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459A -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 Google Patents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459A
KR20130034459A KR1020110098476A KR20110098476A KR20130034459A KR 20130034459 A KR20130034459 A KR 20130034459A KR 1020110098476 A KR1020110098476 A KR 1020110098476A KR 20110098476 A KR20110098476 A KR 20110098476A KR 20130034459 A KR20130034459 A KR 20130034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main body
leakage preventing
gasket
lay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태섭
Original Assignee
(주)씨티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티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씨티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10098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4459A/en
Publication of KR2013003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4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2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s provided to form a leakage prevention protrusion and a leakage prevention groove in the inner bottom of a main case and the bottom of a gasket, and to prevent the electrolyte in the main case from leaking out to the outside. CONSTITUTION: A first polarity electrode(500) is adhered to the inner part of a main case(100). An upper cap(200) seals the opened upper part of the main case. A second polarity electrode(4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larity electrode is adhered to the inner part of the upper cap. A gasket(300) is arranged between the upper cap and the main case to seal the upper cap and the main case. A leakage prevention protrusion(330) is formed in the central bottom part of the gasket. A leakage prevention groove(130) is formed in the inner bottom of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leakage prevention protrusion. A separator(60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olarity electrode and the second polarity electrode.

Description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본 발명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스킷의 바닥면 및 본체 케이스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는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이 형성됨으로써 커패시터 내측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more particularly,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s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inner case of the main body case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inside the capacitor. An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is provided to prevent it.

일반적으로, 코인 타입 등과 같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고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충전 및 방전 사이클이 리튬 2차 전지에 비해 우수하고, 친화적인 특징을 가지므로 근래에 들어 휴대기기의 백업용의 전원으로서의 용도가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such as coin type, have a high energy density, have better charge and discharge cycles tha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have friendly characteristics. have.

이러한 종래의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DLC ;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는 부호가 다른 한 쌍의 전하층(전기이중층)이 생성된 것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이는 계속적인 충전/방전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축전지에 비해 에너지효율과 출력이 높고 내구성 및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is an energy storage device using a pair of charge layers (electric double layers) having different signs, which is capable of continuous charging / discharging, Compared with the energy efficiency, the output is high, and the durability and stability are excellent.

상기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일반적으로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양극, 음극 2개의 전극을 서로 대향되게 배치한 다음, 전해질을 함침시켜 구성한 셀(cell)을 갖는다.In general,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has a cell formed by disposing an anode and a cathode opposite to each other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n impregnating an electrolyt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다.1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외장재인 상부 캡(10)과 하부 캔(20)에 전도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기 분해액을 충분히 함침시킨 분극성 전극(30, 40)을 각각 부착시킨 후, 두 개의 분극성 전극(30, 40) 사이에는 세퍼레이터(Separator)(50)를 개재시킨 다음, 상부 캡(10)과 하부 캔(20)을 조립시키되, 상부 캡(10)과 하부 캔(20)의 사이에는 절연 및 밀봉을 위해 개스킷(60)을 패킹시켜 제작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uses a polarizable electrode 30 and 40 that is sufficiently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ic solution using a conductive adhesive to an upper cap 10 and a lower can 20, which are exterior materials. After attaching to each other, a separator 50 is interposed between the two polarizable electrodes 30 and 40, and then the upper cap 10 and the lower can 20 are assembled. The gasket 60 is packed between the lower cans 20 for insulation and sealing.

이때, 상기 하부 캔(20) 및 개스킷(60)이 밀착되는 외주방향 상단부가 컬링(curling) 가공에 의해 상기 하부 캔(20)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구부러져 마감되는 부분인 날개(22)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n outer circumferential upper end portion in which the lower can 20 and the gasket 6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s formed with a blade 22 that is a portion bent inwar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n 20 by a curling process. .

따라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컬링(curling) 가공 후 내부압력팽창으로 인해 상기 하부 캔(20) 및 개스킷(60)이 밀착되는 부분에서 하부 캔(20) 내측에 구비된 분극성 전극(40)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s an electrolyte solution from the polarizable electrode 40 provided inside the lower can 20 at a portion where the lower can 20 and the gasket 6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internal pressure expansion after a curling process. It is important to prevent it from leaking outside.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통상 메모리 소자 등과 함께 프린트 기판 상에 부착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프린트 기판 상에 표면 실장의 한 방법인 리플로우법(Reflow process)으로 납땜되어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usually used to be attach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a memory element, and is used by soldering by a reflow process which is a method of surface mounting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

리플로우법이란 프린트 기판 상의 납땜을 해야 하는 부분에 미리 솔더크림 등을 도포해두고 그 부분에 부품을 공급한 뒤 납을 납땜부 부분에 공급하면서 납땜부 부분이 납의 융점 이상(예를 들면, 200~240℃, Pb-Free 의 경우 250~270℃)이 되도록 설정된 고온의 분위기 내에 통과시키면서 납을 용해시켜 부품을 프린트 기판 상에 납땜하는 방법이다.In the reflow method, a solder cream or the like is applied to a portion to be soldered on a printed board in advance, a component is supplied to the portion, and lead is supplied to the solder portion, while the solder portion is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lead (for example, 200 It is a method of soldering parts on a printed board by dissolving lead while passing in a high temperature atmosphere set to be 240 ° C and 270 ° C in the case of Pb-free.

이와 같은 리플로우법으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기판 상에 납땜하기 위해서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재료도 높은 내열성이 요구된다.In order to solder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onto a substrate by such a reflow method, the material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lso requires high heat resistance.

그러나 종래의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컬링가공 후 내부압력팽창, 프린트 기판 상에 납땜 설치 및 사용시 발생하는 등의 과열로 인하여, 구조상 내부에 구비된 분극성 전극(30, 40)으로부터 함침된 전해액이 하부 캔(20)과 개스킷(60)의 밀착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due to overheating such as an internal pressure expansion after curling processing and soldering on a printed board and overheating, the electrolytic solution impregnated from the polarizable electrodes 30 and 40 provided inside the structure can be lowered. There was a problem that a phenomenon that the outflow from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the 20 and the gasket 60 occurs.

즉, 종래의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구조상 상부 캡(10)의 하단 둘레 부분이 벤딩된 구조로 개스킷(60)과 밀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조상 상기 상부 캡(10)과 개스킷(60)의 밀착부분에서는 전해액의 유출이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반대로 상기 개스킷(60)과 하부 캔(20)의 밀착부분에 있어서는 전해액의 유출이 상대적으로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개스킷(60)과 하부 캔(20)의 밀착부분에서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asket 60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upper cap 10 is bent in structure, and in such a close contact portion of the upper cap 10 and the gasket 60 in such a structure. The electrolyte has a difficult structure, but on the contrary, in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the gasket 60 and the lower can 20, the electrolyte has a relatively easy structure, and accordingly, the gasket 60 and the lower can 20 are sepa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enomenon in which the electrolyte flows out from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the).

아울러,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으로부터 커패시터의 내구성이 낮아지게 되어 커패시터의 사용수명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capacitor is lowered from the phenomenon that the electrolyte is leaked to the outside, which significantly shortened the service life of the capacitor.

그러므로, 전해액의 외부 유출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내구성을 높여 사용수명을 보다 길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구조 등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of a structure of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apable of preventing an external leak of the electrolyte and increasing the service life by increasing durability.

KRKR 10-2007-008481610-2007-0084816 AA 2007.08.27.2007.08.2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스킷의 바닥면 및 본체 케이스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는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이 형성됨으로써 본체케이스 내측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to prevent the outflow projection and the outflow prevention grooves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inside the main body case to the outs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개스킷의 바닥면 및 본체 케이스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는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을 복수 개 형성함과 동시에 유출방지 돌기에 테이퍼를 형성함으로써 본체케이스 내측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lurality of the leakage preventing projections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inner case of the main body case and at the same time to form a taper on the leakage preventing projections inside the body case This is to more stably prevent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to the outsid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개스킷의 바닥면 및 본체 케이스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는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을 복수 개 형성함과 동시에 유출방지 돌기를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하여 본체케이스 내측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내구성을 높여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of leakage preventing projections and leakage preventing groov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inner bottom of the main body case and at the same time to form a main body case by forming a spill prevention projection in a tapered shape. By stably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insid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내면에 전해액이 함침된 제1 분극성 전극이 부착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제1 분극성 전극과 대응되는 제2 분극성 전극이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캡과, 상기 상부 캡과 본체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캡과 본체케이스 간을 절연 및 밀봉시키는 개스킷과, 상기 제1 분극성 전극과 제2 분극성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와 개스킷의 밀착부분을 통하여 상기 본체케이스 내측의 제1 분극성 전극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스킷의 바닥면 중앙부 및 상기 본체 케이스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어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s is as follows. That is,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case to which a first polarizable electrode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polarizable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An upper cap for sealing an open top of the gasket, a gasket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p and the main body case to insulate and seal the upper cap and the main body case, and between the first polarizing electrode and the second polarizing electrode.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ncluding an interposed separator,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out from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inside the body case through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the body case and the gasket. Correspon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part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are optional. .

여기서, 상기 유출방지 돌기는 상기 개스킷의 바닥면 중앙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한편,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유출방지 홈은 상기 유출방지 돌기와 대응되어 상기 본체케이스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한편,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leak prevention protrusions are formed along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and are formed in plural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leak prevention grooves extend alo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ak prevention protrusions.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y formed in plural pieces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때, 상기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은 상호 대응되어 맞물리도록 테이퍼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is preferably formed in a tapered trapezoidal shape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더욱이, 상기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은 상기 개스킷의 측면 중앙부 및 상기 본체 케이스 내측 측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더 돌출 및 함몰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center portion of the gasket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and may be further protruded and recessed sel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개스킷의 바닥면 및 본체 케이스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는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이 형성됨으로써 본체케이스 내측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irst, an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is provid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to prevent the outflow protrusion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ase. For the purpose of

둘째, 개스킷의 바닥면 및 본체 케이스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는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을 복수 개 형성함과 동시에 유출방지 돌기에 테이퍼를 형성함으로써 본체케이스 내측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Secon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a plurality of mutually corresponding leak preventing projections and outflow preventing grooves are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aper is formed on the leak preventing projections so that the electrolyte solution inside the main body case flows outward. Can be prevented more stably.

셋째, 개스킷의 바닥면 및 본체 케이스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는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을 복수 개 형성함과 동시에 유출방지 돌기를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하여 본체케이스 내측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내구성을 높여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Thi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a plurality of mutually corresponding leak preventing projections and outflow preventing grooves are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leakage preventing projections are formed in a tapered shape to allow the electrolyte solution inside the main body case to go outside. By stably preventing leakage, the service life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an be extended 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1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show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parate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다.4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내면에 전해액이 함침된 제1 분극성 전극(500)이 부착되는 본체케이스(100)와,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과 대응되는 제2 분극성 전극(400)이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캡(200)과, 상기 상부 캡(200)과 본체케이스(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캡(200)과 본체케이스(100) 간을 절연 및 밀봉시키는 개스킷(300)과,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과 제2 분극성 전극(400)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S. 2 to 3,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case 100 to which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The second polarizable electrode 400 corresponding to the polarized electrode 50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to seal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100, the upper cap 200 and the main body. A gasket 300 disposed between the case 100 to insulate and seal the upper cap 200 and the body case 100, and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and the second polarized electrode 400.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eparator 600 interposed between.

이때, 상기 본체케이스(100)와 개스킷(300)의 밀착부분을 통하여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측의 제1 분극성 전극(500)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스킷(300)의 바닥면 중앙부를 따라 유출방지 돌기(330)가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gasket 300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from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inside the body case 100 through the clos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body case 100 and the gasket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330 extends along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유출방지 돌기(330)와 대응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유출방지 홈(13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130 is formed alo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330.

더욱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출방지 돌기(330) 및 유출방지 홈(130)은 각각 상기 개스킷(300)의 측면 중앙부 및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측 측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어 추가적으로 더 돌출 및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330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130 correspond to each other along the lateral center portion of the gasket 300 and the inner sid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case 100, and further protrude and dent. It may be formed.

상기와 같이, 유출방지 돌기(330) 및 유출방지 홈(130)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330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130 are formed,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lyte solution from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case 100.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leakage to the outside.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내면에 전해액이 함침된 제1 분극성 전극(500)이 부착되는 본체케이스(100a)와,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과 대응되는 제2 분극성 전극(400)이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a)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캡(200)과, 상기 상부 캡(200)과 본체케이스(100a)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캡(200)과 본체케이스(100a) 간을 절연 및 밀봉시키는 개스킷(300a)과,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과 제2 분극성 전극(400)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case 100a to which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is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and the first polarity is attached. The second polarizable electrode 40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50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to seal the ope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case 100a, the upper cap 200 and the main body case ( A gasket 300a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p 200 and the body case 100a and between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and the second polarized electrode 400.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eparator 600 interposed.

여기서, 상기 본체케이스(100a)와 개스킷(300a)의 밀착부분을 통하여 상기 본체케이스(100a) 내측의 제1 분극성 전극(500)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케이스(100a)의 내측 바닥면 테두리 부분을 따라 유출방지 돌기(130a)가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body case 100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from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inside the body case 100a through the clos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body case 100a and the gasket 300a.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130a extends along the inner bottom edge of the inner surface 100a.

이때, 상기 유출방지 돌기(130a)와 대응되어 상기 개스킷(300a) 바닥면 중앙부를 따라 유출방지 홈(33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유출방지 돌기(130a)와 유출방지 홈(330a)이 상호 맞물려 밀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a)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330a is formed along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300a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130a. Accordingly,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130a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330a are formed. The interlocking and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may stably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out from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provided in the body space 100a.

더욱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출방지 돌기(130a) 및 유출방지 홈(330a)은 각각 상기 본체케이스(100a)의 내측 바닥면 테두리 부분 및 상기 개스킷(300a) 바닥면 중앙부를 따라 상호 대응되어 추가적으로 돌출 및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130a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330a correspond to each other along the inner bottom edge of the main body case 100a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300a to protrude further. And depressions.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내면에 전해액이 함침된 제1 분극성 전극(500)이 부착되는 본체케이스(100b)와,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과 대응되는 제2 분극성 전극(400)이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b)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캡(200)과, 상기 상부 캡(200)과 본체케이스(100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캡(200)과 본체케이스(100b) 간을 절연 및 밀봉시키는 개스킷(300b)과,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과 제2 분극성 전극(400)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case 100b to which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polarizable property. The second polarizable electrode 40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50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to seal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100b, the upper cap 200 and the main body case ( A gasket 300b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p 200 and the main body case 100b and between the first polarizing electrode 500 and the second polarizing electrode 400.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eparator 600 interposed.

여기서, 상기 본체케이스(100b)와 개스킷(300b)의 밀착부분을 통하여 상기 본체케이스(100b) 내측의 제1 분극성 전극(500)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스킷(300b)의 바닥면 중앙부를 따라 유출방지 돌기(330b)가 연장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유출방지 돌기(330b)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gasket 300b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from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inside the main body case 100b through the clos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case 100b and the gasket 300b.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330b extends along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330b is preferably formed in plural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때, 상기 유출방지 돌기(330b)와 대응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b)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유출방지 홈(130b)이 복수 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leak prevention grooves 130b are formed alo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00b to correspond to the leak prevention protrusion 330b.

더욱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출방지 돌기(330b) 및 유출방지 홈(130b)은 각각 상기 개스킷(300b)의 측면 중앙부 및 상기 본체케이스(100b) 내측 측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어 추가적으로 단일 또는 일정간격을 가지는 복수 개 중 택일적으로 더 돌출 및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330b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130b correspond to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center portion of the gasket 300b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00b, respectively, and additionally have a single or predetermined interval. Alternatively, more protruded and recessed may be formed from among a plurality.

상술한 유출방지 돌기(330b) 및 유출방지 홈(130b)이 복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상기 본체케이스(100b)와 개스킷(300b)의 밀착부분에 대한 긴밀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케이스(100b)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above-described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330b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130b are formed in plural,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closeness of the adhesion between the main body case 100b and the gasket 300b. As a result, the electrolyte may be more stab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from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case 100b.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내면에 전해액이 함침된 제1 분극성 전극(500)이 부착되는 본체케이스(100c)와,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과 대응되는 제2 분극성 전극(400)이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c)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캡(200)과, 상기 상부 캡(200)과 본체케이스(100c)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캡(200)과 본체케이스(100c) 간을 절연 및 밀봉시키는 개스킷(300c)과,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과 제2 분극성 전극(400)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case 100c to which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polarizable property. The second polarizable electrode 40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50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to seal the ope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case 100c, the upper cap 200 and the main body case ( A gasket 300c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p 200 and the main body case 100c and between the first polarizing electrode 500 and the second polarizing electrode 400.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eparator 600 interposed.

여기서, 상기 본체케이스(100c)와 개스킷(300c)의 밀착부분을 통하여 상기 본체케이스(100c) 내측의 제1 분극성 전극(500)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스킷(300c)의 바닥면 중앙부를 따라 유출방지 돌기(330c)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출방지 돌기(330c)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형성되는 한편,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gasket 300c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from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inside the body case 100c through the clos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body case 100c and the gasket 300c. Outflow prevention projections (330c)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bottom surface center portion of the), while the outflow prevention projections (330c) are formed in a plurality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tapered shape of the light beam down.

이때, 상기 유출방지 돌기(330c)와 대응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c)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유출방지 홈(130c)이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pill preventing grooves 130c are formed alo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00c to correspond to the spill preventing protrusion 330c, but are formed in a tapered shape of a light beam bottom.

더욱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출방지 돌기(330c) 및 유출방지 홈(130c)은 각각 상기 개스킷(300c)의 측면 중앙부 및 상기 본체케이스(100c) 내측 측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어 추가적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는 복수 개로 더 돌출 및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330c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130c correspond to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center portion of the gasket 300c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00c, and further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may be further protruded and recessed.

상술한 유출방지 돌기(330c) 및 유출방지 홈(130c)이 복수 개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상기 본체케이스(100c)와 개스킷(300c)의 밀착부분에 대한 긴밀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케이스(100c)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above-described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330c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130c are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plural, so that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closeness to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main body case 100c and the gasket 300c. It can be remarkably increased, whereby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be more stab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from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case 100c.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내면에 전해액이 함침된 제1 분극성 전극(500)이 부착되는 본체케이스(100d)와,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과 대응되는 제2 분극성 전극(400)이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d)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캡(200)과, 상기 상부 캡(200)과 본체케이스(100d)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캡(200)과 본체케이스(100d) 간을 절연 및 밀봉시키는 개스킷(300d)과,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과 제2 분극성 전극(400)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case 100d to which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is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and the first polarity is attached. The second polarizable electrode 40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50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to seal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100d, the upper cap 200 and the main body case ( A gasket 300d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p 200 and the main body case 100d and between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and the second polarized electrode 400.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eparator 600 interposed.

여기서, 상기 본체케이스(100d)와 개스킷(300d)의 밀착부분을 통하여 상기 본체케이스(100d) 내측의 제1 분극성 전극(500)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스킷(300d)의 바닥면 중앙부를 따라 유출방지 돌기(330d)가 연장 형성되며, 특히 상기 유출방지 돌기(330d)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gasket 300d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from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inside the main body case 100d through the clos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case 100d and the gasket 300d. Outflow prevention projections (330d)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bottom surface center portion of the), in particular, the leakage prevention projections (330d) is formed in a plurality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s preferably formed in a tapered shape of the light beam down.

이때, 상기 유출방지 돌기(330d)와 대응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d)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유출방지 홈(130d)이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leakage preventing grooves 130d are formed alo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00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s 330d, but are formed in a tapered shape of a light beam bottom.

더욱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유출방지 돌기(330d) 및 유출방지 홈(130d)은 각각 상기 개스킷(300d)의 측면 중앙부 및 상기 본체케이스(100d) 내측 측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어 추가적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는 복수 개로 더 돌출 및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330d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130d as shown in FIG. 7 correspond to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center portion of the gasket 300d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00d, and are additionally constant. It may be formed further protruding and recessed into a plurality of spaced apart.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출방지 돌기(330d) 및 유출방지 홈(130d)이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상기 본체케이스(100d)와 개스킷(300d)의 밀착부분에 대한 긴밀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케이스(100b)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기 제1 분극성 전극(500)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s 330d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s 130d are formed in plural, and are provided in a tapered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ings. The tightness of the adhesion portion 300d) may b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us, the electrolyte may be more stab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from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500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case 100b. It becomes possible.

아울러, 상기 본체케이스(100d) 내측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내구성을 높임과 동시에,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stably preventing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inside the main body case 100d, the durability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an be increased, and the service life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an be extend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이 상호 대응되도록 상향 또는 하향의 산 형상, 반구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mountain shape, hemispherical shape, such as upward or downward, so that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correspond to each other. Can be.

더욱이,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이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에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의 형상도 산 형상, 반구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more, when a plurality of spill prevention protrusions and spill prevention grooves are provided, the shapes of the spaced apart portions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mountain shape and a hemispherical shape.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00a, 100b, 100c, 100d: 본체케이스
130, 330a, 130b, 130c, 130d: 유출방지 홈
200: 상부 캡
300, 300a, 300b, 300c, 300d: 개스킷
330, 130a, 330b, 330c, 330d: 유출방지 돌기
400: 제2 분극성 전극
500: 제1 분극성 전극
600: 세퍼레이터
100, 100a, 100b, 100c, 100d: main body case
130, 330a, 130b, 130c, 130d: spill prevention groove
200: upper cap
300, 300a, 300b, 300c, 300d: gasket
330, 130a, 330b, 330c, 330d: spill prevention protrusion
400: second polarizable electrode
500: first polarizable electrode
600: separator

Claims (4)

내면에 전해액이 함침된 제1 분극성 전극이 부착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제1 분극성 전극과 대응되는 제2 분극성 전극이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캡과, 상기 상부 캡과 본체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캡과 본체케이스 간을 절연 및 밀봉시키는 개스킷과, 상기 제1 분극성 전극과 제2 분극성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와 개스킷의 밀착부분을 통하여 상기 본체케이스 내측의 제1 분극성 전극으로부터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스킷의 바닥면 중앙부 및 상기 본체 케이스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어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A main case to which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and an upper cap to which the second polarizable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to seal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An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including a gasket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p and the main body case to insulate and seal the upper cap and the main body cas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olarizing electrode and the second polarizing electrode. To
Corresponding along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ttom of the main body case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out from the first polarizable electrode inside the main body case through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and the gasket. The double-layer capaci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kage preventing projection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is selective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방지 돌기는 상기 개스킷의 바닥면 중앙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한편,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유출방지 홈은 상기 유출방지 돌기와 대응되어 상기 본체케이스 내측 바닥면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한편,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s are formed alo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ket, and are formed in plural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s.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은 상호 대응되어 맞물리도록 테이퍼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is formed in a tapered trapezoidal shap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방지 돌기 및 유출방지 홈은 상기 개스킷의 측면 중앙부 및 상기 본체 케이스 내측 측면 둘레를 따라 상호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더 돌출 및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and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correspond to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center portion of the gasket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and are further protruded and recessed.
KR1020110098476A 2011-09-28 2011-09-28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KR201300344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476A KR20130034459A (en) 2011-09-28 2011-09-28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476A KR20130034459A (en) 2011-09-28 2011-09-28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459A true KR20130034459A (en) 2013-04-05

Family

ID=4843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476A KR20130034459A (en) 2011-09-28 2011-09-28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445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7305S1 (en) 2018-07-12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purifier
US20220122780A1 (en) * 2020-10-16 2022-04-21 Solaredge Technologies Ltd. Capacitor Sea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7305S1 (en) 2018-07-12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purifier
US20220122780A1 (en) * 2020-10-16 2022-04-21 Solaredge Technologies Ltd. Capacitor Seals
US11764000B2 (en) * 2020-10-16 2023-09-19 Solaredge Technologies Ltd. Capacitor se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9686A (en) Button battery for improving utilization rate of radial space
JP5013772B2 (e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KR101254886B1 (en) Secondary battery
KR101116449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274806B1 (en) Rechargeable battery
US9136524B2 (en) Secondary battery
US10587010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KR101233573B1 (en) Secondary battery
KR101093932B1 (en) Rechargeable battery
CN104952635A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 with flexible metal contact current collector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6122338B2 (en) Secondary battery
KR102238367B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de assembly
KR20230006881A (en) button battery
US9337450B2 (en) Rechargeable battery
TWI546836B (en) Opening-sealed element and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thereof
KR101285940B1 (en) Secondary battery
KR20130034459A (e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N104798158A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electricity storage module
KR101533328B1 (en) Edlc
CN106876618A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621591B1 (en) asymmetric electrode plate, asymmetric electrode assembly having asymmetric electrode plate, and asymmetric secondary battery having asymmetric electrode assembly
CN204215907U (en) Closing component and Winding-type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thereof
KR101310441B1 (en) Electrochemical capacitor
KR101211668B1 (en) Super capacitor of surface mount type
KR101337373B1 (en) Super capacitor of surface mount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