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398A - Porta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398A
KR20130029398A KR1020127029906A KR20127029906A KR20130029398A KR 20130029398 A KR20130029398 A KR 20130029398A KR 1020127029906 A KR1020127029906 A KR 1020127029906A KR 20127029906 A KR20127029906 A KR 20127029906A KR 20130029398 A KR20130029398 A KR 20130029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using
plate
display
hous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9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ublication of KR2013002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3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PURPOSE: A portable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form one screen by connecting two displays with each other when a laminated panel housing is opened. CONSTITUTION: Two or more panel housings(20,40) are laminated on the top and bottom and displays(2,4) ar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top and bottom panel housings. The top and bottom panel housings are sli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up and down directions to adhere the displays to each other. A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is from 0.1 to 5mm. A moving unit is included in a gap between the top panel housing and the bottom panel housing and moves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up and down directions while supporting the top panel housing. The width of the moving unit is wider than the width of a protective cover or cover support unit.

Description

휴대용 표시장치{PORTABLE DISPLAY DEVICE}Portable Display {PORT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처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적어도 2 개 이상의 패널하우징을 적층상태로 구비하고, 상기 패널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0.1mm 이상 5mm 이내로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two displays as a single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t least two panel housings equipped with a display in a stacked state, and when the panel housing is moved by sliding the displ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connec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in 0.1 mm to 5 mm so that they can be used as a single display.

휴대용에서 화면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 OLED, FED, PDP, 전자 종이(Electric Paper)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enlarge the screen in a portable manner, the two displays are interconnected to have the same effect as using one screen. In this case, a flat panel display panel used may include LCD, OLED, FED, PDP, and electric paper.

그리고, 이를 위해 슬라이딩 가능한 별도의 패널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하우징 각각에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때,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for this purpose, a separate panel housing that is slidable is provided, and when the display is mounted on each of the panel housings, the displays are configur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디스플레이의 한 변을 효과적으로 설계하여 디스플레이 사이에 발생하는 화면 비표시영역인 이음매를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한 변이 효과적으로 설계된 디스플레이를 서로 인접되도록 배치함으로서인 이음매가 최소화되는 것이다.In addition, by effectively designing one side of the display to minimize the seam, which is a non-screen display area generated between the display. To this end, the seams are minimized by arranging the displays effectively designed on one side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그러나, 디스플레이가 상호 슬라이딩 이동할 때 적층 상태에 있던 디스플레이가 같은 높이로 위치하게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슬라이딩 수단을 제공함은 물론 상하 이동 수단도 제공하여야 하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를 제공하기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order to position the displays in the stacked state at the same height when the displays are slid, the effective sliding means as well as the vertical movement means must be provided, but these components cannot be provided.

본 발명은 위 아래로 적층 상태에 있던 패널하우징이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적층 상태에 있던 디스플레이가 같은 높이로 위치하게 하기 위해서 좌우 방향의 슬라이딩 수단과 함께 상하 방향의 이동 수단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anel housing in the stacked state up and down is unfolded, the two display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screen, so that the displays in the stacked state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oving mea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liding mea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 상부와 하부에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상 하부 패널하우징에 각각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며, 상기 상 하부 패널하우징이 상호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하여, 상기 상하부 패널하우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되게 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는 0.1mm에서 5 mm 이내이며, 상부 패널하우징과 하부 패널하우징 사이에 별도의 이동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별도의 이동 수단이 상부 패널하우징을 지지하면서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panel housings are stacked on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nd a display i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and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are slidably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and also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isplay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displays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is within 0.1 mm to 5 mm, and is separated between the upper panel housing and the lower panel housing. Is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the separate mov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o move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supporting the upper panel housing.

그리고, 상기 이동 수단의 폭이 보호 덮개 혹은 덮개 받침부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패널하우징은 상호 밀착 될 수도 있고 떨어져 있을 때에는 1.5mm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mov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protective cover or cover support, and furthermore, the panel housings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not apart, characterized in that not more than 1.5mm.

또한, 상기 이동 수단에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동 수단의 움직임을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ov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ans, an input device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display.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적어도 2 개 이상의 패널하우징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화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할 때, 위 아래로 적층 상태에 있던 패널하우징이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적층 상태에 있던 디스플레이가 같은 높이로 위치하게 하기 위해서 좌우 방향의 슬라이딩 수단과 함께 상하 방향의 이동 수단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패널하우징이 완전히 펼쳐졌을 때 상부 패널하우징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When at least two panel housings equipped with a displa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screen, when the panel housings which are stacked up and down are unfolded, the two display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one screen. It can be formed, and in order to position the display in the stacked state at the same heigh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vide the moving mean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with the sliding mea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well as the panel housing is fully unfolded. When it serves as a firm support for the upper panel housing.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부 패널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상부 패널하우징의 아래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내지 도 9는 하부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내지 도 13은 하부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내지 도 16은 슬라이딩 이동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돌기판이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돌기판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9는 이동바에 의한 이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내지 도 22는 패널하우징의 이동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3내지 도 25는 돌기판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6은 보호 덮개의 높이를 낮게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내지 도 29는 돌기판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보호덮개를 제거한 패널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디스플레이의 이음매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2는 입력장치를 확대한 도면으로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3은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경우이다.
도 34는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가 분리된 경우이다.
도 35내지 도 37은 보호 덮개의 형태를 변경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8과 도 39는 하부 패널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스프링 조립체를 이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1은 도 40의 슬라이딩 원리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42는 플레이트와 받침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도 42의 슬라이딩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는 받침판에 구비된 측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하부 패널하우징의 결합 돌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돌기 머리에 의해 패널하우징이 움직이는 원리도이다.
도 47내지 도 49는 상부 패널하우징과 하부 패널하우징이 좌 우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은 바닥판의 단면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과 도 52는 스프링 돌기를 통해 패널하우징이 움직이는 경로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3은 상하부 패널하우징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4내지 도 57은 스프링 조립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8에서 도 65는 슬라이딩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5와 도 66은 연장부가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7은 결합 수단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8와 도 69는 하부 패널하우징이 이동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0내지 도 73은 디자인 변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4내지 도 76은 하부 패널하우징이 이동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7은 두께를 달리한 패널하우징(20)(40)의 단면도이다.
도 78은 두개 패널하우징의 두께가 비슷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79 내지 도 81은 프레임 하우징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2는 높이가 다른 패널하우징을 나타낸 모양이다.
도 83에서 도 86은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7은 고정판이나 플레이트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8은 휴대폰으로 사용할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9은 문자 입력 등으로 사용할 때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0은 휴대용 표시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91과 92는 센서에 따른 입력 자판 모드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3내지 도 95는 모서리 부분을 곡면으로 한 예이다.
도 96와 도 97은 키 입력부가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1 to 3 show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nel housing is removed.
Figure 5 is a view from below of the upper panel housing.
6 to 9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cover is removed.
10 to 13 are views showing the lower cover.
14 to 16 illustrate a sliding movement embodiment.
1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ojection board.
18 is a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protrusion plate is slid.
19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movement by the moving bar.
20 to 22 are views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the panel housing.
23 to 25 ar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trusion plat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which lowered the height of the protective cover.
27 to 29 are diagram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projection board.
30 is a view showing a panel housing having a protective cover removed.
31 is an enlarged view of a seam of a display .
32 is an enlarged view of an input device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5.
3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display.
34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input device and the display are separated.
35 to 37 are diagrams of embodiments in which the shape of the protective cover is changed.
38 and 39 are views illustrating the lower panel housing.
40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using a spring assembly.
4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liding principle of FIG.
42 is a view showing a plate and a support plate.
FIG. 43 is a view illustrating the sliding principle of FIG. 42.
44 is a view showing a side plate provided on the base plate.
45 is a view showing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lower panel housing.
46 is a principle view in which the panel housing is moved by the projection head.
47 to 49 are views illustrating a principle in which the upper panel housing and the lower panel housing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50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ottom plate.
51 and 52 are views showing the principle of the path that the panel housing moves through the spring projection.
53 is a view illustrating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54-57 show an embodiment of a spring assembly.
58 to 65 are diagrams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sliding structure.
65 and 66 are views of the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extension.
6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upling means.
68 and 69 ar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lower panel housing is moved.
70 to 73 show examples of design variations.
74 to 76 are views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lower panel housing is moved.
77 is a sectional view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with different thicknesses.
78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two panel housings have similar thicknesses.
79-81 are illustrations of embodiments with frame housings.
82 shows panel housings having different heights.
83 to 86 illustrate a method of mounting a display.
87 is a view showing the size of the fixing plate or plate.
88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when using as a mobile phone.
89 is a diagram of the embodiment when used for character input or the like.
90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91 and 92 are flowcharts illustrating input keyboard modes according to sensors.
93 to 95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corner portion is curved.
96 and 97 are diagrams of yet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a key input unit is provided.

본 발명은 적어도 2 개 이상의 평판 디스플레이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 OLED, FED, PDP, 전자 종이(Electric Paper)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외에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ing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an effect of viewing at least one screen by interconnecting at least two flat panel displays. As a flat panel display panel, LCD, OLED, FED, PDP, Electric Paper, etc. may be used, and in addition, all flat panel displays may be used.

그리고, 위 아래로 적층 상태에 있던 패널하우징이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0.1mm 이상에서 5mm 이내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nd, when the panel housing in the stacked state up and down is unfolded, the two display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in 0.1mm or more and less than 5mm to form a single scree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시예 별의 순서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preferabl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order of each Example.

- 실시예 1 -Example 1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1 to 3 show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부 디스플레이(2)가 장착된 상부 패널하우징(20) 아래쪽에는 하부 디스플레이(4)가 장착된 하부 패널하우징(40)이 구비되고, 상부와 하부 패널하우징(20)(40)은 상호 겹쳐져서 적층상태가 된다.(도1 상태) 이때, 상부 디스플레이(2)의 이음매부(8)는 덮개(43)로 보호한다.The lower panel housing 40 equipped with the lower display 4 is provided below the upper panel housing 20 on which the upper display 2 is mounted, and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20 and 40 overlap each other and are stacked. In this case, the seam 8 of the upper display 2 is protected by the lid 43.

그리고, 화살표 A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펼쳐지게 된다(도2 상태). 패널하우징(20)(40)이 확장되면서 이음매부(8)를 덮개(43)가 덮지를 않게 된다.Then, the sliding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s possible, and unfolded (FIG. 2 state). As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extended, the lid 43 is not covered by the cover 43.

도 2 상태에서 화살표 B 방향 즉 아래 방향으로 상부 패널하우징(20)이 이동하게 되면, 도 3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In the state of FIG. 2, when the upper panel housing 20 moves in the direction of arrow B, that i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state of FIG. 3 is obtained.

이때, 하부 덮개(43a)가 하부 패널하우징(40)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하부 덮개(43)가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하부 덮개(43) 상단에 있는 상부 패널하우징(20)도 아래로 움직이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cover 43a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lower panel housing 40. That is, when the lower cover 43 slides downward, the upper panel housing 20 on the lower cover 43 also moves downward.

즉, 하부 덮개(43)는 하부 패널하우징(40) 측면에 구비되어 하부 디스플레이(4) 이음매부(8)를 보호한다. 하지만 하부 덮개(43)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하부 디스플레이(4) 이음매부를 보호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하부 디스플레이(2)(4)가 서로 인접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That is, the lower cover 43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ower panel housing 40 to protect the joint portion 8 of the lower display 4. However, as the lower cover 43 moves downward, the lower display 4 does not protect the seam, and as a result, the upper and lower displays 2 and 4 are adjacent to each other.

도 4는 상부 패널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nel housing is removed.

도면에서처럼 하부 덮개(43a) 상단에 슬라이딩 수단으로서 돌기판(71)이 구비된다. 상기 돌기 판(71)는 상부 패널하우징(20)을 지지하면서 상부 패널하우징(20)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슬라이딩 이동은 돌기홈(72)이 역할을 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projection plate 71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43a as a sliding means. The protruding plate 71 supports the upper panel housing 20 to allow the upper panel housing 20 to be slidably moved, and the protruding groove 72 serves as a sliding movement.

이때, 슬라이딩 수단이 되는 돌기 판(71)과 고정부(75)는 금속 합금 등으로 구성되어 내구성이 있게 한다. 그리고, 돌기판(71)의 돌기홈(72)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돌기판은 하부 덮개(43a)와 나사나 다른 고정 방법으로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projection plate 71 and the fixing portion 75 which is a sliding means is made of a metal alloy or the like to be durable. Then, the sliding movement to the projection groove 72 of the projection plate 71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the projection board is fixed to the lower cover (43a) by screws or other fixing method.

도 5은 상부 패널하우징의 아래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view from below of the upper panel housing.

상부 패널하우징(20) 하부에는 다리(20b)가 구비되어 상부 패널하우징의 바닥면 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A leg 20b is provided below the upper panel housing 20 so as to be formed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housing.

그리고 상부 패널하우징(20) 바닥에는 바닥 홈(8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홈(80)에 돌기판(71)의 돌기(72)가 맞물려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A bottom groove 8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and the protrusion 72 of the protrusion plate 71 is engaged with the bottom groove 80 so as to slide.

그리고 상기 바닥홈(80)은 바닥판(81)에 의해 만들어 진다. 즉, 바닥판(81) 양 가장자리에 돌출부가 있어 돌기홈(72)과 맞 물리게 된다.And the bottom groove 80 is made by the bottom plate (81). That is, there are protrusions at both edges of the bottom plate 81 to engage with the protrusion groove 72.

도 6내지 도 9는 하부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6 to 9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cover is removed.

도면에서처럼 하부 패널하우징(40)에서 하부 덮개(43a)를 제거하면, 하부 패널하우징(40)의 이음매부에 구비된 상하 이동수단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상하 이동수단은 하부 패널하우징(40)에서 하부 덮개(43a)를 위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lower cover 43a is removed from the lower panel housing 4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vertical movement means provided in the joint portion of the lower panel housing 40 appears. The vertical movement means allows the lower cover 43a to slide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in the lower panel housing 40.

그리고, 상기 상하 이동수단은 지지판(90)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90) 양 옆에 스프링 장치(91)가 더 구비된다. 지지판(90) 양 옆에 내부 홈(90a)가 구비되고, 내부 바닥(92) 도 구비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movement means is composed of a support plate 90, the spring device 91 is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90. Inner grooves 90a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90, and an inner bottom 92 is also provided.

도 8은 지지판(90) 양 옆에 내부 홈(90a)에 판 스프링 형태의 탄성 지지판(91a)이 구비됨을 보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at the elastic support plate 91a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is provided in the inner groove 90a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90.

도 9는 지지판(90)하부에 구비된 내부 바닥(92)이 아래 방향으로 일부 이동이 가능한도면이다.9 is a view in which the inner bottom 92 provided below the support plate 90 is partially movable in the downward direction.

즉, 내부 바닥(92) 하부에 바닥 지지판(93)이 별도로 더 구비되고, 바닥 지지판(93)에 바닥 홈(93a)과 스프링(93b)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the bottom support plate 93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inner bottom 92, and the bottom support plate 93 is movable to the bottom groove 93a and the spring 93b.

도 10내지 도 13은 하부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10 to 13 are views showing the lower cover.

하부 덮개(43a)는 패널하우징 이음매부 측면과 결합된다.The lower cover 43a is coupled with the panel housing seam side.

하부 덮개(43a) 양 측면에 내부 공간(94) 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94)에 결합부(9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95)는 머리(95a)와 부착부(95b)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95b)를 통해 결합부(95)가 내부 공간(94)에 고정되게 된다.Internal spaces 94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cover 43a, and coupling portions 95 ar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s 94. The coupling portion 95 is formed of a head 95a and an attachment portion 95b, and the coupling portion 95 is fixed to the internal space 94 through the attachment portion 95b.

따라서 상기 결합부(95)가 지지판(90) 양 옆의 내부홈(90a)과 맞물려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coupling portion 95 is engaged with the inner groove (90a)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90 to move.

내부 바닥(92)에 의해 결합부(95)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즉, 하부 덮개(43a)가 필요 이상으로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movement of the coupling portion 95 is limited by the inner bottom 92. In other words, the lower lid 43a is prevented from falling downward more than necessary.

도 12는 결합 돌기(95c) 형성형태로, 상기 결합 돌기(95c)가 앞의 도면의 탄성 지지판(91a)와 결합되는 것이다.12 is in the form of the engaging projection 95c, the engaging projection 95c is to be combined with the elastic support plate 91a of the previous figure.

도 13은 상하부 패널하우징의 상하 오차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rtical error of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FIG.

원칙적으로는 상하부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디스플레(2)(4)나 패널하우징(20)(40)의 상호 높이가 같게 된다.In principle, when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unfolded, the mutual heights of the displays 2 and 4 and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the same.

하지만, ß 값 만큼 상하 높이에서 차이가 날 수다 있다. 이때 ß 값은 1,5 mm 혹은 2.0mm 정도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하나의 화면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맞도록 하기 위해서이다.However, there can be a difference in the vertical height by the value ß. The ß value should not exceed about 1,5 mm or 2.0mm. The reason is for two displays 2 and 4 to me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one screen.

- 실시예 2 -Example 2

도 14내지 도 16은 슬라이딩 이동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4 to 16 illustrate a sliding movement embodiment.

즉, 하부 패널하우징(40)에 구비되어 상부 패널하우징(20)을 지지하고 이동하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실시예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 수단으로 돌기판(76)을 구비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lower panel housing 40 is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for supporting and moving the upper panel housing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means 76 is provided as the moving means.

또한, 상기 돌기판은 금속 재료로서 강철, 스텐레스스틸 혹은 합금을 사용하여 견고성을 높인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is made of steel, stainless steel or alloy as a metal material to increase the robustness.

그리고, 상기 돌기판(76) 상단에 상부 패널하우징(20)이 장착되며, 두 개 이상 구비된 고정 돌기(76a)에 위해 상부 패널하우징(20)이 지지된다.In addition, an upper panel housing 2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protrusion plate 76, and the upper panel housing 20 is supported by two or more fixing protrusions 76a.

이때, 도 14에서 돌기판(76)이 좀더 바깥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도15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하부 덮개(43a)의 폭(넓이)이 좁을 경우 폭을 더 넓게 하는 효과를 가져서 상부 패널하우징(20)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stone substrate 76 may be slid further outward in FIG. 14 to be in the state of FIG. 15. In other words, when the width (width) of the lower cover 43a is narrow, the width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is firmly supported.

그리고, 도 16에서처럼 돌기판 하부에 고정 돌기(76b)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 돌기(76b)를 통해서 하부 덮개(43a)가 돌기판(76)을 지지하고 이동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 fixing protrusion 76b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protrusion plate as shown in FIG. 16. The lower cover 43a allows the protrusion plate 76 to support and move through the fixing protrusion 76b.

도 17은 돌기판이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ojection board.

도면에서 처럼 하부 덮개(43a) 상단에 사각 홈(77)이 구비되고, 상기 사각홈 내부에 도면에서 처럼 판 스프링(77a)이 구비된다. 고정 돌기(76b)가 판 스프링(77a) 사이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square groove 77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lower cover 43a, and the leaf spring 77a is provided in the square groov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xing protrusion 76b is coupled between the leaf springs 77a to slide.

도 18은 돌기판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18 is a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protrusion plate is slid.

도면에서 도면, 돌기판(76)의 하부에 이동바(78)와 이동축(78a)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바(78)와 이동축(78a)에 의해 돌기판(76)이 하부덮개(43a) 상부에서 이동하게 된다.In the drawings, a moving bar 78 and a moving shaft 78a are provided below the protrusion plate 76. Therefore, the moving board 78 and the moving shaft 78a move the stone substrate 76 above the lower lid 43a.

도 19는 이동바에 의한 이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19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movement by the moving bar.

일단계로 좌우 방향 이동을 나타내고, 이 단계로 상하 방향 이동을 나타낸다.Left and right direction movement is shown by one step, and up and down direction movement is shown by this step.

좌우 이동은 이동바(78)와 이동축(78a)에 의해 움직이며 이동 스프링(78b)의 탄력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The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moved by the movement bar 78 and the movement shaft 78a and are movable by the elasticity of the movement spring 78b.

상하 이동도 이동바(78)와 이동축(78a)에 의해 움직이며 이동 스프링(78b)의 탄력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The vertical movement is also moved by the movement bar 78 and the movement shaft 78a and is movable by the elasticity of the movement spring 78b.

이때, 이동축(78a)는 이동바와 이동바(78)를 연결하는 축도 있고, 이동바(78)를 돌기판(76)에 고정하는 축도 있으며, 이동바(78)를 패널하우징(40)에 고정하는 축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moving shaft 78a has a shaft for connecting the moving bar and the moving bar 78, there is also a shaft for fixing the moving bar 78 to the projection plate 76, the moving bar 78 to the panel housing 40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re is also a fixed shaft.

도 20내지 도 22는 패널하우징의 이동을 설명한 도면이다.20 to 22 are views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the panel housing.

도면에서 보면, 상부 패널하우징(20)의 아래 면에 바닥홈(80)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홈(80)에 앞쪽과 뒤쪽에 하나씩 고정 스프링(81a)이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 스프링은 판 스프링 형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 스프링(81a)의 작용에 의해서 상부 패널하우징(2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In the figure, the bottom groove 8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the bottom groove 8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spring 81a one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course, the fixed spring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is fixed by the action of the fixing spring 81a.

한편, “E" 로 표시된 부분에 고정 돌기(76a)가 고정되게 되며, 따라서, 고정 스프링(81a)은 상부 패널하우징(20)과 하부 패널하우징(40) 그리고 돌기판(76)의 상호 위치를 정하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rojection (76a) is fixed to the portion denoted by "E", and thus, the fixing spring 81a is the mutual position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the lower panel housing 40 and the projection plate 76. The role to be decided.

또한, 돌기판(76) 상단에 고정 돌기(76a)가 두 개 있을 경우에는 두 개의 고정 돌기(76a) 사이에 고정스프링(81a)이 위치하도록 설계하여 견고성을 더 높이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two fixing protrusions 76a on the top of the protrusion plate 76, the fixing spring 81a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fixing protrusions 76a to further increase the firmness.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이다.21 is another embodiment.

도면에서처럼, 이동지지판(81b)의 뒤 쪽에 지지 스프링(81c)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스프링(81c)이 장착되는 지지홈(81d)를 구비한다.도면에서 둥근 원은 고정 돌기(76a)를 나타낸다.As shown in the figure, a support spring 81c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ovable support plate 81b, and a support groove 81d on which the support spring 81c is mounted. In the figure, a round circle represents the fixing projection 76a. .

그러나 이때, 이동지지판(81b)이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게 될 수도 있다. 이것은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 사이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주어지게 하여 충격 등에 더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owever, at this time, the moving support plate 81b may be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is is to give an error range that can adjust the degre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two panel housings 20 and 40 to be more resistant to impact.

도 22는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 펼쳐질 때의 오차 법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rror method when two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unfolded.

두 개 패널하우징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위에 도면이고, 오차 범위로 약간 벌어진 상태가 아래 도면이다.The two panel housing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top view is shown slightly below.

아울러, 두 개의 패널하우징이 최대로 떨어 질 수 있는 정도의 값을 α라고 하면, 상기 α값은 1.5mm - 2mm 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상기 α값이 너무 크면 디스플레이 사이의 경계면인 이음매가 너무 커지게 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if the value of the degree that the two panel housings can fall to the maximum α, it is preferable that the α value does not exceed 1.5mm-2mm. This is because if the value of α is too large, the seam between the displays becomes too large.

- 실시예 3 -Example 3

도 23내지 도 25는 돌기판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23 to 25 ar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trusion plate.

즉, 측면 돌기(79a)가 구비된 측면 돌기판(79)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부 패널하우징(20)을 지지하는 돌기가 측면에 있게 된다.That i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ide protrusion board 79 provided with the side protrusion 79a. The protrusions supporting the upper panel housing 20 are on the side.

도 24는 측면 돌기판(79)의 폭이 하부 덮개(43a)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의 실시예에처험 고정 돌기(도면에서 점선 표시)가 측면 돌기판(79) 하부에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에 의해 측면 돌기판(79)이 하부 덮개(43a) 상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24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width of the side projection board 79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cover 43a.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test fixing projections (indicated by dashed lines in the drawing) are provided below the side protrusions 79. The side protrusion plate 79 is moved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43a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fixing protrusion.

도 25는 측면 홈을 구비한 상부 패널하우징(20)의 아래 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측면 돌기(79a)에 맞물리기 위해 상부 패널하우징(20)에 측면홈(86a)를 구비하게 된다.25 is a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having side grooves. In order to engage the side projection (79a) it is provided with a side groove (86a) in the upper panel housing (20).

즉, 상부 패널하우징(20) 하부에 측면 돌기판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되는 하부 공간(85)을 만들고, 상기 하부 공간(85) 양 옆면에 형성된 바닥측면(86)에 측면홈(86a)을 구비하는 것이다.That is, the lower space 85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which is a space for moving the side protrusions, and the side grooves 86a are provided on the bottom side 8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pace 85. It is.

이때, 앞의 실시예에서처럼 홈(86a)에 판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af spring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groove 86a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 실시예 4 -Example 4

도 26은 보호 덮개의 높이를 낮게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which lowered the height of the protective cover.

도면에서 처럼, 보호 덮개(23)(43)의 높이를 낮게 하고, 그 대신 덮개 받침부(43b)와 덮개 상단부(23b)를 더 구비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height of the protective cover 23, 43 is lowered, and instead, the cover support 43b and the cover upper end 23b are further provided.

도면은 슬라이딩이동 되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상하 패널하우징(20)이 적층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다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The figure conceptually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sliding movement, and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20 are slidably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 stacked state, and are slidab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gain.

적층 되었을 때에는 덮개 상단부(23b)가 하부 패널하우징(40)에 연결된 보호 덮개(43)를 덮고, 완전히 펼쳐졌을 때에는 덮개 받침부(43b)가 덮개 상단부(23b)를 지지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When laminated, the cover upper end 23b covers the protective cover 43 connected to the lower panel housing 40, and when fully opened, the cover support 43b supports the cover upper end 23b.

도 27내지 도 29는 돌기판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7 to 29 are diagram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projection board.

도면에서 처럼 돌기판(76)은 이동바(78)와 이동축(78a)에 의해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jection plate 76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ovement bar 78 and the movement shaft 78a.

이동바(78)의 이동에 의해 돌기판(76)이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바(78)가 아래로 내려간 상태가 되면 돌기판(76)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동바(78)의 움직임 조절은 실린더(78b)의 작용에 의한다.By moving the moving bar 78, the projection board 76 is moved outward. When the moving bar 78 is in the down state, the projection plate 76 moves downward.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bar 78 is controlled by the action of the cylinder 78b.

앞의 실시예에서도 설명하였듯이 돌기판(76)의 폭이 보호덮개(43a)혹은 덮개 받침부(43b) 보다 넓게 형성되는 이유는, 돌기판(76)이 상부 패널하우징(20) 보다 더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이다.As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the width of the protrusion 76 is wider than that of the protective cover 43a or the lid support 43b. The protrusion 76 is more firmly than the upper panel housing 20. To support it.

본 발명에서 지금까지 도시된, 돌기판(76), 이동바(78) 및 그에 부속되어 일체화된 부품은 모두 금속 혹은 합금으로 되어 있어 견고성을 강화하게 됨은 당연하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so far, the projection plate 76, the moving bar 78 and the parts integrally attached thereto are all made of metal or alloy to enhance the robustness.

- 실시에 5 --In practice 5-

도 30은 보호덮개를 제거한 패널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30 is a view showing a panel housing having a protective cover removed.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이(2)(4) 측면이 패널하우징 측벽(20a)에 가까이 장착된 구조가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ide of the display 2 and 4 is mounted close to the panel housing side wall 20a.

도면에서 도시된 측벽(20a)은 디스플레이가 서로 인접되는 부분이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2) 측면이 노출된 상태로 도시되었지만 디스플레이 측면이 보호수단으로 막혀있거나 패널하우징(20)(40) 측벽으로 막혀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side wall 20a shown in the figure is a portion where the display i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gure, the side of the display 2 is shown in an exposed state, but it is obvious that the side of the display may be blocked by a protective means or by the side walls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도 31은 디스플레이의 이음매부를 확대한 도면이다.31 is an enlarged view of a seam of a display.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화면을 연결하여 이음매를 최소화 하는 것이므로 디스플레이에서도 이음를 줄이기 위한 설계를 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screens are connected to minimize the seam, so the display should be designed to reduce the seam.

도면에서처럼 이음매부(8)에 가장 인접한 화소 2n이 있을 때, 상기 인접 화소(2n)와 격벽(2f) 사이의 거리(J)는 1mm 이내로 하며, 가장 근접할 경우에는 0.01mm 이내도 가능하다.When there is a pixel 2n closest to the seam 8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stance J between the adjacent pixel 2n and the partition wall 2f is within 1 mm, and in the closest case, within 0.01 mm.

또한, 격벽(2f)의 두께(K)도 1mm 이내로 하며, 최소 0.01mm 이상으로 한다. 따라서, 이음매부와 가장 인접된 화소(2n)와 디스플레이(2)(4) 가장자리 경계까지의 거리는 최소 0.02mm 이상에서 2mm 이내로 한다.The thickness K of the partition wall 2f is also set to 1 mm or less and at least 0.01 mm or more.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pixel 2n closest to the seam and the edge boundary of the display 2 and 4 is within a minimum of 0.02 mm or more and within 2 mm.

아울러, 샤시(16)의 두께는 0.1mm이상 1 mm 이내를 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하지만 가장 효율적인 샤시(16)의 최대 두께는 0.5mm를 넘지 않게 한다. 물론 이음매부에 샤시(16)가 개방될 수가 있으며 그럴 경우 이음매부에서 샤시(16)의 두께는 0 mm가 된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chassis 16 shall not exceed 0.1 mm or more and 1 mm or less. However,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most efficient chassis 16 does not exceed 0.5 mm. Of course, the chassis 16 may be open to the seam, in which case the thickness of the chassis 16 at the seam is 0 mm.

물론, 이음매부(8)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계선(2g)과 격벽(2f)의 경계가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경계선(2g)에서 0.5mm 이내에 격벽(2f)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Of course, the boundary between the boundary line 2g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partition wall 2f does not need to be completely coincident with the seam 8, and it is natural that the partition wall 2f may be provided within 0.5 mm from the boundary line 2g. .

도 32는 입력장치를 확대한 도면으로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32 is an enlarged view of an input device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5.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2)(4) 상단에 입력장치가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디스플레이(2)(4) 상단에 모두 입력장치를 장착할 경우 두 개의 입력장치도 하나의 입력장치(250)를 사용하는 것처럼 하기 위해 설계를 변경해야 한다.An input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display (2) (4)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input devices also one input device 250 when all the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top of each display (2) (4) You need to change the design to make it look like you use.

통상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장착하여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general, an input device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display to serve to input or select information.

즉, 입력장치에서는 정전용량 값 혹은 저항 값을 읽는 리드선이 입력 장치의 변에 구비되게 되는데, 이때, 이음매부에 있는 리드선(250n)의 위치를 설계 변경하여야 한다. 그리고, 때로는 격벽(250f)도 존재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input device, a lead wire reading a capacitance value or a resistance value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nput device.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lead wire 250n in the joint portion must be changed. And, sometimes the partition 250f may exist.

이음매부(8)에 있는 리드선(250n)과 격벽 사이의 간격(M)은 최소 1mm 이내로 하며, 그리고 격벽(250f)의 두께(L)도 1mm 이내로 한다.The distance M between the lead wire 250n and the partition wall in the joint 8 is at least 1 mm, and the thickness L of the partition wall 250f is also at most 1 mm.

물론, 이음매부(8)에서 입력장치의 경계(250g)와 격벽(250f)의 경계가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경계(250g)에서 0.5mm 이내의 범위 안에서 격벽(250f)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Of course, the boundary 250g of the input device and the boundary of the barrier 250f do not need to be completely coincident with the joint 8, and the barrier 250f may be provided within a range of 0.5 mm from the boundary 250g. Of course.

한편, 정전용량 방식 같이 입력장치 방식에 따라서는 반드시 격벽이 존재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wall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exist depending on the input device method such as the capacitance method.

그리고, 250a는 입력장치의 정보 입력부를 나타내며, 그 구조는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에 따라 다르다.In addition, 250a represents an information input unit of the input device, and its structure differs depending on the resistive film type and the capacitance type.

도 33은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경우이다.3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display.

이음매부(8) 제 3 받침부(26c)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2)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는 입력장치(250)를 지지하게 된다.The joint part 8 includes a third support part 26c to support the display 2, and the display 2 supports the input device 250.

도 34는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가 분리된 경우이다.34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input device and the display are separated.

패널하우징(20) 측벽에 제 4 받침부(26d)를 더 구비하여 입력장치(250)를 지지하게 한다.A fourth support part 26d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panel housing 20 to support the input device 250.

이때, 제 3 받침부와 제 4 받침부(26d)는 이음매부(8)에서 화면 비표시 영역내에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샤시로 디스플레이 상부를 덮을 때(도면에서 16-1과 16-2로 나타냄) 이음매부쪽 보다 이음매부 반대쪽을 더 두껍게 커버하고, 화면 비표시 영역을 덮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and the fourth supporting portion 26d are present in the non-display area of the joint portion 8. 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is covered with the chassis (indicated by 16-1 and 16-2 in the drawing), the opposite side of the joint is thicker than the joint side, and the screen non-display area is in principle.

그리고, 이음매부(8)에서 디스플레이(2) 측면을“V1"이 보호하고, 입력장치(250) 측면은 ”V2"가 보호할 때, “V1"과 ”V2“ 는 측벽(20a)의 연장부로서 형성 될 수 있지만,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재질은 플라스틱 수지나 금속 합금이 모두 가능하다.Then, when "V1" protects the side of the display 2 at the joint portion 8 and "V2" protects the side of the input device 250, "V1" and "V2" extend the side wall 20a. It may be formed as a part, but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and the material may be a plastic resin or a metal alloy.

또한 두께는 "V1"이 ”V2"의 두께가 서로 같을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V1"이 얇을 수도 두꺼울 수도 얇을 수도 있다.Also, the thickness of "V1" does not need to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V2", and in some cases, "V1" may be thin or thick or thin.

"V1"의 두께는 0.001mm 로 얇아 밀봉 기능의 코팅 필름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1.5mm 정도의 두께로 하여 보호측벽의 기능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V1"의 두께도 0.001mm 로 얇아 밀봉 기능의 코팅 필름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1.5mm 정도의 두께로 하여 보호측벽이 기능을 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 V1 " may be thin as 0.001 mm to have a sealing coating film shape, but the thickness of about 1.5 mm can also function as a protective side wall. Similarly, although the thickness of "V1" may be thin as 0.001mm and may have the form of a sealing film, the protective side wall may function as a thickness of about 1.5mm.

한편, 디스플레이(20)(40)가 상호 펼쳐졌을 때에 두 개 디스플레이(20)(40) 사이의 거리는 3mm 이내이고, 두 개의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도 3mm 이내가 가 적당하다.Meanwhile, when the displays 20 and 40 are unfolde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isplays 20 and 40 is within 3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nput devices is also within 3 mm.

따라서, "V1"이 ”V2"의 두께가 1mm 이어도 두 개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와 두 개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가 3mm 가 될 수 있다.Thus,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V1 is 1mm,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isplay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nput devices may be 3mm.

- 실시예 6 -Example 6

도 35내지 도 37은 보호 덮개의 형태를 변경한 실시예의 도면이다.35 to 37 are diagrams of embodiments in which the shape of the protective cover is changed.

상부 패널하우징(20)에서 양 가장자리를 “S" 만큼 더 길게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렇게 하므로서, 하부 패널하우징(40)에 구비된 보호 덮개(43)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이때, “S" 가 보호 덮개(43) 폭과 같거나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anel housing 20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edges are made longer by “S.” Thus, the length of the protective cover 43 provided in the lower panel housing 40 is shortened. May be formed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protective cover 43.

도면에서 35는 상하부 패널하우징(20)(40)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시키면 도 36이 된다. 그리고,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가 도 37로 두 개의 패널하우징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In the figure, 3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stacked.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two panel housings are fully extended as shown in FIG. 37.

도 38과 도 39는 하부 패널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38 and 39 are views illustrating the lower panel housing.

돌기판(76)이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양 가장자리 방향으로 더 연장된 형태이다. 따라서 고정 돌기(76a)의 위치도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projection plate 76 is formed in a “c” shape and extends further in both edge directions.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fixing protrusion 76a is also moved inward.

한편, 하부 덮개(43a)도 양 가장자리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ㄷ" 자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돌기판(76)이 패널하우징 경계 밖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cover 43a is further extended in both edges to have a 'c' shape, and the protrusions 76 can be moved out of the panel housing boundary.

- 실시예 7 -Example 7

도 40은 스프링 조립체를 이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40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using a spring assembly.

도면에서처럼 바닥판(330)(도 5에서는 부호 81에 해당됨)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330)에는 슬라이딩 돌기(332)와 힌지 구멍(331)이 구비된다. 그리고 플레이트(3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310)는 바닥판(330)과 스프링 조립체(320)를 통해 결합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bottom plate 330 (corresponding to reference numeral 81 in FIG. 5) is provided, and the bottom plate 330 is provided with a sliding protrusion 332 and a hinge hole 331. And plate 310 is further provided, the plate 310 is coupled through the bottom plate 330 and the spring assembly 320.

상기 플레이트(310) 양 옆에는 고정홈(31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311)에 가이드 틀(314)이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 틀(314)에는 가이드 홈(314b)과 가이드 단차(314a)가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 단차(314a)는 가이드 틀(314)이 고정홈(3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Fixing grooves 311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plate 310, and a guide frame 314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311. The guide frame 314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314b and a guide step 314a. The guide step 314a prevents the guide frame 31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311.

아울러, 상기 스프링 조립체(320)는 압축 혹은 팽창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탄성체이다. 즉 힘을 가하면 압축과 팽창이 되고 힘이 풀리면 복원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spring assembly 320 is an elastic body made to be compressed or expanded. In other words, when a force is applied, it is compressed and expanded, and when the force is released, it may be restored.

그리고, 상기 스프링 조립체(320)은 힌지(313a)를 통해 플레이트(310)의 힌지구멍(312)과 결합되고, 또 다른 힌지(313b)를 통해 바닥판(330)의 힌지 구멍(331)과 결합되며, 이때 스프링 조립체(320)의 힌지 걸이(321)가 힌지(313a)(313b)와 결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pring assembly 320 is coupled to the hinge hole 312 of the plate 310 through the hinge 313a, and coupled to the hinge hole 331 of the bottom plate 330 through another hinge 313b. In this case, the hinge hook 321 of the spring assembly 320 is coupled to the hinges (313a) (313b).

한편, 플레이트(310)의 고정홈(311) 내에 삽입된 가이드 틀(314)의 가이드 홈(314b)에 바닥판(330)의 슬라이딩 돌기(332)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Meanwhile, the sliding protrusion 332 of the bottom plate 33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14b of the guide frame 314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11 of the plate 310.

도 41은 도 40의 슬라이딩 원리를 나타낸 구조도이다.4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liding principle of FIG.

도면에서처럼 플레이트(310)가 슬라이딩 플레이트(330)(도 5에서 부호 81에 해당되며 이하 바닥판이라 칭함)양 측면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움직이게 된다. 이때 스프링 조립체(320)가 중간에 역할을 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late 310 slides through both sides of the sliding plate 330 (corresponding to reference numeral 81 in FIG. 5 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ttom plate). At this time, the spring assembly 320 serves in the middle.

도 41의 좌측에 도시된 상태는 힘을 가해 스프링 조립체(320)가 압축 혹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우측에 도시된 상태는 가해진 힘이 풀리어 복원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ring assembly 320 is compressed or inflated by applying a force, and the state shown on the right is a view showing the fuller restoration state of the applied force.

도 42는 플레이트와 받침판을 나타낸 도면이다.42 is a view showing a plate and a support plate.

도면의 받침판(300)은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받침부(43a)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Support plate 300 of the drawing is loca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43a) shown in Figs.

그리고 상기 받침판(300)은 플레이트(310)와 또 다른 형태의 스프링 조립체(325)를 통해 결합되고 상호 슬라이딩 이동되며, 슬라이딩 이동되는 원리는 앞의 플레이트(31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330)의 경우와 같다.And the support plate 300 is coupled through the plate 310 and the spring assembly 325 of another form and are mutually sliding movement, the principle of sliding movement is the case of the front plate 310 and the sliding plate 330 and same.

따라서, 스프링 조립체(325)는 힌지(305a)(305b)와 각각의 힌지구멍(304)(316)을 통해 플레이트(310)와 받침판(300)에 결합된다. 이때 힌지 걸이(326)가 역할을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pring assembly 325 is coupled to the plate 310 and the support plate 300 through hinges 305a and 305b and respective hinge holes 304 and 316. At this time, the hinge hook 326 serves.

또한, 플레이트(310) 양 측면에 도면에서처럼 슬라이딩 지지대(315) 와 홈 지지대(317)을 구비한다, 슬라이딩 지지대(315) 상부에는 돌기부(315a)가 형성된다. 홈 지지대(317) 안쪽에는 가이드 틀(306)이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틀(306)에는 돌출부(306a)와 가이드 홈(306b)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liding plate 315 and the groove support 317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310,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jection 315a is formed on the sliding support 315. The guide frame 306 is mounted inside the groove support 317, and the guide frame 306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306a and a guide groove 306b.

그리고, 받침판(300)의 한쪽에는 고정홈(30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301)에 가이드 틀(302)이 장착된다. 당연히 상기 가이드 틀(302)에도 가이드 홈(302b)과 돌출부(302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302a)는 가이드 틀(302)이 고정홈(301)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fixing groove 30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300, and a guide frame 302 is mounted to the fixing groove 301. Naturally, the guide frame 302 is also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302b and a protrusion 302a. At this time, the protrusion 302a serves to prevent the guide frame 302 from leaving the fixing groove 301.

한편, 받침판(300)의 또 다른 한쪽에는 슬라이딩 돌기부(303)가 구비된다. 이때 돌기부(303)는 굴절부(303a)를 통해 굽혀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300 is provided with a sliding projection 303. At this time, the protrusion 303 is bent through the refracting portion 303a.

따라서, 플레이트(310)의 돌기부(315a)는 받침판(300)의 가이드 홈(302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받침판(300)의 돌기부(303)는 플레이트(310)의 가이드 홈(306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된다.Accordingly, the protrusion 315a of the plate 3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02b of the base plate 300 and slides, and the protrusion 303 of the base plate 3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06b of the plate 310. Become sliding.

도 43은 도 42의 슬라이딩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3 is a view illustrating the sliding principle of FIG. 42.

좌측은 힘이 가해져서 스프링 조립체(325)가 압축 혹은 팽창된 상태이고, 우측은 복원된 상태이다.The left side is a force applied to the spring assembly 325 is in a compressed or inflated state, the right side is in a restored state.

도 44는 받침판에 구비된 측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44 is a view showing a side plate provided on the base plate.

도면에서처럼 받침판(300)의 한쪽 측면에 측면판(307)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판(307)에는 스프링 돌기(307b) 돌기와 삽입구(307a)가 구비된다. 도면에서 볼 때는 측면판(307)의 안쪽에 구비되는 스프링 돌기(307b)와 삽입구(307a)를 별도의 확대도를 통해 도시하였다.As shown in the figure, a side plate 307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300, and the side plate 307 is provided with a spring protrusion 307b protrusion and an insertion hole 307a. In the drawings, the spring protrusion 307b and the insertion hole 307a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plate 307 are shown through separate enlarged views.

그리고 측면판(307)에 점선의 원으로 스프링 돌기(307b)와 삽입구(307a)의 위치를 나타내었다.And the position of the spring protrusion 307b and the insertion hole 307a by the dotted line in the side plate 307 is shown.

상기 스프링 돌기(307b)는 힌지나 나사 못 같은 수단에 의해 측면판(307)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돌기(307b)와 삽입구(307a)를 감싸는 곡면 하우징(308)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곡면 하우징(308)은 결합판(308a)에 의해 측면판(307)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판(308a)는 나사나 힌지 못과 같은 결합부(308b)를 통해 결합된다.The spring protrusion 307b is coupled to the side plate 307 by means such as a hinge or a screw nail. Further, a curved housing 308 surrounding the spring protrusion 307b and the insertion hole 307a is further provided, and the curved housing 308 is coupled to the side plate 307 by a coupling plate 308a. The coupling plate 308a is coupled through a coupling portion 308b such as a screw or a hinge nail.

또한 상기 스프링 돌기(307b)는 곡면 형상을 가지며 스프링과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금속체나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며, 가해지는 힘이나 압력에 의해 약간의 모양 변화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pring protrusion 307b has a curved shape and is made of a metal body or plastic having elasticity, such as a spring, and may be slightly changed in shape by an applied force or pressure.

도 45는 하부 패널하우징의 결합 돌기를 나타낸 도면이다.45 is a view showing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lower panel housing.

도면에서처럼 하부 패널하우징(40)의 측면부에 결합돌기(97)와 돌기 머리(97a)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97)가 측면판(307)의 삽입구(307a)에 삽입되며, 상기 돌기 머리(97a)는 스프링 돌기(307b)와 곡면 하우징(308)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coupling protrusion 97 and a protrusion head 97a are provided at a side surface of the lower panel housing 4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97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307a of the side plate 307. 97a is positioned between the spring protrusion 307b and the curved housing 308.

도 46은 돌기 머리에 의해 패널하우징이 움직이는 원리도이다.46 is a principle diagram in which the panel housing moves by the projection head.

본 발명에서 스프링 돌기(307b)는 도면에서처럼 곡면 형상을 가졌지만, 탄성력을 가지는 금속이나 프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돌기(307b)와 곡면 하우징(308) 사이에 돌기 머리(97a)가 위치하여, 상기 돌기 머리(97a)는 곡면 형상을 따라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 protrusion 307b has a curved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s made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addition, the projection head 97a is positioned between the spring protrusion 307b and the curved housing 308 so that the protrusion head 97a moves up and down along the curved shape.

그리고, 상기 돌기 머리(97a)의 이동에 의해 상부 패널하우징(20)과 하부 패널 하우징(40)이 곡선으로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panel housing 20 and the lower panel housing 40 move upward and downward in a curve by the movement of the projection head 97a.

한편, 결합 돌기(97)은 하부 패널하우징(40)의 측벽 안쪽에도 연결되고, 도면에서처럼 스프링 장치(97b)가 감싸고 있다. 턱(97c)도 구비되어 결합돌기(97)가 하부 패널하우징(40)의 측벽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ngaging projection 97 is also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ide wall of the lower panel housing 40, the spring device 97b is wrapped as shown. A jaw 97c is also provided to prevent the engaging projection 97 from escaping the side wall of the lower panel housing 40.

그리고, 상기 스프링 장치(97b) 때문에 돌기 머리(97a)가 곡면 형상의 스프링 돌기(307b) 표면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And, because of the spring device (97b) the projection head (97a) is able to move the surface of the spring projection (307b) of the curved shape.

도 47내지 도 49는 상부 패널하우징과 하부 패널하우징이 좌 우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47 to 49 are views illustrating a principle in which the upper panel housing and the lower panel housing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바닥판(330)은 상부 패널하우징(20) 아래면에 구비되고, 바닥판(330)의 슬라이딩 돌기(332)가 플레이트(310)의 가이드 홈(314b)에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80)이 구비된다. 도 31 에서는 홈이 편의상 도시 생략되었지만, 본 발명 도 5의 홈(80)을 참조하면 된다.The bottom plate 33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and the sliding groove 80 so that the sliding protrusion 332 of the bottom plate 330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14b of the plate 310. Is provided. Although the groove is not shown in FIG. 31 for convenience, the groove 80 of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그리고, 상기 바닥판(330) 하부에 플레이트(310)가 구비되며, 바닥판(330)과 플레이트(310) 사이에는 스프링 조립체(3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10) 하부에는 받침판(300)가 구비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플레이트(310)와 받침판(300) 사이에는 또 다른 스프링 조립체(325)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plate 310 is provided below the bottom plate 330, and a spring assembly 320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330 and the plate 310.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300 is provided below the plate 310, and similarly, another spring assembly 325 is provided between the plate 310 and the support plate 300.

이때 상기 받침판(300)은 하부 패널하우징(40)의 받침부(43a) 상단에 견고히 고정하여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300 is provided to be firmly fixed to the top of the support portion (43a) of the lower panel housing (40).

도 47에서 처럼 상부 패널하우징(20)과 하부 패널하우징(40)이 겹쳐져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는 가해진 힘이 풀리어 스프링 조립체(320)(325)가 복원된 상태이다.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panel housing 20 and the lower panel housing 40 are overlapped and completely closed as shown in FIG. 47, the applied force is the state in which the pulley spring assemblies 320 and 325 are restored.

도 48는 힘이 가해진 상태로, 스프링 조립체(320)(325)가 압축 혹은 팽창된 상태이다.48 shows the spring assembly 320, 325 compressed or inflated with a force applied thereto.

한편, 상부 패널하우징(20)을 최대한 밀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끝나게 되면, 결국 상부 패널하우징(2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49 상태) 이때는 돌기 머리(97a)가 스프링 돌기(307b)와 곡면 하우징(308)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liding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finished by pushing the upper panel housing 20 as far as possible, the upper panel housing 2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49) In this case, the projection head 97a is a spring projection ( Moving between 307b and curved housing 308.

도 50은 바닥판의 단면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50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ottom plate.

도면에서처럼 바닥판(330)은 상부 패널하우징(20)의 아래면에 직접 장착된다. 따라서 바닥판(330)은 금속 등의 재질로 튼튼하게 만들어 진다. 그리고 바닥판(330) 양 끝에 슬라이딩 돌기(332)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332)와 플레이트(310)의 고정홈(311)이 삽입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바닥 홈(80)이 만들어 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ottom plate 330 is mounted directly to the bottom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Therefore, the bottom plate 33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metal. In addition, sliding protrusions 33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330, and the bottom grooves 80 are made to be movable by inserting the sliding protrusion 332 and the fixing groove 311 of the plate 310.

도 51과 도 52는 스프링 돌기를 통해 패널하우징이 움직이는 경로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51 and 52 are views showing the principle of the path that the panel housing moves through the spring projection.

상부 패널하우징(20)과 하부 패널하우징(40)이 상하 이동을 할 때 직선 운동이 아닌 곡선 운동을 하며, 결과적으로 상부 패널하우징(20)과 하부 패널하우징(40)이 상하 이동중에 상호 거리가 이격되었다가 다시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upper panel housing 20 and the lower panel housing 40 moves up and down, the linear panel moves in a curved motion, not linear movement. As a result, the mutual distance between the upper panel housing 20 and the lower panel housing 40 moves up and down. It will be spaced apart and then pressed again.

이때 이격되는 거리는 너무 크면 좋지 않으며 통상 0.5mm 가 적당하지만 1mm에서 3mm까지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distance to be separated is not good too large and usually 0.5mm is suitable, but may be from 1mm to 3mm.

도 51의 경우는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가지는 스프링 돌기(307b)를 나타내며, 따라서 상부 패널하우징(20)과 하부 패널하우징(40)도 이와 같은 모양의 반대로 이동하게 된다.51 illustrates a spring protrusion 307b having a protruding curved shape, and thus the upper panel housing 20 and the lower panel housing 40 also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즉, 상부 패널하우징(20)이 하부 패널하우징(40) 아래로 이동할 때, 상부 패널하우징(20)이 하부 패널하우징(40)보다 높게 올라갔다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에 결과적으로 상부 패널하우징과 하부 패널하우징이 높이가 같아진 상태로 밀착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upper panel housing 20 moves below the lower panel housing 40, the upper panel housing 20 rises higher than the lower panel housing 40 and moves downward. Then, as a result, the upper panel housing and the lower panel housing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ame height.

이때 높게 올라가는 거리는 통상 0.5mm 정도면 충분하지만 3mm 이내이면 적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tance to go up is usually about 0.5mm is enough, but within 3mm may be appropriate.

반대로, 하부 패널하우징(20)이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올 때에는 반대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Conversely, when the lower panel housing 2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it moves along the opposite path.

한편, 도면에서처럼 돌출부(307d)는 별도 스프링 장치를 부가하여 쉽게 수축이 되는 설계 구조로 가지고 갈 수 있음은 당연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otrusion 307d can be taken as a design structure that is easily contracted by adding a separate spring device.

도 53은 상하부 패널하우징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다.53 is a view illustrating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상하 패널하우징(20)(40)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동 이동(도면에서 (A) 상태)되면 상하 방향 이동하기 전 상태(도면에서 (B)상태)가 된다.When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20 and 40 move in the sliding direction ((A) state in the drawing),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20 and 40 become a state before moving up and down (B) in the drawing.

그리고, 더 이동 압력을 가하면 상부 패널하우징(20)이 하부 패널하우징(40) 보다 약간 위로 올라가게 된다.(도면에서 (C) 상태) 이때 약간 위로 이격되는 거리는 0.05 mm 로 매우 작을 수도 있지만 0.5에서 3mm 정도가 적당하며, 상기 거리는 도 52에서 돌출부(307d)의 크기로 정해진다.Further, applying a further moving pressure causes the upper panel housing 20 to rise slightly above the lower panel housing 40 ((C) state in the drawing). About 3 mm is suitable, and the distance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projection 307d in FIG.

상부 패널하우징(20)이 약간 위로 올라간 다음 아래 방향으로 이동(도면에서 (D) 상태)하게 되는데, 아래로 이동할 때에도 상부 패널하우징(20)과 하부 패널하우징(40)은 약간 이격 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이때에도 적당한 이격 거리는 있게 되며 0.05 mm 로 매우 작을 수도 있지만 0.5에서 3mm 정도가 적당하다.The upper panel housing 20 is slightly raised upward and then moved downwardly ((D) in the drawing). The upper panel housing 20 and the lower panel housing 40 are moved slightly apart even when moved downward. do. At this time, there is a suitable separation distance and may be very small as 0.05 mm, but 0.5 to 3 mm is suitable.

그리고, 위의 과정을 거치면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되는 상태(도면에서 (E) 상태)가 되게 된다.Then,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display is adjacent to each other (the state (E) in the drawing).

- 실시예 8 -Example 8

도 54내지 도 57은 스프링 조립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4-57 show an embodiment of a spring assembly.

본 발명에서는 힘을 가하면 압축 혹은 팽창이 가능하고 힘을 풀게 되면 다시 복원하게 되는 통상의 스프링 복합체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통상의 스프링 복합제 실시예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스프링 복합체 발명이 아니므로, 압축이나 팽창후 복원 가능한 스프링이나 물체는 무엇이든 사용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 conventional spring composite that can be compressed or expanded when the force is applied, and then restored again when the force is relea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pring composite invention, any spring or object that can be restored after compression or expansion can be used.

도 54는 코일 스프링(320a)으로 결합 연결된 두 개의 슬라이딩 바(320b)(320c)가 슬라이딩 수단(320d)에 의해 상호 슬라이딩 되며, 이때 코일 스프링(320a)에 의해 두 개의 슬라이딩 바(320b)(320c)는 상호 압축과 팽창이 가능하게 된다.54 shows that two sliding bars 320b and 320c coupled to the coil spring 320a are mutually slid by the sliding means 320d, wherein the two sliding bars 320b and 320c are moved by the coil spring 320a. ) Allows mutual compression and expansion.

도 55는 경사바(327a)와 압축 스프링(327)을 이용하여 플레이트(310)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리이다. 즉, 플레이트(310)에 압력을 가해 위로 밀면 경사바(327a)에 의해 압축 스프링(327)이 압축이 되게 되며, 압력을 풀면 압축 스프링(327)이 팽창되어 플레이트(310) 슬라이딩 홈 내지는 슬라이딩 바(335)를 통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게 된다.55 is a principle that allows the plate 310 to move using the inclined bar 327a and the compression spring 327. That is,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late 310 and pushed upward, the compression spring 327 is compressed by the inclined bar 327a.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compression spring 327 is expanded to expand the plate 310 by the sliding groove or the sliding bar. Through 335 is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도 56은 반원 모양을 가지는 철사 형태의 스프링을 다수개 연결하여 압축과 팽창이 가능하도록 한 스프링 조립체이다. 즉, 반원 모양의 다수개의 철사 스프링(329b)을 회전 힌지(329c)로 연결하여 회전 가능한 관절을 만든 다음, 양 끝에 고정부(329a)(329d)를 두게 된다.Figure 56 is a spring assembly that allows for compression and expansio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pring in the form of a wire having a semi-circular shape. That is, a plurality of semicircular wire springs 329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hinge 329c to form a rotatable joint, and then, the fixing parts 329a and 329d are placed at both ends.

도 57은 한 개의 반원 모양을 가지는 스프링 복합체의 실시예 도면이다, 상대적으로 이동 거리가 클 때 사용하는 스프링 복합체이다.Fig. 5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pring composite having one semi-circle shape, which is used when the moving distance is relatively large.

- 실시예 9 -Example 9

도 58에서 도 65는 슬라이딩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58 to 65 are diagrams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sliding structure.

도 58 내지 도 61은 슬라이딩 이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58 to 61 are views showing the sliding movement principle.

플레이트(310)와 연결된 스프링 복합체(320)가 상부 패널하우징(20)의 바닥판(도5, 도20 참조)과 연결되고, 고정홈(311-1, 내부에 가이드틀(도 40의 314)은 편의상 도시 생략함)은 상부 패널하우징(20)의 바닥판의 슬라이딩 돌기(도 40의 332)와 연결되게 된다.The spring composite 320 connected to the plate 31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see FIGS. 5 and 20)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and the fixing groove 311-1 and the guide frame (314 of FIG. 40) therein. Is omitted for convenience) is connected to the sliding projection (332 of Figure 40) of the bottom plate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즉, 플레이트(310)은 상부 패널하우징(20)을 지지하고 상부 패널하우징(20)을 슬라이딩 이동하게 한다.That is, the plate 310 supports the upper panel housing 20 and causes the upper panel housing 20 to slide.

그리고, 받침 플레이트(340)가 더 구비되고, 받침 플레이트(340)와 플레이트(310)는 일체의 부품으로 되어 같이 움직일 수 있다. 즉 단면 모양으로 보면 “ㄷ" 모양으로, 연결체(23c-1)를 통해 연결된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plate 340 is further provided, and the supporting plate 340 and the plate 310 may move together as an integral part. In other words, when viewed in cross-sectional shape, it is connected through a connecting body 23c-1 in a "c" shape.

상기 받침 플레이트(340) 모양은 앞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돌기판(도 14의 76)의 기능이 응용되어 변형된 것으로 보면 된다.The shape of the support plate 340 may be deformed by applying the function of the protrusion plate (76 of FIG. 14) shown in the previous embodiment.

받침 플레이트(340)은 하부 패널하우징(40) 내부에 장착되며, 하부 패널하우징으로부터 슬라이동 이동하여 받침 플레이트의 일부가 밖에로 나올 수 있는 구조가 된다.The supporting plate 340 is mounted inside the lower panel housing 40, and is moved to slide from the lower panel housing so that a part of the supporting plate can come out.

이때 받침 플레이트(340)가 하부 패널하우징(40) 내부에서 밖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원리도 상기의 플레이트(310)와 스프링 복합체(320)가 이동하는 원리를 적용할 수 있고, 혹은 통상의 가이드 구조와 스프링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inciple that the support plate 340 sliding out of the lower panel housing 40 can also be applied to the principle that the plate 310 and the spring composite 320 is moved, or a conventional guide structure and spring The device can be used.

이때, 받침 플레이트(340)의 일부가 하부 패널하우징 밖으로 나올 경우, 받침 플레이트를(340)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앞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 part of the support plate 340 comes out of the lower panel housing,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340 may be made, which may be referred to the foregoing embodiment.

표시장치의 사용자가 상호 겹쳐진 상태(도 112)에서 상부 패널하우징을 밀면에서, 상부 패널하우징(20)이 플레이트(310)가 이동한다.(도 59)When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pushes the upper panel housing in the state of overlapping each other (FIG. 112), the upper panel housing 20 moves the plate 310 (FIG. 59).

그리고, 더 밀게 되면 받침 플레이트(340)가 일부가 밖으로 나오게 되며, 연결된 플레이트(310)와 상부 패널하우징(20)은 하부 패널하우징(40) 경계 밖으로 나오게 된다.(도 60)Further, when pushed further, the supporting plate 340 partially comes out, and the connected plate 310 and the upper panel housing 20 come out of the boundary of the lower panel housing 40 (FIG. 60).

그 다음에 사용자는 상부 패널하우징을 아래 방향으로 밀면 상부 패널하우징과 하부 패널하우징은 서로 높이가 같아진 상태가 된다.(도 61)Then, when the user pushes the upper panel housing downward, the upper panel housing and the lower panel housing are in the same height as each other (Fig. 61).

이때, 받침 플레트(340)가 하부 패널하우징(40) 안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플레이트(310)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러므로 플레이트(310)가 지지하고 있는 상부 패널하우징(20)도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340 moves downward in the lower panel housing 40, and thus the plate 310 also moves downward, and thus the upper panel housing 20, which the plate 310 supports, also moves. Will come down.

이때 받침 플레이트(340)가 아래로 이동하는 원리는 스프링의 압측 혹은 팽창 그리고 이동 가이드 부품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inciple of the support plate 340 to move down can be implemented using the pressing side or expansion of the spring and the moving guide component.

한편, 상하부 패널하우징이 높이가 같아진 상태가 되면, 상호 결합 수단 혹은 걸림 수단이 존재하여 높이가 같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are in the same height, mutual coupling means or locking means exist to maintain the same height.

그리고, 결합 수단 혹은 걸림 수단을 풀게 되면, 받침 플레이트(340)가 아래로 이동하는 데 사용하는 스프링이 복원되어 상부 패널하우징이 하부 패널하우징 위로 올라가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에 사용된 받침 플레이트(340)와 플레이트(310)의 스프링도 복원되어 결과적으로 상하부 패널하우징이 원상태로 겹쳐지게 된다.Then, when the coupling means or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the spring used to move the support plate 340 is restored so that the upper panel housing rises above the lower panel housing, and the support plate used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springs of the 340 and the plate 310 are also restor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are overlapped in their original state.

도 62은 측면의 움직임으로 이동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62 is a view showing a principle of moving in the movement of the side.

여기서 받침 플레이트(340)를 지지하는 받침부(43C)와 받침 플레이트(340)가 서로 이동 사용하는 이동 수단(341)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수단(341)은 플레이트와 바닥판이 스프링 복합체를 통해 이동하는 원리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이동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part 43C which supports the support plate 340, and the moving means 341 which move and use the support plate 340 mutually are provided. The moving means 341 may be applied to the principle of the plate and the bottom plate to move through the spring composite or the moving method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진 다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하 이동 거리를 줄이기 위해서는 한쪽의 패널하우징이 높이를 더 얇게 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unfolded and then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e panel housing needs to have a thinner height in order to reduce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한편 원안에 이동 힌지인 플레이트(310)와 받침 플레이트(340)의 크기를 나타내었다.Meanwhile, the size of the plate 310 and the support plate 340, which are moving hinges in the circle, is shown.

플레이트(310)의 폭(W)는 표시장치 폭이 1/2을 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상기 폭(W)이 작을수록 디자인 효율은 높지만, 견고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폭(W)은 최소한 2mm 이내는 되어야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 of the plate 310 does not exceed 1/2 of the width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smaller the width W, the higher the design efficiency, but the less robust. Therefore, the width W should be at least 2 mm.

또한, 내부 높이(T2)은 패널하우징 케이스 두께가 고려되어야 하므로 0.5mm 이상은 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디스플레이(2)(4)가 위치하게 될 수도 있으므로 그런 경우에는 3-5 mm 정도로 고려된다.In addition, the inner height (T2) is preferably 0.5mm or more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panel housing case should be considered. However, the display 2, 4 may also be located, in which case it is considered to be about 3-5 mm.

그리고 외부 높이(T1)은 내부 높이에서 플레이트 판의 두께를 고려하여 정해지면 된다. 만일 0.3mm 이라면, 외부 높이는 내부 높이보다 0.6mm 더 크게 된다. 통상 플레이트 판의 두께는 0.2 mm에서 2mm 이내가 적당하다.The outer height T1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plate plate at the inner height. If 0.3mm, the outer height is 0.6mm larger than the inner height. Usually, the thickness of a plate plate is suitable within 0.2 mm to 2 mm.

한편, 연결체(23c-1)가 형성되어 연결체가 이음매부의 디스플레이 측면을 커버할 수도 있다.그리고, 디스플레이 측면 부분에는 연결체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그럴 경우에는 보호커버(23c)가 이음매부의 디스플레이 측면을 커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mber 23c-1 may be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may cover the display side of the joint portion. The connecting side may not be formed at the display side portion, in which case the protective cover 23c may display the joint portion display. It will cover the sides.

도 63은 평면상에서의 이동을 보여준다.63 shows the movement in the plane.

받침 플레이트(340)이 이동하면, 플레이트(310)가 패널하우징 경계밖으로 나가게 된다. 이때 나가는 정도를 W 값으로 나타내면, 그 값은 도 62의 예에 따른다. 그리고, 받침 플레이트(340)는 양 가장자리에 존재하며, 디스플레이(2)(4) 바깥 가장자리에 위치한다.When the backing plate 340 moves, the plate 310 exits out of the panel housing boundary. At this time, if the exit degree is represented by the W value, the value follows the example of FIG. The backing plate 340 is located at both edges, and is located at the outer edge of the display 2, 4.

그리고, 플레이트의 길이(L)은 휴대용 표시장치의 길이와 관련되며, 휴대용 표시장치 전체 길이의 50% 이상에서 99 % 정도까지를 생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L of the plate is related to the length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nd may be considered to be about 50% or more to about 99% of the total length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도64는 회로 연결선의 배치를 나타낸다.Fig. 64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circuit connecting lines.

양 옆에 형성된 받침 플레이트(340)와 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 내에 회로 연결선(340b)이 구비된다. 그리고 회로연결선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 필름 혹은 판(340d)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끝 부분에 커텍터(340c)가 구비된다.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plate 340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plate, and a circuit connection line 340b is provided in the space. In addition, a coating film or plate 340d may be provided to protect the circuit connection line. And the connector 340c is provided at the end.

즉, 상부 패널하우징(20)과 하부 패널하우징의 각 부품을 연결하는 회로 연결선이 받침 플레이트(340)와 플레이트(310) 사이의 공간을 지나게 된다.That is, a circuit connecting line connecting the upper panel housing 20 and the components of the lower panel housing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plate 340 and the plate 310.

- 실시예 10 -Example 10

도 65와 도 66은 연장부가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65 and 66 are views of the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extension.

패널하우징 경계 밖으로 나오는 연장부(345) 더 구비하여 상하부 패널하우징의 높이가 상호 같아진 상태에서 서로를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An extension portion 345 extending out of the panel housing boundary is further provided to serve to more firmly support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heights of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are equal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연장부(345)는 상부 패널하우징(20) 양 측면 내부에서 스프링 장치와 가이드 수단(50a)(50b) 등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At this time, the extension portion 345 is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movement through the spring device and the guide means (50a, 50b), etc. in both sides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 실시예 11 -Example 11

도 67은 결합 수단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upling means.

상부 패널하우징과 하부 패널하우징이 펼쳐져서 높이가 같아진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결합 수단(55)(55a) 혹은 걸림 수단(55)(55a)이 필요할 수가 있게 된다.In a state where the upper panel housing and the lower panel housing are unfolded to have the same height, coupling means 55 and 55a or locking means 55 and 55a may be required to maintain the state.

도면에서는 상하부 패널하우징이 같은 높이로 펼쳐지면 상호 맞닿는 위치에 돌기 혹은 홈을 구비하여 결합지지력을 갖게 한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In the drawings, when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are unfolded at the same height, they are provided with protrusions or grooves at positions where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have a coupling bearing force.

이때, 도 121에서는 결합 수단 혹은 걸림 수단(55)(55a)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지만, 실제로는 상부 패널하우징과 하부 패널하우징이 맞닿는 곳이면 그 위치는 어디도 가능하다.In this case, although FIG. 121 shows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means or the locking means 55 and 55a, the position may be anywhere as long as the upper panel housing and the lower panel housing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홈과 돌기의 구조이외에 상호 맞물리는 형태를 취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ined by adopting a form of mutual engagement other than the structure of the groove and the projection.

- 실시예 12 -Example 12

도 68와 도 69는 하부 패널하우징이 이동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68 and 69 ar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lower panel housing is moved.

도 68는 하우징(50) 내부에 있는 하부 패널하우징(40)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동 이동하고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두 개의 패널하우징이 펼쳐지게 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8 is a view illustrating a principle in which two panel housings are unfolded by sliding the lower panel housing 40 in the housing 5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moving in the upper direction.

도 69는 이러한 이동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부 패널하우징 하부에는 바닥판(81-1)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81-1)의 양옆 돌기를 통해 고정홈(350)이 이동하게 된다.FIG. 69 is a view illustrating a principle of such a movement, and the bottom plate 81-1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anel housing, and the fixing groove 350 is moved through both side protrusions of the bottom plate 81-1. .

그리고 상기 고정홈(350)과 일체로 구성된 지지판(351)에는 연장 지지판(352)이 구비된다. 즉 상기 연장 지지판(352)은 더 이동하게 되므로 하부 패널하우징(40)이 상부 패널하우징(20) 경계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 장치(353)(353a)을 통해 하부 패널하우징(40)이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support plate 351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groove 350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support plate 352. That is, the extension support plate 352 is further moved so that the lower panel housing 40 comes out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boundary. The lower panel housing 40 moves upward through the spring devices 353 and 353a.

이때, 이동 수단(352a)은 지지판(351)과 연장 지지판(352)이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 복합체이거나 스프링이 이용된 가이드 수단이 된다.At this time, the moving means 352a is a spring composite or a guide means using a spring so that the support plate 351 and the extended support plate 352 can move left and right.

즉, 하부 패널하우징(4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바닥판(81-1)과 고정홈(350)이 사용된다. 그리고, 하부 패널하우징(40)이 상부 패널하우징(20) 경계 밖으로 나올 때에는, 지지판(351)과 연장 지지판(352)이 사용된다. 당연히 지지판(351)과 연장 지지판(352) 사이에 이동 수단(352a)을 통해 이동한다.That is, when the lower panel housing 40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bottom plate 81-1 and the fixing groove 350 are used. And, when the lower panel housing 40 comes out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boundary, the support plate 351 and the extended support plate 352 are used. Naturally, it moves through the moving means 352a between the support plate 351 and the extended support plate 352.

또한, 밖으로 나온 하부 패널하우징(40)이 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스프링 장치(353)(353a)가 사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pring device (353, 353a) is used when the lower panel housing 40 is moved upward.

패널하우징이 겹쳐진 상태 일 때 스프링이 팽창 혹은 압축 상태이고 패널하우징이 펼쳐진 상태일 때 스프링이 복원 상태이다.When the panel housing is in the overlapped state, the spring is inflated or compressed, and when the panel housing is in the extended state, the spring is in the restored state.

두 개의 패널하우징이 겹쳐져 있을 때 걸림 수단 혹은 결합 수단이 있어야 그 상태가 유지된다.When the two panel housings are overlapped, there must be a locking means or a coupling means to maintain the condition.

물론, 복원과 팽창 상태를 스프링의 압축과 팽창 상태를 이용하여 반대로 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용이한 설계 구조가 그러하다는 것이다.Of course, the restoration and expansion states can be reversed using the compression and expansion states of the spring, but that is generally the case for easy design structures.

- 실시예 13 -Example 13

도 70내지 도 73은 디자인 변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0 to 73 show examples of design variations.

전화 통화시 사용되는 스피커(101)와 마이크(102)등이 장착되게 되고, 선택 버튼(100) 등도 장착된다. 이때, 큰 소리를 위한 별도 스피커(100번 위치)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 speaker 101 and a microphone 102 used for a telephone call are mounted, and a select button 100 and the like are also mounted. At this tim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separate speaker for the loud sound (position 100) can be mounted.

그리고, 상부 패널하우징(20)의 길이보다 하부 패널하우징(40)의 길이가 더 길다. 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lower panel housing 40 is longer than that of the upper panel housing 20. do.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2)(4)의 이음매부(8)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51)(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안쪽 측면(51a)이 상부 디스플레이(2)의 이음매부(8) 측면을 보호하는 것이다.Meanwhile, protective covers 51 and 23 for protecting side surfaces of the joint part 8 of the display 2 and 4 are provided. The inner side surface 51a protects the side surface of the seam 8 of the upper display 2.

겹쳐진 상태(도 70), 슬라이딩 이동 상태(도 71), 패널하우징(20)(40) 높이가 같아져서 디스플레이가 인접한 상태(도 72)를 각각 나타낸다.The overlapped state (FIG. 70), the sliding movement state (FIG. 71), and the height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equal to each other to show the adjacent state (FIG. 72).

도 73은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73 is a view showing a sliding structure.

도면에서처럼 슬라이딩 홈(50a)이 이음매부(8) 부분에서는 곡선의 형상을 가지므로, 패널하우징(20)(40)이 좌우 이동과 상하 이동을 할 때에는 곡선 이동을 포함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since the sliding groove 50a has a curved shape in the joint portion 8,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include curved movements when moving left and right.

그리고, 안쪽면(51a)과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20a)(40a)도 곡면 형상을 가지게 된다.The inner surface 51a and the side walls 20a and 40a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lso have a curved shape.

도 74내지 도 76은 하부 패널하우징이 이동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74 to 76 are views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lower panel housing is moved.

도 74는 상하부 패널하우징(20)(40)이 상호 겹쳐진 상태이고, 상부 디스플레이(2)의 이음매부(8) 측면을 보호하는 보호 덮개(43)에는 손잡이(45)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45)는 표면에 긴 돌기 혹은 긴 홈 형상을 가져서, 손에 잘 잡히도록 한다.74 illustrates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20 and 40 overlap each other, and a handle 45 is provided on a protective cover 43 that protects the side surface of the joint 8 of the upper display 2. The handle 45 has a long projection or a long groove shape on the surface, so that it is well held in the hand.

도 75는 하부 패널하우징(40)을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의 도면이다.75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nel housing 40 is slid.

또한, 하우징(50)의 안쪽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50a)도 곡선의 모양을 가져서, 직선 운동과 상하 방향 방향 이동시 곡선 운동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liding groove 50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50 also has a curved shape, and includes a linear motion and a curved motion during vertical movement.

한편,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지만 디스플레이(2)(4)가 상하로 적층될 때에, 하부 디스플레이(4)의 이음매부 측면은 하우징(50) 혹은 상부 패널하우징(20)에 장착된 보호 덮개가 보호함은 당연하다.Meanwhile, although omitted in the drawings, when the display 2 and 4 are stacked up and down, the side of the seam of the lower display 4 is protected by a protective cover mounted on the housing 50 or the upper panel housing 20. Of course.

도 76은 디스플레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도면이다. 결과적으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높이가 같은 상태가 되게 된다. (1mm 이내의 편차)76 is a view of the display fully extended. As a result, the two displays 2 and 4 are in the same height. (Deviation within 1mm)

- 실시예 14 -- Example 14 -

도 77은 두께를 달리한 패널하우징(20)(40)의 단면도이다.77 is a sectional view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with different thicknesses.

한쪽의 패널하우징(20)이 더 얇게 형성될 수도 있는 실시예의 구조이다.One panel housing 20 is a structure of an embodiment may be formed thinner.

얇게 형성된 패널하우징(20) 아래면(도면에서 화살표로"0" 로 표시) 위에 디스플레이(2) 및 입력장치(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두껍게 형성된 패널하우징(40)에서는 디스플레이 하부에 본체 부품부(25)가 구비된다. 본체 부품부는 밧테리나 본체 제어부 등 부품을 의미한다.A display 2 and an input device 200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nly formed panel housing 20 (indicated by the arrows "0" in the figure). In the thickly formed panel housing 40, the main body part 25 is provided under the display. The main body part means a part such as a battery or a main body control unit.

당연히 디스플레이(2) 등을 받쳐주는 받침부(26)(46)가 구비될 수 있다.Naturally, the supporting parts 26 and 46 supporting the display 2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얇은 쪽의 패널하우징의 두께는 두꺼운 쪽의 패널하우징의 두께의 25% 에서 70% 정도로 변화가 가능하다.The thickness of the thin panel housing can vary from 25% to 70% of the thickness of the thick panel housing.

도 78은 두개 패널하우징의 두께가 비슷한 경우의 단면도이다.78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two panel housings have similar thicknesses.

패널하우징 내에서 디스플레이 배치는 상호 대칭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대칭 구조를 이룬다고, 각각의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부품마저 같은 것은 아니다.Within the panel housing the display arrangements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but symmetrical, not even the components mounted on each panel housing.

즉, 부품부(25)(45)에서 한쪽 부품부(25)에는 밧테리가 장착되고, 또 다른 부품부(45)에는 본체 제어부(105)가 장착될 수가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a battery may be mounted on one of the parts 25 and 45, and a main body control part 105 may be mounted on the other parts 45.

한편, 두개의 디스플레이(2)(4) 사이에 보호필름(14)이 구비될 수 있지만, 패널하우징 측벽(20a)(40a)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패널보호필름이나 패널하우징 하우징 측벽의 두께는 1.5mm 가 넘지 않는 것이 좋다.Meanwhile, although the protective film 1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wo displays 2 and 4, the panel housing sidewalls 20a and 40a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of the panel protective film or the panel housing housing is preferably not more than 1.5mm.

도 79 내지 도 81은 프레임 하우징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79-81 are illustrations of embodiments with frame housings.

도 79에서처럼 하부 패널하우징(20)에는 밧테리나 본체 회로부가 장착되고, 하부 패널하우징(20) 위에 프레임 하우징(20-1) 혹은 브라킷(bracket)(20-1)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하우징(20-1)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79, a battery or main body circuit part is mounted on the lower panel housing 20, and a frame housing 20-1 or a bracket 20-1 is mounted on the lower panel housing 20. The display is mounted on the frame housing 20-1.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2)가 상기 프레임 하우징(20-1)에 장착될 때 이음매부(8)에 더 가깝게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2)에서 화면이 표시되는 부분을 액티브 에어리어(active area)(2-1)라고 할 때, 상기 액티브 에어리어(2-1)가 프레임 하우징(20-1)의 이음매부 반대쪽 보다도 이음매부(8)에 더 가깝게 장착되는 것이다.When the display 2 is mounted on the frame housing 20-1, the display 2 is mounted closer to the joint 8. That is, when a portion of the display 2 on which the screen is displayed is called an active area 2-1, the active area 2-1 is larger than the opposite side of the joint of the frame housing 20-1. It is mounted closer to the seam 8.

그리고 그 상단에 보호판 혹은 입력장치(200)가 장착된다. 그리고 입력장치(200)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면적을 액티브 에어리어(Active area)(200-1)라고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입력장치의 액티브 에어리어(200-1)도 이음매부 반대쪽 보다도 이음매부에 더 가깝게 장착된다.And the protection plate or the input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top. The area in which information can be input from the input device 200 may be referred to as an active area 200-1, and the active area 200-1 of the input device is also seam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joint. Mounted closer to the unit.

도 79에서 L-L 방향 단면도는 도 80이고, K-K 방향 단면도는 도 81이다. 도면에서 보면 프레임 하우징(20-1)에 보호판 혹은 입력장치(200)가 장착됨을 보인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와 프레임 하우징 사이에 받침부(30-1)가 장착되어,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In FIG. 79, the sectional view in the L-L direction is FIG. 80, and the sectional view in the K-K direction is FIG. 81. In the figure it is shown that the protective plate or the input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frame housing 20-1. In addition, the supporting part 30-1 is mounted between the display 2 and the frame housing to support the display and absorb shock.

도면에서 프레임 하우징(20-1)의 하부는 부분적으로 절개될 수도 있다.(도 80과 도 81의 도면 아래 에서에서 D 로 표시된 만큼의 절개가 가능하다.)In the drawing, the lower part of the frame housing 20-1 may be partially cut. (As shown in FIG. 80 and FIG. 81, as indicated by D, the cutting may be possible.)

도 82는 높이가 다른 패널하우징을 나타낸 모양이다.82 shows panel housings having different heights.

도면에서 높이가 낮은 패널하우징(20)이 하부에는 디스플레이(20)가 바로 장착된다. 그리고, 그 사이에 받침부(3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0-1)는 디스플레이 면적 전체에 혹은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drawing, the panel housing 20 having a low height is directly mounted on the display 20. In addition, the supporting part 30-1 may be provided therebetween. The support part 30-1 may be provided in the whole or part of the display area.

또한 상기 패널하우징(20) 하부와 디스플레이(2) 사이의 거리는 2mm 이내(0 mm 포함)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널하우징의 아래부터 보호판 혹은 입력장치(200)까지의 길이 H1 도 10mm 이내로 한다. 그러나 박형화가 실현되면 디스플레이는 1.5mm 이내, 패널하우징 두께 1mm 이내 보호판을 포함한 입력장치의 두께 1.5mm 이내로 하면 H1은 4 mm 이내에서 5mm 이내로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housing 20 and the display 2 is 2 mm or less (including 0 mm). The length H1 from the bottom of the panel housing to the protective plate or the input device 200 is also within 10 mm. However, when thinning is realized, the display can be within 1.5mm, the panel housing thickness within 1mm, and the input device including the protective plate within 1.5mm in thickness. H1 can be within 4mm and within 5mm.

아울러, 높이가 더 두꺼운 패널하우징의 높이 H2 는 8 - 12mm 이내 혹은 상황에 따라 16 - 25mm 정도가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H2 of the thicker panel housing may be within 8-12 mm or 16-25 mm depending on the situation.

만일 H1이 3-5mm 이고 H2가 7 15 mm 라면, H1/ H2 의 비율은 0.20(3/15)에서 0.71(5/7)가 된다고 할 수 있다. If H1 is 3-5mm and H2 is 7 15mm, the ratio of H1 / H2 is 0.20 (3/15) to 0.71 (5/7).

또한, 디스플레이가 상호 연결 되는 부분에 보호수단(14), 패널하우징(20)(40)과 연결된 측벽, 혹은 프레임하우징(40-1)과 연결된 측벽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on means 14, the side wall connected to the panel housing 20, 40, or the side wall connected to the frame housing 40-1.

도 83에서 도 86은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83 to 86 illustrate a method of mounting a display.

디스플레이(2)에서 유리 혹은 플라스틱으로 되어 화면을 나타내는 부품을 디스플레이 패널(2a)이라고 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a) 배면부에 백라이트(2b)가 구비된다고 했을 때, OLED 소자는 백라이트(2b)가 없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서 구동부 회로는 도시 편의상 생략하였다.When a part of the display 2, which is made of glass or plastic and represents a screen, is referred to as a display panel 2a, and the backlight 2b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a, the OLED element has no backlight 2b. . In the drawings, the driver circuit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이때, 도 83와 도 84에서처럼 상기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20) 혹은 프레임 하우징(20-1)에 장착될 때, 샤시 혹은 기구물(16)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상태에서 구비될 수가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isplay is mounted on the panel housing 20 or the frame housing 20-1, as shown in FIGS. 83 and 84, the display may be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is mounted on the chassis or the mechanism 16.

한편, 도 85와 도 86에서처럼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20) 혹은 프레임 하우징(20-1)에 장착될 때, 샤시 혹은 기구물(16)이 없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만 장착되는 경우도 있다.85 and 86, when the display is mounted to the panel housing 20 or the frame housing 20-1, only the display may be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chassis or the mechanism 16 is not present.

이때, 디스플레이(2)와 패널하우징(20) 혹은 프레임 하우징(20-1) 사이의 간격은 2mm 이내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간격이 없어 0 mm 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 사이에 받침판(30-1)이 구비된다.In this case, an interval between the display 2 and the panel housing 20 or the frame housing 20-1 may be 2 mm or less, and in some cases, no gap may be 0 mm. And the supporting plate (30-1) is provided between the intervals.

그리고, 도 86는 OLED 소자의 경우는 백라이트(2b)가 없게 된다.86 shows no backlight 2b in the case of an OLED element.

한편, 도 86의 또 다른 실시예를 화살표 아래 부분의 도면에 나타내었다. 즉 OLED 하부 기판의 기능을 금속 재질의 패널하우징(20)이나 프레임 하우징(20-1)(화살표 아래의 도면에서 빗금으로 도시된 부분이 패널하우징이나 프레임 하우징이지만 OLED 기판의 역할도 한다는 것임.)이 대신할 수가 있다.86 is shown in the figure below the arrow. That is, the function of the OLED lower substrate is the panel housing 20 or the frame housing 20-1 made of metal. You can do this instead.

그렇게 하면 표시장치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By doing so,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made thinner.

도 87은 고정판이나 플레이트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87 is a view showing the size of the fixing plate or plate.

하부 덮개(43a)나 받침판(300)보다 고정판(76)이나 플레이트(310)의 폭이 더 클 있음을 보이는 도면이다. 즉, W4가 W3의 1.1배에서 4배 정도의 범위로 변형이 가능하다. 비율이 너무 차이가 나면, 설계에서 부품 배치에 무리가 될 수가 있다.It is a view showing that the width of the fixed plate 76 or the plate 310 is larger than the lower cover (43a) or the base plate (300). That is, W4 can be modified in a range of 1.1 times to 4 times that of W3. If the ratios differ too much, it can be difficult to place components in the design.

- 실시예 15 -Example 15

도 88은 휴대폰으로 사용할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88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when using as a mobile phone.

디스플레이(2) 화면에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입력 자판(256)(A타입 자판)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입력 자판(256)을 다수개의 박스(Box)로 도시했지만, 상기 박스 안에 숫자 문자 기호 등이 표시됨은 당연하다.An input input keyboard 256 (type A keyboard) for inputting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 Although the input keypad 256 is shown as a plurality of boxes in the figur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numeric character or the like is displayed in the box.

도 89은 문자 입력 등으로 사용할 때의 실시예의 도면이다.89 is a diagram of the embodiment when used for character input or the like.

두 개의 디스플레이(2)(4)를 확장하여, 데이터 통신 및 정보 이용 등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할 경우에는 한쪽 화면에 만 입력 자판(255)(B 타입 자판)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입력 자판(255)을 통해 한글 혹은 알파벳 등의 입력이 가능하다.When the two displays 2 and 4 are extended to use various contents such as data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use, the input keyboard 255 (type B keyboard) may be displayed on only one screen. In this case, input of the Korean alphabet or the alphabet is possible through the input keyboard 255.

그러면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가 표시된 부분을 터치하게 되면, 입력장치(200)(400)가 정보를 인식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n, when the user touches a portion where a desired letter is displayed, the input apparatus 200 or 400 may recognize the information.

한편, 통상 입력장치는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이 있으나, 평판 형태의 판 위에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는 본 발명의 원리에 그대로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input device generally has a capacitive type and a resistive film type, it is natural that the input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a flat plate may be used as it is.

도 90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본체제어부(105)내에는 제어부(110), 메모리(Memory)(120)와 타임 컨트롤러(Time Controller)(125), 디스플레이 구동부(130)및 입력장치 구동부(140) 등이 구비된다.90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The main body controller 105 includes a controller 110, a memory 120, a time controller 125, a display driver 130, an input device driver 140, and the like.

즉, 제어부(110), 메모리(120), 타임 컨트롤러(125), 디스플레이 구동부(130) 및 입력장치 구동부(140)의 기능을 하는 각각의 소자가 본체 제어부(105) 내에 모두 구비되는 형태처럼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되고 구비될 수 있다.That is, each element that functions as the controller 110, the memory 120, the time controller 125, the display driver 130, and the input device driver 140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controller 105. It can be manufactured and provided as a part of.

그리고, 디스플레이 구동부(130)에서는 화면을 분할하여 제1 디스플레이(2)와 제 2디스플레이(4)에 각각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 또한, 입력장치 구동부(140)도 제1 입력장치(250-1)와 제 2 입력장치(250-2)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각각 교정하고 조정한다.The display driver 130 divides the screen and sends data to the first display 2 and the second display 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driver 140 also corrects and adjusts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input device 250-1 and the second input device 250-2, respectively.

아울러, 디스플레이(2)(4)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소스(Source)(2b)(4b)부와 라인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Gate)부(2c)(4c)가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display the screen of the display (2) (4), the source (2b) (4b) section for providing a data signal and the gate section (2c) (4c) for providing a line selection signal Will be present.

또한, 센서(Sensor)(135)는 패널하우징(2)(40)의 위치 상태를 갑지하는 센서이다. 즉. 상하부 패널하우징(20)(40)이 적층상태로 있는가를 감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nsor 135 is a sensor that promotes the positional state of the panel housing 2 and 40. In other words. It is detected whether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stacked.

도 91은 센서에 따른 입력 자판 모드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9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put keyboard mode according to a sensor.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가 작동이 되면, 패널하우징(20)(40)이 적층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Whe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stacked.

그리고 화면에서 입력 자판을 나타나도록 하는 표시를 선택하게 되면(455 단계), 센서(135)에 의해 적층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460 단계)When the display is selected to display the input keyboard on the screen (step 455), it is determined by the sensor 135 whether it is in a stacked state (step 460).

만일 채널하우징이 적층 상태라면 A 타입 자판이 화면에 표시된다.(470단계) 이때, 적층 상태가 아니라면 B 타입 자판이 화면에 표시된다.(465단계)If the channel housing is in the stacked state, the type A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step 470). If the channel housing is not in the stacked state, the type B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step 465).

사용자가 종료 선택을 하게 되면, 시스템이 종료된다.(475단계)If the user selects to exit, the system is shut down (step 475).

이상과 같이 상하 패널하우징(20)(40)의 결합상태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tat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coupling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20 and 40.

도 92는 결합 센서에 따른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9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upling sensor.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가 작동되면 블럭도에 도시된 센서(135)에 의해 패널하우징(20)(40)이 적층 상태인가를 판단한다.(485단계)Whe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stacked by the sensor 135 shown in the block diagram.

적층이 되었으면 상부 패널하우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구동된다. 그리고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화면 포맷(Format)이 선택된다.(490 단계) 적층 되지 않았으면 두 개 디스플레이가 모두 구동되며,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화면 포맷(Format)이 선택된다.(495단계)Once stacked, the display mounted on the top panel housing is driven. A screen format for driving one display is selected (step 490). If not stacked, both displays are driven, and a screen format for driving two displays is selected. 495 steps)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하나의 화면만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두 개의 화면 만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블럭도에 도시된 본체제어부(105)의 메모리(120)에 한 개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포맷과 두 개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포맷을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센서(135)의 감지에 위해 제어부(110)는 그에 맞는 화면 포맷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 only one screen and can be used with only two screens. Therefore, the screen format for displaying one screen and the screen format for displaying two screens are stored in the memory 120 of the main body controller 105 shown in the block diagram.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selects a screen format suitable for the detection of the sensor 135.

화면이 선택되면 선택된 화면에 따라 제어부(110)가 화면 표시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하나의 화면을 표시할 때의 제어 모드와 두 개의 화면을 표시할 때의 제어 모드가 다른 것이다.When the screen is selected,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selected screen. In other words, the control mode when displaying one screen is different from the control mode when displaying two screens.

본 발명에서, 적층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는, 광센서, 적층 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 근접센서 등 통상이 사용 가능한 모든 센서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stacked state refers to all sensors that are normally available, such as an optical sensor, a switch for detecting the stacked state, a proximity sensor, and the like.

- 실시예 16 - Example 16

도 93내지 도 95는 모서리 부분을 곡면으로 한 예이다.93 to 95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corner portion is curved.

겹친 상태(도 92), 펼쳐지는 상태(도 93), 디스플레이 인접 상태(도 94)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상부 패널하우징(20)에 버튼(100)과 스피커(101) 등이 구비되게 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The overlapped state (FIG. 92), the unfolded state (FIG. 93), and the display adjacent state (FIG. 94) can be expressed. And, for this purpose, the button panel 100 and the speaker 101 are provided in the upper panel housing 20, which can be used with only one display.

- 실시예 17- Example 17

도 96와 도 97은 키 입력부가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96 and 97 ar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equipped with a key input unit.

도면에서처럼, 상하부 패널하우징(20)(40) 하단에 키 입력부(4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키 입력부(400)는 하부 패널하우징(40)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때, 키입력부(400)와 하부 패널하우징(40)과의 좌우 슬라이딩 원리는 통상의 슬라이딩 휴대폰에 적용되는 원리와 같다.As shown in the figure, a key input unit 400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20 and 40, and the key input unit 400 is slidably movable with the lower panel housing 40.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sliding principle of the key input unit 400 and the lower panel housing 40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applied to a conventional sliding mobile phone.

Claims (5)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 상부와 하부에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상 하부 패널하우징에 각각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며, 상기 상 하부 패널하우징이 상호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하여, 상기 상하부 패널하우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되게 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는 0.1mm에서 5 mm 이내이며,
상부 패널하우징과 하부 패널하우징 사이에 별도의 이동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별도의 이동 수단이 상부 패널하우징을 지지하면서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At least two panel housings are stacked on top and bottom, and each display panel i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anel housings. In a portable display device in which a display mounted on a panel housing is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display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is within 0.1 mm to 5 mm,
A separate display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anel housing and the lower panel housing, wherein the separate moving means move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ile supporting the upper panel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의 폭이 보호 덮개 혹은 덮개 받침부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width of the moving means is wider than that of the protective cover or the lid suppo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하우징은 상호 밀착 될 수도 있고 떨어져 있을 때에는 1.5mm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nel housing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hen apart from the port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not more than 1.5m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에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동 수단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resilient member in the moving means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Port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device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display.
KR1020127029906A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device KR2013002939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300 2010-04-08
KR1020100032300A KR20110049633A (en) 2009-11-04 2010-04-08 A portable display device
PCT/KR2011/002470 WO2011126334A2 (en)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144A Division KR20150008496A (en)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0177033620A Division KR20180000723A (en)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398A true KR20130029398A (en) 2013-03-22

Family

ID=44763603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300A KR20110049633A (en) 2009-11-04 2010-04-08 A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0177033620A KR20180000723A (en)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0147035144A KR20150008496A (en)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0177032847A KR20180001558A (en)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0127029906A KR20130029398A (en)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0177033623A KR20170130642A (en)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300A KR20110049633A (en) 2009-11-04 2010-04-08 A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0177033620A KR20180000723A (en)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0147035144A KR20150008496A (en)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0177032847A KR20180001558A (en)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623A KR20170130642A (en) 2010-04-08 2011-04-08 Portabl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6) KR20110049633A (en)
WO (1) WO2011126334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4487B2 (en) 2012-05-29 2015-08-25 Apple Inc.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for their assembly
CN103972023A (en) * 2013-01-28 2014-08-06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Field emission lam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101B1 (en) * 1999-12-09 2002-02-06 김순택 Personal portable communications system
KR101206032B1 (en) * 2006-03-21 201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Panel manufacturing method for multi-display
JP5192668B2 (en) * 2006-07-28 2013-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Portable terminal
CN101568236B (en) * 2008-04-25 2012-03-1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Slid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6334A3 (en) 2012-01-05
WO2011126334A2 (en) 2011-10-13
KR20110049633A (en) 2011-05-12
KR20170130642A (en) 2017-11-28
KR20180001558A (en) 2018-01-04
KR20150008496A (en) 2015-01-22
KR20180000723A (en)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1497A (en) A portable display device
US20210050875A1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JP5574680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20060088044A (en) Folding cellular phone
KR20130029398A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180973B1 (en) Portable display device
CN105700839A (en) Portable display apparatus
KR20160124414A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20170130342A (en) A portable display device
KR20170104971A (en) A portable display device
KR20180050611A (en) A portable display device
KR20160039586A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20150008361A (en) A portable display device
KR20110068799A (en) A portable display device
JP2010103998A (en) Slide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with built-in key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