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779A - Water closet - Google Patents

Water clo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779A
KR20130031779A KR1020120090004A KR20120090004A KR20130031779A KR 20130031779 A KR20130031779 A KR 20130031779A KR 1020120090004 A KR1020120090004 A KR 1020120090004A KR 20120090004 A KR20120090004 A KR 20120090004A KR 20130031779 A KR20130031779 A KR 20130031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washing water
drain port
water
flush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1480B1 (en
Inventor
겐지로 아라시
마사유키 히라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05552A external-priority patent/JP5914820B2/en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3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7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8Bowls with means producing a flushing water swirl

Abstract

PURPOSE: A flush toilet is provided to restrain the movement of night soil by swirl flow before the night soil is discharged, thereby extending a distance for conveying the night soil with a small amount of cleaning water. CONSTITUTION: A flush toilet(5) includes a bowl inside which a high-low portion(16) and a concave portion(17). One of a left and a right portion directly in front of the drain part(4) of the surface of the bowl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other so that the high-low portion is formed. The concave portion is continuously extended from the other of the high-low portion. A water supply part is equipp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wl. Cleaning water is ejected along the peripheral directions of the bowl.

Description

수세식 변기{WATER CLOSET}Flush Toilet {WATER CLOSET}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 toilet.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한번에 사용하는 세정수(洗淨水)의 양은, 절수화가 진행됨에 따라 해마다 적게 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한번에 사용하는 세정수의 양이 적어지면 세정 성능이 악화된다.  The amount of washing water used at one time in a flush toilet is decreasing year by year as water saving progresses. However, when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used at one time decreases, the washing performance deteriorates.

그래서, 적은 세정수의 양으로 보울면(bowl face)의 오염을 깨끗하게 씻겨내 위한 방책(方策)으로서, 세정수를 보울 내부에서 선회(旋回)시켜 씻겨내는 방법이, 일본특허공개 제2008―138419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1이라고 함) 등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도 12 참조).  Therefore, as a measure to clean the contamination of the bowl face cleanly with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a method of rotating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bowl to wash it off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8-138419. It is proposed by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or the like (see Fig. 12).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수세식 변기에서의 세정은, (1) 전통수(前通水)[보울면이 수몰(水沒)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세정], (2) 배출(오물을 배출), (3) 후통수(後通水)(보울 내에 물을 체류하게 하는)의 과정에 의해 행해진다.  The washing in the flush toilet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includes (1) traditional water (cleaning of the part where the bowl surface is not moistened), (2) discharge (sewage), ( 3) It is carried out by the process of after-pass water (to let water stay in a bowl).

그리고, 상기 (1)~(3)의 과정에서, 보울(1)의 후부(後部)의 좌우 방향의 한쪽에 설치된 물 공급부(10)를 구성하는 사수구(射水口)로부터 세정수를 공급하여 보울면(2)을 선회하면서 씻어 흐르게 하고, 그 후, 보울(1) 내에 물이 머물게 한다.  And in the process of said (1)-(3),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catcher which comprises the water supply part 10 provi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rear part of the bowl 1, The bowl surface 2 is washed while turning, and then water is allowed to stay in the bowl 1.

그런데, 오물이 하수관 내를 세정수에 의해 반송(搬送)되는 거리(오물 반송 거리)는, 오물의 나중에 흐르는 세정수의 양이 많을수록 길어지고, 오물의 나중에 흐르는 세정수의 양이 적을수록 짧아진다. 그러므로, 오물을 배출할 때 오물의 나중에 흐르는 세정수의 양이 적어지면, 오물이 세정수에 의해 하수관 내를 반송하는 오물 반송 거리가 짧아져, 하수관 내부에서 오물이 막히는 원인으로 된다.  By the way, the distance (filament conveyance distance) to which dirt is conveyed by the wash water inside a sewage pipe becomes longer, so that the quantity of washing water which flows later in a dirt becomes longer, and the shorter the quantity of washing water which flows later in a dirt is shortened. . Therefore, if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later in the waste becomes smaller when the waste is discharged, the dirt conveying distance for transporting the dirt into the sewage pipe by the washing water becomes shorter, which causes the clogging of the waste inside the sewage pipe.

여기서, 상기 세정 과정(1)의 전통수로 세정수가 선회하면, 오물(30)이 보울(1) 내를 선회류로 흐르게 되어, 도 13과 같이 배수구부(4) 내의 오물(30)이 배수구부(4)로부터 바닥부(3)로 밀어올려지거나, 또는 바닥부(3)의 배수구부(4)로부터 이격(離隔)된 위치(도 13에서의 우측)로 이동되어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배수구부(4) 내의 오물(30)이 배수구부(4)로부터 바닥부(3)로 밀어올려지거나, 또는 바닥부(3)의 배수구부(4)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어지면, 오물(30)의 배면측에 존재하는 세정수(도 13의 X로 나타냄)의 물의 양이 적어진다. 이와 같이 도 13의 X로 나타낸 오물(30)의 배면측의 세정수의 양이 적어지면, 세정 과정(2)에 있어서 오물(30)을 배출할 때 오물(30)의 나중에 흐르는 세정수의 양이 적어진다. Here, when the washing water is turned into the traditional water of the washing process (1), the dirt 30 flows into the swirl flow in the bowl 1, the dirt 30 in the drain portion 4 as shown in FIG. It may be pushed up from the part 4 to the bottom part 3 or moved to the position (right side in FIG. 13) spaced apart from the drain opening part 4 of the bottom part 3. As such, when the dirt 30 in the drain port 4 is pushed up from the drain port 4 to the bottom 3 or mov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rain port 4 of the bottom 3, The amount of water of the washing water (indicated by X in FIG. 13) present on the back side of the dirt 30 is reduced. When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on the back side of the dirt 30 indicated by X in FIG. 13 becomes small in this manner,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later in the dirt 30 when the dirt 30 is discharged in the washing process (2). Is less.

따라서, 오물이 세정수에 의해 하수관 내를 반송하는 오물 반송 거리가 짧아져, 하수관 내부에서 오물이 막히는 원인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 dirt conveyance distance for conveying the dirt inside the sewage pipe by the washing water is shortened, which causes a problem of clogging of the dirt inside the sewage pipe.

일본특허공개 제2008―138419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8-13841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행해진 것이며, 적은 세정수의 양으로 오물 반송 거리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며, 오물의 배출 성능이 양호한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sh toilet in which a waste conveyance distance can be increased with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and the waste discharge performance is good.

본 발명의 수세식 변기는, 세정수의 선회류에 의해 보울의 보울면을 세정하고, 상기 보울의 바닥부에 설치된 배수구부로부터 세정수를 배출하는 수세식 변기로서, 봉수면(封水面)보다 아래의 상기 보울면의 바닥부의, 상기 배수구부의 바로 앞부분의 좌우 방향의 한쪽을 다른 쪽보다 높게 하여 고저부(高底部)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부보다 바로 앞부분의 좌우 방향의 상기 다른 쪽에, 상기 고저부에 연속되고 또한 상기 고저부보다 낮고 후단부가 상기 배수구부에 연속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lush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ush toilet which cleans the bowl surface of the bowl by swirling flow of washing water and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from the drain hol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wl. A bottom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bowl surface is formed so that one sid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drain opening portion is higher than the other side, and a bottom portion is formed, and on the other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ortion immediately preceding the drain opening portion. A concave portion is formed that is continuous and lower than the bottom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is continuous to the drain port portion.

또한, 상기 보울의 상부에 물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보울의 주위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정수를 분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저부는, 상기 세정수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water supply portion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wl, and the water supply portion is configured to eject the washing wat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wl, and the bottom por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drain port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It is preferably formed in.

또한, 상기 보울의 좌우 방향의 상기 한쪽의 상부에, 상기 보울면에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물 공급부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part which supplies the said washing water to the said bowl surface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said one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said bowl.

또한, 상기 봉수면보다 아래의 상기 보울면에, 상기 선회류가 충돌하여 충돌한 상기 선회류의 흐름을 상기 배수구부를 향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owl surface below the seal surfa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guide means, configured to direct the flow of the swirl flow collided with the swirl flow toward the drain port.

또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보울면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guide means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rotrusion formed on the bowl surface.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기 배수구부 측의 측면이, 상기 배수구부의 내측면과 평활한 면으로 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urface at the side of the said drain opening part of the said projection part continues in the surface which is smooth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drain opening part.

또한, 상기 보울의 좌우 방향의 상기 다른 쪽의 상기 보울면에 상기 가이드 수단이 위치하고, 상기 보울의 좌우 방향의 상기 한쪽의 상부에 보울면에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물 공급부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guide means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other bowl surfa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wl,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bowl surface on the one upper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wl is preferably located. .

또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봉수면보다 아래의 상기 보울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wl surface below the seal surface.

또한, 상기 배수구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트랩(trap)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p which can be rotated to an up-down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said drain opening par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오물 배출 전에 선회류에 의해 오물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적은 세정수의 양으로 오물 반송 거리를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Since this invention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it can suppress that a dirt moves by swirl flow before waste discharge, and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a dirt conveyance distance by the quantity of wash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E―E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D―D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F―F선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G―G선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울의 일부 파단(破斷)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트랩통의 회동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종래예에서의 선회류의 흐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bowl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2.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2.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7.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of FIG. 7.
10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a bowl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rotation of a trap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flow of swirl flow in the conventional exampl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ample.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the Example shown to an accompanying drawing.

수세식 변기(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1)을 구비하고 있다. 보울(1)은 보울면(2)을 가진다. 보울(1)의 바닥부(3)의 후부에는, 배수구부(4)가 설치된다. The flush toilet 5 is equipped with the bowl 1, as shown in FIG. The bowl 1 has a bowl surface 2. In the rear part of the bottom part 3 of the bowl 1, the drain opening part 4 is provided.

배수구부(4)는, 도 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1)의 바닥부(3)의 후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통형의 세로통부(13)와, 세로통부(13)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통형의 가로 통부(14)를 가진다. 즉, 배수구부(4)는, 세로통부(13)의 하부에 가로 통부(14)가 일체로 연속된 대략 L자형의 통형상을 하고 있고, 세로통부(13)의 상단 개구가 보울(1)의 바닥부(3)에 위쪽을 향해 개구되고, 가로 통부(14)의 후단이 후방을 향해 개구된다. As shown to FIG. 6, FIG. 7, the drain opening part 4 is a cylindrical vertical cylinder part 13 extended downward from the rear part of the bottom part 3 of the bowl 1,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cylinder part 13; It has a cylindrical transverse cylinder part 14 which extends rearwardly from the back. That is, the drain port 4 has a substantially L-shaped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horizontal cylinder portion 14 is integrally continuou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cylinder portion 13, and the upper opening of the vertical cylinder portion 13 is the bowl 1. The bottom portion 3 is opened upward, and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cylinder portion 14 is opened backward.

배수구부(4)의 가로 통부(14)의 후단부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랩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 방식을 턴 트랩 방식으로 하고 있고, 트랩은, 플렉시블한 트랩통(15)을 가지고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1, one end of the trap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cylinder portion 14 of the drain port 4. In this embodiment, the cleaning method is a turn trap method, and the trap is configured with the flexible trap cylinder 15.

트랩통(15)은,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 11의 실선(實線)으로 나타낸 자세(제1 자세)로부터 도 11의 일점 쇄선(鎖線)으로 나타낸 자세(제2 자세)로 회동한다. 또한, 모터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도 11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자세로부터 도 11의 실선으로 나타낸 자세로 회동한다. 즉, 배수구부(4)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트랩이 접속되어 있다.  The trap cylinder 15 is rotated by a motor (not shown) from the posture (first posture)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11 to the posture (second posture)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11. do. Further, by rotating the motor in reverse, the motor rotates from the posture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11 to the posture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11. That is, the trap which can rotate in the up-down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drain port 4.

도 11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랩통(15)의 선단 개구(15A)가 위쪽을 향하는 자세(제1 자세)는, 트랩 구조로 되는 자세이다. 도 11의 일점 쇄선과 같이 트랩통(15)의 선단 개구(15A)가 하방을 향하는 자세(제2 자세)는, 트랩 구조가 해제되어 세정수를 배출하는 자세이다.  As shown by the solid line of FIG. 11, the attitude | position (1st attitude | position) which the front end opening 15A of the trap cylinder 15 faces upward is a posture which becomes a trap structure.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11, the posture (second posture) in which the tip opening 15A of the trap cylinder 15 faces downward is a posture in which the trap structure is released and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여기서, 도 11의 실선과 같이, 트랩통(15)의 선단 개구(15A)가 위쪽을 향하는 트랩 구조로 되는 자세(제1 자세)의 경우, 보울(1) 내에 세정수가 고인다. 이 경우, 트랩통(15)의 선단 개구(15A)의 하단 위치에 따라서 세정수의 수위가 대략 정해지고, 보울(1) 내에서의 이 수위 위치가 봉수면(11)으로 된다.  Here, as in the solid line of FIG. 11, in the case of the posture (first posture) in which the tip opening 15A of the trap cylinder 15 becomes a trap structure facing upward, washing water is accumulated in the bowl 1. In this case,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s approximatel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tip opening 15A of the trap cylinder 15, and this water level position in the bowl 1 becomes the sealing surface 11.

도 2 내지 도 5,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1)의 상부에는 보울면(2)에 선회류를 공급하는 물 공급부(10)가 설치된다. 물 공급부(10)는, 보울(1)의 주위 방향을 따라 세정수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울(1)의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의 상부에 보울면(2)에 선회류를 공급하는 물 공급부(1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1)의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도 10에서는 좌측)의 상부 후단부에 물 공급부(10)가 설치된다. 이 물 공급부(10)에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관로 선단의 노즐(도시하지 않음)이 끼워넣어져 접속되어 있고, 이 노즐로부터 세정수가 공급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보울(1)의 상단 후부에서의 좌우 방향의 한쪽(도 10의 좌측; 제1 측)에, 전방을 향해 세정수를 분출하도록 구성된 물 공급부(10)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S. 2 to 5 and 10, a water supply unit 10 is provided on the bowl surface 2 to supply swirl flow to the bowl surface 2. The water supply part 10 is comprised so that the washing water may be jet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wl 1.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art 10 which supplies a swirl flow to the bowl surface 2 is provided in the upper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wl 1.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and FIG. 10, the water supply part 10 is provided in the upper rear end of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wl 1 (the left side in FIG. 10). A nozzle (not shown) at the tip of the pipe lin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rt 10, and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nozzle.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art 10 compris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left side of FIG. 10; 1st side) in the rear end part of the bowl 1 in order to spray washing water toward the front is provided.

보울(1)의 상단에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림부(rim portion)가 일체로 고착되고, 보울(1)의 상단 에지부와 림부에 의해 주위홈부(20)가 형성된다. 림부는, 보울(1)의 상단의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된다. 림부는, 보울(1)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주위홈부(20)은, 측방으로 오목한 홈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보울(1)의 상단에는, 전체 주위에 걸쳐, 측방에 오목한 홈 형상의 주위홈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림부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보울(1)의 상단부에 의해 구성되는 주위홈부(20)의 하반분만이 나타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rim portion is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owl 1, and the peripheral groove 20 is formed by the upper edge portion and the rim portion of the bowl 1. The rim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bowl 1. The rim protrudes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wl 1. Therefore, the peripheral groove 20 has a groove shape concave laterally. In other words, in the upper end of the bowl 1, the groove-shaped peripheral groove part 20 concave to the side is formed over the whole periphery. Since the illustration of the rim is omitted in the drawing, only the lower half of the peripheral groove 20 constituted by the upper end of the bowl 1 is shown.

또한, 보울(1)의 물 공급부(10)의 전방에는, 도 2,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 공급부(10)의 전방의 공간을 보울면(2)으로부터 칸막이하도록, 벽체(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벽체(21)에 의해 보울면(2)으로부터 칸막이 부분이, 유도(誘導) 수로부(22)를 구성한다. 이 유도 수로부(22)의 출구 부분이, 주위홈부(20)의 시단부(始端部)로 된다.  In addition, in front of the water supply part 10 of the bowl 1, the wall 21 is partitioned so that the space in front of the water supply part 10 may be partitioned from the bowl surface 2, as shown in FIG. Formed. And the partition part from the bowl surface 2 comprises the guide channel part 22 by this wall 21. As shown in FIG. The outlet portion of the guide channel portion 22 serves as a start end of the peripheral groove portion 20.

물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는, 유도 수로부(22)에서 전방을 향해 유도되어 주위홈부(20)의 시단부로부터 양호한 기세로 유출되고, 주위홈부(20)를 따라 선회류로 되어 흐른다.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10 is led forward by the induction water channel part 22 and flows out with good momentum from the start end of the peripheral groove part 20, and turns to flow along the peripheral groove part 20. Flow.

주위홈부(20)를 따라 선회류로 되어 흐르는 세정수는, 주위홈부(20)의 주위 방향의 각 부로부터 조금씩 보울면(2)에 선회류로 되어 흘러, 보울면(2)을 주위 방향에 있어서 고르게 세정한다.  The washing water flowing in the swirl flow along the circumferential groove 20 flows into the bowl surface 2 little by little from each 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20, and moves the bowl surface 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lean evenly.

본 실시예의 수세식 변기(5)에서는, 봉수면(11)보다 아래의 보울면(2)의 바닥부(3)에 있어서, 배수구부(4)의 바로 앞부분의 좌우 방향의 한쪽(도 10의 좌측; 제1 측)에 고저부(16)가 형성되고, 또한, 다른 한쪽(도 10의 우측; 제2 측)에 고저부(16)보다 낮은 오목부(17)가 형성된다. 고저부(16)는, 보울면(2)의 바닥부(3)의 좌우 방향의 한쪽(도 10의 좌측; 제1 측)을, 좌우 방향의 다른 쪽(도 10의 우측; 제2 측)보다 높게 하여(위쪽으로 면형으로 돌출시켜) 형성된다.  In the flush toilet 5 of this embodiment, the bottom part 3 of the bowl surface 2 which is lower than the sealing surface 11, the one side of the left-right direction immediately before the drain opening part 4 (left side of FIG. 10; The bottom part 16 is formed in the 1st side, and the recessed part 17 lower than the bottom part 16 is formed in the other side (right side of FIG. 10; 2nd side). The bottom part 16 has one side (left side of FIG. 10; 1st side) of the bottom part 3 of the bowl surface 2, and the other side (right side of FIG. 10; 2nd side) of the left-right direction. It is formed higher (protruding upward in plane).

본 실시예에서는, 고저부(16)는, 도 2, 도 4,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물 공급부(10)를 설치한 측에 위치한다. 또한, 오목부(17)는, 도 2, 도 4,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물 공급부(10)를 설치한 측과 반대측에 위치한다. 오목부(17)는, 바닥부(3)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배수구부(4)에 대하여 물 공급부(10)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16 is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water supply unit 10 is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shown in Figs. 2, 4 and 10. Moreover, the recessed part 17 is located in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in which the water supply part 10 was provi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shown to FIG. 2, FIG. 4, FIG. The recessed part 17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water supply part 10 with respect to the drain opening part 4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ottom part 3.

고저부(16)는, 정면(頂面)(16A)과, 벽면(24)과, 측면(26)을 가진다.The bottom 16 has a front face 16A, a wall surface 24, and a side face 26.

고저부(16)에서의 정면(16A)은, 바닥부(3)에서의 좌우 방향의 한쪽(도 10의 좌측; 제1 측)으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완만하게 하향 경사져 있다(도 3, 도 4 참조). 정면(16A)은, 바닥부(3)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 부근까지 넓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정면(16A)이 오목부(17)를 향해 하향 경사져 있으므로, 정면(16A) 상의 오물은, 자중(自重)에 의해 오목부(17)로 이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정면(16A)은 전후 방향으로는 경사져 있지 않다. 그러나, 후방을 향해 완만하게 하향 경사져 있어도 된다.The front face 16A in the bottom part 16 is inclined gradually downward from one side (left side of FIG. 10; 1st side) of the bottom part 3 toward the center side (FIG. 3, FIG. 4). The front face 16A is extended to the vicinity of the center 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ottom part 3. Thus, since the front face 16A inclines downward toward the recessed part 17, the dirt on the front face 16A moves to the recessed part 17 by self weigh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face 16A is not incl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However, it may be inclined gently downward toward the rear.

고저부(16)에서의 배수구부(4)의 상측 개구에 인접하는 측면[벽면(24)]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기립 자세를 한 급격한 측면으로 되어 있어, 배수구부(4)의 내면(25)을 위쪽으로 그대로 연장되어 연속됨으로써, 상기 벽면(24)이 형성된다. 즉, 벽면(24)은, 대략 수직 방향으로 기립된 급준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벽면(24)은, 고저부(16)의 측방으로부터 뒤쪽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벽면(24)은, 배수구부(4)의 내면(25)에 연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side surface (wall surface 24) adjacent to the upper opening of the drain opening part 4 in the high bottom part 16 is made into the abrupt side which made an approximately standing posture, and the drain opening part 4 The wall surface 24 is formed by continuously extending the inner surface 25 of the upper surface 25 as it is. That is, the wall surface 24 is a steep inclined surface standing up in the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The wall surface 24 is formed from the side of the height bottom part 16 to the back side. The wall surface 24 is continuous to the inner surface 25 of the drain port 4.

또한, 고저부(16)에서의 오목부(17)에 인접하는 측면(26)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만하게 경사진 곡면으로 되어 있어 오목부(17)에 연속되어 있다. 측면(26)은, 오목부(17)를 향해 정면(16A)보다 급각도(急角度)로 하향 경사져 있다.Moreover, the side surface 26 adjacent to the recessed part 17 in the height 16 has a smooth inclined curved surface, and continues to the recessed part 17, as shown in FIG. The side surface 26 is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recessed part 17 rather than the front surface 16A.

본 실시예에서는, 고저부(16)는, 바닥부(3)의 좌우 방향에서의 어느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저부(16)는, 좌우 방향에서의 물 공급부(10)와 같은 측(도 10의 좌측; 제1 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16 is formed only on either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ttom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16 is formed only on the same side (left side in FIG. 10; first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오목부(17)는, 배수구부(4)의 상측 개구[세로통부(13)의 상단 개구]에 가까워질수록 아래로 되도록(즉, 뒤쪽일수록 아래로 되도록) 하향 경사져 있다. 오목부(17)는, 보울(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정상면(16A)보다 급각도로, 배수구부(4)를 향해 하향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17)가 배수구부(4)를 향해 하향 경사져 있으므로, 오목부(17) 내의 오물은, 자중에 의해 배수구부(4) 내로 이동한다. 또한, 오목부(17)는, 배수구부(4)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7)는 U자 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recessed part 17 is inclined downward so as to be closer to the upper opening (upper opening of the vertical cylinder part 13) of the drain opening part 4 (that is, to be backward at the rear). The recessed part 17 inclines downward toward the drain opening part 4 at a sharp angle than the top surface 16A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bowl 1. Thus, since the recessed part 17 inclines downward toward the drain opening part 4, the dirt in the recessed part 17 will move into the drain opening part 4 by self weight. Moreover, the recessed part 17 is formed in the drain port part 4 continuously. The recessed part 17 is formed in U-groove shape.

봉수면(11)보다 아래의 상기 보울면(2)에는, 세정수의 선회류가 충돌하여 흐름을 배수구부(4)를 향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6)이 구비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봉수면(11)보다 아래의 상기 보울면(2)에는, 가이드 수단(6)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수단(6)은, 충돌한 세정수의 선회류의 흐름을 배수구부(4)를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bowl surface 2 below the seal surface 11 is provided with guide means 6 for causing a swirl flow of the washing water to collide and direct the flow toward the drain port 4. In other words, the bowl surface 2 below the seal surface 11 is provided with a guide means 6. And the guide means 6 is comprised so that the flow of the swirl flow of the washing water which collided may face the drain port part 4.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4,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류가 충돌하여 흐름을 배수구부(4)를 향하게 하기 위한 돌출부(7)가 보울면(2)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돌출부(7)가 가이드 수단(6)을 구성하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4 and 7 to 10, protrusions 7 are formed on the bowl surface 2 so that swirl flows collide to direct the flow to the drain port 4. It is.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7 constitutes the guide means 6.

돌출부(7)는, 도 2,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1)의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이며 또한 물 공급부(10)를 설치한 측과는 반대측의 보울면(2)으로 돌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2, FIG. 10, the protrusion part 7 protrudes in the bowl surface 2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in which the bowl 1 was provided in either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water supply part 10 was provided. .

즉, 돌출부(7)는, 도 1 내지 도 4, 도 6,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고저부(16)가 형성된 쪽과 반대측에 형성된다. 오목부(17)는, 고저부(16)와 돌출부(7)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즉, 보울면(2)의 좌우 방향에서의 상기 다른 쪽[물 공급부(10)와는 반대측; 제2 측]에는, 돌출부(7)[가이드 수단(6)]가 형성된다. That is, the protrusions 7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on which the bottom 16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wl 1, as shown in Figs. 1 to 4, 6 and 8 to 10. . The recessed part 17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part 16 and the protrusion part 7. That is, the projection part 7 (guide means 6) is formed in the said other side (opposite side to the water supply part 10; 2nd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owl surface 2.

또한, 이 돌출부(7)는, 배수구부(4)의 상측 개구의 상기 다른 쪽(도 10의 우측)으로부터 상측 개구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돌출부(7)는, 보울면(2)의 타측(도 10에서의 우측)의 측면으로부터 보울(1)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Moreover, this protrusion part 7 is formed from the said other side (right side of FIG. 10) of the upper opening of the drain opening part 4 over the whole upper opening. The protrusion part 7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bowl 1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FIG. 10) of the bowl surface 2 (refer FIG. 3, FIG. 4).

돌출부(7)에서의 배수구부(4)보다 바로 앞부분의 전면은, 선회류 충돌면(23)으로 되어 있다. 즉, 돌출부(7)에서의 앞쪽 면은, 선회류 충돌면(23)으로 되어 있다. 선회류 충돌면(23)과 보울면(2)과의 사이의 코너 부분은, 둔각(鈍角)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 선회류 충돌면(23)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보울면(2)의 돌출부(7)와 돌출되어 있지 않은 부위가 이루는 코너 부분이 둔각으로 되고, 또한 이 코너 부분으로부터 이격될수록 배수구부(4) 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다(첨부 도면에서는 곡면형으로 경사진 예를 나타낸다). The front surface immediately before the drain port 4 in the protrusion part 7 is the swirl flow collision surface 23. In other words,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7 is the swirl flow collision surface 23. The corner portion between the swirl flow collision surface 23 and the bowl surface 2 is an obtuse angl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the swirl flow collision surface 23 has an obtuse angle at a corner formed by the protrusion 7 of the bowl surface 2 and the portion that does not protrude. Incidentally, the inclined so as to be closer to the drain port 4 side a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corner por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xample inclined in a curved shape is shown).

돌출부(7)의 배수구부(4) 측의 측면(8)은, 배수구부(4)의 내측면(9)과 원활하게 연속되어 있다. 즉, 돌출부(7)의 배수구부(4) 측의 측면(8)은, 배수구부(4)의 내측면(9)과 평활한 면으로 연속되어 있다.  The side surface 8 at the side of the drain port 4 of the protrusion 7 is smoothly continuous with the inner surface 9 of the drain port 4. That is, the side surface 8 of the drain opening part 4 side of the protrusion part 7 continues in a smooth surface with the inner side surface 9 of the drain opening part 4.

상기한 구성의 수세식 변기(5)는, 도 11의 실선과 같이 트랩통(15)의 선단 개구(15A)가 위쪽을 향하는 자세(제1 자세)에 있어서, 보울(1) 내에 세정수가 고인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대변이나 소변 등의 용변을 행한다.  In the flush toilet 5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ashing water is accumulated in the bowl 1 in a posture (first posture) in which the tip opening 15A of the trap cylinder 15 faces upward as in the solid line of FIG. 11. In this state, the user performs stool such as feces or urine.

용변을 행한 후의 세정은, 하기의 (1) ~ (3)의 과정에 의해 행해진다. Washing after stool is performed by the process of following (1)-(3).

먼저, (1) 물 공급부(10)로부터 세정수를 공급하여 선회류로서 흐르게 하여 전통수(보울면이 수몰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세정)를 행한다. (2) 계속 세정수의 공급을 계속하여 선회류로서 흐르게 하고, 동시에, 선단 개구(15A)가 하방을 향하도록 트랩통(15)을 회동시켜, 오물 및 보울(1) 내에 머물러 있던 세정수를 배출한다. (3) 그 후, 세정수의 공급을 계속하면서, 선단 개구(15A)가 위쪽을 향하도록 트랩통(15)을 역회동시켜, 보울(1) 내에 세정수가 체류하게 한다.  First, (1)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10 to flow as a swirl flow, and the traditional water (washing of the part where the bowl surface is not submerged) is performed. (2)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is continued to flow as a swirl flow, and at the same time, the trap cylinder 15 is rotated so that the tip opening 15A faces downward, and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dirt and the bowl 1 is removed. Discharge. (3) Then, while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he trap cylinder 15 is reversely rotated so that the tip opening 15A faces upward, so that the washing water stays in the bowl 1.

여기서, 상기 세정 과정(1)의 전통수에 의해 세정수가 선회하면 오물이 보울(1) 내를 선회류에 의해 흐르게 되어, 배수구부(4) 내의 오물이 배수구부(4)로부터 바닥부(3)로 밀어올려지거나, 또는 바닥부(3)의 배수구부(4)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어질 우려가 있다.  Here, when the washing water is turned by the traditional water of the washing process (1), dirt flows in the bowl 1 by swirling flow, so that the dirt in the drain hole 4 flows from the drain hole 4 to the bottom 3. ), Or may be mov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rain port 4 of the bottom 3.

이와 같이, 배수구부(4) 내의 오물이 배수구부(4)로부터 바닥부(3)에 밀어올려지거나, 또는 바닥부(3)의 배수구부(4)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어지면, 도 13의 종래예에 같이, 세정 과정(2)에 있어서 오물을 배출할 때, 오물의 나중에 흐르는 세정수의 물의 양이 적어진다.  Thus, if the dirt in the drain opening part 4 is pushed up from the drain opening part 4 to the bottom part 3, or moved to the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rain opening part 4 of the bottom part 3, FIG. A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when the dirt is discharged in the washing step 2, the amount of water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later in the dirt decreases.

그리고, 오물이 하수관 내를 세정수에 의해 반송되는 거리(오물 반송 거리)는, 오물의 나중에 흐르는 세정수의 물의 양에 영향을 받으므로, 오물의 나중에 흐르는 세정수의 물의 양이 적어지면, 오물이 세정수에 의해 하수관 내를 반송하는 오물 반송 거리가 짧아진다. And since the distance (filament conveyance distance) to which dirt is conveyed by the wash water in the sewage pipe is influenced by the quantity of the water of the wash water which flows later in a dirt, when the quantity of the water of the wash water which flows later in a dirt becomes small, This washing water shortens the dirt conveyance distance for conveying the inside of the sewage pipe.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보울면(2)의 바닥부(3)의 배수구부(4)의 바로 앞부분의 좌우 방향의 한쪽에 고저부(16)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한쪽에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저부(16)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물 공급부(10)를 설치한 측과 같은 쪽에 위치한다[고저부(16)는, 보울면(2)의 바닥부(3)의 좌우 방향의 한쪽을 높게 하여 형성되고, 물 공급부(10)는 보울면(2)의 좌우 방향의 상기 한쪽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저부(16)는, 세정수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배수구부(4)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물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는, 보울면(2)을 주위 방향으로(도 10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한 후, 고저부(16)에서의 벽면(24)(도 9 참조)에 충돌하고, 그 기세가 약해진다. 또한, 이 벽면(24)에 오물도 충돌하고, 오목부(17)에 오물이 머무르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고저부(16)와 오목부(17)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세정 과정(1)의 전통수에 의해 세정수가 선회해도, 오물이 보울(1) 내를 선회류에 의해 흐르게 되어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portion 16 is formed on one sid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drain portion 4 of the bottom portion 3 of the bowl surface 2, and the recessed portion ( 17) is formed. This bottom part 16 is located in the same side as the side in which the water supply part 10 was install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bottom part 16 is one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ottom part 3 of the bowl surface 2). The water supply part 10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aid one side of the bowl surface 2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at is, the bottom 16 is formed in front of the drain port 4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Therefore,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10 rotates the bowl surface 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FIG. 10), and then the wall surface 24 at the bottom portion 16 (FIG. 9), the momentum weakens. In addition, dirt also collides with the wall surface 24, and dirt easily stays in the recessed part 17.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by forming the bottom portion 16 and the recessed portion 17, even if the washing water is turned by the traditional water of the washing process (1), the dirt flows in the bowl 1 by the swirl flow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즉, 배수구부(4) 내의 오물이 배수구부(4)로부터 바닥부(3)로 밀어올려지거나, 또는 바닥부(3)의 배수구부(4)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어지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That is, it is suppressed that dirt in the drain opening 4 is pushed up from the drain opening 4 to the bottom 3 or mov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rain opening 4 of the bottom 3. .

이로써, 세정 과정(2)에 있어서, 선단 개구(15A)가 하방을 향하도록 트랩통(15)을 회동하면, 먼저 배수구부(4) 내에 머물러 있던 오물이 배수구부(4) 내의 물과 함께 트랩통(15) 측으로 흐르게 되어, 트랩통(15)의 선단 개구(15A)로부터 하수관을 향해 배출된다. 계속하여 보울(1) 내에 머물러 있던 물이 오물의 나중에 배수구부(4), 트랩통(15)의 순으로 흘러 트랩통(15)의 선단 개구(15A)로부터 하수관을 향해 배출된다. Thus, in the cleaning process (2), when the trap cylinder 15 is rotated such that the tip opening 15A faces downward, first, the dirt remaining in the drain port 4 is trapped together with the water in the drain port 4. It flows to the cylinder 15 side,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sewer pipe from the tip opening 15A of the trap cylinder 15. Subsequently, the water remaining in the bowl 1 flows in the order of the drain port 4 and the trap bin 15 after the dirt, and is discharged from the tip opening 15A of the trap bin 15 toward the sewer pipe.

따라서, 하수관을 오물이 반송될 때, 오물의 뒤쪽에 있는 세정수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오물 반송 거리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refore, when the waste is conveyed to the sewage pipe,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in the back of the waste increases, which makes it possible to lengthen the waste conveying distance.

또한, 세정수가 오목부(17)에 모아져 배출구부(4)로 흘러들기 때문에, 적은 세정수의 양이라도 세정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세정수가 오목부(17)에 단번에 모아져 배출구부(4)로 흐르므로, 오목부(17)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로 통부(14)에서의 유속이 빨라져, 이 점에서도 오물(30)의 오물 반송 거리를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since the washing water is collected in the concave portion 17 and flows into the discharge port portion 4, the washing effect is improved even with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In addition, since the washing water is collected in the recess 17 at once and flows to the outlet 4, the flow velocity in the horizontal tube 14 is faster than in the case where the recess 17 is not form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rt conveyance distance of 30).

또한, 오물이 배출된 후에 흐르는 오물을 포함하지 않는 세정수의 양이 많아지므로, 오물이 배출된 후의 배수구부(4), 트랩통(15)의 세정 효과가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that does not contain the dirt flowing after the dirt is discharged increases, the cleaning effect of the drain port 4 and the trap cylinder 15 after the dirt is discharged is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저부(16)가 보울면(2)의 바닥부(3)의 좌우 방향의 한쪽(도 10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울면(2)의 바닥부(3)의 좌우 방향의 다른 쪽(도 10의 우측)에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고저부(16)가 좌우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나 오목부(17)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세정 과정(3)에 있어서 보울(1) 내에 머무르는 물의 양을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회의 세정 과정(2)에 있어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오물 반송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ample, the bottom part 16 is formed in the one side (left side of FIG. 10) of the bottom part 3 of the bowl surface 2 in the left-right direction. Moreover, the recessed part 17 is formed in the other side (right side of FIG. 10) of the bottom part 3 of the bowl surface 2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by,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bottom part 16 is formed in the both sides of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case where there is no recessed part 17, the quantity of the water which stays in the bowl 1 in the washing | cleaning process 3 can be increased. . Therefore, the quantity of water discharged | emitted in the next washing | cleaning process 2 becomes large, and a waste conveyance distance can be lengthened.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세정 과정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물 공급부(10)로부터 세정수가 공급되어 선회류로 되어, 보울면(2)을 흘러 세정한다. 이 경우, 세정 과정(2)에 있어서, 세정수가 보울면(2)을 위에서 아래로 주위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흘러, 바닥부(3) 가까이로 되면, 도 8의 화살표 P와 같이, 고저부(16) 상 및 고저부(16)에 연속되는 보울면(2)의 측면 하부를 나중에 앞을 향해 선회하면서 흐른다. 다음에, 도 8, 도 9의 화살표 Q와 같이, 돌출부(7)의 선회류 충돌면(23)에 충돌하고, 흐름이 배수구부(4)를 향하도록 가이드되어, 오목부(17)를 통하여 배수구부(4) 내로 흘러든다. 즉, 돌출부(7)[가이드 수단(6)]에 의해, 보울면(2)의 주위 방향을 따른 흐름(화살표 P)이, 배수구부(4)를 향하는 흐름으로 변환된다(화살표 Q).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lean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 to form swirl flow, and the bowl surface 2 is washed. In this case, in the washing process (2), the washing water flows while turning the bowl surface (2) from top to bottom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when it comes close to the bottom (3), as shown by arrow P in FIG. ) And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bowl surface 2, which is continuous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16, while later turning forward. Next, as shown by the arrow Q of FIGS. 8 and 9, the collision with the swirl flow collision surface 23 of the protrusion 7 is guided so that the flow is directed toward the drain port 4 and through the recess 17. It flows into the drain opening part 4. That is, by the protrusion part 7 (guide means 6), the flow (arrow P)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wl surface 2 is converted into the flow toward the drain opening part 4 (arrow Q).

또한, 선회류 충돌면(23)의 상부에 충돌한 세정수의 일부가 돌출부(7)의 측면을 따라 경사 아래쪽에 배수구부(4) 측을 향해 가이드되지만, 이 세정수는, 돌출부(7)의 배수구부(4) 측의 측면(8)이, 배수구부(4)의 내측면(9)과 원활하게 연속되어 있으므로, 원활하게 배출구부(4)로 흘러든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washing water that has collid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swirl flow collision surface 23 is guided toward the drain port 4 side in the inclined lower side along the side of the protrusion 7, but the washing water is the protrusion 7. Since the side surface 8 of the drain opening part 4 side of the is seamlessly continued with the inner side surface 9 of the drain opening part 4, it flows smoothly into the discharge port part 4.

이들의 이유에 의해, 본 실시예는, 세정수가 선회류인 채 배수구부(4)로 흐르는 경우에 배수구부(4) 부근에서 발생하는 난류(亂流)를 억제하여, 세정수를 배수구부(4)로 원활하게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or these reasons, the present embodiment suppresses turbulence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drain port 4 when the wash water flows into the drain port 4 while being the swirl flow, and the wash water is discharged to the drain port 4. It becomes possible to flow smoothly).

즉, 본 실시예는, 봉수면(11)보다 아래의 보울면(2)에, 선회류가 충돌하여 충돌한 선회류의 흐름을 배수구부(4)를 향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수단(6)[돌출부(7)]을 구비함으로써, 선회류를 배수구부(4)로 원활하게 흐르게 하여, 배수구부(4) 부근에서 선회류에 의한 난류가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means 6 (protrusion section) configured to direct the flow of the swirl flow collided with the swirl flow on the bowl surface 2 below the seal surface 11 toward the drain port 4. 7)], it is possible to smoothly flow the swirl flow to the drain port portion 4,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urbulence caused by the swirl flow in the vicinity of the drain port (4).

그러므로, 예를 들면, 설사형의 변을 배출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선회류의 방향을 배수구부(4) 측을 향하도록 가이드하지 않고 배수하면, 설사형의 변이 선회류를 타고 보울(1) 내를 감돌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예는, 설사형의 변이라도 원활하게 배출 가능해진다. 따라서, 선회류에 의한 적은 세정수의 양으로 오물의 배출 성능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refo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discharging the diarrhea-type sides, if the drainage direction is drained without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swirl flows toward the drain port 4 side as in the prior art, the diarrhea-shaped sides are rotated in the bowl 1. Although there is a fear of falling inside, the present embodiment can smoothly discharge even the diarrhea type 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scharge performance of the dirt with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due to swirl flow.

그리고,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보울면(2)에는, 세정수의 선회류가 충돌하여 흐름을 배수구부(4)를 향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6)을 설치한 예를 나타냈으나, 가이드 수단(6)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owl surface 2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wirl flow of the washing water collides to provide a guide means 6 for directing the flow toward the drain port 4.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guide means 6.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울면(2)에 돌출부(7)를 형성하여 가이드 수단(6)을 구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가이드 수단(6)으로서는, 선회류가 충돌하여 충돌한 선회류의 흐름을 배수구부(4)를 향하도록 구성된 것이면 되고, 돌출부(7)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보울면(2)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에, 선회류가 충돌하여 흐름을 배수구부(4)를 향하게 하기 위한 충돌면을 형성해도 된다. 물론, 가이드 수단(6)으로서는 다른 형태라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protrusion part 7 was formed in the bowl surface 2, the example which comprised the guide means 6 was shown, As the guide means 6, the turning flow collided and collided and turn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be comprised so that the flow of a flow may face the drain opening part 4, and is not limited to the protrusion part 7. As shown in FIG. For example, a guid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bowl surface 2, and a collision surface for turning the flow toward the drain port 4 may be formed in the guide groove by the swirl flow. Of course, the guide means 6 may be another form.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돌출부(7)[가이드 수단(6)]를 봉수면보다 아래의 보울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세정 과정(1)에서 세정수가 선회할 때, 선회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봉수면보다 위로 돌출하도록 설치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otrusion 7 (guide means 6) is formed on the bowl surface below the seal surface, so that the turning water does not interfere when the washing water turns in the washing process 1. However, you may install so that it may protrude above the sealing surface.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울면(2)의 바닥부(3)의 좌우 방향의 한쪽(도 10의 좌측)에 고저부(16)를 형성하고, 고저부(16)를 형성한 측과 같은 쪽에 물 공급부(10)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보울면(2)의 바닥부(3)의 좌우 방향의 한쪽(도 10의 좌측)에 고저부(16)를 형성하고, 보울(1)의 좌우 방향의 다른 쪽(도 10의 우측)의 상부에, 측방을 향해(도 10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출하는 물 공급부(10)를 설치해도 된다. 즉, 보울(1)의 상부에, 보울(1)의 주위 방향을 따라 세정수를 분출하도록 구성된 물 공급부(10)를 설치하고, 고저부(16)를, 세정수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배수구부(4)의 전방에 형성하면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ottom 16 is formed on one side (left side in FIG. 10) of the bottom 3 of the bowl surface 2 and the bottom 16 is formed. Although the example which provided the water supply part 10 in the same side was show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For example, the bottom part 16 is formed in one side (left side of FIG. 10) of the bottom part 3 of the bowl surface 2, and the other side of FIG. In the upper part of the right side, you may provide the water supply part 10 which sprays washing water toward the side (to the left direction in FIG. 10).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bowl 1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art 10 configured to eject the washing wat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wl 1, and the bottom portion 16 is provided with a drain hole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orm in front of (4).

Claims (8)

세정수(洗淨水)의 선회류(旋回流)에 의해 보울(bowl)의 보울면을 세정하고, 보울의 바닥부에 설치된 배수구부로부터 세정수를 배출하는 수세식 변기로서,
봉수면(封水面)보다 아래의 상기 보울면의 바닥부의, 상기 배수구부의 바로 앞부분의 좌우 방향의 한쪽을 다른 쪽보다 높게 하여 고저부(高底部)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부보다 바로 앞부분의 좌우 방향의 상기 다른 쪽에, 상기 고저부에 연속되고 또한 상기 고저부보다 낮고 후단부가 상기 배수구부에 연속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수세식 변기.
A flush toilet which cleans the bowl surface of a bowl by swirling flow of washing water and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from a drain hol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wl,
A bottom part of the bottom of the bowl surface below the seal surface is formed so that one sid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part of the drain port part is higher than the other, and a high bottom part is formed,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part immediately preceding the drain port part. The flush toilet of the other side of which is formed with a recess continuous to the bottom and lower than the bottom and having a rear end continuous to the drain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의 좌우 방향의 상기 한쪽의 상부에, 상기 보울면에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물 공급부가 위치하는, 수세식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A flush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bowl surface is located above the one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w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의 상부에 물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보울의 주위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정수를 분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저부는, 상기 세정수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수세식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A water supply unit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wl, and the water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eject the washing wat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wl,
The flush toilet is formed in front of the drain port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면보다 아래의 상기 보울면에, 상기 선회류가 충돌하여 충돌한 상기 선회류의 흐름을 상기 배수구부를 향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수세식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guide means configured to direct the flow of the swirl flow collided with the swirl flow on the bowl surface below the seal surface, to the drain po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보울면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되는, 수세식 변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uide means is composed of a protrusion formed in the bowl surface, flush toil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배수구부 측의 측면은, 상기 배수구부의 내측면과 평활한 면으로 연속되는, 수세식 변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side of the drain port side of the protrusion is continuous flush flush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rain po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의 좌우 방향의 상기 다른 쪽의 상기 보울면에 상기 가이드 수단이 위치하고,
상기 보울의 좌우 방향의 상기 한쪽의 상부에 상기 보울면에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물 공급부가 위치하는, 수세식 변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uide means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w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wl,
A flush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bowl surface is positioned above the one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w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한 트랩(trap)이 접속되는, 수세식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A flush toilet where the trap which can rotate in an up-down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said drain opening part.
KR1020120090004A 2011-09-21 2012-08-17 Water closet KR10152148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05552 2011-09-21
JP2011205540 2011-09-21
JP2011205552A JP5914820B2 (en) 2011-09-21 2011-09-21 Flush toilet
JPJP-P-2011-205540 2011-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779A true KR20130031779A (en) 2013-03-29
KR101521480B1 KR101521480B1 (en) 2015-05-19

Family

ID=4796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004A KR101521480B1 (en) 2011-09-21 2012-08-17 Water close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1480B1 (en)
CN (1) CN10301551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6412B2 (en) * 2013-12-19 2018-12-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Flush toilet
JP6628025B2 (en) * 2015-08-10 2020-01-08 Toto株式会社 Flush toilet
CN108396840B (en) * 2018-02-28 2020-07-28 厦门优胜卫厨科技有限公司 Flushing toile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7616A (en) * 1988-10-13 1991-01-29 Eljer Manufacturing, Inc. Water saver water closet
JP3216421B2 (en) * 1994-05-31 2001-10-09 東陶機器株式会社 Flush toilet
JPH111954A (en) * 1997-06-11 1999-01-06 Inax Corp Flushing toilet bowl
JPH11210051A (en) * 1998-01-30 1999-08-03 Inax Corp Washing method by wash-off
JPH11247269A (en) * 1998-03-03 1999-09-14 Inax Corp Toilet
CN1367299A (en) * 2001-11-16 2002-09-04 曹家鸿 Telescopic moving potential energy siphon toilet
JP2007327223A (en) * 2006-06-07 2007-12-20 Janis Ltd Western style flush toilet bowl
JP2008025208A (en) * 2006-07-21 2008-0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urn trap type flush toilet device
JP5292681B2 (en) * 2006-08-10 2013-09-18 Toto株式会社 Flush toilet
US20080060121A1 (en) * 2006-09-08 2008-03-13 Dan Marius Andreiu Low flow hygienic apparatu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480B1 (en) 2015-05-19
CN103015515A (en) 2013-04-03
CN103015515B (en)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3627B1 (en) Flush toilet
JP6331008B2 (en) Flush toilet
JP6341460B2 (en) Flush toilet equipment
JP5971612B2 (en) Flush toilet
JP6573065B2 (en) Flush toilet
JP5936169B2 (en) Flush toilet
JP5959055B2 (en) Toilet bowl body and siphon flush toilet equipped with the same
JP6344543B2 (en) Flush toilet
JP2008274679A (en) Siphon-jet toilet bowl
JP6332606B2 (en) Flush toilet
CN110719982B (en) Water closet
JP2009243052A (en) Water closet
JP6218091B2 (en) Flush toilet
JP5510881B2 (en) Flush toilet
JP6194570B2 (en) Flush toilet
KR20130031779A (en) Water closet
JP6066043B2 (en) Flush toilet
JP2015068125A (en) Water closet
JP5914820B2 (en) Flush toilet
JP6079967B2 (en) Flush toilet
JP6880533B2 (en) Flush toilet
JP2015068123A (en) Water closet
JP2013238048A (en) Flush toilet bowl
JP7093507B2 (en) Washing toilet
CN111287279A (en) Toilet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428

Effective date: 201411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