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278A - 안장형 의자 - Google Patents

안장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278A
KR20130037278A KR1020110101589A KR20110101589A KR20130037278A KR 20130037278 A KR20130037278 A KR 20130037278A KR 1020110101589 A KR1020110101589 A KR 1020110101589A KR 20110101589 A KR20110101589 A KR 20110101589A KR 20130037278 A KR20130037278 A KR 20130037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chair
seating
work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혜인
Original Assignee
고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혜인 filed Critical 고혜인
Priority to KR102011010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278A/ko
Publication of KR2013003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5Stools for standing or leaning against, e.g. in a semi-standing or half-seated position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장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착석부, 그리고 상기 착석부 하측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내부가 중공되고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복수의 걸림 홈이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외측에 상기 걸림 홈에 끼워져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의 구조 및 형상을 변경하여 개선함으로써,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서있는 상태와 동일하게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의 업무로 생기는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근무지를 이탈하지 않아도 되므로 업무의 연속성을 증대시켜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안장형 의자{Saddle typed chair}
본 발명은 안장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직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직업들 중 서비스업 및 생산직의 근로자는 업무의 특성상 장시간 서서 일해야 하기 때문에 근무시간 중에 잠시나마 휴식이 필요하다. 이때 근로자는 근처에 구비된 의자에 앉아있거나 휴식공간으로 이동하여 장시간의 업무로 인하여 생긴 피로를 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의자는 앉아서 생활화하는 경우를 위주로 개발되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업무의 특성상 서서 일해야 하는 근로자는 휴식을 취할 때마다 앉았다 일어서기를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지정된 위치에서 서서 업무를 진행해야 하는 근로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해 앉아있는 모습이 타인에겐 자칫 업무태도가 불성실한 모습으로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건 상 의자가 다른 장소에 구비되어있는 사업장에서는 휴식을 취할 때마다 의자가 구비된 곳으로 이동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의자의 구조 및 형상을 개선시켜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서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안장형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장형 의자는, 착석부, 그리고 상기 착석부 하측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내부가 중공되고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복수의 걸림 홈이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외측에 상기 걸림 홈에 끼워져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상기 착석부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 지지되도록 타측에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의 구조 및 형상을 변경하여 개선함으로써,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서있는 상태와 동일하게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의 업무로 생기는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근무지를 이탈하지 않아도 되므로 업무의 연속성을 증대시켜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장형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장형 의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장형 의자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장형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장형 의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장형 의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장형 의자(100)는 착석부(10)를 포함한다.
착석부(10)는 사용자의 신체 중 둔부가 맞닿는 곳으로 하부에는 후술할 다리부(20)가 결합된다.
예시적으로, 착석부(10)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도 신체의 대퇴부 뒷면과 접촉되지 않고 다리를 상체와 평행하게 펼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낮아지고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착석부(10)의 하부에는 축(11)이 형성되어 다리부(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착석부(10)의 형상, 크기, 재질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안장형 의자(100)는 복수의 다리부(20)를 포함한다.
복수의 다리부(20)는 착석부(10) 하측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착석부(10)를 지지한다.
더 자세하게는, 복수의 다리부(20)는 내부가 중공되고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복수의 걸림 홈(21a)이 형성된 제1 결합부(21)와 제1 결합부(2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외측에 상기 걸림 홈(21a)에 끼워져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재(23a)를 구비하는 제2 결합부(23)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다리부(20)는 제1 결합부(21) 및 제2 결합부(23)의 결합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결합부(2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된 제2 결합부(23)의 타측에는 탄성부재(25)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부재(23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결합부(23)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부재(23a)를 사용자가 제1 결합부(21)에 형성된 걸림 홈(21a)에 선택적으로 끼움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다리부(20)는 타측에 지지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0)는 착석부(10)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 지지되도록 복수의 다리부(2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30)의 형상, 크기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장형 의자(100)는 등지지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착석부(10)의 타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등지지부(4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등지지부(40)의 형상, 크기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장형 의자(100)의 구성간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착석부(10)의 하부에 복수의 다리부(20)가 결합된다.
더 자세하게는, 착석부(10)의 하부에 축(11)이 형성되어 제2 결합부(23)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다음으로 제2 결합부(23)가 중공된 제1 결합부(2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된다. 이때, 제2 결합부(23)는 타측에 형성된 걸림부재(23a)를 이용하여 제1 결합부(21)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 홈(21a)에 끼워지게 된다.
다음으로 제1 결합부(2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부재(30)가 지면에 대하여 착석부(10)를 수평 지지하게 된다.
한편, 착석부(10)의 타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등지지부(4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의자의 구조 및 형상을 변경하여 개선함으로써,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서있는 상태와 동일하게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의 업무로 생기는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근무지를 이탈하지 않아도 되므로 업무의 연속성을 증대시켜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착석부 11. 축
20. 다리부 21. 제1 결합부
21a. 걸림 홈 23. 제2 결합부
23a. 걸림부재 25. 탄성부재
30. 지지부재 40. 등지지부
100. 안장형 의자

Claims (3)

  1. 착석부, 그리고
    상기 착석부 하측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내부가 중공되고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복수의 걸림 홈이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외측에 상기 걸림 홈에 끼워져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안장형 의자.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상기 착석부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 지지되도록 타측에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안장형 의자.
  3. 제1항에서,
    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안장형 의자.
KR1020110101589A 2011-10-06 2011-10-06 안장형 의자 KR20130037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89A KR20130037278A (ko) 2011-10-06 2011-10-06 안장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89A KR20130037278A (ko) 2011-10-06 2011-10-06 안장형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278A true KR20130037278A (ko) 2013-04-16

Family

ID=4843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589A KR20130037278A (ko) 2011-10-06 2011-10-06 안장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72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2289A (zh) * 2014-05-27 2014-08-27 安徽蓝德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加工中心折叠式维修台
CN104000416A (zh) * 2014-05-27 2014-08-27 安徽蓝德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滑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2289A (zh) * 2014-05-27 2014-08-27 安徽蓝德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加工中心折叠式维修台
CN104000416A (zh) * 2014-05-27 2014-08-27 安徽蓝德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滑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35711A (zh) 一种靠背可调节学生椅
CN106108451A (zh) 一种坐垫可拆卸式靠背可调节学生椅
KR20130037278A (ko) 안장형 의자
KR101405302B1 (ko) 착탈식 의자 등받이
KR200484418Y1 (ko) 문 체어
CN201492036U (zh) 一种具有腰靠结构的转椅
CN210008754U (zh) 一种倚靠自适应可调节靠背机构及带该靠背机构的座椅
CN203776459U (zh) 平衡脊柱的消劳座椅
CN205041050U (zh) 编藤椅子
KR200449818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KR20160105701A (ko) 접이식 등받이와 팔걸이가 부착된 의자.
CN204467517U (zh) 多功能午休电脑椅
CN110840142A (zh) 一种办公椅用可调腰部支撑装置
KR101293111B1 (ko) 흔들의자 기능을 가진 거꾸리 운동 기구
TWI569755B (zh) 乘坐支撐裝置
CN104207517A (zh) 一种舒适的座椅
CN202504771U (zh) 一种跪凳
CN204410197U (zh) 高舒适性椅子
CN206228024U (zh) 一种组合躺椅
CN202739312U (zh) 一种圈椅
CN203555397U (zh) 多功能座椅
KR101218380B1 (ko) 자세교정용 의자
CN208624964U (zh) 高支撑的稳定结构餐椅
CN208318772U (zh) 一种椅子
CN204363460U (zh) 便携式可拆卸马扎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