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396A -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396A
KR20130033396A KR1020130016172A KR20130016172A KR20130033396A KR 20130033396 A KR20130033396 A KR 20130033396A KR 1020130016172 A KR1020130016172 A KR 1020130016172A KR 20130016172 A KR20130016172 A KR 20130016172A KR 20130033396 A KR20130033396 A KR 20130033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rea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130B1 (ko
Inventor
윤금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1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1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 이동통신모듈과는 별도로 구비된 WLAN, WPAN, WiFi 등과 같은 무선통신용 모듈(또는, 무선통신모듈로 통칭함)을 해당 무선 서비스 영역 내에서만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이동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에서의 방법의 일 예는 (a) 내장된 수동형 전파 검출부에서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에 의해 자신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활성화된 수동형 전파 검출부에서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전파 신호가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무선 서비스 영역에서 해당 무선통신망과의 통신 처리를 위한 무선통신모듈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상기 단계 (b)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및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Area of Wireless Service}
본 발명은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에 이동통신모듈과는 별도로 구비된 WLAN, WPAN, WiFi 등과 같은 무선통신용 모듈(또는, 무선통신모듈로 통칭함)을 해당 무선 서비스 영역 내에서만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이동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유/무선 통합 서비스 기술이나, 방송 및 통신 시스템의 통합 서비스 기술, 음성신호 및 데이터의 통합 기술 등과 같은 융합 서비스(Convergence Service) 기술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이고, 이러한 융합 서비스 기술을 이동통신 단말기(또는 이동 단말이라 약칭함)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들고 이동하면서 융합 서비스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다양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융합 서비스 기술을 이용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식으로서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식과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WiFi와 같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융합 서비스 기술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서로 상이한 기술 방식인 근거리 무선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을 주기적으로 검색해야 하고, 예를 들어, 무선통신망의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WLAN, WPAN 신호의 전체 대역을 주기적으로 검색하기 위해 무선 송수신 모듈을 지속적으로 구동해야 함과 더불어,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무선통신모듈을 항상 작동시켜야 하므로 배터리의 전력소모가 크게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 단말에 구비된 WLAN, WPAN, WiFi 등과 같은 무선통신용 모듈(무선통신모듈)을 해당 무선 서비스 영역내에서만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이동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은,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에 의해 동작이 활성화된 후 그 방사된 전파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전파 신호가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동형 전파 검출부; 무선 서비스 영역에서 해당 무선통신망과의 통신 처리를 위한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수동형 전파 검출부의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형 전파 검출부는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로부터 유도 전력을 발생하여 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는 상기 무선 서비스 영역의 해당 무선통신망으로부터 방사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검출된 전파 신호의 세기 및 지속 시간에 대한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은,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에 의해 동작이 활성화된 후 그 방사된 전파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전파 신호가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동형 전파 검출부; 무선 서비스 영역에서 해당 무선통신망과의 통신 처리를 위한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수동형 전파 검출부의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무선통신망의 검색을 위한 무선망 검색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된 무선망 검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온/오프(on/off) 및 무선망 검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검색 정보는 해당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의 무선통신망에 대한 해당 종단장치 정보, 채널 정보, 전력 등급 및 레벨 정보, 및 해당 영역의 특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망 검출 정보의 요청과 함께 상기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동형 전파 검출부는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로부터 유도 전력을 발생하여 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는 무선 서비스 영역의 해당 무선통신망으로부터 방사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검출된 전파 신호의 세기 및 지속 시간에 대한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서버는, 무선통신망에 대한 무선 서비스 영역별 종단장치 정보, 채널 정보, 전력 등급 및 레벨 정보, 및 영역별 특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망 검색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이동 단말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요청에 따라 그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의 무선망 검색 정보를 상기 정보 관리부로부터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무선망 검색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보 검출부는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방법은, 무선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 및 수동형 전파 검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방법으로서, (a) 내장된 수동형 전파 검출부에서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에 의해 자신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활성화된 수동형 전파 검출부에서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전파 신호가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무선 서비스 영역에서 해당 무선통신망과의 통신 처리를 위한 무선통신모듈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상기 단계 (b)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로부터 유도 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수동형 전파 검출부를 활성화할 수 있고,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는 상기 무선 서비스 영역의 해당 무선통신망으로부터 방사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검출된 전파 신호의 세기 및 지속 시간에 대한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방법은,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모듈, 무선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 및 수동형 전파 검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수동형 전파 검출부에서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에 의해 자신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활성화된 수동형 전파 검출부에서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전파 신호가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판단 결과에 따라 무선통신망의 검색을 위한 무선망 검색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모듈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망 검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신된 무선망 검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온/오프(on/off) 및 검색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검색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의 무선통신망에 대한 해당 종단장치 정보, 채널 정보, 전력 등급 및 레벨 정보, 및 해당 영역의 특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망 검출 정보의 요청과 함께 상기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로부터 유도 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수동형 전파 검출부를 활성화할 수 있고,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는 상기 무선 서비스 영역의 해당 무선통신망으로부터 방사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검출된 전파 신호의 세기 및 지속 시간에 대한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방법은, 무선통신망 및 이동통신망과 연동하는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에서의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방법으로서, (a) 무선통신망에 대한 무선 서비스 영역별 종단장치 정보, 채널 정보, 전력 등급 및 레벨 정보, 및 영역별 특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망 검색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b) 이동 단말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요청에 따라 그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의 무선망 검색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출된 무선망 검색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에 구비된 WLAN, WPAN, WiFi 등과 같은 무선통신용 모듈(무선통신모듈)을 평시에는 오프 상태로 있다가 해당 무선 서비스 영역내에서만 선택적으로 온 시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이동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창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에서의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에서의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서버에서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110), 무선통신망(120), 이동통신망(110) 또는 무선통신망(120)을 통해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200,300), 및 이동통신망(110) 또는 무선통신망(120)에 연결된 무선망 정보 관리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통신망(110)은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이동 통신망을 지칭하는 것이고, 무선통신망(120)은 특정한 국부 영역에 AP(Access Point)와 같은 종단장치를 설치하고 해당 종단장치가 커버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에서 해당 무선통신모듈을 가진 단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WLAN, WPAN, WiFi 등과 같이 통상의 무선 통신망을 지칭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200,300)은 적어도 이동통신망(110)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기능과 WLAN, WPAN, 또는 WiFi와 같은 무선통신망(120)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110) 및 무선통신망(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400)는 적어도 무선통신망(120)의 무선 서비스 영역을 검색하기 위한 자원으로서의 무선망 검색 정보를 저장, 관리, 및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의 구성도로, 도 1의 이동 단말(200)에 적용된 일 예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형 전파 검출부(210), 무선통신모듈(23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전파 검출부(210)는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에 의해 동작이 활성화되어 그 방사된 전파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전파 신호가 기 설정된 전파 수신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예를 들어 만족 신호)를 제어부(250)로 통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전파 수신 기준은 수신되는 전파 신호의 세기 및 지속 시간에 대한 기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준 세기 이상의 전파가 기준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유효 전파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전파 검출부(210)는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로부터 유도 전력을 발생하여 활성화되는데, 예를 들어, 상시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기존 RFID/NFC의 수동형 태그(passive tag)와 같이 무선통신망(120)의 무선 서비스 영역의 종단장치로서의 AP에서 송출하는 전파신호에 의해 유도전력을 발생하여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모듈(230)은 무선 서비스 영역에서 해당 무선통신망(120)에 접속하여 통신 처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WLAN/WPAN 모듈로 구성할 수 있고, WLAN/WPAN 모듈은WLAN 802.11 a/b/g/n의 WiFi 및 BT 기술을 하나 또는 다중 제공하는 모듈로 RF로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모뎀(MODEM) 및 코덱(CODEC)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수동형 전파 검출부(21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무선통신모듈(230)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수동형 전파 검출부(210)로부터 만족 신호가 수신되면 평시 오프(off) 상태로 있던 무선통신모듈(230)의 동작을 온(on)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의 구성도로, 도 1의 이동 단말(300)에 적용된 일 예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형 전파 검출부(310), 무선통신모듈(330), 이동통신모듈(35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전파 검출부(310)는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에 의해 동작이 활성화되어 그 방사된 전파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전파 신호가 기 설정된 전파 수신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예를 들어 만족 신호)를 제어부(370)로 통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전파 수신 기준은 수신되는 전파 신호의 세기 및 지속 시간에 대한 기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준 세기 이상의 전파가 기준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유효 전파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전파 검출부(310)는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로부터 유도 전력을 발생하여 활성화되는데, 예를 들어, 상시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기존 RFID/NFC의 수동형 태그(passive tag)와 같이 무선통신망(120)의 무선 서비스 영역의 종단장치로서의 AP에서 송출하는 전파신호에 의해 유도전력을 발생하여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모듈(330)은 무선 서비스 영역에서 해당 무선통신망(120)에 접속하여 통신 처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WLAN/WPAN 모듈로 구성할 수 있고, WLAN/WPAN 모듈은WLAN 802.11 a/b/g/n의 WiFi 및 BT 기술을 하나 또는 다중 제공하는 모듈로 RF로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모뎀(MODEM) 및 코덱(CODEC)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모듈(350)은 이동통신망(110)에 접속하여 통신 처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이동통신 기술인 CDMA, GSM, WCDMA, LTE, WIMAX, WIBRO 등의 이동통신기술을 하나 또는 다중 제공하는 모듈일 수 있고, RF로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RF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70)는 수동형 전파 검출부(31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무선통신망(120)의 무선 서비스 영역의 검색을 위한 무선망 검색 정보를 이동통신모듈(350)과 이동통신망(110)을 통해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400)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된 무선망 검색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통신모듈(330)의 온/오프(on/off) 동작 및 무선망 검색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망 검색 정보는 해당 이동 단말(3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의 무선통신망(120)에 대한 해당 종단장치 정보, 채널 정보, 전력 등급 및 레벨 정보, 및 해당 영역의 특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70)는 셀, GPS, 위치 센서 등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무선망 검출 정보를 요청할 때 그 요청과 함께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4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300)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GPS모듈(미도시), 위치 센서(미도시) 등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로, 도 1의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400)에 적용된 일 예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관리부(410), 정보 검출부(430), 및 정보 제공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부(410)는 무선통신망(120)에 대한 무선 서비스 영역별 종단장치의 정보, 채널 정보, 전력 등급 및 레벨 정보, 및 영역별 특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망 검색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종단장치는 예를 들어 특정한 국부 영역에 설치된 AP(Access Point)일 수 있고, 무선 서비스 영역은 이와 같은 AP가 커버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검출부(430)는 이동 단말(300)로부터 이동통신망(110)을 통한 무선망 검색정보의 요청에 따라 그 이동 단말(3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의 무선망 검색 정보를 정보 관리부(410)로부터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 검출부(430)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110)을 통해 이동 단말(300)로부터 해당 이동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능한 각종 방식을 통하여 해당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450)는 정보 검출부(430)에서 검출된 무선망 검색 정보를 이동통신망(110)을 통하여 해당 이동 단말(300)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에서의 방법의 흐름도로, 도 2의 이동 단말(200)에 적용되므로 그 이동 단말(200)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평상(idle mode) 시 이동 단말(200)은 무선통신모듈(230)의 불필요한 구동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무선통신모듈(230)의 전원을 오프(off)한 상태로 있는다(S501).
이와 같이 무선통신모듈(23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200)이 무선 서비스 영역의 서비스 커버리지(coverage) 내로 이동되면, 수동형 전파 검출부(210)는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 즉, 해당 무선 서비스 영역의 해당 종단장치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에 의해 유도 전력을 발생하여 자신의 동작을 활성화한다(S503).
이어, 단계 S503에서 활성화된 수동형 전파 검출부(210)는 해당 종단장치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를 수신 및 검출하고(S505), 그 수신 및 검출된 전파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예를 들어 해당 전파 신호의 수신 세기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07).
이어, 수동형 전파 검출부(210)는 단계 S507의 판단 결과 해당 전파 신호의 수신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한다면 제어부(250)에 해당 만족 신호를 인터럽트(interrupt) 또는 플래그(flag) 변경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통보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250)는 무선통신모듈(230)을 온(on) 구동한 후(S509), 그 온 구동된 무선통신모듈(230)을 통하여 해당 무선통신망(120)의 해당 무선 서비스 영역의 해당 종단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S511).
마지막으로, 제어부(250)는 단계 S511에서 연결된 해당 무선통신망(120)의 해당 무선 서비스 영역의 해당 종단장치로부터의 신호가 기준 이하가 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해당 연결을 해제하는 등과 같이 무선통신모듈(230)을 오프(off)해야 하는 조건이라고 판단되면(S513), 무선통신모듈(230)의 전원을 오프 구동하고 이동 단말(200)을 단계 S501의 평시 상태(idle mode)로 만든다(S515).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에서의 방법의 흐름도로, 도 3의 이동 단말(300)에 적용되므로 그 이동 단말(300)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평상(idle mode) 시 이동 단말(300)은 무선통신모듈(330)의 불필요한 구동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무선통신모듈(330)의 전원을 오프(off)한 상태로 있는다(S601).
이와 같이 무선통신모듈(33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300)이 무선 서비스 영역의 서비스 커버리지(coverage) 내로 이동되면, 수동형 전파 검출부(310)는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 즉, 해당 무선 서비스 영역의 해당 종단장치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에 의해 유도 전력을 발생하여 자신의 동작을 활성화한다(S603).
이어, 단계 S603에서 활성화된 수동형 전파 검출부(310)는 해당 종단장치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를 수신 및 검출하고(S605), 그 수신 및 검출된 전파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예를 들어 해당 전파 신호의 수신 세기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07).
이어, 수동형 전파 검출부(310)는 단계 S607의 판단 결과 해당 전파 신호의 수신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한다면 제어부(370)에 해당 만족 신호를 인터럽트(interrupt) 또는 플래그(flag) 변경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통보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370)는 이동통신모듈(350) 및 이동통신망(110)을 통해 무선통신망의 검색을 위한 무선망 검색 정보의 요청 메시지를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S609). 단계 S609에서 제어부(370)는 해당 이동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무선망 검색 정보의 요청 메시지에 실어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어, 단계 S609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400)로부터 이동통신망(120) 및 이동통신모듈(350)을 통해 무선망 검색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370)는 그 수신된 무선망 검색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통신모듈(330)을 온(on) 구동한 후(S613), 그 온 구동된 무선통신모듈(330)을 통하여 해당 무선통신망(120)의 해당 무선 서비스 영역의 해당 종단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S615).
본 실시예에서 무선망 검색 정보는 해당 이동 단말(3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의 무선통신망에 대한 해당 종단장치 정보, 채널 정보, 전력 등급 및 레벨 정보, 및 해당 영역의 특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70)는 단계 S615에서 연결된 해당 무선통신망(120)의 해당 무선 서비스 영역의 해당 종단장치로부터의 신호가 기준 이하가 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해당 연결을 해제하는 등과 같이 무선통신모듈(330)을 오프(off)해야 하는 조건이라고 판단되면(S617), 무선통신모듈(330)의 전원을 오프 구동하고 이동 단말(300)을 단계 S601에서의 평시 상태(idle mode)로 만든다(S619).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서버에서의 방법의 흐름도로, 도 4의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400)에 적용되므로 그 무선망 정보 관리서버(400)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정보 관리부(410)는 해당 무선통신망(120)에 대한 무선 서비스 영역별 종단장치 정보, 채널 정보, 전력 등급 및 레벨 정보, 및 영역별 특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망 검색 정보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그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S701).
이어, 정보 검출부(430)는 이동 단말(300)로부터 이동통신망(110)을 통해 무선망 검색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S703), 그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해당 이동 단말(3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의 무선망 검색 정보를 정보 관리부(41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S705). 단계 S703에서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는 해당 이동 단말(3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보 제공부(450)는 정보 검출부(430)로부터 검출된 무선망 검색 정보를 이동통신망(110)을 통하여 해당 이동 단말(300)로 제공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또는 서버에서의 방법은 각각,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이동통신망 120: 무선통신망
200,300: 이동단말 210,310: 수동형 전파 검출부
230,330: 무선통신모듈 250,370: 제어부
350: 이동통신모듈 400: 무선망정보 관리서버
410: 정보 관리부 430: 정보 검출부
450: 정보 제공부

Claims (4)

  1.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로부터 유도 전력을 발생하여 동작이 활성화된 후 그 방사된 전파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전파 신호의 세기 및 지속 시간이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동형 전파 검출부;
    무선 서비스 영역에서 해당 무선통신망과의 통신 처리를 위한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수동형 전파 검출부의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는 상기 무선 서비스 영역의 해당 무선통신망으로부터 방사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3. 무선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 및 수동형 전파 검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방법으로서,
    (a) 내장된 수동형 전파 검출부에서 주위로부터 방사된 전파 신호로부터 유도 전력을 발생하여 자신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활성화된 수동형 전파 검출부에서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전파 신호의 세기 및 지속 시간이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무선 서비스 영역에서 해당 무선통신망과의 통신 처리를 위한 무선통신모듈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상기 단계 (b)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방사된 전파 신호는 상기 무선 서비스 영역의 해당 무선통신망으로부터 방사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방법.
KR1020130016172A 2013-02-15 2013-02-15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및 방법 KR101327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172A KR101327130B1 (ko) 2013-02-15 2013-02-15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172A KR101327130B1 (ko) 2013-02-15 2013-02-15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689A Division KR101251805B1 (ko) 2011-06-13 2011-06-13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396A true KR20130033396A (ko) 2013-04-03
KR101327130B1 KR101327130B1 (ko) 2013-11-08

Family

ID=4843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172A KR101327130B1 (ko) 2013-02-15 2013-02-15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1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5636A (zh) * 2020-01-02 2020-05-19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邦定检测电路及邦定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9696B2 (ja) * 2006-07-31 2012-03-2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5636A (zh) * 2020-01-02 2020-05-19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邦定检测电路及邦定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130B1 (ko) 201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540B1 (ko) 소형 기지국 진입을 위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EP30412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utomatically for geo-fen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139409B1 (ko)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US9241357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065092B1 (ko) 네트워크 컨트롤러 및 소형 기지국
KR20160138987A (ko) 오버래핑 지오펜스들의 감소
KR20100046341A (ko) 무선 랜 AP(Access Point) 접속 방법 및 이를이용한 장치
EP28522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fidelity device in terminal, and terminal
US20170188309A1 (en) Remedying Power Drain via a Coverage Map
KR101808217B1 (ko) 무선 액세스 방법 및 관련 장치 및 시스템
KR20100031467A (ko) 전력관리장치 및 방법
US9100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US20120120816A1 (en) Location and network based mobile device power management
KR20160019220A (ko) 위치정보 인식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186552B1 (ko) 통신 모듈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27130B1 (ko)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및 방법
US20140146800A1 (en) Method for operating wireless network,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recorded there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30016912A (ko)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KR101251805B1 (ko) 무선 서비스 영역 검출을 위한 이동 단말,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71716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수행 방법
EP2654354B1 (en) Providing a current position while reducing an overall power consumption
US11064436B2 (en) Wireless network controllers with machine learning
KR20100088773A (ko) 장치간(m2m)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모바일 장치 및 장치간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방법
KR20160051008A (ko) 모바일 티켓을 이용한 게이트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596262B1 (ko) 소정의 단말과 인터랙션하는 브로드캐스팅 단말 및 이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