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376A - 디아이디 입체영상콘트롤장치 - Google Patents

디아이디 입체영상콘트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376A
KR20130030376A KR1020110093798A KR20110093798A KR20130030376A KR 20130030376 A KR20130030376 A KR 20130030376A KR 1020110093798 A KR1020110093798 A KR 1020110093798A KR 20110093798 A KR20110093798 A KR 20110093798A KR 20130030376 A KR20130030376 A KR 20130030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mage
display device
screen
stereo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558B1 (ko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주)쓰리디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디웍스 filed Critical (주)쓰리디웍스
Priority to KR102011009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55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가 구비되고 이 컴퓨터와 연결되어 2D 디스플레이장치와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가 및 화상인식카메라 및 프린터가 구비되어 3D입체영상이 시뮬레이션되는 DID입체영상콘트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2D디스플레이장치의 터치스크린 기능 또는 화상인식카메라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에 입체영상을 시뮬레이션해주고 또 필요한 광고프로모션을 프린터로 출력하여 광고관리기능을 가지고 있어 상품의 광고나 홍보용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아이디 입체영상콘트롤장치 {A DID stereo image control equipment}
본 발명은 2D 디스플레이장치와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화상인식카메라를 이용한 DID 입체영상콘트롤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발명등록특허 10-0953357 부분입체디스플레이영상장치
[문헌 2] 대한민국 발명등록특허 10-0962557 증강현실구현장치 및 증강현실구현방법
[문헌 3] 대한민국 발명공개특허 10-2010-0135519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문헌 4] 대한민국 발명공개특허 10-2011-0007342 증강현실 영상기술을 적용한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컨텐츠활용방법
2차원영상과 3차원영상이 동시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장치에 적용되어 나온 기술은 상기 [문헌 1]이 최초이고 카메라로 이미지를 인식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문헌 2] 및 [문헌 4]와 같은 기술들은 상당수가 출시되고 있으며 앤스크린기능이 적용된 [문헌 3]과 같은 기술들은 주로 복수개의 단말기를 스마트폰과 같은 근래의 터치폰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를 연결시켜주는 기술들이 주로 출시되고 있다.
DID 입체영상장치가 다수 출시되어 이를 이용한 응용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2D 디스플레이장치의 다양한 터치스크린기술을 이용한 3D입체영상시뮬레이션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화상인식카메라를 이용한 좀더 다양한 DID연결 입체증강현실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컴퓨터와 연결된 2D 디스플레이장치와 화상인식카메라 및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와 프린터가 구비되고 2D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터치스크린으로 또는 화상인식카메라를 연결하여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상의 입체영상이 시뮬레이션되는 특징을 갖는 DID 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D 디스플레이장치의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 멀티화면모듈 및 앤스크린모듈과 텍스트인식모듈 및 3D시뮬레이터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3D입체영상을 구현 및 조정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와 화상인식카메라를 연결하여 입체수족관시뮬레이션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장치는 2D 디스플레이장치 및 화상인식카메라 및 프린터를 이용한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3D입체영상시뮬레이션과 함께 광고영상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DID입체영상콘트롤 기술로서 제품프레젠테이션과 상품 판매와 홍보 및 광고용으로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구성도
도 2는 2D 디스플레이장치의 터치스크린조정모듈에 관한 상세설명도
도 3은 2D 디스플레이장치의 3D시뮬레이터모듈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2D디스플레이장치와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와 컴퓨터 및 화상인식카메라의 배치도 관련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화상인식카메라와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입체수족관의 광고관리시뮬레이션 예시도
본 발명은 컴퓨터가 구비되고 이 컴퓨터와 연결되어 2D 디스플레이장치와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되고 화상인식카메라가 상기 3D 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된 구성의 DID 시청장치에 있어서, 상기 2D 디스플레이장치에는 터치스크린기능이 구비되어 3D입체영상을 조정하고, 상기 화상인식카메라에 이미지 및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인식을 통해 3D입체영상을 시뮬레이션하는 DID입체영상콘트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요 기능은 아래 표1, 표2와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또한 상기 기능과 연결하여 고객이 필요한 부분을 프린터와 연결하여 인쇄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표1과 표2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상기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안에 저장되어 2D 디스플레이장치와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를 상호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3D입체영상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그 처리를 위한 별도의 컴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들어 있는 컴퓨터에는 3D입체영상 구동용컴퓨터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와 같은 입체영상 조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는 무안경식으로 입체시청이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LCD)로 구성된 배리어 방식이나 렌티큘라 방식이 적용되며 입체 안경적용방식은 액정셔터글래스적용방식이나 편광안경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도로서 컴퓨터(100)와 화상인식카메라(500)가 구비된 3D 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와 터치센서를 통해 동작되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2D 디스플레이장치(400)와 프린터(600)가 포함되어 구성된 DID디스플레이장치(200)에 있어서 화상인식카메라(500)와 컴퓨터(100)의 보조기억장치(900)내의 화상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나 사람을 인식하여 시뮬레이션되는 이미지모듈(710)과 제스처를 인식하여 시뮬레이션되는 시뮬레이션 모듈(720)로 여 3D입체시뮬레이션을 구현하거나 또는 프린터(600)출력을 통한 광고관리시뮬레이션의 수단을 갖는 컴퓨터(100)의 보조기억장치(900)내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모듈인 카메라인식조정모듈(700)이나
2D디스플레이장치(400)의 터치스크린과 컴퓨터(100)의 보조기억장치(900)내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멀티화면모듈(810)이나 앤스크린모듈(820) 또는 텍스트모듈(830) 및 3D시뮬레이터모듈(840)중 어느 한가지 이상이 적용되어 사람의 손으로 터치하여 3D입체시뮬레이션 구현 또는 프린터(600) 출력을 통한 광고관리시뮬레이션의 수단을 갖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모듈인 터치스크린조정모듈(800)을 갖는 DID 입체영상콘트롤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주로 손으로 터치하여 정전용량원리를 이용 미리 텍스트나 아이콘 또는 오브젝트를 터치하면 해당 위치를 터치센서가 인식하여 컴퓨터(100)의 CPU에 알려주어 터치스크린 동작을 하게 하는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하여 2D 디스플레이장치(400)화면과 3D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화면상에 반응동작이 디스플레이 되게끔하거나 화상인식카메라(500)를 이용 사용자가 미리 만들어 놓은 이미지 또는 사람 및 사람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2D 디스플레이장치(400)화면과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화면상의 오브젝트가 시뮬레이션되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시뮬레이션된다함은 GUI(Graphic User Interface)원리와 유사하게 사전에 해당 오브젝트에 프로그램되어있어 터치나 화상인식이 되면 오브젝트가 입체의 돌출 움직임 등 다양한 입체효과와 함께 동작되거나 입체 광고영상 시연됨을 뜻하는 것으로서 고객이 흥미를 끌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2는 상기 터치스크린조정모듈(800)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조정모듈(800)은 상기 2D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화면을 고객이 원하는 복수 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구성한 뒤 고객이 복수 개의 화면 중 한 화면을 터치하면 그 해당 화면에 관련된 3D입체 시뮬레이션되는 수단의 일화면동작모듈(811)과 상기 2D 디스플레이장치(400)의 분할된 복수 개의 화면 중 2개 이상을 연속으로 터치하면 터치하는 순서대로 3D입체시뮬레이션되는 수단을 갖는 연동동작모듈(812)로 구성된 멀티화면모듈(810)과
상기 2D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화면상에서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하고 터치기능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고객의 손에 의한 터치를 인식하여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의 화면상에서도 같은 인식을 하는 수단의 터치앤홀드모듈(Touch and hold,821)과 마찬가지방법으로 터치앤드래그모듈(Touch and drag,822)과 터치앤플릭모듈(Touch and flic,823)로 구성되어 2D화면상에서의 고객의 터치가 3D입체화면상에서도 연동되어 앤스크린 기능을 갖는 수단의 앤스크린모듈(820)과
2D디스플레이장치(400)의 화면상에서 해당 위치에 동작하게끔 미리 만들어진 VRML언어와 같은 언어를 이용해 제작된 변수수행능력을 가진 텍스트를 손으로 터치하면 3D입체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상에서 입체시뮬레이션되는 수단의 글자모듈(831)과 마찬가지로 주로 웹화면상 또는 윈도우OS상에서 GUI기능과 같은 변수수행능력의 아이콘을 터치하면 입체시뮬레이션되는 GUI와 같은 수단의 아이콘모듈(832)로 구성된 텍스트모듈(831)과
2D디스플레이장치(400)의 화면상에 별도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및 상하좌우 회전방향을 가진 3D시뮬레이션용 아이콘을 통해 해당 아이콘을 눌러 조정하면 줌인과줌아웃 및 돌려보기 등 3D시뮬레이션을 해볼 수 있는 수단의 3D시뮬레이터모듈(840)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3은 상기 3D 시뮬레이터모듈(84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 실시 예로서, 상기 도1과 같이 컴퓨터와 2D 디스플레이장치(400)와 3D입체디스플레이장치(300)가 구비된 상황에서 3D시뮬레이터모듈(840)은 고객이 터치스크린기능과 방향키 아이콘을 이용해 입체영상내의 대상물을 대상으로 줌인과 줌아웃 및 좌우 방향가기를 할 수 있는 수단의 화살표키모듈(841);
대상물을 좌우 회전방향으로 돌려볼 수 있는 수단의 수평키모듈(842);
대상물을 상하 회전방향으로 돌려볼 수 있는 수단의 수직키모듈(843); 및
대상물을 원상태로 돌려 놓을 수 있는 수단의 원점키모듈(844);이 포함되어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즉, 고객은 2D 디스플레이장치(400)에서 터치스크린 기능을 이용하여 손이나 마우스를 이용하고 터치앤홀드와 터치앤드래그 및 터치앤플릭 기능을 사용해 2D디스플레이 장치(400)상의 3D시뮬레이터모듈(840)을 손으로 터치하여 2D디스플레이장치(400)와 3D입체디스플레이장치(300)상에서 인식 및 동작을 시키는데 좀더 상세히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1) 화살표키모듈(841)실시예 : 고객이 2D 디스플레이장치(400)상의 화살표키 모듈(841)을 손을 대고 화살표방향으로 끌면 2D오브젝트(410)와 3D오브젝트(310)는 터치스크린 의 터치앤홀드기능에 의해 컴퓨터(100)가 인식하고 터치앤드래그기능에 의해 3D오브젝트(310)를 기준으로 앞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뒤로 끌면 뒤쪽으로 후퇴하고 좌측방향으로 끌면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진하고 우측방향으로 끌면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진하여 대상 3D오브젝트(310)가 3D디스플레이장치(300)상의 화면내의 주변환경과 연결되어 3D입체로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 때 2D디스플레이장치(400)상의 2D오브젝트(410)에 기준점이 되도록 프로그램을 통해 미리 컴퓨터(100)의 3D시뮬레이터모듈(840)과 연결 프로그램 되어 있어야 한다. 오브젝트가 여러 개인 경우 2D디스플레이장치(400)상에서 먼저 터치앤홀드 기능을 통해 기준이 될 오브젝트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수평키모듈(842)실시예 : 고객이 2D디스플레이장치(400)상의 수평키모듈(842)을 손을 대고 밀면 2D오브젝트(410)와 3D오브젝트는 터치앤홀드 기능에 의해 인식되고 터치앤드래그 기능에 의해 3D오브젝트(310)를 기준으로하여 수평으로 회전하며 3D디스플레이장치(300)상의 화면내의 주변환경이 3D오브젝트(310)가 수평으로 회전함에 따라 맞추어 3D 시뮬레이션 된다.
마찬가지로 수직키모듈(843)모듈과 원점키모듈(844)도 유사하게 설명되기 때문에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3D시뮬레이터모듈(840)은 터치스크린기능을 적용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케이스(110)에 내장된 컴퓨터(100)와 고객이 위에서 바라보는 형태의 2D 디스플레이장치(400)와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와 화상인식카메라로 구성된 DID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고객이 이미지(510)를 DID디스플레이장치(200)의 화상인식카메라(500) 전방에 화상인식카메라(5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시하면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에 해당 이미지 관련 시뮬레이션이 나타나고 고객이 손이나 제스처를 이용하여 컴퓨터(100)와 DID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나오는 음성이나 화면상의 텍스트 지시에 의해 3D오브젝트(520)를 상기 화상인식카메라(500)가 인식하도록 고객이 행동했을 때 서비스업체가 제공하는 고객을 위한 프로모션용 티켓(610)이 프린터(600)를 통해 나옴으로서 고객은 서비스업체의 3D입체영상광고를 보고 혜택을 얻는 프로모션용 DID 입체영상콘트롤장치가 구현된다.
즉, 좀더 구체적으로 실시 예로 설명하자면 고객이 본 발명의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앞에서 돌출되어 허공상에 나와있는 3D오브젝트(520)를 손으로 터치하면 컴퓨터(100)에 의해 3D오브젝트(520)의 다음 동작이 광고와 함께 연출되면서 프로모션용 티켓(600)이 출력되어 나오는 식으로 실행이 예상된다.
또 상기 이미지(510)와 제스처 및 화상인식카메라(500) 대신 터치스크린기능이 구비된 2D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이용하여 2D 화면상의 이미지를 터치함에 의해 3D입체영상구현과 프로모션을 시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위치 즉,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와 2D디스플레이장치(400) 및 화상인식카메라(500)와 컴퓨터(100)의 위치 설정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가 상부에 위치하고 2D디스플레이장치(400)가 하부에 위치되며 화상인식카메라(500)가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며 컴퓨터(1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장소이든지 필요한 곳에 삽입되어 3D입체디스플레이장치(300)와 2D디스플레이장치(400)와 연결되어 조정하게 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도 5의 B는 본 발명에 있어서 2D디스플레이장치(400)가 상부에 있고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가 하부에 있으며 화상인식카메라(500)가 2D디스플레이장치(400)상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5의 C는 본 발명에 있어서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장치(300)가 좌측에 위치하고 2D디스플레이장치(400)가 우측에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내는데 상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우가 바뀌어도 무방함이 바람직하다.
도 5의 D는 본발명에 있어서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와 2D디스플레이장치(400)의 배치에 관계없이 컴퓨터(100)가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위치시킬 수도 있음을 설명한 것이며 2D디스플레이장치(400)와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 및 컴퓨터(100)와 화상인식카메라(500)는 필요에 따라 각각 2대 이상 복수개로 사용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를 컴퓨터(100)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2D디스플레이장치(400)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조정모듈(800)을 통해 조정하거나 또는 화상인식카메라(500)를 이용한 카메라인식조정모듈(700)을 통해 조정하는데 있어 2D디스플레이장치(400)와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 및 화상인식카메라(500)의 배치와 중복사용을 필요에 따라 허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컴퓨터(100)에 내장된 그래픽어답터(도시하지 않음)는 통상 3개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로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 상용화되어 있어서 본 발명장치의 적용에 있어 1 대의 입체디스플레이 장치(300)와 1대의 2D디스플레이장치(400)를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한대의 컴퓨터만으로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300)를 수족관외곽(320)과 함께 화면내에 3D그래픽으로 수족관 전용으로 물풀(330)과 조개(340) 및 각종 물고기들을 시뮬레이션시켜 만든 전용입체수족관 예를 도시한 일실시예로서, 화상인식카메라(500)와 컴퓨터의 카메라인식조정모듈(700)을 이용하여 3D물고기오브젝트(530)가 이미지나 사람이 인식되면 동작되는 이미지모듈(710)이나 사람의 제스춰에 의해 동작되는 제스춰모듈(720)에 의해 3D입체광고영상오브젝트(540)로 동작됨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3D물고기오브젝트(530)와 같은 3D오브젝트와 3D입체광고영상오브젝트(540)는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100 컴퓨터 200 DID디스플레이장치
300 3D(Dimension)입체영상디스플레이 장치 ; 3차원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
400 2D 디스플레이장치 ; 2차원 디스플레이장치
500 화상인식카메라 600 프린터
700 카메라인식조정모듈 800 터치스크린조정모듈

Claims (7)

  1. 컴퓨터로 구동되고 화상인식카메라가 포함되어 구비된 3D 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컴퓨터 또는 또 하나의 컴퓨터로 구동되고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2D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와 연결된 프린터;가 포함되어 구성된 DID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인식카메라와 연결되어 이미지 또는 사람 또는 제스처를 인식하여 상기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상에 3D입체영상시뮬레이션을 실행하거나 프린터 출력을 하는 수단의 프로그램인 카메라인식조정모듈이나
    상기 2D디스플레이장치상의 터치스크린을 연결하여 3D입체시뮬레이션 구현 또는 프린터 출력을 하는 수단의 프로그램인 터치스크린조정모듈이 상기 구비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의 보조기억장치내에 포함되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입체영상콘트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조정모듈은 상기 2D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 복수 개로 분할되어 구성된 화면에서 그 중 어느 한 화면을 터치하면 그에 관련된 3D입체 시뮬레이션이 구현되는 수단의 일화면동작모듈과 상기 2D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할된 복수 개의 화면 중 2개 이상을 연속으로 터치하면 터치하는 순서대로 3D입체시뮬레이션되는 수단을 갖는 연동동작모듈로 구성된 멀티화면모듈;
    상기 2D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서 터치스크린기능과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의 터치를 하면 상기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서 시뮬레이션 동작을 함에 있어서 대상물이 인식되는 수단의 터치앤홀드모듈(Touch and hold)과 대상물을 터치하여 드래그하는 수단의 터치앤드래그모듈(Touch and drag)과 대상물을 터치하여 플릭하는 수단의 터치앤플릭모듈(Touch and flic)로 구성되는 특징의 앤스크린모듈;
    상기 2D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서 텍스트를 손으로 터치하면 상기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서 입체시뮬레이션되는 수단의 글자모듈과 화면상에서 아이콘을 터치하면 입체시뮬레이션되는 수단의 아이콘모듈로 구성된 텍스트모듈; 및
    상기 2D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 별도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및 상하좌우 회전방향의 그래픽아이콘을 구비한 3D시뮬레이션용 아이콘과 상기 터치스크린기능을 이용하여 줌인과줌아웃 및 돌려보기의 3D시뮬레이션을 해볼 수 있는 수단의 3D시뮬레이터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 입체영상콘트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시뮬레이터모듈은 고객이 터치스크린기능과 방향키 아이콘을 이용해 입체영상내의 대상물을 대상으로 줌인과 줌아웃 및 좌우 방향가기를 할 수 있는 수단의 화살표키모듈;
    대상물을 좌우 회전방향으로 돌려볼 수 있는 수단의 수평키모듈;
    대상물을 상하 회전방향으로 돌려볼 수 있는 수단의 수직키모듈; 및
    대상물을 원상태로 돌려 놓을 수 있는 수단의 원점키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 3D 시뮬레이션 수단의 특징을 갖는 DID 입체영상콘트롤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D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는 각각 상하좌우로 배치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음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입체영상콘트롤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인식카메라는 상기 2D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상기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한곳에 장착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입체영상콘트롤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D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3D입체영상디스플레이장치 와 상기 컴퓨터 및 상기 화상비디오카메라는 각각 2대 이상 복수 개로 장착될 수 있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입체영상콘트롤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D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화상인식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이미지나 사람의 제스춰를 인식하여 한 개 이상의 3D오브젝트를 시뮬레이션하고 하나 이상의 광고영상오브젝트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단의 입체수족관으로 적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DID입체영상콘트롤장치
KR1020110093798A 2011-09-19 2011-09-19 디아이디 입체영상콘트롤장치 KR101276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798A KR101276558B1 (ko) 2011-09-19 2011-09-19 디아이디 입체영상콘트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798A KR101276558B1 (ko) 2011-09-19 2011-09-19 디아이디 입체영상콘트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376A true KR20130030376A (ko) 2013-03-27
KR101276558B1 KR101276558B1 (ko) 2013-06-19

Family

ID=4817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798A KR101276558B1 (ko) 2011-09-19 2011-09-19 디아이디 입체영상콘트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5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489B1 (ko) * 2013-06-19 2015-07-22 (주)쓰리디웍스 입체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210092919A (ko) * 2020-01-17 2021-07-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2차원/3차원 동시 출력 가능한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357B1 (ko) * 2008-03-12 2010-04-19 (주)맥디자인 부분입체디스플레이영상장치
KR20110007342A (ko) * 2009-07-16 2011-01-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영상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컨텐츠 활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489B1 (ko) * 2013-06-19 2015-07-22 (주)쓰리디웍스 입체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210092919A (ko) * 2020-01-17 2021-07-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2차원/3차원 동시 출력 가능한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558B1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6414A1 (en) Forming a larger display using multiple smaller displays
US20200166967A1 (en) Flexible Display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US961910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 based interaction with viewpoint dependent user interfaces
CN103460177B (zh) 电子设备与远程显示器之间的姿势可视化和共享
US201402234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uitive user interac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US201503703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zel mitigation with head tracking
US9110512B2 (en) Interactive input system having a 3D input space
Li et al. Cognitive issues in mobile augmented reality: an embodied perspective
CN102662577A (zh) 一种基于三维显示的光标操作方法及移动终端
CN108027707B (zh) 用户终端设备、电子设备以及控制用户终端设备和电子设备的方法
CN103858074A (zh) 经由3d显示器与装置交互的系统和方法
JP6160305B2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04820497A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3d交互显示系统
US8872813B2 (en) Parallax image authoring and viewing in digital media
KR20150007875A (ko) 전자 장치의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Gotsch et al. Holoflex: A flexible light-field smartphone with a microlens array and a p-oled touchscreen
KR101276558B1 (ko) 디아이디 입체영상콘트롤장치
JP6790630B2 (ja) ドキュメント共有方法、プログラム及びドキュメント共有装置
CN116244024A (zh) 交互控制方法、装置、头戴显示设备及介质
EP25575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US9338432B1 (en) Mobile device with 3-dimensional user interface
JP2016018363A (ja) 仮想空間平面上に配置したオブジェクトを表示制御するゲーム・プログラム
KR101457999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Rooney et al. HiReD: a high-resolution multi-window visualisation environment for cluster-driven displays
Isoyama et al. Multi-tiles: A system for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divided rotatable scre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