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571A -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571A
KR20130034571A KR1020120042825A KR20120042825A KR20130034571A KR 20130034571 A KR20130034571 A KR 20130034571A KR 1020120042825 A KR1020120042825 A KR 1020120042825A KR 20120042825 A KR20120042825 A KR 20120042825A KR 20130034571 A KR20130034571 A KR 20130034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ip
based message
application server
i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래영
김태현
김현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0423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47976A1/ko
Publication of KR20130034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1Transcoding devices; Rate adapt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개시에 의하면,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세션 제어기가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발신 단말에 의한 제 1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 내에 포함된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포함된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에 기반하여 변환된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DELIVERY}
본 명세서는 IMS 가입자 정보와 연관된 MSISDN을 갖지 않는 단말이 IP 기반의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술 규격을 제정하는 3GPP에서는 4세대 이동통신과 관련된 여러 포럼들 및 새로운 기술에 대응하기 위하여, 2004년 말경부터 3GPP 기술들의 성능을 최적화 시키고 향상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LTE/SAE (Long Term Evolution/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기술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3GPP SA WG2을 중심으로 진행된 SAE는 3GPP TSG RAN의 LTE 작업과 병행하여 네트워크의 구조를 결정하고 이기종 망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망 기술에 관한 연구이며, 최근 3GPP의 중요한 표준화 이슈들 중 하나이다. 이는 3GPP 시스템을 IP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발전 시키기 위한 작업으로,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능력으로 전송 지연을 최소화 하는, 최적화된 패킷 기반 시스템을 목표로 작업이 진행되어 왔다.
3GPP SA WG2에서 정의한 SAE 상위 수준 참조 모델(reference model)은 비로밍 케이스(non-roaming case) 및 다양한 시나리오의 로밍 케이스(roaming case)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세 내용은 3GPP 표준문서 TS 23.401과 TS 23.402에서 참조할 수 있다.
도 1은 진화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진화(Evolved) UTRAN의 eNodeB와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의 게이트웨이(Gateway)의 2 계층 모델(2 Tier Model)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며,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나 eNodeB(922)는 기존 UMTS 시스템의 NodeB와 RNC의 기능을 포함하며, 게이트웨이는 기존 시스템의 SGSN/GGSN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하나 중요한 특징으로는 접속 네트워크(Access network)과 핵심 네트워크 사이의 제어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평면(User Plane)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교환된다는 점이다. 기존의 UMTS 시스템에서는 RNC와 SGSN사이에 Iu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했었던 반면 제어신호(Control Signal)의 처리를 담당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951)가 GW(Gateway)와 분리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S1-MME, S1-U 두 개의 인터페이스가 각각 사용되게 되었다. 상기 GW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Gateway)(이하, ‘S-GW’)(952)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이하, ‘PDN-GW’또는 ‘P-GW’라 함)(953)가 있다.
도 2는 (e)NodeB와 Home (e)NodeB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3세대 또는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등 고용량 서비스와 양방향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셀 용량을 늘리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즉, 통신의 발달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보급과 더불어 다양한 대용량 전송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무선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보다 많은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이 있지만,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셀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셀 반경을 줄이는 접근이 있어왔다. 피코 셀(pico cell)등 셀 반경이 작은 셀을 적용하면 기존 셀룰라 시스템에서 쓰던 주파수 보다 높은 대역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같은 면적에 더 많은 기지국을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단점 있다.
이와 같이 작은 셀을 사용하여 셀 용량을 올리는 접근 중에 최근에는 Home (e)NodeB(930)와 같은 펨토 기지국이 제안되었다.
상기 Home (e)Node(930)는 3GPP Home (e)NodeB의 RAN WG3를 중심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 SA WG에서도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e)NodeB(920)는 매크로 기지국에 해당하며, 도 2에 도시된 Home (e)NodeB(930)가 펨토 기지국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3GPP의 용어를 기반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e)NodeB는 NodeB 혹은 eNodeB를 함께 언급할 때 사용한다. 또한, Home (e)NodeB는 Home NodeB와 Home eNodeB를 함께 언급할 때 사용한다.
상기 (e)NodeB(920)는 상기 MME(951)와 제어 평면(Control Plane)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S-GW(952)와 사용자 평면(User Plane)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Home(e)NodeB(930)도 마찬가지로 상기 MME(951)와 제어 평면(Control Plane)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S-GW(952)와 사용자 평면(User Plane)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PDN-GW(953)은 상기 S-GW(952)로부터의 데이터를 이동통신 사업자의 IP 서비스 네트워크로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점선으로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e)NodeB(920)와 Home (e)NodeB(930)와 상기 MME(951) 간의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실선으로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것이다.
도 3은 Home Node와 Home (e)NodeB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950)는 MME(951)과, S-GW(Serving Gateway)(952)와, SGSN(956),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또는 PDN Gateway)(953)을 포함한다. 그 밖에 상기 코어 네트워크(950)는 PCRF(954), HSS(9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는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의한 Home NodeB(931)와 E-UTRAN(Evolved-UTRAN)에 의한 Home eNodeB(932)가 나타나 있다. 상기 UTRAN에 의한 Home NodeB(931)는 게이트웨이(935)을 통해 상기 SGSN(956)과 연결된다. 상기 E-UTRAN에 의한 Home eNodeB(932)는 상기 MME(951)와 상기 S-GW(952)와 연결된다. 이때,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은 상기 MME(951)로, 사용자 데이터 신호는 상기 S-GW(952)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E-UTRAN에 의한 Home eNodeB(932)와 상기 MME(951) 사이에 게이트웨이(935)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E-UTRAN에 의한 Home eNodeB(932)의 인터페이스가 나타나 있다. 상기 E-UTRAN에 의한 Home eNodeB(932)와 상기 게이트웨이(935)을 Home eNodeB 서브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상기 E-UTRAN에 의한 Home eNodeB(932)는 UE(910)와는 LTE-Uu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상기 Home eNodeB(932)와 상기 MME(951)는 S1-MME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Home eNodeB(932)와 상기 S-GW(952)은 S1-U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S1-MME 인터페이스 및 상기 S1-U인터페이스는 상기 게이트웨이(935)을 거칠 수 있다. 상기 MME(951)와 상기 S-GW(952)는 S11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MME(951)와 상기 HSS(955)는 S6a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Home eNodeB와 MME 간의 인터페이스를 프로토콜 스택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ome eNodeB(932)와 상기 MME(951)는 각기 제1 계층(물리 계층), 제2 계층(매체 접속 제어 계층), 제3 계층(IP(Internet Protocol) 계층), SCTP(Signaling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1-AP(S1 Application Protocol)를 각기 포함한다.
상기 S1-AP는 상기 Home eNodeB(932)와 상기 MME(951) 간에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다. 상기 SCTP는 상기 Home eNodeB(932)와 상기 MME(951) 간에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달을 보장한다.
도 5a 및 5b는 단문 메시지를 제공하는 IP-CAN(IP-Connectivity Access Network)의 일반적인 구조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IP 기반 단말의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를 송수신을 위해서 IP-SM-GW(IP-Short-Message-Gateway)가 프로토콜 상호연동(interworking)을 수행한다. 즉, IP-SM-GW는 IP 기반 단말로부터 SMS(Short Message Service) 관련 정보(예컨대, 단말 발신 단문 메시지(mobile originated short message), 전달 보고(delivery report) 등)를 포함한 SIP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SMS 관련 정보를 추출(extract)하여 전달한다. 이때 기존의 GSM/UMTS 환경에서 MSC 또는 SGSN와 SMS-GMSC/SMS-IWMSC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준용된다. 반면, IP-SM-GW가 IP 기반 단말로 향하는 SMS 관련 정보(예컨대, 단말 착신 단문 메시지(mobile terminated short message), 제출 보고(submit report) 등)를 SMS-GMSC/SMS-IWMSC 로부터 수신한 경우, 이 정보를 SIP 메시지에 담아 IP 기반 단말로 전달한다. 이때 기존의 GSM/UMTS 환경에서 MSC 또는 SGSN와 SMS-GMSC/SMS-IWMSC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준용된다.
상기 SMS 관련 정보들은 도 5b의 SM-TL(Short Message Transfer Layer)를 통해 전달되는 TPDU(Transfer Protocol Data Unit)에 포함되며, 이 TPDU는 SM-RL(Short Message Relay Layer)를 통해 전달되는 RPDU(Relay Protocol Data Unit)에 포함(encapsulate)되어 전달된다.
종래 기술의 IMS 기반 메시지 전송 절차에서는, 메시지의 수신자가 IMS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수신 단말이 IMS에 등록되어 있더라도 저장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메시지 전송이 실패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메시지를 일단 저장하고, 이후 상기 수신자가 IMS 등록을 수행하거나 또는 저장 용량이 충분해진 후 상기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세션 제어기가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발신 단말에 의한 제 1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 내에 포함된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포함된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에 기반하여 변환된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IMS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IMS 등록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한 제 3자(third-party)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에 상태 보고(status report) 요청이 포함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상태 보고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단계; 및 상기 상기 상태 보고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보고는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저장 용량 부족을 이유로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음을 알리는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저장 용량이 가용(available)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음을 알리는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프로파일(service profile) 및 iFC(initial Filter Criteria)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는, 상기 단문 메시지의 유효 기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의 식별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의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일 수 있다.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는, SMS-SUBMIT 타입의 TPDU(transfer 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하는 SIP MESSAGE request 메시지이고,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는, SMS-DELIVER 타입의 TPDU를 포함하는 SIP MESSAGE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는 MSISDN(mobile subscribe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number)일 수 있다.
상기 IMS 기반의 세션 제어기는 S-CSCF(Serv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세션 제어기로부터 발신 단말에 의한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제 2 SIP 기반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제어기로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수신 단말에 대한 제 3자(third-party)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에 상태 보고(status report) 요청이 포함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상태 보고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보고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세션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세션 제어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세션 제어기는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발신 단말에 의한 제 1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 메시지를 수신 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 내에 포함된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인지 확인하고, 상기 포함된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결정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세션 제어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에 기반하여 변환된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또한 제공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세션 제어기로부터 발신 단말에 의한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제 2 SIP 기반 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션 제어기로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SISDN을 갖지 않는 IMS 가입 단말 간에 안정적으로 IP 기반의 단문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수신 단말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달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진화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e)NodeB와 Home (e)NodeB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Home Node와 Home (e)NodeB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Home eNodeB와 MME 간의 인터페이스를 프로토콜 스택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단문 메시지를 제공하는 IP-CAN(IP-Connectivity Access Network)의 일반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MSISDN(Mobile Subscribe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Number)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서빙 세션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EPC(Evolved Packet Core)를 기준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단말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나, 상기 단말은 UE(User Equipment),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상기 UE는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을 갖춘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용어의 정의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간략하게 정의하기로 한다.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약자로서 3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EPC: Evolved Packet Core의 약자로서,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ple RAT)을 지원하는 고속(higher-data-rate), 낮은 지연(lower-latency), 패킷 최적화 시스템(packet-optimized system)을 목표로 하는 진화된 3GPP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EPS: Evolved Packet System의 약자로서, UMTS가 진화된 형태의 네트워크이며,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고속의 낮은 지연을 갖는 패킷 최적화 시스템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EPS는 진화된 무선 접속 네트워크(E-UTRA 및 E-UTRAN)과 EPC로 구성된다.
UE(User Equipment): UE는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 도 있다. 또한,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 스마트 폰,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IMS(IP Multimedia Subsystem) : 유선 단말(Wired Terminal)뿐만 아니라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에까지도 IP(Internet Protocol)를 근간으로 한 패킷 교환(PS: Packet Switching)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기술로서, 유/무선 단말 모두를 IP(All-IP)를 통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이러한, IMS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HSS(홈 가입자 서버: Home Subscriber Server), 그리고 그 밖에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IMS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는 제어 시그널링, 등록(Registration), 세션을 위한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CSCF(호 세션 제어 기능: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를 포함한다. 상기 CSCF는 P-CSCF(Proxy-CSCF), S-CSCF(Serving-CSCF), 그리고 I-CSCF(Interrogating-CSC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SCF는 IMS 기반의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를 위한 첫 번째 접속 지점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S-CSCF는 상기 IMS 네트워크 내에서 세션을 처리한다. 즉, 상기 S-SCSF는 시그널링을 라우팅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엔티티(Entity)로서, IMS 네트워크에서 세션을 라우팅한다. 그리고, 상기 I-CSCF는 IMS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엔티티와의 접속 지점으로서 동작한다.
위와 같은 IMS 하에서 IP 기반의 세션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세션 개시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SIP 는 세션(Session)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상기 SIP는 통신하고자 하는 단말들이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 그들 상호 간에 멀티미디어 세션을 생성하거나, 생성된 세션을 삭제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말한다. 이러한 SIP는 각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와 비슷한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사용함으로써 IP(Internet Protocol) 주소에 종속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MSISDN(Mobile Subscribe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Number): GSM 또는 UMTS 네트워크에서 가입(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번호이며, 상세한 설명은 표준문서 3GPP TS 23.003, TS 22.101 를 참조한다.
IP-SM-GW(IP-Short-Message-Gateway): IP 기반 단말과 SMS-SC(Short Message Service - Service Centre) 사이의 단문 메시지 전달을 위한 프로토콜 상호연동(interworking)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이다. 상세한 설명은 표준문서 3GPP TS 23.204 를 참조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AS: Application Server):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등록(Registration): 단말이 자신의 현재 위치와 관련한 정보를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 알리는 과정, 즉, 자신의 현재 위치와 기타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과정을 일컫는다.
Instance-ID(Instance identifier): 등록을 수행하는 SIP UA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SIP 접속 헤더 파라미터이다.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ies)가 이용될 수 있을 때, instance-id는 IMEI URN의 형식을 취해야 한다. 만약 IMEI가 이용될 수 없다면, instance-id는 IETF RFC 4122에 정의된 URN으로 UUID의 표현 형식을 취해야 한다. 상세한 설명은 표준문서 3GPP TS 23.003 을 참조한다.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 IMS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통신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IMPU(즉, Public User Identity)를 갖는다. 또한, 다수개의 UE가 하나의 IMPU를 공유할 수도 있다. IMPU는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또는 Tel URI 형식을 따른다.
SME(Short Message Entity): 단문 메시지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엔터티(entity)로서, 상세한 설명은 표준문서 3GPP TS 23.040 를 참조한다.
iFC(Initial Filter Criteria): HSS에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의 일부로서 저장되고, 사용자 등록시에 S-CSCF로 다운로드되는 필터 기준(filter criteria)이다. 상세한 설명은 표준문서 3GPP TS 23.218을 참조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UE-1(11)이 UE-2(12)에게 IMS 기반의 메시지를 보내는 일반적인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UE-1(11) 및 UE-2(12)는 모두 IMS 가입 단말이다. 이 때 메시지 전송을 위한 UE-1(11)과 UE-2(12)의 식별자(ID)로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가 사용되며, 상기 UE-1(11) 및 UE-2(12)는 모두 MSISDN이 없이 동작 가능하다. MSISDN은 도 7에서 다시 설명한다.
IMS 기반 메시지의 수신자인 UE-2(12)는 IMS에 등록된 단말이다.
1) UE-1(11)은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를 P-CSCF-1(21)로 보낸다.
이때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의 Request URI 필드는, SIP URI 형식(format)에 따라 UE-2(12) 사용자의 IMPU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의 From 필드는 SIP URI 형식(format)에 따라 UE-1(11) 사용자의 IMPU로 설정된다.
2) P-CSCF-1(21)은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를 S-CSCF-1(31)로 전달(forward)한다.
3) S-CSCF-1(31)은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에 대한 서비스 제어 로직(logic)을 호출한다. 즉, S-CSCF-1(31)은 UE-1(11)의 서비스 프로파일(service profile)을 검증(validate)하고, iFC(initial Filter Criteria)를 평가(evaluate)한다.
4) S-CSCF-1(31)은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를 I-CSCF-2(42)로 전달한다.
5) I-CSCF-2(42)는, 메시지 수신자(UE-2)를 담당(serve)하는 S-CSCF(S-CSCF-2(32))의 주소를 획득하기 위하여, HSS와 위치 쿼리 절차(Location Query procedure)를 수행한다.
6) I-CSCF-2(42)는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를 S-CSCF-2(32)로 전달한다.
7) S-CSCF-2(32)은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에 대한 서비스 제어 로직(logic)을 호출한다. 즉, S-CSCF-2(32)은 UE-2(12)의 서비스 프로파일(service profile)을 검증(validate)하고, iFC(initial Filter Criteria)를 평가(evaluate)한다.
8~9) S-CSCF-2(32)가 보낸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는 P-CSCF-2(22)를 거쳐 UE-2(12)로 전달된다.
10-15) UE-2(12)는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에 대한 응답 메시지(SIP 200 OK)를 전송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UE-1(11)까지 전달된다.
도 6의 일반적인 IMS 기반의 메시지 전송 절차에서는, 메시지의 수신자, 즉 메시지 전송 요청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의 Request URI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IMS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메시지 전송이 실패한다. 따라서 메시지의 수신자가 IMS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메시지를 일단 저장하고, 이후 상기 수신자가 IMS 등록을 수행하면 상기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도 6의 IMS 기반의 메시지 전송 절차에서는, 메시지의 수신자, 즉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의 Request URI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IMS에 등록되어 있더라도, 수신 단말의 메시지를 위한 저장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메시지 전송이 실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수신 단말을 대신하여 메시지를 일단 저장하고, 이후 UE-2(12)의 저장 용량이 충분해 지면 상기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방법이 요구된다.
도 7은 MSISDN(Mobile Subscribe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Number)의 구조도이다.
MSISDN은 GSM 또는 UMTS 네트워크에서 가입(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번호이며, 종래 기술에서 MSISDN의 구성은 도 7과 같다.
CC(Country Code) 필드는 단말이 등록(즉, 가입)된 국가의 국가 코드를 나타낸다. National (significant) mobile number는 NDC 및 SN 필드로 구성된다. 이때 NDC는 National Destination Code의 약자이고, SN은 Subscriber Number의 약자이다. MSISDN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3GPP TS 23.003 참고하면 알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동작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IMS 단말이 메시지를 주고 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이 속한 IMS 가입자 정보와 연관된 MSISDN 정보가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메시지 수신 단말의 사용자가 IMS에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등록이 되어 있더라도 수신 메시지 저장 용량 부족으로 인해 메시지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를 위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그러나, 최근 MSISDN이 없이 PS로만 가입하는 사용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바, 이러한 사용자들도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특히, 최근 3GPP에서 표준화 작업이 추진되고 있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M2M(Machine-to-Machine) 통신과 관련하여, SMS를 이용한 M2M 통신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다양한 종류의 M2M 단말(예컨대, PS 전용 M2M 단말, CS(Circuit Switched voice network)와 PS가 모두 가능한 M2M 단말 등)로의 단문 메시지 송신 및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M2M 단말로부터의 단문 메시지 수신이 발생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서는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예컨대, MSISDN)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MSISDN-less IMS UE)들이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이 정의된다. 이때 단문 메시지 발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은 모두 상기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이며, 상기 발신 단말은 IMS 등록을 수행한 것으로 전제한다.
상기 단문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위해, 상기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의 IMS 등록 시에, 상기 IMS에 가입된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예컨대, SMS AS)로의 제 3자(third-party) 등록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로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되어 관리된다.
상기 IMS 가입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정보(예컨대, iFC)는 상기와 같은 third-party 등록 및 단문 메시지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SMS AS는 기존의 AS (Application Server) (예컨대, IP-SM-GW)에 그 기능이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의 AS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예컨대, MSISDN)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UE-1)이 IMS로 등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E-1(110)은 프록시 세션 제어기(예컨대, P-CSCF-1)로 등록 요청 메시지(예컨대, SIP REGISTER)를 전송한다.
2) 상기 프록시 세션 제어기(210)은 상기 UE-1(110)로부터 수신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서빙 세션 제어기(예컨대, S-CSCF-1)에게 전달한다.
3)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는 홈 가입자 서버(예컨대, HSS)로부터 UE-1(110)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예컨대, SIP 200 OK)를 상기 프록시 세션 제어기(210)에게 전송한다.
4) 상기 프록시 세션 제어기(210)는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응답 메시지를 UE-1(110)에게 전달한다.
5)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는 상기 단계 3)에서 획득한 서비스 정보(예컨대, iFC)를 분석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예컨대, SMS AS)로 상기 UE-1(110)에 대한 third-party 등록을 수행할 것을 결정한다.
6)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는 상기 UE-1(110)에 대한 third-party 등록을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게 등록 요청 메시지(예컨대, SIP REGISTER)를 전송한다.
7)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예컨대, SIP 200 OK)를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에게 전송한다.
8) UE-2(120)가 상기 UE-1(110)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UE-2(120)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SIP 기반 메시지(예컨대, SIP MESSAGE request)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프록시 세션 제어기(예컨대, P-CSCF-2)에게 전송한다.
또한, 상기 UE-2(120)는 상기 SIP 기반 메시지에 발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E-2(120)는 상기 SIP MESSAGE request의 Request URI를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형식(format)에 따라 UE-1(110)의 사용자의 IMPU로 설정하고, 상기 SIP MESSAGE request의 From 헤더 필드를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형식(format)에 따라 UE-2(120)의 사용자의 IMPU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UE-2(120)가 상기 SIP 기반 메시지에 단문 메시지를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종래 기술과 달리, 상기 UE-2(120)는 단문 메시지를 vnd.3gpp.sms의 페이로드(payload) 내에 포함시킨다. 따라서, 상기 UE-2(120)는 상기 SIP MESSAGE request의 Content-Type 헤더 필드를 application/vnd.3gpp.sms로 설정하고, RPDU(Relay Layer Data Unit)를 SIP MESSAGE request의 본문(body)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한다. 즉, 상기 UE-2(120)는 RP-DATA인 RPDU를 생성하여 SIP MESSAGE request의 body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한다.
상기 RP-DATA는 하기와 같은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포함한다.
RP-Message Type: 3GPP TS 24.011에 명시된 MTI(Message Type Indicator)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UE가 네트워크로 보내는 RP-DATA에 해당하는 값(000)으로 설정된다.
RP-Message Reference: 3GPP TS 24.011에 명시된 Message reference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0 ~ 255 사이의 값 중 하나로 설정된다.
RP-Originator Address: 3GPP TS 24.011에 명시된 Originator address element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UE가 네트워크로 보내는 RP-DATA이므로 0으로 설정된다.
RP-Destination Address: 3GPP TS 24.011에 명시된 Destination address element에 따르면 상기 주소는 SMS-SC(SMS-Service Center)의 주소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문 메시지가 SMS-SC를 거치지 않고 IMS 도메인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IE가 설정되지 않거나 또는 0으로 설정된다.
RP-User Data: 3GPP TS 24.011에 명시된 RP-User data element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RP-User Data는 Length indicator와 TPDU(Transfer 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한다.
상기 RP-User Data에 포함되는 TPDU는 SMS-SUBMIT type으로 하기 표 1과 같은 I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문 메시지가 SMS-SC를 거치지 않고 IMS 도메인으로 전달되므로, 다음의 IE들은 SMS-SC가 아닌 어플리케이션 서버(예컨대, SMS AS)가 처리한다.
Abbr . Reference
TP-MTI TP-Message-Type-Indicator
TP-RD TP-Reject-Duplicates
TP-VPF TP-Validity-Period-Format
TP-RP TP-Reply-Path
TP-UDHI TP-User-Data-Header-Indicator
TP-SRR TP-Status-Report-Request
TP-MR TP-Message-Reference
TP-DA TP-Destination-Address
TP-PID TP-Protocol-Identifier
TP-DCS TP-Data-Coding-Scheme
TP-VP TP-Validity-Period
TP-UDL TP-User-Data-Length
TP-UD TP-User-Data
TP-Message-Type-Indicator (TP-MTI): TS 23.040에 명시된 TP-MTI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SMS-SUBMIT type에 해당하는 값(01)으로 설정된다.
TP-Reject-Duplicates (TP-RD): SMS AS가 ‘동일한 메시지’를 중복 수신한 경우,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을 요청하는 경우 1로 설정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0으로 설정된다. SMS AS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와 비교하여 동일한 송신자(SIP MESSAGE의 From 헤더 필드 기반)가 동일한 수신자 (SIP MESSAGE의 Request URI에 기반)에게 보내는 동일한 TP-MR 값을 갖는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를 다시 수신한 경우, 이를 ‘동일한 메시지’로 간주한다.
TP-Validity-Period-Format (TP-VPF): TP-VP의 포맷이 무엇인지를 명시하는 IE로,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VPF를 따른다.
00: TP-VP 필드가 존재하지 않음; 10: TP-VP 필드가 relative 포맷; 01: TP-VP 필드가 enhanced 포맷; 11: TP-VP 필드가 absolute 포맷.
TP-Reply-Path (TP-RP): 메시지 수신자가 송신자에게 답장 메시지(reply message)를 보낼 때, 수신한 메시지를 전송한 SMS-SC와 동일한 SMS-SC로 상기 답장 메시지가 거쳐갈 것을 명시하는 IE이다. 본 발명에서는 MSISDN이 없는 IMS 가입자에 대해 하나의 SMS AS가 메시지 송신 및 수신을 담당하므로, 상기 IE를 설정하지 않는다.
TP-User-Data-Header-Indicator (TP-UDHI): TP-UD 필드가 메시지 만을 포함하는 경우 0으로 설정되고, TP-UD 필드의 앞 부분에 메시지 외에 헤더를 더 포함하는 경우 1로 설정된다.
TP-Status-Report-Request (TP-SRR): 메시지를 송신하는 UE가 SMS AS에게 송신한 메시지에 대한 상태 보고(status report)를 요청하는 경우 1로 설정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된다.
TP-Message-Reference (TP-MR): 전송하는 SMS-SUBMIT을 식별하기 위한 IE로,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MR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TP-Destination-Address (TP-DA): 메시지 수신자의 주소로 설정된다. 그러나 수신자의 주소는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의 Request URI에 설정되어 있는 바, 상기 IE는 설정되지 않는다.
TP-Protocol-Identifier (TP-PID): 상위 레이어(layer)를 명시하기 위한 IE로, TS 23.040에 명시된 TP-PID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TP-Data-Coding-Scheme (TP-DCS): TP-User-Data의 부호화 방식(coding scheme)을 명시하기 위한 IE로,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DCS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TP-Validity-Period (TP-VP): 송신하는 메시지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IE로, TP-VPF에서 명시한 포맷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SMS AS는 메시지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때까지 TP-VP에 명시한 유효 기간 동안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해야 한다. SMS AS는 상기 유효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를 폐기한다. 이 경우, SMS AS는 추가적으로 메시지 송신자에게 전달 실패를 알릴 수 있다.
TP-User-Data-Length (TP-UDL): TP-UD 필드의 길이를 나타내며,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UDL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TP-User-Data (TP-UD):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User Data (TP-UD)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전송하려고 하는 메시지가 TP-DCS에서 명시한 부호화 방식(coding scheme)에 기반하여 포함된다. 또한, TP-UD는 헤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P-UD가 헤더를 포함하는 경우, 기존의 헤더 뿐만 아니라 새로운 헤더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PDU(Protocol Data Unit)를 활용함으로써, 단순 텍스트 형태의 단문 메시지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소리, 사진, 애니메이션 등) 및 다양한 용도 (M2M 용도 등)의 단문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9) 상기 프록시 세션 제어기(220)는 상기 UE-2(120)로부터 수신한 상기 SIP 기반 메시지를 서빙 세션 제어기(예컨대, S-CSCF-2)에게 전달한다.
10)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20)는 상기 SIP 기반 메시지에 대한 서비스 제어 로직(service control logic)을 호출한다. 즉,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20)는 UE-2(120)의 서비스 프로파일(service profile)을 검증(validate)하고, UE-2(120)의iFC(initial Filter Criteria)를 평가(evaluate)한다.
11)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20)는 상기 SIP 기반 메시지를 라우터(예컨대, I-CSCF-1)에게 전달한다.
12) 상기 라우터(410)는 상기 SIP 기반 메시지의 수신자(UE-1)를 담당(serve)하는 서빙 세션 제어기의 주소를 획득하기 위해 홈 가입자 서버(HSS)와 위치 쿼리 절차(Location Query procedure)를 수행한다.
13) 상기 라우터(410)는 상기 단계 12에서 주소를 획득한 서빙 세션 제어기(S-CSCF-1)에게 상기 SIP 기반 메시지를 전달한다.
14)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는 상기 SIP 기반 메시지에 대한 서비스 제어 로직(service control logic)을 호출한다. 즉, 상기 SIP 기반 메시지의 수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SIP 기반 메시지의 처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는 UE-2(120)의 서비스 프로파일(service profile)을 검증(validate)하고, UE-2(120)의iFC(initial Filter Criteria)를 평가(evaluate)하여 상기 메시지 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15) 상기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인 UE-1은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이므로, 상기 UE-1으로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는 상기 SIP 기반 메시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로 전송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수신한 SIP 기반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SIP 기반 메시지에 포함된 RP-DATA를 변환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가 상기 SIP 기반 메시지(예컨대, SIP MESSAGE request)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 RP-DATA(즉, RPDU)를 변환하는 일 예이다.
변환된 RP-DATA는 하기와 같은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포함한다.
RP-Message Type: 3GPP TS 24.011에 명시된 MTI(Message Type Indicator)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네트워크가 UE로 보내는 RP-DATA에 해당하는 값(001)으로 설정된다.
RP-Message Reference: 수신한 SIP MESSAGE request의 RP-DATA 내의 RP-Message Reference 값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RP-Originator Address: 3GPP TS 24.011에 명시된 Originator address element에 따르면 상기 주소는 SMS-SC(SMS-Service Center)의 주소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문 메시지가 SMS-SC를 거치지 않고 IMS 도메인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IE는 설정되지 않거나 또는 0으로 설정된다.
RP-Destination Address: 3GPP TS 24.011에 명시된 Destination address element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네트워크가 UE로 보내는 RP-DATA이므로 0으로 설정된다.
RP-User Data: 3GPP TS 24.011에 명시된 RP-User data element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RP-User Data는 Length indicator와 TPDU(Transfer 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한다.
상기 RP-User Data에 포함되는 TPDU는 SMS-DELIVER type으로 하기 표 2와 같은 IE를 포함할 수 있다.
Abbr . Reference
TP-MTI TP-Message-Type-Indicator
TP-MMS TP-More-Messages-to-Send
TP-LP TP-Loop-Prevention
TP-RP TP-Reply-Path
TP-UDHI TP-User-Data-Header-Indicator
TP-SRI TP-Status-Report-Indication
TP-OA TP-Originating-Address
TP-PID TP-Protocol-Identifier
TP-DCS TP-Data-Coding-Scheme
TP-SCTS TP-Service-Centre-Time-Stamp
TP-UDL TP-User-Data-Length
TP-UD TP-User-Data
TP-Message-Type-Indicator (TP-MTI):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MTI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SMS-SUBMIT type에 해당하는 값(01)으로 설정된다.
TP-More-Messages-to-Send (TP-MMS):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MMS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SMS AS가 동일한 수신자에게 전달해야 하는 메시지를 추가로 가지고 있는 경우 0으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1로 설정된다.
TP-Loop-Prevention (TP-LP): 메시지가 네트워크 내에서 수신자 아닌 다른 목적지로 전달되는 경우에 불필요한 루프(loop)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하는 IE로, 본 발명에서는 0으로 설정된다.
TP-Reply-Path (TP-RP): 수신한 SIP MESSAGE request의 TPDU의 TP-RP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TP-User-Data-Header-Indicator (TP-UDHI): 수신한 SIP MESSAGE request의 TPDU의 TP-UDHI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TP-Status-Report-Indication (TP-SRI): 수신한 SIP MESSAGE request의 TPDU의 TP-SRR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TP-Originating-Address (TP-OA): 메시지 송신자의 주소로 설정되어야 하나, 이 값은 이미 SIP MESSAGE request의 From 헤더 필드에 설정되어 있는 바, 상기 IE를 설정하지 않는다.
TP-Protocol-Identifier (TP-PID): 수신한 SIP MESSAGE request의 TPDU의 TP-PID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TP-Data-Coding-Scheme (TP-DCS): 수신한 SIP MESSAGE request의 TPDU의 TP-DCS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TP-Service-Centre-Time-Stamp (TP-SCTS): SMS AS가 SIP MESSAGE request를 수신한 시각을 명시하며,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SCTS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TP-User-Data-Length (TP-UDL): 수신한 SIP MESSAGE request의 TPDU의 TP-UDL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TP-User-Data (TP-UD): 수신한 SIP MESSAGE request의 TPDU의 TP-UD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16)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변환된 RP-DATA를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한 SIP 기반 메시지를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에게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변환되기 전 RP-DATA를 포함하는 SIP 기반 메시지를 제 1 SIP 기반 메시지라 지칭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가 상기 단계 15에서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로부터 수신한 SIP 기반 메시지를 제 1 SIP 기반 메시지라 지칭한다.
또한 상기 변환된 RP-DATA를 포함하는 SIP 기반 메시지를 제 2 SIP 기반 메시지라 지칭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가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로 전송한 SIP 기반 메시지를 제 2 SIP 기반 메시지라 지칭한다.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 및 제 2 SIP 기반 메시지는 발신 단말(UE-2)이 수신 단말(UE-1)에게 보내는 단문 메시지를 포함한다.
17~18)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로부터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가 상기 메시지를 상기 프록시 세션 제어기(210)를 통해 UE-1(110)에게 전달한다.
19) UE-1(100)은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예컨대, SIP 200 OK)를 상기 프록시 세션 제어기(210)에게 전송한다.
20) 상기 프록시 세션 제어기(210)은 상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에게 전달한다.
21)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는 상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게 전달한다.
22)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에게 전송한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저장하고 있던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23-26)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가 전달된 경로를 거쳐 UE-2(120)에게 전달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에서는 발신 단말(UE-2)이 단문 메시지에 대한 상태 보고(status report)를 요청한 경우에 대한 처리를 나타낸다. 도 8에서와 같이, 단문 메시지 발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은 모두 상기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이며, 상기 발신 단말은 IMS 등록을 수행한 것으로 전제한다.
1)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예컨대, MSISDN)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UE-1)은 IMS로 등록을 수행한다. 상기 IMS 등록 과정은 도 8의 1) 내지 7)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2) UE-2(120)가 상기 UE-1(110)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도 8에서설명한 방법들이 이용된다. 이에 더하여, 특히, UE-2(120)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상태 보고(status report)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S-SUBMIT type의 TPDU를 구성하는 TP-SRR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3) 내지 15) 과정은 도 8의 9) 내지 21)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16) 상기 응답 메시지(예컨대, SIP 200 OK)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에는 상태 보고(status report) 요청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상태 보고를 구성한다. 상기 상태 보고에는 단문 메시지 전송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가 상기 상태 보고를 구성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단문 메시지 송신자가 단문 메시지에 대한 상태 보고를 요청한 경우. 예컨대 SIP MESSAGE request의 TP-SRR을 1로 설정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단문 메시지 송신자에게 상태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 보고가 포함된 SIP MESSAGE request는 Content-Type 헤더 필드가 application/vnd.3gpp.sms로 설정되고, 본문(body)에 RP-DATA가 포함될 수 있다. RP-DATA는 다음과 같은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포함하며, 각 IE의 설정은 다음과 같다.
RP-Message Type: 3GPP TS 24.011에 명시된 MTI(Message Type Indicator)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네트워크가 UE로 보내는 RP-DATA에 해당하는 값(001)으로 설정된다.
RP-Message Reference: 3GPP TS 24.011에 명시된 Message reference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0 ~ 255 사이의 값 중 하나로 설정된다.
RP-Originator Address: 3GPP TS 24.011에 명시된 Originator address element에 따르면 상기 주소는 SMS-SC(SMS-Service Center)의 주소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메시지가 SMS-SC를 거치지 않고 IMS 도메인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IE는 설정되지 않거나 또는 0으로 설정된다.
RP-Destination Address: 3GPP TS 24.011에 명시된 Destination address element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네트워크가 UE로 보내는 RP-DATA이므로 0으로 설정된다.
RP-User Data: 3GPP TS 24.011에 명시된 RP-User data element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즉, RP-User Data는 Length indicator와 TPDU(Transfer 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한다.
상기 RP-User Data에 포함되는 TPDU는 SMS-STATUS-REPORT type으로 하기 표 3과 같은 IE를 포함할 수 있다.
Abbr . Reference
TP-MTI TP-Message-Type-Indicator
TP-UDHI TP-User-Data-Header-Indication
TP-MMS TP-More-Messages-to-Send
TP-LP TP-Loop-Prevention
TP-SRQ TP-Status-Report-Qualifier
TP-MR TP-Message-Reference
TP-RA TP-Recipient-Address
TP-SCTS TP-Service-Centre-Time-Stamp
TP-DT TP-Discharge-Time
TP-ST TP-Status
TP-PI TP-Parameter-Indicator
TP-PID TP-Protocol-Identifier
TP-DCS TP-Data-Coding-Scheme
TP-UDL TP-User-Data-Length
TP-UD TP-User-Data
TP-Message-Type-Indicator (TP-MTI):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MTI에 기반하여 설정. 즉, SMS- STATUS-REPORT type에 해당하는 값 (10)을 설정한다.
TP-User-Data-Header-Indicator (TP-UDHI): 본 발명에서는 SMS-STATUS-REPORT에 TP-UDL이 포함되지 않으며, 이는 TP-UD도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TP-UDHI도 포함되지 않는다.
TP-More-Messages-to-Send (TP-MMS):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MMS에 기반하여 설정. 즉, SMS AS가 동일한 수신자에게 전달해야 하는 상태 보고(status report)를 추가로 가지고 있는 경우 0으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1로 설정된다.
TP-Loop-Prevention (TP-LP): 네트워크 내에서 status report가 수신자 아닌 다른 목적지로 전달되는 경우에 불필요한 루프(loop)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하는 IE로, 본 발명에서는 0으로 설정된다.
TP-Status-Report-Qualifier (TP-SRQ):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SRQ에 기반하여 설정. 즉, status report가 SMS-SUBMIT type의 TPDU를 포함하는 SIP MESSAGE request에 대한 것이므로 0으로 설정.
TP-Message-Reference (TP-MR): 어떤 SMS-SUBMIT에 대한 status report인지를 명시하기 위한 IE로, TS 23.040에 명시된 TP-MR에 기반하여 설정. 즉, status report가 요청된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 (즉, message 수신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SIP MESSAGE)에 포함된 SMS-SUBMIT type의 TPDU 내의 TP-MR 값과 동일하게 설정.
TP-Recipient-Address (TP-RA): Status report가 요청된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의 수신자 (즉, message 수신자)의 주소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IE를 설정하지 않음 (또는 0으로 설정).
TP-Service-Centre-Time-Stamp (TP-SCTS): SMS AS가 status report를 요청한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 (즉, message 수신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SIP MESSAGE)를 수신한 시각을 명시하며, TS 23.040에 명시된 TP-SCTS에 기반하여 설정.
TP-Discharge-Time (TP-DT): TP-ST와 관련한 시각을 나타내는 IE로, TS 23.040에 명시된 TP-DT에 기반하여 설정. 예를 들면, message 수신자에게 전달이 성공한 경우 전달이 완료된 시각을 나타냄.
TP-Status (TP-ST): Status report를 요청한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MESSAGE (즉, message 수신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SIP MESSAGE)의 status (전달 성공, 전달 실패 등)를 명시하는 IE로,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ST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TP-Parameter-Indicator (TP-PI): TP-UDL, TP-DCS, TP-PID IE들이 포함되었는지를 명시하는 IE로, 3GPP TS 23.040에 명시된 TP-PI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3개의 IE를 포함하지 않는 바, 모두 포함하지 않는다고 설정된다.
TP-Protocol-Identifier (TP-PID): 본 발명에서는 SMS-STATUS-REPORT에 TP-PID를 포함하지 않는다.
TP-Data-Coding-Scheme (TP-DCS): 본 발명에서는 SMS-STATUS-REPORT에 TP-DCS를 포함하지 않는다.
TP-User-Data-Length (TP-UDL): 본 발명에서는 SMS-STATUS-REPORT에 TP-UDL을 포함하지 않는다.
TP-User-Data (TP-UD): 본 발명에서는 SMS-STATUS-REPORT에 TP-UDL이 포함되지 않는 바, 이는 TP-UD도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함.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SIP 기반 메시지를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에게 보낸다. 이때, 상기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SIP 기반 메시지에는 발신 노드 및 수신 단말의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Request URI 필드를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형식(format)에 따라 UE-2(120)의 사용자의 IMPU로 설정하고, From 헤더 필드를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또는 Tel URI 형식(format)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의 IMPU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SIP 기반 메시지의 Content-Type 헤더 필드는 application/vnd.3gpp.sms로 설정할 수 있다.
17~20) 상기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SIP 기반 메시지는 UE-2(120)에게 전달된다.
21~25) UE-2(120)는 상기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SIP 기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예컨대, SIP 200 OK)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게 보내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게 전달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단계 9에서 수신한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단계 9에서 수신한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상기 단계 16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에서 단문 메시지 발신 단말(UE-2) 및 수신 단말(UE-1)은 모두 상기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이며, 상기 발신 단말(UE-2)은 IMS 등록을 수행한 것으로 전제한다.
도 10은 단문 메시지의 수신 단말(UE-1)이 IMS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1) UE-2(120)가 상기 UE-1(110)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도 8에서설명한 방법들이 이용된다. 이에 더하여, 특히, UE-2(120)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상태 보고(status report)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S-SUBMIT type의 TPDU를 구성하는 TP-SRR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2) 내지 7) 과정은 도 8의 9) 내지 14)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8) 상기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인 UE-1(110)은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이고 IMS 미등록 상태이므로,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는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로 전송한다.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의 이러한 결정은 상기 단계 7에서 UE-1(110)의 iFC를 평가한 결과로써, 단문 메시지 수신자인 UE-1의 사용자가 IMS에 등록하지 않은 경우 terminated message를 SMS AS로 포워딩해야 함을 결정한다.
9)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UE-1에 대한 third-party 등록을 받은 적이 없으므로, 상기 SIP 기반 메시지의 수신자인 UE-1이 IMS에 등록을 하지 않은 단말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에게 상기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응답하는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수신한 SIP 기반 메시지를 저장한다.
10~13) 상기 ACK 메시지는 UE-2(120)에게 전달된다.
14~20) UE-1(110)이 IMS로 등록을 수행한다. 상기 IMS 등록 과정은 도 8의 1) 내지 7)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는 상기 UE-1(110)에 대한 third-party 등록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게 등록 요청 메시지(예컨대, SIP REGISTER)를 전송한다.
21)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저장하고 있던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변환한다. 상기 변환은 도 8의 15)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변환한 SIP 기반 메시지(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에게 전송한다.
22~23)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는 UE-1(110)로 전달된다.
24~26) UE-1(110)은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예컨대, SIP 200 OK)를 전송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로 전달된다.
27) 상기 응답 메시지(예컨대, SIP 200 OK)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에는 상태 보고(status report) 요청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상태 보고를 구성한다. 상기 상태 보고의 구성은 도 9의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SIP 기반 메시지를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에게 보낸다. 이때, 상기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SIP 기반 메시지에는 발신 노드 및 수신 단말의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Request URI 필드를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형식(format)에 따라 UE-2(120)의 사용자의 IMPU로 설정하고, From 헤더 필드를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또는 Tel URI 형식(format)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의 IMPU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SIP 기반 메시지의 Content-Type 헤더 필드는 application/vnd.3gpp.sms로 설정할 수 있다.
28~31) 상기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SIP 기반 메시지는 UE-2(120)에게 전달된다.
32~36) UE-2(120)는 상기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SIP 기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예컨대, SIP 200 OK)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게 보내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게 전달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단계 9에서 수신한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단계 8에서 수신한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상기 단계 27 또는 단계 36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단문 메시지의 수신 단말(UE-1)의 수신 메시지 저장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때 단문 메시지 발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은 모두 상기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이며, 상기 발신 단말은 IMS 등록을 수행한 것으로 전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예컨대, MSISDN)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UE-1)은 IMS로 등록을 수행한다. 상기 IMS 등록 과정은 도 8의 단계 1) 내지 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2) UE-2(120)가 상기 UE-1(110)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도 8에서설명한 방법들이 이용된다. 이에 더하여, 특히, UE-2(120)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상태 보고(status report)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S-SUBMIT type의 TPDU를 구성하는 TP-SRR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3) 내지 12) 과정은 도 8의 9) 내지 18)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13) UE-1(110)은 단문 메시지를 보관하기 위한 저장 용량이 초과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UE-1(110)은 저장 용량이 초과했음을 알리는 실패 응답 메시지를 프록시 세션 제어기(210)에게 전송한다. 이 때, UE-1(110)이 보내는 실패 응답 메시지는 기존의 SIP 응답 메시지일 수도 있고, 새롭게 정의한 응답 메시지(예컨대, 새롭게 정의된 response code를 갖는 응답 메시지)일 수도 있다. 어떤 응답 메시지가 사용되는지에 상관없이 상기 응답 메시지는 추가적으로 메시지 수신자의 메모리 용량(memory capacity)이 초과했음을 명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14~15) 상기 실패 응답 메시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게 전달된다.
16~20)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UE-2(120)에게 UE-2가 전송한 메시지에 대한 수신을 알리는 ACK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ACK 메시지는 UE-2(120)에게 전달된다.
21) UE-1(110)은 단문 메시지 수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통지 메시지(예컨대, Memory capacity available 메시지) 프록시 세션 제어기(210)에게 전송한다. 이 때, UE-1(110)이 보내는 상기 통지 메시지는 기존의 SIP 요청 메시지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을 위해 새롭게 정의한 요청 메시지일 수도 있다. 어떤 응답 메시지가 사용되는지에 상관없이 상기 응답 메시지는 추가적으로 메시지 수신자의 메모리 용량(memory capacity)이 초과했음을 명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22~23) UE-1(110)이 보낸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에게 전달된다.
24)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저장하고 있던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변환한다. 상기 변환은 도 8의 15)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변환한 SIP 기반 메시지(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에게 전송한다.
25~26)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는 UE-1(110)에게 전달된다.
27~29) UE-1(110)은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예컨대, SIP 200 OK)를 전송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로 전달된다.
30) 상기 응답 메시지(예컨대, SIP 200 OK)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에는 상태 보고(status report) 요청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500)는 상기 상태 보고를 구성한다. 상기 상태 보고의 구성 및 전달은 도 9의 16) 내지 25)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메시지 전달 방법에서 메시지 수신자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예컨대, SMS AS)가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였다가 향후 메시지의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대신, 메시지 수신자를 담당(serve)하는 S-CSCF가 상기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S-CSCF가 메시지를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고 별도의 저장용 노드에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TPDU를 포함하는 RPDU를 SIP MESSAGE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대신, TPDU만을 SIP MESSAGE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vnd.3gpp.sms 대신 새로운 값을 정의하여 Content-Type 헤더 필드를 설정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서빙 세션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MS-A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는 S-CSCF 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500)은 저장 수단(501)와 컨트롤러(502)와 송수신부(50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빙 세션 제어기(310)는 저장 수단(311)와 컨트롤러(312)와 송수신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수단들(501, 311)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방법을 저장한다.
상기 컨트롤러들(502, 312)은 상기 저장 수단들(501, 311) 및 상기 송수신부들(503, 313)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들(502, 312)은 상기 저장 수단들(501, 311)에 저장된 상기 방법들을 각기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들(502, 312)은 상기 송수신부들(503, 313)을 통해 상기 전술한 신호 및/또는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상기 컨트롤러들(502, 312)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수단들(501, 311)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들(503, 313)은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저장 수단들(501, 311)에 저장되고, 상기 컨트롤러들(502, 3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저장 수단들(501, 311)은 상기 컨트롤러들(502, 312)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상기 컨트롤러들(502, 31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세션 제어기가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발신 단말에 의한 제 1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 내에 포함된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포함된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에 기반하여 변환된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IMS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IMS 등록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수신 단말에대한 제 3자(third-party)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에 상태 보고(status report) 요청이 포함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상태 보고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단계; 및
    상기 상기 상태 보고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태 보고는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저장 용량 부족을 이유로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음을 알리는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저장 용량이 가용(available)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음을 알리는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프로파일(service profile) 및 iFC(initial Filter Criteria)을 통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는,
    상기 단문 메시지의 유효 기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의 식별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의 IMPU(IP Multimedia Public identit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는, SMS-SUBMIT 타입의 TPDU(transfer 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하는 SIP MESSAGE request 메시지이고,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는, SMS-DELIVER 타입의 TPDU를 포함하는 SIP MESSAGE request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는 MSISDN(mobile subscribe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num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MS 기반의 세션 제어기는 S-CSCF(Serv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세션 제어기로부터 발신 단말에 의한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제 2 SIP 기반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제어기로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제어기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수신 단말에 대한 제 3자(third-party)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에 상태 보고(status report) 요청이 포함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상태 보고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보고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세션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세션 제어기에 있어서,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발신 단말에 의한 제 1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 메시지를 수신 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 내에 포함된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인지 확인하고,
    상기 포함된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결정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에 기반하여 변환된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기반의 세션 제어기.
  15. 이동 통신 글로벌 고유 번호 없이 IMS에 가입된 단말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있어서,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세션 제어기로부터 발신 단말에 의한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가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1 SIP 기반 메시지를 제 2 SIP 기반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세션 제어기로 제 2 SIP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KR1020120042825A 2011-09-28 2012-04-24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장치 KR20130034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4238 WO2013047976A1 (ko) 2011-09-28 2012-05-30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40480P 2011-09-28 2011-09-28
US61/540,480 2011-09-28
US201161543786P 2011-10-05 2011-10-05
US61/543,786 2011-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571A true KR20130034571A (ko) 2013-04-05

Family

ID=4843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825A KR20130034571A (ko) 2011-09-28 2012-04-24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45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39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messages
US10932321B1 (en) Method of providing data, voice, and SMS services to LTE subscribers roaming in 2G/3G visited networks
KR10156621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tc 방법 및 장치
RU2610590C2 (ru) Служба коротких сообщений, исходящих из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поступающих в мобильные устройства, без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абонентского телефонного номера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msisdn), в мультимедийной подсистеме на базе интернет-протокола (ims)
US818462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hort message routing control
KR100946900B1 (ko) Ims 재등록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140155112A1 (en) Support of short message service in ims without msisdn
EP25255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essage
US93924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hort message services for packet switching-only subscription i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8989151B2 (en) Short messaging service over 3GPP long term evolution
RU2564249C2 (ru) Отчет о доставке текстовых сообщений в связи по протоколу установления сеанса sip
US20130310088A1 (en) Short message service mobile originated/mobile terminated without 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msisdn) i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with inter-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handling
US201302793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triggering service
US9473872B2 (en) Supplementary services management setting control
US20130267263A1 (en) Method of Handling Message Transmiss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20130034571A (ko)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장치
EP4322563A1 (en) Support of emergency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KR102404268B1 (ko) SMS over IP를 위한 가입자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20811B1 (ko) Ims 망에서 호 세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467970B1 (ko) 패킷-스위치된 네트워크를 통해 ao 문자 메시지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3032208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Murthy Nextgen Short Message Gateway architecture for supporting short message services across different IP connectivity access networks
KR20180095322A (ko) SMS over IP를 위한 가입자 관리 서버와의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agrange Diana-Minodora Ciuraru (Télécom Bretagne) Lavinia Hilohi (Télécom Bretagne) Antoine Mercier (Bouygues Télécom) Xavier Lagrange (Télécom Bretag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