선 흡수제 0.5 내지 2.0 중량부; 안료 5 내지 2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PVB, PE, EV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산화티타늄, 탄산칼슘, 카본블랙, 구리-크롬-망간 합금 등의 복합 금속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포함하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필름은 PVF, PVDF, THV 수지, TFE, PCTEF, ETF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PET, 저 함량 올리고머 PET, PI, PE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압출은 티다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압출은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280 내지 330℃의 온도로 용융시켜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10102410A 2011-10-07 2011-10-07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KR10127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410A KR101276047B1 (ko) 2011-10-07 2011-10-07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410A KR101276047B1 (ko) 2011-10-07 2011-10-07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895A true KR20130037895A (ko) 2013-04-17
KR101276047B1 KR101276047B1 (ko) 2013-06-20

Family

ID=4843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410A KR101276047B1 (ko) 2011-10-07 2011-10-07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0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348A1 (ko) 2018-12-11 2020-06-18 주식회사 포스코 다공성 폴리실록산 필름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폴리실록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CN117126615A (zh) * 2023-07-14 2023-11-28 广东省公路建设有限公司湾区特大桥养护技术中心 一种氟碳聚合物复合缠包带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486A (ja) * 1998-10-13 2000-04-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ル用表面保護シ−ト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太陽電池モジュ−ル
KR101076787B1 (ko) * 2010-03-02 2011-10-25 주식회사 에스에프씨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348A1 (ko) 2018-12-11 2020-06-18 주식회사 포스코 다공성 폴리실록산 필름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폴리실록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KR20200071359A (ko)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포스코 다공성 폴리실록산 필름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폴리실록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CN117126615A (zh) * 2023-07-14 2023-11-28 广东省公路建设有限公司湾区特大桥养护技术中心 一种氟碳聚合物复合缠包带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047B1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57591B (zh) 一种太阳能电池背板及其制备方法
WO2011158777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1615635B (zh) 耐热处理的太阳能电池背板
JP200109413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05781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89566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03581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076787B1 (ko)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KR101276047B1 (ko)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JP597458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275912B1 (ko) 색상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CN101817245B (zh) 太阳能电池组件
JP2018027689A (ja) 多層フィルム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1077089A (ja) 太陽電池用裏面側封止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130153008A1 (en) Photovoltaic module
KR101125184B1 (ko)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US20120211057A1 (en) Photovoltaic back sheet laminates, photovoltaic modules comprising photovoltaic back sheet laminates, and methods for making photovoltaic back sheet laminates
WO2016060163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
TW201331040A (zh) 多層氟樹脂膜、其共押出方法及太陽能模組
JP6819049B2 (ja) 融雪機能付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191944A (ja) 裏面保護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5068849A1 (ja)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
KR20100079901A (k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WO2012091004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17117034A (zh) 一种新型轻量化耐冲击光伏组件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