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823A -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823A
KR20130036823A KR1020110100990A KR20110100990A KR20130036823A KR 20130036823 A KR20130036823 A KR 20130036823A KR 1020110100990 A KR1020110100990 A KR 1020110100990A KR 20110100990 A KR20110100990 A KR 20110100990A KR 20130036823 A KR20130036823 A KR 20130036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main
generator
comput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열
Original Assignee
황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열 filed Critical 황병열
Priority to KR102011010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6823A/ko
Publication of KR20130036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전원과 예비전원의 장애시에 작동하는 제 1 및 제 2발전기를 포함하는 전산시스템의 이중화된 전원구조에서 상기 제 1발전기에서 발전된 전원이 상기 제 2발전기에 일정한 레벨로 추가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는 주전원수전단과 예비전원수전단을 통해 수전되는 상기 주전원과 예비전원의 장애시에 작동하는 제 1 및 제 2발전기, 상기 주전원 또는 상기 제 1발전기의 전원을 전산시스템의 주컴퓨터시스템에 인가하는 제 1출력트랜스와 상기 예비전원 또는 상기 제 2발전기의 전원을 전산시스템의 부가적인 다비이스에 인가하는 제 2출력트랜스의 출력측 사이에는 상기 제 1발전기의 작동에 의해 발전된 보조전원이 상기 제 2발전기의 작동에 의해 발전된 보조전원에 분압되어 공급되도록 상기 제 1출력트랜스와 상기 제 2출력트랜스의 출력측에는 각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가 개재되고, 상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는 상기 제 1발전기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산시스템의 부가적인 디바이스측에 공급되도록 전원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다.

Description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DUPLEXED POWER SUPPLY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호스트컴퓨터를 포함하는 전산시스템에서 주전원/예비전원과는 별개의 자가발전에 의한 보조전원을 부가한 이중화된 구성을 갖추고서 주전원/보조전원의 비정상시 자가발전에 의한 보조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전원계통의 유지관리도 안정적으로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전산시스템의 데이터의 손실이나 온라인 업무의 중단이 초래되는 일을 방지함과 더불어 전산시스템의 보다 안정적인 운영에 유리하도록 된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기/전자 기술과 데이터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수반해서 불특정 다수의 고객정보(예컨대 성명, 주소, 전화번호, 전자메일(e-mail) 등)와 해당하는 고객에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예컨대, 상품정보, 거래관련정보 등)를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산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접목된 상황이다.
그 전산시스템 중에는 고객(또는 가입회원)정보를 기초로 부가정보(즉, 상품정보, 거래관련정보 등)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해당의 고객으로부터의 상품구매정보 및 결제정보를 처리하여 해당의 고객에게 상품이 배송되도록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이 포함된다.
또, 그 전산시스템 중에는 다수의 고객(즉, 온라인 가입자단말 또는 객장의 단말)에게서 발생되는 유가증권(대표적으로 주식)의 거래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증권정보관리시스템이라든지, 다수의 지점에 설치된 단말이나 자동화기기(ATM단말) 또는 다수의 고객단말(즉, 온라인 가입자단말)로부터 발생되는 금융관련정보(예컨대, 입금/출금, 대출 등)를 관리하기 위한 금융정보관리시스템도 포함된다.
그러한 전산시스템은 고객(또는 가입자, 회원)에 관련해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예컨대 전자상거래정보, 유가증권거래정보, 금융거래정보 등)를 다수의 가입자단말 또는 다수의 지점에 설치된 단말이나 자동화기기(ATM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취해서 통합적으로 관리해야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전산시스템 중에서 대표적으로 금융정보관리시스템을 고려하면, 각 지점에 설치된 단말이나 자동화기기(ATM단말) 또는 온라인단말로부터의 고객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전원계통의 안정화가 중요하게 된다.
만일, 금융정보관리시스템에서 각 지점 또는 온라인단말로부터 고객정보를 취합하는 모든 트랜잭션(Transaction) 처리도중에 전원계통에 장애(예컨대, 정전)가 발생되면 해당하는 금융정보관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주컴퓨터에 취합되어야 할 고객정보 및 금융거래정보가 손실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지고, 그 손실된 고객정보를 정상적으로 복구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인원과 시간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시스템에 대한 정상적인 복구가 완료되기까지는 온라인의 전산업무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즉, 고객에 대한 편의성을 고려하여 무휴(無休)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정보관리시스템은 특정 시간의 구분없이 내부적인 회계처리와 수익관리를 위한 정보계 업무처리를 해야 하는 바, 전원계통에 장애가 발생되어 고객정보가 손실되는 경우에는 장애발생 시점에 따라 복구와 대처 방법이 당연히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전원계통의 장애에 의해 손실된 정보의 복구(Recovery)절차는 결코 간단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대표적으로 금융정보관리시스템에는 그 전원계통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고객정보라든지 금융거래정보 등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화된 전원공급구조가 상정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금융정보관리시스템의 이중화된 전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해당하는 금융정보관리시스템의 전원 안정화를 위해 상용 AC전원의 경로가 분리된 주전원수전단(10a)과 보조전원수전단(10b)이 포함된다.
상기 주전원수전단(10a)과 보조전원수전단(10b)의 사이에는 자동부하절환스위치(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 ATLS)(20)가 개재되는 바, 그 자동부하절환스위치(20)는 평상시 상기 주전원수전단(10a)에 대한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상기 주전원수전단(10a)에서 전원이 차단되면 수초(대략 3sec)이내에 상기 보조전원수전단(10b)측으로 스위칭되어 별도의 경로를 통한 AC전원(죽, 부전원)측으로 스위칭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또, 해당하는 금융정보관리시스템에는 상기 주전원수전단(10a)과 상기 보조전원수전단(10b)으로부터 전원장애(예컨대, 정전)가 발생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자체 발전기능을 갖기 위한 예컨대 800KW급의 제 1 및 제 2발전기(30A,30B)(즉, 비상전원발전기)가 포함되고, 그 제 1 및 제 2발전기(30A,30B)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의 자동절환스위치(32,34)가 제공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의 자동절환스위치(32,34)의 각 일단은 상기 자동부하절환스위치(20)의 공통스위칭단자(즉, 주전원 또는 보조전원)에 공통적으로 접속되고, 그 제 1 및 제 2의 자동절환스위치(32,34)의 각 타단은 대응하는 제 1 및 제 2발전기(30A,30B)의 전원출력측(비상전원출력측)에 연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제 2의 자동절환스위치(32,34)의 공통스위칭단자는 평상시 상기 자동부하절환스위치(20)의 공통스위칭단자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주전원수전단(10a)으로부터의 주전원이 차단되거나 상기 보조전원수전단(10b)으로부터의 보조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소정시간(대략 7sec)내에 자동으로 상기 제 1 및 제 2발전기(30A,30B)의 전원출력측으로 자동절환되어 그 제 1 및 제 2발전기(30A,30B)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기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의 자동절환스위치(34)의 공통스위칭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이나 보조전원 또는 제 2발전기(30B)로부터의 전원은 비상전원공급부(40)에 인가되어 비상전원(EV)으로 형성된다.
그에 대해, 상기 제 1의 자동절환스위치(32)의 공통스위칭단자를 통과하는 상기 주전원이나 보조전원 또는 상기 제 1발전기(30A)로부터의 전원은 무정전 전원공급기능을 위해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의 무정전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50A,50B)와 전원에러시 경로를 형성하는 전원바이패스(Bypass)부(52)에 연계된다.
상기 제 1 및 제 2UPS(50A,50B)는 예컨대 500KVA(2V x 240cell/600AH)급으로 구성되어 상기 주전원과 보조전원의 장애(예컨대, 전원 이상이라든지 단전)시에도 순간적인 전원차단현상없이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UPS부(50A,50B) 또는 상기 전원바이패스부(52)의 전원출력은 실제적으로 금융정보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원부하로서의 전산시스템((60)에 인가되는 바, 그 전산시스템(60)에는 각 지점의 서버/단말 또는 온라인단말에서 전송되어지는 고객의 금융관련정보를 처리하여 저장하기 위한 주컴퓨터(62A)와 부가적인 디바이스(62B)가 포함된다.
상기 부가적인 디바이스(62B)에는 대개 전산통신서버(62a)라든지 경제서버(62b), 전산통신계(62c), 어음교환관련 서버/단말(62d), 영업관련 서버/단말(62e), 자금관련 서버/단말(62f) 등이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전원장치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상기 주전원수전단(10a)을 통해 수전된 주전원 또는 상기 주전원의 장애시에 상기 보조전원수전단(10b)을 통해 수전된 보조전원이 상기 자동부하절환스위치(20)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자동절환스위치(32,34)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바, 상기 제 2의 자동절환스위치(34)를 통과한 전원은 상기 비상전원공급부(40)를 통해 비상전원(EV)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 1의 자동절환스위치(32)를 통과한 전원은 상기 제 1 및 제 2UPS부(50A,50B)에 의해 안정화되어 상기 전산시스템(60)의 주컴퓨터(62A)를 포함해서 상기 전산통신서버(62a), 경제서버(62b), 전산통신계(62c), 어음교환관련 서버/단말(62d), 영업관련 서버/단말(62e), 자금관련 서버/단말(62f) 등의 부가적인 디바이스(60B)에 인가되어 주어진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주전원수전단(10a)으로부터의 주전원 또는 상기 보조전원수전단(10b)으로부터의 보조전원이 단전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자동절환스위치(32,34)의 스위칭단자는 대응하는 제 1 및 제 2발전기(30A,30B)의 전원출력측으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상기 제 1발전기(30A)로부터의 전원은 상기 제 1자동절환스위치(32)를 통과해서 상기 전원바이패스부(52)를 통해 주컴퓨터시스템(62A)에 인가되어 고객의 금융관련정보의 저장(백업)작업이 완료되도록 지원하게 되고, 상기 제 2발전기(30B)로부터의 전원은 상기 제 2자동절환스위치(34)를 통해 상기 비상전원공급부(40)를 통해 비상전원(EV)으로 공급된다.
상기한 예의 이중화된 전원공급구조에 따르면, 상용AC전원을 주전원으로 수전하여 금융정보관리시스템으로서의 전원시스템의 주컴퓨터시스템에 인가하는 주전원계통과, 그 주전원계통을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의 장애(예컨대, 정전 등)시에 정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전원계통과는 분리된 경로를 통해 보조전원을 수전하여 공급하는 보조전원(또는 예비전원)계통을 포함함과 더불어, 상기 주전원 및 예비전원의 장애를 대바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예컨대 800KW급의 제 1 및 제 2발전기(30A,30B)를 포함하기 때문에, 전원 장애에 의한 정보의 손실이 최대로 방지될 수 있어 유리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예에 따른 이중화 전원계통에서는 상기 주전원수전단(10a)의 주전원에 장애가 발생하여 상기 보조전원수전단(10b)의 보조전원으로 절환되는 경우와, 상기 주전원수전단(10a)의 주전원이 정상으로 복구되어 상기 보조전원수전단(10b)의 보조전원으로부터 상기 주전원으로 재차 절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전원과 상기 보조전원 사이에 전원 위상차(位相差)가 존재하면 상기 주컴퓨터시스템(62A)이라든지 상기 부가적인 디바이스(62B)에서 상기 주전원과 상기 보조전원의 절환시점에서 전원위상차에 의해 정상적인 작동에 악영향을 받게 된다.
또, 상기한 종래의 예에 따른 이중화 전원계통에서는 상기 주전원수전단(10a)의 주전원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UPS부(50A,50B)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전원바이패스부(52)를 경유하는 경로가 설정되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UPS부(50A,50B)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 및/또는 교체 등의 상황을 위한 상기 주전원의 우회경로가 상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1 및 제 2UPS부(50A,50B)에 대한 점검이라든지 유지보수 및/또는 교체 등의 작업이 제한을 받게 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제 1 및 제 2발전기(30A,30B)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상기 전산시스템(60)의 주컴퓨터(62A)와 부가적인 디바이스(60B)의 기능이 최대한 유지되도록 해야 하는 경우, 예컨대 상기 제 2발전기(30B)에서 발전된 전원이 상기 부가적인 디바이스(62B)에 필요한 전압에 비해 낮으면 상기 제 1발전기(30A)에서 발전된 전원을 보조전원 계통으로 분압해서 공급해줌으로써 그 부가적인 디바이스(62B)에 공급되도록 해주어야만 그 기능의 유지에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 목적은 주전원수전단을 통해 수전되는 주전원 또는 보조전원수전단(즉, 부전원수전단)을 통해 수전되는 부전원(보조전원 또는 예비전원)의 장애에 의해 상호 절환되는 경우 전원위상차에 의한 불리함을 배제하여 전산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한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전원수전단의 주전원과 보조전원수전단(즉, 부전원수전단)의 부전원(보조전원 또는 예비전원)의 무정전 전원공급기능을 위한 다수의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의 유지보수나 점검 및/또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주전원과 부전원(보조전원)의 장애시에 작동하는 제 1 및 제 2발전기를 포함하는 이중화 전원공급계통에서 상기 제 1발전기에서 발전된 전원이 상기 제 2발전기에서 발전된 전원에 승압적으로 분압되어 공급되도록 한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전원을 수전하는 주전원수전단과 그 주전원수전단과 분리된 경로로 예비전원을 수전하는 예비전원수전단, 상기 주전원과 예비전원의 장애시에 작동하는 제 1 및 제 2발전기, 상기 주전원 및 예비전원의 무정전 공급을 위한 다수의 주(Main)/부(Sub) UPS, 상기 주전원 및 예비전원의 장애시 전원경로를 설정하는 제 1 및 제 2바이패스부 및, 상기 주전원 또는 상기 제 1발전기의 전원을 전산시스템의 주컴퓨터시스템에 인가하는 제 1출력트랜스와 상기 예비전원 또는 상기 제 2발전기의 전원을 전산시스템의 부가적인 다비이스에 인가하는 제 2출력트랜스를 포함하는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발전기의 작동에 의해 발전된 보조전원이 상기 제 2발전기의 작동에 의해 발전된 보조전원에 분압되어 공급되도록 상기 제 1출력트랜스와 상기 제 2출력트랜스의 출력측에는 각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가 개재되고, 상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는 상기 제 1발전기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산시스템의 부가적인 디바이스측에 공급되도록 전원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발전기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산시스템의 부가적인 디바이스측에 공급되도록 전원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의 사이에는 정전압소자가 개재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 1발전기의 작동에 의해 발전된 보조전원이 상기 제 1출력트랜스의 출력측으로부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를 매개하여 상기 제 2발전기에서 발전되어 상기 제 2출력트랜스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부가되어 상기 전산시스템의 부가적인 디바이스에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주전원과 예비전원의 장애시 상기 제 2발전기에서 발전된 전원레벨이 낮은 경우 또는 전원부하에 비해 부족한 경우에도 부가적인 디바이스의 기능이 최대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의 제어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당하는 전산시스템(예컨대, 금융정보관리시스템)의 이중화된 전원장치는 상용AC전원을 주전원으로 수전하는 주전원수전단(102)과, 그 주전원수전단(102)을 통해 공급되는 주전원의 장애(예컨대, 정전 등)시에 정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전원수전단(102)과는 분리된 경로를 통해 상용AC전원을 부전원(즉, 보조전원 또는 예비전원)으로 수전하는 부전원수전단(202), 상기 주전원수전단(102)과 상기 부전원수전단(202)에서 수전되는 주전원 및 부전원의 장애를 대비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예컨대 800KW급의 제 1 및 제 2발전기(104,204)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주전원수전단(102)과 제 1발전기(104)의 사이에는 상기 주전원수전단(102)의 전원 상태(정상 또는 장애)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제 1발전기(104)에 대한 스위칭 접속/해제가 실행되는 자동부하절환스위치(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 ATLS)로서 기능하는 제 1의 전원스위칭소자(106)가 개재되는 바, 상기 제 1발전기(104)의 출력측은 상기 제 1전원스위칭소자(106)의 제 1단자(106a)에 접속되고 상기 주전원수전단(102)의 출력측은 상기 제 1전원스위칭소자(106)의 제 2단자(106b)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주전원수전단(102)을 통해 수전되는 주전원이 정상적인 경우에 상기 제 1의 전원스위칭소자(106)의 공통단자(106c)는 상시적으로 상기 주전원수전단(102)의 출력측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상기 부전원수전단(202)과 제 2발전기(204)의 사이에도 자동부하절환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제 2의 전원스위칭소자(206)가 개재되는 바, 상기 부전원수전단(202)의 출력측은 상기 제 2의 전원스위칭소자(206)의 제 1단자(206a)에 접속되고 상기 제 2발전기(204)의 출력측은 상기 제 2전원스위칭소자(206)의 제 2단자(106b)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부전원수전단(202)을 통해 수전되는 부전원이 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 2전원스위칭소자(206)의 공통단자(206c)는 상시적으로 상기 부전원수전단(202)의 출력측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전원스위칭소자(106,206)의 공통단자(106c,206c)의 사이에는 상기 주전원수전단(102)의 주전원 또는 상기 제 1발전기(104)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부전원 또는 상기 제 2발전기(204)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측으로 분전(分電)해주기 위한 제 3의 전원스위칭소자(208)가 제공된다.
그 제 3의 전원스위칭소자(208)는 상기 부전원수전단(202)의 부전원 또는 상기 제 2발전기(204)로부터의 전원이 정상적인 경우에는 그 부전원수전단(202)의 부전원 또는 상기 제 2발전기(204)로부터의 전원이 후단으로 공급되도록 유지되는 반면 그 부전원수전단(202)의 부전원 또는 상기 제 2발전기(204)의 전원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주전원수전단(102)의 주전원 또는 상기 제 1발전기(104)로부터의 전원이 후단으로 분전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칭기능을 갖게 된다.
즉, 상기 제 3전원스위칭소자(208)의 제 1단자(208a)에는 상기 제 1전원스위칭소자(106)의 공통단자(106c)가 접속되고 그 제 3전원스위칭소자(208)의 제 2단자(208b)에는 상기 제 2전원스위칭소자(206)의 공통단자(206c)가 접속되는 바, 그 제 3전원스위칭소자(208)는 상시적으로 그 제 2단자(208b; 부전원측)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3의 전원스위칭소자(208)와 병렬적으로 제 4의 전원스위칭소자(210)가 제공되는 바, 그 제 4의 전원스위칭소자(210)는 상기 제 3전원스위칭소자(208)의 기능과 반대로 상기 부전원수전단(202)의 부전원 또는 상기 제 2발전기(204)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주전원 또는 상기 제 1발전기(104)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측으로 분전해주게 된다.
즉, 상기 제 4전원스위칭소자(210)의 스위칭단자는 상기 제 3전원스위칭소자(208)의 제 2단자(208b)와 공통으로 상기 제 2전원스위칭소자(206)의 공통단자(206c)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반면 그 제 4전원스위칭단자(210)의 접점단자는 상기 제 3전원스위칭소자(208)의 제 1단자(208a)와 공통으로 상기 제 1전원스위칭소자(106)의 공통단자(106c)에 접속되고, 그 제 4전원스위칭소자(210)는 상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상기 주전원 또는 상기 제 1발전기(104)의 전원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 접속되어 상기 부전원 또는 상기 제 2발전기(204)의 전원이 상기 주전원 측(또는 상기 제 1발전기(104)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측)으로 분전되도록 스위칭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전원스위칭소자(106)의 공통단자(106c)(또는 상기 제 3전원스위칭소자(208)의 제 1단자(208a) 및 상기 제 4전원스위칭단자(210)의 접점단자)에는 무정전 전원공급기능을 위한 제 1 ~ 제 N의 주(Main)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 전원공급장치)(110a~110n)와, 상기 제 1 ~ 제 N의 주UPS(110a~110n)의 에러시에 전원경로를 형성하는 제1바이패스(Bypass)부(112)가 공통적으로 접속된다.
또, 상기 제 3전원스위칭소자(208)의 공통단자(208c)에는 상기 제 1~제 N의 주UPS(110a~110n)과 동일하게 무정전 전원공급기능을 위한 제 1 ~ 제 N의 부(Sub)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 전원공급장치)(210a~210n)와, 상기 제 1 ~ 제 N의 부UPS(210a~210n)의 에러시에 전원경로를 형성하는 제2바이패스부(212)가 공통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전원스위칭소자(106)의 공통단자(106c)에는 무정전 전원공급기능을 위한 제 1 ~ 제 N의 주(Main)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 전원공급장치)(110a~110n)와, 상기 제 1 ~ 제 N의 주UPS(110a~110n)의 에러시에 전원경로를 형성하는 제1바이패스(Bypass)부(112)가 공통적으로 접속된다.
또, 상기 제 3전원스위칭소자(208)의 공통단자(208c)에는 무정전 전원공급기능을 위한 제 1 ~ 제 N의 부(Sub)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 전원공급장치)(210a~210n)와, 상기 제 1 ~ 제 N의 부UPS(210a~210n)의 에러시에 전원경로를 형성하는 제2바이패스부(212)가 공통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제 N의 주/부UPS(110a~110n, 210a~210n)는 상기 주전원과 예비전원의 장애(전원 이상이라든지 단전)시에도 순간적인 전원차단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채용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주/부UPS(110a~110n, 210a~210n)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바이패스부(112,212)의 전원출력측은 각기 제 1 및 제 2출력트랜스(114,214)를 경유하여 실제적인 전원부하로서의 금융전산망의 전산시스템(300)에 인가되는 바, 그 전산시스템(300)에는 각 지점의 서버/단말 또는 온라인단말에서 전송되어지는 고객의 금융관련정보를 처리하여 저장하기 위한 주컴퓨터시스템과 부가적인 디바이스가 포함된다.
또, 상기 부가적인 디바이스에는 대개 전산통신서버라든지 경제서버, 전산통신계, 어음교환관련 서버/단말, 영업관련 서버/단말, 자금관련 서버/단말 등이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전원계통에서는 평상시에는 상기 주전원수전단(102)을 통해 수전된 주전원 또는 상기 예비전원수전단(202)으로부터의 예비전원이 상기 제 1전원스위칭소자(106)와 상기 제 2전원스위칭소자(208)를 경유하여 공급된다.
상기 제 1전원스위칭소자(106)를 경유한 주전원은 상기 제 1~제 N의 주UPS(110a~110n)에 의해 안정화되어 상기 제 1출력트랜스(114)를 통해 상기 전산시스템(300)의 주컴퓨터시스템에 인가된다.
또, 상기 제 2전원스위칭소자(208)를 통과한 예비전원은 상기 제 3전원스위칭소자(208)를 경유하여 상기 제 1~제 N의 부UPS(210a~210n)에 의해 안정화되어 상기 제 2출력트랜스(214)를 통해 상기 전산시스템(300)의 부가적인 디바이스(예컨대, 전산통신서버, 경제서버, 전산통신계, 어음교환관련 서버/단말, 영업관련 서버/단말, 자금관련 서버/단말 등)에 인가된다.
즉, 상기 제 1발전기(104)로부터의 전원은 상기 제 1전원스위칭소자(106)를 통과해서 상기 제 1바이패스부(112)와 상기 제 1출력트랜스(114)를 통해 상기 전산시스템(300)의 주컴퓨터시스템에 인가되어 고객의 금융관련정보의 저장(백업)작업이 완료되도록 지원하게 된다.
상기 제 2발전기(204)로부터의 전원은 상기 제 2 및 제 3전원스위칭소자(206,208)를 경유해서 상기 제 2바이패스부(212)와 상기 제 2출력트랜스(214)를 통과하여 상기 전산시스템(300)에 인가되어 부가적인 디바이스의 작동이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주전원과 예비전원이 장애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발전기(104,204)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대응하는 제 1 및 제 2바이패스부(112,212)를 통해 상기 전산시스템(300)의 주컴퓨터시스템과 부가적인 디바이스 측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 2발전기(204)에서 발전된 전원의 최대가용전원이 예컨대 80%로 상정되고 그 부가적인 디바이스에 의한 전원부하가 상기 제 2발전기(204)의 한계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제 1발전기(104)로부터의 전원이 예비전원계통으로 분압되어 공급되도록 해야만 바람직하게 된다.
그 점을 고려하여,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산시스템을 위한 이중화된 전원공급구조의 안정화장치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및 제 2출력트랜스(114, 214)의 출력 사이에 전원경로를 상정하게 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출력트랜스(104)의 출력측에는 제 4전원스위칭소자(400)가 개재되고, 상기 제 2출력트랜스(214)의 출력측에도 제 5전원스위칭소자(500)가 개재되며, 상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400,500)의 단자(400b,500a)는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전원계통과 예비전원계통의 전원에 장애가 발생되고 상기 제 1 및 제 2발전기(104,204)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제 1발전기(104)에서 발전되어 상기 제 1출력트랜스(114)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상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400,500)를 통해 상기 전산시스템(300)의 부가적인 디바이스측에 추가적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전원공급구조의 안정화를 실현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산시스템을 위한 이중화된 전원공급구조의 안정화장치의 실제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 1발전기(104)에서 발전되어 상기 제 1출력트랜스(114)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상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400,500)를 통해 상기 전산시스템(300)의 부가적인 디바이스측에 추가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구성에서, 상기 제 1출력트랜스(114)로부터의 전원이 과도하게 상기 전산시스템(300)의 부가적인 디바이스측으로 인가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400,500)의 사이에 예컨대 50KV(이는 변경 또는 조정이 가능)의 정전압소자(600)를 개재시켜 과전압에 의해 상기 전산시스템(300)의 부가적인 디바이스가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적용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2: 주전원수전단, 104: 제 1발전기,
106: 제 1전원스위칭소자, 110a~110n: 제 1~제 N의 주UPS,
112: 제 1바이패스부, 202: 예비전원수전단,
204: 제 2발전기, 206: 제 2전원스위칭소자,
208: 제 3전원스위칭소자, 210a~210n: 제 1~제 N의 부UPS,
212: 제 2바이패스부, 300: 전산시스템,
400: 제 4전원스위칭소자, 500: 제 5전원스위칭소자,
600: 정전압소자.

Claims (2)

  1. 주전원을 수전하는 주전원수전단과 그 주전원수전단과 분리된 경로로 예비전원을 수전하는 예비전원수전단, 상기 주전원과 예비전원의 장애시에 작동하는 제 1 및 제 2발전기, 상기 주전원 및 예비전원의 무정전 공급을 위한 다수의 주(Main)/부(Sub)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상기 주전원 및 예비전원의 장애시 전원경로를 설정하는 제 1 및 제 2바이패스부 및, 상기 주전원 또는 상기 제 1발전기의 전원을 전산시스템의 주컴퓨터시스템에 인가하는 제 1출력트랜스와 상기 예비전원 또는 상기 제 2발전기의 전원을 전산시스템의 부가적인 다비이스에 인가하는 제 2출력트랜스를 포함하는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발전기의 작동에 의해 발전된 보조전원이 상기 제 2발전기의 작동에 의해 발전된 보조전원에 분압되어 공급되도록 상기 제 1출력트랜스와 상기 제 2출력트랜스의 출력측에는 각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가 개재되고,
    상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는 상기 제 1발전기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산시스템의 부가적인 디바이스측에 공급되도록 전원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시스템을 위한 이중화된 전원공급구조의 안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발전기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산시스템의 부가적인 디바이스측에 공급되도록 전원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제 4 및 제 5전원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의 사이에는 정전압소자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시스템을 위한 이중화된 전원공급구조의 안정화장치.

KR1020110100990A 2011-10-05 2011-10-05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 KR20130036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90A KR20130036823A (ko) 2011-10-05 2011-10-05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90A KR20130036823A (ko) 2011-10-05 2011-10-05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23A true KR20130036823A (ko) 2013-04-15

Family

ID=4843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990A KR20130036823A (ko) 2011-10-05 2011-10-05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68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9741A1 (en) * 2013-07-18 2015-01-22 Ainet Registry Ll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power distribution and backup
US9312725B2 (en) 2012-08-24 2016-04-12 Ainet Registry, Ll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power distribution and backu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2725B2 (en) 2012-08-24 2016-04-12 Ainet Registry, Ll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power distribution and backup
WO2015009741A1 (en) * 2013-07-18 2015-01-22 Ainet Registry Ll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power distribution and backup
JP2019216596A (ja) * 2013-07-18 2019-12-19 アイネット・レジストリー、 エルエルシーAiNET Registry, LLC 効率的な電力供給及びバックアップ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1570B2 (en) Reserve power system for data center
US6747369B2 (en) Power system including redundant power supplies
US9871406B1 (en) Reserve power system transfer switches for data center
US9857855B2 (en) Redundant secondary power support system
US9804654B2 (en) Backup power architecture for rack system
CN106104493B (zh) 用于数据中心的电力路由组件
US8212401B2 (en) Redundant isolation and bypass of critical power equipment
US8051327B2 (en) Connection between machines and power source
US10432017B1 (en)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UPS) management
White et al. Principles of fault tolerance
US791108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tributing load transfers in power supply systems
CN105337780B (zh) 一种服务器节点配置方法及物理节点
US9182795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discovery
US11048311B1 (en) Power system for multi-input devices with shared reserve power
US11061458B2 (en) Variable redundancy data center power topology
US6510529B1 (en) Standby SBC backplate
US20030168913A1 (en) Power system with load matrix
US70459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oviding continuous power supply via standby uninterrupted power supplies
CN102736721A (zh) 低sts使用率的数据中心拓扑
KR20130036823A (ko) 전산시스템의 이중화 전원장치
KR100875077B1 (ko) 멀티호스트컴퓨터를 포함하는 온라인 전산시스템의 무정전전원공급장치
Rostek Power system design for massive parallel computer systems
CN104364990A (zh) 能量控制
White Fault tolerance in distributed power systems
US20140191572A1 (en) Combinatorial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